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422Y1 - 수중자전거 - Google Patents

수중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422Y1
KR200237422Y1 KR2020010011554U KR20010011554U KR200237422Y1 KR 200237422 Y1 KR200237422 Y1 KR 200237422Y1 KR 2020010011554 U KR2020010011554 U KR 2020010011554U KR 20010011554 U KR20010011554 U KR 20010011554U KR 200237422 Y1 KR200237422 Y1 KR 200237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e
frame
water
occupa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김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성 filed Critical 김유성
Priority to KR2020010011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422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장에 걸터앉은 탑승자가 프레임의 전방 상부와 후방 상부에 설치한 부구를 통해 물에 뜬 채로 페달을 밟아 추진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진할 수 있도록 한 수중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동물모형 등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수중 탑승물은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지상에서의 이동이 극히 어렵게 되어 호수나 강가 등의 일부 제한적인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탑승자의 사방 둘레가 밀폐되므로 시야가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아울러 탑승자의 몸에는 물이 접촉되지 않게 되어 시원한 물놀이를 즐길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중앙 상부에 안장(21)이 마련되고 전방 상부에 손잡이(22)가 마련되는 프레임(10)의 전방 상부와 후방 상부에 부구(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구망(23)을 설치하는 한편, 손잡이 회전축(24)의 하부에 방향키(25)를 마련하고, 프레임(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는 페달(26)의 구동회전축(27)과 프레임(10)의 후방에 마련되는 기어박스(28)의 종동회전축(29)에 상호 체인(31)으로 연결되는 체인휠(32)(33)을 각각 설치하여 페달(26)의 작동을 통해 기어박스(28)의 후방에 마련되는 추진프로펠러(3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탑승자(P)의 머리부분과 상반신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물속에 있게 되므로 보다 시원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페달(26)을 통해 다리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넓은 시야와 안전한 호흡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물밖으로 인출한 후에는프레임(10)을 작은 부피로 접어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장소의 제약 없이 여러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중자전거 { an aquatic bicycle }
본 고안은 물에서 사용하는 수중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안장에 걸터앉은 탑승자가 프레임의 전방 상부와 후방 상부에 설치한 부구를 통해 물에 뜬 채로 페달을 밟아 추진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사용하는 자전거는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바퀴가 결합되고, 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는 페달과 후방 바퀴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페달을 밟게 되면 후방바퀴가 회전하게 되므로 전진할 수 있게 되고, 프레임 상부 전방의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전방바퀴의 방향 및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이러한 자전거는 부력이 없어 물속에 투입할 경우에 그대로 가라앉기 때문에 단지 지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을 뿐이고 수중에서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 수중에서 뜬 채로 인위적인 작용력을 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물은 배 모양이나 오리 등의 동물 모형의 본체 내부에 마련한 탑승공간의 하부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발판을 설치한 형태의 것 등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수중 탑승물은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지상에서의 이동이 극히 어렵게 되어 호수나 강가 등의 일부 제한적인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탑승자의 사방 둘레가 밀폐되므로 시야가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중 탑승물은 물이 전혀 유입되지 않는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탑승공간에 앉은 상태에서 발판만을 작동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몸에는 물이 전혀 접촉되지 않게 되어 시원한 물놀이를 즐길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탑승자가 물에 뜬 채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수중자전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며, 그 다른 목적이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작은 부피로 지상에서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여 여러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자전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접은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중자전거 10 : 프레임
11 : 지지뭉치 12 : 전방 지지관
13 : 후방 지지관 14 : 하부 지지관
15, 16 : 연결간 17 : 안장 연결관
18 : 회전축 삽입관 21 : 안장
22 : 손잡이 23 : 부구망
24 : 손잡이 회전축 25 : 방향키
26 : 페달 27 : 구동회전축
28 : 기어박스 29 : 종동회전축
30 : 부구 31 : 체인
32, 33 : 체인휠 34 : 추진프로펠러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 상부에 안장이 마련되고 전방 상부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프레임의 전방 상부와 후방 상부에 부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구망을 설치하는 한편, 손잡이 회전축의 하부에 방향키를 마련하고, 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는 페달의 구동회전축과 프레임의 후방에 마련되는 기어박스의 종동회전축에 서로 체인으로 연결되는 체인휠을 설치하여 페달을 통해 기어박스의 후방에 마련되는 추진프로펠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서 도 3까지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물에 뜬 채로 페달(26)을 밟아 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자전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 상부에 안장(21)이 마련되고 전방 상부에 손잡이(22)가 마련되는 프레임(10)의 전방 상부와 후방 상부에 부구(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구망(23)을 설치하는 한편, 손잡이 회전축(24)의 하부에 방향키(25)를 마련하고, 프레임(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는 페달(26)의 구동회전축(27)과 프레임(10)의 후방에 마련되는 기어박스(28)의 종동회전축(29)에 상호 체인(31)으로 연결되는 체인휠(32)(33)을 각각 설치하여 페달(26)의 작동을 통해 기어박스(28)의 후방에 마련되는 추진프로펠러(3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0)은 구동회전축(27)이 설치되는 고정뭉치(11)의 전방과 상부에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 전방 지지관(12)과 후방 상향으로 경사진 후방 지지관(13)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고정뭉치(11)의 후방에 기어박스(28)가 후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관(14)이 후방 상향으로 설치되는 한편, 전방 지지관(12)의 후면 하부와 후방 지지관(13)의 전면 하부의 사이 및 후방 지지관(13)의 후면 중앙부와 하부 지지관(14)의 상부면 중앙부의 사이에 각각 연결간(15)(16)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전방 지지관(12)의 선단 및 후방 지지관(13)의 선단에 캡형의 부구망(23)이 각각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 부구망(23)을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연결간(15)(16)을 분리한 후 전방 지지관(12)과 후방 지지관(13)을 하부 지지관(14)쪽으로 회동시키면 작은 부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안장(21)은 후방 지지관(13)의 전면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안장 연결관(17)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손잡이 회전축(24)은 전방 지지관(12)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 삽입관(18)에 삽입 결합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P는 탑승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프레임(10)을 펼친 상태에서 구형 부구(30)를 각 부구망(23)의 내부에 넣은 다음 수중자전거(1)를 물속에 투입하게 되면 프레임(10)의 전, 후방 상부에 설치된 부구(30)의 부력에 의해 손잡이(22) 및 부구망(23)이 물에 뜨게 되는 것으로, 수중자전거(1)를 물에 투입한 상태에서 탑승자(P)가 안장(21)에 앉게 되면 도 2와 같이 탑승자(P)의 하반신과 상반신의 일부만이 물속에 잠기게 되고 머리와 상반신의 나머지가 물밖으로 노출되어 안전하게 호흡하면서 시원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는 바, 탑승자(P)가 양손으로 손잡이(22)를 잡고 페달(26)을 밟게 되면 체인(31) 및 체인휠(32)(33)을 통해 페달(26)의 구동회동축(27)과 연결된 종동회전축(29)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이 기어박스(29)를 통해 전달되는 추진프로펠러(34)가 회전하게 되어 수중자전거(1) 전체 및 그에 탑승한 탑승자(P)가 물속에서 전진할 수 있게 되며, 양손으로 쥔 손잡이(2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 회전축(24)의 하단에 설치된 방향키(2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진행방향을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물속에서 사용을 마친 수중자전거(1)는 물밖으로 꺼낸 후에 양 부구망(23)에서 부구(30)를 꺼낸 다음 양 부구망(23)을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전방 지지관(12)과 후방 지지관(13) 사이의 연결간(15) 및 후방 지지관(13)과 하부 지지관(14) 사이의 연결간(16)을 분리한 후 전방 지지관(12)과 후방 지지관(13)을 하부지지관(14)쪽으로 회동시키면 도 3과 같이 작은 부피로 접을 수 있게 되어 물밖에서의 휴대와 운반, 그리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10)의 전방 상부와 후방 상부에 부구(30)를 설치하여 안장(21)에 탑승한 탑승자(P)가 물속에서 페달(26)을 밟아 전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탑승자(P)의 머리부분과 상반신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물속에 있게 되므로 보다 시원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페달(26)을 통해 다리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넓은 시야와 안전한 호흡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물밖으로 인출한 후에는 프레임(10)을 작은 부피로 접어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장소의 제약 없이 여러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중앙 상부에 안장(21)이 마련되고 전방 상부에 손잡이(22)가 마련되는 프레임(10)의 전방 상부와 후방 상부에 부구(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구망(23)을 설치하는 한편, 손잡이 회전축(24)의 하부에 방향키(25)를 마련하고, 프레임(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는 페달(26)의 구동회전축(27)과 프레임(10)의 후방에 마련되는 기어박스(28)의 종동회전축(29)에 상호 체인(31)으로 연결되는 체인휠(32)(33)을 각각 설치하여 페달(26)의 작동을 통해 기어박스(28)의 후방에 마련되는 추진프로펠러(3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10)은 구동회전축(27)이 설치되는 고정뭉치(11)의 전방과 상부에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 전방 지지관(12)과 후방 상향으로 경사진 후방 지지관(13)을 각각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고정뭉치(11)의 후방에 기어박스(28)가 후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관(14)을 후방 상향으로 설치하며, 전방 지지관(12)의 후면 하부와 후방 지지관(13)의 전면 하부의 사이 및 후방 지지관(13)의 후면 중앙부와 하부 지지관(14)의 상부면 중앙부의 사이에 각각 연결간(15)(16)을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성하는 한편, 전방 지지관(12)의 선단 및 후방 지지관(13)의 선단에 캡형의 부구망(23)을 각각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양 부구망(23)을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연결간(15)(16)을 분리한 후 전방 지지관(12)과 후방 지지관(13)을 하부 지지관(14)쪽으로 회동시키면 작은 부피로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자전거.
KR2020010011554U 2001-04-23 2001-04-23 수중자전거 KR200237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554U KR200237422Y1 (ko) 2001-04-23 2001-04-23 수중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554U KR200237422Y1 (ko) 2001-04-23 2001-04-23 수중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422Y1 true KR200237422Y1 (ko) 2001-10-12

Family

ID=7310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554U KR200237422Y1 (ko) 2001-04-23 2001-04-23 수중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4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4033A (en) Multipurpose and inflatable raft
US6077134A (en) Combination bicycle and boat
KR100944820B1 (ko) 수상이동기구
KR200237422Y1 (ko) 수중자전거
WO2019056598A1 (zh) 一种可人力驱动的水上娱乐装置
US5921824A (en) Water workout apparatus
WO2018223640A1 (zh) 一种便携式水上脚踏艇
US4379701A (en) Buoyant apparatus propelled by a human operator
AU2004229109A1 (en) Biomechanically Correct Pedal Powered Paddling System for Small Watercraft
CN201120950Y (zh) 一种充气式水上摩托艇
JPH0487896A (ja) 足力推進カヌー及びこれに用いる操舵装置
GB2272412A (en) Pedal powered water apparatus
WO2015181452A1 (fr) Velo nautique propulse par un jet d&#39;eau
CN109110072A (zh) 半潜式水上自行车
JP3227165B2 (ja) 水上,水中両用自転車
US20030092329A1 (en) Water craft propelled by a double-flipper device actuated by a pedal mechanism
KR101296309B1 (ko) 수상 자전거
US3704682A (en) Pedal operated water sport vehicle
CN108860498B (zh) 一种便携折叠式划水板
CN2328582Y (zh) 水上娱乐车
US11498651B2 (en) Personal hand and foot operated watercraft
KR20090131307A (ko) 수상자전거와 윈드서핑을 겸용하는 서핑보드
CN211167312U (zh) 一种手动力的水上游乐设备
CN106730857A (zh) 一种旅游景区儿童专用水上玩具车
JP2002012197A (ja) 水上竹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