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753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753B1
KR100951753B1 KR1020077017701A KR20077017701A KR100951753B1 KR 100951753 B1 KR100951753 B1 KR 100951753B1 KR 1020077017701 A KR1020077017701 A KR 1020077017701A KR 20077017701 A KR20077017701 A KR 20077017701A KR 100951753 B1 KR100951753 B1 KR 10095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ar
deceleration
braking for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6528A (ko
Inventor
켄-이치 오카모토
사토루 타카하시
타카하루 우에다
마스노리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이 정지된다.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작동 지령에 따라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부와; 브레이크 제어부로부터의 감속도 저감 지령에 따라 전류량을 조정하면서 브레이크 개방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류 조정부를 가지고 있다. 전류 조정부는 전력 차단부에 의해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비상 제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비상 제동시에 감속 지령값 및 속도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소정값으로 되도록 전자(電磁)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제어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7-157211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 및 제동 제어 장치에서는 기본적인 비상 제동 동작과 제동력의 제어 양쪽이 1개의 제동력 제어 유닛에 의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제동력 제어를 위한 연산에 시간이 걸려 제동력의 발생이 늦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비상 제동시의 감속도를 억제하면서, 비상 제동의 동작을 보다 확실하고 신속하게 개시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및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브레이크 장치는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력 발생부와; 제동력 발생부에 저항하여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개방 코일과; 브레이크 작동 지령에 따라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부와;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를 감시하고, 감속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면 감속도 저감 지령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제어부와; 감속도 저감 지령에 따라 전류량을 조정하면서 브레이크 개방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류 조정부를 가지고, 전류 조정부는 전력 차단부에 의해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는 메인 로프(3)에 의해 승강로내에 매달려 있고, 권상기(卷上機)(4)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한다.
권상기(4)는 메인 로프(3)가 감겨진 구동 쉬브(sheave)(5),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키는 모터(6),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에 수반하여 구동 쉬브(5)와 일체로 회전되는 브레이크 회전체로서의 브레이크 드럼(drum)(7), 및 구동 쉬브(5)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 본체(9)를 가지고 있다. 모터(6)의 구동은 운전 제어부로서의 구동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된다.
브레이크부 본체(9)는 브레이크 드럼(7)에 접리(接離)되는 브레이크 슈(shoe)(15), 제1의 브레이크 슈(15)에 탑재된 아마추어(armature)(16), 브레이크 슈(15)를 브레이크 드럼(7)에 프레스(press)하는 제동 스프링(17), 및 아마추어(16)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동 스프링(17)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15)를 브레이크 드럼(7)으로부터 개리(開離)시키는 전자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개방 코일(18)을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개방 코일(18)과 전원(19) 사이에는 전력 차단부로서의 브레이크 스위치(22)가 접속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개방 코일(18)과 전원(19) 사이에는 전류 조정부로서의 조정 스위치(22a)가 브레이크 스위치(22)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스위치(22)는 브레이크 작동 지령(통상의 제동 지령 및 비상 제동 지령을 포함함)의 유무에 따라 직접 개폐된다. 즉, 브레이크 작동 지령이 발생되면 브레이크 스위치(22)가 개방된다. 또, 브레이크 작동 지령이 해제, 즉 브레이크 개방 지령이 발생되면 브레이크 스위치(22)가 닫힌다. 브레이크 작동 지령 및 브레이크 개방 지령은 구동 제어부(1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다. 브레이크 스위치(22)로서는 통상의 개폐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조정 스위치(22a)는 통상시에 개방되어 있다. 즉, 조정 스위치(22a)는 엘리베이터 칸(1)의 감속도(부(負)인 가속도의 절대값)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 이외는 개방되어 있다. 또, 조정 스위치(22a)로서는 초핑(chopping) 가능한 개폐형 스위치, 또는 저항값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슬라이드형 스위치 등, 브레이크 개방 코일(18)로의 통전량을 조정 가능한 스위치가 이용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형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드형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위치를 온/오프(ON/OFF)하는 대신에, 스위치를 슬라이드시켜 저항값을 변화시키게 된다.
조정 스위치(22a)가 개방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스위치(22)가 개방됨으로써, 브레이크 개방 코일(18)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고, 브레이크 슈(15)가 제동 스프링(17)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7)에 프레스된다. 또, 브레이크 스위치(22)가 닫힘으로써, 브레이크 개방 코일(18)에 전력이 공급되고, 브레이크 슈(15)가 브레이크 드럼(7)으로부터 개리된다.
조정 스위치(22a)의 온/오프는 브레이크 제어부(23)에 의해 제어된다. 브레이크 제어부(23)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및 RAM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제어부(23)는 브레이크 작동 지령의 유무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중의 감속도를 감시하고, 감속도가 과대로 되거나 과소로 되지 않도록, 브레이크 개방 코일(18)에 발생하는 전자력, 즉 조정 스위치(22a)의 개폐 상태를 제어한다. 또, 브레이크 제어부(23)는 구동 제어부(10)와는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 칸(1)의 감속도를 검출하여 감시한다. 즉, 감속도를 측정 또는 추정하기 위한 감속도 추정 정보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가 아니라, 센서 등으로부터 브레이크 제어부(23)에 직접 입력된다.
감속도 추정 정보로서는 모터(6)의 회전을 검출하는 권상기 회전 검출기, 조속기(調速機)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 메인 로프(3)가 감겨진 리턴 풀리(return pulley)의 회전을 검출하는 리턴 풀리 회전 검출기, 엘리베이터 칸(1)내의 부하를 검출하는 저울 장치, 엘리베이터 칸(1)에 탑재된 속도계 또는 가속도계, 또는 구동 쉬브(5)의 축 토크(torque)를 검출하는 축 토크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회전 검출기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로서는 인코더 또는 리졸버(resolver)를 이용할 수 있다.
브레이크 제어부(23)는 엘리베이터 칸(1)의 감속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면 감속도 저감 지령을 발생한다. 조정 스위치(22a)는 감속도 저감 지령에 따라 전류량을 조정하면서 브레이크 개방 코일(18)에 전력을 공급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감속도를 저감시킨다. 이 때, 조정 스위치(22a)는 브레이크 스위치(22)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스위치(22)에 의해 브레이크 개방 코일(18) 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브레이크 개방 코일(1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1의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부 본체(9), 브레이크 스위치(22), 조정 스위치(22a) 및 브레이크 제어부(23)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스위치(22a)를 브레이크 스위치(22)에 대해 병렬의 회로에 배치하고, 브레이크 스위치(22)는 브레이크 작동 지령에 따라 즉석으로 개방되도록 하였으므로, 브레이크 작동 지령의 발생시에, 브레이크부 본체(9)를 동작의 지연없이 즉시 제동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브레이크 제어부(23)가 고장난 경우에도, 브레이크 제어부(23)에 의한 감속도 제어를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부(23)는 구동 제어부(10)와는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 칸(1)의 감속도를 검출하여 감시하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원(19)과 브레이크 개방 코일(18) 사이에는 조정 스위치(22a)에 직렬이면서 브레이크 스위치(22)에 병렬로 전류 리미터(27)가 접속되어 있다. 전류 리미터(27)는 조정 스위치(22a)를 통과하여 브레이크 개방 코일(18)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한다. 전류 리미터(27)로서는 예를 들어 저항기가 이용되고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전류 리미터(27)를 이용함으로써, 브레이 크 제어부(23)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브레이크 개방 코일(18)로의 통전량의 상한이 설정되고, 브레이크 개방 코일(18)에는 전원 전압의 일부밖에 인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제어부(23)에 의한 브레이크부 본체(9)의 제어량을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브레이크 개방 코일(18)과 전원(19) 사이에는 조정 스위치(22a) 및 전류 리미터(27)에 직렬이면서 브레이크 스위치(22)에 병렬로 강제 제동 스위치(26)가 접속되어 있다.
강제 제동 스위치(26)는 통상 닫혀 있다. 또, 강제 제동 스위치(26)는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개방된다. 브레이크 스위치(22)가 개방된 상태에서 강제 제동 스위치(26)가 개방됨으로써, 브레이크 제어부(23)에 의한 제어는 무효화되고, 브레이크부 본체(9)에는 강제적으로 모든 제동력이 발생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개방 코일(18)과 전원(19) 사이에는 강제 제동 스위치(26)를 설치하였으므로, 필요에 따라 브레이크 제어부(23)에 의한 제어를 무효화하고, 브레이크부 본체(9)에 즉석으로 제동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강제 제동 스위치(26)가 모든 회로의 상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강제 제동 스위치(26)는 브레이크 스위치(22), 조정 스위치(22a) 및 전류 리미터(27)를 포함하는 회로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필요에 따라 브레이크 제어부(23)에 의한 제어도 브레이크 스위치(22)의 상태도 무효화하고, 브레이크부 본체(9)에 즉석으로 제동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제어부(23)를 컴퓨터로 구성하였으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전기 회로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장치를 권상기(4)에 설치하였으나 다른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즉, 브레이크 장치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나, 메인 로프를 잡고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로프 브레이크 등이어도 된다.
또한, 브레이크 회전체는 브레이크 드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브레이크 디스크(disc)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회전체의 외측에 브레이크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브레이크 회전체의 내측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브레이크 회전체는 구동 쉬브와 일체이어도 된다.
또한, 전류 조정부는 전력 차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계통과는 다른 계통에 설치되고, 전력 차단부 상태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개방 코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면 되며, 예를 들어 전력 차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전원과는 다른 전원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브레이크 장치만을 나타냈으나, 1개의 브레이크 회전체에 대해 복수의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제어부(23)가 브레이크 작동 지령의 유무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칸(1)의 감속도를 감시하였으나, 브레이크 제어부에 브레이크 작동 지령을 입력하여, 브레이크 작동 지령이 발생했을 때에만 감속도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제동시의 감속도를 억제하면서, 비상 제동의 동작을 보다 확실하고 신속하게 개시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력 발생부와,
    상기 제동력 발생부에 저항하여 상기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개방 코일과,
    브레이크 작동 지령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를 감시하고, 감속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면 감속도 저감 지령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제어부와,
    상기 감속도 저감 지령에 따라, 전류량을 조정하면서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류 조정부를 가지고,
    상기 전류 조정부는 상기 전력 차단부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전력 차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과 전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브레이크 작동 지령에 따라 개방되는 브레이크 스위치이고,
    상기 전류 조정부는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과 전원 사이에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조정 스위치이고,
    상기 조정 스위치는 통상 개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운전 제어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전류 조정부를 통과하여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리미터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력 발생부와,
    상기 제동력 발생부에 저항하여 상기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개방 코일과,
    브레이크 작동 지령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를 감시하고, 감속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면 감속도 저감 지령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제어부와,
    상기 감속도 저감 지령에 따라, 전류량을 조정하면서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류 조정부를 가지고,
    상기 전류 조정부는 상기 전력 차단부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상기 브레이크 개방 코일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전류 조정부에 직렬로 접속되고,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에 의한 제동력을 무효화하여 모든 제동력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강제 제동 스위치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17701A 2006-03-17 2006-03-1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51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5408 WO2007108068A1 (ja) 2006-03-17 2006-03-17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528A KR20080026528A (ko) 2008-03-25
KR100951753B1 true KR100951753B1 (ko) 2010-04-08

Family

ID=3852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701A KR100951753B1 (ko) 2006-03-17 2006-03-1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770698B2 (ko)
EP (1) EP1997763B1 (ko)
JP (1) JP5053074B2 (ko)
KR (1) KR100951753B1 (ko)
CN (1) CN100595122C (ko)
WO (1) WO2007108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38B1 (ko) * 2006-03-02 2010-03-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5053074B2 (ja) * 2006-03-17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987074B2 (ja) * 2007-04-26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980423B2 (ja) * 2007-06-14 2012-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2246285B1 (en) * 2008-02-28 2018-06-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CN102007062B (zh) * 2008-04-15 2013-08-2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5653758B2 (ja) 2008-12-05 2015-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10087235A1 (en) * 2009-01-30 2010-08-05 Hitachi Koki Co., Ltd. Power tool
CN102378731B (zh) * 2009-05-27 2014-01-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FI20105033A (fi) 2010-01-18 2011-07-19 Kone Corp Menetelmä hissikorin liikkeen valvomiseksi sekä hissijärjestelmä
US9637349B2 (en) * 2010-11-04 2017-05-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e including coaxially aligned first and second brake members
EP2670695B1 (en) 2011-02-04 2022-09-07 Otis Elevator Company Stop sequencing for braking device
ES2549204T3 (es) * 2011-08-16 2015-10-26 Inventio Ag Activación de un freno de ascensor en una situación de emergencia
FI123506B (fi) * 2012-05-31 2013-06-14 Kone Corp Hissin käyttölaite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CN106687403B (zh) * 2014-09-12 2020-07-28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制动器控制系统
WO2016085757A1 (en) 2014-11-24 2016-06-02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EP3317215A1 (en) 2015-07-01 2018-05-09 Otis Elevator Company Monitored braking blocks
US10919730B2 (en) 2016-03-18 2021-02-16 Otis Elevator Company Management of mutiple coil brake for elevator system
US20220242692A1 (en) * 2021-02-01 2022-08-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witch monitor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377A (ja) * 1994-03-04 1995-09-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029A (en) * 1974-05-10 1975-11-04 Armor Elevator Co Inc Transportation system with brake control and combined brake and field power supply
US4307793A (en) * 1979-12-28 1981-12-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785779A (en) * 1980-11-12 1982-05-28 Hitachi Ltd Preventive circuit for free-run of elevator
JPS61200874A (ja) 1985-02-28 1986-09-05 Mitsui Kinzoku Eng Kk 鋼製小物類の表面処理装置
JPS61200874U (ko) * 1985-06-06 1986-12-16
JPH0764493B2 (ja) * 1988-06-27 1995-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33874A (ja) 1989-05-29 1991-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US5407028A (en) * 1993-04-28 1995-04-18 Otis Elevator Company Tested and redundant elevator emergency terminal stopping capability
JPH07157211A (ja) 1993-12-03 1995-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JPH0891753A (ja) 1994-09-22 1996-04-09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スカレータの制動装置
JPH09240936A (ja) 1996-03-06 1997-09-1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6173814B1 (en) *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SG87902A1 (en) * 1999-10-01 2002-04-16 Inventio Ag Monitoring device for drive equipment for lifts
CN1308213C (zh) 2001-07-04 2007-04-04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防止电梯轿厢出现不允许的高的运行速度的方法
JP4553535B2 (ja) * 2001-09-28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267335B2 (ja) 2003-01-30 2009-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動制御装置
FI20031647A0 (fi) * 2003-11-12 2003-11-12 Kone Corp Hissin jarrun ohjauspiiri
JP4456945B2 (ja) * 2004-06-25 2010-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6298645A (ja) * 2005-04-21 2006-11-02 Inventio Ag エレベータケージの速度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検出システム
CN101312898B (zh) * 2005-11-25 2012-03-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紧急停止系统
JP5037139B2 (ja) * 2006-02-01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0949238B1 (ko) * 2006-03-02 2010-03-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5053074B2 (ja) * 2006-03-17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1223097B (zh) * 2006-03-20 2012-08-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970257B2 (ja) * 2006-07-27 2012-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955556B2 (ja) * 2006-07-27 2012-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214239B2 (ja) * 2006-08-03 2013-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377A (ja) * 1994-03-04 1995-09-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4140A (zh) 2008-02-13
US20100025162A1 (en) 2010-02-04
CN100595122C (zh) 2010-03-24
US7891466B2 (en) 2011-02-22
EP1997763A1 (en) 2008-12-03
US7770698B2 (en) 2010-08-10
US20100044159A1 (en) 2010-02-25
WO2007108068A1 (ja) 2007-09-27
JPWO2007108068A1 (ja) 2009-07-30
EP1997763A4 (en) 2013-07-24
KR20080026528A (ko) 2008-03-25
JP5053074B2 (ja) 2012-10-17
EP1997763B1 (en)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75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3143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492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629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7388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149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8056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7060733A1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停止システム
WO200704612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00833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0122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