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820B1 - 수상이동기구 - Google Patents

수상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820B1
KR100944820B1 KR1020070091370A KR20070091370A KR100944820B1 KR 100944820 B1 KR100944820 B1 KR 100944820B1 KR 1020070091370 A KR1020070091370 A KR 1020070091370A KR 20070091370 A KR20070091370 A KR 20070091370A KR 100944820 B1 KR100944820 B1 KR 100944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sprocket
power transmission
support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423A (ko
Inventor
송용화
Original Assignee
송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화 filed Critical 송용화
Priority to KR1020070091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820B1/ko
Priority to PCT/KR2008/005323 priority patent/WO2009035252A2/en
Publication of KR2009002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1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hand levers, cranks, pedals, or the like, e.g. water cycles, boats propelled by boat-mounted pedal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 B63H2016/205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making use of standard bicy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력체(10); 상기 부력체(20)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통상의 이륜자전거(20); 상기 이륜자전거(20)의 메인프레임(23) 전단부와 부력체(1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전방지지부(30); 상기 이륜자전거(20)의 메인프레임(23) 후단부와 부력체(1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후방지지부(40); 및 상기 페달(24)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후륜(22), 스프라켓 등을 이용하여 프로펠러(52a)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추진체(52)로 이루어진 추진부(50)를 포함하는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50)의 프로펠러(52a)로의동력전달 연결수단은 보조스프라켓(27)과 그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27a)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이 브래킷(26a)을 관통하고 그 관통된 양단부위가 각각 베어링(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력이 추진부(50)의 프로펠러(52a)로 전달되도록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과 프로펠러(52a)에 동력전달케이블(51)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후륜 인접부에 배치되어 있는 기어변환용 보조스프라켓의 회전축이 이 보조스프라켓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 회전축에 동력전달케이블을 연결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찰 없이 동력전달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작은 힘으로 프로펠러를 구동시킬 수 있어 장시간동안 동력을 전달하는데 무리가 없다. 또한 종동스프라켓에 비해 직경이 상당히 작은 소직경을 갖는 보조스프라켓의 회전력을 이용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속도를 얻게 되며 결과적으로 프로펠러의 추진력이 대폭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수상이동기구, 보조스프라켓, 동력전달케이블, 전방지지부, 후방지지부

Description

수상이동기구{Apparatus for moving forward on the water}
본 발명은 수상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력체 상에 이륜자전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탑승자가 이륜자전거의 페달을 회전시키면 후륜의 종동스프라켓에 이르기까지 연결된 체인을 통해 회전되는 보조스프라켓의 회전축과 연결된 동력전달케이블을 통해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얻는 추진력으로 수상에서 전진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전륜에 조정키를 설치하여 핸들의 좌우 조작에 의해 진행 방향 전환도 가능하게 되는 수상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이동기구는 부력체를 이용하여 탑승자가 물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구로서, 부력체 상에 탑승하여 걷는 동작이라든가 노를 저어서 이동하는 기구에서부터 부력체 상에 이륜자전거를 고정 장착하여 페달 조작에 따른 후륜의 회전력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수상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 등 다양한 종류가 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부력체에 이륜자전거를 결합시킨 종래 기술의 수상이동기구는 모두가 기다란 보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력체를 서로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 부력체 사이의 상부에 이륜자전거를 고정시킨 것이 동일하다. 다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7025호엔 후륜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날개를 마련한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5702호엔 프로펠러를 갖는 별도로 추진체를 마련하고 상기 추진체의 프로펠러를 이륜자전거의 후륜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마찰 휠로 연동시키는 것이 다른 구성이다.
상기 수상이동기구는 모두 페달을 회전시키면 구동 및 종동스프라켓에 연결된 체인을 통해 후륜이 회전됨으로써 후륜상의 날개 또는 후륜의 접촉된 마찰 휠을 통해 추진체의 프로펠러가 물을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추진력을 얻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는 후륜에 직접 날개가 장착되어 있어 후륜을 직접 회전시킴에 부하가 크고, 특히 후륜에 추진체의 마찰 휠이 접촉되어 회전되기 때문에 마찰력 부하가 커서 큰 힘이 들게 되며, 이러한 마찰력으로 인하여 탑승자는 쉽게 지쳐 물놀이를 장시간동안 즐길 수 없다는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후륜에 마찰 휠이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접촉 회전에 의해 심한 소음이 발생되기 쉬운 것이며, 후륜에 추진체의 마찰 휠이 확실하게 접촉시킴이 곤란하고 후륜에 추진체의 마찰 휠이 확실하게 접촉되지 않은 경우 후륜의 동력전달이 추진체인 프로펠러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바대로의 추진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이빨수 비율이 작은 구동스프라켓에 대한 종동스프라켓의 비율로 전달하기 때문에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높임에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프로펠러의 추진력도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후륜 인접부에 배치되어 있는 기어변환용 보조스프라켓의 회전축이 이 보조스프라켓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 회전축에 동력전달케이블을 연결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찰 없이 동력전달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작은 힘으로 프로펠러를 구동시킬 수 있어 장시간동안 동력을 전달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한 수상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동스프라켓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인 보조스프라켓의 회전축에 동력전달케이블을 연결하여 추진체의 프로펠러를 회전시 킴으로써 안정적인 동력전달은 물론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프로펠러의 추진력이 대폭 향상되도록 한 수상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되, 메인프레임의 전후단부에 각각 전, 후륜이 마련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 중앙에 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페달이 마련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후륜의 종동스프라켓이 마련되고 이 종동스프라켓 인접 하방의 브래킷에 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보조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이륜자전거; 상기 이륜자전거의 메인프레임 전단부와 부력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전방지지부; 상기 이륜자전거의 메인프레임 후단부와 부력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후방지지부; 및 상기 페달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후륜, 스프라켓 등을 이용하여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추진체로 이루어진 추진부를 포함하는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의 프로펠러로의 동력전달 연결수단은 보조스프라켓과 그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스프라켓의 회전축이 브래킷을 관통하고 그 관통된 양단부위가 각각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보조스프라켓의 회전력이 추진부의 프로펠러로 전달되도록 보조스프라켓의 회전축과 프로펠러에 동력전달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프라켓의 회전축 단부에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된 다각형 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동력전달케이블의 단부에는 상기 다각형 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다각형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케이블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도록 그 외부 전체에 씌워지고 그 양단부에 동력전달케이블의 다각형 돌기가 삽입된 회전축에서 빠짐을 방지하도록 체결된 연결소켓을 갖는 케이블보호튜브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지지부를 안착 결합시키는 전, 후방안착부는 부력체의 상면에 상방이 개방되어 탄력을 갖고 파지하는 영문 알파벳의 시형(C type)클립으로 마련되되 상기 시형 클립의 개방부분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짐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개방부분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수상이동기구의 전진시 보다 더 확실하게 이탈방지를 위해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기 전방안착부의 시형 클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륜지지봉; 및 상기 전륜지지봉의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전륜의 전방을 통해 메인프레임의 전방부분에 결합 고정되는 전륜지지휨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지지부의 전륜지지휨봉에는 돛대가 설치되되 이 돛대는 소정부위에 상방으로 직립 설치된 돛대기둥; 상기 돛대기둥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좌우로 회전되면서 바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돛대 천; 및 상기 돛대 천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 중간이 상기 돛대 천과 연결되고 타단이 핸들로 연장되는 돛대회전 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단이 메인프레임의 후방부분인 보조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단에 연결봉을 통해 영문 알파벳의 유자형상으로 마련된 프레임받침대; 이 프레임받침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후륜의 전방부위인 양쪽의 부력체 상면에 후방안착부의 시형클립으로 삽입되는 후륜지지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받침대의 상단은 보조프레임이 안착되게 영문 알파벳의 유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분리이탈이 방지되도록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는 후방지지부의 연결봉 하단에 연결되고 이 연결 부위에 추진체로 소정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후방으로 밀리면서 젖혀지도록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추진체연결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륜과 전륜지지프레임을 동시에 빗장을 채워 전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잠금쇠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에 의해 고정된 전륜의 하단부에는 이 전륜에 체결 고정되는 클램프와 이 클램프에서 수중으로 잠 기는 직립판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조정키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는 후륜 인접부에 배치되어 있는 기어변환용 보조스프라켓의 회전축이 이 보조스프라켓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 회전축에 동력전달케이블을 연결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찰 없이 동력전달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작은 힘으로 프로펠러를 구동시킬 수 있어 장시간동안 동력을 전달하는데 무리가 없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종동스프라켓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인 보조스프라켓의 회전축에 동력전달케이블을 연결하여 추진체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안정적인 동력전달은 물론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프로펠러의 추진력이 대폭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는 한 쌍의 부력체(10)와, 이들의 부력체(20) 사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이륜자전거(20)와, 이 이륜자전거(20)의 메인프레임(23) 전단부와 부력체(10)를 연결 지지하는 전방지지부(30)와, 상기 이륜자전거(20)의 메인프레임(23) 후단부와 부력 체(10)를 연결 지지하는 후방지지부(40) 및 상기 페달(24)의 회전 구동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력체(10)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다란 튜브 형상이며, 상기 전륜(21) 전방에 해당되는 양쪽의 부력체(10) 상면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되어 횡단방향으로 끼울 수 있도록 영문 알파벳인 시형(C type) 클립(11a)을 갖는 한 쌍의 전방안착부(11)가 마련되고, 또한, 상기 후륜(22) 전방인 양쪽의 부력체(10) 상면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되고 횡단방향으로 끼울 수 있도록 시형 클립(12a)을 갖는 후방안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방안착부(11) 및 후방안착부(12)의 시형 클립(11a,12a)은 상부의 개방부분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짐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개방부분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수상이동기구의 전진시 보다 더 확실하게 이탈방지를 위해서이다.
상기 이륜자전거(20)는 한 쌍을 이루는 부력체(20)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며, 메인프레임(23)의 전후단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바퀴살을 갖는 전, 후륜(21,22)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23)의 하단 중앙에 구동스프라켓(24a)을 갖는 페달(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22)의 후륜축(22a)에는 구동스프라켓(24a)과 체인(25)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26)이 마련되고 이 종동스프라켓(26)과 인접된 하방의 브래킷(26a)에는 회전축(27a)과 일체로 된 보조스프라켓(27)이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23)에는 후륜(22)의 후륜축(22a)을 지지하는 부분에서 후방수평부(2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후방수평부(23a)는 후방지지부(4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스프라켓(27)은 그 중앙의 회전축(27a)이 브래킷(26a)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관통된 양단부위가 각각의 베어링(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과 연결된 동력전달케이블(51)을 통해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력을 추진체(50)의 프로펠러(52a)로 전달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 단부는 동력전달케이블(51) 끝단의 다각형 돌기(51a)가 삽입 결합되는 다각형 홈(27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7a) 단부의 다각형 홈(27b)과 동력전달케이블(51) 끝단의 다각형 돌기(51a)는 상기에서 언급한 다각형 이외에도 서로 상응하여 결합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27a) 단부에 원형 홈(27c)을 형성하고 동력전달케이블(51)의 끝단에 원형 돌기(51b)를 형성하되 상기 원형 홈(27c) 및 원형돌기(51b)가 접하는 주면에 서로 겉돌지 않도록 걸림 구조인 걸림 홈(51c)과 걸림돌기(27d)를 형성하면 충분하다.
상기 전방지지부(30)는 이륜자전거(20)의 메인프레임(23) 전단부와 부력체(10)를 연결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륜(21) 전방위치인 양쪽의 부력체(10) 상면에 전방안착부(11)의 시형 클립(11a)으로 삽입되는 기다란 봉 형상의 전륜지지봉(31)이 마련되어 있고, 이 전륜지지봉(31)의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메인프레임(23)의 전단부인 핸들축(29a)에 이르기까지 전륜(21)외측을 따라 구부러진 곡선 구조의 전륜지지휨봉(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륜지지봉(31)의 양단에는 부력체(10)가 폭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프레임(23)과 결합되는 전륜지지휨봉(32)의 단부에는 핸들축(29a)외측을 간편하게 감싸면서 부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소정의 체결구(32a)가 마련된다.
상기 후방지지부(40)는 이륜자전거(20)의 메인프레임(23)후단부인 후방수평부(23a)와 부력체(10)를 연결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단이 메인프레임(23)의 후방부분인 후방수평부(23a)를 지지하도록 하단에 연결봉(43)을 통해 영문 알파벳의 유자형상으로 된 프레임받침대(42)가 마련되고, 이 프레임받침대(42)에서 수평으로 후륜(22)의 전방부위인 양쪽의 부력체(10)상면에 후방안착부(12)의 시형 클립(12a)으로 삽입되는 후륜지지봉(4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받침대(42)의 상단은 후방수평부(23a)가 안착되게 영문 알파벳의 유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분리이탈이 방지되도록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륜지지봉(41)의 양단에는 부력체(10)가 폭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40)의 연결봉(43) 하단에는 추진부(50)의 추진체(52)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추진부(50)는 후방지지부(40)의 하부에 마련되되,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로펠러(52a)를 갖는 추진체(52)가 설치되어 있고, 페달(24)의 회전 구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과 상기 추진체(52)의 프로펠러(52a)에 이르기까지 유연한 재질의 동력전달케이블(5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추진체(52)는 후방지지부(40)의 연결봉(43) 하단과 힌지부(55a)를 통해 연결된 추진체연결대(55)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추진체(52)는 전진중에 걸리면 힌지부(55a)를 통해 후방으로 밀리면서 젖혀지게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55a)에는 후방으로 젖혀진 추진체연결대(55)를 원래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비틀림 스프링 등의 추진체연결대(55)의 복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케이블(51)의 단부에는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 일단부의 다각형 홈(27b)으로 삽입 결합되는 다각형 돌기(5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케이블(51)은 그 외부 전체에 케이블보호튜브(53)가 씌워져 있으며 그 양단부에 각각 다각형 돌기(51a)를 수용하면서 회전축(27a)과 체결되는 연결소켓(53a)이 마련되어 있다.
잠금쇠(60)는 전륜지지프레임(28)에서 전륜(21)의 바퀴살(21a)에 걸쳐 빗장을 채워 전륜(21)을 전륜지지프레임(28)에 고정시키는 것이며, 사각형틀의 일변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모서리는 힌지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모서리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잠금쇠(60)에 의해 고정된 전륜(21)의 하단부에는 조정키(70)가 장착되되, 상기 조정키(70)는 그 상단부가 전륜(21)에 체결 고정되는 클램프(71)가 마련되고 그 하단부에 수중으로 잠기는 직립판(7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는, 이륜자전거(20)에 부력체(10), 전방지지부(30), 후방지지부(40) 및 추진부(50) 등을 가방 또는 배낭에 휴대하고 다닌다. 이렇게 가방에 휴대하고 다니던 하나의 유닛인 부품들을 이륜 자전거(20)와 함께 조립하여 수상이동기구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를 조립하는 과정을 참고로 설명하여 본다. 먼저, 부력체(10)에 펌프를 이용하여 에어를 적당하게 채운 다음 이를 평행하게 배치시키고 평행하게 놓여있는 한 쌍의 부력체(10) 전후방상부에 이륜자전거(20)의 설치를 위한 전방지지부(30)와 후방지지부(40)를 설치한다.
부언하면, 부력체(10)의 전방안착부(11)의 시형 클립(11a)에 상기 전방지지부(30)의 전륜지지봉(31)을 안착시키고, 전방지지부(30)의 전륜지지휨봉(32)의 상단 체결구(32a)가 메인프레임(23) 전방부분의 핸들축(29a)을 감싸도록 결합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전륜지지봉(31) 양단부의 걸림돌부(31a)가 시형 클립(11a) 외측 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부력체(10)가 전륜지지봉(31)의 양단에서 분리 이탈됨을 방지한다.
상기 후방지지부(40)의 후륜지지봉(41)을 부력체(10)의 후방안착부(12)의 시형 클립(12a)에 안착시키고 상기 후방지지부(40)의 프레임받침대(42)가 이륜자전거(20)후단부분의 후방수평부(23a)를 떠받쳐 지지하도록 결합 고정시킨다. 이때, 후륜지지봉(41) 양단부의 걸림돌부(41a)가 시형 클립(12a) 외측 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부력체(10)가 후륜지지봉(41)의 양단에서 분리 이탈됨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전, 후방지지부(30,40)를 통해 부력체(10)위에 이륜자전거(20)를 견고하게 설치하고 나서, 추진부(50)의 프로펠러(52a)와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에 동력전달케이블(51)을 연결한다.
상기 동력전달케이블(51)의 연결과정은 동력전달케이블(51) 한쪽끝단의 다각 형 돌기(51a)를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 끝단에 형성된 다각형 홈(27b)으로 삽입하고 케이블보호튜브(53)의 연결소켓(53a)으로 회전축(27a) 외측의 브래킷(26a)에 체결함으로써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에서 동력전달케이블(51)의 다각형 돌기(51a)가 이탈 분리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케이블(51)의 다른 한쪽끝단인 다각형 돌기(51a)는 추진체(52)의 프로펠러(52a)끝단에 형성된 다각형 홈(도시되지 않음)로 삽입하고 케이블보호튜브(53)의 연결소켓(53a)으로 프로펠러(52a) 외측의 추진체(52)에 체결함으로써 추진체(52)의 프로펠러(52a)축에서 동력전달케이블(51)의 다각형 돌기(51a)가 이탈 분리됨을 방지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는 탑승자가 이륜자전거(20)를 탑승한 상태에서 페달(24)을 회전시키면 구동스프라켓(24a)에서 후륜(22)의 종동스프라켓(26)은 물론 보조스프라켓(27)에 이르기까지 체인(25)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후륜(22)이 회전되고 이 후륜(22)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빨수가 작은 보조스프라켓(27)이 고속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보조스프라켓(27)이 고속 회전하게 되면 보조스프라켓(27)과 일체로 된 회전축(27a) 또한 고속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축(27a)에 연결된 동력전달케이블(51)을 통해 최종적으로 추진체(52)의 프로펠러(52a)가 고속 회전됨으로써 프로펠러(52a)에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보조스프라켓(27)은 후륜(22)과 접촉, 즉 마찰 없이 구동 및 종동스프라켓(24a,26)을 구동시키는 힘(외력)만으로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무리함 없이 작은 힘으로 지속적으로 장시간동안 구동시킴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추진체(52)의 프로펠러(52a)에서 얻은 추진력을 통해 수상이동기구가 전진 이동되는 동안 탑승자가 필요에 의해 이륜자전거(20)의 핸들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면 된다. 이때, 전륜(21)은 전륜지지프레임(28)과 전륜(21)의 바퀴살(21a)이 잠금쇠(60)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잠기어 있으므로 상기 핸들의 좌우 회전에 따라 일체형으로 회전 작동되는 전륜(21)의 하단부에 결합된 조정키(70)의 직립판(72)이 핸들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결과 수상이동기구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상이동기구에 탑승하여 전진하는 도중에 수중의 암초라든가 수심이 낮아 추진부(50)의 추진체(52)가 닿으면 상기 추진체(52)는 추진체연결대(55)의 힌지부(55a)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방으로 젖혀지므로 예기치 못한 외력의 가압에 따른 추진체(52)의 손상도 방지하면서 수상 이동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상에서는 수상이동기구로 사용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물놀이를 즐긴 후에는 이륜자전거(20)를 분리한 후 그 나머지 부품들을 가방에 휴대하여 지상에서 사이클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방지지부(30)의 전륜지지휨봉(32)에다가 돛대를 부가한 것이 다른 구성이다. 상기 돛대는 소정부위에 상방으로 돛대기둥(33)이 설치되고, 이 돛대기둥(33)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좌우로 회전되면서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대 천(34)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돛대 천(34)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 중간이 상기 돛대 천(34)과 연결되고 양쪽끝단이 핸들(29)로 연장되는 돛대회전 끈(3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바람이 있는 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륜자전거(20)에 탑승한 탑승자가 돛대 천(34)이 바람을 받을 수 있도록 이륜자전거(20)의 핸들에 설치되어 있는 돛대회전 끈(35)을 잡아당기면 돛대 천(34)이 좌우로 회전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느 정도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수상이동기구의 진행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엔 육상에 이륜자전거로 사이클을 즐기다가 물이 흐르는 강이나 호수 등에서는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수상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레포츠분야에 유용하게 이용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상이동기구에서 후륜과 추진부를 상세히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상이동기구에서 보조스프라켓과 동력전달케이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보조스프라켓을 발췌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동력전달케이블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수상이동기구에서 추진부의 추진체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1의 수상이동기구에서 전륜에 설치되는 조정키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수상이동기구에서 이륜자전거의 전륜 부위인 핸들축 부위를 상세히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상이동기구에서 보조스프라켓과 동력전달케이블의 결합관계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부력체 11: 전방안착부 11a,12a: 클립
12: 후방안착부 20: 이륜자전거 21: 전륜
21a: 바퀴살 22: 후륜 22a: 후륜축
23: 메인프레임 23a: 후방수평부 24: 페달
24a: 구동스프라켓 25: 체인 26: 종동스프라켓
26a: 브래킷 26b: 베어링 27: 보조스프라켓
27a: 회전축 27b: 다각형 홈 28: 전륜지지프레임
29: 핸들 29a: 핸들축 30: 전방지지부
31: 전륜지지봉 31a,41a: 걸림돌부 32: 전륜지지휨봉
32a: 체결구 33: 돛대기둥 34: 돛대 천
35: 돛대회전 끈 40: 후방지지부 41: 후륜지지봉
42: 프레임받침대 43: 연결봉 50: 추진부
51: 동력전달케이블 51a: 다각형 돌기 52: 추진체
52a: 프로펠러 53: 케이블보호튜브 53a: 연결소켓
55: 추진체연결대 55a: 힌지부 60: 잠금쇠
70: 조정키 71: 클램프 72: 직립판

Claims (11)

  1.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부력체(10);
    상기 부력체(10)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되, 메인프레임(23)의 전후단부에 각각 전, 후륜(21,22)이 마련되고 상기 메인프레임(23)의 하단 중앙에 구동스프라켓(24a)을 포함하는 페달(24)이 마련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24a)과 체인(25)으로 연결된 후륜(22)의 종동스프라켓(26)이 마련되고 이 종동스프라켓(26) 인접 하방의 브래킷(26a)에 체인(25)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보조스프라켓(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륜자전거(20);
    상기 부력체(10)의 상면 전방부에 장착되는 전방안착부(11)에 삽입 고정되도록 별도의 전륜지지봉(31)이 마련되며, 이 전륜지지봉(31)의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전륜(21)의 전방을 통해 메인프레임(23)의 전방부분과 결합 고정되는 전륜지지휨봉(32)으로 마련된 전방지지부(30);
    상기 메인프레임(23)의 후방부분인 후방수평부(23a)를 지지하도록 하단의 연결봉(43)을 통해 영문 알파벳의 유자형상으로 된 프레임받침대(42)가 마련되고 이 프레임받침대(42)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후륜(22)의 전방부위인 양쪽의 부력체(10) 상면에 마련되는 후방안착부(12)로 삽입 고정되는 후륜지지봉(41)이 마련된 후방지지부(40); 및
    상기 페달(24)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후륜(22), 스프라켓(24a,26,27) 등을 이용하여 프로펠러(52a)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추진체(52)로 이루어진 추진부(50)를 포함하는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50)의 프로펠러(52a)로의 동력전달 연결수단은 보조스프라켓(27)과 그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27a)이 일체형으로 되어 상기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이 브래킷(26a)을 관통하고 그 관통된 양단부위가 각각의 베어링(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력이 추진부(50)의 프로펠러(52a)로 전달되도록 보조스프라켓(27)의 회전축(27a)과 프로펠러(52a)의 단부가 서로 대응하는 다각형 홈(27b)과 다각형 돌기(51a)에 의해 삽입 고정되는 동력전달케이블(51)로 연결되며,
    상기 전방지지부(30)의 전륜지지휨봉(32) 소정부위에는 상방으로 직립 설치된 돛대기둥(33)과, 이 돛대기둥(33)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좌우로 회전되면서 바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돛대 천(34)과, 이 돛대 천(34)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 중간이 돛대 천(34)과 연결되고 타단이 핸들(29)로 연장되는 돛대회전 끈(35)으로 구성된 돛대가 더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케이블(51)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도록 그 외부 전체에 씌워지고 그 양단부에 마련된 동력전달케이블(51)의 다각형 돌기(51a)가 회전축(27a)에서 빠짐을 방지하도록 체결되는 연결소켓(53a)을 갖는 케이블보호튜브(5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홈(27b) 및 다각형 돌기(51a)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52)는 후방지지부(40)의 연결봉(43) 하단에 추진체연결대(55)를 통해 연결되고 이 추진체연결대(55)는 추진체(52)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젖혀지는 힌지부(55a)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21)의 하단부에는 이 전륜(21)에 체결 고정되는 클램프(71)와 이 클램프(71)에서 수중으로 잠기는 직립판(72)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조정키(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
KR1020070091370A 2007-09-10 2007-09-10 수상이동기구 KR100944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70A KR100944820B1 (ko) 2007-09-10 2007-09-10 수상이동기구
PCT/KR2008/005323 WO2009035252A2 (en) 2007-09-10 2008-09-10 Apparatus for moving forward on the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70A KR100944820B1 (ko) 2007-09-10 2007-09-10 수상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23A KR20090026423A (ko) 2009-03-13
KR100944820B1 true KR100944820B1 (ko) 2010-03-03

Family

ID=4045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370A KR100944820B1 (ko) 2007-09-10 2007-09-10 수상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4820B1 (ko)
WO (1) WO20090352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984A1 (en) * 2013-12-19 2015-06-25 Howard-Willis Guy Water sports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463857B1 (en) 2014-05-05 2016-10-11 Schiller Sports, Inc. Watercraft
TW201628893A (zh) 2014-12-23 2016-08-16 席勒運動股份有限公司 水上自行車
MX2019010470A (es) 2017-03-06 2019-12-11 Bright Spark Innovations Gp Ltd Vehiculo de hidroala de propulsion humana y metodo de uso.
CN109850088B (zh) * 2019-03-21 2023-08-22 许昌市春光机械科技有限公司 水上骑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765A (ko) * 2005-01-20 2006-07-25 송용화 수륙 양용 자전거에 사용되는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365A (en) * 1987-04-20 1988-12-06 Jones Jeffrey K Aquacycle
KR200399567Y1 (ko) * 2005-08-17 2005-10-25 이규선 수상 자전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765A (ko) * 2005-01-20 2006-07-25 송용화 수륙 양용 자전거에 사용되는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5252A2 (en) 2009-03-19
WO2009035252A3 (en) 2009-07-16
KR20090026423A (ko)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6841B2 (en) Water bike
KR100944820B1 (ko) 수상이동기구
CA2087736A1 (fr) Byciclette nautique
US9061557B1 (en) Amphibious bicycle float attachment and lift system
BR112019018419A2 (pt) veículo com hidrofólio de tração humana e método de uso
US5702274A (en) Flotatation device propelled by human-powered ski machine
KR101005680B1 (ko) 수중익형 수륙양용자전거
KR101642586B1 (ko)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US6077134A (en) Combination bicycle and boat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KR101246263B1 (ko) 조립식 수륙양용 자전거
KR20090032020A (ko) 수륙용 자전거
KR100972940B1 (ko) 수륙양용자전거
KR200412446Y1 (ko) 수상 레저 보트
KR101205829B1 (ko) 수상 자전거
KR200237422Y1 (ko) 수중자전거
KR200280180Y1 (ko) 레저용보트의 추진장치 및 레저용 보트
KR200273215Y1 (ko) 수상이동구조물
KR200292144Y1 (ko) 수상자전거 세트
KR20140028804A (ko) 추진력이 향상된 수상 이동기구
KR20120038850A (ko) 지붕형 수륙양용 자전거
FR2557848A1 (fr) Velo d&#39;eau
FR2918035A1 (fr) Engin nautique propulsable par la force humaine
ES2304193B1 (es) Vehiculo biciclo o triciclo de accionamiento manual mediante la fuerza de los brazos y/o de las piernas.
KR20000020863U (ko) 수상레저용 보트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