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095B1 -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095B1
KR100946095B1 KR1020090054470A KR20090054470A KR100946095B1 KR 100946095 B1 KR100946095 B1 KR 100946095B1 KR 1020090054470 A KR1020090054470 A KR 1020090054470A KR 20090054470 A KR20090054470 A KR 20090054470A KR 100946095 B1 KR100946095 B1 KR 100946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packaging container
outer shell
sealing li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안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선 filed Critical 안병선
Priority to KR102009005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4Windows or other apertures, e.g. for view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일측이 개구되고 평단면이 다면 형상인 중공체의 외피와, 외피의 내부에서 외피와 상호 결합되는 내피가 구비된 포장용기로서, 내피는 외피의 측부 내면에서 외피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 실링라인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주 실링라인 사이에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어, 외피의 측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모서리지지부로 이루어지며, 모서리지지부는 외피의 외측방향으로 주 실링라인 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내피에 외피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주 실링라인을 형성하여 실링라인 사이에 포장용기에 수용되는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이 수용되는 지지부를 형성하여, 포장용기에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을 수용시킨 경우, 지지부 내에 수용된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을 통해 포장용기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포장용기, 내피, 외피, 지지부, 실링라인

Description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PACKING CONTAINER HAVING SUPPORTING ELEMENT}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물, 생수 등의 고체물질과 액체물질을 운반할 수 있도록 포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곡물과 같은 입상 고체물질은 상하 양단이 밀폐된 봉투 형태의 포장용기에 수납되어 판매되었으며, 생수와 같은 액상 물질은 병과 같은 포장용기에 수납되어 판매되었다.
이러한 입상 또는 액상물질이 수납된 포장용기는 적층이 곤란한 형태로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장용기 내에 대량의 내용물을 수납한 경우에 사용자가 운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포장용기에 대량의 내용물이 수납된 경우에도 운반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포장용기에 대량의 내용물이 수납된 경우에도 포장용기의 하면 및 측면에는 수납된 내용물이 집중되지 않고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대량의 내용물이 수납된 포장용기를 적층시키는 경우에도 포장용기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개구되고 평단면이 다면 형상인 중공체의 외피와, 외피의 내부에서 외피와 상호 결합되는 내피가 구비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피는 외피의 측부 내면에서 외피의 높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주 실링라인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주 실링라인 사이에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어, 외피의 측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모서리지지부로 이루어지며, 모서리지지부는 외피의 외측방향으로 주 실링라인 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외피의 측부 내면에는 내피와 외피를 상호 결합시키고, 외피의 높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주 실링라인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주 실링라인 사이에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어, 외피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지지부가 더 형성되며, 측면지지부는 외피의 외측방향으로 주 실링라인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외피의 측면에 배치된 측면지지부는, 내피와 외피가 밀착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측면지지부의 상호 이격된 각 주 실링라인이 상호 연결되는 측면 보조실링라인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모서리지지부의 상호 이격된 각 주 실링라인이 상호 연결되는 모서리 보조실링라인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측면지지부는, 내피의 일측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내피의 하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외피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연장편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연장편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복수 개의 연장편 중 일 연장편은 외피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피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연장편 중 타 연장편은 외피의 바닥면 중앙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연장편 중 외피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연장편은 모서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피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연장편 중 외피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연장편은 외피의 바닥면 중앙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외피의 상부에는 각각 접철되는 구조인 상부접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인양고리는 외피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는 내피에 외피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주 실링라인을 형성하여 실링라인 사이에 포장용기에 수용되는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이 수용되는 지지부를 형성하여, 포장용기에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을 수용시킨 경우, 지지부 내에 수용된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을 통해 포장용기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피에 지지부와 연통되는 관통부를 형성하여 지지부에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피의 하단에 외피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연장편을 형성함으로써 대량의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이 수용된 경우에도 포장용기의 하방으로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포장용기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용기에 인양고리를 결합시켜 포장용기에 대량의 액체 또는 고체 내용물을 수용시킨 경우에도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사시도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2에 도시된 주 실링라인과 보조 실링라인이 도시된 포장용기의 측면도 및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측면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모서리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평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에 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 및 명칭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외피'라 함은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겉껍질을 말하는 것이다.
'외피'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성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10)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면(110)의 하단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바닥면(1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측면(110)과 바닥면(130)은 외피(100)의 내부에 위치한 '내면'과 '외면'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내피'라 함은 외피의 내부의 속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내피의 경우도 외피와 동일하게 외피의 내부에 위치한 '내면'과 '외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내피'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므로 내피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면 중 내피의 아래쪽의 끝 부분에 형성된 면을 내피의 하단면(下端面, 201)이라 하며, 내피의 위쪽의 끝에 형성된 면을 상단면(上端面)이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향을 지칭할 때 사용되는 '내측', '외측'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외측'이라 함은 바깥쪽을 의미하는 용어이고, '내측' 이라 함은 안쪽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외피의 외측'이라 함은 외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깥쪽을 의미하고, '외피의 내측'이라 함은 외피로 둘러싸인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에 따라 '외피의 외측방향(O)'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를 기준으로 외피로 둘러싸인 부분과 대향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피의 내측방향(I)'은 외피의 내측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즉 외피를 기준으로 외피로 둘러싸인 부분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바닥면 중앙방향(C)' 이라 함은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모서리 방향(E)은 외피의 내부로부터 외피에 형성되는 모서리(측면과 측면이 맞닿아 면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를 의미한다.
아울러 '높이'이라 함은 사물의 아래에서 위까지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외피의 높이 방향(H)'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의 아래에서 위까지의 길이가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이하 '포장용기'라 함)는 일측이 개구되고 평단면이 다면 형상의 중공체의 외피(100)와, 외피(100)의 내부에서 외피(100)와 상호 결합되는 내피(200)로 구성된다.
이러한 내피(20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내피(200)의 외면과 외피 측면(110)의 내면이 결합되면서 외피의 높이 방향(C)으로 형성되는 주 실링라인에 의해 외피와 상호 결합된다.
이때, 외피(100)에 형성되는 각 주 실링라인(310) 사이에는 내피(200)와 외피(100)로 구성되어, 외피(100)의 측면 모서리(120)에는 모서리지지부(330)가 형성된다.
외피(100)와 내피(200)를 상호 결합시키는 주 실링라인(310)은 외피(100) 측면(110)의 내면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외피 측면(110)의 내면에는 주 실링라인(310)과 이격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주 실링라인(310)이 더 형성되어 내피(200)와 외피(300)를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한 쌍의 주 실링라인(310) 사이에는 측면 지지부(3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외피(100)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평단면이 사면 형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외피(100)의 하부에는 일반적으로 하부접철부(150)가 구비되어 하부를 폐쇄시키며, 외피(100)의 상부는 수용부에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을 수용시킬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외피(100)의 하부는 접철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외피(100)의 상부에는 포장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부접철부(14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외피(100)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평단면의 형상이 사면의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나 이러한 외피(100)는 평단면의 형상이 육면 또는 팔면 등의 다양한 다면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내피(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원형 평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피(100)의 내측면에 삽입된 후 외피(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주 실링라인(310)에 의해 내피(200)와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주 실링라인(310)에 의해 상호 결합된 내피(200)와 외피(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실링라인(310)의 양측에 측면지지부(320)와 모서리지지부(3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지지부(320)와 모서리지지부(330)에 내용물이 수납되면 측면지지부(320)와 모서리지지부(330)는 외피의 외측방향(O)으로 주 실링라인(310) 보다 볼록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피(200)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내피(20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외피(100)와 같이 평단면이 다면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피(200)는 평단면이 처음부터 원형 또는 다면 형상과 같이 폐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펼쳐진 내피를 둥글게 말아 외피(100)의 내측면에 결합시켜 사후적으로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고 볼 것이다. 이 경우, 외피(100)의 일부가 내피의 폐곡선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 실링라인(3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00)와 내피(200)로 이루어지는 지지부(300)을 형성하는 것으로, 외피(100)의 내측면에 높이 방향(H)으로 한 쌍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 실링라인(310)에 의해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00)의 측면(110)에 이격된 주 실링라인(310) 사이에는 외피(100)와 내피(200)로 구성되어 외피(100)의 측면(110)에 형성되는 측면지지부(320)와, 외피(100)의 모서리(120)에 측면지지부(320)와 동일하게 주 실링라인(310)과 외피(100)와 내피(200)로 둘러싸인 모서리지지부(330)가 형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외피(100)의 일 측면(110)을 기준으로 한 쌍의 주 실링라인(310)이 형성되었으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00)의 일 측면(110)을 기준으로 세 개의 주 실링라인(310)이 형성되어 한 쌍의 측면지지부(320)와 한 쌍의 모서리지지부(3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주 실링라인(310)의 개수는 포장용기의 크기 및 포장용기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중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볼 것이다.
또한, 측면지지부(320)의 상호 이격된 각 주 실링라인(310)이 상호 연결되는 측면 보조실링라인(31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 보조실링라인(3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 5(c) 및 도 5(d)와 같이 상호 이격된 주 실링라인(3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주 실링라인(310)을 상호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 보조실링라인(311)은 주 실링라인(310)의 상단, 하단 또는 중간 등 주 실링라인(310)의 임의의 위치 사이에 직선, 사선 또는 곡선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모서리지지부(330)의 상호 이격된 주 실링라인(310)이 상호 연결되는 모서리 보조실링라인(도면 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서리 보조실링라인은 주 실링라인(3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주 실링라인(310)을 상호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 보조실링라인(311)과 모서리 보조실링라인은 주 실링라인(310) 사이에 형성된 지지부(300)에 형성되어 지지부(300)의 내부에 수용된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의 유동을 방지하여 지지부(300)의 형상을 유지시켜 준다.
또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00)의 측면(110)에 배치된 측면지지부(320)는 외피(100)와 내피(200)가 밀착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주 실링라인(310), 측면 보조실링라인(311), 모서리 보조실링라인의 형상은 포장용기의 크기 및 포장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중량 등에 따라 앞에서 언급된 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볼 것이다.
포장용기의 내피(200)의 일측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내피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시켜 형성되는 관통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부(210)를 통해 포장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은 측면지지부(320)와 모서리지지부(330)로 유입된다.
관통부(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지지부(320)가 배치된 내피(200)의 중앙측 및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지지부(330)가 배치된 내피(200) 중앙측 및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210)의 형성위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부, 하부 또는 중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피의 측면에 복수개가 균일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210)의 형상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타원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포장용기의 내부에 고체 또는 액체 내용물을 수용시키면, 내용물은 바닥면 또는 관통부(210)를 따라 내피(200)를 및 측면지지부(320)와 모서리지지부(330)에 유입된다.
측면지지부(320)와 모서리지지부(330)에 유입된 내용물은 외피(100), 내피(200) 및 주 실링라인(310)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므로 외피(100)와 내피(200) 사이에서 외피(100)의 형태를 주 실링라인(310)은 오목하게, 각 지지부(320, 330)는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유지시켜 보관시 포장용기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지지부(320)와 모서리지지부(330)는 특히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로 포장용기를 적층시키는 경우, 포장용기의 형상을 유지시켜 보다 안전하게 내용물을 수용한 채로 적층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에는 주로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내용물이 수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공기와 같은 기체 내용물도 수용가능하다.
내피(200)의 하단면(201)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내피의 하단면(201)에서 연장형성되어 외피(100)의 바닥면(130)과 결합되는 연장편(220)이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르치는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앞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장편(220)은 내피(200)의 하단면(201)에서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연장편(220) 중 일 연장편(220)은 외피의 내측방향(I)으로 절곡되어 외피(100)의 바닥면(130)에 결합되고, 연장편 중 타 연장편(220)은 외피(100)의 바닥면(130) 중앙방향(C)으로 절곡되어 외피(10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장편(220)과 바닥면(130)과의 결합관계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장편(220) 중 외피(100)의 모서리(1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연장편(220)은 모서리 방향(E)으로 절곡되어 외피(100)의 바닥면(130)에 결합되고, 외피(100)의 측면(1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연장편(220)은 외피(100)의 바닥면(130) 중앙방향(C)으로 절곡되어 바닥면(130)에 결합된다.
따라서, 포장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외피(100)의 바닥면(13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바닥면(130)에 가해지는 힘은 바닥면(130)에 결합된 연장편(220)을 통해 내피(200)로 분산시키게 되어 포장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포장용기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연장편(220)의 절곡방향은 앞에서 언급된 방향에 국한되지 않으며 서로 엇갈려 절곡된 상태로 외피(100)의 바닥면(130)에 결합 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장편(220)의 길이는 연장편(220)이 절곡되어 결합되는 경우 개구된 내피(200) 하면을 폐쇄시킬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바닥면(130)에 결합 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로, 도 10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르친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앞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외피(100) 상측에는 복수 개의 인양고리(400)가 결합된다. 이러한 인양고리(400)는 포장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손잡이 등을 인양고리(400)에 걸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양고리(400)는 보다 구체적으로 외피(100)의 모서리(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00)의 각 모서리(120) 마다 결합될 수도 있으며, 대각선 방향에 형성된 모서리(120)에 한 쌍의 인양고리(400)가 결합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2에 도시된 주 실링라인과 보조 실링라인이 도시된 포장용기의 측면도 및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측면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모서리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피 110 : 측면
120 : 모서리 130 : 바닥면
140 : 상부접철부 150 : 하부접철부
200 : 내피 210 : 관통부
220 : 연장편 300 : 지지부
310 : 주실링라인 311 : 측면 보조실링라인
320 : 측면지지부 330 : 모서리지지부
400 : 인양고리
H : 외피의 높이 방향 O : 외피의 외측 방향
I : 외피의 내측 방향 E : 모서리 방향
C : 바닥면 중앙 방향

Claims (13)

  1. 일측이 개구되고 평단면이 다면 형상인 중공체의 외피와, 외피의 내부에서 외피와 상호 결합되는 내피가 구비된 포장용기로서,
    내피는 내피의 외면과 외피 측면의 내면이 결합되면서 외피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 실링라인에 의해 외피와 상호 결합되고,
    상기 주 실링라인 사이에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어, 외피의 일 측면과 타측면이 맞닿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모서리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외피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주 실링라인 보다 볼록하게 형성되고,
    외피의 측면 상부에는 일 측면과 타 측면이 맞닿아 접철되는 구조인 상부접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외피 측면에는 상기 주 실링라인과 이격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주 실링라인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각 주 실링라인 사이에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어, 외피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지지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측면지지부는 외피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주 실링라인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외피 측면에 배치된 상기 측면지지부는, 내피와 외피가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지지부에는 상호 이격된 상기 각 주 실링라인이 상호 연결되는 모서리 보조실링라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주 실링라인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측면지지부의 상호 이격된 상기 각 주 실링라인이 상호 연결되는 측면 보조실링라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내피의 일측에 내피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시키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내피의 일측에 내피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시키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피는, 내피의 하단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외피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연장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상기 연장편 중 일 연장편은 외피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피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편 중 타 연장편은 외피의 바닥면 중앙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 중 상기 외피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연장편은 상기 모서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피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편 중 외피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연장편은 외피의 바닥면 중앙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피의 외면 상측에는 복수 개의 인양고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고리는 외피의 외면 모서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13. 삭제
KR1020090054470A 2009-06-18 2009-06-18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KR100946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70A KR100946095B1 (ko) 2009-06-18 2009-06-18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70A KR100946095B1 (ko) 2009-06-18 2009-06-18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095B1 true KR100946095B1 (ko) 2010-03-10

Family

ID=4218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470A KR100946095B1 (ko) 2009-06-18 2009-06-18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447A (ko) * 2013-05-29 2014-12-09 조은팩 (주) 포장용기 제조장치,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포장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570A (ja) * 1993-06-23 1995-01-20 Nippon Tetra Pack Kk 包装容器
KR200246203Y1 (ko) 2001-06-28 2001-10-17 박영묵 컨테이너 백
KR20030029884A (ko) * 2000-08-29 2003-04-16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평면 벽을 가진 가요성 용기
KR100678622B1 (ko)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570A (ja) * 1993-06-23 1995-01-20 Nippon Tetra Pack Kk 包装容器
KR20030029884A (ko) * 2000-08-29 2003-04-16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평면 벽을 가진 가요성 용기
KR200246203Y1 (ko) 2001-06-28 2001-10-17 박영묵 컨테이너 백
KR100678622B1 (ko)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447A (ko) * 2013-05-29 2014-12-09 조은팩 (주) 포장용기 제조장치,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포장용기
KR102113010B1 (ko) 2013-05-29 2020-05-20 조은팩 (주) 포장용기 제조장치,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5243T3 (es) Recipiente de envasado.
ES2621273T3 (es) Paquete con un asa en banda, asa en banda y pieza en bruto para formar un paquete con un asa en banda
JP2010527866A (ja) カートンおよびコーナーインデント壁を備えたカートン用ブランク
ES2785220T3 (es) Estructura de tapa para recipiente
ES2793823T3 (es) Disposición de contenedores de envío de plástico
ES2815801T3 (es) Caja de embalaje para armar y caja de embalaje
KR101959622B1 (ko) 박스 모서리 보강구
KR100946095B1 (ko) 지지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ES2286541T3 (es) Caja de carton sellable.
JP2010111401A (ja) 運搬用容器
JP2010083532A (ja) 薄肉ペットボトル用段ボール箱
JP3151025U (ja) 果実包装用容器
KR100921883B1 (ko) 공기충전부가 구비된 포장용기
KR200413360Y1 (ko) 고정패드의 지지력을 강화시킨 과일포장박스
JP3137275U (ja) 果実包装用容器
JP4671137B2 (ja) 梱包箱
KR20100023410A (ko) 절취된 상판을 갖는 컨테이너백
JP5643071B2 (ja) ガロンボトルの収納用コンテナ
JP2020100430A (ja) 梱包材
RU119327U1 (ru) Термоформован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KR200187668Y1 (ko) 포장용 깡통
KR102196521B1 (ko) 인너 케이스 팝업형 포장 상자
ES2864505T3 (es) Tapa de recipiente
JP2017024741A (ja) 紙容器
CN206813559U (zh) 一种凹凸多功能包装瓶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