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207B1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207B1
KR100951207B1 KR1020087004819A KR20087004819A KR100951207B1 KR 100951207 B1 KR100951207 B1 KR 100951207B1 KR 1020087004819 A KR1020087004819 A KR 1020087004819A KR 20087004819 A KR20087004819 A KR 20087004819A KR 100951207 B1 KR100951207 B1 KR 10095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filter
por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983A (ko
Inventor
요시까즈 야마모또
마사히로 니시지마
다쯔히꼬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04Air-treatment devices for ovens, e.g. regulating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물탱크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96)에, 공급된 물을 일단 받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물받이부(97)를 설치하고, 물받이부(97)에는 메쉬 형상을 이루는 필터(93a, 93b)를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배수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증기 발생 장치의 포트로부터의 배수에 포함되어 있는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필터(93a, 93b)로 여과함으로써, 특별한 정화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포트로부터의 배수를 증기 발생용의 물로서 재사용한다. 따라서, 특별한 정화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물탱크, 덮개부, 물받이부, 정화 시스템, 필터

Description

가열 조리기{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증기를 이용하여 식품의 가열 조리를 행하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증기를 이용하여 식품 등의 피가열물의 가열 조리를 행하는 가열 조리기로서, 일본 특개평10-110903호 공보(특허 문헌1)에 개시된 스팀 조리기가 있다. 이 스팀 조리기에서는, 런져 펌프가 시동되면, 이 런져 펌프에 의해 액체 용기 내의 물이 증기 발생 수단의 유입구로부터 발열체로 적하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가 물에 젖은 상태로 되면, 여자 코일에 의해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어 적하된 물이 가열되고, 증기가 되어 유출구로부터 유출하여 조리실로 보내진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에 있어서, 증기에 의해 피가열물의 가열 조리가 행해진다. 한편, 상기 증기 발생 수단 내에서 증발하지 않은 물은, 드레인 파이프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1에 개시된 스팀 조리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액체 용기 내의 물은, 상기 증기 발생 수단에 공급하기 때문에 감소한다. 그 때문에, 수위 검지 회로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 내의 물이 비어 있는 것을 검지하고, 상기 증기 발생 수단을 정지하거나, 상기 액체 용기로의 급수 를 재촉하거나 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 상기 증기 발생 수단 내에서 증발하지 않은 물은, 드레인 파이프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액체 용기 내의 물은 감소할 뿐이며, 그 때문에 상기 증기 발생 수단의 정지나 상기 액체 용기로의 급수를 빈번하게 행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상기 증기 발생 수단 내에서 증발하지 않은 물을 재이용하면, 상기 액체 용기 내의 물이 감소하는 정도를 작게 하여, 상기 증기 발생 수단의 정지나 상기 액체 용기로의 급수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증기 발생 수단 내에서 증발하지 않은 물에는, 스케일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액체 용기와는 상이한 탱크로 일단 받고, 이 탱크에서 받은 물을 정화 시스템에 통과시킬 필요가 있어, 장치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증기용의 물을 담는 물탱크로의 급수 횟수를 특별한 정화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저감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 발생 장치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과,
상기 증기 발생 장치에 공급되어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 발생 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포트와, 상기 포트 내에 배치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는, 천장면에 개구를 갖는 탱크 본체와, 이 탱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 내의 물을 상기 물탱크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관으로부터의 물이 공급되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으로부터의 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 발생 장치의 포트 내의 물은, 물탱크에서의 덮개부의 오목부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불순물이 제거되어 상기 물탱크의 탱크 본체로 복귀된다. 따라서, 스케일 등의 불순물이 제거된 상기 포트로부터의 배수를, 그대로 증기 발생용의 물로서 재이용할 수 있어, 특별한 정화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에 대하여 급수를 행할 경우에는, 상기 탱크 본체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를 떼어냄으로써, 상기 개구로부터 작업성 좋게 급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관으로부터의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를 갖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오목부를 덮는 다른 덮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덮개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는, 급수구를 갖는 덮개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덮힌다. 따라서, 공기 내의 진애 등이 상기 오목부에 들어와, 상기 필터가 불필요하게 눈막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상기 필터는, 상기 덮개부의 오목부에서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탱크 본체 내에서의 액체 표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만수가 될 때까지 상기 탱크 본체에 급수함으로써 상기 필터가 젖게 되고, 상기 급수구로부터의 물은 상기 젖은 필터 위에서 표면 장력이 저하되어, 상기 필터를 조속히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상기 필터에는, 당해 필터의 적어도 저면에 접촉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필터의 저면에 접촉하여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가 마른 상태에서도 상기 필터의 하측으로 물이 지나는 것이 있기 때문에 물의 표면 장력이 저하된다. 그 결과, 상기 급수구로부터의 물은 상기 리브를 타고 조속히 상기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상기 필터는, 상기 리브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필터는 상기 리브와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는 상기 리브에 의해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는 상기 리브에 의해 보강되어 강해지므로, 잘 부서지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필터가 설치되는 제1 오목부와, 이 제1 오목부보다도 얕은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는, 상기 제2 오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급수구는, 상기 필터가 설치된 제1 오목부보다도 얕은 제2 오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를 취출할 때에, 상기 탱크 본체 내의 물이 흔들려 파도가 발생해도, 이 파도가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와의 단차에 의해 막혀 상기 급수구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에 이어지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급수구로부터 공급된 물에는, 상기 제2 오목부로부터 상기 제1 오목부를 향하여 경사부를 따라 흐름으로써 동압(動壓)이 발생하고, 그 동압이 상기 필터에 가해져 상기 필터가 젖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급수구로부터의 물을, 조속히 상기 필터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상기 제1 오목부가 상기 제2 오목부보다도 상기 덮개부의 중앙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급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오목부쪽이 상기 제1 오목부보다도 상기 덮개부의 모서리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구에 상기 포트로부터의 물을 공급하는 배출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 발생 장치의 포트 내의 물을, 물탱크에서의 덮개부의 오목부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상기 물탱크의 탱크 본체에 복귀하도록 했으므로, 스케일 등의 불순물이 제거된 상기 포트로부터의 배수를, 그대로 증기 발생용의 물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정화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에 대하여 급수를 행할 경우에는, 상기 탱크 본체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를 떼어냄으로써, 상기 개구로부터 작업성 좋게 급수를 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의 도어를 연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5는 급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a는 도3에서의 물탱크의 평면도이다.
도6b는 도3에서의 물탱크의 정면도이다.
도6c는 도3에서의 물탱크의 측면도이다.
도6d는 도6a에서의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7a는 도6a에서의 덮개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덮개부의 평면도이다.
도7b는 상기 덮개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덮개부의 정면도이다.
도7c는 상기 덮개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덮개부의 저면도이다.
도7d는 도7a에의 B-B'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8은 도7a에서의 C-C' 방향에서 본 단면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가열 조리기(1)는, 직방체 형상의 캐비닛(10)의 정면의 상부에 조작 패널(11)을 설치하고, 캐비닛(10)의 정면에서의 조작 패널(11)의 하측에는, 하단측의 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12)를 설치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2)의 상부에는 핸들(13)이 설치되고, 도어(12)에는 내열 유리로 만든 창(14)이 끼워져 있다.
도2는, 상기 가열 조리기(1)의 도어(12)를 연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캐비닛(10) 내에, 직방체 형상의 가열실(20)이 형성되어 있다. 가열실(20)은, 도어(12)에 면하는 정면측에 개구부(20a)를 갖고, 가열실(20)의 측면, 저면 및 천장면이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12)는, 가열실(20)에 면하는 측이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열실(20)의 주위 및 도어(12)의 내측에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재치되어 있어, 가열실(20) 내와 외부가 단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실(20)의 저면에는, 스테인리스로 만든 받이 접시(21)가 설치되고, 받이 접시(21) 상에는, 피가열물을 재치하기 위한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만든 랙(24)(도3 참조)이 설치된다. 또한, 가열실(20)의 양 측면 하부에는,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측면 증기 분출구(22)(도2에서는 한 쪽만 보임)가 형성되어 있다.
도3은, 상기 가열 조리기(1)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가열 조리기(1)는, 가열실(20)과, 증기용의 물을 담는 물탱크(30)와, 물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을 증발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장치(40)와, 증기 발생 장치(40)로부터의 증기를 가열하는 증기 승온 장치(50)와, 증기 발생 장치(40)나 증기 승온 장치(5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열실(20) 내에 설치된 받이 접시(21) 상에는 격자 형상의 랙(24)이 재치되고, 그 랙(24)의 대략 중앙에 피가열물(90)이 놓인다.
또한, 상기 물탱크(30)의 하측에 설치된 접속부(30a)는, 제1 급수 파이프(31)의 일단에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수납구(31a)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급수 파이프(31)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급수 파이프(32)의 단부에는 펌프(35)의 흡입측이 접속되고, 그 펌프(35)의 토출측에는 제3 급수 파이프(3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급수 파이프(31)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위 센서용 파이프(38)의 상단에는, 물탱크용 수위 센서(3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급수 파이프(31)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배기 덕트(6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급수 파이프(33)는, 수직으로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굴곡하는 L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3 급수 파이프(33)의 타단에는 보조 탱크(3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조 탱크(39)의 하단에는 제4 급수 파이프(34)의 일단이 접속되고, 그 제4 급수 파이프(34)의 타단에는 증기 발생 장치(40)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기 발생 장치(40)에서의 제4 급수 파이프(34)의 접속점보다도 하측에는, 배수 밸브(7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 밸브(70)의 타단에는 바이패스관(92)의 일단이 접속되고, 바이패스 관(92)의 타단은 물탱크(30)의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보조 탱크(39)의 상부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와 배기 덕트(65)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30)가 제1 급수 파이프(31)의 수납구(31a)에 접속되면, 물탱크(30) 내의 물은, 물탱크(30)와 동일 수위가 될 때까지 대기 개방용 파이프(37) 내로 상승한다. 그 때에, 물탱크용 수위 센서(36)에 연결되는 수위 센서용 파이프(38)는 선단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수위는 오르지 않지만, 물탱크(30)의 수위에 따라 수위 센서용 파이프(38)의 밀폐된 공간의 압력은 대기압으로부터 상승한다. 이 압력 변화를, 물탱크용 수위 센서(36) 내의 압력 검출 소자(도시하지 않음)로 검출함으로써, 물탱크(30) 내의 수위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펌프(35)가 정지 중일 때의 수위 측정에서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는 불필요하지만, 펌프(35)의 흡인 압력이 직접 상기 압력 검출 소자에 작용하여 물탱크(30)의 수위 검출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단을 갖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는, 하측에 제4 급수 파이프(34)의 타단이 접속된 포트(41)와, 포트(41) 내의 저면 근방에 배치된 증기 발생 히터(42)와, 포트(41) 내의 증기 발생 히터(42)의 상측 근방에 배치된 수위 센서(43)와, 포트(41)의 상측에 설치된 증기 흡인 이젝터(44)를 갖고 있다. 또한, 가열실(2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25)의 외측에는, 팬 케이싱(26)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팬 케이싱(26)에 설치된 송풍 팬(28)에 의해, 가열실(20) 내의 증기는, 흡입구(25)로부터 빨아들여져, 제1 파이프(61) 및 제2 파이프(62)를 통하여 증기 발생 장치(40)의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입구측으로 보내진다. 제1 파이프(61)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팬 케이싱(2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파이프(62)는,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일단이 제1 파이프(61)의 타단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이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이너 노즐(45)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증기 흡인 이젝터(44)는, 이너 노즐(45)의 외측을 감싸는 아우터 노즐(4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너 노즐(45)의 토출측이 포트(4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아우터 노즐(46)의 토출측에는 제3 파이프(63)의 일단이 접속되고, 그 제3 파이프(63)의 타단에는 증기 승온 장치(5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팬 케이싱(26), 제1 파이프(61), 제2 파이프(62), 증기 흡인 이젝터(44), 제3 파이프(63) 및 증기 승온 장치(50)에 의해 외부 순환로(6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열실(20)의 측면의 하측에 형성된 방출구(27)에는 방출 통로(64)의 일단이 접속되고, 방출 통로(64)의 타단에는 배기 덕트(6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기 덕트(65)의 타단에는 배기구(66)가 형성되어 있다. 증기 방출 통로(64)의 배기 덕트(65)측에는, 라디에이터(69)가 외부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순환로(60)를 형성하는 제1 파이프(61), 제2 파이프(62)의 접속부에는, 배기 통로(67)를 통하여 배기 덕트(6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기 통로(67)에 있어서의 제1, 제2 파이프(61, 62)의 접속측에는, 배기 통로(67)를 개폐하는 댐퍼(6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는, 가열실(20)의 천장측이며 또한 대략 중앙에, 개구를 하측으로 하여 배치된 접시형 케이스(51)와, 이 접시형 케이스(51) 내에 배치된 증기 가열 히터(52)를 갖고 있다. 접시형 케이스(51)의 저면은, 가열실(20)의 천장면에 설치된 금속으로 만든 천장 패널(54)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 패널(54)에는, 복수의 천장 증기 분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천장 패널(54)은, 상하 양면이 도장 등에 의해 암색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또한, 사용을 거듭함으로써 암색으로 변색되는 금속 소재나 암색의 세라믹 성형품에 의해, 천장 패널(54)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는, 가열실(20)의 상부에, 좌우 양측을 향하 여 연장되는 상기 과열 증기 공급로로서의 증기 공급 통로(23)(도3에서는 한 쪽만이 도시되어 있음)의 일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 공급 통로(23)는 가열실(20)의 양 측면을 따라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타단에는, 상기 가열실(20)의 양 측면 하측에 형성된 측면 증기 분출구(22)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가열 조리기(1)의 제어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80)는, 마이크로컴퓨터 및 입출력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팬(28)과, 증기 가열 히터(52)와, 댐퍼(68)와, 배수 밸브(70)와, 증기 발생 히터(42)와, 조작 패널(11)과, 물탱크용 수위 센서(36)와, 수위 센서(43)와, 가열실(20)(도3에 도시함)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81)와, 가열실(20) 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센서(82)와, 펌프(3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물탱크용 수위 센서(36), 수위 센서(43), 온도 센서(81) 및 습도 센서(8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송풍 팬(28), 증기 가열 히터(52), 댐퍼(68), 배수 밸브(70), 증기 발생 히터(42), 조작 패널(11) 및 펌프(35)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가열 조리기(1)의 기본 동작에 대해서, 도3 및 도4에 따라 설명한다. 조작 패널(11)의 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눌러지면 전원이 온되어, 조작 패널(11)의 조작에 의해 가열 조리의 운전이 개시된다. 그렇게 하면, 우선, 제어 장치(80)는 배수 밸브(70)를 폐쇄하고, 댐퍼(68)에 의해 배기 통로(67)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35)의 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펌프(35)에 의해, 물탱크(30)로부터 증기 발생 장치(40)의 포트(41) 내로 제1 내지 제4 급수 파이 프(31 내지 34)를 통하여 급수된다. 그 후에 포트(41) 내의 수위가 소정 수위에 달한 것을 수위 센서(43)가 검출하면, 펌프(35)를 정지하여 급수를 멈춘다.
다음에 상기 증기 발생 히터(42)에 통전하여, 포트(41) 내에 저장된 소정량의 물을 증기 발생 히터(42)에 의해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 발생 히터(42)의 통전과 동시에, 또는 포트(41) 내의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달하면, 송풍 팬(28)을 온하는 동시에, 증기 승온 장치(50)의 증기 가열 히터(52)에 통전한다. 그렇게 하면, 송풍 팬(28)은, 가열실(20) 내의 공기(증기를 포함함)를 흡입구(25)로부터 빨아들여, 외부 순환로(60)로 공기(증기를 포함함)를 송출한다. 그 때에, 송풍 팬(28)에 원심 팬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프로펠라 팬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고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 팬(28)에 이용하는 원심 팬을 직류 모터로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순환 기류의 유속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의 포트(41) 내의 물이 비등하면 포화 증기가 발생하고, 발생한 포화 증기는,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개소에서 외부 순환로(60)를 통하는 순환 기류에 합류된다. 그리고, 증기 흡인 이젝터(44)로부터 나오는 증기는, 제3 파이프(63)를 통하여 고속으로 증기 승온 장치(5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에 유입된 증기는, 증기 가열 히터(52)에 의해 가열되어, 대략 300℃(조리 내용에 따라 상이함)의 과열 증기로 된다. 이 과열 증기의 일부는, 하측의 천장 패널(54)에 형성된 복수의 천장 증기 분출구(55)로부터 가열실(20) 내의 하방을 향하여 분출된다. 또한, 과열 증기의 다른 일부는, 증기 승온 장치(5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증기 공급 통로(23)를 통하여, 가열실(20)의 양 측면의 측면 증기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가열실(20)의 천장측으로부터 분출한 과열 증기가 중앙의 피가열물(90)측을 향하여 급격하게 공급되는 동시에, 가열실(20)의 좌우의 측면측으로부터 분출된 과열 증기는, 받이 접시(21)에 충돌한 후, 피가열물(90)의 하방으로부터 피가열물(90)을 둘러싸듯이 상승하면서 공급된다. 그 결과, 가열실(20) 내에서, 중앙부에서는 내리 불고, 그 외측에서는 상승하는 형태의 대류가 생긴다. 그리고, 대류하는 증기는, 순차적으로 흡입구(25)에 빨아들여져, 외부 순환로(60)를 통하여 다시 가열실(20) 내로 복귀된다는 순환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가열실(20) 내에서 과열 증기의 대류를 형성함으로써, 가열실(20) 내의 온도·습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증기 승온 장치(50)로부터의 과열 증기를 천장 증기 분출구(55)와 측면 분출구(22)로부터 분출하고, 랙(24) 상에 재치된 피가열물(90)에 효율적으로 충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과열 증기의 충돌에 의해 피가열물(90)이 가열된다. 그 경우, 피가열물(90)의 표면에 접촉된 과열 증기는, 피가열물(90)의 표면에서 결로할 때에 잠열을 방출함으로써도 피가열물(90)을 가열한다. 이에 의해, 과열 증기의 대량의 열을 확실하면서도 신속하게 피가열물(90) 전체면에 균등하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불균일하지 않게 잘 만들어진 가열 조리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 조리 운전 시에 있어서, 시간이 경과하면, 가열실(20) 내의 증기량이 증가하여, 양적으로 잉여된 만큼의 증기는, 방출구(27)로부터 방출 통 로(64) 및 배기 덕트(65)를 통하여 배기구(66)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그 때에, 방출 통로(64)에 설치한 라디에이터(69)에 의해 방출 통로(64)를 통과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결로시킴으로써, 외부에 증기가 그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69)에 의해 방출 통로(64) 내에서 결로된 물은, 방출 통로(64) 내를 흘러 내려 받이 접시(21)로 유도되어, 조리에 의해 발생한 물과 함께 조리 종료 후에 처리된다.
조리 종료 후, 상기 제어 장치(80)에 의해 조작 패널(11)에 조리 종료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또한 조작 패널(11)에 설치된 버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호음을 울린다. 이들 메시지나 버저에 의해 조리 종료를 알게 된 사용자가 도어(12)를 열면, 제어 장치(80)는,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어(12)가 열린 것을 검지하고, 배기 통로(67)의 댐퍼(68)를 순간적으로 연다. 그렇게 하면, 외부 순환로(60)의 제1 파이프(61)가 배기 통로(67)를 통하여 배기 덕트(65)에 연통되어, 가열실(20) 내의 증기는, 송풍 팬(28)에 의해, 흡입구(25), 제1 파이프(61), 배기 통로(67) 및 배기 덕트(65)를 통하여 배기구(66)로부터 배출된다. 이 댐퍼 동작은, 조리 중에 사용자가 도어(12)를 열어도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증기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피가열물(90)을 가열실(20) 내로부터 취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5는, 상기 물탱크(30)로부터 보조 탱크(39)를 통하여 증기 발생 장치(40)의 포트(41)에 이르는 급수 장치를 도시한다. 도3에 도시하는 기본 구성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보조 탱크(39)로부터 오버플로한 물은, 오버플로 튜브(91)에 의해 대기 개방용 파이프(37)로 복귀하게 되어 있다. 또한, 물탱크(30) 내의 물은, 보조 탱크(39)를 통하여 포트(41)로 공급된다. 또한, 배수 밸브(70)로부터 배출되는 포트(41) 내의 물을, 바이패스관(92)에 의해, 필터(93)를 통하여 물탱크(30)로 복귀시키게 되어 있다.
도6a 내지 도6d는, 상기 물탱크(30)의 3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6a는 평면도이고, 도6b는 정면도이며, 도6c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6d는, 도6a에서의 A-A'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물탱크(30)는, 탱크 본체(95)와, 탱크 본체(95)에 있어서의 천장면의 개구를 막는 덮개부(96)로 개략 구성된다.
상기 탱크 본체(95)는, 세로로 긴 직방체를 이루고 있으며, 천장면 전체에 개구를 갖는 동시에, 일단면의 하부에는, 제1 급수 파이프(31)의 일단에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수납구(31a)에 접속 가능한 접속부(30a)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96)는 탱크 본체(95)에 있어서의 천장면 전체의 개구를 덮는 것이며, 탱크 본체(95)의 접속부(30a)와 동일한 측에, 바이패스관(92)에 의해 공급된 물을 일단 받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물받이부(9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받이부(97)를 구성하는 오목부는, 덮개 부재(98)로 덮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98)에는, 바이패스관(92)의 상기 타단이 삽입 또는 접속되는 원형의 급수구(9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6d는, 급수구(99)의 중심을 지나는 종단면도이다.
도7a 내지 도7d는, 상기 덮개 부재(98)를 제거한 상태의 덮개부(96)의 3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7a는 평면도이고, 도7b는 정면도이며, 도7c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7d는, 도7a에서의 B-B'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8은 도7a에서의 C-C' 방향에서 본 단면 확대도이다.
도7a 내지 도7d 및 도8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97)는 급수구(99)의 하부에 위치하고 깊이가 얕은 상단부(100)와, 상단부(100)보다도 깊은 하단부(101)와, 상단부(100)와 하단부(101)로 이어지는 경사부(102)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하단부(101)에서의 덮개 부재(98)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사각형의 2개의 개구 내에 메쉬 형상을 이루는 필터(93a, 9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필터(93a, 93b)는, 나일론 등의 장섬유를 세로·가로로 짜넣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부(97)의 양 측벽에서의 필터(93a, 93b)의 위치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단(103a, 104a)이 상단부(100)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는 단면 반원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오버플로 배수구(103, 104)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103a, 104a)은 물받이부(97)에 연통되는 한편, 하단(103b, 104b)은 탱크 본체(95)에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물받이부(97)의 양 측벽에 오버플로 배수구(103, 104)를 형성함으로써, 필터(93a, 93b)의 눈 막힘을 일으킨 경우에, 물받이부(97)로부터 넘치려는 물이, 물받이부(97)의 상측 테두리(105)보다도 하측에 상단(103a, 104a)이 위치하고 있는 오버플로 배수구(103, 104)와 탱크 본체(95)의 양 측벽 사이를 통하여 탱크 본체(95)로 유입할 수 있다. 따라서, 물받이부(97)로부터 넘치기 시작한 물이 물탱크(30)의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필터(93)가 하단부(101) 전체에 걸쳐 1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말라 있는 상태의 필터(93)에 급수구(99)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해 물이 필터(93)를 통과할 수 없어, 어느 정도의 양의 물이 필터(93) 상에 저장되어 수압이 가해지면 필터(93)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 경우, 필터(93)를, 물받이부(97)에 있어서의 급수구(99)측의 단부의 벽면을 따라 형성하면, 물이 상기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표면 장력이 저하되어, 상기 벽면을 타고 필터(93)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그 경우에는, 필터(93)가 설치되는 하단부(101)가 탱크 본체(95)의 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물탱크(30)를 취출할 때에, 탱크 본체(95) 내의 물이 흔들림으로써 큰 파도를 발생시켜, 이 파도가 물받이부(97)의 하단부(101)로부터 급수구(99)를 통하여 밖으로 튀어나와 사용자에게 튀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매의 필터(93)의 중앙에, 탱크 본체(95)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06)를 형성하여, 리브(106)에 의해 필터(93)를 필터(93a)와 필터(93b)로 분리하고 있다. 이 리브(106)는, 하단부(101)에서의 2개의 개구 사이로 구성되어 있고, 도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93a, 93b)보다도 상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터(93a, 93b)의 적어도 하측에 필터(93a, 93b)와 접촉하여 리브(106)를 설치함으로써, 필터(93a, 93b)가 말라 있는 상태에서도 필터(93a, 93b)의 하측으로 물이 지나는 것이 있기 때문에 물의 표면 장력이 저하되어, 물은 리브(106)를 타고 조속히 필터(93a, 93b)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나일론 등의 장섬유를 세로·가로로 짜넣어 형성된 필터(93a, 93b)는, 수지로 물받이부(97)를 형성할 때에, 리브(106)와 하단 부(101) 사이에 일체 성형된다. 그 결과,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93a, 93b)는 리브(106) 및 하단부(101)에 의해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되므로, 필터(93a, 93b)는 리브(106) 및 하단부(101)에 의해 보강되어 강하게 되어, 잘 부서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필터(93a, 93b)의 수직 방향의 위치가, 상단부(100)에 경사부(102)로 이어지는 하단부(101)의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탱크 본체(95)에 만수의 표식까지 물을 넣은 경우에 필터(93a, 93b)가 젖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 본체(95) 내의 물이 만수 상태인 경우에는, 급수구(99)로부터 공급된 물은 조속히 필터(93a, 93b)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93a, 93b)를, 상기 급수구(99)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단부(100)에 경사부(102)로 이어지는 하단부(101)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급수구(99)로부터 공급된 물에는, 상단부(100)로부터 하단부(101)를 향하여 경사부(102)를 따라 흐름으로써 동압이 발생하고, 그 동압이 필터(93a, 93b)에 가해짐으로써, 건조한 필터(93a, 93b)가 젖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급수구(99)로부터 공급된 물을, 더욱 조속히 필터(93a, 93b)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받이부(97)는, 급수구(99)의 하부에 위치하고 깊이가 얕은 상단부(100)와 필터(93a, 93b)가 형성된 깊이가 깊은 하단부(101)를 갖고, 급수구(99) 및 상단부(100)를 탱크 본체(95)의 벽면측에 위치시키고, 하단부(101)를 상단부(100)보다도 중앙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탱크(30)를 취출할 때에, 탱크 본체(95) 내의 물이 흔들림에 의해 큰 파도를 발생시키고, 이 파도가 하단부(101)로부터 밖으로 튀어나가려고 하지만, 하단부(101)와 상단부(100)의 단차에 의해 가로막혀 있기 때문에, 급수구(99)로부터 밖으로 튀어나가 사용자에게 튀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급수구(99)는 탱크 본체(95)의 벽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탱크 본체(95)의 중앙부에 위치시킬 경우에 비하여, 배수 밸브(70)로부터 급수구(99)에 이르는 바이패스관(9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탱크 본체(95)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96)에는, 바이패스관(92)에 의해 공급된 물을 일단 받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물받이부(97)를 설치하고, 물받이부(97)에는 메쉬 형상을 이루는 필터(93a, 93b)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배수 밸브(70)로부터 배출되는 포트(41) 내의 물에 포함되어 있는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필터(93a, 93b)로 여과할 수 있어, 특별한 정화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포트(41)로부터의 배수를 증기 발생용의 물로서 재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특별한 정화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물탱크(30)로의 급수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포트(41)로부터의 배수를 받는 배수 탱크의 배수를 잊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탱크(30)에 급수할 경우에는, 탱크 본체(95)의 천장면 전체의 개구를 덮고 있는 덮개부(96)를 떼어냄으로써, 작업성 좋게 탱크 본체(95)에 물을 부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탱크 본체(95)의 상부의 개구를 막는 덮 개부(96)에서의 물받이부(97)를, 급수구(99)가 형성되는 동시에, 착탈 가능한 덮개 부재(98)로 덮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덮개 부재(98)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 또한, 덮개 부재(98)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없어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리브(106)를, 하단부(101)에서의 2개의 개구의 사이로 구성하고 있다. 즉, 하단부(101)의 일부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물받이부(97)와는 별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브에서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된 리브를 갖는 필터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2개의 공간에 필터(93a, 93b)가 장착된 상기 필터 프레임을 물받이부(97)의 하단부(101)에 설치해도 된다. 혹은, 하단부(101)에 형성된 1개의 개구에 1매의 필터(93)를 장착하고, 이 필터(93)가 장착된 개구를 2분하도록 리브재를 걸쳐 하단부(101)에 형성하고, 상기 리브재를 필터(93)의 하면에 밀착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증기 승온 장치(50)를 구비하고, 증기 승온 장치(50)로부터의 과열 증기에 의해 피가열물(90)을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1)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증기 승온 장치(50) 없이, 증기 발생 장치(40)로부터의 비과열 증기에 의해서만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 발생 장치(40)와,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 피가열물(9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20)과,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에 공급되어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30)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는, 물이 공급되는 포트(41)와, 상기 포트(41) 내에 배치된 히터(42)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30)는, 천장면에 개구를 갖는 탱크 본체(95)와, 이 탱크 본체(9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95)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96)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41) 내의 물을 상기 물탱크(3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92)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96)는, 상기 배출관(92)으로부터의 물이 공급되는 오목부(100, 101)와, 이 오목부(100, 101)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92)으로부터의 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93a, 9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96)는, 상기 배출관(92)으로부터의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99)를 갖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100, 10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100, 101)를 덮는 다른 덮개(9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93a, 93b)는, 상기 덮개부(96)의 오목부(100, 101)에서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93a, 93b)에는, 당해 필터(93a, 93b)의 적어도 저면에 접촉하는 리브(10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93a, 93b)는, 상기 리브(106)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00, 101)는, 상기 필터(93a, 93b)가 설치되는 제1 오목부(101)와, 이 제1 오목부(101)보다도 얕은 제2 오목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99)는, 상기 제2 오목부(100)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00, 101)는, 상기 제1 오목부(101)와 상기 제2 오목부(100)에 이어지는 경사부(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101)쪽이, 상기 제2 오목부(100)보다도 상기 덮개부(96)의 중앙 가까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KR1020087004819A 2005-07-29 2006-07-25 가열 조리기 KR100951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0557A JP3921226B2 (ja) 2005-07-29 2005-07-29 加熱調理器
JPJP-P-2005-00220557 200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983A KR20080031983A (ko) 2008-04-11
KR100951207B1 true KR100951207B1 (ko) 2010-04-05

Family

ID=3768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819A KR100951207B1 (ko) 2005-07-29 2006-07-25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54656A1 (ko)
EP (1) EP1912023A4 (ko)
JP (1) JP3921226B2 (ko)
KR (1) KR100951207B1 (ko)
CN (1) CN100549533C (ko)
WO (1) WO2007013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3100B1 (ja) * 2010-08-31 2011-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1296777B1 (ko) 2011-09-08 2013-08-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중 오버플로우관을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용 청소용수 저장탱크
EP2649881A1 (en) * 2012-04-11 2013-10-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Oven for baking food products
US20160037956A1 (en) 2013-02-14 2016-02-11 Jeff Wu Circulator cooker
US9687104B2 (en) * 2013-02-14 2017-06-27 Anova Applied Electronics, Inc. Circulator cooker
US20150082996A1 (en) 2013-09-20 2015-03-26 Jeff Wu Submersable circulator cooker
JP6010764B2 (ja) 2013-03-13 2016-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
WO2017005533A1 (en) * 2015-07-07 2017-01-12 Koninklijke Philips N.V. A pressure cooking device
JP6874002B2 (ja) * 2016-08-10 2021-05-1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DE102016215650A1 (de) * 2016-08-19 2018-02-2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argerät
EP3553394A1 (en) * 2018-04-09 2019-10-16 Whirlpool Corporation Steam generating system
EP3877701A1 (en) * 2018-11-07 2021-09-15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washing system
US11375843B2 (en) 2019-04-12 2022-07-05 Anova Applied Electronics, Inc. Sous vide cooker
CN111449536A (zh) * 2020-03-25 2020-07-28 宁波市嘉乐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蒸煮功能空气炸锅的控制方法
CN116982860B (zh) * 2023-08-16 2024-04-09 中山市享利莱电器有限公司 一种水箱组件及蒸汽烤箱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0903A (ja) 1996-10-09 1998-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水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液体容器
JP2002153380A (ja) 2000-11-17 2002-05-28 Nakanishi Mfg Co Ltd 調理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2222A (en) * 1934-03-22 1937-06-01 Frederick P Siebel Brewing process
US3949733A (en) * 1975-02-14 1976-04-13 A. J. Antunes & Co. Steam heating apparatus
JPS572801Y2 (ko) * 1977-03-25 1982-01-19
GB2045588B (en) * 1979-03-23 1983-09-07 Taylor J C Water-boiling containers
USRE33510E (en) * 1979-07-26 1991-01-01 Hester Industries, Inc. High humidity steam cooker with continuously running conveyor
GB2096878B (en) * 1979-07-26 1983-10-26 Hester Ind Inc Process of preparing food products
JPS6118726U (ja) * 1984-07-06 1986-02-03 株式会社 群馬熱管理センタ− スチ−ムキツチン
US4569277A (en) * 1985-02-05 1986-02-11 Stiglich Nicholas M Cooking apparatus for pasta and the like
US4995313A (en) * 1988-03-15 1991-02-26 Welbilt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US5010806A (en) * 1990-08-09 1991-04-30 Narcisi Henry R Machine to fast cook pasta and similar foods
US5178125A (en) * 1992-01-30 1993-01-12 Hui-Ling Chiu Multifunctional water boiling and steam warming device
DE4324507A1 (de) * 1993-07-21 1995-01-26 Bosch Siemens Hausgeraete Backofen
US5613428A (en) * 1993-09-02 1997-03-25 Riviana Foods, Inc. Apparatus for cooking food products for consumption
US5744184A (en) * 1993-09-02 1998-04-28 Riviana Foods, Inc. Method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water in processing food products
US5590001A (en) * 1994-03-15 1996-12-31 Fujitsu Limited Breather filter unit for magnetic disk drive
US5515773A (en) * 1995-02-16 1996-05-14 The Rival Company Steam oven
JPH0994162A (ja) * 1995-09-29 1997-04-08 Chubu Corp:Kk 加温器の排水構造
US5637214A (en) * 1995-11-09 1997-06-10 Kahana; Dov Filter assembly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US5549038A (en) * 1995-11-16 1996-08-27 Market Forge Industries Modulated steam cooker
US5756968A (en) * 1996-02-06 1998-05-26 Chung; Chin-Fu Electric cooker with two cooking chambers
US6238552B1 (en) * 1998-09-04 2001-05-29 Roy T. Shannon Universal insert for a water purifier
US6100502A (en) * 1998-10-28 2000-08-08 Wing Shing Products (Bvi) Co. Ltd. Toaster oven with steam
US6323464B1 (en) * 1998-11-16 2001-11-27 Robert J. Cohn Module for producing hot humid air for a proofing or holding operation
EP1281327A4 (en) * 2000-05-08 2005-11-30 Ono Foods Ind Co Ltd DEVICE FOR HEATING, COOKING AND STERILIZING
US20030146002A1 (en) * 2001-04-24 2003-08-07 Vinegar Harold J. Removable heat sources for in situ thermal processing of an oil shale formation
ITMI20020406U1 (it) * 2002-08-30 2004-02-29 Stefanoni Roberto Coperchio universale per pentola assorbente e filtrante vapori ed odori
WO2004107868A1 (en) * 2003-06-10 2004-12-16 Mærsk Container Industri A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omposition of gases within a container
JP2004138381A (ja) * 2003-12-19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4097605B2 (ja) * 2004-01-07 2008-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蒸気調理器
JP2005201606A (ja) * 2004-01-19 2005-07-28 Nadex Co Ltd 加熱装置
ITFI20040121A1 (it) * 2004-05-28 2004-08-28 Bialetti Ind Spa Caffetteria elettrica per la produzione di caffe' espresso
US7208702B2 (en) * 2004-11-22 2007-04-24 Goodway Electrical Co., Ltd. Steam cooker
US7867534B2 (en) * 2006-10-18 2011-01-11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0903A (ja) 1996-10-09 1998-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水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液体容器
JP2002153380A (ja) 2000-11-17 2002-05-28 Nakanishi Mfg Co Ltd 調理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21226B2 (ja) 2007-05-30
EP1912023A4 (en) 2014-01-08
JP2007033004A (ja) 2007-02-08
US20100154656A1 (en) 2010-06-24
EP1912023A1 (en) 2008-04-16
WO2007013420A1 (ja) 2007-02-01
CN101233367A (zh) 2008-07-30
KR20080031983A (ko) 2008-04-11
CN100549533C (zh)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207B1 (ko) 가열 조리기
RU2401960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печь
JP3722820B2 (ja) 蒸気調理器
KR100953234B1 (ko) 가열 조리기 및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US7802564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JP4785657B2 (ja) 水タンク及び加熱調理器
US20070187388A1 (en) Steam generating device and steam cook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JP4029099B2 (ja) 加熱調理器
EP1729064A1 (en) Steam cooking apparatus
JP4408760B2 (ja) 蒸気調理器
JP4421952B2 (ja) 蒸気調理器
JP2005241188A (ja) 蒸気調理器および蒸気発生装置
JP4398798B2 (ja) 蒸気調理器
JP4423246B2 (ja) 加熱調理器
JP4583816B2 (ja) 蒸気調理器
JP4515174B2 (ja) 蒸気調理器
JP4405318B2 (ja) 蒸気調理器
JP4550033B2 (ja) 蒸気調理器
JP4473043B2 (ja) 蒸気調理器
JP4990725B2 (ja) 蒸気調理器
JP4405319B2 (ja) 蒸気調理器
JP4473063B2 (ja) 蒸気調理器
JP2007187443A (ja) 加熱調理器
JP2007017076A (ja) 加熱調理器
JP2005241187A (ja) 蒸気調理器および蒸気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