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413B1 -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 및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 및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413B1
KR100947413B1 KR1020070070425A KR20070070425A KR100947413B1 KR 100947413 B1 KR100947413 B1 KR 100947413B1 KR 1020070070425 A KR1020070070425 A KR 1020070070425A KR 20070070425 A KR20070070425 A KR 20070070425A KR 100947413 B1 KR100947413 B1 KR 100947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sprouts
conveyor
bean
cutting
spro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142A (ko
Inventor
도모사부로 스즈키
노보루 이시카와
산지 가와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세이 기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946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0647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946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178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946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1780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세이 기카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세이 기카이
Publication of KR2008000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4Devices for topping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nipping or stringing b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2015/008Sorting of fruit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콩나물의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기계적으로 절단하여 제거하기 위한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수확된 콩나물로부터 미생육 콩나물을 콩나물 선별 장치(1) 등에 의해 선별하여 제거하는 콩나물 선별 공정과, 병렬로 배열된 종방향 홈(33)이 형성되고 상하방향 성분을 가지는 진동이 부여되는 홈 판(grooved plate)(31, 32)을 포함하여, 이 홈 판(31, 32)상에 공급된 콩나물을 종방향 홈(33)내로 이동시켜서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하는 콩나물 정렬 장치에 의해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하는 콩나물 정렬 공정과, 블레이드부가 서로 마주하여 배열된 복수의 커터(63)가 제공되고, 컨베이어 이송 방향으로의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는 절단 컨베이어(62), 및 이 절단 컨베이어(62) 위에 배치되고 절단 컨베이어(62)의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이송 바아(67)가 제공된 반송 컨베이어(68)를 포함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 의해 콩나물의 양단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양쪽 컨베이어(62, 68)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콩나물은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커터로 절단한다.
콩나물, 선별 장치, 정렬 장치, 양단부 절제 장치

Description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 및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BEAN SPROUT BOTH END PORTIONS REMOVING METHOD AND BEAN SPROUTS TREATING DEVICES THEREFOR}
본 발명은 콩나물의 양단부로서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기계적으로 절단하여 제거하는 콩나물 양단부의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콩나물 선별 장치, 콩나물 정렬 장치 및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切除) 장치를 포함하는 콩나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서 상품으로서 유통되고 있는 콩나물은 수확된 콩나물로부터 껍질, 모근(hairy tails), 찌꺼기 등이 제거되어 있지만, 모근을 제외한 후의 뿌리 부분 및 싹 부분이 콩나물의 양단부로서 그대로 남아 있다. 뿌리 부분은 흔히 약간 거무스름해지고, 또한 싹 부분은 조금 날이 지나면 거무스름해져 버리기 쉽기 때문에, 변색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수확된 콩나물로부터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으로 이들 양단부만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종래부터 전술한 상태의 콩나물이 시중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뿌리 부분 및 싹 부분이 그대로 남아 있는 콩나물이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고급 식품 재료로서 콩나물을 사용할 경우,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하나씩 손으로 제거하는 것이 통상 행해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약간 거무스름한 뿌리 부분의 결점과, 얼마지나지 않아 거무스름해져 버리는 싹 부분의 결점이 없는 콩나물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콩나물의 뿌리 부분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이전에 제안했지만, 이 기술에 따르면 싹 부분은 일부밖에 제거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콩나물의 뿌리 부분과 싹 부분 모두를 기계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이 제거된 상태의 콩나물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 생각되지만, 이러한 기술은 콩나물의 양단부를 완전히 제거하기에는 여전히 불충하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136959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제 2003-310229 호 공보
종래 기술의 이러한 결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콩나물의 양단부를 기계적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실용가능한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콩나물 선별 장치, 콩나물 정렬 장치 및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를 포함하는 콩나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확된 콩나물로부터 미생육 콩나물과 짧은 콩나물편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콩나물 선별 공정과, 상기 콩나물 선별 공정에 의해 선별된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하는 콩나물 정렬 공정과, 상기 콩나물 정렬 공정에 의해 가지런해진 콩나물의 양단부를 절제하는 양단부 절제 공정을 포함하는, 콩나물의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선별 공정은, 서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된 복수의 격자 공간을 형성하여 이동되는 격자 컨베이어상에 선별해야 할 콩나물을 분산 상태로 공급하고, 상기 격자 컨베이어의 하방에 상기 격자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와 함께 격자 컨베이어를 주행시켜 소정 길이 이상의 콩나물을 격자 컨베이어상에 남기고, 소정 길이 이하의 콩나물을 상기 벨트 컨베이어상에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정렬 공정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종방향 홈이 형성되고 상하방향 성분을 가지는 진동이 인가되는 홈 판상에 콩나물을 공급하고, 상기 홈 판상에 공급된 콩나물을 상기 종방향 홈내에 수용되도록 이동시켜서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 상기 콩나물 정렬 공정은, 수평방향의 횡단면이 편평한 형상인 호퍼(hopper)내에 콩나물을 넣고 수평방향 성분을 가지고 진동시키고, 상기 호퍼의 횡단면 형상의 짧은 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칸막이가 배열된 컨베이어를 상기 칸막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호퍼의 하방으로 주행시켜서, 상기 호퍼로부터 낙하하는 콩나물을 상기 컨베이어상에 받아서 콩나물의 길이방향이 상기 칸막이를 따르는 방향으로 가지런해진 상태로 반송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은, 각 측부 가장자리에 블레이드부가 형성된 복수의 커터가, 하나의 커터의 블레이드부가 인접하는 커터의 블레이드부와 그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 대하여서,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및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는 절단 컨베이어상에 콩나물을 공급하고, 상기 절단 컨베이어 상방에 상기 절단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되고 복수의 이송 바아를 갖는 반송 컨베이어를, 상기 절단 컨베이어의 속도와 상이한 속도로 이동시켜서, 상기 절단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콩나물의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절단 제거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은, 양단부가 개구된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콩나물 수용 용기가 상측 및 하측 주행로를 갖는 엔드리스 반송 컨베이어상에 그 길이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열을 이뤄서 기립되어 있어, 상기 콩나물 수용 용기내에 길이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콩나물을 수용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상측 및 하측 주행로의 각각에서, 상기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과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상에 콩나물의 단부를 받치면서 그 상태로 콩나물을 반송하여, 상기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과 상기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 사이에 돌출하는 콩나물 단부를 커터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 절제 공정은, 길이방향을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수직으로 및 수평으로 배열하여 컨베이어상에 컨베이어 주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콩나물 수용 구획내에, 길이방향을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및 수평으로 가지런히 하여 콩나물을 공급하고,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내에 수용된 콩나물이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의 각 측부 에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콩나물의 단부를, 상기 컨베이어의 각 측부에 상기 컨베이어의 측부 가장자리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에 의해 가지런히 하여, 상기 콩나물의 돌출 단부를 커터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에 따르면, 수확된 콩나물로부터 미생육 콩나물 및 짧은 콩나물편을 분리 제거하여 소정 길이 이상의 콩나물이 남도록 선별한다. 다음에, 이렇게 선별된 소정 길이 이상의 콩나물을 길이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가지런히 하고, 그 길이방향이 가지런해진 콩나물의 양단부를 절단한다. 이에 의해, 수확후의 콩나물로부터 콩나물의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선별 공정, 콩나물 정렬 공정 및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은, 이하의 각 공정, 즉 격자 컨베이어와, 상기 격자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격자 컨베이어의 하방에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콩나물을 이송하면서 콩나물을 선별하는 콩나물 선별 공정과, 종방향 홈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진동 성분을 가지고 진동되는 홈 판에 의해 콩나물을 가지런히 하는 콩나물 정렬 공정과, 및 각 측부 가장자리에 블레이드부가 형성된 복수의 커터가 제공된 절단 컨베이어와, 상기 절단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절단 컨베이어 상방에 배치된 반송 컨베이어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콩나물의 양단부를 절제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과, 양단부가 개구된 슬리브 형상의 콩나물 수용 용기가 제공된 반송 컨베이어 및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에 의한 양단부 절제 공정과, 콩나물 수용 구획을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즉 수평으로 및 수직으로 배열하여 제공된 컨베이어와,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의 양측부상에 콩나물의 돌출 단부를 가지런히 하는 콩나물 단부 정렬 부재에 의한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을 적절하게 선정하여 조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에 따르면, 뿌리 부분이 균등하게 또한 균일하게 성장하도록 콩나물을 특수한 방식으로 육성할 필요가 없다. 그에 따라, 종래에 채용된 것과 동일한 육성 방법에 의해 육성하여 수확한 콩나물을 이용하여, 콩나물 선별 공정, 콩나물 정렬 공정 및 양단부 절제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양단부를 기계적으로 효율적으로 제거한 콩나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콩나물의 선별 장치로서, 본 발명은, 서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된 복수의 격자 공간을 형성하여 이동되는 격자 컨베이어와, 상기 격자 컨베이어의 하방에 상기 격자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처리될 콩나물을 상기 격자 컨베이어상에 분산 상태로 공급하여 이송시켜서, 소정 길이 이상의 콩나물을 격자 컨베이어상에 남기고, 소정 길이 이하의 콩나물을 상기 벨트 컨베이어상에 분리하여 제거하는, 콩나물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자 컨베이어는, 인접한 것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기다랗게 배열된 복수의 종방향 바아와, 상기 종방향 바아에 직교하여 배치되고 엔드리스 체인에 설치되어서 상기 종방향 바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횡방향 바아를 갖는 바아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자 컨베이어의 격자 공간은 그것의 횡단면 또는 적어도 상반부가 원형 또는 둥근 형상인 바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선별 장치에서는, 격자 컨베이어 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격자 공간을 형성하여 이동하고, 벨트 컨베이어가 상기 격자 컨베이어의 하방에 상기 격자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주행하도록 하는 간단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콩나물 선별 장치에 따르면, 미생육 콩나물 및 소정 길이 이하의 콩나물은 격자 컨베이어의 격자 공간에 의한 선별 작용에 의해, 하방의 벨트 컨베이어상에 낙하되어서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콩나물 선별 장치에서는, 격자 컨베이어의 하방에 격자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선별될 필요가 없는 소정 길이 이상의 콩나물이 격자 컨베이어의 격자 공간내로 수직으로 또는 비스듬히 수용되어서, 격자 공간을 통과해서 낙하할 수 있게 된 경우에도, 이들 콩나물은 격자 컨베이어의 하방에 격자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주행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격자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여 분리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콩나물 선별 장치에 따르면, 미생육 콩나물 및 소정 길이 이하의 콩나물만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인접한 것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기다랗게 배열된 복수의 종방향 바아와, 상기 종방향 바아에 직교하여 배치되고 엔드리스 체인에 설치되어서 상기 종방향 바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횡방향 바아를 갖는 바아 컨베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선별 장치에서는, 종방향 바아가 횡방향 바아와 교차하여 격자 공간을 형성하여서, 종방향 바아의 위치가 바아 컨베이어의 이동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므로, 격자 컨베이어상에 공급된 콩나물이 동일한 횡방향 바아와 종방향 바아의 위치에 남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미생육의 짧은 콩나물 및 부러진 짧은 콩나물이 격자 컨베이어상에 분리되지 않고 남는 것을 방지한다.
격자 컨베이어의 격자 공간을 횡단면 또는 적어도 상반부가 원형 또는 둥근 형상인 바아로 형성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선별 장치에서는, 격자 공간을 형성하는 바아상에 배치된 콩나물은 상면이 원형 또는 둥근 형상인 바아상에 배치된 상태로 남아있지 않고, 그 자세를 쉽게 변경하여서, 미생육 및 부러진 짧은 콩나물이 격자 공간으로부터 낙하된다. 그에 따라, 원하는 선별이 실행되어, 소정 길이 이상의 콩나물만을 선별하여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로서,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종방향 홈이 형성된 홈 판과, 상기 홈 판에 대하여 상하방향 성분을 가지는 진동을 인가하는 가진기(vibrator)를 포함하며, 상기 홈 판상에 공급된 콩나물을 상기 종방향 홈내로 이동시켜서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공급하는,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홈 판은 복수의 홈 판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는 홈 판의 마루부상에 걸려있는 구부러진 콩나물을 홈 판으로부터 제거하는 구부러진 콩나물 제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는, 상기 홈 판상의 콩나물을 상기 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수류를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 또는 상기 홈 판상의 콩나물을 상기 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공기류를 공급하는 공기류 공급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 공급 수단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홈 판은 콩나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물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 판에는 상하방향의 진동 성분을 가지는 진동이 인가된다. 따라서, 홈 판상에 공급된 콩나물은 홈 판의 종방향 홈내로 이동되어서, 콩나물의 길이방향이 홈 판의 종방향 홈을 따라 가지런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 판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서는, 콩나물은 홈 판에 순차적으로 이동되고, 그 길이방향을 홈 판의 종방향 홈을 따라 충분히 가지런히 하여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진동에 의한 콩나물의 반송중에 상기 홈 판의 마루부상에 걸려있는 구부러진 콩나물을 상기 홈 판으로부터 제거하는 구부러진 콩나물 제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서는, 홈의 방향을 따라 가지런해지도록 홈 판의 종방향 홈(골부)내로 이동될 수 없는 구부러진 콩나물 등은 구부러진 콩나물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콩나물의 길이방향이 홈 판의 종방향 홈을 따라 가지런하게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홈 판상의 콩나물을 상기 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수류를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 또는 상기 홈 판상의 콩나물을 상기 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공기류를 공급하는 공기류 공급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서는, 콩나물을 가지런히 하면서, 콩나물을 수류 또는 공기류에 의해 이동시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수류를 채용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홈 판상에 콩나물로부터 분리되어서 홈 판에 부착된 상태로 있는 껍질, 모근, 찌꺼기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콩나물 정렬 공급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다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로서, 본 발명은, 수평방향의 단면이 편평한 형상인 호퍼와, 상기 호퍼를 수평방향 성분을 가지고 진동시키는 가진기와, 상기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의 단면의 짧은 변을 따르는 방향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된 복수의 칸막이가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로부터 낙하되는 콩나물은 상기 컨베이어상에 수용되고 그 길이방향이 상기 칸막이를 따르는 방향으로 가지런해져서 반송되는,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복수의 칸막이가 설치된 엔드리스 체인 컨베이어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 내측에 배치된 엔드리스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가 상기 벨트 컨베이어보다 고속으로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는 상기 칸막이상에 걸려있는 콩나물을 긁어 떨어뜨리는 균일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서는, 수평방향의 단면이 장방형 또는 타원형 형상 등의 편평한 형상이고 수평방향의 진동 성분을 가지는 진동이 인가되는 호퍼가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편평한 형상의 긴 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진동이 인가된다. 호퍼를 통과하는 콩나물은 호퍼내에서 진동을 받고, 콩나물의 길이방향이 호퍼의 편평한 단면 형상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변위된다. 그에 따라, 콩나물이 호퍼로부터 나갈 때, 콩나물의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어도 그 길이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가지런해지고, 그 상태로 콩나물이 낙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 있어서, 호퍼로부터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낙하된 콩나물은, 칸막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상에 받쳐져서,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칸막이를 따르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여 반송된다. 컨베이어가, 상기 칸막이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엔드리스 체인 컨베이어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의 내측에 배치된 엔드리스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컨베이어가 상기 벨트 컨베이어보다 고속으로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된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서는, 컨베이어상에 받쳐진 콩나물은 체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의 속도차에 의해서 체인 컨베이어의 칸막이에 의해 이송된다. 이에 의해, 콩나물은 그 길이방향이 칸막이를 따라 더욱더 가지런하게 정렬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서는, 호퍼로부터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낙하된 콩나물이 칸막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의 칸막이 사이에 수용될 때에 일부 콩나물이 칸막이상에 남게 된다. 따라서, 칸막이의 상부 가장자리와 작은 간격을 가지거나, 또는 칸막이의 상부 가장자리에 약간 접하여서 배치된 긁어 떨어뜨림 부재, 브러시 등의 균일화 부재가 제공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호퍼로부 터 낙하된 콩나물을 컨베이어의 칸막이 사이에 잘 수용시켜서, 콩나물의 정렬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에 따르면, 수평방향의 단면이 편평한 형상인 호퍼와, 이 호퍼를 수평방향 성분을 가지고 진동시키는 가진기와, 상기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칸막이가 제공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콩나물을 가지런하게 정렬하는데 필요한 장치의 길이도 짧아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로서, 본 발명은, 각 측부 가장자리에 블레이드부가 형성된 복수의 커터가, 하나의 커터의 블레이드부가 인접하는 커터의 블레이드부와 그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 대하여서,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및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는 절단 컨베이어와, 상기 절단 컨베이어 상방에 상기 절단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되고 상기 절단 컨베이어의 속도와 상이한 속도로 이동되는, 복수의 이송 바아를 갖는 반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콩나물의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절단 제거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블레이드부는 커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블레이드, 경사진 블레이드 및 평행한 블레이드중 적어도 2개의 블레이드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는, 상기 절단 컨베이어가 컨 베이어 주행 방향으로의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절단 컨베이어의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연속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는, 양단부를 절단해야 할 콩나물을 상기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지런히 하여 상기 절단 컨베이어상에 분산 상태로 공급하는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는,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의 상류에, 처리될 콩나물로부터 미생육 콩나물, 부러진 짧은 콩나물 및 구부러진 콩나물을 제거하는 콩나물 정제 장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절단 컨베이어와 반송 컨베이어가 제공되어서, 절단 컨베이어상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콩나물이 절단 컨베이어와 반송 컨베이어 사이의 속도차에 의해 커터상을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콩나물의 양단부가 인접한 커터의 블레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으로 들어가고, 그 상태에서 반송 컨베이어의 이송 바아에 의해 콩나물이 더 이동된다. 이에 의해, 콩나물의 양단부가 절단 제거된다.
콩나물의 양단부로서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이 본래 줄기 본체 부분으로부터 약간 구부러져 있으므로, 콩나물이 절단 컨베이어와 반송 컨베이어 사이의 속도차에 의해 커터상을 이동하게 되면, 이 구부러진 양단부는 인접한 커터의 블레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간격 또는 간극으로 쉽게 들어가서 커터에 의해 절단된다. 이와 같 이,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 따르면, 양단부가 줄리 본체 부분으로부터 약간 구부러진 콩나물의 자연적인 형상을 이용하여 콩나물의 양단부를 효과적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 있어서, 커터의 블레이드부는 커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블레이드, 경사진 블레이드 및 평행한 블레이드중 적어도 2개의 블레이드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한다. 이에 의해, 인접한 커터의 블레이드부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간극에 들어간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자세의 콩나물의 양단부는 커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블레이드, 경사진 블레이드, 평행한 블레이드중 어느 하나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될 수 있다.
절단 컨베이어가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의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고, 반송 컨베이어가 절단 컨베이어의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연속 이동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절단 컨베이어와 반송 컨베이어 모두에 단순한 동작을 실행시키는 이러한 간단한 기구가 채용된다. 따라서, 콩나물의 양단부를 단순한 기구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양단부를 절단해야 할 콩나물을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지런히 하여 절단 컨베이어상에 분산 상태로 공급하는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의 상류에, 처리될 콩나물로부터 미생육 콩나물, 부러진 짧은 콩나물 및 구부러진 콩나물을 제거하는 콩나물 정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길이가 거의 균일하고, 블레이드부가 설치된 커터의 양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길이방향이 정렬된 콩나물을 공급시킬 수 있으므로, 모든 콩나물의 양단부를 양호하게 절단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다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로서, 본 발명은, 양단부가 개구된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콩나물 수용 용기가 그 길이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열을 이뤄서 설치되고 상측 및 하측 주행로를 갖는 엔드리스 반송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상측 및 하측 주행로의 각각에서, 상기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 개구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콩나물의 하단부를 받치는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와, 상기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 개구와 상기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 사이에 절단 블레이드가 위치된 커터를 포함하고, 길이방향이 수직으로 가지런해진 콩나물을 상기 콩나물 수용 용기내에 공급하여서 반송하고, 상기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부와 상기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 사이로 돌출하는 콩나물의 단부를 커터에 의해 절단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는 상기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와 상기 콩나물 수용 용기중 어느 하나를 진동시키는 가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엔드리스 반송 컨베이어는 양단부가 개구된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콩나물 수용 용기가 그 길이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설치되고, 길이방향이 수직으로 가지런해진 콩나물을 상기 콩 나물 수용 용기내에 공급하여서 반송하고 있다. 반송 컨베이어를 주행시킬 때, 상측 및 하측 주행로 각각에 있어서, 콩나물 수용 용기와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 사이로 돌출하는 콩나물의 단부를,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 개구와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 사이에 절단 블레이드가 위치된 커터에 의해 절단한다. 이로써, 길이방향이 수직으로 가지런해진 상태로 콩나물 수용 용기내로 공급된 콩나물의 단부는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의 방향에 관계없이 상측 및 하측 주행로에서 절단된다. 그에 따라, 콩나물의 양단부를 확실하게 절단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는, 양단부가 개구된 슬리브 형상의 콩나물 수용 용기가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열을 이뤄서 설치되고 상측 및 하측 주행로를 갖는 엔드리스 반송 컨베이어가 제공되고, 또한 반송 컨베이어의 상측 및 하측 주행로의 각각에서, 상기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 개구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콩나물의 하단부를 받치는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와,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 개구와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 사이에 절단 블레이드가 위치된 커터가 제공되도록 한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콩나물 양단부의 절단 동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고, 기계적 고장도 적다.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와 콩나물 수용 용기중 어느 하나를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 개구를 향해서 상하방향으로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가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절단되는 콩나물의 단부를 기진력에 의해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상에 가지런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콩나물의 양단부를 소정 길이로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로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수직으로 및 수평으로 배열하여 컨베이어 주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및 수평으로 가지런히 한 콩나물을 수용하는 복수의 콩나물 수용 구획이 제공된 메인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각 측부에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측부 가장자리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내에 공급되어서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의 각 측부 에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콩나물의 단부를 수용하여 가지런히 하는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를 더 포함하고, 또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각 측부상에 배치된 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콩나물의 돌출 단부를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는,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가,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각 측부에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측부 가장자리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상기 메인 컨베이어에 더 근접하도록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된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이며, 상기 커터가,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의 하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의 각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콩나물의 단부를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절제 장치에서는,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이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 또는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의 방향에 대 해 하향으로 경사진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이것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 또는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가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의 측부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동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가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폭방향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경사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경사시킴으로써,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이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 또는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의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는,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상에 수류 또는 공기류를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 또는 공기류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상에 공급된 수류 또는 공기류에 의해 상기 콩나물 수용 구획내의 콩나물을 상기 커터의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콩나물의 단부를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콩나물 수용 구획은 길이방향을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횡방향으로, 즉 수직으로 및 수평으로 배열하여 메인 컨베이어상에 컨베이어 주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지런히 한 콩나물을 수류 등에 의해 이송하여서 콩나물 수용 구획내로 공급한다.
콩나물 수용 구획내에 수용된 콩나물의 단부는 콩나물 수용 구획의 측부 가 장자리 각각으로부터 돌출하여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에 의해 받쳐져서 가지런해진다. 그에 따라, 콩나물 수용 구획의 양측상의 돌출 단부는 콩나물 수용 구획이 제공된 메인 컨베이어의 양측에 배치된 커터에 의해 절단된다. 이에 의해, 콩나물의 양단부로서의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길이방향이 횡방향으로 정렬된 콩나물 수용 구획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이 횡방향으로 정렬된 콩나물을 수류 등에 의해 콩나물 수용 구획내로 공급한다. 따라서, 길이방향으로의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콩나물을 콩나물 수용 구획내로 용이하게 공급하여 그 양단부를 절단할 수 있다.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가, 메인 컨베이어의 각 측부에 메인 컨베이어의 측부 가장자리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메인 컨베이어에 더 근접하도록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된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인 것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양단부를 제거하기 위해 콩나물은 콩나물 수용 구획내에 공급되고, 콩나물 수용 공간내에 수용된 콩나물의 단부가 콩나물 수용 구획의 각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여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에 의해 받쳐져서 가지런해진다. 그에 따라, 콩나물 수용 구획의 양측상의 돌출 단부를 커터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서 절단하여, 콩나물의 양단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콩나물 수용 구획이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 또는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의 방향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콩나물 수용 구획내의 콩나물이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 또는 상기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콩나물의 단부도 용이하게 가지런해진다. 또한,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 또는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를 콩나물 수용 구획의 측부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구성을 상기 구성에 부가한 장치에서는, 콩나물 수용 구획내의 콩나물은 그 단부가 진동에 의해 용이하게 가지런해질 수 있다.
더욱이, 메인 컨베이어가 이 메인 컨베이어의 폭방향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경사가능하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메인 컨베이어를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경사시키는 경우, 콩나물 수용 구획이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 또는 콩나물의 단부 정렬 컨베이어의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콩나물 수용 구획내의 콩나물이 콩나물의 단부를 절단하는 커터를 향해서 용이하게 변위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콩나물 수용 구획상에 수류를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 또는 콩나물 수용 구획상에 공기류를 공급하는 공기류 공급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서는, 물 공급 수단 또는 공기류 공급 수단은 콩나물 수용 구획내에 수류 또는 공기류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콩나물 수용 구획내의 콩나물은 콩나물의 단부를 절단하는 커터를 향해서 원활하게 변위되어, 콩나물의 단부 제거를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실시예에 대해 서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에서는, 수확된 콩나물로부터 미생육 콩나물과 짧은 콩나물편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콩나물 선별 공정과, 상기 콩나물 선별 공정에 의해 선별된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하는 콩나물 정렬 공정과, 상기 콩나물 정렬 공정에 의해 가지런해진 콩나물의 양단부를 절제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을 조합하고 있다. 이하, 전처리 공정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 후, 콩나물 선별 공정, 콩나물 정렬 공정, 양단부 절제 공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전처리 공정)
수확된 콩나물은 껍질, 찌꺼기, 잔뿌리 등의 상당한 양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을 실시하기 전에 이러한 불순물을 사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확된 콩나물로부터, 껍질, 찌꺼기, 잔뿌리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의한 세정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수단을 채용할 수 있지만, 본 출원인의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136959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1999-318410 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해 콩나물을 정제하기 위해 잔뿌리 제거 등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별 공정)
다음에, 전처리가 실시된 콩나물에 대하여, 미생육 콩나물과 짧은 콩나물편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콩나물 선별 공정을 실시한다. 콩나물 선별 공정을 실행하는 선별 장치의 예가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2에 있어서, 콩나물의 선별 장치(1)는 인접하는 것과의 사이에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2개의 지지 바아(3, 4) 사이에 장착된 복수의 종방향 바아(2)와, 이 종방향 바아(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배열된 복수의 횡방향 바아(5)가 장착되어 있어, 이 횡방향 바아(5)가 종방향 바아(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주행하게 하는 엔드리스(endless) 바아 컨베이어(6)를 포함한다. 바아 컨베이어(6)는 그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2개의 축(7, 8)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축의 양단부에는 체인 휠(9, 10)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바아 컨베이어(6)는 체인 휠(9, 10) 사이에 감겨진 2개의 엔드리스 체인(11)을 포함한다. 횡방향 바아(5)는 인접하는 것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의 양단부가 2개의 엔드리스 체인(11)에 설치되어 있다. 종방향 바아(2)와 횡방향 바아(5)는, 횡단면 또는 적어도 상측 반부가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콩나물이 바아상에 걸리지 않게 되어 있다. 횡방향 바아(5)의 하면에는, 복수의 하부편 부재(down fraction member)(5')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되어, 이 하부편 부재(5')는 인접한 종방향 바아(2) 사이에 끼워넣어지고, 하부편 부재(5')의 각 하단부와 후술되는 벨트 컨베이어(15) 사이에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주행한다.
바아 컨베이어(6)는, 축(8)이 모터(12)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바아 컨베이어(6)의 상측 주행로가 도 1a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주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바아 컨베이어(6)가 주행되면, 횡방향 바아(5)는 바아 컨베이어(6)의 상측 주행로에서 횡방향 바아(5)의 하부편 부재(5') 및 교차하는 종방향 바아에 의해 둘러싸인 바닥이 없는 작은 박스형 공간 또는 격자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송된다. 즉, 종방향 바아(2)와, 횡방향 바아(5)를 포함하는 바아 컨베이어(6)는, 본 발명의 콩나물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격자 공간을 형성하여 이송되는 격자 컨베이어를 구성한다.
격자 컨베이어의 하측에는, 격자 컨베이어와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벨트 컨베이어(15)가 배치되어 있다. 즉, 벨트 컨베이어(15)는,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2개의 롤러(13, 14)와, 이 2개의 롤러(13, 14) 사이에 감겨진 엔드리스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14)가 모터(16)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벨트 컨베이어(15)의 상측 주행로는 도 1a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주행된다. 벨트 컨베이어(15)의 주행 속도는 바아 컨베이어(6)의 주행 속도보다 느리게 설정되어, 이들 양자간의 속도차에 의해 미생육 콩나물과 소정 길이 이하의 콩나물이 격자 컨베이어로부터 하방의 벨트 컨베이어(15)상으로 확실하게 낙하하여 분리 제거되게 된다.
격자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15) 사이에 유지되는 작은 간격은, 미생육의 콩나물이나, 부러진 짧은 콩나물은 격자 컨베이어로부터 벨트 컨베이어(15)상으로 낙하시키지만, 분리 제거할 필요가 없는 소정 길이 이상의 콩나물은 횡방향 바아(5)의 하부편 부재(5')상에 일단 접촉하면 벨트 컨베이어(15)상으로 낙하하지 않고 있고 주행하는 바아 컨베이어(6)와 함께 이송되도록 하는 크기로 선정된다. 또한, 격자 컨베이어의 격자 공간의 크기는 분리할 콩나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되지만, 일례로서 박스형 공간의 한 변이 3㎝ 내지 4㎝로 설정된다.
도면부호(17)는 미생육 콩나물 등을 격자 컨베이어에 의해 분리 제거한 후의 선별된 콩나물을 배출하기 위한 이송 벨트 컨베이어를 지시한다. 이러한 이송 벨트 컨베이어(17)는 축(8)에 설치된 롤(18)과 롤(19) 사이에 감겨진 엔드리스 벨 트(20)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15)와 엔드리스 벨트(20) 사이에는 간극(22)이 형성되어 있고, 벨트 컨베이어(15)상으로 분리된 미생육 콩나물이 이 간극(22)으로부터 낙하하게 된다. 또, 선별 공정에서 선별해야 할 콩나물은 적절한 호퍼(도시하지 않음) 등으로부터 격자 컨베이어상으로 도 1a에 있어서의 격자 컨베이어의 우측 단부에서 분산 상태로 공급된다.
도면부호(21)(도 2)는 송풍기(blower)의 공기 분출구를 지시한다. 이러한 공기 분출구(21)는, 격자 컨베이어상에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격자 컨베이어의 종방향 바아(2) 및 횡방향 바아(5)상에 걸리거나 얽혀져 있는 분리해야 할 미생육 콩나물과 짧은 콩나물을 격자 컨베이어로부터 하방의 벨트 컨베이어(15)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에 있어서, 이러한 장치에 의한 콩나물의 선별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미생육 콩나물 등이 분리 제거되어야 할 수확후의 콩나물은 호퍼 등으로부터 격자 컨베이어의 도면 우측 단부상으로 분산 상태로 공급되고, 종방향 바아(2) 및 횡방향 바아(5)를 포함하는 격자 컨베이어상에 반송되어서 분산 상태로 배치된다. 송풍기의 공기 분출구(21)로부터 격자 컨베이어상으로 공기가 분출되며, 그에 의해 격자 컨베이어의 격자 공간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미생육 콩나물과 부러진 짧은 콩나물이 하방을 주행하고 있는 벨트 컨베이어(15)상으로 낙하되어서 분리된다. 분리할 필요가 없는 길이의 콩나물은, 격자 공간으로 들어가더라도, 한편으로는 격 자 컨베이어의 하측에서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주행하고 있는 벨트 컨베이어(15)상에서 받을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횡방향 바아(5)의 하부편 부재(5')상에 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이들 콩나물은 낙하하지 않고 격자 컨베이어와 함께 반송된다. 따라서, 미생육 콩나물 및 소정 길이 이하의 콩나물이 제거된 콩나물이 도면의 좌측 단부에서 이송 벨트 컨베이어(17)로부터 배출된다. 벨트 컨베이어(15)상으로 분리된 미생육 콩나물 등은 벨트 컨베이어(15)와 엔드리스 벨트(20) 사이의 간극(22)으로부터 낙하되어 배출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격자 컨베이어가 바아 컨베이어(6) 및 고정식 종방향 바아(2)를 포함하지만, 격자 컨베이어는 사전 조립된 격자 공간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종방향 바아(2) 및 횡방향 바아(5)를 포함하는 격자 컨베이어는 격자 공간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격자 컨베이어는, 원료 콩 및 생육 조건에 따라 콩나물의 형상, 길이, 두께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선별할 콩나물의 크기 또는 길이를 선정할 수 있도록 종방향 바아(2)의 상호 간격 및 횡방향 바아(5)의 상호 간격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격자 컨베이어와 그 하방의 벨트 컨베이어(15) 사이의 간격도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격자 컨베이어는 고정식 종방향 바아(2) 및 단순 주행하는 횡방향 바아(5)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종방향 바아(2) 및 횡방향 바아(5)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기에 의해 진동시키고, 각각의 길이방향 축 주위를 회전시킴으로써, 격자 컨베이어 등에 걸린 선별할 미생육 콩나물 등은 격자 공간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또한, 분리 제거할 콩나물이 송풍기로부터 분출한 공기에 의해 격자 컨베이어상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이를 대신하여 브러시에 의해 콩나물을 긁어 떨어뜨리는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콩나물 정렬 공정)
미생육 콩나물 및 소정 길이 이하의 콩나물이 분리 제거된 콩나물에 대하여,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콩나물을 가지런히 하는 콩나물 정렬 공정을 실시한다. 콩나물 정렬 공정을 실행하는 장치의 예가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장치는 일렬로 배치된 2단의 홈 판(31, 32)을 포함한다. 각각의 홈 판(31, 32)에는, 도 3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홈(33)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홈 판(31)상에 공급된 콩나물은 일렬로 배치된 홈 판(31, 32)상에서 종방향 홈(33)을 따라 도 3a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송된다. 이 홈 판(31, 32)은 종방향 홈(33)의 간격이 1㎝ 내지 3㎝이고, 마루의 깊이가 1㎝ 내지 3㎝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처리될 콩나물에 따라 필요하다면 홈 판(31, 32)은 이 홈 판(31, 32)상에 배치된 콩나물이 이송되는 방향, 즉 도 3a 내지 도 4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5° 내지 30°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홈 판(31, 32)상의 콩나물을 이송하기 위해서, 홈 판(31, 32)의 종방향 홈(33)을 따라 수류나 기류를 공급하는 수류 또는 공기류 공급 수단이 제공된 구조를 채용하면, 홈 판(31, 32)상에서의 콩나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콩나물로부터 분리되어 홈 판(31, 32)상에 걸려있는 껍질, 모 근, 찌꺼기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홈 판(31, 32)은, 도 4에 화살표(35)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피봇식으로 제공된 아암(34)에 의해 지지되고, 홈 판(31, 32)에 설치된 가진기(36)로부터 인가되는 기진력(起振力)에 의해 수평방향 성분을 가지고 진동한다. 이 수평방향 성분을 가지는 진동의 진폭과 진동수는 처리하는 콩나물에 따라 적당한 값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진기(36)는 진폭 및 진동수를 조절가능한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평방향 성분을 가지는 진동에 의해, 홈 판(31, 32)상의 콩나물은 홈 판(31, 32)의 종방향 홈(33)을 따라 이동되고, 그 이동 과정에서 홈 판(31, 32)상의 콩나물은 홈 판(31, 32)의 종방향 홈(33)내로 낙하하여서 종방향 홈(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가지런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콩나물은, 홈 판(31, 32)상에서 반송되는 동안에, 홈 판(31, 32)의 종방향 홈(33)내로 낙하하고, 동시에 종방향 홈(3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지런해진다. 이렇게 길이방향을 따라 가지런해진 콩나물은 길이방향을 따라 가지런해진 상태 그대로 도 3a 및 도 4의 우측 단부로부터 반송되며, 필요하면 종방향 홈(33)에 따른 수류 또는 공기류에 의한 도움을 받으면서 반송된다.
홈 판(31, 32)상에서 상기와 같이 반송되는 콩나물에 구부러진 콩나물이 포함되어 있으면, 구부러진 콩나물이 종방향 홈(33)의 마루부 또는 정상부상에 배치된 상태 그대로 반송되어서 콩나물 정렬에 있어서의 불균일성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부러진 콩나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홈 판(31, 32)의 마루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마루부와 작은 간극을 유지하여 배치된 체인, 브러시, 블레이드 등의 구부러진 콩나물 제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홈 판(31, 32)은 단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된 종방향 홈(33)을 포함하고 있지만, 종방향 홈(33)의 단면은 사각형상, 삼각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홈 판은 일렬로 2단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단의 개수는 단지 하나 또는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 홈 판은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공급 방향을 향해서 경사질 수도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의 콩나물 정렬 장치에 대해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있어서, 도면부호(41)는 긁어냄(scraping-up) 컨베이어를 지시하며, 이 긁어냄 컨베이어는 복수의 바늘형 부재가 박혀있는 하나 이상의 긁어냄 판이 엔드리스 체인에 의해 화살표(42)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긁어냄 컨베이어(41)에 의해서, 처리할 콩나물은 도 5의 우측 하부 위치에 있는 저장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긁어내어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반송된다. 이러한 긁어냄 컨베이어(41)에 의해 긁어내어 반송된 콩나물은 긁어냄 컨베이어(41)의 상단부로부터 중간 호퍼(43)를 거쳐서 하방의 호퍼(44)내에 분산 상태로 공급된다.
이들 호퍼(43, 44)는, 각각의 수평방향의 단면이 편평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긴 변(보다 긴 변)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짧은 변(보다 짧은 변)이 도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짧은 변의 길이는 처리될 콩나물의 평균 길이보다 짧다. 호퍼(44)는 아암(45)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치 프레임에 지지된다. 가진기(46)가 작동되면, 호퍼(44)는 호퍼(44)의 긴 변 방향[즉 도 6의 화살표(47)의 방향]을 따라 지지점(48)(도 5) 주위에서 진동된다.
긁어냄 컨베이어(41)에 의해 저장소로부터 긁어낸 콩나물은 긁어냄 컨베이어(41)의 상단부로부터 중간 호퍼(43)내로 낙하하게 된다. 중간 호퍼(43)에서의 콩나물은 중간 호퍼(43)의 수평 단면의 직사각형을 따라 횡방향으로 분산되고, 또한 직사각형의 긴 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콩나물의 길이방향이 가지런해진다. 따라서, 콩나물은 더욱 하방의 호퍼(44)내로 낙하된다.
호퍼(44)내에 수용된 콩나물은,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호퍼(44)의 횡단면의 직사각형을 따라 보다 양호하게 횡방향으로 가지런히 되어서, 하단의 배출구로부터 낙하된다. 즉, 호퍼(44)는 수평방향의 성분을 가지는 가진기(46)의 기진력에 의해 호퍼(44)의 횡단면에서의 긴 변을 따르는 화살표(47)의 방향(도 6의 좌우 방향)으로 진동되기 때문에, 호퍼(44)내의 콩나물은 길이방향이 호퍼(44)의 긴 변을 따라 지향되도록 확실하게 가지런히 되어서 하단의 배출구로부터 낙하된다.
호퍼(44)의 하방에는, 화살표(51) 방향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50)가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50)는 엔드리스 체인(53)에 의해 구성된 체인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또한 이러한 체인 컨베이어의 내측에 배치된 엔드리스 벨트 컨베이어(58)를 포함한다. 엔드리스 체인(53)에는 화살표(51) 방향을 가로질러서, 인접하는 것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기립 상태로 제공된 복수의 칸막이(52)가 설치되어 있다. 엔드리스 체인(53)은 스프로킷(sprocket)(54, 55)(도 7) 사이에 감겨지고, 벨트 컨베이어(58)는 롤러(56, 57) 사이에 감겨져 있다. 체인 컨베이어에서의 인접하는 칸막이(52) 사이의 간격은 처리될 콩나물의 평균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고, 칸막이(52)의 높이는 예를 들어 1㎝이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50)의 주행면에는, 체인 컨베이어의 칸막이(52)와 벨트 컨베이어(58)에 의해, 호퍼(44)의 배출구와 같이, 도 5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긴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수용 공간은 칸막이(52)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주행한다. 또한, 체인 컨베이어의 칸막이(52)는 벨트 컨베이어(58)보다도 고속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어, 벨트 컨베이어(58)상에 배치된 콩나물은 벨트 컨베이어(58)보다 빠르게 이동되는 칸막이(52)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58)상을 미끄러지나 굴려지면서 반송된다. 이것은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칸막이(52)를 따르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는 작용을 한다. 도면부호(49)(도 6)는 호퍼(44)의 배출구 하방의 위치에서 컨베이어(50)의 양측에 기립하여 제공되어, 호퍼(44)로부터 낙하하는 콩나물이 측방향으로 뛰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판을 지시한다.
컨베이어(50)의 상방에는, 칸막이(52)의 상단부와 작은 간극을 유지하여 배치된 브러시나, 가이드를 따라 컨베이어(5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블레이드 등의 균일화 부재(smoothing member)(도시하지 않은)를 제공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이 균일화 부재는, 호퍼(44)로부터 공급되어서 칸막이(52)상에 걸린 콩나물을 칸막이(52)에 의해 그 사이에 형성된 수용 공간내로 낙하시켜, 그 수용 공간내에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수용시키는 기능을 한다. 컨베이어(50)의 하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된 콩나물이 공급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60)(후술됨)가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콩나물 정렬 장치에 있어서, 긁어냄 컨베이어(41)에 의해 저장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긁어낸 콩나물은, 호퍼(43, 44)에 의해 그 길이방향을 호퍼의 횡단면의 긴 변 방향을 따라 또는 도 5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가지런히 해서, 호퍼(44)의 하단부로부터 컨베이어(50)상에 공급된다. 컨베이어(50)는 칸막이(52)가 기립하여 제공된 체인 컨베이어와, 이 체인 컨베이어 하방에서 주행하는 벨트 컨베이어(58)를 포함한다. 칸막이(52)와 벨트 컨베이어(58)에 의해, 도 5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긴 변이 배열된 직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컨베이어(50)상에 공급된 콩나물은 수용 공간내에 수용된다. 칸막이(52)와 벨트 컨베이어(58) 사이에 속도차가 있으므로, 칸막이(52)와 벨트 컨베이어(58)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콩나물은 칸막이(52)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58)상을 이송되고, 콩나물은 그 길이방향이 칸막이(52)를 따르는 방향으로 가지런해진다. 즉, 콩나물의 길이방향은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또는 도 5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가지런해진다. 이렇게 길이방향이 가지런해진 콩나물은 다음의 포장 공정 또는 다른 처리 공정으로 보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콩나물 정렬 장치가 도시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콩나물 정렬 장치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다는 것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호퍼(43, 44)는 수평방향 단면이 편평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상은 타원형 등의 다른 편평한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호퍼(44)는 가진기(46)에 의해 인가되는 수평방향 진동 성분을 가지는 기진력에 의해 호퍼(44)의 횡단면에서의 긴 변을 따르는 화살표(47) 방향(도 6의 좌우 방향)으로 진동되고 있지만, 호퍼는 긴 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짧은 변을 따르는 방향 등의 적절한 방향으로 수평방향의 진동 성분을 가지는 기진력에 의해 진동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간 호퍼(43)에는 진동이 인가되고 있지 않지만, 호퍼(44)의 경우와 같이 진동이 인가될 수도 있다. 또한, 컨베이어(50)는 체인(53)에 복수의 칸막이(52)가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 및 이 체인 컨베이어의 내측에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5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체인 컨베이어를 벨트 컨베이어(58)보다 빠르게 주행하게 해서 벨트 컨베이어(58)상에 콩나물의 길이방향이 가지런해지도록 하고 있지만, 컨베이어는 복수의 칸막이(52)가 설치된 단일의 컨베이어일 수도 있다.
(양단부 절제 공정)
전술한 바와 같이 콩나물 정렬 공정에 의해 그 길이방향이 가지런해진 콩나물에 대해서, 이어서 콩나물의 양단부로서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을 실행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의 4개의 예가 도 8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절단 장치(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절단 장치(60)는 화살표(62)로 도시된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이송되는 엔드리스 컨베이어로서 구성되는 절단 컨베이어(6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단 컨베이어(62)는 복수의 커터의 양단부가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즉 수평으로 및 수직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엔드리스 체인을 포함한다. 다음에, 이 절단 컨베이어(62)의 구조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절단 컨베이어(62)는 복수의 커터(63)를 포함하며, 각 커터(63)는 도 9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종류의 블레이드, 즉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경사진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톱니모양의 블레이드(64),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블레이드(65), 및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평행한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블레이드(66)를 포함하는 기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렇게 블레이드(64 내지 66)가 형성된 커터(63)는 화살표(61)로 나타낸 절단 컨베이어(62)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고, 그 양단부가 서로 엔드리스 체인에 설치되어서, 엔드리스 절단 컨베이어(62)가 형성된다. 각각의 커터(63)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어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그곳에 공간이 형성되고 절단되는 콩나물의 양단부가 이 공간으로 들어간다.
절단 장치(60)는, 전술한 절단 컨베이어(62)에 부가하여, 복수의 이송 바아(67)를 갖는 반송 컨베이어(68)를 포함한다. 반송 컨베이어(68)는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횡방향으로 배열된 이송 바아(67)의 양단부가 설치된 엔드리스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68)의 이송 바아(6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컨베이어(62)의 커터(63)의 상방에, 커터(63)의 상면과의 사이에, 즉 절단 컨베이어(62)에 대해 작은 간극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단 장치(60)는 절단 컨베이어(62)의 하방에 간격(L)을 유지하여 배치된 바닥판(69)을 포함한다. 절단 컨베이어(62)와 바닥판(69) 사이의 간격(L)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콩나물의 양단부를 효율적으로 절단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 컨베이어(62), 반송 컨베이어(68) 및 바닥판(69)을 포함하는 절단 장치(60)에 있어서, 절단 컨베이어(62)는 화살표(61)로 나타낸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의 이송 및 정지를 반복하도록 동작되며, 반송 컨베이어(68)는 절단 컨베이어(62)의 이송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화살표(61)로 나타낸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연속적인 이송을 실행하도록 동작된다. 바닥판(69)은 고정식 판에 의해 구성되지만, 바닥판(69)은 엔드리스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절단 컨베이어(62)에 의해 절단되어서 낙하하는 콩나물의 양단부를 수용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절단 장치(6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콩나물 정렬 장치에서, 그 길이방향이 홈 판(31, 32)의 종방향 홈(33)을 따르는 방향으로 가지런해진 콩나물은 홈 판(32)의 단부로부터 절단 장치(60)상에 공급된다. 즉, 그 길이방향이 도 8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또는 커버(6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지런해져 놓여있는 콩나물은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콩나물과 같이 절단 장치(60)상에 공급된다. 이 절단 장치(60)에서 는, 절단 컨베이어(62)가 화살표(61)로 나타낸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의 이송 및 정지를 반복하도록 동작되고, 반송 컨베이어(68)가 절단 컨베이어(62)의 이송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화살표(61)로 나타낸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연속적인 이송을 실행하도록 동작된다. 그에 의해, 절단 컨베이어(62)와 반송 컨베이어(68) 사이에서의 이송 속도의 차이로 인해 상대 이동이 생긴다. 따라서, 절단 컨베이어(62)상에 배치된 콩나물은 그 상대 속도에 의해 절단 컨베이어(62)상을 미끄러지거나 구르면서 이동된다. 콩나물이 이렇게 절단 컨베이어(62)상에서 이동되는 동안에, 콩나물의 양단부는 인접한 커터(63)의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고, 그 상태에서 절단 컨베이어(62)와 반송 컨베이어(68)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으로 들어간 콩나물 양단부로서의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은 커터(63)의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된다.
콩나물의 양단부는,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63)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간 부분에서 절단되지만, 절단 컨베이어(62)의 커터(63) 하방에 바닥판(69)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콩나물은, 커터(63)[또는 절단 컨베이어(62)]와 바닥판(69) 사이의 간격(L) 이상의 콩나물의 양단부 부분은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콩나물이 과도하게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양단부가 이미 잘려진 콩나물은 커터(63)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더라도 커터(63)에 의해 절단되는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좌측 단부에 도시된 콩나물과 같이 양단부가 절단된 콩나물은 절단 컨베이어(62)의 종단부로부터 배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절단 장치에서는, 절단 컨베이어의 커터가 3 가지 종류의 블레이드, 즉 컨베이어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블레이드, 경사진 블레이드 및 평행한 블레이드를 포함하지만, 블레이드는 이들 3가지 종류의 블레이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3가지 종류중 2가지 종류를 조합한 블레이드, 수직인 블레이드만의 블레이드, 경사진 블레이드만의 블레이드, 파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드 등과 같이 처리되는 콩나물에 따라 여러가지 타입이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커터(63)의 블레이드에는, 절단 컨베이어상에 횡방향으로 놓여있는 콩나물이 인접하는 커터(63) 사이에 형성된 횡방향으로 기다란 공간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도시된 본 실시예의 커터(63)와 같이 인접한 커터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시된 본 실시예의 절단 장치에서는, 절단 컨베이어(62)가 이송 및 정지를 실행하고, 반송 컨베이어(68)가 절단 컨베이어(62)의 이송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연속적인 이송을 실행하는 구성에 의해 절단 컨베이어(62)와 반송 컨베이어(68) 사이의 상대 이동이 생기고 있지만, 절단 컨베이어(62)와 반송 컨베이어(68)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발생시키는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절단 장치(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3b에 있어서, 도면부호(71)는 반송 컨베이어를 지시한다. 이러한 반송 컨베이어(71)는 2개의 체인 휠(72, 73) 사이에 감겨진 2개의 엔드리스 체인 벨트(74)와, 양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콩나물 수용 용기(75)를 포함한다. 콩나물 수용 용기(75)는 그 주행 방향을 따라 반송 컨베이어(71)상에 열을 이뤄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그 일단부가 체인 벨트(74)에 설 치되어서, 그 길이방향이 반송 컨베이어(71)에 수직으로 세워서 배치되어 있다. 이 반송 컨베이어(71)는 체인 휠(72, 73)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동작된다.
반송 컨베이어(71)의 상측 주행로에는,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와 간격을 유지하여 본 발명의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76)로서의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가 배치되어,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로부터 돌출하는 콩나물의 하단부를 받치도록 되어 있다.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는 2개의 풀리(77, 78) 사이에 감겨지고, 가진기(79)에 의해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이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의 하류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와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 사이의 위치에 반송 컨베이어(71)의 주행로에 대해 비스듬히 블레이드가 배치된 블레이드 타입 커터(80)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부호(81)는 커터(70)에 의해 절단된 콩나물의 단부를 수용하는 콩나물 단부 수용부를 지시하며, 도면부호(82)는 하단부가 절단 제거된 콩나물의 단부를 받치는 콩나물의 하단 받침부를 지시한다.
반송 컨베이어(71)가 체인 휠(72) 주위를 돌아서 하측 주행로에 들어가는 위치에서,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상단의 반전 궤적을 따라 반전 콩나물 받침 부재(83)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반전 콩나물 받침 부재(83)는 반전에 의해 상하가 반대로 된 콩나물 수용 용기(75)내의 콩나물의 하단부를 받치는 작용을 한다. 반전 콩나물 받침 부재(83)의 종단 위치에, 본 발명의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로서의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84)가 배치되어,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로부터 돌출하는 콩나물의 하단부를 받치도록 되어 있다.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84)는 풀리(85, 86) 사이에 감겨지고, 가진기(87)에 의해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이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84)의 하류에는, 커터(80)와 같이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와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84) 사이의 위치에 반송 컨베이어(71)의 주행로에 대해 비스듬히 블레이드가 배치된 블레이드 타입 커터(88)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컨베이어(71)의 하측 주행로에 있어서, 커터(88)가 배치된 위치에 콩나물이 오면,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로부터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84)로 돌출하는 콩나물의 하단부가 커터(88)에 의해 절단된다. 도면부호(89)는 커터(88)에 의해 절단된 콩나물의 단부를 수용하는 콩나물 단부 수용부를 지시하며, 도면부호(90)는 양단부가 절단 제거된 콩나물을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이며, 도면부호(91)는 하단부가 절단 제거된 콩나물의 하단부를 받치는 콩나물의 하단 받침부를 지시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콩나물 수용 용기(75)에는, 측판(93) 및 가동 측판(92)이 제공되며, 이 가동 측판(92)은 측판(93)의 내측상에 측판(93)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동 측판(92)은 연결 바아(94)를 거쳐서 가압판(98)에 연결된다. 연결 바아(94)에는, 스프링(75)이 끼워지고, 이 스프링(95)은 측판(93)과 가압판(98) 사이에 위치되어서 가압판(98)을 측판(93)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면부호(96)는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주행로의 측부상에 배치된 캠판이며, 도면부호(97)는 가압판(98)에 세로축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캠 롤러이다. 캠 롤러(97)는 캠판(96)과 접촉되어 있어, 캠판(76)의 형상을 따라 화살표(99)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캠판(96)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캠 롤러(97)를 변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처리될 콩나물을 콩나물 수용 용기(75)내로 공급하는 도 12의 우측 상부의 위치와, 양단부가 절단된 콩나물을 콩나물 수용 용기(75)로부터 배출하는 도 12의 우측 하부의 위치에서, 캠판(96)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측판(92)이 측판(93)에 접근하여 가서 콩나물 수용 용기(75)에서의 콩나물 수용 공간이 넓어지도록 변위된다. 또한, 커터(80, 88)에 의해 콩나물의 단부를 절단하는 도 12의 커터(80, 88) 위치에서, 캠 롤러(97)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측판(92)을 측판(93)으로부터 이격시켜 가서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공간이 좁아지도록 변위된다. 도 13b의 상태에서, 콩나물 수용 용기(75)내의 콩나물은 서로 모여서 커터에 의한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절단 장치(70)에 있어서, 콩나물 수용 용기(75)에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콩나물 정렬 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이 가지런해진 콩나물이 공급되며, 이렇게 공급된 콩나물은 길이방향이 상하로 배열되어서 콩나물 수용 용기(75)내로 수용된다. 이렇게 콩나물 수용 용기(75)내에 길이방향을 상하로 하여 수용된 콩나물은,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바닥으로부터 하단부가 돌출되어서,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로부터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어 있는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상에 받쳐져 있다. 따라서,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상에 세워서 지지된 콩나물은 컨베이어와 함께 반송된다. 커터(80)가 배 치되어 있는 위치에 콩나물이 반송되어 오면, 캠판(76)과 접촉하는 캠 롤러(97)의 변위에 의해 가동 측판(92)이 도 13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그에 의해, 콩나물 수용 용기(75)내의 콩나물은 서로 모이고,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로부터 돌출하여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상에 받쳐지는 콩나물의 하단부가 적당한 높이 위치에 제공된 커터(80)에 의해 절단된다. 하단부가 커터(80)에 의해 절단된 후의 콩나물 수용 용기(75)내의 콩나물은,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콩나물 하단 수용부(82)에 절단후의 하단부가 실려서, 이러한 상태로 반송된다.
반송 컨베이어(71)는, 체인 휠(72) 주위를 돌아서 하측 주행로로 들어가고, 이에 의해 콩나물 수용 용기(75)는 상하가 반대로 된다(반전된다).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반전 경로에는, 반전 콩나물 받침 부재(83)가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상단의 반전 궤적에 따라 배치되어, 반전에 의해 상하가 반대로 되는 콩나물 수용 용기(75)내의 콩나물을 받친다. 반전된 후,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로부터 돌출하는 콩나물의 하단부는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84)상에 받쳐지고 이러한 상태로 반송된다. 하측 주행로의 커터(88)가 배치된 위치에 콩나물이 오면, 상측 주행로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 개구로부터 돌출하여 콩나물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84)상에서 받쳐지는 콩나물의 하단부는 적당한 높이 위치에서 커터(88)에 의해 절단된다. 이에 따라, 양단부가 커터(88)에 의해 절단된 콩나물은 콩나물 수용 용기(75)로부터 배출 컨베이어(90)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절단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콩나물의 하단부를 받칠 뿐만 아니라, 콩나물 수용 용기(75)로부터 낙하한 찌꺼기 등을 배출하기 위해,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 84)가 제공되지만, 컨베이어 대신에 단순한 판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부재가 그러한 단순한 판 부재에 의해 구성된 절단 장치의 실시예를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고 있고, 다음에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도면부호(101, 105)는 그러한 판 부재로서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판을 지시한다. 이들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판(101, 105)은 각각 반송 컨베이어(71)의 상측 및 하측 주행로에서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각각 가진기(102, 106)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103, 107)는 콩나물 수용 용기(75)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여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판(101, 105)상에서 받쳐지는 콩나물의 하단부를 절단하는 로터리 타입의 커터를 지시한다. 도면부호(104, 108)는 커터(103, 107)에 의해 절단된 콩나물의 단부를 받치는 콩나물의 하단 받침부를 지시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장치의 다른 부품 및 구성요소의 구성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들 부품 및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절단 장치에 있어서, 커터(103, 107)에 의해 절단되는 콩나물의 하단부가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판(101, 105)상에 받쳐져서 반송되는 것 이외에는, 콩나물의 양단부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절단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제거된 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커터로서 로터리 타입의 커터를 채용하고 있지만,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경우에서와 같이 블레이드 타입의 커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 16에 있어서, 콩나물 수용 용기(75)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동 측판(92)을 포함하지 않고 있는 콩나물 수용 용기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콩나물 수용 용기(7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동 측판(92)을 포함하여 콩나물의 하단부가 커터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절단 장치가 도시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절단 장치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콩나물 수용 용기(75)가 슬리브 형상의 용기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콩나물 수용 용기는 콩나물 정렬 장치에 의해 그 길이방향이 가지런해진 콩나물을 용이하게 받치고 수용하도록 하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콩나물 수용 용기가 콩나물 수용 위치에 오면 용기의 상부 개구가 횡방향(수평방향)으로 약간 확대되고, 콩나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개구가 원래의 크기로 복귀하는 것이 있다.
또한, 콩나물의 하단 받침부(82, 91)는 단순히 콩나물을 받치는 작용을 하는 판 부재로 구성되지만, 이들 콩나물 하단 받침부(82, 91)는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 84)와 같은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 컨베이어(76, 84) 및 콩나물의 하단부 받침판(101, 105)이 가진기에 의해 콩나물 수용 용기의 하단 개구에 대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 향으로 진동되도록 설명되었지만, 이들 가진기를 제공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 이러한 가진기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한편, 콩나물 수용 용기(75)가 마찬가지로 가진기에 의해 진동될 수도 있다.
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콩나물의 양단부를 절단하는데 블레이드 타입의 커터(80, 88)를 채용했지만, 커터는 이들 타입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타입일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 타입의 커터를 채용할 경우에도, 고정식 커터일 필요는 없고, 왕복 이동되어서 절단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블레이드 타입의 커터 등의 임의의 커터일 수도 있다.
다음에, 도 17에 도시된 다른 절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있어서, 도면부호(111)는 절단 장치의 컨베이어를 지시한다. 이 컨베이어(111)는 도 17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111)로부터 기립되어 있는 복수의 구획판(112)은 서로 간격(L)을 유지하여 컨베이어(111)의 주행 방향에 대해 직교하여 제공되어 있다. 이들 구획판(112)에 의해, 복수의 콩나물 수용 구획(113)이 컨베이어(111)의 주행 방향에 열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에는, 그 길이방향이 구획판(112)과 평행하게 하여 정렬된 콩나물이 수용된다. 따라서, 콩나물 수용 구획(113)의 길이는, 컨베이어(111)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놓인 콩나물을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에 수용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구획판(112) 사이의 간격은 처리되는 콩나물의 굵기 등을 포함하는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도면부호(114)는 컨베이어(111)의 양측에 기립되어 제공된 사이드판을 지시 한다. 이 사이드판(84)이 하류 단부에서의 컨베이어(111)의 일 측부에는, 본 발명의 콩나물의 단부 정렬 부재로서의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이 컨베이어(111)의 측부 가장자리와 간격을 유지하여 제공되어 있다.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과 반대측의 컨베이어(111)의 다른 측부에는, 컨베이어(111)의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에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을 향해서 흐르는 수류(116)를 발생시키는 물 공급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되어 있다.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의 하류에는, 컨베이어(111)의 측부 에지와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 사이에 블레이드가 위치하도록 로터리 타입의 커터(117)가 제공되어 있다. 커터(117)의 하류에 있어서의 컨베이어(111)의 다른 측부에는,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의 경우와 같이, 컨베이어(111)의 다른 측부 가장자리와 간격을 유지하여 다른 콩나물 단부 받침판(118)이 제공되어 있다. 콩나물 단부 받침판(118)과 반대측의 컨베이어(111)의 다른 측부에는, 컨베이어(111)의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에 콩나물 단부 받침판(118)을 향해서 흐르는 수류(119)를 발생시키는 다른 물 공급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되어 있다. 콩나물 단부 받침판(118)의 하류에는, 컨베이어(111)의 측부 에지와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 사이에 블레이드가 위치하도록 다른 로터리 타입의 커터(120)가 제공되어 있다.
다음에, 도 17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양단부를 제거해야 할 콩나물은,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콩나물 정렬 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이러한 상태로 도 3 및 도 4의 우측 단부로부터 종방향 홈(33)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송된다. 다음에, 이송된 콩 나물은 그 길이방향이 컨베이어(111)의 주행 방향에 수직인 상태로 컨베이어(111)의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에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된다. 따라서, 콩나물은 컨베이어(111)에 의해 도 17에 도시된 백색 화살표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이 배치된 위치에 오면, 도시하지 않은 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류(116)에 의해,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의 콩나물은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을 향해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에 콩나물의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단부는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콩나물의 좌측 단부가 가지런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상에 단부를 가지런히 한 콩나물이 커터(117)의 위치에 오면, 컨베이어(111)의 좌측 가장자리와 콩나물 단부 받침판(115) 사이의 위치에서 단부가 절단된다. 좌측에서 단부가 절단 제거된 콩나물이 수용되어 있는 콩나물 수용 구획(113)이 콩나물 단부 받침판(118)이 배치된 위치에 오면, 도시하지 않은 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류(119)에 의해,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의 콩나물은 콩나물 단부 받침판(118)을 향해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의 콩나물의 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단부는 콩나물 단부 받침판(118)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우측 단부가 가지런해진다. 따라서, 우측에서 단부를 가지런히 한 콩나물이 커터(120)의 위치에 오면, 컨베이어(111)의 우측 가장자리와 콩나물 단부 받침판(118) 사이의 위치에서 단부가 절단된다. 이렇게 양단부가 절단 제거된 콩나물은 컨베이어(111)로부터 배출된다.
또,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의 콩나물의 정렬 상태가 커터(117, 120)에 의 한 절단 동작중에 흐트러지지 않도록,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의 콩나물을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판 부재, 벨트 등의 콩나물 상부 가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근거하여 또 다른 절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부호(111)는 컨베이어, 도면부호(112)는 복수의 구획판, 도면부호(113)는 복수의 콩나물 수용 구획을 지시하며, 이들 부품 및 구성요소의 구성은 도 17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부호(130)는 본 발명의 콩나물 단부 정렬 부재로서의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를 지시한다. 이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30)는 2개의 풀리(131, 132) 사이에 감겨진 엔드리스 벨트(133)를 포함한다. 컨베이어(111)의 주행 방향은 백색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고, 그에 따라 컨베이어(111)는 도 18의 하측을 향해서 주행한다. 컨베이어(111)의 측부 가장자리에 대해, 풀리(132)는 풀리(131)보다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에 따라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30)는 이 컨베이어(130)의 풀리(132)측이 컨베이어(130)의 풀리(131)측보다 컨베이어(111)의 측부 가장자리에 더 근접하도록 컨베이어(111)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30)의 하류에는, 컨베이어(111)의 도면에 있어서 우측 가장자리와 풀리(132) 사이에 블레이드가 위치된 로터리 타입의 커터(117)가 배치되어 있다.
커터(117)의 하류에 있어서, 컨베이어(111)의 좌측에는 다른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40)는 2개의 풀리(141, 142) 사이에 감겨진 엔드리스 벨트(143)를 포함한다. 컨베이어(111)의 측부 가장자리에 대해, 풀리(142)는 풀리(141)보다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에 따라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40)는 이 컨베이어(140)의 풀리(142)측이 컨베이어(140)의 풀리(141)측보다 컨베이어(111)의 측부 가장자리에 더 근접하도록 컨베이어(111)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40)의 하류에는, 컨베이어(111)의 도면에 있어서 좌측 가장자리와 풀리(142) 사이에 블레이드가 위치된 로터리 타입의 커터(120)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8에 도시된 절단 장치에 의한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콩나물 정렬 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을 가지런히 한 콩나물은 콩나물의 길이방향을 도 18의 백색 화살표로 도시된 컨베이어(111)의 주행 방향에 수직인 상태로 하여 컨베이어(111)의 콩나물 수용 구획(113)내에 공급된다. 그에 따라, 콩나물은 컨베이어(111)에 의해 반송된다.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30)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콩나물이 오면, 컨베이어(111)의 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콩나물의 단부는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30)의 경사를 따라서 상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콩나물의 단부는 풀리(132)의 위치에서 가지런해진다. 그에 따라, 컨베이어(111)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거의 일정한 길이로 돌출하는 콩나물의 우측 단부는 하류의 커터(117)에 의해 절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 단부가 절단된 콩나물을 수용한 콩나물 수용 구획(113)이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40)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오면, 컨베이 어(111)의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콩나물의 단부는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40)의 경사를 따라서 상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콩나물의 단부가 풀리(142)의 위치에서 가지런해진다. 그에 따라, 컨베이어(111)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거의 일정한 길이로 돌출하는 콩나물의 좌측 단부는 하류의 커터(120)에 의해 절단된다. 이렇게 해서, 뿌리 부분과 싹 부분을 포함하는 양단부가 절단된 콩나물은 컨베이어(111)로부터 배출된다.
이상, 절단 장치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양단부 절제 공정에 사용되는 절단 장치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콩나물 수용 구획(113)은 수평으로 배치된 부재로서 설명했지만, 콩나물의 단부를 절단하는 도면에서의 우측 및 좌측에 하향으로 경사지거나 경사가능한 부재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하나의 예를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콩나물 수용 구획(113)은 상측, 우측 및 좌측이 개방된 상태의 트레이(150)로서 구성된다. 이 트레이(150)는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50)의 폭방향 중심부(151)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경사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트레이(150)는 절단될 콩나물의 단부측을 향해 경사시켜서, 콩나물의 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진 측에 용이하게 모여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절단될 단부의 정렬이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콩나물 수용 구획(113)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그 바닥부를 수용되는 콩나물이 길이방향으로 쉽게 정렬되도록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바닥부 단면 형상의 예로서, 도 20a에 도시된 V자형 종방향 홈(133-1), 도 20b에 도시된 U자형 종방향 홈(113-2) 및 도 20c에 도시된 사각형 종방향 홈(133-3)이 있다.
또,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콩나물 수용 구획내의 콩나물을 커터의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으로 수류(116, 119)가 설명되었지만, 수류 대신에, 콩나물을 커터의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콩나물 수용 구획내의 콩나물에 대해 분출되는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기 공급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8의 실시예에서도, 도 17의 절단 장치의 경우와 같이,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130, 140)를 향해서 수류 또는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물 공급 수단 또는 공기 공급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상, 도 1 내지 도 20의 장치는, 콩나물 선별 공정, 콩나물 정렬 공정 및 콩나물 단부 절제 공정의 3개 공정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경우에 있어서의 각 공정을 실행하는 장치로서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콩나물 선별 장치, 도 3, 도 4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콩나물 정렬 장치, 및 도 8 내지 도 11, 도 12 내지 16 및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콩나물 양단부 절제 장치는 수확된 콩나물의 상태 또는 형상이나 그 생육 상태에 따라 원하는 콩나물을 얻을 수 있도록 각각의 단일 공정 또는 3개의 공정중 2개의 공정의 조합을 실행하는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모든 설명은 취급 대상물이 콩나물인 것에 기초하고 있지 만, 본 발명은 콩나물 이외에도, 형상 및 물리적 특성이 콩나물과 유사한 범위내에서 각종의 식물 종자 또는 곡류의 싹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콩나물 선별 공정을 실시하는 콩나물 선별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B-B선에서 취한 단면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콩나물 선별 장치의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콩나물 정렬 공정을 실시하는 콩나물 정렬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B-B선에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콩나물 정렬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콩나물 정렬 공정을 실시하는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을 실시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에 제공되는 절단 컨베이어와 이송 바아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B-B선에서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C-C선에서 취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을 실시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3a는 A-A선에서 취한 단면도, 도 13b는 B-B선에서 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커터(60)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도 12의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16-16선에서 취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을 실시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공정을 실시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a 내지 도 19c는 도 17 및 도 18의 콩나물 수용 구획(11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a 내지 도 20c는 도 17 및 도 18의 콩나물 수용 구획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콩나물 선별 장치 6 : 바아 컨베이어
15 : 벨트 컨베이어 31, 32 : 홈 판
36, 46 : 가진기 43, 44 : 호퍼
50 : 컨베이어(체인 컨베이어) 58 : 벨트 컨베이어
60 : 콩나물의 양단부 절제 장치(절단 장치)
62 : 절단 컨베이어 63 : 커터
68 : 반송 컨베이어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복수개의 수용 구획이 횡으로 해서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늘어서 마련되고 좌우 측방으로 하강하는 방향으로 경사 가능하게 된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획에, 길이방향을 횡으로 가지런히 한 상태의 콩나물을 공급하고, 상기 수용 구획에 수류 등의 유체 흐름을 공급해서, 상기 수용 구획에 수납된 콩나물의 단부를 상기 수용 구획의 경사 하방으로 보내, 상기 컨베이어의 측부와 간격을 유지해서 배치된 단부 정렬 부재에 의해 가지런히 하고,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돌출된 단부를 커터로 절단한 후, 상기 컨베이어를 반대 방향으로 경사시키고, 미절단 단부를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단부 정렬 부재에 의해 가지런히 하여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길이방향을 횡으로 가지런히 한 상태의 콩나물을 수납하는 복수개의 수용 구획이 횡으로 해서 컨베이어 주행 방향으로 늘어서 마련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간격을 유지해서 배치되고 상기 수용 구획에 수납된 콩나물이 상기 수용 구획의 양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 단부를 가지런히 하는 콩나물 단부 정렬 부재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커터와, 상기 수용 구획으로 유체 흐름을 공급하는 유체 공급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가 양측으로 경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경사 이동에 의해 상기 수용 구획을 상기 각 콩나물 단부 정렬 부재를 향해서 하강하는 방향으로 경사시키고, 상기 돌출 단부를 상기 커터로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단부 정렬 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의 양 가장자리부와 각각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주행 방향측에서 상기 컨베이어에 근접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된 2개의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이며, 상기 커터가 상기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의 선단 근방에 배치된 상기 수용 구획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콩나물의 단부를 절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28. 삭제
  29.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단부 정렬 부재 또는 상기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를 상기 수용 구획의 양 가장자리를 향해서 진동시키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30.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가 폭방향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경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중심부 둘레의 경사 이동에 의해 상기 수용 구획을 상기 콩나물 단부 정렬 부재 또는 상기 콩나물 단부 정렬 컨베이어로 향해서 하강하는 방향으로 경사시키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31.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획에 수류를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수용 구획상에 발생된 수류에 의해 상기 수용 구획내의 콩나물이 단부를 절단하는 커터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32.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획에 공기류를 공급하는 공기류 공급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수용 구획상에 발생된 공기류에 의해 상기 수용 구획내의 콩나물이 단부를 절단하는 커터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KR1020070070425A 2006-07-14 2007-07-13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 및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KR100947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94651 2006-07-14
JP2006194648A JP5064733B2 (ja) 2006-07-14 2006-07-14 もやしの揃え供給装置
JPJP-P-2006-00194648 2006-07-14
JPJP-P-2006-00194654 2006-07-14
JP2006194654A JP2008017810A (ja) 2006-07-14 2006-07-14 もやしの両端部除去方法
JP2006194651A JP2008017807A (ja) 2006-07-14 2006-07-14 もやしの両端部除去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058A Division KR101220650B1 (ko) 2006-07-14 2009-04-01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
KR1020090028060A Division KR101220569B1 (ko) 2006-07-14 2009-04-01 콩나물 선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142A KR20080007142A (ko) 2008-01-17
KR100947413B1 true KR100947413B1 (ko) 2010-03-12

Family

ID=386692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425A KR100947413B1 (ko) 2006-07-14 2007-07-13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 및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KR1020090028058A KR101220650B1 (ko) 2006-07-14 2009-04-01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
KR1020090028060A KR101220569B1 (ko) 2006-07-14 2009-04-01 콩나물 선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058A KR101220650B1 (ko) 2006-07-14 2009-04-01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
KR1020090028060A KR101220569B1 (ko) 2006-07-14 2009-04-01 콩나물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11166A1 (ko)
EP (1) EP1878351A3 (ko)
KR (3) KR100947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070294A1 (it) * 2007-05-29 2008-11-30 Turatti Srl Macchina per la cimatura automatica di fagiolini.
GB2453923A (en) * 2007-09-18 2009-04-29 Everett Bros Enigineering Ltd Tipping and tailing machine for vegetables
KR100959501B1 (ko) * 2009-11-30 2010-05-26 이기동 콩나물 머리 절단장치
NL2008759C2 (nl) * 2012-05-05 2013-11-06 Gege Machb B V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snijden van producten.
ITRM20130225A1 (it) * 2013-04-15 2014-10-16 Turatti Srl Macchina per la ripulitura di frutta, in particolare di fragole e ravanelli.
CN109319392A (zh) * 2018-09-29 2019-02-12 广州市永合祥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废菜输送机构及蔬菜分拣装置
IT202000002224A1 (it) * 2020-02-05 2021-08-05 Tecno Ind Food S R L Macchina per il trattamento di prodotti vegetal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26Y1 (ko) * 1999-11-04 2000-05-15 김상구 콩나물 두부 절단기
KR200415838Y1 (ko) 2006-02-15 2006-05-08 이기만 콩나물 두절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72463A (fr) * 1913-08-05 1914-12-08 Andre De Blignieres Machine à couper les queues des haricots verts et autres légumes
US3682301A (en) * 1970-02-02 1972-08-08 Del Mont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elongated articles
FR2464034A1 (fr) * 1979-08-29 1981-03-06 Franck Et Van Remoortere Franc Dispositif pour couper les deux extremites de produits allonges, utile notamment a l'eboutage des haricots verts
US4367675A (en) * 1980-11-24 1983-01-11 A. Duda & Sons, Inc. Device for orienting and topping tapered vegetables
JPH02169410A (ja) * 1988-12-22 1990-06-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板状体搬送装置
JPH07114571A (ja) * 1993-10-15 1995-05-02 Hitachi Medical Corp 医用及び管理データの検索方法及び装置
JPH07194358A (ja) * 1993-12-28 1995-08-01 Takigawa Kogyo Co Ltd 芋の粒選別装置
JP3512961B2 (ja) 1996-11-01 2004-03-31 株式会社大生機械 もやしの根除去装置
JP4427123B2 (ja) 1999-04-06 2010-03-03 株式会社大生機械 もやし類の整列及び整列包装方法
US6544572B1 (en) 2002-04-15 2003-04-08 Salad Cosmo U.S.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vering roots and leaves of bean sprouts
US7105192B1 (en) * 2004-03-23 2006-09-12 Masahiro Nakada Method and apparatus for severing root of bean spro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26Y1 (ko) * 1999-11-04 2000-05-15 김상구 콩나물 두부 절단기
KR200415838Y1 (ko) 2006-02-15 2006-05-08 이기만 콩나물 두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569B1 (ko) 2013-01-10
KR20090040277A (ko) 2009-04-23
EP1878351A3 (en) 2008-10-01
KR20090040278A (ko) 2009-04-23
EP1878351A2 (en) 2008-01-16
US20080011166A1 (en) 2008-01-17
KR20080007142A (ko) 2008-01-17
KR101220650B1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650B1 (ko)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
CN101524183B (zh) 豆芽两端部分去除方法和用于此的豆芽处理装置
KR100957745B1 (ko) 마늘줄기 절단장치
JP2008017810A (ja) もやしの両端部除去方法
KR20200043086A (ko) 콩나물 선별장치
AU7669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lustering cherries
WO2009092500A1 (en) Machine for automatic selection of destalked grapes
JP2008104360A (ja) もやしの両端部除去装置
US1617909A (en) Machine for pitting drupaceous fruits
US3304973A (en) Mushroom end cutter
JP4866167B2 (ja) もやしの両端部除去装置
RU2340266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обоих концевых участков ростков бобов и устройства обработки ростков бобов,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этого
US70336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lustering cherries
JP2008017806A (ja) もやしの両端部除去装置
JP2003093032A (ja) もやし類の水切り方法及び水切り装置
JPH11290051A (ja) 除根機
JP2001204225A (ja) 葉菜類用コンベヤおよび葉菜類収穫機
JP2008017807A (ja) もやしの両端部除去装置
EP0296931B1 (fr) Décrotteur pour produits délicats, du genre racines, tubercules, bulbes
US1663409A (en) Cane stripping and topping- machine
WO2000069290A1 (en) Tobacco cutting method and system
KR20060081545A (ko) 콩나물류의 정제겸용 물기 제거 장치
NZ202440A (en) Machine for topping and tailing onions
JPH0568524A (ja) 根菜用調製機における除去物の収集構造
JP2001204224A (ja) 葉菜類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