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297B1 - 크라프트 증해액 중의 나트륨 설파이드의 선택적 산화 - Google Patents

크라프트 증해액 중의 나트륨 설파이드의 선택적 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297B1
KR100944297B1 KR1020047012245A KR20047012245A KR100944297B1 KR 100944297 B1 KR100944297 B1 KR 100944297B1 KR 1020047012245 A KR1020047012245 A KR 1020047012245A KR 20047012245 A KR20047012245 A KR 20047012245A KR 100944297 B1 KR100944297 B1 KR 10094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butyl
bis
compoun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418A (ko
Inventor
메러마티아스
Original Assignee
클라리안트 프로두크테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안트 프로두크테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리안트 프로두크테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8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3Five-membered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aper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2의 소비율을 1.5×10-4몰/1/sec 이상으로 하고 전이금속 옥사이드, 바람직하게는 MnO2의 존재하에 산소를 사용하여 나트륨 설파이드에 도달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설파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O2 소비율의 제어가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밝혀진 자동-재순환 반응기에서 수행된다.
화학식 V
Figure 112004035304755-pct00018
화학식 VI

Description

크라프트 증해액 중의 나트륨 설파이드의 선택적 산화{SELECTIVE OXIDATION OF SODIUM SULFIDE IN KRAFT COOKING LIQUORS}
본 발명은 폴리알킬-1-옥사다이아자스피로데케인 화합물계인 상승작용적 안정화제 혼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물질은 광, 방사선, 열 또는 산소에 의해 손상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광과 열의 영향으로부터 유기 물질을 안정화하는 화합물이 기재된 수많은 문헌들이 이미 존재한다. 이들 중 일부는 2,2,6,6-테트라알킬피페리딘계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 안정화제는 특히 유기 물질의 노출 부위에서 충분한 농도로 존재해야 한다.
대표적인 저분자량의 2,2,6,6-테트라알킬피페리딘 부류는, 특히 손상을 받은 부위로 급속히 이동하여, 그곳에서 보호 효력을 나타내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은 휘발성이 너무 높고 유기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추출되는 단점도 갖는다.
이들 부류 중 대표적인 고분자량 물질은, 쉽게 추출되지는 않지만, 보다 느 리게 이동하는 단점을 갖는다. 종래 기술내에서 이러한 문제는 종종 저분자량(급속히 이동하는) 안정화제 및 고분자량(느리게 이동하는) 안정화제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해결되었다.
따라서, 앞서 서술한 단점이 대부분 또는 전부 부재하는 상당수의 입체 장애 아민계 안정화제 혼합물이 공지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예를 들어 US 4,692,486, US 4,863,981, US 4,957,953, US 5,980,783, WO 92/12201, WO 94/22946, EP 449 685 A, EP 623 092 A, GB 2 267 499 A 및 연구 발표 제 34549 호(1993년 1월)에 기재된 혼합물로 제조된 것을 언급할 수 있다.
그러나, 광 안정성 또는 서비스 특성이 향상된 유기 물질을 제공하는 새롭고 보다 강력한 안정화제 혼합물에 대한 높은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US 6,174,940 호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65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4중량%, 특히 85 내지 94중량%의 분율로 존재하고,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5 내지 3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 특히 5 내지 12중량%의 분율로 존재하고,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0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 특히 1 내지 3중량%의 분율로 존재하는, 폴리알킬-1-옥사다이아자스피로데케인 화합물계 화학식 I, II 및 III의 상승작용적 안정화제 혼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9071297605-pct00001
Figure 112009071297605-pct00002
Figure 112009071297605-pct00003
상기 식에서,
n 및 m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의 수이지만, 둘다 0일 수는 없고,
R1은 수소, C5-C7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12 알킬 기이고,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18 알킬 기이거나,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 내지 13원 크기의 고리,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하기 화학식 IV의 기를 형성하고:
Figure 112004035304755-pct00004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22 알킬 기이거나,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30 알킬옥시 기, C5-C12 사이클로알킬옥시 기, C6-C10 아릴옥시 기(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음), C7-C20 아릴알킬옥시 기(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음), C3-C10 알켄일 기, C3-C6 알카인일 기, C1-C10 아실 기, 할로겐, 또는 비치환되거나 C1-C4 알킬-치환된 페닐이다.
상기 혼합물의 개별적인 성분의 제법은 이미 US 6,174,940 호에 기재되어 있거나, 그 안에 인용된 공개공보 EP 705 836 A, EP 690 060 A 및 EP 057 885 A를 참조한다.
US 6,174,940 호에서, 기재된 혼합물은 성분 (I), (II) 및 적합하다면 (III)을 목적하는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과정은, 예를 들어 상기 물질들을 마른 형태로 혼합하는 분말 믹서에서 실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분말 혼합물을 필요하다면 비활성 기체하에 용융시킴으로써 균일화할 수 있다. 혼합 과정은 또한 용매의 보조하에 수행될 수도 있는데, 성분들을 용액중에서 균일화한 후 증발에 의해 다시 용매를 제거한다.
성분 (I), (II) 및 (III)의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종류의 과정은, 우선 첫 번째로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을 독립적으로 제조한 후, 추가의 물리적인 처리 공정으로 정확한 상승작용적 비율로 혼합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고,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에서 결정적인 단점을 갖는다.
놀랍게도, 현재 성분 (I), (II) 및 (III)의 혼합물을 동일 반응계에서, 즉 추가의 물리적인 처리 공정 없이 숙련된 반응 체제에 의해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65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4중량%, 특히 85 내지 94중량%의 분율로 포함하고,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5 내지 3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 특히 5 내지 12중량%의 분율로 포함하고,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0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 특히 1 내지 3중량%의 분율로 포함하는 상승작용적 혼합물의 신규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71297605-pct00005
화학식 II
Figure 112009071297605-pct00006
화학식 III
Figure 112009071297605-pct00007
상기 식에서,
n 및 m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의 수이지만, 둘다 0일 수는 없고,
R1은 수소, C5-C7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12 알킬 기이고,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18 알킬 기이거나,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 내지 13원 크기의 고리,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하기 화학식 IV의 기를 형성하고:
화학식 IV
Figure 112004035304755-pct00008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22 알킬 기이거나,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30 알킬옥시 기, C5-C12 사이클로알킬옥시 기, C6-C10 아릴옥시 기(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음), C7-C20 아릴알킬옥시 기(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음), C3-C10 알켄일 기, C3-C6 알카인일 기, C1-C10 아실 기, 할로겐, 또는 비치환되거나 C1-C4 알킬-치환된 페닐이다.
바람직하게는, n 및 m이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수이지만 둘다 0일 수는 없고, R1이 수소, C6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4 알킬 기이고, R2 및 R3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8 알킬 기이거나,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6 내지 12원 크기의 고리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화학식 IV의 기를 형성하고, R4 및 R5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 기이거나,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10 알킬옥시 기, C5-C6 사이클로알킬옥시 기, C6-C7 아릴옥시 기(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음), C7-C10 아릴알킬옥시 기(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음), C3-C6 알켄일 기, C3-C6 알카인일 기, C1-C4 아실 기, 할로겐, 또는 비치환되거나 C1-C2 알킬-치환된 페닐인 혼합물로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n 및 m이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수이지만 둘다 0일 수는 없고, R1이 메틸이고, R2 및 R3이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12원 크기의 고리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화학식 IV의 기를 형성하고, R4 및 R5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아세틸, 옥틸옥시 또는 사이클로헥실옥시인 혼합물로 제공된다.
성분 (I), (II) 및 (III)의 상승작용적 혼합물은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I의 에피할로하이드린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112004035304755-pct00009
Figure 112004035304755-pct00010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R6 -은 원소 주기율표(PTE)의 V, VI 또는 VII 주족, 바람직하게는 PTE의 VII 주족의 양성자산의 음이온이고,
X는 할로겐 원자, 특히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이다.
PTE의 V 및 VI 주족으로부터의 양성자산의 음이온은, 예를 들어 하이드로젼 설페이트, 설페이트, 니트레이트, 하이드로젼 포스페이트 및 포스페이트와 같은 옥 소산의 음이온이다. PTE의 VII 주족으로부터의 양성자산의 양이온은, 예를 들어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요오다이드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음이온으로 주어진다.
화학식 V 및 VI의 화합물을 비활성 유기 용매 중 상이동촉매의 존재하에 1:1 내지 1:2.9의 몰비로 예비혼합한다. 그 다음, 상기 예비혼합물을 반응시켜, 상이동촉매를 사용하여 유기 용매 중 화학식 V의 화합물 몰량에 대하여 4 내지 20배의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몰량의 존재하에 성분 (I), (II) 및 (III)로 이루어진 목적하는 상승작용적 혼합물을 형성한다.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는 고체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중량비가 9:1 내지 1:9(물에 대한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중량부)인 수용액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V의 적합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2-아이소프로필-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뷰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아이소뷰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펜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헥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헵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아이소헵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아이소옥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논일-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아이소논일-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페닐-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4-클로로페닐)-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2-다이메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에틸-2,7,7,9,9-펜타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프로필-2,7,7,9,9-펜타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아이소프로필-6,7,7,9,9-펜타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뷰틸-2,7,7,9,9-펜타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아이소뷰틸-2,7,7,9,9-펜타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펜틸-6,7,7,9,9-펜타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헥실-2,7,7,9,9-펜타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논일-2,7,7,9,9-펜타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2-다이에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2-다이프로필-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2-다이뷰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에틸-2-펜틸-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2-다이벤질-7,7,9,9-테트라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스피로[4.5]데케인,
2,2,4,4-테트라메틸-7-옥사-3,12-다이아자-14-옥소다이스피로[5.1.4.2]테트라데케인,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다이아자-21-옥소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
2,2,4,4-테트라메틸-7-옥사-3,14-다이아자-15-옥소다이스피로[5.5.5.2]펜타데케인,
2,2,4,4,10,10,12,12-옥타메틸-7-옥사-3,11,14-트라이아자-15-옥소다이스피로[5.1.5.2]펜타데케인,
2-에틸-2,7,7,9,9-펜타메틸-1-옥사-3,8-다이아자-4-옥소-8-옥실스피로[4.5]데케인.
음이온 R6 -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이 PTE의 V, VI 또는 VII 주족, 바람직하게는 PTE의 VII 주족 양성자산으로부터의 음이온, 특히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이다.
출발 생성물로서 사용된 폴리알킬옥사다이아자스피로데케인은 대체로 공지되어 있고, US 4,110,334 및 US 4,107,139에 제공된 지시사항에 따라 수득된다.
화학식 V의 화합물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다이아자-21-옥소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이다.
화학식 VI의 바람직한 에피할로하이드린은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이다.
화학식 V 및 VI의 화합물은 1:1 내지 1:2.9,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2.7, 특히 1:2 내지 1:2.5의 몰비로 반응시킨다.
상기 반응은 화학식 V의 화합물에 대하여 4 내지 20배 몰량의 고체 형태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존재하에, 또는 물에 대한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중량비가 9:1 내지 1:9,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4:1, 특히 1:1 내지 7:3(물의 중량부에 대한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중량부)인 상응하는 양의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의 존재하에 비활성 유기 용매 중에서 일어난다.
반응 온도는 20 내지 22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0℃, 특히 60 내지 90℃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비활성 유기 용매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석유 에테르, 헥세인, 헵테인, 석유 분획, 톨루엔, 사이클로헥세인, 메시틸렌 또는 자일렌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방향족 탄화수소, 특히 자일렌이다.
비활성 유기 용매는 화학식 V의 화합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3, 특히 2:1 내지 1:2의 중량비로 사용된다.
사용된 상이동촉매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저중합 평균 등급, 특히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사용된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양에 대하여 1.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중량%, 특히 4 내지 6중량%의 양적 비율로 사용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는 30 내지 60분후에 종료된다.
상기 반응 이후에 과량의 에피할로하이드린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바람직하게 는 증류에 의해 제거한다. 에피할로하이드린의 제거 동안에 비활성 유기 용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상 분리 이전에 적합한 양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유기층 및 수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비활성 유기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증류에 의해 제거한다.
수득된 점성 예비혼합물을 추가의 정제 단계 없이 바람직하게는 감압하에 100 내지 24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20℃, 특히 150 내지 200℃에서 가열함으로써 화학식 I, II 및 III의 목적하는 혼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사용된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양, 에피할로하이드린(VI)의 양, 사용된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양 및 사용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상이동촉매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성분 (I), (II) 및 (III)의 혼합물의 조성을 폭넓게 변화시킬 수 있다.
혼합물(성분 (I), (II) 및 (III))의 조성은 종래의 분광학적 방법(IR 및 13C-NMR 분광법)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중합 이후에, 반응 혼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R4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유도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학식 I, II 및 III의 혼합물은, 하기에 예로서 기재된 바와 같은, 유기 물질 중의 광 안정화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1. 모노올레핀 및 다이올레핀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이소뷰틸렌, 폴리뷰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아이소프렌 또는 폴리 뷰타다이엔, 및 사이클로올레핀,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텐 또는 노보넨의 중합체; 부가적으로 폴리에틸렌(이는 선택적으로 가교될 수 있음);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몰질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몰질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분지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LDPE).
폴리올레핀, 즉 상기 문단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하게, 특히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자유-라디칼 중합(통상 고압 및 승온하)
b) 보편적으로 IVb, Vb, VIb 또는 VIII족의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한 촉매를 이용한 촉매 중합. 이들 금속은 대체로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리간드, 예를 들어 옥사이드, 할라이드, 알콜레이트, 에스터,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켄일 및/또는 아릴을 갖는다. 이들 금속 착체는 유리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기판, 예를 들어 활성화된 염화마그네슘, 염화티탄(III), 알루미나 또는 산화규소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들 촉매는 중합 매질에 가용성이거나 불용성일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중합 반응에서와 같이 활성일 수 있고, 또는 추가의 활성화제, 예를 들어 금속 알킬, 금속 하이드라이드, 금속 알킬 할라이드, 금속 알킬 옥사이드 또는 금속 알킬옥세인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금속은 주기율표의 Ia, IIa 및/또는 IIIa족 원소이다. 활성화제는, 예를 들어 추가의 에스터,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 기를 사용하여 개질될 수도 있다. 이들 촉매 시스템은 대체로 필립스(Phillips), 스탠다드 오일 인디아나(Standard Oil Indiana), 지글러(Ziegler)-나 타(-Natta), TNZ(듀폰(Dupont)), 메탈로센 또는 단일 부위 촉매(SSC)라 부른다.
2. 상기 1에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아이소뷰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이소뷰틸렌과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예: PP/PE-HD/PE-LD)의 혼합물 및 서로 다른 유형의 폴리에틸렌(예: PE-LD/PE-HD)의 혼합물.
3. 모노올레핀 및 다이올레핀 서로간 또는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PE-LLD)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PE-LD)과 이들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아이소뷰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 아이소뷰틸렌-아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일산화탄소와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아이오노머), 및 프로필렌 및 다이엔, 예를 들어 헥사다이엔,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또는 에틸리덴-노보넨과 에틸렌의 삼원공중합체; 이러한 공중합체 서로간 및 상기 1에 언급했던 중합체와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PE-LD-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E-LD-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PE-LLD-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E-LLD-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교호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
4. 수소화 개질제(예: 점착 부여제 수지) 및 폴리알킬렌 및 전분의 혼합물을 비롯 한 탄화수소 수지(예: C5-C9).
5. 폴리스타이렌, 폴리(p-메틸스타이렌), 폴리(σ-메틸스타이렌).
6. 다이엔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와 스타이렌 또는 σ-메틸스타이렌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타이렌-뷰타다이엔,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스타이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뷰타다이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뷰타다이엔-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말레산 무수물,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메트아크릴레이트; 고충격강도를 갖는 스타이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다이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삼원공중합체의 혼합물; 스타이렌의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 또는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7. 스타이렌 또는 σ-메틸스타이렌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뷰타다이엔상의 스타이렌, 폴리뷰타다이엔-스타이렌 또는 폴리뷰타다이엔-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상의 스타이렌, 폴리뷰타다이엔상의 스타이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또는 메트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뷰타다이엔상의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및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뷰타다이엔상의 스타이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뷰타다이엔상의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뷰타다이엔상의 스타이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뷰타다이엔상의 스타이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삼원공중합체상의 스 타이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상의 스타이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레이트-뷰타다이엔 공중합체상의 스타이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뿐만 아니라 상기 6에 언급했던 공중합체와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서 공지된 공중합체 혼합물.
8. 할로겐-함유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아이소뷰틸렌-아이소프렌의 염소화 및 브롬화 공중합체(할로뷰틸 고무), 염소화 또는 설포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염소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뿐만 아니라 이들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9. α,β-불포화 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를 들어 뷰틸 아크릴레이트로 충격-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0. 상기 9에서 언급했던 단량체 서로간 또는 다른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나이트릴-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뷰타다이엔 삼원공중합체.
11. 불포화 알콜 및 아민 또는 아실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아세탈로부터 유도된 중합 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레에이트, 폴리비닐 뷰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멜라민; 및 상기 1에서 언급했던 올레핀과 이들의 공중합체.
12. 사이클릭 에테르의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와 이들의 공중합체.
13.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폴리아세탈, 및 공단량체, 예를 들어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한 폴리옥시메틸렌;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및 설파이드, 및 스타이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
15. 한편은 하이드록실-말단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터 및 폴리뷰타다이엔, 그리고 다른 한편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유레테인, 및 이들의 전구체.
16. 다이아민 및 다이카복실산, 및/또는 아미노카복실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4, 6, 6/6, 6/10, 6/9, 6/12, 4/6, 12/12, 11 및 12, m-자일렌, 다이아민 및 아디프산으로부터 출발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로부터 유도된 코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 개질제로서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폴리-2,4,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아이소프탈아미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헥사메틸렌다이아민 및 아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제조 된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또는 그래프팅된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과 전술한 폴리아미드의 블록 공중합체. 부가적으로, EPDM 또는 ABS로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가공동안 응축된 폴리아미드(RIM 폴리아미드 시스템).
17. 폴리유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스터 아미드, 폴리하이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다이카복실산 및 다이알콜 및/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또는 상응하는 락톤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다이메틸올사이클로헥세인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록실-말단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블록 폴리에테르-에스터; 및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에스터.
19.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카보네이트.
20. 폴리설폰, 폴리에테르 설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21. 한편은 알데하이드, 그리고 다른 한편은 페놀, 유레아 또는 멜라민으로부터 유도된 가교된 중합체, 예를 들어 페놀/포름알데하이드 수지, 유레아/포름알데하이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수지.
22. 건조 및 비건조 알키드 수지.
23. 가교제로서 다가 알콜 및 비닐 화합물과 포화 및 불포화 다이카복실산의 코폴리에스터, 및 낮은 가연성을 갖는 이들의 할로겐 함유 개질제로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24. 치환된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가교가능한 아크릴 수지.
25. 멜라민 수지, 유레아 수지,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사이아뉴레이트,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로 가교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및 아크릴 수지.
26. 예를 들어 촉진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경화제, 예를 들어 무수물 또는 아민에 의해 가교된, 지방족, 지환족,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가교된 에폭시 수지,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F 다이글리시딜 에테르의 생성물.
27. 중합체-상동 방식으로 화학적으로 개질된 천연 중합체, 예를 들어 셀룰로즈, 천연 고무, 젤라틴 및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셀룰로즈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즈 뷰티레이트, 또는 셀룰로즈 에테르(예: 메틸 셀룰로즈); 및 로진 및 유도체.
28. 전술한 중합체의 혼합물(폴리블렌드), 예를 들어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PE-HD, PA/PP, PA/PPO, PBT/PC/ABS 또는 PBT/PET/PC.
29. 순수한 단량체성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천연 및 합성 유기 물 질, 예를 들어 광유, 동물성 또는 식물성 지방, 오일 및 왁스, 또는 합성 에스터(예: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트라이멜리테이트)계 오일, 왁스 및 지방, 및 예를 들어 회전 연마제로서 이용된 것과 같은 임의의 목적하는 중량 비율로 이루어진 광유와 합성 에스터의 블렌드, 및 이들의 수성 유제.
30.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의 수성 유제,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라텍스 또는 카복실화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의 라텍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학식 I, II 및 III의 혼합물은 그밖의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금속 탈활성화제, 대전방지제, 내연제, 윤활제, 핵생성제, 산 제거제(염기성 상호안정화제(costabilizer)), 안료 및 충전제와 적합한 조합 형태로 상기 유기 물질 등을 직접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 (I), (II) 및 (III)의 혼합물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및 광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입체 장애 아민 또는 입체 장애 페놀 또는 황 또는 인을 함유한 상호안정화제계 화합물이다.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첨가제의 예는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 들어 2,6-다이-t-뷰틸-4-메틸페놀, 2-뷰틸-4,6-다이메틸페놀, 2,6-다이-t-뷰틸-4-에틸페놀, 2,6-다이-t-뷰틸-4-n-뷰틸-페놀, 2,6-다이-t-뷰틸-4-아이소뷰틸페놀, 2,6-다이사이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사이클로헥실)-4,6-다이메틸페놀, 2,6-다이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라이사이클로헥실페놀, 2,6-다이-t-뷰틸-4-메톡시메틸페놀, 선형 또는 측쇄-분지형 논일페놀, 예를 들어 2,6-다이-논일-4-메틸페놀, 2,4-다이메틸-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다이메틸-6-(1'-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다이메틸-6-(1'-메틸트라이데크-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 들어 2,4-다이옥틸티오메틸-6-t-뷰틸페놀, 2,4-다이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다이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다이도데실티오메틸-4-논일페놀.
1.3 하이드로퀴논 및 알킬화 하이드로퀴논, 예를 들어 2,6-다이-t-뷰틸-4-메톡시페놀, 2,5-다이-t-뷰틸하이드로퀴논, 2,5-다이-t-아밀하이드로퀴논, 2,6-다이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다이-t-뷰틸하이드로퀴논, 2,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아니솔,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아니솔,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 아디페이트.
1.4 하이드록실화 티오다이페닐 에테르, 예를 들어 2,2'-티오비스(6-t-뷰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t-뷰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t-뷰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다이-s-아밀페놀), 4,4'-비스(2,6-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다이설파이드.
1.5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 들어 2,2'-메틸렌비스(6-t-뷰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뷰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사이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사이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논일-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t-뷰틸-4-아이소뷰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논일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다이메틸벤질)-4-논일페놀], 4,4'-메틸렌비스(2,6-다이-t-뷰틸페놀), 4,4'-메틸렌비스(6-t-뷰틸-2-메틸-페놀), 1,1-비스(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뷰테인, 2,6-비스(3-t-뷰틸-5-메틸-2-하이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뷰테인, 1,1-비스(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캡토뷰테인, 비스(3-t-뷰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비스[2-(3'-t-뷰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6-t-뷰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다이메틸-2-하이드록시페닐)뷰테인, 2,2-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캡토뷰테인, 1,1,5,5-테트라-(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펜테인,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t-뷰틸-4'-하이드록시-페닐)뷰티레이트].
1.6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 들어 3,5,3',5'-테트라-t-뷰틸-4,4'-다이-하이드록시다이벤질 에테르, 옥타데실 4-하이드록시-3,5-다이메틸벤질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아민, 비스(4-t-뷰틸-3-하이드록시-2,6-다이-메틸벤질)다이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설파이드, 아이소옥틸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머캡토아세테이트, 트라이데실 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벤질머캡토아세테이트.
1.7 하이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 들어 다이옥타데실 2,2-비스(3,5-다이-t-뷰틸-2-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다이옥타데실 2-(3-t-뷰틸-4-하이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다이도데실 머캡토에틸-2,2-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 시-벤질)말로네이트, 다이-[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닐] 2,2-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8 방향족 하이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 들어 1,3,5-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라이메틸벤젠, 1,4-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페놀.
1.9 트라이아진 화합물, 예를 들어 2,4-비스옥틸머캡토-6-(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아닐리노)-1,3,5-트라이아진, 2-옥틸머캡토-4,6-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아닐리노)-1,3,5-트라이아진, 2-옥틸머캡토-4,6-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녹시)-1,3,5-트라이아진, 2,4,6-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녹시)-1,2,3-트라이아진, 1,3,5-트리스(3,5-t-뷰틸-4-하이드록시벤질)-아이소사이아뉴레이트, 1,3,5-트리스(4-t-뷰틸-3-하이드록시-2,6-다이메틸벤질)-아이소사이아뉴레이트, 2,4,6-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에틸)-1,3,5-트라이아진, 1,3,5-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하이드로-1,3,5-트라이아진, 1,3,5-트리스-(3,5-다이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벤질)아이소사이아뉴레이트.
1.10 벤질포스포네이트, 예를 들어 다이메틸 2,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다이에틸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다이옥타데실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다이옥타데실 5-t-뷰틸-4-하이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폰산의 모 노에틸 에스터의 Ca 염.
1.11 아실아미노페놀, 예를 들어 4-하이드록시라우르아닐라이드, 4-하이드록시스테아르아닐라이드, 옥틸 N-(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카바메이트.
1.12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아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세인다이올, 1,9-노네인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페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뉴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라이메틸헥세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라이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과 β-(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터.
1.13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아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세인다이올, 1,9-노네인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페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뉴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라이메틸헥세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라이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과 β-(5-t-뷰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터.
1.14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아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세인다이올, 1,9-노네인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페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뉴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라이메틸헥세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라이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과 β-(3,5-다이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터.
1.15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아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세인다이올, 1,9-노네인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페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뉴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라이메틸헥세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라이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과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의 에스터.
1.16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아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세인다이올, 1,9-노네인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페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뉴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라이메틸헥세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라이옥사바 이사이클로[2.2.2]옥테인과 3,3-비스(3'-t-뷰틸-4'-하이드록시페닐)뷰티르산의 에스터.
1.17 β-(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 들어, N,N'-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다이아민, N,N'-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라이메틸렌다이아민, N,N'-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
1.18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 E).
1.19 하이드록시벤질 방향족, 예를 들어 1,3,5-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라이메틸벤젠, 1,4-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페놀.
1.20.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1.21 아민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N,N'-다이아이소프로필-p-페닐렌다이아민, N,N'-다이-s-뷰틸-p-페닐렌다이아민, N,N'-비스(1,4-다이메틸펜틸)-p-페닐렌다이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다이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다이아민, N,N'-다이사이클로헥실-p-페닐렌다이아민, N,N'-다이페닐-p-페닐렌다이아민, N,N'-다이(나프틸-2)-p-페닐렌다이아민, N-아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다이아민, N-(1,3-다이메틸뷰틸)-N'-페닐-p-페닐렌다이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다이아민, N-사이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다이아민, 4-(p-톨루엔설폰아미도)다이페닐아민, N,N'-다이메틸-N,N'-다이-s-뷰틸-p-페닐렌다이아민, 다이페닐 아민, N-알릴다이페닐아민, 4-아이소프로폭시다이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t-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다이페닐아민, 예를 들어 p,p'-다이-t-옥틸다이페닐아민, 4-n-뷰틸아미노페놀, 4-뷰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다이(4-메톡시페닐)아민, 2,6-다이-t-뷰틸-4-다이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다이아미노다이페닐메테인, 4,4'-다이아미노다이페닐메테인, N,N,N',N'-테트라메틸-4,4'-다이아미노다이페닐메테인, 1,2-다이-[(2-메틸페닐)-아미노]에테인, 1,2-다이(페닐아미노)프로페인, (o-톨릴)바이구아나이드, 다이[4-(1',3'-다이-메틸뷰틸)-페닐]아민, t-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다이알킬화 t-뷰틸/t-옥틸다이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다이알킬화 논일다이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다이알킬화 도데실다이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다이알킬화 아이소프로필/아이소헥실-다이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다이알킬화 t-뷰틸다이페닐아민, 2,3-다이하이드로-3,3-다이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 및 다이알킬화 t-뷰틸/t-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 및 다이알킬화 t-옥틸페노티아진,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다이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다이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의 혼합물.
2. UV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2.1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예를 들어 2-(2'-하이드록시-5'-메틸- 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5'-다이-t-뷰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5'-t-뷰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뷰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5'-다이-t-뷰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3'-t-뷰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3'-s-뷰틸-5'-t-뷰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4'-옥톡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5'-비스(α,α-다이메틸벤질)-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t-뷰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3'-t-뷰틸-5'-[2-(2-에틸헥실옥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3'-t-뷰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3'-t-뷰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t-뷰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t-뷰틸-5'-[2-(2-에틸헥실옥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도데실-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및 2-(3'-t-뷰틸-2'-하이드록시-5'-(2-아이소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뷰틸)-6-벤조트라이아졸-2-일페놀]의 혼합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 2-[3'-t-뷰틸-5'-(2-메톡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의 트랜스에스터화 생성물; [R-CH2CH2-COO(CH2)3]2(여기서, R은 3'-t-뷰틸-4'-하이드록시-5'-2H-벤조트라이아졸-2-일페닐 임).
2.2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예를 들어 4-하이드록시, 4-메톡시, 4-옥톡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라이하이드록시 및 2'-하이드록시-4,4'-다이메톡시 유도체.
2.3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터, 예를 들어 4-t-뷰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다이벤조일레조르시놀, 비스(4-t-뷰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레조르시놀, 2,4-다이-t-뷰틸페닐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다이-t-뷰틸페닐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틸 또는 아이소옥틸 α-사이아노-β,β-다이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또는 뷰틸 α-사이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N-(β-카보메톡시-β-사이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 들어 n-뷰틸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또는 N-사이클로헥실다이에탄올아민과 같은 추가의 리간드를 갖거나 갖지 않은, 1:1 또는 1:2 착체와 같은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놀]의 니켈 착체, 니켈 다이뷰틸다이티오카바메이트, 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벤질포스폰산의 메틸 또는 에틸 에스터와 같은 모노알킬 에스터의 니켈 염, 케톡심,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 케톡심의 니켈 착체, 추가의 리간드를 갖거나 갖지 않은 1-페닐-4- 라우로일-5-하이드록시피라졸의 니켈 착체.
2.6 입체 장애 아민, 예를 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글루타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 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 글루타레이트, n-뷰틸-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말레산-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에스터,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베헤네이트, 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베헤네이트, 1-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 및 숙신산의 응축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다이아민 및 4-t-옥틸아미노-2,6-다이클로로-1,3,5-s-트라이아진의 응축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나이트릴로트라이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뷰테인테트라오에이트, 1,1'-(1,2-에테인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진온),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뷰틸-2-(2-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벤질)-말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뷰틸-2-(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라이아자스피로[4.5]데케인-2,4-다이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다이아민 및 4-모폴리노-2,6-다이클로로-1,3,5-트라이아진의 응축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다이아민 및 4-사이클로헥실아미노-2,6-다이클로로-1,3,5-트라이아진의 응축물, 2-클로로-4,6-다이-(4-n-뷰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 및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의 응축물, 2-클로로-4,6-다이-(4-메톡시프로필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 및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의 응축물, 2-클로로-4,6-다이-(4-메톡시프로필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 및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의 응축물, 2-클로로-4,6-다이-(4-n-뷰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 및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의 응축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이때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치환됨), 예를 들어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과 2-클로로-4,6-다이-(4-n-뷰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의 반응 생성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이때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치환됨), 예를 들어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과 2-클로로-4,6-다이-(4-n-뷰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의 반응 생성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이때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치환됨), 예를 들어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과 2-클로로-4,6-다이-(4-n-뷰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 및 4-t-옥틸아미노-2,6-다이클로로-1,3,5-s-트라이아진의 반응 생성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이때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치환됨), 예를 들어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과 2-클로로-4,6-다이-(4-n-뷰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 및 4-t-옥틸아미노-2,6-다이클로로-1,3,5-s-트라이아진의 반응 생성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이때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치환됨), 예를 들어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과 2-클로로-4,6-다이-(4-n-뷰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 및 4-(4-n-뷰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2,6-다이클로로-1,3,5-s-트라이아진의 반응 생성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이때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치환됨), 예를 들어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과 2-클로로-4,6-다이-(4-n-뷰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라이아진 및 4-(4-n-뷰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2,6-다이클로로-1,3,5-s-트라이아진의 반응 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테인 및 2,4,6-트라이클로로-1,3,5-트라이아진의 응축물, 및 4-뷰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라이아자스피로[4.5]데케인-2,4-다이온, 올리고머화 2,2,4,4-테트라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올리고머화 1,2,2,4,4-펜타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올리고머화 1-아세틸-2,2,4,4-테트라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다이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다이온,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3-프로판산 도데실 에스터, 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3-프로판산 테트라데실 에스터, 2,2,3,4,4-펜타메틸-7-옥사-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2,2,3,4,4-펜타메틸-7-옥사-21-옥소-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3-프로판산 도데실 에스터, 2,2,3,4,4-펜타메틸-7-옥사-21-옥소-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3-프로판산 테트라데실 에스터, 3-아세틸-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3-아세틸-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3-프로판산 도데실 에스터, 3-아세틸-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3-프로판산 테트라데실 에스터, 1,1',3,3',5,5'-헥사하이드로-2,2',4,4',6,6'-헥사아자-2,2',6,6'-비스메타노-7,8-다이옥소-4,4'-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바이페닐, 폴리-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8-다이아자데실렌, 2,2,6,6-테트라메틸-4-알릴옥시피페리딘 및 폴리메틸하이드로실록세인의 부가물(4000 이하의 몰 질량), 1,2,2,6,6-펜타메틸-4-알릴옥시피페리딘 및 폴리메틸하이드로실록세인의 부가물(4000 이하의 몰 질량), N,N'-다이포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일)헥사메틸렌다이아민, N,N'-다이포밀-N,N'-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헥사메틸렌다이아민, 5,11-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일)-3,5,7,9,11,13-헥사아자테트라사이클로-[7.4.0.02,7.13,13]테트라데케인-8,14-다이온, 5,11-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3,5,7,9,11,13-헥사아자테트라사이클로-[7.4.0.02,7.13,13]테트라데케인-8,14-다이온, [(4-메톡시페닐)메틸렌]-프로페인 이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일) 에스터, [(4-메톡시페닐)-메틸렌]프로페인 이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 에스터, 2,4,6-트리스(N-사이클로헥실-N-[2-(3,3,4,5,5-펜타메틸피페라진온-1-일)-에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옥타데실아민과 반응시킨 말레산 무수물 및 α-메틸스타이렌과 스타이렌의 공중합체, 4-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및 옥타데실아민과 반응시킨 말레산 무수물 및 α-메틸스타이렌과 스타이렌의 공중합체, 다이올 성분으로서 2,2'-[(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일)이미노]비스[에탄올]을 포함한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성분으로서 2,2'-(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이미노]비스[에탄올]을 포함한 폴리카보네이트,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반응시킨 C30 이하의 α-올레핀 및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1-아세틸-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반응시킨 C30 이하의 α-올레핀 및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4-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딘과 반응시킨 C30 이하의 α-올레핀 및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및 피페리딘상에 유리 NH 기를 갖는 전술한 화합물의 N-알킬-옥시 및 N-아릴-옥시 유도체, 특히 C1 내지 C18의 α-메틸벤질옥시 및 알킬옥시 유도체.
2.7 옥살아미드, 예를 들어 4,4'-다이옥틸옥시옥사닐라이드, 2,2'-다이에톡시옥사닐라이드, 2,2'-다이옥틸옥시-5,5'-다이-t-뷰틸옥사닐라이드, 2,2'-다이도데실옥시-5,5'-다이-t-뷰틸-옥사닐라이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라이드, N,N'-비스(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옥살아미드, 2-에톡시-5-t-뷰틸-2'-에틸옥사닐라이드 및 2-에톡시-2'-에틸-5,4'-다이-t-뷰틸옥사닐라이드와의 혼합물 및 o- 및 p-메톡시-이치환된 및 o- 및 p-에톡시-이치환된 옥사닐라이드의 혼합물.
2.8 2-(2-하이드록시페닐)-1,3,5-트라이아진, 예를 들어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2,4-다이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뷰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트라이데실옥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4-도데실옥시/-트라이데실옥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3-뷰톡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라이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 들어 N,N'-다이페닐옥살아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오일하이드라진, N,N'-비스(살리실오일)하이드라진, N,N'-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 3-살리실오일아미노-1,2,4-트라이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옥사닐라이드, 아이소프탈로일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하이드라자이드, N,N'-다이아세틸아디포일 다이하이드라자이드, N,N'-비스(살리실오일)옥살릴 다이하이드라자이드, N,N'-비스(살리실오일)티오프로피오닐 다이하이드라자이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를 들어 트라이페닐 포스파이트, 다이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다이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논일페닐) 포스파이트, 트라이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라이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다이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트리스(2,4-다이-t-뷰틸페닐)포스파이트, 다이아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뷰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2,6-다이-t-뷰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아이소데실옥시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뷰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2,4,6-트라이-t-뷰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트라이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라이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다이-t-뷰틸페닐) 4,4'-바이페닐렌다이포스포나이트, 6-아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t-뷰틸-12H-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포신, 6-플루오로-2,4,8,10-테트라-t-뷰틸-12-메틸-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포신, 비스(2,4-다이-t-뷰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뷰틸-6-메틸페닐) 에틸 포스파이트, 트리스(2-t-뷰틸-4-티오(2'-메텐일-4'-하이드록시-5'-t-뷰틸)페닐-5-메텐일)페닐 포스파이트, 2,2',2"-나이트릴로[트라이에틸 트리스(3,3',5,5'-테트라-t-뷰틸-1,1'-바이페닐-2,2'-다이일)포스파이트], 비스[2-메틸-4,6-비스(1,1-다이메틸에틸)페놀]아인산 에틸 에스터.
5. 하이드록실아민, 예를 들어 N,N-다이벤질하이드록실아민, N,N-다이에틸하이드록실아민, N,N-다이옥틸하이드록실아민, N,N-다이라우릴하이드록실아민, N,N-다이테트라데실하이드록실아민, N,N-다이헥사데실하이드록실아민, N,N-다이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하이드 록실아민, 수소화 우지 지방 아민으로부터 제조된 N,N-다이알킬하이드록실아민.
6. 나이트론, 예를 들어 수소화 우지 지방 아민으로부터 제조된, N-벤질 알파-페닐 나이트론, N-에틸 알파-메틸 나이트론, N-옥틸 알파-헵틸 나이트론, N-라우릴 알파-운데실 나이트론, N-테트라데실 알파-트라이데실 나이트론, N-헥사데실 알파-펜타데실 나이트론, N-옥타데실 알파-헵타데실 나이트론, N-헥사데실 알파-헵타데실 나이트론, N-옥타데실 알파-펜타데실 나이트론, N-헵타데실 알파-헵타데실 나이트론, N-옥타데실 알파-헥사데실 나이트론, 수소화 우지 지방 아민으로부터 제조된 N,N-다이알킬하이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나이트론.
7. 제올라이트 및 하이드로탈사이트, 예를 들어 키즈마(Kisuma)로부터 입수가능한 DHT(등록상표) 4A, 쥬트케미(Sudchemie)로부터 입수가능한 하이시테(등록상표, Hycithe) 713 또는 콘데아(Condea)로부터 입수가능한 푸랄(등록상표, Pural) MG 61 HT.
이러한 종류의 하이드로탈사이트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M2+)1-x(M3+)x(OH)2(An-)x/n yH2O]
상기 식에서,
(M2+)는 Mg, Ca, Sr, Ba, Zn, Pb, Sn, Ni이고,
(M3+)는 Al, B, Bi이고,
An은 n가 음이온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x는 0 내지 0.5의 값이고,
y는 0 내지 2의 값이고,
A는 OH-, Cl-, Br-, I-, ClO4-, CH3COO -, C6H5COO-, CO3 2-, SO4 2-, (OOC-COO)2-, (CHOHCOO)2 2-, (CHOH)4CH2OHCOO-, C2H 4(COO)2 2-, (CH2COO)2 2-, CH3CHOHCOO -, SiO3 2-, SiO4 4-, Fe(CN)6 3-, Fe(CN)6 4-, BO3 3-, PO3 3-, HPO4 2-이다.
(M2+)가 (Ca2+), (Mg2+), 또는 (Mg2+) 및 (Zn2+)의 혼합물이고; (An-)이 CO3 2-, BO3 3- 또는 PO3 3-이고; x가 0 내지 0.5의 값을 갖고, y가 0 내지 2의 값을 갖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M2+)x(Al3+)2(OH)2x+6nz(An-)2 yH2O]
여기서, (M2+)는 Mg2+, Zn2+이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Mg2+이다. (An-)는 음이온이고, 특히 CO3 2-, (OOC-COO)2-, OH- 및 S2-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고, n은 상기 이온의 원자가를 나타낸다. y는 양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특히 0.5 내지 5이다. x 및 z는 양의 값을 갖고, x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사이 에 있는 경우 z는 2 미만이어야 한다. 하기 화학식의 하이드로탈사이트가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Al2O3×6MgO×CO2×12H2O,
Mg4.5Al2(OH)13×CO3×3.5H2O,
4MgO×Al2O3×CO2×9H2O,
4MgO×Al2O3×CO2×6H2O,
ZnO×3MgO×Al2O3×CO2×8-9H2O,
ZnO×3MgO×Al2O3×CO2×5-6H2O,
Mg4.5Al2(OH)13×CO3.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중합체 중에서 전체 중합체 배합물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 특히 0.2 내지 3중량%의 농도로 사용한다.
8. 티오시너지스트(thiosynergist), 예를 들어 다이라우릴 티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및 다이스테아릴 티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9. 퍼옥사이드 제거제, 예를 들어 β-티오다이프로피온산의 에스터, 예를 들어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라이데실 에스터, 머캡토벤즈이미다졸, 2-머캡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 염, 아연 알킬다이티오카바메이트, 아연 다이뷰틸다이티오카바메이트, 다이옥타데실 모노설파이드, 다이옥타데실 다이설파이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 (β-도데실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10.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 들어 요오다이드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한 구리 염 및 및 2가 망간의 염.
11. 염기성 상호안정화제, 예를 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다이사이안다이아미드, 트라이알릴 사이아뉴레이트, 유레아 유도체, 하이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유레테인, 고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Ca 스테아레이트, Zn 스테아레이트, Mg 베헤네이트, Mg 스테아레이트, Na 리시놀레에이트, K 팔미테이트, 안티몬 파이로케이트콜레이트 또는 주석 파이로케이트콜레이트.
12. 핵생성제, 예를 들어 무기 물질(예: 활석), 금속 산화물(예: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망간),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포스페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설페이트, 유기 화합물(예: 모노- 또는 폴리카복실산) 및 이들의 염, 예를 들어 4-t-뷰틸벤조산, 아디프산; 다이페닐아세트산; 나트륨 숙시네이트 또는 나트륨 벤조에이트; 방향족 알데하이드의 아세탈 및 다작용성 알콜(예: 1,3-2,4-다이(벤질리덴)-D-소르비톨, 1,3-2,4-다이(4-톨릴리덴)-D-소르비톨, 1,3-2,4-다이(4-에틸벤질리덴)-D-소르비톨과 같은 소르비톨), 중합체성 화합물(예: 이온성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13. 충전제 및 강화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아스베스토스,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산화금속 및 수산화금속,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우드 가루(wood flour) 및 그밖의 가루, 또는 그밖의 천연 제품의 섬유, 합성 섬유.
14. 그밖의 첨가제, 예를 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제, 안료, 레올로지 첨가제, 촉 매, 평활 보조제, 광학 증백제, 내연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15. 예를 들어 US-A-4325863, US-A-4338244, US-A-5175312; US-A-5216052; US-A-5252643, DE-A-4316611, DE-A-4316622, DE-A-4316876, EP-A-0589839 또는 EP-A-059110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벤조퓨란온 및 인돌린,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다이-t-뷰틸벤조퓨란-2-온, 5,7-다이-t-뷰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퓨란온-2-온, 3,3'-비스[5,7-다이-t-뷰틸-3-(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퓨란-2-온, 5,7-다이-t-뷰틸-3-(4-에톡시-페닐)-벤조퓨란-2-온, 3-(4-아세톡시-3,5-다이메틸페닐)-5,7-다이-t-뷰틸-벤조퓨란-2-온, 3-(3,5-다이에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다이-t-뷰틸벤조퓨란-2-온.
상기 그룹 1 내지 12 및 그룹 15의 다양한 부가 첨가제를 안정화시킬 유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안정화시킬 중합체에 첨가한다. 그룹 13 및 14의 첨가제의 비율은 안정화시킬 유기 물질을 기준으로 0.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중량%이다.
상기 첨가제는 통상의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안정화시킬 유기 물질에 혼입된다. 예를 들어, 혼입은 본 발명의 혼합물 중에서 혼합하거나 이를 가하고, 바람직하다면 중합 직후에 추가의 첨가제를 중합체로 또는 중합체에 가하거나 성형화 이전에 또는 동안에 용융물에 가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혼입은 용해된 또는 분산된 화합물을 중합체에 직접 가하거나 이들을 중합체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제로 혼합함(이때, 적절히 용매의 후속적 증발을 실시함)으로써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화합물은 개별적인 공정 단계로 이미 과립화한 중합체로 후속적으로 혼입시킨다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또한 안정화시킬 중합체에, 예를 들어 1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중량%의 농도로 이들 화합물을 함유한 마스터배치의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성분 (I), (II) 및 (III)을 시간이 걸리고,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게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반응계에서 현명한 반응 체계에 의해 유리하고 놀랄만큼 잘 혼합하여 성분 (I), (II) 및 (III)의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는 중요한 잇점을 제공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 1 내지 6
일정한 변수 x 및 y의 값에 대해서는 하기 표 1을 참조한다.
x g의 자일렌을 200.3 g(0.50mol)의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다이아자-21-옥소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0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및 y g의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164.0 g의 50% 강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05mol)과 연속해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40분간 교반하였다. 과량의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자일렌 용매를 증류시켜 제거한 후, 220 g의 자일렌 및 220 g의 물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110 g의 물로 각각 2회 세정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200℃에서 완전한 진공하에 반응시켜 목적하는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은 부서지기 쉽고, 거의 무색인 수지이고, 이의 수율, 용융 범위 및 용액 점도는 하기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Figure 112004035305093-pct00011

실시예 1, 5 및 6은 비교예이다.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65 내지 95중량%의 분율로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5 내지 35중량%의 분율로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0 내지 10중량%의 분율로 포함하는 상승작용적 안정화제 혼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I의 에피할로하이드린과 상이동 반응으로 반응시킨 후 중합 반응을 수행하고, 여기서 비활성 유기 용매가 화학식 VI의 화합물에 대하여 2:1 내지 1:5의 중량비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9071297605-pct00012
    화학식 II
    Figure 112009071297605-pct00013
    화학식 III
    Figure 112009071297605-pct00014
    화학식 V
    Figure 112009071297605-pct00015
    화학식 VI
    Figure 112009071297605-pct00016
    상기 식에서,
    n 및 m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의 수이지만, 둘다 0일 수는 없고,
    R1은 수소, C5-C7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12 알킬 기이고,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18 알킬 기이거나,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5 내지 13원 크기의 고리,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하기 화학식 IV의 기를 형성하고:
    화학식 IV
    Figure 112009071297605-pct00017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22 알킬 기이거나,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30 알킬옥시 기, C5-C12 사이클로알킬옥시 기, C6-C10 아릴옥시 기(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음), C7-C20 아릴알킬옥시 기(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음), C3-C10 알켄일 기, C3-C6 알카인일 기, C1-C10 아실 기, 할로겐, 또는 비치환되거나 C1-C4 알킬-치환된 페닐이고,
    R6 -는 양성자산의 음이온이고,
    X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 화학식 VI의 에피할로하이드린 및 상이동촉매를 유기 용매 중에서 예비혼합하는 단계;
    화학식 V의 화합물에 대하여 4 내지 20배 몰량의 고체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20 내지 220℃의 온도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과량의 화학식 VI의 에피할로하이드린을 제거하는 단계;
    유기층을 분리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100 내지 240℃의 온도에서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과 화학식 VI의 에피할로하이드린을 1:1 내지 1:2.9의 몰비로 예비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이동촉매가 폴리에틸렌 글리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비활성 유기 용매가 화학식 VI의 화합물에 대하여 2:1 내지 1:3의 중량비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수용액 중 물에 대한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중량비가 9:1 내지 1:9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이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다이아자-21-옥소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세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삭제
  1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제 9 항 및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승작용적 안정화제 혼합물 중 하나를 광 안정화제로서 사용하여 유기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제 9 항 및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승작용적 안정화제 혼합물 중 하나를 유기 물질에 대하여 2.5 내지 60중량%의 농도로 포함하는 마스터배치(masterbatch).
KR1020047012245A 2002-02-06 2003-02-04 크라프트 증해액 중의 나트륨 설파이드의 선택적 산화 KR100944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4690.5 2002-02-06
DE10204690A DE10204690A1 (de) 2002-02-06 2002-02-06 Verfahren zur Herstellung synergistischer Stabilisatormischungen
PCT/IB2003/000396 WO2003066719A1 (en) 2002-02-06 2003-02-04 Selective oxidation of sodium sulfide in kraft cooking liqu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418A KR20040082418A (ko) 2004-09-24
KR100944297B1 true KR100944297B1 (ko) 2010-02-24

Family

ID=771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245A KR100944297B1 (ko) 2002-02-06 2003-02-04 크라프트 증해액 중의 나트륨 설파이드의 선택적 산화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297734B2 (ko)
EP (1) EP1474471B8 (ko)
JP (1) JP2005517065A (ko)
KR (1) KR100944297B1 (ko)
CN (2) CN1615335B (ko)
AT (1) ATE325159T1 (ko)
AU (1) AU2003201747A1 (ko)
DE (2) DE10204690A1 (ko)
ES (1) ES2262967T3 (ko)
HK (1) HK1077838A1 (ko)
TW (1) TWI306892B (ko)
WO (1) WO2003066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272B1 (ko) * 2003-11-12 2004-10-27 엘지전선 주식회사 비할로겐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선
KR100849384B1 (ko) 2005-10-21 2008-07-3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나노갭 및 나노갭 센서의 제조방법
TWI447154B (zh) 2012-11-27 2014-08-01 Ind Tech Res Inst 聚氯乙烯製品與其表面處理方法
CN108779222B (zh) * 2016-03-14 2021-03-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氧亚甲基共聚物的制造方法
US20220259410A1 (en) * 2019-07-10 2022-08-18 Clariant International Ltd Stabilizer composition for silyl-modified polymer sealants
TW202237726A (zh) 2021-01-12 2022-10-01 瑞士商克萊瑞特國際股份有限公司 用於矽基改質聚合物密封劑之穩定劑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142A (en) * 1994-02-19 1997-01-14 Hoechst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lkyl-1-oxa-diazaspirodecan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0257D0 (en) 1991-01-07 1991-02-20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GB2042562B (en) * 1979-02-05 1983-05-11 Sandoz Ltd Stabilising polymers
EP0080431B1 (de) * 1981-10-16 1986-09-24 Ciba-Geigy Ag Synergistisches Gemisch von niedermolekularen und hochmolekularen Polyalkylpiperidinen
US4863981A (en) * 1986-06-30 1989-09-05 Ciba-Geigy Corporation Synergistic mixture of stabilizers
JP2582385B2 (ja) * 1987-12-11 1997-02-19 旭電化工業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合成樹脂組成物
DE3919691A1 (de) * 1989-06-16 1990-12-20 Hoechst Ag Polymere polyalkyl-1-oxa-diazaspirodecane
US5175312A (en) * 1989-08-31 1992-12-29 Ciba-Geigy Corporation 3-phenylbenzofuran-2-ones
JP2803300B2 (ja) 1990-03-14 1998-09-24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US5252643A (en) * 1991-07-01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Thiomethylated benzofuran-2-ones
TW206220B (ko) * 1991-07-01 1993-05-21 Ciba Geigy Ag
TW260686B (ko) * 1992-05-22 1995-10-21 Ciba Geigy
GB2267490B (en) * 1992-05-22 1995-08-09 Ciba Geigy Ag 3-(Carboxymethoxyphenyl)benzofuran-2-one stabilisers
NL9300801A (nl) * 1992-05-22 1993-12-16 Ciba Geigy 3-(acyloxyfenyl)benzofuran-2-on als stabilisatoren.
GB9211602D0 (en) 1992-06-02 1992-07-15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MX9305489A (es) 1992-09-23 1994-03-31 Ciba Geigy Ag 3-(dihidrobenzofuran-5-il)benzofuran-2-onas, estabilizadores.
TW255902B (ko) * 1992-09-23 1995-09-01 Ciba Geigy
US6077889A (en) 1993-03-24 2000-06-20 Solvay Engineered Polymers Light stabilizer packages for partial paint applications
DE4423055A1 (de) 1994-07-01 1996-01-11 Hoechst Ag Polyalkylpiperidin-Verbindungen
DE4423054A1 (de) 1994-07-01 1996-01-04 Hoechst Ag Polyalkylpiperidin-Verbindungen
TW358820B (en) * 1995-04-11 1999-05-21 Ciba Sc Holding Ag Synergistic stabilizer mixture
DE19820157B4 (de) * 1997-05-13 2010-04-08 Clariant Produkte (Deutschland) Gmbh Neue Verbindungen auf Basis von Polyalkyl-1-oxa-diazaspirodecan-Verbindungen
DE19735255B4 (de) * 1997-08-14 2007-08-23 Clariant Produkte (Deutschland) Gmbh Synergistisches Stabilisatorgemisch auf Basis von Polyalkyl-1-oxa-diazaspirodecan-Verbindungen und dessen Verwend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142A (en) * 1994-02-19 1997-01-14 Hoechst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lkyl-1-oxa-diazaspirodecan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4690A1 (de) 2003-08-07
EP1474471A1 (en) 2004-11-10
CN1615335B (zh) 2011-06-01
DE60305003D1 (de) 2006-06-08
TWI306892B (en) 2009-03-01
KR20040082418A (ko) 2004-09-24
WO2003066719A1 (en) 2003-08-14
ATE325159T1 (de) 2006-06-15
EP1474471B8 (en) 2006-10-04
CN1615335A (zh) 2005-05-11
HK1077838A1 (en) 2006-02-24
JP2005517065A (ja) 2005-06-09
US7297734B2 (en) 2007-11-20
AU2003201747A1 (en) 2003-09-02
ES2262967T3 (es) 2006-12-01
US20050228086A1 (en) 2005-10-13
DE60305003T2 (de) 2006-12-21
CN101824163A (zh) 2010-09-08
EP1474471B1 (en) 2006-05-03
TW200302863A (en) 200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421B1 (ko) 물과 장기간 접촉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용 상승적 안정화제조성물
JPH08302063A (ja) 合成有機ポリマーのための安定剤の組み合わせ
KR100533188B1 (ko) 폴리알킬-1-옥사-디아자스피로데칸을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1997014678A1 (en) Antioxidants containing phenol groups and aromatic amine groups
KR100944297B1 (ko) 크라프트 증해액 중의 나트륨 설파이드의 선택적 산화
KR100851177B1 (ko) 폴리올레핀의 무-페놀 안정화
US20050250889A1 (en) Synergistc stabilizer composition for color stable pigmented thermophastic polymers in prolonged contact with water
EP2511274A2 (en) Polyamine derivative
KR20010050085A (ko) 신규한 입체 장애 아민
US20020016389A1 (en) Synergistic stabilizer compositions comprising copolymers of ethylene with hindered amine moities containing acrylate-or methacrylate comonomers
WO2001062730A1 (en) Compounds belonging to the group of sterically hindered amin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light stabilizers in organic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