KR100953603B1 -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603B1
KR100953603B1 KR1020080028350A KR20080028350A KR100953603B1 KR 100953603 B1 KR100953603 B1 KR 100953603B1 KR 1020080028350 A KR1020080028350 A KR 1020080028350A KR 20080028350 A KR20080028350 A KR 20080028350A KR 100953603 B1 KR100953603 B1 KR 100953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over
main frame
leg shiel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983A (ko
Inventor
겐이치로 구보시마
가즈히로 사카모토
타로 니시모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62J17/06Leg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로서, 운전자의 다리 부분에 적당히 주행풍이 닿도록 하고, 경쾌한 외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그 실드(16, 17)가 헤드 파이프 전방으로부터 메인 프레임(37)에 걸쳐 차량 전후 방향을 대략 따르는 주곡면(141), 전측부 경사면(142)을 각각 갖고, 측면에서 봤을 때 메인 프레임(37)과 겹쳐지는 부분에 차폭 방향 안쪽으로 만곡하는 오목형 만곡면(143) 및 후측부 만곡면을 갖는다. 오목형 만곡면(143)에 의해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안장형의 탑승 형태에서의 탑승 용이성을 유지하면서 주행풍을 운전자의 다리 부분(15a)에 적당히 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레그 실드(16, 17)는 주행풍의 흐름을 대략 따르는 형상이 되어 경쾌한 외관이 된다.
Figure R1020080028350
자동 이륜차, 레그 실드, 주행풍, 메인 프레임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LEG SHIELD STRUCTURE OF AUTOMATIC TWO-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로서, 차체의 전측부 좌우에 배치되고, 승차한 운전자의 다리 부분의 전방을 덮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세로로 길게 형성된 레그 실드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9623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이하에 설명한다.
레그 실드(38)는,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메인 파이프(20), 엔진(E)의 일부, 에어클리너(27) 등을 측방에서 덮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단면 V자 형상의 부품으로, 차체 프레임(15)의 전단을 구성하는 헤드 파이프(16)의 측방으로부터 대략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차체 측방으로 돌출하며, 레그 실드(38)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가 폐단면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레그 실드(38)의 전면은 차체 측방으로 넓어지면서 후퇴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레그 실드(38)에 닿은 주행풍은 차체 측방에서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흐르기 때문에, 레그 실드(38)의 후방에 위치하는 운전자의 다리 부분에 잘 닿지 않는데, 예컨대 하절기 등의 기온이 높을 때에는 청량감을 얻도록 주행풍이 다리 부분에 적당히 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그 실드(38)는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세로로 길기 때문에, 경쾌한 외관이 잘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레그 실드(38)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로 형성되는 폐단면 형상은 차체 전측부 중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면서, 그 내부는 특별히 이용되고 있지 않아 스페이스의 유효한 이용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로서, 운전자의 다리 부분에 적당히 주행풍이 닿도록 하고, 경쾌한 외관을 얻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메인 프레임이 연장되고, 이 메인 프레임의 후측부에 엔진이 지지되며, 차체 전측부에 운전자의 다리 부분 전방을 덮는 좌우 한 쌍의 레그 실드가 설치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레그 실드가 헤드 파이프 전방으로부터 메인 프레임에 걸쳐 차량 전후 방향을 대략 따르는 면을 포함하고, 측면에서 봤을 때 메인 프레임과 겹쳐지는 부분에 차폭 방향 안쪽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으로서, 레그 실드는, 측면에서 봤을 때, 메인 프레임과 겹쳐지는 부분에 차폭 방향 안쪽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와 마찬가지로 안장형 탑승 형태에서의 탑승 용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 파이프 전방으로부터 메인 프레임에 걸쳐 차량 전후 방향을 대략 따르는 면에 의해서, 주행풍이 레그 실드를 따라 흐르기 쉬워지고, 운전자의 다리 부분 전방이 레그 실드로 덮여 있어도, 주행풍이 운전자의 다리 부분을 감돌아, 주행풍을 다리 부분에 적당하게 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레그 실드가 헤드 파이프 전방으로부터 메인 프레임에 걸쳐 전후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주행풍의 흐름을 대략 따라가는 형상이 되어, 경쾌한 외관이 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레그 실드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으로서, 개구부로부터 레그 실드 근방의 메인 프레임 주변을 향하는 것이 가능해져, 개구를 통하여 레그 실드 아래쪽에, 예컨대 공구를 삽입하고, 이 공구로 메인 프레임 주변에 배치된 부품의 유지 보수를 행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레그 실드가, 측면에서 봤을 때 전후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엔진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으로서, 레그 실드가 자동 이륜차에서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 이륜차의 경쾌감이 증가한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메인 프레임을 둘러싸는 메인 프레임 커버가, 레그 실드의 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메인 프레임 커버의 후단부가 레그 실드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으로서, 레그 실드와 메인 프레임 커버를 결합하여, 예컨대 폐단면 구조로 하면, 이 폐단면 내부는 수납함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레그 실드가, 헤드 파이프 전방으로부터 메인 프레임에 걸쳐 차량 전후 방향을 대략 따르는 면을 갖고, 측면에서 봤을 때 메인 프레임과 겹쳐지는 부분에 차폭 방향 안쪽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을 갖기 때문에, 레그 실드에 의해서 종래와 동등한 탑승 용이성을 유지하면서 주행풍을 적당히 운전자의 다리 부분에 유도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레그 실드가 주행풍의 흐름을 대략 따르는 형상이 되어, 자동 이륜차를 경쾌한 외관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레그 실드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레그 실드 위쪽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예컨대 메인 프레임 주변에 배치된 부품의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고, 레그 실드나 다른 차체 커버를 벗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레그 실드가, 측면에서 봤을 때, 전후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엔진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레그 실드가 자동 이륜차에서 비교적 높은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자동 이륜차의 외관을 보다 경쾌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을 둘러싸는 메인 프레임 커버가 레그 실드의 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메인 프레임 커버의 후단부가 레그 실드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레그 실드와 메인 프레임 커버 사이를, 예컨대 폐단면 구조로 하여 수납함 등의 수납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고, 자동 이륜차(10)는 바 핸들(11)의 주변 및 아래쪽으로부터 탠덤 시트(12)의 후방까지 차체 커버(13)로 덮인 차량이며, 차체 커버(13)의 전측부에 운전자(15)의 다리 부분(15a)의 전방을 덮는, 전후 방향으로 긴 좌우 한 쌍의 레그 실드(16, 17)(앞쪽 측의 부호 16만 도시함)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고, 자동 이륜차(10)는 차체 프레임(31)과, 이 차체 프레임(31)의 전단을 구성하는 헤드 파이프(32)에 조향 가능하게 부착된 프론트 포크(33)와, 이 프론트 포크(33)를 구성하는 스티어링 축(34)의 상단에 부착된 바 핸들(11)과, 프론트 포크(33)의 하단부에 차축(35)을 통해 지지된 전륜(36)과, 헤드 파이프(32)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차체 프레임(31)을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37)의 후측부에 부착된 엔진(38)과, 이 엔진(38)의 전측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부(41)에 구비하는 실린더 헤드(42)의 상부에 접속된 흡기 장치(43)와, 실린더 헤드(42)의 하부에 접속된 배기 장치(44)와, 메인 프레임(37)의 후단부에 부착된 피봇 플레이트(46)와, 이 피봇 플레이트(46)에 피봇 축(46a)을 통해 상하 스윙 가능하게 부착된 스윙 아암(47)과, 이 스윙 아암(47)의 후단부에 차축(48)을 통해 지지된 후륜(51)과, 메인 프레임(37)의 후측부로부터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차체 프레임(31)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52, 53)(앞쪽 측의 부호 52만 도시함)에 부착된 탠덤 시트(12)와, 스윙 아암(47)의 후측부 및 각각의 시트 레일(52, 53) 사이에 걸쳐져 부착된 좌우 한 쌍의 리어 쿠션 유닛(56, 57)(앞쪽 측의 부호 56만 도시함)과, 차체를 덮는 전술의 차체 커버(13)로 이루어진다.
차체 커버(13)는, 상부 커버(71) 및 하부 커버(72)로 이루어지는 핸들 커버(73)와, 헤드 파이프(32)의 전방 및 헤드 램프(74) 주위를 덮는 프론트 커버(76)와, 헤드 파이프(32)의 후방 및 메인 프레임(37)의 전측부의 위쪽을 덮는 메인 프레임 커버(77)와, 프론트 커버(76) 및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하측과 인접하는 레그 실드(16, 17)(앞쪽 측의 부호 16만 도시함)와, 이 레그 실드(16, 17)의 아래쪽에 간극(78)을 통해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하부 커버(81, 82)(앞쪽 측의 부호 81만 도시함)와, 이들 레그 실드(16, 17) 및 하부 커버(81, 82)의 후측부와 인접하는 좌우 한 쌍의 센터 커버(83, 84)(앞쪽 측의 부호 83만 도시함)와, 이들 센터 커버(83, 84)의 후측부와 인접하고 탠덤 시트(12)의 전측부를 따라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보디 커버(86, 87)(앞쪽 측의 부호만 도시함)와, 이 보디 커버(86, 87)의 하부와 인접하는 좌우 한 쌍의 보디 언더 커버(91, 92)(앞쪽 측의 부호 91만 도시함)와, 보디 커버(86, 87)의 후단에 접속되고 탠덤 시 트(12)의 후방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리어 커버(93)로 이루어진다.
레그 실드(16, 17)는 엔진(38)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31)은, 헤드 파이프(32)와, 메인 프레임(37)과, 피봇 플레이트(46)와, 시트 레일(52, 53)과, 피봇 플레이트(46) 및 각각의 시트 레일(52, 53)에 걸쳐져 부착된 좌우 한 쌍의 서브프레임(96, 97)(앞쪽 측의 부호 96만 도시함)으로 이루어진다.
엔진(38)은 측면에서 봤을 때 전후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후측부에 변속기(101)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것이며, 변속기(101)의 출력축(101a)에 드라이브 스프로킷(102)이 부착되고, 이 드라이브 스프로킷(102)과, 후륜(51)에 일체로 부착된 드리븐 스프로킷(103) 사이에 체인(105)이 걸쳐져 있다.
흡기 장치(43)는, 실린더 헤드(42)의 상부에 접속된 흡기관(111)과, 이 흡기관(111)에 접속된 카뷰레터(112)와, 이 카뷰레터(112)에 커넥팅 튜브(도시 생략)를 통해 접속된 에어클리너(114)로 이루어지고, 카뷰레터(112)는 레그 실드(16)와 하부 커버(81)와의 간극(78), 및 레그 실드(17)와 하부 커버(82)와의 간극(78)의 안쪽에 위치하며, 에어클리너(114)는 메인 프레임(37)에 부착되어 있다.
배기 장치(44)는 실린더 헤드(42)의 하부에 전단이 접속된 배기관(116)과, 이 배기관(116)의 후단에 접속된 머플러(11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면 부호 121은 전륜(36)의 위쪽을 덮는 프론트 펜더, 도면 부호 122는 전륜(36)을 제동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도면 부호 123은 스탠드, 도면 부호 124, 124(앞쪽 측의 부호 124만 도시함)는 운전자용 발 받침대, 도면 부호 126, 127(앞쪽 측의 부호 126만 도시함)은 동승자용 발 받침대, 도면 부호 131은 테일 램프, 도면 부호 132는 리어 펜더이다.
프론트 펜더(121)는 상면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산부(135)를 구비하고, 이 산부(135)의 위치는 헤드 램프(74)의 전단 아래쪽에 위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를 도시하는 측면도(도면중의 화살표(FRONT)는 차량 전방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이고, 레그 실드(16, 17)(앞쪽 측의 부호 16만 도시함)는 각각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부(16a, 17a)(앞쪽 측의 부호 16a만 도시함)를 포함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이 헤드 파이프(32)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후단이 메인 프레임(37)의 중간부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레그 실드(16, 17)의 표면에는 각각, 큰 영역을 차지하는 주곡면(141)과, 이 주곡면(141)의 전측부 하부에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서 차체 안쪽으로 경사진 전측부 경사면(142)과, 주곡면(141)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개구부(16a, 17a)가 형성된 오목형 만곡면(143)과, 이 오목형 만곡면(143)의 후측부와 인접하고 주곡면(141)의 하부에 대하여 차체 안쪽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한 후측부 만곡면(144)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 커버(77)는 스티어링 축(34)(도 2 참조)을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중앙부(146)와, 전방으로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전방 돌출부(147, 148)(앞쪽 측의 부호 147만 도시함)와, 후방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된 후방 돌출부(149)를 구비하고, 이 후방 돌출부(149)의 후단 위치가 레그 실드(16, 17)의 후단 위치와 전후 방향으로 일치한다. 또한 도면 부호 77a, 77b는 레그 실드(16, 17)와 결합하기 위해 메인 프레임 커버(77)에 설치된 부착부이다.
하부 커버(81, 82)(앞쪽 측의 부호 81만 도시함)는 각각, 상부 가장자리가 대략 중앙부에서 V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간극(78)을 넓히게 형성되고, 그 표면에 가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측방 돌출면(151)과, 이 측방 돌출면(151)의 전방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차체 안쪽으로 경사진 전측부 경사면(152)과, 측방 돌출면(151)의 후방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차체 안쪽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한 만곡면(153)을 구비한다. 또한 도면 부호 81a, 82a(앞쪽 측의 부호 81a만 도시함)는 레그 실드(16, 17)와 결합하기 위해 하부 커버(81, 82)에 설치된 부착부, 도면 부호 89는 결합을 위한 비스이다.
센터 커버(83, 84)(앞쪽 측의 부호 83만 도시함)는 전단이 간극(78)의 일부를 막도록 레그 실드(16, 17)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측면으로 간극(78)을 연장하도록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오목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83a, 84a(앞쪽 측의 부호 83a만 도시함)는 하부 커버(81, 82)와 결합하기 위해 센터 커버(83, 84)에 설치된 부착부, 도면 부호 83b, 84b(앞쪽 측의 부호 83b만 도시함)는 보디 커버(86, 87)(앞쪽 측의 부호 86만 도시함)와 결합하기 위해 센터 커버(83, 84)에 형성된 부착부이다.
보디 커버(86, 87)는 전방 가장자리의 일부가 탠덤 시트(12)의 전측부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면은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계선(158)이 가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볼록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86a, 87a(앞쪽 측의 부호 86a만 도시함)는 차체 프레임(31)(도 2 참조) 측에 결합하기 위해 보디 커버(86, 87)에 설치된 부착부이다.
보디 언더 커버(91, 92)(앞쪽 측의 부호 91만 도시함)는 측면에서 봤을 때 삼각 형상이고, 하부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91a, 92a(앞쪽 측의 부호 91a만 도시함)는 보디 커버(86, 87)에 결합하기 위해 보디 언더 커버(91, 92)에 설치된 부착부이다.
리어 커버(93)는 각각의 보디 커버(86, 87)의 후측부 하부 가장자리와 접하여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차체 커버(13)는 상부 커버(71)와 하부 커버(72)로 상하로 분할된 핸들 커버(73)와, 차체 커버(13)의 가장 전측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커버(76)와, 이 프론트 커버(76)의 후측에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커버(77)와, 이들 프론트 커버(76) 및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하측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다리 부분의 전방을 덮는 좌우 한 쌍의 레그 실드(16, 17)와, 레그 실드(16, 17)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커버(81, 82)와, 이들 레그 실드(16, 17) 및 하부 커버(81, 82) 각각의 후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센터 커버(83, 84)와, 센터 커버(83, 84)의 후측에 배치되는 보디 커버(86, 87)와, 보디 커버(86, 87)의 후측부 하부 가장자리에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보디 언더 커버(91, 92)와, 보디 커버(86, 87)의 후단부 하부 가장자리에 접속되는 리어 커버(93)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5-5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레그 실드(16, 17)는 각각,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벽(161)과, 이 내측벽(161)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탄한 평탄벽(162)과, 이 평탄벽(162)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외측벽(163)을 구비하며, 평탄벽(162)에는 개구부(16a, 17a)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 커버(77)는 중앙부가 높은 상부벽(165)과, 이 상부벽(165)의 양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단차식 측벽(166, 166)과, 각각의 이 단차식 측벽(166, 166)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돌출벽(167, 167)을 구비하고, 이들 측방 돌출벽(167, 167)에는 루버(168)가 형성되어 있다.
루버(168)는 판부(170)와, 이 판부(170)로부터 세워진 복수의 미늘판(172)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미늘판(172)이 개구부(16a, 17a)에 삽입되며, 개구부(16a, 17a)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판부(170)에는 미늘판(172)과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여도 좋다.
하부 커버(81, 82)는 하단부측이 상단부측보다 차체 안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것이고, 상부 가장자리에 차체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브(17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브(175)를 형성함으로써, 하부 커버(81, 8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부 커버(81, 82) 안을 통과하는 주행풍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6-6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레그 실드(16, 17)에서는 전측부에 설치된 주곡면(141, 141) 사이의 차폭 방향의 거리가 크며, 후측부에 설치된 오목형 만곡면(143, 143) 사이 및 후측부 만곡면(144, 144)(도 3 참조) 사이의 거리는 작아져, 개구부(16a, 17a)를 경계로 하여 전후로 폭이 변한다. 바꿔 말하 면, 메인 프레임(37)의 전단 및 후단을 통과하고,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가상선(176a, 176b)을 그었을 때에, 이들 가상선(176a, 176b) 사이에서 레그 실드(16, 17)간의 폭이 크게 변화하도록 오목형 만곡면(143, 143)이 형성되어 있는데, 즉 메인 프레임(37)과 오목형 만곡면(143, 143)이 차폭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따라서, 레그 실드(16, 17)의 후측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운전자의 다리 부분(15a, 15a) 중 전방은 레그 실드(16, 17)의 전방부로 덮이고, 레그 실드(16, 17)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
레그 실드(16, 17)는 각각 전측부 경사면(142)의 전단으로부터 차폭 방향 안쪽으로 신장하는 전벽면(177)을 구비한다.
루버(168)의 미늘판(172)은 차체 측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레그 실드(16, 17) 안에서 루버(168)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된 바람이 다리 부분(15a)에 직접 닿지 않는다.
도 7은 도 3의 7-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레그 실드(16)와 메인 프레임 커버(77)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레그 실드(16)의 이면에는 대략 L자 형상인 부착 돌기(16c)가 형성되고, 이 부착 돌기(16c)에는 부착 구멍(16d)이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표면에는 비스 삽입 관통 구멍(77c)이 형성되어 있고,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스(79)를 비스 삽입 관통 구멍(77c)에 통과시켜 부착 구멍(16d)에 체결함으로써, 레그 실드(16)와 메인 프레임 커버(77)가 결합된다. 또한 레그 실드(17)(도 4 참조)와 메인 프레임 커버(77)와의 결합 구조도 상기와 마찬가지다.
도 8은 도 3의 8-8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하부 커버(81)와 센터 커버(83)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센터 커버(83)의 표면에 부착 돌기(83c)가 형성되고, 이 부착 돌기(83c)에는 부착 구멍(83d)이 형성되며, 이 부착 구멍(83d)에, 폭 중앙부에 소직경으로 관통 구멍(181)이 형성된 고무(182)가 끼워지고, 하부 커버(81)의 이면에는 분할홈이 형성된 결합핀(81c)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핀(81c)을 고무(182)의 관통 구멍(181)에 삽입함으로써, 하부 커버(81)와 센터 커버(83)가 결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하부 커버(82)와 센터 커버(84)와의 결합 구조도 상기와 마찬가지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커버의 평면도이고, 하부 커버(81, 82)는 전측부에 설치된 전측부 경사면(152, 152) 사이 그리고 측방 돌출면(151, 151) 사이의 차폭 방향의 거리가 커지며, 후측부에 설치된 만곡면(153, 153) 사이의 거리는 작아진다.
따라서, 하부 커버(81, 82)의 후측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운전자의 다리 부분(15a, 15a)의 전방은 하부 커버(81, 82)의 전측부로 덮이게 되어, 레그 실드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정면도이고, 레그 실드(16, 17) 및 하부 커버(81, 82)의 안쪽에는 위로부터 메인 프레임(37), 에어클리너(114), 엔진(38)의 실린더부(4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184는 실린더부(41)의 단부를 막는 헤드 커버이다.
도면에서는 좌우의 운전자용 발 받침대(124, 124)에 운전자의 다리 부분(15a, 15a)가 놓인 상태를 상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차체 전측부의 평면도이고, 좌우의 레그 실드(16, 17)에는 각각 개구부(16a, 17a)가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루버(168)는 각각 이 개구부(16a, 17a)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또한 도면 부호 77m은 스티어링 축(34)(도 2 참조)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 도면 부호 77n은 키 실린더를 부착하는 키 실린더 부착 구멍이다.
도면 중의 상상선은 운전자의 다리 부분(15a)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실드와 메인 프레임 커버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레그 실드(17)에는 부착 돌기(17c)가 형성되며, 이 부착 돌기(17c)에는 부착 구멍(17d)이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 커버(77)에는 복수의 비스 삽입 관통 구멍(77c)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스(79)를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스 삽입 관통 구멍(77c)에 통과시켜, 부착 구멍(17d)에 체결함으로써, 레그 실드(17)와 메인 프레임 커버(77)가 결합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커버와 보디 커버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센터 커버(83, 84)에 부착부(83b, 84b)가 설치되고, 보디 커버(86, 87)에는 비스 삽입 관통 구멍(86c, 87c)(부호 87c만 도시함)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스(79)가 비스 삽입 관통 구멍(86c, 87c)에 통과되고, 부착부(83b, 84b)에 체결되어 센터 커버(83, 84)와 보디 커버(86, 87)가 결합된다. 또한 도면 부호 84f, 84g는 센터 커버(83)에 결합하기 위해 센터 커버(84)에 형성된 부착부, 도면 부호 86d, 87d는 차체 프레임(31)(도 2 참조)측에 부착하기 위해 보디 커버(86, 87)에 형성된 부착부이다.
도 14의 (a)∼(d)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a)는 차체 전측부의 측면도, (b)∼(d)는 (a)에 있어서의 각 위치의 단면도이다.
(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b)에 도시된다.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바깥쪽에 레그 실드(16)가 겹쳐지고, 레그 실드(16)의 개구부(16a)의 아래쪽에서 메인 프레임 커버(77)와 레그 실드(16)가 결합된다.
즉, 레그 실드(16)의 이면에는 보스형의 부착부(16f)가 형성되고, 이 부착부(16f)에는 부착 구멍(16g)이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 커버(77)에는 부착부(77a)가 형성되고, 이 부착부(77a)에는 비스(79)를 통과시키는 비스 삽입 관통 구멍(77e)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스(79)를 비스 삽입 관통 구멍(77e)에 통과시키고, 부착 구멍(16g)에 체결함으로써, 레그 실드(16)와 메인 프레임 커버(77)가 결합된다.
(a)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c)에 도시된다. 차체 프레임(31)(도 2 참조)측에 부착 브래킷(185)이 설치되고, 이 부착 브래킷(185)에는 너트(186)가 고정되며, 또한 좌우의 센터 커버(83, 84)에는 각각 부착부(83j, 84j)가 형성되고, 이들 부착부(83j, 84j)에는 각각 부착 구멍(83k, 84k)이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 커버(77)에는 부착부(77g)가 형성되고, 이 부착부(77g)에는 끼워 맞춤 구멍(77h)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스(188)를 부착 구멍(83k), 부착 구멍(84k), 브래킷(185)에 형성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185a)에 통과시키고, 너트(186)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부착 브래킷(185)에는 센터 커버(83, 84)가 부착되어, 좌우의 센터 커버(83, 84)가 연결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부착부(77g)의 끼워 맞춤 구멍(77h)에 센터 커버(83)의 부착부(83j)에 구비하는 돌출부(83m)를 끼워 맞춤으로써, 부착 브래킷(185)에 메인 프레임 커버(77)가 결합된다.
(a)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d)에 도시된다. 센터 커버(83, 84)에 부착부(83n, 84n)가 형성되고, 부착부(83n, 84n)에는 각각 부착 구멍(83p, 84p)이 형성되며, 이들 부착 구멍(83p, 84p)에 비스(191)가 통과되고, 비스(191)의 단부에 너트(192)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좌우의 센터 커버(83, 84)가 연결된다.
도 15의 (a)∼(d)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전측부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a)는 차체 전측부의 사시도, (b)∼(d)는 (a)에 있어서의 각 위치의 단면도이다.
(a)의 b부의 단면도를 (b)에 도시된다. (b)는 프론트 커버(76)와 메인 프레임 커버(77)와의 접합부(상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즉, 프론트 커버(76)의 후단부의 하면에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전단부의 상면을 댄 것을 도시하고 있다.
(a)의 c부의 단면도를 (c)에 도시된다. (c)는 프론트 커버(76)와 메인 프레임 커버(77)와의 접합부(상부측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즉, 프론트 커버(76)의 측단부에 홈부(76a)가 마련되고, 이 홈부(76a)에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측단부를 삽입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a)의 d부의 단면도를 (d)에 도시된다. (d)는 레그 실드(16)와 프론트 커 버(76)와의 접합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즉, 레그 실드(16)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평탄부(16j)와, 이 평탄부(16j)의 차체 안쪽에 배치된 굴곡부(16k)를 형성하고, 이 평탄부(16j)에 프론트 커버(76)의 하부 가장자리를 댄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상에 진술한 차체 커버(13)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1 작용도이다.
예컨대, 메인 프레임(37) 주변 부품으로서 카뷰레터(112)를 유지 보수하는 경우는 차체 커버(13)를 벗기지 않고, 간극(78, 78)이나 개구부(16a, 17a), 루버(168)에 형성된 슬릿(171)을 통하여 공구(195)를 차체 커버(13) 내로 삽입하여 이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유지 보수 위치에 따라서 공구(195)의 삽입 방향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의 (a)∼(c)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2 작용도이다.
(a)는 레그 실드(16)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이고, 주행풍이 레그 실드(16)의 측방을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행할 때에, 전측부 경사면(152) 및 측방 돌출면(151)을 통과한 후에는, 주행풍은 만곡면(153)측으로 휘어져 진행하여, 운전자의 다리 부분(15a)에 닿는다. 상기 작용은 하부 커버(81)(도 3 참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종래와 같은 운전자의 다리 부분의 전방을 넓은 범위로 덮는 레그 실드에 비해, 본 실시형태의 레그 실드(16)에서는 다리 부분(15a)의 전방이 레그 실드(16)에 의해 덮여 있지만, 상기 작용에 의해서 주행풍이 다리 부분(15a)에 적당히 닿기 때문에, 종래의 레그 실드보다 청량감을 얻을 수 있다.
(b)는 레그 실드(16)와 하부 커버(81)와의 간극(78), 및 센터 커버(83)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이다.
엔진(38)의 운전중에는 특히 실린더부(41)로부터 많은 열이 방출되고, 그 열기가 화살표와 같이 상승하여 차체 커버(13) 내에 들어찬다. 자동 이륜차가 주행을 시작하면, 주행풍은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체 커버(13) 내에 들어간 후, 직접 엔진(38)에 닿거나,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기와 함께 레그 실드(16)와 하부 커버(81)와의 간극(78)을 통과하여 외부에 유출되고, 또한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간극(78)의 후방에 형성된 센터 커버(83)의 오목부(156)를 따라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흐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주행풍의 흐름에 의해 엔진(38)으로부터의 방열이 활발해져, 엔진(38)의 냉각을 재촉할 수 있다.
센터 커버(83)에 오목부(156)를 형성함으로써, 주행풍이 간극(78)으로부터 유출되기 쉬워지고, 보다 많은 주행풍을 배출할 수 있으며, 한층 더 엔진의 냉각을 재촉할 수 있다.
(c)는 하부 커버(82)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이다.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행풍이 하부 커버(82) 내에 들어가면, 주행풍은, 하부 커버(82)의 V자형으로 형성된 상부 가장자리의 리브(175)에 의해 후방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진행 방향이 변경되고, 엔진(38)의 실린더부(41)에 닿아, 실린더부(41)를 냉각한다. 이와 같이, 하부 커버(81, 82)(부호 82만 도시함)의 상부 가장자리의 리브(175)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하부 커버(81, 82) 내의 주행풍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도 2, 도 3,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명은, 헤드 파이프(32)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메인 프레임(37)이 연장되고, 이 메인 프레임(37)의 후측부에 엔진(38)이 지지되며, 차체 전측부에 운전자(15)의 다리 부분(15a) 전방을 덮는 좌우 한 쌍의 레그 실드(16, 17)(앞쪽 측의 부호 16만 도시함)가 설치된 자동 이륜차(10)에 있어서, 레그 실드(16, 17)는, 헤드 파이프(32) 전방으로부터 메인 프레임(37)에 걸쳐 차량 전후 방향을 대략 따르는 면인 주곡면(141), 전측부 경사면(142)을 각각 갖고, 측면에서 봤을 때 메인 프레임(37)과 겹쳐지는 부분에 차폭 방향 안쪽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으로서의 오목형 만곡면(143) 및 후측부 만곡면(144)을 갖기 때문에, 레그 실드(16, 17)에 의해서 종래와 동등한 탑승 용이성을 유지하면서 주행풍을 적당히 운전자(15)의 다리 부분(15a)에 유도할 수 있어, 운전자(15)에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레그 실드(16, 17)가 주행풍의 흐름을 대략 따르는 형상이 되어, 자동 이륜차(10)를 경쾌한 외관으로 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도 11,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실드(16, 17) 상면에 개구부(16a, 17a)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레그 실드(16, 17) 위쪽으로부터 개구부(16a, 17a)를 통하여, 예컨대 메인 프레임(37) 주변에 배치된 부품[예컨대 카뷰레터(112)]의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고, 레그 실드(16, 17)나 다른 차체 커버를 벗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실드(16, 17)가 측면에서 봤을 때 전후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엔진(38)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레그 실드(16, 17)가 자동 이륜차(10)에서 비교적 높은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자동 이륜차(10)의 외관을 보다 경쾌하게 할 수 있다.
제4 발명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37)을 둘러싸는 메인 프레임 커버(77)가 레그 실드(16, 17)의 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후단부가 레그 실드(16, 17)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레그 실드(16, 17)와 메인 프레임 커버(77) 사이를, 예컨대 폐단면 구조로 하여 수납함 등의 수납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센터 커버(201)는 도 3에 도시된 센터 커버(83)와 보디 언더 커버(91)를 일체로 한 것이며, 차체에 좌우 한 쌍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센터 커버(201)에 보디 커버(86)를 복수의 비스(79)로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센터 커버(83)와 보디 언더 커버(91)를 일체로 한 센터 커버(201)에 의해서,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부착 공정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보디 언더 커버(203)는 도 4에 도시된 좌우 한 쌍의 보디 언더 커버(91, 92) 사이를 이어서 일체로 한 것이며, 좌측 언더 커버부(204)와, 우측 언더 커버(206) 와, 이들 좌측 언더 커버부(204) 및 우측 언더 커버부(206)를 잇는 센터 언더 커버부(207)(크로스 해칭을 실시한 부분이다.)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부호 203a, 203b는 리어 쿠션 유닛(56, 57)(도 2 참조)과의 간섭을 막기 위해 마련한 노치이다.
좌측 언더 커버부(204)는 도 4에 도시된 보디 언더 커버(91)에 상당하고, 우측 언더 커버부(206)는 도 4에 도시된 보디 언더 커버(92)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보디 언더 커버(91, 92) 사이를 이어서 보디 언더 커버(203)로 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 공정수, 비용을 삭감할 수 있으며, 또한 센터 언더 커버부(207)로, 리어 펜더의 일부를 겸할 수 있어, 도 2에 도시된 리어 펜더(132)의 형상을 간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 커버(77)의 전측부를 전방으로 더 연장시킨 메인 프레임 커버(211)는 전단부를 레그 실드(16, 17)의 전단부에 비스(79)로 결합함으로써, 레그 실드(16, 17)로 폐단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고, 레그 실드(16, 17)에 개구부(16a, 17a)를 개폐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리드(213, 214)를 설치함으로써, 메인 프레임 커버(211)와 레그 실드(16, 17)로 둘러싸인 공간(216, 217)을 소품 등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부호 221은 힌지 핀이다. 도면 부호 222는 리드(213, 214)의 고정 기구인 메인 프레임 커버(211)에 설치된 수용부(223)와, 이 수용부(223)에 결합하기 위해 리드(213, 214)에 설치된 걸림부(224)로 이루어진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에서 설명한 하부 커버(81, 82)(앞쪽 측의 부호 81만 도시함)의 후측부 상부에 메시형의 덮개부(231)를 일체 성형하여 하부 커버(233, 234)(앞쪽 측의 부호 233만 도시함)로 하며, 레그 실드(16, 17)(앞쪽 측의 부호 16만 도시함)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덮개부(231)는 간극(78)의 후방에 위치하고, 운전자의 다리 부분(15a)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예컨대 우천시 등에 차체 커버(13) 내에 빗물 등이 물보라가 되어 비산한 경우, 이 물보라가 간극(78)으로부터 밖으로 유출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부(231)를 설치함으로써, 물보라를 다리 부분(15a)에 잘 닿지 않게 할 수 있고, 또한 덮개부(231)의 메시(그물눈)를 주행풍이 빠져 나가기 때문에, 다리 부분(15a)에 닿는 주행풍도 확보할 수 있어, 하절기 등에 청량감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한 덮개부(231)는 하부 커버(233, 234)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센터 커버(83, 84)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레그 실드(16)의 간극(78)을 향하는 하면과, 하부 커버(81)의 간극(78)을 향하는 상면에 각각 피결합부(235, 235)를 형성하며, 이들 피결합부(235, 235)에 결합하도록 수납 상자(236)의 상하면에 결합부(237, 237)(한쪽 부호 237만 도시함)를 형성하고, 이 수납 상자(236)에, 예컨대 공구를 넣은 공구 케이스(238)를 넣은 상태로,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납 상자(236)의 결합부(237, 237)를 피결합 부(235, 235)에 결합시켜 간극(78)에 부착하거나, 또는 피결합부(235, 235)와 결합부(237, 237)와의 결합을 풀어 수납 상자(236)를 간극(78)으로부터 제거한다. 또한 도면 부호 241은 수납 상자(236)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리드이다.
이와 같이, 레그 실드(16, 17)(부호 16만 도시함)와 하부 커버(81, 82)(부호 81만 도시함)와의 간극(78)의 일부를 이용하여 수납 상자(236)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차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수납 상자(236)에는 공구 케이스(238)로 한정되지 않는, 다른 소품을 수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레그 실드 구조는 자동 이륜차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5-5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6-6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3의 7-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3의 8-8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커버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차체 전측부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실드와 메인 프레임 커버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커버와 보디 커버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전측부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1 작용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2 작용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의 다른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동 이륜차 15: 운전자
15a: 다리 부분 16, 17: 레그 실드
16a, 17a: 개구부 37: 메인 프레임
38: 엔진 211: 메인 프레임 커버

Claims (4)

  1.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메인 프레임이 연장되고, 이 메인 프레임의 후측부에 엔진이 지지되며, 차체 전측부에 운전자의 다리 부분 전방을 덮는 좌우 한 쌍의 레그 실드가 설치된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로서,
    상기 레그 실드는, 상기 헤드 파이브 전방으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걸쳐 차량 전후 방향을 대략 따르는 면을 포함하고,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겹쳐지는 부분에 차폭 방향 안쪽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 상면에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는, 측면에서 봤을 때, 전후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엔진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둘러싸는 메인 프레임 커버는, 상기 레그 실드의 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메인 프레임 커버의 후단부는 레그 실드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KR1020080028350A 2007-05-30 2008-03-27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KR100953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43488 2007-05-30
JPJP-P-2007-00143488 200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983A KR20080105983A (ko) 2008-12-04
KR100953603B1 true KR100953603B1 (ko) 2010-04-20

Family

ID=4010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350A KR100953603B1 (ko) 2007-05-30 2008-03-27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5118523B2 (ko)
KR (1) KR100953603B1 (ko)
CN (1) CN101314373B (ko)
AR (1) AR065961A1 (ko)
BR (1) BRPI0801660B1 (ko)
CO (1) CO5980163A1 (ko)
MY (1) MY151500A (ko)
PE (1) PE20090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6718B2 (ja) * 2010-02-08 2014-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カバー
JP5485087B2 (ja) * 2010-09-09 2014-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レッグシールド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28Y1 (en) * 1983-11-24 1985-06-08 Kim Chang Kon Protection against wind apparatus for auto cycle
JPS6374782A (ja) 1986-09-18 1988-04-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車体カバー
JPH10203454A (ja) 1997-01-21 1998-08-04 Honda Motor Co Ltd 自動二・三輪車のレッグシールド装置
KR20060046732A (ko) * 2004-09-30 2006-05-17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056B2 (ja) * 1987-09-22 1997-04-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マッドガード構造
JP2611292B2 (ja) * 1987-12-25 1997-05-2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ヘッドランプ保護装置
JP3406159B2 (ja) * 1996-08-29 2003-05-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車体カバー構造
JP2001080559A (ja) * 1999-09-13 2001-03-27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フェアリング装置
BR0116720B1 (pt) * 2001-01-09 2010-06-01 estrutura de proteção de perna para motocicleta.
JP2006117230A (ja) * 2004-09-21 2006-05-11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4076530B2 (ja) * 2004-09-29 2008-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車体カバー取付構造
CN1743214A (zh) * 2005-06-20 2006-03-08 向川北 机动车铁路运载系统
JP4549279B2 (ja) * 2005-10-31 2010-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メ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28Y1 (en) * 1983-11-24 1985-06-08 Kim Chang Kon Protection against wind apparatus for auto cycle
JPS6374782A (ja) 1986-09-18 1988-04-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車体カバー
JPH10203454A (ja) 1997-01-21 1998-08-04 Honda Motor Co Ltd 自動二・三輪車のレッグシールド装置
KR20060046732A (ko) * 2004-09-30 2006-05-17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06989A (ja) 2009-01-15
JP5118523B2 (ja) 2013-01-16
KR20080105983A (ko) 2008-12-04
MY151500A (en) 2014-05-30
CN101314373B (zh) 2012-10-10
AR065961A1 (es) 2009-07-15
PE20090132A1 (es) 2009-03-07
BRPI0801660A2 (pt) 2009-01-20
BRPI0801660B1 (pt) 2018-02-06
CN101314373A (zh) 2008-12-03
CO5980163A1 (es) 200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0902B2 (en) Cowling structure of motorcycle
EP2578479B1 (en) Air guiding structure for motorcycles
US5609658A (en) Air cleaner for a vehicle
US7607712B2 (en) Structure of side cover for motorcycle
JP5988639B2 (ja) 鞍乗り型車両の導風構造
EP2055618B1 (en) Motorcycle with a seat rail
US20060054372A1 (en) Vehicle
CN110979530B (zh) 鞍乘型车辆的罩结构
KR100247786B1 (ko)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US7513559B2 (en) Vehicle
KR100953603B1 (ko)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EP2077221B1 (en) Straddle-type vehicle
EP2289787A2 (en) Saddle-ride type vehicle
JP5455509B2 (ja) 鞍乗り型車両のアンダーカウル構造
JP7192003B2 (ja) 鞍乗り型車両の車体カバー構造
JP3999471B2 (ja) 自動二輪車のフロントカウル支持構造
EP3628577B1 (en) Saddled vehicle
KR101003047B1 (ko)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US7398746B2 (en) Vehicle
JP2022146065A (ja) カバー構造
CN217945384U (zh) 跨骑式车辆
US20230257067A1 (en) Recreational vehicle toe stop, toe stop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ing a recreational vehicle
JP6766125B2 (ja) 鞍乗り型車両のタンクカバー構造
JP2008254722A (ja) 自動二輪車の後部車体カバー構造
JP5386021B2 (ja) 鞍乗型車両の変速機冷却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