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611B1 -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 컴퓨터의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 컴퓨터의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611B1
KR100946611B1 KR1020077026761A KR20077026761A KR100946611B1 KR 100946611 B1 KR100946611 B1 KR 100946611B1 KR 1020077026761 A KR1020077026761 A KR 1020077026761A KR 20077026761 A KR20077026761 A KR 20077026761A KR 100946611 B1 KR100946611 B1 KR 10094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pace
environmental sound
information processing
are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974A (ko
Inventor
히로마사 가네코
마사키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80002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3F13/1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7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during game play, e.g. by e-mail or chat
    • A63F13/1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4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coustic signals, e.g. for simulating revolutions per minute [RPM] dependent engine sounds in a driving game or reverberation against a virtual wal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2Communication between players during game play of non game information, e.g. e-mail, chat, file transfer, streaming of audio and streaming of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 A63F2300/6081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generating an output signal, e.g. under timing constraints, for spatial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가상 공간에서의 보이스 채팅의 임장감을 높인다.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부 (60) 와,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부 (66) 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부 (64) 와, 영역 특정부 (64) 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을 환경음 기억부 (66) 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여,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부 (68) 를 포함한다.
가상 공간, 사용자 음성 합성, 환경음 기억 수단

Description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 컴퓨터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USER SPEECH SYNTHESIZER, VIRTUAL SPACE SHARING SYSTEM, COMPUTER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 컴퓨터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 공간의 원격지에서 발하여지는 음성을, 임장감 (臨場感) 을 갖도록 합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가상 공간 내에서 사용자끼리 보이스 채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게임과 조합되어, 게임의 취향성을 높이는 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보이스 채팅의 임장감을 높이기 위해, 하기 특허 문헌 1 과 같이, 가상 공간 내에서의 각 발언자의 위치 관계에 따른 음상정위 (音像定位) 처리를 포함한 믹싱을 모두 실시한 음성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44487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가상 공간에서의 트랜시버나 전화 등에 의한 회화, 즉 원격지 간의 보이스 채팅에 있어서의 음성은, 통화자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게임에 있어서 플레이어가 현실 세계로부터 벗어나 가상 세계에 빠져들 수 있을 정도의 임장감을 연출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상 공간의 원격지에서 발하여지는 음성을, 임장감을 갖도록 합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 컴퓨터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1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 수단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과,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을 상기 환경음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고,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컴퓨터 (예를 들어 가정용 게임기, 업무용 게임기, 휴대 전화기, 휴대용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 (PDA),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등이다. 이하, 동일.) 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에 사용되는 컴퓨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단계와,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영역 특정 단계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을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고,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 기억 매체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에 사용되는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 수단,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 수단,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 및,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에 관련된 환경음을 상기 환경음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고,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이다. 정보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CD-ROM, DVD-ROM, ROM 카트리지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은,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 수단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과,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에 관련된 환경음을 상기 환경음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고,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가상 공간이 공유된다. 이 가상 공간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는 게임 공간이어도 된다. 그리고, 이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이 기억된다. 환경음은, 대응되는 가상 공간의 영역에 관계되는 소리이며,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가상 공간에 형성된 산악 지역에 대응시켜 새의 지저귐이 기억되거나, 도시에 대응시켜 교통음 (차량의 통행음이나 클락션음) 이 기억되거나, 해안에 대응시켜 파도 소리가 기억되거나 한다. 그리고,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이 특정되면, 이 영역에 대응하는 환경음을 환경음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환경음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진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가 합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진 음성을, 그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과 함께 재생할 수 있게 되므로, 가상 공간의 원격지에서 발하여지는 음성을, 임장감을 갖도록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접속되고, 상기 음성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합성 음성 데이터 송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합성 음성 데이터가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송화측과 수화측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송화측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진 음성을, 그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과 함께 재생할 수 있게 되므로, 가상 공간의 원격지에서 발하여지는 음성을, 임장감을 갖고 수화측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상기 다른 하나를 식별하는 전송처 식별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상기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전송처 식별 데이터 수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 송신 수단은, 상기 전송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송화측은 지정된 수화측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송화측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진 음성 을, 그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과 함께 재생할 수 있게 되므로, 가상 공간의 원격지에서 발하여지는 음성을, 임장감을 갖고 수화측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위치 좌표를 취득하는 위치 좌표 취득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영역 특정 수단은, 상기 위치 좌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좌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은, 사용자의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진 음성을, 그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에 관련된 환경음과 함께 재생할 수 있게 되므로, 가상 공간의 원격지에서 발하여지는 음성을 임장감을 갖도록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식별하는 영역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역 식별 데이터 수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영역 특정 수단은, 수신되는 상기 영역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송화측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은, 송화측의 정보 처리 장치가 특정한 영역을 수신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화측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진 음성을, 수신된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과 함께 재생할 수 있게 되므로, 가상 공간의 원격지에서 발하여지는 음성을, 임장감을 갖고 합성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가 사용된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을 적용한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게임기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게임에 있어서, 가상 공간의 영역 구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게임기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서버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가상 공간 상의 영역 ID 와 사운드 ID 를 대응시킨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게임기 간의 음성 전달의 시퀀스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게임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게임기 간의 음성 전달의 시퀀스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가 사용된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을 적용한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은, 게임기 (1-1∼1-n) (n 은 자연수) 및 서버 (1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게임기 (1-1∼1-n) 와 서버 (10) 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20) 를 통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버 (10) 에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를 적용하는 것으로 하지만, 게임기 (1) 가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플레이어가 참가할 수 있는 네트워크 게임이 실행된다. 이 네트워크 게임에 있어서는, 각 플레이어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는 동일한 가상 공간에 존재하고, 그 가상 공간에 있어서, 복수의 게임 캐릭터가 경쟁하거나 협력하거나 하여 게임을 진행시켜 나간다. 이 때문에, 게임기 (1-1∼1-n) 간에 가상 공간이 공유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네트워크 게임에 있어서는, 각 플레이어가 보이스 채팅을 통해서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플레이어가 게임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거나, 팀으로서 함께 행동을 취하거나 할 수 있어, 게임의 취향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게임기 (1)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네트워크 (20) 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게임기 (1) 와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게임을 실행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게임기 (1-1∼1-n) 중 어느 것에나 적용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게임기 (1) 에 관한 사항으로서 설명한다.
게임기 (1) 에는, 도시하지 않는 컨트롤러가 접속되고, 게임의 실행에 있어서는, 플레이어는 컨트롤러에 의해 여러 가지 지시 조작을 실시하고, 자기의 가상 공간에서의 위치 좌표를 이동시키거나 여러 가지 명령을 하거나 한다. 또, 게임기 (1) 의 디스플레이에는 플레이어에게 필요한 게임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게임기 (1) 의 플레이어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에 종동 (從動) 하는 시점으로부터 가상 공간을 본 모습을 나타내는 화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또, 게임기 (1) 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컴퓨터) 이면 되고, 예를 들어, 가정용 게임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게임기,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이어도 된다. 또한, 통신 기능은 유선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이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서버 (10)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를 적용한 서버이며, 예를 들어 공지된 서버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서버 (10) 는, 네트워크 (20) 를 통하여 통신 접속되는 게임기 (1-1∼1-n) 와 여러 가지 정보의 입출력을 실시하면서 네트워크 게임을 제어한다. 서버 (10) 는, 각 게임기 (1) 로부터 플레이어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의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위치 좌표나 방향을 수신하고, 각 게임기 (1) 에 대해서, 그 밖의 플레이어의 게임 캐릭터의 위치 좌표나 방향을 송신하고, 가상 공간을 서버 (10) 에 액세스한 게임기 (1-1∼1-n)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가상 공간은, 예를 들어 토지, 건축물, 그 외 다종 다양한 오브젝트에 의해 정의되고, 이들 정보는 게임 프로그램 중의 게임 데이터에 포함된다. 상기의 게임에 있어서 플레이어는, 서버 (10) 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공간에 자신에 상당하는 게임 캐릭터를 배치하고, 그 게임 캐릭터를 움직임으로써, 마치 자신이 가상 공간에 있는 것과 같은 감각을 즐길 수 있다. 또, 서버 (10) 는, 각 게임기 (1) 와 통신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정보나 각 게임기 (1) 에 대응하는 게임 데이터 등을 유지하고, 복수 참가형의 네트워크 게임의 관리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버 (10) 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관리 (DHCP 서버의 역할 등), 각 게임기 플레이어의 게임 데이터의 관리, 시간의 관리, 게임으로의 참가·탈퇴의 관리 등을 실시한다.
도 2 는, 게임기 (1) 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게임기 (1) 는, 프로세서 (30), 메모리 (32), 그래픽 인터페이스 (34), 사운드 컨트롤러 (3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및 디스크 드라이브 (39) 가 버스 (46) 에 의해 상호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는, 네트워크 (20) 를 통하여 다른 게임기 (1) 나 서버 (10) 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그래픽 인터페이스 (34) 는, 디스플레이 (40) 와 접속되고, 디스플레이 (40) 에는 게임 화상이 출력된다. 사운드 컨트롤러 (36) 는 마이크 (42) 로부터 게임 플레이어의 음성 입력을 받아, 이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음성 데이터는, 네트워크 (20) 를 통하여 서버 (10) 또는 다른 게임기 (1) 에 송신된다. 또한, 사운드 컨트롤러 (36) 는, 네트워크 (20) 를 통하여 수신되고, 예를 들어 메모리 (32) 에 일차 기억되는 음성 데이터에 따라, 음성을 스피커 (44) 로부터 출력한다. 디스크 드라이브 (39) 는, DVD-ROM (41) 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판독 출력하고, 프로세서 (30) 나 메모리 (32) 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D-ROM 이나 DVD-ROM 등의 컴퓨터 판독할 수 있는 정보 기억 매체에 게임 프로그램이나 게임 데이터가 기억되고, 그들이 적절하게 메모리 (32) 에 판독 입력되는 것으로 하지만, 네트워크 (20) 이외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로부터 다운로드된 게임 프로그램이나 게임 데이터가 메모리 (32) 에 저장되도록 해도 된다.
프로세서 (30) 는, 도시하지 않는 ROM 에 저장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디스크 드라이브 (39) 에 의해 판독되는 DVD-ROM (41) 또는 메모리 (32) 로부터 판독 출력되는 게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게임기 (1) 의 각 부를 제어한다. 버스 (46) 는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게임기 (1) 의 각 부에서 주고받기 위한 것이다. 또, 메모리 (32) 에는, 메모리 (32) 로부터 판독되는 게임 프로그램이나 게임 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기록되고, 또 프로세서 (30) 의 작업용으로서도 사용된다. 그래픽 인터페이스 (34) 는 VRAM (Video Random Access Memory)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 (30) 로부터 보내지는 화상 데이터를 수취하여, VRAM 상에 게임 화면을 묘화함과 함께,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 (40) 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40) 는, CRT, 컬러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DLP 방식 프로젝터, 내장 디스플레이, 가정용 TV 수상기 등 임의의 표시 수단이어도 된다.
사운드 컨트롤러 (36) 는, 마이크 (42) 로부터의 음성 입력과 스피커 (44) 로의 음성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마이크 (42) 나 스피커 (44) 는, 게임기 (1) 본체에 내장되어 있어도 되고, 외부 접속으로 해도 된다. 또, 디스플레이 스피커로서 가정용 TV 수상기를 사용하는 경우, 스피커 (44) 는 그 내장 스피커이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는, 공지된 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고,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것을 포함한다.
도 3 은, 서버 (10) 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 에 나타내는 서버 (10) 는, 프로세서 (30), 메모리 (3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및 디스크 드라이브 (39) 가 버스 (46) 에 의해 상호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3 에 있어서의 하드웨어는 도 2 에 있어서의 게임기 (1) 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프로세서 (30) 는, 도시하지 않는 ROM 에 저장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디스크 드라이브 (39) 에 의해 판독되는 DVD-ROM (41) 또는 메모리 (32) 로부터 판독 출력되는 게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서버 (10) 의 각 부를 제어한다. 버스 (46) 는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서버 (10) 의 각 부에서 주고받기 위한 것이다. 또, 메모리 (32) 에는, 메모리 (32) 로부터 판독되는 게임 프로그램이나 게임 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기록되고, 또 프로세서 (30) 의 작업용으로서도 사용된다. 디스크 드라이브 (39) 는, DVD-ROM (41) 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판독 출력하고, 프로세서 (30) 나 메모리 (32) 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게임에 있어서, 가상 공간의 영역 구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에서는, 게임 플레이어끼리 가상 공간 상에서의 보이스 채팅을 실시하는 장면을 상정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각 게임 플레이어는, 대전 상대나, 단체전의 협력자를 발견할 수 있고, 또 다양한 정보 교환, 교류가 가능해진다. 도 4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게임의 한 장면에 있어서, 각각의 게임기에서 게임을 실행하고 있는 플레이어 (P1∼Pn) 가 가상 공간 상에 존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선으로 구분되는 가상 공간의 각 영역은, 가상 공간을 4 개로 분할한 영역이지만, 그 이외의 기준에 근거한 범위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상 공간 상에 있어서의 좌표의 범위, 주위 환경 (토지, 건축물, 그 외 다종 다양한 오브젝트 등) 의 속성, 플레이어의 좌표 위치로부터의 거리 등의 기준에 기초하여 나누어지는 영역이어도 된다.
상기의 네트워크 게임에 있어서는, 통상, 장면 혹은 캐릭터가 취한 행동에 맞추어, 연출을 위한 효과음이 출력된다. 효과음은, 예를 들어, 바람의 소리나 충돌음 등이고, 이들은, 게임의 임장감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음성을 발한 타이밍이, 이러한 효과음의 출력 타이밍과 겹쳤을 경우에, 음성과 효과음은 합성되어 출력된다. 즉, 예를 들어, 강풍의 장면에서는, 바람의 소리와 플레이어의 소리가 겹쳐 들리게 되지만, 이 경우에는, 바람 소리의 비중을 크게 함으로써, 캐릭터의 음성이 바람의 소리에 지워져 잘 안들리게 되도록 한다는 규칙으로 합성된다. 음성을 합성할 때의 규칙은, 현실 세계와 유사하게 들리게 되는 규칙으로 해도 되고, 가상 세계 특유의 비현실적으로 들리게 되는 규칙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1 과 P2, P1 과 P3 이 채팅하는 경우에 대해 이하에 서술한다. P1 과 P2 의 보이스 채팅에 있어서는, P1 과 P2 의 거리는 가깝고 동일한 영역에 있기 때문에, P1 과 P2 의 환경음은 동일해도 된다. 한편,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1 과 P3 이 서로 원격지에 있는 상황에서, P1 로부터 P3 에 트랜시버에 의한 보이스 채팅을 하는 경우에서는, P1 과 P3 의 보이스 채팅에 있어서 합성하는 환경음은, 하나가 아니다. 즉, 상기 P1 과 P3 의 트랜시버에 의한 보이스 채팅의 임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P3 은 P1 주위의 소리와 자기 주위의 소리가 합성되어 들리는 것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가상 공간 상에서의 원격지 간의 보이스 채팅에서는, 서로의 환경음을 전달하는 것이 임장감을 높이는 데 있어서 필요하다. 그러나, 환경음 자체를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것으로 하면, 네트워크 부하가 높아져 다수 참가형의 네트워크 게임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환경음 자체를 네트워크 상을 전송시키지 않고, 게임 플레이어의 가상 공간 내의 영역 정보에 환경음을 대응시키고, 각 게임 플레이어의 환경음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를 억제하고 있다.
이상의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게임기 (1) 및 서버 (10) 가 구비해야 하는 기능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도 5 에 게임기 (1) 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임기 (1) 는, 게임 실행부 (50), 음성 데이터 발신부 (52), 전송처 식별 데이터 발신부 (54) 및 합성 음성 데이터 수신부 (56)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게임 실행부 (50) 는, 네트워크 게임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게임의 실행을 실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실행부 (50) 는, 게임기 (1) 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실현된다. 게임기 (1) 는, 플레이어의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여, 서버 (10) 에 대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플레이어의 게임 데이터나 명령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게임기 (1) 는, 서버 (10) 에 있어서 처리된 데이터, 예를 들어 가상 공간의 정보, 다른 플레이어의 위치, 이벤트 발생 등의 게임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 (30) 는, 수신된 정보와 보유하는 게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 프로그램을 처리하고, 디스플레이 (40) 에 그래픽 인터페이스 (34) 에 의해 묘화된 사용자의 시점에 기초하는 가상 공간의 일부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한다.
음성 데이터 발신부 (52) 는, 게임기 (1) 를 조작하는 플레이어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10) 에 발신하는 것이다. 음성 데이터 발신부 (52) 는, 게임기 (1) 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실현된다. 사운드 컨트롤러 (36) 는, 마이크 (42) 에서 입력된 플레이어가 발생한 음성을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프로세서 (30) 는, 상기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를 통하여, 서버 (10) 에 대해서 송신한다.
전송처 식별 데이터 발신부 (54) 는, 음성 데이터 발신부 (52) 에 의해 서버에 발신된 음성 데이터의 최종적인 전송처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서버 (10) 에 대해서 발신하는 것이다. 식별 정보는, 전송처의 어드레스,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상의 식별자, 게임 상에서의 플레이어에 대응하는 식별자 등이며, 전송처의 게임기 (1) 나 그 플레이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음성 데이터 수신부 (56) 는, 서버 (10) 로부터 발신된 합성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합성 음성 데이터는, 서버에 있어서 합성 처리된 음성 데이터인데,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합성 음성 데이터 수신부 (56) 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6 에 서버 (10) 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 (10) 는, 게임 제어부 (58), 음성 데이터 취득부 (60), 전송처 식별 데이터 수신부 (62), 영역 특정부 (64), 환경음 기억부 (66), 환경음 합성부 (68) 및 합성 음성 데이터 발신부 (7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게임 제어부 (58) 는,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에 접속되는 게임기 (1) 와 여러 가지의 입출력을 실시하면서 네트워크 게임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다. 게임 제어부 (58) 는, 각 게임기 (1) 의 플레이어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의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위치 좌표를 취득하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 좌표 취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게임 제어부 (58) 는, 서버 (10) 의 프로세서 (30) 가, 디스크 드라이브 (39) 를 통하여 판독 출력한 DVD-ROM (41) 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 (10) 의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상기의 위치 좌표 취득부는, 서버 (10) 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실현된다. 서버 (10) 는, 메모리 (32) 상에 게임 플레이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가상 공간의 위치 좌표를 기억한 테이블을 저장한다. 그리고, 게임기 (1) 로부터 플레이어 위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가 보내져 오면, 프로세서 (30) 는 그 신호의 발신원의 게임기 (1) 에 대응하는 플레이어의 위치 좌표를 상기 테이블로부터 취득하고, 수신된 신호가 나타내는 이동량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플레이어의 위치 좌표의 값을 갱신한다.
음성 데이터 취득부 (60) 는, 게임기 (1) 로부터 발신된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데이터 취득부 (60) 는, 게임기 (1) 의 음성 데이터 발신부 (52) 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송처 식별 데이터 수신부 (62) 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최종적인 전송처의 게임기 (1) 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전송처 식별 데이터 수신부 (62) 는, 게임기 (1) 의 전송처 식별 데이터 발신부 (54) 에 의해 발신되는 전송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역 특정부 (64) 는, 게임 플레이어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특정부 (64) 는 게임기 (1) 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실현된다. 서버 (10) 는, DVD-ROM (41) 에 포함되는 게임 데이터인 가상 공간의 위치 좌표의 범위와 영역 정보의 대응 테이블을 디스크 드라이브 (39) 를 통하여 판독 출력하여 메모리 (32) 상에 기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 (30) 가, 메모리 (32) 상에 기억되는 게임 플레이어의 가상 공간에서의 위치 좌표와 상기의 테이블을 대비하여, 플레이어가 위치하고 있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버 (10) 가 영역 특정부 (64) 를 갖는 것으로 하지만, 각 게임기 (1) 가 영역 특정부 (64) 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각 게임기 (1) 가 특정한 게임 플레이어의 영역을 서버 (10) 가 수신하여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환경음 기억부 (66) 는,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환경음 기억부 (66) 는, 가상 공간 상의 영역과 음성 정보를 대응시킨 테이블을 유지한다. 상기의 테이블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 공간 상의 영역 ID 와 사운드 ID 를 대응시킨 테이블이다. 상기의 테이블은, DVD-ROM (41) 에 저장된 게임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7 의 영역 ID 란, 가상 공간 상에서의 영역을 식별하는 정보이며, 영역 특정부 (64) 에 있어서의 영역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 음성 정보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운드 ID 를 지정하는 것이어도 되고, 사운드 파일을 직접 지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서버 (10) 가 상기의 테이블을 유지해 둠으로써, 게임기 (1) 로부터 환경음 자체의 송수신에 의존하지 않고, 각 플레이어의 영역을 특정함으로써 합성해야 하는 환경음을 얻을 수 있다.
환경음 합성부 (68) 는, 영역 특정부 (64) 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을 환경음 기억부 (66) 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음성 데이터 취득부 (60) 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믹싱 비율로 합성하여, 합성 음 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환경음 합성부 (68) 는, 서버 (10) 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실현된다. 프로세서 (30) 는, 음성 데이터의 발신원의 플레이어의 영역과, 수신된 전송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처의 플레이어의 영역에 기초하여, 메모리 (32)(환경음 기억부 (66)) 를 참조하고, 음성 데이터 발신원의 플레이어 주위의 환경음 및 전송처의 플레이어 주위의 환경음을 취득한다. 그리고, 상기의 음성 데이터 발신원과 전송처의 2 개의 환경음과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믹싱 비율로 합성 처리하여,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의 믹싱 비율이란,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의 대표 위치와, 사용자의 가상 공간에서의 위치 좌표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합성 음성 데이터 발신부 (70) 는, 전송처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게임기 (1) 에 대해서, 환경음 합성부 (68) 에서 합성한 합성 음성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음성 데이터 발신부 (70) 는, 서버 (10) 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실현된다. 프로세서 (30) 는, 수신된 전송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모리 (32) 를 참조하고, 전송처 게임기 (1) 의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 (30) 는, 취득한 어드레스에 합성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를 통하여 발신한다. 이 합성 음성 데이터 발신부 (70) 에서 발신된 합성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게임기 (1) 에 있어서는, 그 합성된 음성을 스피커 (44) 에서 출력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게임기 동작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게임기 간의 음성 전달의 순서도이다. 도 8 은, 게임기 (1-1) (P1) 로부터 게임기 (1-3) (P3) 으로 가상 공간에서의 트랜시버 등에 의한 원격지 간 통화를 실시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P1 은 게임기 (1-1) 에서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고, P3 은 게임기 (1-3) 에서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게임기 (1-1) 는, 서버 (10) 에 대해서, P1 이 발한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한다 (S101). 이 때, 게임기 (1-1) 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처를 P3 으로 지정하여 음성 데이터를 송신한다.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 (10) 에서는, P1 과 P3 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P1 과 P3 의 가상 공간에서의 영역을 특정한다 (S102). 그리고, 서버 (10) 는, 특정한 P1 과 P3 의 영역에 기초하여, 영역과 환경음이 대응지어진 환경음 기억부 (66) 의 테이블을 참조하고, P1 의 환경음, P3 의 환경음을 취득하고 (S103), 그들의 환경음과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믹싱 비율로 합성 처리하여 (S104),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 (10) 는, 그 합성 음성 데이터를 게임기 (1-3) 에 대해서 송신한다 (S105). 게임기 (1-3) 는, 서버 (10) 로부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S106), 수신된 합성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 (44) 를 통하여 게임 플레이어에 대해서 출력한다 (S107).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게임기 (1) 에 있어서 다른 게임기 (1) 로부터 수신된 음성의 합성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게임기 (1) 의 기능 블록도이 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게임기 (1) 는, 음성 발신측의 기능 및 수신측의 기능 양방을 갖는 것으로 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임기 (1) 는, 기능적으로는, 게임 실행부 (50), 음성 데이터 발신부 (52), 음성 데이터 취득부 (60), 영역 특정부 (64), 환경음 기억부 (66), 환경음 합성부 (68), 영역 식별 데이터 발신부 (72) 및 영역 식별 데이터 수신부 (74)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 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번호가 붙여져 있는 기능 블록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영역 식별 데이터 발신부 (72) 및 영역 식별 데이터 수신부 (74) 에 대해 설명한다.
영역 식별 데이터 발신부 (72) 는, 영역 특정부 (64) 에 의해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식별하는 영역 식별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이다. 영역 식별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의 발신측이 영역 특정부 (64) 에 의해 특정된 영역을, 음성 데이터의 수신측에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이며, 가상 공간에서의 영역이 일의 (一意) 로 정해지는 정보이면 된다. 영역 식별 데이터 발신부 (72) 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역 식별 데이터 수신부 (74) 는, 음성 데이터 발신원의 게임기 (1) 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식별하는 영역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영역 식별 데이터 수신부 (74) 는, 음성 데이터 발신원의 게임기 (1) 의 영역 식별 데이터 발신부 (72) 에 의해 발신되는 영역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게임기 (1) 간의 음성 전달의 순서도이다. 도 10 은, 게임기 (1-1) (P1) 으로부터 게임기 (1-3) (P3) 으로 가상 공간에서의 트랜시버 등에 의한 원격지 간 통화를 실시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게임기 (1-1) 는 서버 (10) 에 음성의 송신처인 게임기 (1-3) 의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등) 를 요구하고 (S101), 서버 (10) 로부터 응답을 받으면 (S102), 수취한 게임기 (1-3) 의 어드레스를 향하여, P1 의 영역 식별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송신한다 (S103). 게임기 (1-3) 에서는, P1 의 영역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과, P3 의 영역에 기초하여, 영역과 환경음이 대응지어진 환경음 기억부 (66) 로부터, P1 의 환경음 및 P3 의 환경음을 취득한다 (S104). 그리고, 그들의 환경음과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믹싱 비율로 합성 처리를 실시하고 (S105), 그 합성 음성을 스피커를 통하여 게임 플레이어에 대해서 출력한다 (S106).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에 의하면, 네트워크 부하를 높이지 않고, 가상 공간의 원격지에서 발하여지는 음성을, 임장감을 갖도록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의 발신원와 수신처가 1 대 1 로 대응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임기가 다수 있어도 된다.

Claims (9)

  1.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다른 하나에 합성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합성 음성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 및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다른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과,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각각의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을 상기 환경음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접속되고,
    상기 음성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 송신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합성 음성 데이터가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상기 다른 하나를 식별하는 전송처 식별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상기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전송처 식별 데이터 수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 송신 수단은, 상기 전송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위치 좌표를 취득하는 위치 좌표 취득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영역 특정 수단은, 상기 위치 좌표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좌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상기 하나 및 상기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각각의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식별하는 영역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역 식별 데이터 수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영역 특정 수단은, 수신되는 상기 영역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6.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에 사용되는 컴퓨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 단계와,
    상기 사용자 및 합성 음성 데이터가 송신되는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다른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단계와,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영역 특정 단계에 의해 특정되는 각각의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을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제어 방법.
  7.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에 사용되는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 수단,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다른 하나에 합성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합성 음성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 수단,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 및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다른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 및,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각각의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을 상기 환경음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
  8.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다른 하나에 합성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합성 음성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 및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다른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과,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각각의 영역에 관련된 환경음을 상기 환경음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
  9.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발하여지는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성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영역의 각각에 관련지어 환경음을 기억하는 환경음 기억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과,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각각의 영역에 관련지어진 환경음을 상기 환경음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되는 환경음과 상기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음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KR1020077026761A 2005-06-08 2006-06-07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 컴퓨터의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KR100946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7803A JP2006343447A (ja) 2005-06-08 2005-06-08 仮想空間共有システム及び仮想空間共有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JP-P-2005-00167803 2005-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74A KR20080002974A (ko) 2008-01-04
KR100946611B1 true KR100946611B1 (ko) 2010-03-09

Family

ID=3749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761A KR100946611B1 (ko) 2005-06-08 2006-06-07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 컴퓨터의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19388B2 (ko)
JP (1) JP2006343447A (ko)
KR (1) KR100946611B1 (ko)
CN (1) CN101189048B (ko)
CA (1) CA2609743A1 (ko)
TW (1) TWI298640B (ko)
WO (1) WO2006132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6805B2 (ja) * 2008-01-16 2014-12-24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オンラインゲームサーバ、オンライン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オンラインゲームプログラム
JP2010035978A (ja) * 2008-08-08 2010-02-18 Sega Corp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US8498426B2 (en) * 2008-08-18 2013-07-30 Voyetra Turtle Beach, Inc Headphone system for computer gaming
US8811629B1 (en) 2013-09-09 2014-08-19 Voyetra Turtle Beach, Inc. Automatic volume control for combined game and chat audio
US10277683B2 (en) * 2009-03-16 2019-04-30 Apple Inc. Multifunctional devices as virtual accessories
US9117451B2 (en) * 2013-02-20 2015-08-25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haring of adapted voice profiles
US8994781B2 (en) 2013-03-01 2015-03-31 Citrix Systems, Inc. Controlling an electronic conference based on detection of intended versus unintended sound
CN104133652B (zh) * 2014-06-10 2016-02-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控制方法,及终端
JP6174548B2 (ja) * 2014-11-06 2017-08-02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オンラインゲームサーバ、オンライン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用プログラム
US9558760B2 (en) * 2015-03-06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al-time remodeling of user voice in an immersive visualization system
JP6217682B2 (ja) * 2015-03-27 2017-10-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511807B2 (en) 2015-12-11 2019-12-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751919B2 (ja) * 2016-04-07 2020-09-09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ソーシャルメディア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7832001B (zh) * 2017-11-17 2020-07-1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744498B (zh) * 2018-05-17 2021-05-07 武汉微派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双vr设备的虚拟游戏快速启动方法
US11151334B2 (en) * 2018-09-26 2021-10-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lingual text generation field
US11399229B2 (en) * 2020-07-09 2022-07-26 Qualcomm Incorporated Audio control for extended-reality shared space
KR102369740B1 (ko) 2020-09-21 2022-03-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궁경부암 조기진단을 위한 모바일 질확대경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433A (ja) * 2003-03-07 2004-09-30 Namco Ltd 音声チャット機能を提供する情報処理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6051A (en) * 1989-12-07 1991-06-25 Qsound Ltd. Sound imaging apparatus for a video game system
ZA943336B (en) * 1993-05-19 1995-08-11 Menashe Julian Interactive computerised gaming system with remote terminals
US5736982A (en) * 1994-08-03 1998-04-0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Virtual space apparatus with avatars and speech
US5674127A (en) * 1995-03-07 1997-10-07 Habilas, Inc. Multisite multiplayer interactive electronic entertainment system having a partially player defined universe
US5556107A (en) * 1995-06-15 1996-09-17 Apple Computer, Inc. Computer game apparatus for providing independent audio in multiple player game systems
US6106399A (en) * 1997-06-16 2000-08-22 Vr-1, Inc. Internet audio multi-user roleplaying game
JP2000112485A (ja) * 1998-10-08 2000-04-21 Konami Co Ltd 背景音制御装置、背景音制御方法、背景音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可読記録媒体及びビデオゲーム装置
US6241612B1 (en) 1998-11-09 2001-06-05 Cirrus Logic, Inc. Voice communication during a multi-player game
JP2000244487A (ja) * 1999-02-18 2000-09-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多人数参加型仮想空間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1204973A (ja) * 2000-01-27 2001-07-31 Snk Corp 通信ゲームシステム及び通信ゲームに使用されるゲーム端末並びにゲーム方法
JP2001334065A (ja) * 2000-03-21 2001-12-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記憶媒体および天候決定方法
US6784901B1 (en) * 2000-05-09 2004-08-31 There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he delivery of a chat message in a 3D multi-user environment
JP3607952B2 (ja) * 2000-11-17 2005-01-05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チャットルーム開設方法およびチャットルーム開設装置
JP2002176510A (ja) * 2000-12-06 2002-06-21 Mitsubishi Materials Corp 音声通信装置と支援装置、および記録媒体
AU2003236324A1 (en) * 2002-04-08 2003-10-20 Kabushiki Kaisha Eighting Network game method, network game terminal, and server
US6935959B2 (en) * 2002-05-16 2005-08-30 Microsoft Corporation Use of multiple player real-time voice communications on a gaming device
US7371175B2 (en) * 2003-01-13 2008-05-13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audio communications in an interactive environment
US7828657B2 (en) * 2003-05-20 2010-11-09 Turbine,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 in a massively multiplayer game
US20050256877A1 (en) * 2004-05-13 2005-11-17 David Searles 3-Dimensional realm for internet shopping
US7491123B2 (en) * 2004-07-29 2009-02-17 Nintendo Co., Ltd. Video game voice chat with amplitude-based virtual rang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433A (ja) * 2003-03-07 2004-09-30 Namco Ltd 音声チャット機能を提供する情報処理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43447A (ja) 2006-12-21
KR20080002974A (ko) 2008-01-04
CN101189048B (zh) 2011-05-25
TWI298640B (en) 2008-07-11
CN101189048A (zh) 2008-05-28
TW200714324A (en) 2007-04-16
WO2006132276A1 (ja) 2006-12-14
US20100145701A1 (en) 2010-06-10
CA2609743A1 (en) 2006-12-14
US8219388B2 (en)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611B1 (ko) 사용자 음성 합성 장치, 가상 공간 공유 시스템, 컴퓨터의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US8285257B2 (en) Emotion recognition message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and message storage server therefor
US8380127B2 (en)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for performing locally collaborative operations
JP2004267433A (ja) 音声チャット機能を提供する情報処理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4128614A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3006132A (ja) 音声を用いたチャット装置、チャットプログラムおよびチャット方法
CN109478342B (zh) 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系统
JP2007188310A (ja) 仮想チャット空間システム、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22826A (ja) オンライン会話システム、オンライン会話用サーバ、オンライン会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88378B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配信装置、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6327835A (ja) 通信ゲーム装置および通信ゲーム管理装置
JP5491590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
US20130014022A1 (en)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JP5059901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
CN111462335B (zh) 基于虚拟对象交互的设备控制方法及装置、介质和设备
CN205004029U (zh) 阵列式声音掩蔽器
JP4997022B2 (ja) 仮想空間提供サーバ及びシステム
JP2007080033A (ja) 携帯端末の画像表示方法及び携帯端末の画像表示システム
JP6792666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130270A (ko) 가상현실 관전 모드를 이용한 게임 방송 시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3296471B2 (ja) 音場制御方法および装置
WO2018135393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ゲーム画音生成方法
JP2021005347A (ja) 空間再現方法及び空間再現システム
KR102090009B1 (ko) 3차원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JP2005192878A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