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188B1 - 폴리알킬-1-옥사-디아자스피로데칸을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알킬-1-옥사-디아자스피로데칸을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188B1
KR100533188B1 KR1019997010461A KR19997010461A KR100533188B1 KR 100533188 B1 KR100533188 B1 KR 100533188B1 KR 1019997010461 A KR1019997010461 A KR 1019997010461A KR 19997010461 A KR19997010461 A KR 19997010461A KR 100533188 B1 KR100533188 B1 KR 10053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lkyl
compound
group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2506A (ko
Inventor
슈테르펠트토마스
메러마티아스
체맛티아스
프팔러게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1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10Spir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6Triazines also containing heterocyclic groups other than triazi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8Thiol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3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 with at least one nitrogen atom as ring me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II의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당해 화합물과 다른 화합물과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광 및 열의 작용으로부터 유기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데 적합하다.
화학식 III
Figure 112003016605735-pct00180
상기 화학식에서,
n, m, R1, R2, R3 및 R4는 명세서 내에 정의한 바와 같다.
폴리알킬-1-옥사-디아자스피로데칸을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 광안정제, HALS 안정제, 포스파이트, 상승제

Description

폴리알킬-1-옥사-디아자스피로데칸을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mpounds on the basis of polyalkyl-1-oxa-diazaspirodecane compounds,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 use of the same}
고에너지 방사선의 분해작용으로부터 중합체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연구의 최대 목표이다. 최근 수년간, 탁월한 방식으로 중합체 물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다수의 입체장애된 아민계 광안정제가 개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류의 저분자량 안정제 성분은 특히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중합체 물질로부터 쉽게 추출가능하며 휘발성이 높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물질이 바람직하지 않게 분해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한 단점이 다소 완화된, 입체장애된 아민계 중합체성 안정제가 상당히 많이 제조되었다. 이의 예로서,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93 693호,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719131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43 717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02 88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안정제를 언급할 수 있다. 그러나, 향상된 광보호 특성 또는 추가의 보다 우수한 성능 특성을 보유하는 보다 효과적인 신규 안정제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28 318호에는 올리고머성 안정제를 형성하기 위한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001
의 제조방법 및 중합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02 889호에는 중합체성 안정제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향상된 중합방법이 기술되어 있는 반면, 독일 특허원 제196 08 163.7호에는 이러한 안정제를 환경친화적이면서 높은 수율로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유럽 특허원 제95109777.3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7 885호(실시예 11)에는 신규하면서도 효과적인 광안정제를 구성하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002
의 화합물의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III의 신규한 안정제가 제조됨이 밝혀졌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03
Figure 111999014793611-pct00004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II의 신규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05
상기 화학식 III에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이지만, 둘 다 0은 아니고,
R1은 수소, C5-C7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12 알킬 그룹이며,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18 알킬 그룹이거나,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5원 내지 13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22 알킬 그룹,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30 알킬옥시 그룹, C5-C 12 사이클로알킬옥시 그룹, C6-C10 아릴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C7-C 20 아릴알킬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C3-C10 알케닐 그룹, C3-C6 알키닐 그룹, C1-C10 아실 그룹, 할로겐, 또는 페닐 환이 C1-C4 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7-C9 페닐알킬이다.
Figure 112003016605735-pct00191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이지만 둘다 0은 아니고, R1이 수소, C6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4 알킬 그룹이며, R2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8 알킬 그룹이거나,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6원 내지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고,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 그룹,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10 알킬옥시 그룹, C5-C6 사이클로알킬옥시 그룹, C6-C7 아릴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C7-C10 아릴알킬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C3-C6 알케닐 그룹, C3-C6 알키닐 그룹, C1-C4 아실 그룹, 할로겐, 또는 페닐 환이 C1-C2 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7-C9 페닐알킬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도 매우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이지만 둘다 0은 아니고, R1이 메틸이며, R2 및 R3이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고,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아세틸, 옥틸옥시 또는 사이클로헥실옥시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일반적인 제조방법, 유기 물질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이의 용도, 및 특히 플라스틱, 피복 조성물, 락커 및 오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 안정화된 유기 물질,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물질 또는 이의 전구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R4가 수소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문헌(참조; C. Ferri, Reaktionen der organischen Synthese, 1978, page 504 or Houben-Weyl, Vol. VI/3, page 456 or Vol. XI/1, page 31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미 자체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서 수행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비점이 높은 비양성자성 용매,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또는 데칼린이다. 반응은 촉매(특히, 열 수단에 의해)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서 수행할 수 있다; 적합한 촉매는 염기, 바람직하게는 금속염, 특히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면, NaOH 또는 KOH)이다.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용매 및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서 다량으로 직접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이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10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50℃, 특히 160 내지 220℃의 온도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산소의 부재하에 1:1(등몰량) 내지 100:1의 몰 비로 중합시킨다. 진공하에서 용매의 부재하에 중합시키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서 후처리한 후 수득되는 생성물은 무색 무정형의 고체 수지이다. 생성된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의 분자량은 온도, 출발물질이 사용되는 몰 비 및/또는 반응 시간의 함수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이은 R4(수소 이외의 R4)의 개질방법은 선행 기술분야, 예를 들면,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705 896호 또는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690 060호에 자세하게 잘 공지되어 있다. R4가 H이거나 메틸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유도체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광, 산소 및 열의 작용으로부터 유기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데 매우 적합하다. 이들을 중합하기 전, 중합하는 도중에 또는 중합한 후에 고체 형태, 용융된 형태, 용매 중에 용해된 형태 또는 그밖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로서,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유기 물질에 가할 수 있다. 용액은 신규한 안정제를, 예를 들면, 5 내지 80%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배치의 경우에는 이들이 신규한 안정제를 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의 농도로 포함하고,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중합체와 혼화가능한 중합체를 잔여량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용액 및 마스터배치 둘 다는 다른 안정제 또는 효과 성분, 예를 들면, UV 흡수제, 산화방지제, 안료, 산 제거제 또는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신규한 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중합체 중의 농도가, 유기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중량%로 되도록 사용되며, 이들은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추가의 첨가제와 혼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유기 물질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피복 물질, 락커 및 오일의 전구체를 포함하며, 특히 플라스틱, 피복 물질, 락커 및 오일 자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필름, 섬유, 테이프, 멀티필라멘트, 직물, 압출품, 취입성형품, 사출성형품, 열성형품, 분말 피복재, 인쇄용 잉크, 토너 잉크, 사진 재료, 안료, 목재 염색제, 가죽, 건축용 페인트, 강철 구조물용 보호막, 윤활유, 기계유, 비투멘 또는 아스팔트를 안정화시키고 자발적으로 중합되는 경향이 있는 화합물을 안정화시키는 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또한 유리하게는 추가의 안정제와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신규한 혼합물은 각각의 성분에 비해 광보호 효과에서의 상승작용과 같은 특성이 향상된 혼합물이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단량체성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안정제와 10:1 내지 1:10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중합체성 HALS 안정제와 단량체성 HALS 안정제의 혼합물이, 예를 들면,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80 431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632 092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화학식 A1 내지 A9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화합물 A10(여기서, 화합물 A10은 화학식 A10a의 폴리아민을 화학식 A10b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득한 것이다)과 배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07
상기 화학식 A1에서,
R1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6은 수소, C1-C4 알킬, C1-C4 알콕시, 할로겐, 시아노, 카복실, 니트로, 아미노, C1-C4 알킬아미노, C1-C4 디알킬아미노 및 아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방향족 라디칼이며,
o는 1 또는 2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08
상기 화학식 A2에서,
R1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는 1 또는 2이며,
R7은 p가 1인 경우에는 C1-C22 알킬, C2-C18 옥사알킬, C2-C18 티아알킬, C2-C18 아자알킬 또는 C2-C8 알케닐이고, p가 2인 경우에는 C1-C22 알킬렌, C2-C18 옥사알킬 렌, C2-C18 티아알킬렌, C2-C18 아자알킬렌 또는 C2-C 8 알케닐렌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09
상기 화학식 A3에서,
R1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C7-C12 아르알킬, C7-C12 아릴 또는 카복실산 에스테르이거나, R8 및 R9가 함께 테트라메틸 또는 펜타메틸 그룹을 형성한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10
Figure 111999014793611-pct00011
상기 화학식 A4 및 A5에서,
R1, R2, R3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q는 1 또는 2이며,
R10은 수소, 메틸, 페닐 또는 카르브-C1-C21 알콕시이고,
R11은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2는, q가 1인 경우에는 수소, C1-C21 알킬, C2-C22 알케닐, C5-C12 사이클로알킬 또는 화학식
Figure 111999014793611-pct00018
의 라디칼(여기서, R1 및 R5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다)이고, q가 2인 경우에는 C1-C18 알킬렌, C5-C9 사이클로알킬렌 또는 아릴렌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12
Figure 111999014793611-pct00013
상기 화학식 A6 및 A7에서,
R1, R4, R7 및 p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19
상기 화학식 A8에서,
R은
Figure 112003016605735-pct00189
(여기서, R1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30은 수소, C1-C12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C7-C9 페닐알킬이며, a는 1 내지 10이다)이다.
삭제
삭제
Figure 111999014793611-pct00015
상기 화학식 A9에서,
R1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7은 C1-C22 알킬, C2-C18 옥사알킬, C2-C 18 티아알킬, C2-C18 아자알킬 또는 C2-C8 알케닐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21
Figure 111999014793611-pct00017
상기 화학식 A10a 및 A10b에서,
R 및 R'는 H 또는 CH3이고,
R1, R4 및 R30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n5', n5'',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2이다.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이지만 둘다 0은 아니며, R1이 수소 또는 C1-C4 알킬 그룹이고, R2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8 알킬 그룹이거나,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6원 내지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며,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 그룹,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10 알킬옥시 그룹, C5-C6 사이클로알킬옥시 그룹, C6-C7 아릴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C7-C10 아릴알킬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C3-C6 알케닐 그룹, C3-C6 알키닐 그룹, C1-C4 아실 그룹, 할로겐, 또는 페닐 환이 C1-C2 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7-C9 페닐알킬이고, R7이 p가 2인 경우에는 직쇄 C1-C10 알킬렌이고 p가 1인 경우에는 C1-C12 알킬이며, R8 및 R9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2 알킬, C7-C8 아릴알킬, C7-C8 아릴 또는 카복실산 에스테르이고, R10이 수소, 메틸, 페닐 또는 C1-C2 알콕시이며, R11이 수소 또는 메틸이고, R12가 q가 1인 경우에는 수소, C1-C16 알킬, C2-C16 알케닐, C5-C6 사이클로알킬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022
의 라디칼이고 q가 2인 경우에는 C1-C16 알킬렌, C5-C6 사이클로알킬렌 또는 아릴렌이며, R30이 수소, C1-C8 알킬, C5-C7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C7-C8 페닐알킬이고, a가 1 내지 5이며, o가 1이고, p가 2 내지 5인, 화학식 A1 내지 A10의 화합물과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이지만 둘다 0은 아니며, R1이 메틸이고, R2 및 R3이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며,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아세틸, 옥틸옥시 또는 사이클로헥실옥시이고, R6이 p-메톡시페닐이며, R7이 p가 2인 경우에는 옥타메틸렌, 헥사메틸렌 또는 에틸렌이고 p가 1인 경우에는 도데실이며, R8 및 R9가 수소이고, R10이 수소이며, R11이 수소이고, R12가 도데카메틸렌 또는 테트라데카메틸렌이며, R30이 사이클로헥실 또는 n-부틸이고, a가 2이며, o가 1이고, p는 2이며, q가 1인 혼합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하기 화학식 A'1 내지 A'14의 화합물이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혼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23
Figure 111999014793611-pct00024
Figure 111999014793611-pct00025
Figure 111999014793611-pct00026
Figure 111999014793611-pct00027
Figure 111999014793611-pct00028
Figure 111999014793611-pct00029
Figure 111999014793611-pct00030
Figure 111999014793611-pct00031
Figure 111999014793611-pct00032
상기 화학식 A'10에서,
R은
Figure 111999014793611-pct00182
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34
Figure 111999014793611-pct00035
Figure 111999014793611-pct00036
Figure 111999014793611-pct00037
상기 화학식 A'14에서,
R은
Figure 111999014793611-pct00187
이고,
R'는 H 또는 CH3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입체장애된 아민계 안정제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공-성분(들)에는 R티누빈(Tinuvin) 770, R티누빈 765, R티누빈 123, R호스타빈(Hostavin) N20, R호스타빈 N24, R우비눌(Uvinul) 4049, R산두보르(Sanduvor) PR31, R우비눌 4050, R굿라이트(Goodrite) UV 3034 또는 3150, R산두보르 3055, R산두보르 3056, R산두보르 3058, R키마소브(Chimassorb) 119 및 R키마소브 905가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또한 유리하게는 중합체성 HALS 안정제와 함께 10:1 내지 1:10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신규한 혼합물은 각각의 성분에 비해 광보호 효과에서의 상승작용과 같은 특성이 향상된 혼합물이다. 중합체성 HALS 안정제의 혼합물이, 예를 들면,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252877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709426호, 연구문헌 제34549호(1993년 1월),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723990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서 특히 바람직한 양태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B1 내지 B3 및 B5 내지 B7로 나타내는 중합체성 HALS 화합물 및 화합물 B4의 중합체성 HALS 화합물(여기서, 화합물 B4는 화학식 B4a의 폴리아민을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다음 이로부터의 생성물을 화학식 B4b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한 화학식 B4-1, B4-2, B4-3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39
상기 화학식 B1에서,
R1은 수소, C5-C7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12 알킬 그룹이고,
R13은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4는 직접 결합이거나 C1-C10 알킬렌이고,
r은 2 내지 50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0
상기 화학식 B2에서,
R1 및 R4는 화학식 III에 정의한 바와 같고,
R15 및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이거나 -N(R22)-CO-R23-CO-N(R 24)-의 그룹(여기서, R22 및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8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C7-C9 페닐알킬 또는 화학식 B2a의 그룹이고, R23은 직접 결합이거나 C1-C4 알킬렌이다)이며,
R16, R17,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 30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화학식 B2a의 그룹이고,
R19는 수소, C1-C30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R7-R9 페닐알킬, 페닐 또는 화 학식 B2a의 그룹이며,
s는 1 내지 50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1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2
상기 화학식 B3에서,
R1, R4 및 s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25, R26, R27, R28 및 R29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이거나 C1-C10 알킬렌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3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4
상기 화학식 B4a 및 B4b에서,
R1 및 R4는 화학식 III에 정의한 바와 같고,
n5', n5'' 및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2이며,
R30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5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6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7
상기 화학식 B4-1, B4-2 및 B4-3에서,
n5는 1 내지 20이고,
R4 및 R30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8
상기 화학식 B5에서,
r은 화학식 B1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R31, R33 및 R3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2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C1-C4 알킬-치환된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OH- 및/또는 C1-C10 알킬-치환된 페닐, C7-C9 페닐알킬, 페닐 라디칼이 -OH 및/또는 C1-C10 알킬에 의해 치환된 C7-C9 페닐알킬 또는 화학식 B5a의 그룹이며,
R32는 C2-C18 알킬렌, C5-C7 사이클로알킬렌 또는 C1-C4 알킬렌디(C5-C7 사이클로알킬렌)이거나,
라디칼 R31, R32 및 R33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5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하고,
라디칼 R31, R33 및 R34 중의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B5a의 그룹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49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5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0
상기 화학식 B6에서,
R31, R32, R33 및 r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35 및 R36은 각각 독립적으로 R34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거나, R35 와 R36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질소 헤테로원자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산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5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하며,
라디칼 R31, R33, R35 및/또는 R36 중의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B5a의 그룹이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1
상기 화학식 B7에서,
R1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화학식 B3에 정의한 바와 같으며,
R37은 C1-C10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C1 -C4 알킬-치환된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C1-C10 알킬-치환된 페닐이고,
R38은 C3-C10 알킬렌이다.
화학식 B1 내지 B3의 화합물 및 화합물 B4는 본질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몇몇 경우에는 시판되고 있음), 예를 들면, US 제4,233,412호, US 제4,340,534호, US 제4,857,595호,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62 439호(Derwent 89-122 983/17, Chemical Abstracts 111:58 964u),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4 239 437호(Derwent 94-177 274/22), US 제4,529,760호, US 제4,477,615호 및 문헌(Chemical Abstracts-CAS 제136 504-96-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B4는 공지된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화학식 B4a의 폴리아민을 유기 용매(예를 들면, 1,2-디클로로에탄, 톨루엔, 크실렌, 벤젠, 디옥산 또는 3급-아밀 알콜) 속에서 무수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의 존재하에 -2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 특히 0 내지 +10℃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와 1:2 내지 1:4의 몰 비로 반응시킨 다음 수득된 생성물을 화학식 B4b의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되는 화학식 B4a의 폴리아민에 대한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민의 몰 비는, 예를 들면, 4:1 내지 8:1이다. 소정량의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민은 한번에 모두 가하거나 2회 이상의 분취량으로 나누어 몇시간 간격으로 가할 수 있다.
화학식 B4a의 폴리아민: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화학식 B4b의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민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3:6이다.
하기의 실시예는 바람직한 화합물 B4를 제조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실시예 :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23.6g(0.128mol),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 7.43g(0.0426mol) 및 무수 탄산칼륨 18g(0.13mol)을 1,2-디클로로에탄 250㎖ 속에서 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상기 혼합물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가열한다.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 27.2g(0.128mol)을 가한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무수 탄산칼륨 18g(0.13mol)을 추가로 가하여 이들 혼합물을 6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다. 용매를 적당한 진공(200mbar) 하에서 증류제거시킨 다음 크실렌으로 대체한다.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 18.2g(0.085mol) 및 분쇄한 수산화나트륨 5.2g(0.13mol)을 가하여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고, 이러한 반응 도중에 형성된 물을 12시간 동안 공비증류에 의해 제거시킨다. 이들 혼합물을 여과한다. 용액을 물로 세척하여 Na2SO4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남은 잔류물을 진공(0.1mbar)하에 120 내지 13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화학식 B4의 성분을 무색 수지로서 수득한다.
일반적으로, 화합물 B4는, 예를 들면, 화학식 B4-1, B4-2 또는 B4-3의 화합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또한 이들 3가지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화학식 B4-1은 바람직하게는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2
이다.
화학식 B4-2는 바람직하게는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3
이다.
화학식 B4-3은 바람직하게는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4
이다.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이지만 둘다 0은 아니며, R1이 수소 또는 C1-C4 알킬 그룹이고, R2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8 알킬 그룹이거나,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6원 내지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며,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 그룹,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10 알킬옥시 그룹, C5-C6 사이클로알킬옥시 그룹, C6-C7 아릴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C7-C10 아릴알킬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C3-C6 알케닐 그룹, C3-C6 알키닐 그룹, C1-C4 아실 그룹, 할로겐, 또는 페닐 환이 C1-C2 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7-C9 페닐알킬이고, R13이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4가 C1-C5 알킬렌이고, R17 및 R21이 수소 또는 C1-C4 알킬이며, R15 및 R18은 직접 결합이고, R16 및 R20이 C1-C25 알킬 또는 페닐이며, R19가 수소, C1-C12 알킬 또는 화학식 B2a의 그룹이고, R25, R26, R27, R28 및 R29가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이거나 C1-C5 알킬렌이며, R30이 수소, C1-C4 알킬, C5-C6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이고, R31, R33 및 R34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5-C6 사이클로알킬 또는 화학식 B5a의 그룹이며, R32가 C2-C10 알킬렌 또는 C5-C6 사이클로알킬렌이고, R35 및 R36이 각각 독립적으로 R34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거나, R35와 R36이 이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산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하며, 라디칼 R31, R33, R35 및/또는 R36 중의 적어도 하나가 화학식 B5a의 그룹이고, R37이 C1-C5 알킬, C5-C6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이며, R38이 C3-C5 알킬렌이고, n5', n5'' 및 n5'''가 2 내지 4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B1 내지 B7의 화합물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이지만 둘다 0은 아니며, R1이 메틸이고, R2 및 R3이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며,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세틸, 메틸, 옥틸옥시 또는 사이클로헥실옥시이고, R13이 수소이며, R14가 에틸렌이고, R17 및 R21이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5 및 R18은 직접 결합이고, R16 및 R20이 C1-C25 알킬 또는 페닐이며, R19가 헥사데실 또는 화학식 B2a의 그룹이고, R25 및 R27이 메틸렌이며, R26이 직접 결합이고, R28이 2,2-디메틸에틸렌이며, R29가 1,1-디메틸에틸렌이고, R30이 n-부틸이며, R31, R33 및 R34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소옥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이고, 단 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이어야 하며, R32가 헥사메틸렌이고, R35 및 R36이 각각 독립적으로 R34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거나, R35와 R36이 이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산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즉, 모르폴린)을 형성하고, 라디칼 R31, R33, R35 및/또는 R36 중의 적어도 하나는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이어야 하며, R37이 메틸이고, R38이 트리메틸렌이며, n5', n5'' 및 n5'''가 2 내지 4인 혼합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배합된 중합체성 HALS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B'1 내지 B'9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화합물 B'10(여기서, 화합물 B'10은 화학식 B'10a의 폴리아민을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다음 이로부터의 생성물을 화학식 B'10b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한 화학식 B4-1', B4-2', B4-3'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인 혼합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5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6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7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8
Figure 111999014793611-pct00059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0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1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2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3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4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5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6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7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8
상기 화학식 B4-1' 내지 B4-3'에서,
n5는 1 내지 20이다.
상기한 혼합물 중에서, 다른 공-성분(들)이 R키마소브 944, R티누빈 622, R다스티브(Dastib) 1082, R우바소브(Uvasorb) HA 88, R우비눌 5050, R로빌라이트(Lowilite) 62, R우바실(Uvasil) 299, R시아소브(Cyasorb) 3346, R마르크(MARK) LA 63, R마르크 LA 68 또는 R루켐(Luchem) B 1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놀랍게도, 신규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상기한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HALS 안정제와 동시에 사용할 경우 현저한 상승효과가 야기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00454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92364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143464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76833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58040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278578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676405,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4418080호에서와 같이, 화학식 III의 안정제가 포스파이트의 가수분해를 억제 또는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포스파이트와의 혼합물도 또한 특히 유리하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화학식 C1 내지 C7의 포스파이트를 안정화시키는 데 특히 적합하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69
Figure 111999014793611-pct00070
Figure 111999014793611-pct00071
Figure 111999014793611-pct00072
Figure 111999014793611-pct00073
Figure 111999014793611-pct00074
Figure 111999014793611-pct00075
상기 화학식 C1 내지 C7에서,
n'는 2, 3 또는 4이고,
u는 1 또는 2이며,
t는 2 또는 3이고,
y는 1, 2 또는 3이며,
z는 1 내지 6이고,
A'는, n'가 2인 경우에는 탄소수 2 내지 18의 알킬렌이거나, 또는 -S-, -O- 또는 -NR'4-에 의해 차단된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076
의 라디칼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077
의 라디칼 또는 페닐렌이고, n'가 3인 경우에는 화학식 -CrH2r-1의 라디칼이며, n'가 4인 경우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078
의 라디칼이고,
A"는 n'가 2인 경우의 A'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으며,
B'는 화학식 -CH2-, -CHR'4-, -CR'1R'4-, -S-의 라디칼 또는 직접 결합이거나, C5-C7 사이클로알킬리덴 또는 3, 4 및/또는 5위치가 1 내지 4개의 C1-C 4 알킬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헥실리덴이고,
D'는 u가 1인 경우 메틸이고 u가 2인 경우 -CH2OCH2-이며,
E'는 y가 1인 경우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 페닐, 화학식 -OR'1의 라디칼 또는 할로겐이고, y가 2인 경우 화학식 O-A"-O-의 라디칼이며, y가 3인 경우에는 화학식
Figure 111999014793611-pct00079
또는 N(CH2-CH2-O-)3이고,
Q'는 알콜성 및/또는 페놀성 산소원자를(또는 산소원자들을) 통해 인원자(들)에 결합된 z가 이상의 알콜 또는 페놀 라디칼이며,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 할로겐-, -COOR'4-, -CN- 또는 -CONR'4R'4-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 -S-, -O- 또는 -NR'4-차단된 탄소수 2 내지 18의 알킬; 페닐-C1-C4 알킬; 탄소수 5 내지 12의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나프틸; 할로겐, 총 탄소수가 1 내지 18인 1 내지 3개의 알킬 라디칼 또는 알콕시 라디칼 또는 페닐-C1-C4 알킬로 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 또는 화학식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0
의 라디칼(여기서, w는 3 내지 6의 정수이다)이고,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 탄소수 5 내지 12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알킬 잔기의 탄소수가 1 내지 4인 페닐알킬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 또는 탄소수 5 또는 6의 사이클로알킬이고,
R'7 및 R'8은 t가 2인 경우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4 알킬이거나 R'7과 R'8이 함께 2,3-데하이드로펜타메틸렌 라디칼을 형성하고, t가 3인 경우에는 메틸이며,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9의 알킬 또는 사이클로헥실이고,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6은 수소 또는 C1-C4 알킬이고, 2개 이상의 R'16 라디칼이 존재하는 경우, R'16 라디칼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X' 및 Y'는 각각 직접 결합이거나 -O-이고,
Z'는 직접 결합이거나, -CH2, -C(R'16)2- 또는 -S-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C1, C2, C5 또는 C6의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는 n'가 2이고 y가 1 또는 2이며, A'가 탄소수 2 내지 18의 알킬렌, p-페닐렌 또는 p-비페닐렌이고, E'가 y가 1인 경우에는 C1-C18 알킬, -OR1 또는 불소이고 y가 2인 경우에는 p-비페닐렌이며, R'1, R'2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 페닐-C1-C4 알킬, 사이클로헥실, 페닐, 또는 총 탄소수가 1 내지 18인 1 내지 3개의 알킬 라디칼로 치환된 페닐이고, R'14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9의 알킬이며, R'15가 수소 또는 메틸이고, X'는 직접 결합이며, Y'가 -O-이고, Z'가 직접 결합이거나 -CH(R'16)-인 화합물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C1, C2, C5 또는 C6의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는 n'가 2이고 y가 1이며, A'가 p-비페닐렌이고, E'가 C1-C18 알콕시이며, R'1 , R'2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총 탄소수가 2 내지 12인 2 또는 3개의 알킬 라디칼 로 치환된 페닐이고, 치환체 R'14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3급-부틸이며, R'15가 수소이고, X'는 직접 결합이며, Y'가 -O-이고, Z'가 직접 결합이거나 -CH2 또는 -CH(CH3)-인 화합물이다.
화학식 C'1 내지 C'12의 특정한 인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1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2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3
상기 화학식 C'3에서,
인의 2개의 치환체는 주로 비페닐 모 구조의 4 및 4'위치에 존재한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4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5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6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7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8
Figure 111999014793611-pct00089
Figure 111999014793611-pct00090
Figure 111999014793611-pct00091
Figure 111999014793611-pct00092
언급된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는 공지된 화합물이며, 몇몇 경우에는 시판되고 있다.
하기의 안정제 혼합물은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구성한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이르가포스(Irgafos) 38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이르가포스 12,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호스타녹스(Hostanox) PAR 24,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호스타녹스 OSP 1,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이르가포스 P-EPQ,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울트라녹스(Ultranox) 626,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울트라녹스 618,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마르크 PEP-36(제조원; Asahi Denka),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마르크 HP10(제조원; Asahi Denka),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R도베르포스(DoverphosR) 9228.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포스파이트의 혼합물은 또한 유기 물질의 안정화와 관련하여 포스파이트가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작용을 상승작용적으로 지지해준다는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상승효과가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59276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67117호에 기술되어 있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C'1 내지 C'12의 포스파이트의 혼합물이 특히 적합하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또한 포스파이트 및/또는 입체장애된 페놀 및/또는 산 제거제와 배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1953714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포스파이트, 페놀 및 산 제거제와 혼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 및 상기한 혼합물은 또한 다른 광안정제, 예를 들면, UV 흡수제(2-하이드록시벤조페논 또는 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신남산 유도체, 옥사닐라이드) 및/또는 니켈 켄처(quencher)와 상승작용적으로 배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상기한 혼합물에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비율은 1 내지 99중량%일 수 있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또한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29731호와 유사하게, 제올라이트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예를 들면, DHT4A와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 및 상기한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N,N-디알킬-치환된 하이드록실아민, 바람직하게는 N,N-디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과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금속의 카복실레이트, 산화물, 수산화물 및 카보네이트 및/또는 제올라이트 및/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염기성 또는 그외의 산-결합성 공안정제(costabilizer)와 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공안정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산화마그네슘 및/또는 산화아연 및/또는 카보네이트-함유 산화아연 및/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공안정제는 R진콕시드 악티브(Zinkoxid aktiv), R진콕시드 트랜스페어런트(Zinkoxid transparent) 및/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인 RDHT 4A, RDHT4 A2, R쿄와아드(Kyowaad) 200, R쿄와아드 300, R쿄와아드 400, R쿄와아드 500, R쿄와아드 600, R쿄와아드 700, R쿄와아드 1000, R쿄와아드 2000 중의 하나이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안정제와 적절하게 배합된 상태로,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241419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612792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61281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안료를 안정화시키거나,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665294호 및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441136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가죽을 안정화시키는 데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신규한 혼합물은 각각의 성분에 비해 광보호 효과에서의 상승작용과 같은 특성이 향상된 혼합물이다. 광안정제와 산 제거제와의 혼합물이 US 제5134181호, US 제4929652호, US 제5037870호 및 US 제5180762호에 기술되어 있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상기 혼합물과의 유리한 배합을 유도하는 다른 배합물로는
- 3-피라졸리디논 유형의 상승제
- 3-아릴벤조푸란-2-온 유형의 상승제,
-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을 기본으로 하는 염료 또는 안료가 있다.
3-아릴벤조푸란-2-온 중에서, 3-(3,4-디메틸페닐)-5,7-디-3급-부틸-3H-벤조푸란-2-온(화학식 D)이 바람직하다.
Figure 111999014793611-pct00093
3-피라졸리디논 유형 및 1,2,4-트리아졸리딘-3,5-디온 유형의 상승제와의 혼합물이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17658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침식성 화학물질, 특히 작물 보호 제품과 접촉하는 유기 물질,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물질, 특히 필름, 섬유 및 테이프 및/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에 적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종류의 혼합물이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690094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앞서 제시된 농도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광, 산소 및 열의 작용으로부터 안정화된 유기 물질, 특히 플라스틱, 피복재, 락커 또는 오일을 제공한다.
이러한 물질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의 중합체(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및 사이클로올레핀의 중합체(예를 들면, 사이클로펜텐 또는 노보넨); 추가로, 폴리에틸렌(여기서, 폴리에틸렌은 임의로 가교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간밀도 폴리에틸렌(H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측쇄 저밀도 폴리에틸렌(BLDPE).
폴리올레핀, 즉 앞서 예시되어 있는 모노올레핀의 중합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는 다양한 방법, 특히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a) 유리 라디칼 중합(정상적으로는 고압 및 승온하에서),
b) 정상적으로는 주기율표의 4b, 5b, 6b 또는 8족 금속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한 촉매 중합. 이러한 금속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리간드(예를 들면,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옥사이드, 할라이드, 알콜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케닐 및/또는 알릴을 갖는다. 이들 금속 착물은 유리 형태 또는 기질(예를 들면, 활성화된 염화마그네슘, 염화티탄(III), 알루미나 또는 규소 산화물) 상에 고정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는 중합 매질에 가용성이거나 불용성일 수 있다. 촉매는 중합시 그 자체로 활성일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활성제, 예를 들면,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라이드,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여기서, 금속은 주기율표의 1a, 2a 및/또는 3a족 원소이다)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제는, 예를 들면, 추가로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 그룹으로 개질될 수 있다. 이러한 촉매 시스템에는 통상적으로 필립스, 스텐다드 오일 인디아나, 지글러(-나타), TNZ(듀퐁), 메탈로센 또는 SSC(single site catalyst)이 있다;
2. 상기 1)에 언급되어 있는 중합체의 혼합물,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과의 혼합물, 폴리에틸렌과 폴리이소부틸렌과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예를 들면, PP/HDPE/LDPE) 및 상이한 유형의 폴리에틸렌(예를 들면, LDPE/HDPE)과의 혼합물;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간의 공중합체 또는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일산화탄소와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의 염(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예를 들면, 헥사디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보넨)과의 삼원공중합체; 및 이러한 공중합체와 다른 공중합체 및 1)에 언급한 중합체의 혼합물,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L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L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교번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이의 다른 중합체(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와의 혼합물;
4. 수소화 개질물(예를 들면, 점착제 수지)을 포함한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면, C5-C9) 및 폴리알킬렌과 전분의 혼합물;
5.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6.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과 디엔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공중합체와 다른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충격강도가 높은 혼합물; 및 스티렌의 블럭 공중합체,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7.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에 그라프트된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과 6)에 언급된 공중합체와의 혼합물, 예를 들면,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서 공지된 공중합체 혼합물;
8. 할로겐-함유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의 염소화 및 브롬화 공중합체(할로부틸 고무), 염소화 또는 설포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염소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9. α,β-불포화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를 들면, 부틸 아크릴레이트로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 9)에 언급된 단량체 간의 공중합체 또는 다른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원공중합체;
11. 불포화 알콜 및 아민 또는 아실 유도체 또는 이의 아세탈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레에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킬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멜라민, 및 이들과 1)에 언급된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2. 사이클릭 에테르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과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와의 공중합체;
13. 폴리옥시메틸렌, 및 공단량체(예를 들면,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폴리아세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산화물 및 황화물, 및 이와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와의 혼합물;
15. 한편으로는 하이드록실-말단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부타디엔으로부터 유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및 이의 전구체;
16. 디아민 및 디카복실산 및/또는 아미노카복실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4, 6, 6/6, 6/10, 6/9, 6/12, 4/6, 12/12, 11 및 12,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을 출발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개질제로서의 엘라스토머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상기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와의 블럭 공중합체, 또는 상기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와의 블럭 공중합체; EPDM 또는 ABS로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가공 동안 축합된 폴리아미드(RIM 폴리아미드 시스템);
17.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폴리하이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디카복실산 및 디알콜 및/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또는 상응하는 락톤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롤사이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록실-말단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블럭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19.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20. 폴리설폰, 폴리에테르 설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21. 한편으로는 알데히드로부터 유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페놀, 우레아 또는 멜라민으로부터 유도된 가교결합 중합체, 예를 들면,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22. 건식 및 비-건식 알키드 수지;
23. 포화 및 불포화 디카복실산과 다가 알콜 및 가교결합제로서의 비닐 화합물과의 코폴리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인화성이 낮은 이의 할로겐-함유 개질물;
24. 치환된 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가교결합성 아크릴산 수지;
25.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가교결합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산 수지;
26. 지방족, 지환족,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가교결합된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촉진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통상의 경화제(예를 들면, 무수물 또는 아민)에 의해 가교결합된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 에테르 제품;
27. 셀룰로즈, 천연 고무, 젤라틴, 및 중합체-동족체 방식으로 화학적으로 개질된 이의 유도체, 예를 들면,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셀룰로즈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즈 부티레이트 또는 셀룰로즈 에테르(예를 들면, 메틸 셀룰로즈)와 같은 천연 중합체, 및 로진 및 유도체;
28. 상기한 중합체의 혼합물(폴리블렌드), 예를 들면,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ABS 또는 PBT/PET/PC;
29. 순수한 단량체성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천연 및 합성 유기 성분, 예를 들면, 광유, 동물성 또는 식물성 지방, 오일 및 왁스, 또는 합성 에스테르계(예를 들면,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멜리테이트) 오일, 왁스 및 지방, 및 예를 들면, 스핀 피니시(spin finish)로서 사용되는, 적절한 비율의 광유 및 이의 수성 에멀젼과 합성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블렌드;
30.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의 수성 에멀젼, 예를 들면, 카복실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천연 고무 라텍스(들).
본 발명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을 포함하는 적절한 혼합물로 안정화된 유기 물질은, 경우에 따라,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금속 불활성제, 점착방지제, 난연제, 윤활제, 핵형성제, 산 제거제(염기성 공안정제), 안료 및 충전제와 같은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혼합물이외에 부가되는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는, 예를 들면, 입체장애된 아민 또는 입체장애된 페놀계 화합물이거나 황 또는 인-함유 공안정제이다. 혼합물에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첨가제의 예로는 하기에 기술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 들면, 2,6-디-3급-부틸-4-메틸페놀, 2-부틸-4,6-디메틸페놀, 2,6-디-3급-부틸-4-에틸페놀, 2,6-디-3급-부틸-4-n-부틸페놀, 2,6-디-3급-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사이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사이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사이클로헥실페놀, 2,6-디-3급-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선형 또는 측쇄-분지형 노닐페놀, 예를 들면,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덱-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헥타덱-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덱-1'-일)페놀 및 이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 들면, 2,4-디옥틸티오메틸-6-3급-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1.3. 하이드로퀴논 및 알킬화 하이드로퀴논, 예를 들면, 2,6-디-3급-부틸-4-메톡시페놀, 2,5-디-3급-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3급-아밀하이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3급-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아니졸,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아니졸,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하이드록실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 들면, 2,2'-티오비스(6-3급-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3급-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3급-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2급-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디 설파이드;
1.5.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6-3급-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3급-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사이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사이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3급-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3급-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3급-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3급-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3급-부틸-2-메틸페놀), 1,1-비스(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3급-부틸-5-메틸-2-하이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비스(3-3급-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디사이클로펜타디엔, 비스[2-(3'-3급-부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6-3급-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펜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1.6.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 들면, 3,5,3',5'-테트라-3급-부틸-4,4'-디하이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 4-하이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아민, 비스(4-3급-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설파이드, 이소옥틸-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하이드록시-3,5-디-3급-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1.7. 하이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 들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3급-부틸-2-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3급-부틸-4-하이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 머캅토에틸-2,2-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8. 방향족 하이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 들면, 1,3,5-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페놀;
1.9.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 들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3급-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하이드로-1,3,5-트 리아진, 1,3,5-트리스(3,5-디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0. 벤질포스포네이트, 예를 들면, 디메틸 2,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에틸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 5-3급-부틸-4-하이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Ca염;
1.11. 아실아미노페놀, 예를 들면, 4-하이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하이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카바메이트;
1.12. β-(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롤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3. β-(5-3급-부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 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롤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4. β-(3,5-디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롤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5.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롤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6. 3,3-비스(3'-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부티르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 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롤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7. β-(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 들면, N,N'-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
1.18. 토코페롤, 예를 들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 E);
1.19. 아스코브산(비타민 C);
1.20. 아민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2급-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사이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디(나프틸-2-)-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사이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톨루엔설포아미도)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2급-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3급-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를 들면, p,p'-디-3급-옥틸디페닐아 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나노일아미노페놀, 4-도데카노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카노일아미노페놀, 디(4-메톡시페닐)아민, 2,6-디-3급-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디-[(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디(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디[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3급-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3급 부틸/3급-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3급-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하이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3급 부틸/3급 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3급 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2. UV 흡수제 및 광안정제
2.1.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 들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3급-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3급-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3급-부틸-2'-하이드록시페닐)-5- 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2급-부틸-5'-3급-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옥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3급-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보닐에틸)페 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사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의 혼합물,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3급-부틸-5'-(2-메톡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생성물; [R-CH2CH2-COO(CH2) 3]2(여기서, R은 3'-3급-부틸-4'-하이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이다);
2.2.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예를 들면, 4-하이드록시, 4-메톡시, 4-옥톡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하이드록시 및 2'-하이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4-3급 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레소르신올, 비스(4-3급-부틸벤조일)레조르신올, 벤조일레조르신올, 2,4-디-3급-부틸페닐-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3급-부틸페닐-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α-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부틸-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α-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 들면, 추가의 리간드(예를 들면,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사이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를 들면,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모노알킬 에스테르(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4-하이드록시-3,5-디-3급-부틸벤질포스폰산의 니켈 염, 케톡심(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 케톡심)의 니켈 착물, 추가의 리간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1-페닐-4-라우로일-5-하이드록시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장애된 아민, 예를 들면,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글루타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글루타레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베헤네이트, 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베헤네이트, 1-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3급-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의 축합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오에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하이드록시-3,5-디-3급-부틸벤질)말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4-하이드록시-3,5-디-3급-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사이클로헥실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2-클로로-4,6-디-(4-메톡시프로필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2-클로로-4,6-디-(4-메톡시프로필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여기서, 아민의 하나 또는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으로 대체된다),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여기서, 아민의 하나 또는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으로 대체된다),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4-3급-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여기서, 아민의 하나 또는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으로 대체된다),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4-3급-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여기서, 아민의 하나 또는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으로 대체된다),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4-(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여기서, 아민의 하나 또는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으로 대체된다),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4-(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과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여기서, 아민의 하나 또는 모든 활성 수소원자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으로 대체된다),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및/또는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올리고머화 2,2,4,4-테트라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올리고머화 1,2,2,4,4-펜타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올리고머화 1-아세틸-2,2,4,4-테트라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도데실 에스테르, 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테트라데실 에스테르, 2,2,3,4,4-펜타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2,2,3,4,4-펜타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도데실 에스테르, 2,2,3,4,4-펜타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테트라데실 에스테르, 3-아세틸-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3-아세틸-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도데실 에스테르, 3-아세틸-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테트라데실 에스테르, 1,1',3,3',5,5'-헥사하이드로-2,2',4,4'-6,6'-헥사아자-2,2',6,6'-비스메타노-7,8-디옥소-4,4'-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비페닐, 폴리-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8-디아자데실렌, 2,2,6,6-테트라메틸-4-알릴옥시피페리딘과 폴리메틸하이드리도실록산의 부가물(분자량 4000 이하), 1,2,2,6,6-펜타메틸-4-알릴옥시피페리딘과 폴리메틸하이드리도실록산의 부가물(분자량 4000 이하), N,N'-디포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디포밀-N,N'-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헥사메틸렌디아민, 5,11-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3,5,7,9,11,13-헥사아자테트라사이클로[7.4.0.02,7.13,13]테트라데칸-8,14-디온, 5,11-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3,5,7,9,11,13-헥사아자테트라사이클로[7.4.0.02,7.13,13]테트라데칸-8,14-디온, [(4-메톡시페닐)메틸렌]프로판디오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에스테르, [(4-메톡시페닐)메틸렌]프로판디오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에스테르, 2,4,6-트리스(N-사이클로헥실-N-[2-(3,3,4,5,5-펜타메틸피페라지논-1-일)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옥타데실아민과 반응하는 메틸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과 스티렌과의 공중합체, 4-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및 옥타데실아민과 반응하는 α-메틸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과 스티렌과의 공중합체, 디올 성분으로서 2,2'-[(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비스[에탄올]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성분으로서 2,2'-(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비스[에탄올]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반응하는 말레산 무수물 및 탄소수 30 이하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아세틸-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반응하는 말레산 무수물과 탄소수 30 이하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4-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딘과 반응하는 말레산 무수물과 탄소수 30 이하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및 피페리딘 상의 유리 NH 그룹, 특히 α-메틸벤질옥시 및 C1-C18의 알킬옥시를 포함하는 상기한 화합물의 N-알킬- 및 N-아릴-옥시 유도체;
2.7. 옥살아미드, 예를 들면, 4,4'-디옥틸옥시옥사아닐리드, 2,2'-디에톡시아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3급-부틸옥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3급-부틸옥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틸옥사아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살아미드, 2-에톡시-5-3급-부틸-2'-에틸옥사아닐리드 및 이와 2-에톡시-2'-에틸-5,4'-디-3급-부틸옥사아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치환된 옥사아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치환된 옥사아닐리드의 혼합물;
2.8. 2-(2-하이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를 들면,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부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3-부톡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불활성제, 예를 들면, N,N'-디페닐옥살아미드, N-살리실랄-N'-살리실로일하이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하이드라진, N,N'-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하이드라지드, 옥사아닐리드, 이소프탈로일 디하이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하이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하이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 디하이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오닐 디하이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를 들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3급-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3급-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이소데실옥시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3급-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3급-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3급-부틸페닐) 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3급-부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6-플루오로-2,4,8,10-테트라-3급-부틸-12-메틸-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3급-부틸-6-메틸페닐) 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3급-부틸-6-메틸페닐) 에틸 포스파이트, 트리스(2-3급-부틸-4-티오(2'-메틸-4'-하이드록시-5'-3급-부틸)페닐-5-메틸) 페닐 포스파이트, 2,2',2''-니트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3급-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비스[2-메틸-4,6-비스(1,1-디메틸에틸)페놀]아인산 에틸 에스테르.
5. 하이드록실아민, 예를 들면, N,N-디벤질하이드록실아민, N,N-디에틸하이드록실아민, N,N-디옥틸하이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하이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하이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하이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수소화 우지 지방 아민으로부터 제조된 N,N-디알킬하이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를 들면, N-벤질 α-페닐 니트론, N-에틸 α-메틸 니트론, N-옥틸 α-헵틸 니트론, N-라우릴 α-운데실 니트론, N-테트라데실 α-트리데실 니트론, N-헥사데실 α-펜타데실 니트론, N-옥타데실 α-헵타데실 니트론, N-헥사데실 α-헵타데실 니트론, N-옥타데실 α-펜타데실 니트론, N-헵타데실 α-헵타데실 니 트론, N-옥타데실 α-헥사데실 니트론, 수소화 우지 지방 아민으로부터 제조된 N,N-디알킬하이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제올라이트 및 하이드로탈사이트, 예를 들면, RDHT 4A. 이러한 종류의 하이드로탈사이트는 하기의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M2+)1-x(M3+)x(OH)2(An-)x/n yH2O]
상기 식에서,
(M2+)는 Mg, Ca, Sr, Ba, Zn, Pb, Sn 또는 Ni이고,
(M3+)는 Al, B 또는 Bi이며,
An-는 원자가 n의 음이온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x는 0 내지 0.5이고,
y는 0 내지 2이며,
A는 OH-, Cl-, Br-, I-, ClO4 -, CH3 COO-, C6H5COO-, CO3 2-, SO4 2-, (OOC-COO)2-, (CHOHCOO)2 2-, HO(CHOH)4CH2COO-, C2H 4(COO)2 2-, (CH2COO)2 2-, CH3CHOHCOO -, SiO3 2-, SiO4 4-, Fe(CN)6 3-, Fe(CN)6 4-, BO3 3-, PO3 3- 또는 HPO4 2-이다.
(M2+)가 (Ca2+), (Mg2+) 또는 (Mg2+)와 (Ca2+)의 혼합물이고 (An-)가 CO3 2-, BO3 3- 또는 PO3 3-이며, x가 0 내지 0.5이고, y가 0 내지 2인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M2+)x(Al3+)2(OH)2x+6nz(An-)2 yH2O]
상기 식에서,
(M2+)는 Mg2+, Zn2+, 보다 바람직하게는 Mg2+이고,
An-는 음이온, 특히 CO3 2-, (OOC-COO)2-, OH- 및 S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이며,
n은 이온의 원자가이고,
y는 양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특히 0.5 내지 5이며,
x는 양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이고,
z는 양수로서, 2 미만이어야 한다.
하기 화학식의 하이드로탈사이트가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Al2O3×6MgO×CO2×12H2O,
Mg4.5Al2(OH)13×CO3×3.5H2O,
4MgO×Al2O3×CO2×9H2O,
4MgO×Al2O3×CO2×6H2O,
ZnO×3MgO×Al2O3×CO2×8-9H2O,
ZnO×3MgO×Al2O3×CO2×5-6H2O,
Mg4.5Al2(OH)13×CO3.
하이드로탈사이트는, 전체 중합체 제형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 특히 0.2 내지 3중량%의 농도로 중합체에 사용된다.
8. 티오상승제(thiosynergist), 예를 들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9. 과산화물 제거제, 예를 들면, β-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예를 들면,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아연 알킬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디옥타데실 모노설파이드, 디옥타데실 디설파이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0. 폴리아미드 안정제, 예를 들면,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 화합물 및 2가 망간염과 배합된 구리염.
11. 염기성 공안정제, 예를 들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하이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민,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예를 들면, Ca 스테아레이트, Zn 스테아레이트, Mg 베헤네이트, Mg 스테아레이트, Na 리시놀레에이트, K 팔미테이트, 안티몬 피로카테콜레이트 또는 주석 피로카테콜레이트), 락트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및 아연염이나 알루미늄염.
12. 핵형성제, 예를 들면, 활석, 금속 산화물(산화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인산, 탄산 또는 황산의 알칼리 토금속 염과 같은 무기 성분, 모노- 또는 폴리카복실산 및 이의 염{예를 들면, 4-3급-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나트륨 숙시네이트 또는 나트륨 벤조에이트, 방향족 알데히드 및 다작용성 알콜[예를 들면, 1,3-2,4-디(벤질리덴)-D-소르비톨, 1,3-2,4-디(4-톨릴리덴)-D-소르비톨, 1,3-2,4-디(4-에틸벤질리덴)-D-소르비톨과 같은 소르비톨]의 아세탈, 중합체 화합물[예를 들면,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과 같은 유기 화합물.
13. 충전제 및 보강제, 예를 들면, 탄산칼슘, 규산염, 유리 섬유,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 카본블랙, 흑연, 목재분 및 다른 분말 또는 다른 천연제품의 섬유, 합성 섬유.
14. 기타 첨가제, 예를 들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학적 첨가제, 촉매, 균전성 보조제, 광학 증백제, 방염가공제, 점착방지제, 발포제.
15. 벤조푸라논 및 인돌린, 예를 들면, US 제4325863호, US 제4338244호, US 제5175312호, US 제5216052호, US 제5252643호,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4316611호,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4316622호,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4316876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589839호 또는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59110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벤조푸라논 및 인돌린,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3급-부틸벤조푸란-2-온, 5,7-디-3급-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라논-2-온, 3,3'-비스[5,7-디-3급-부틸-3-(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3급-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3급-부틸벤조푸란-2-온, 3-(3,5-디에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3급-부틸벤조푸란-2-온.
화학식 III의 첨가제 또는 상기한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유기 물질,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에 혼입된다. 혼입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추가의 첨가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중합하기 전, 중합 도중 또는 중합한 후에 직접 중합체에 혼합 또는 적용하거나, 성형하기 전 또는 성형 도중에 중합체 용융물에 혼합 또는 적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혼입은 또한 용해되거나 분산된 화합물을 직접 중합체에 적용하거나 이를 중합체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에, 후속의 용매 증발 단계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혼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화합물은 또한 이들이 후속적으로 단독 가공 단계에서 예비-과립화된 중합체로 도입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또한 이들 화합물을 예를 들면, 1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형태로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중합체에 가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지 않으면서 이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모든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13C NMR 스펙트럼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제조되는 올리고머의 융점 범위는 본원 명세서 및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
20,20'-(2-하이드록시-1,3-프로판디일)비스[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II') 47.0g(0.06mol) 및 2,2,4,4-테트라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I') 151.2g(0.36mol)을 200℃에서 6시간 동안 진공하에 중합시킨다. 이러한 반응 동안, 고체 용융물 및 무색 점성 용융물이 형성된다. 반응 물질을 냉각시킨 후, 취성 혼합물을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플라스크로부터 강제로 꺼내어 분말화시킨다. 올리고머의 융점은 188 내지 230℃이다.
출발물질(I') 및 (II')의 함량 및 제조된 올리고머의 융점
실시예 (I')[mol] (II')[mol] 올리고머의 융점(℃)
2 3 4 5 0.24 0.30 0.32 0.55 0.12 0.10 0.08 0.11 162-212 171-219 179-220 180-221

실시예 6
화학적 접촉의 유무에 따른 폴리에틸렌에서의 광안정화 작용
안정화되지 않은 폴리에틸렌(R폴리에틸렌 LE 4510, 제조원; Borealis) 100중량부를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호스타녹스 O 10) 0.1중량부 및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호스타녹스 PAR 24) 0.05중량부와 함께 혼합한다. 이러한 기재 제형을 1축 브라벤더(Brabender) 혼합기를 사용하여 125rpm 및 150/180/220℃의 가열 영역에서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2중량부 단독으로, 또는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를 하이드로탈사이트 DHT 4H 0.1중량부와 배합하거나, 또는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를 산화아연 0.05중량부와 칼슘 스테아레이트 0.05중량부의 혼합물과 배합하여 2회 과립화한 다음 강력하게 균질화시킨다. 이들 기재 혼합물을 2축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다음 과립화하여, 과립으로부터 두께가 200㎛인 취입필름을 제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시험 표본을 가속 풍화 장치[accelerated weathering device, 제노테스트(Xenotest) 1200]에 노출시킨다. 필름의 안정화에 대한 판정 기준은 일정 간격(200시간)으로 측정한 노출 기간 동안의 카보닐 지수의 변화량이며, 식 CO = E1720/E2020(E=흡광도(흡수도))에 따라 결정한다; 노출 종결점은 카보닐 지수가 1단위 증가하는 시점으로 정한다. 비교를 위해, 실시예 1로부터의 본 발명의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을 시험한다. 실험 결과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안정화된 폴리에틸렌의 분해
기재 안정화를 위해 추가로 사용되는 안정제 농도(중량%) ΔCO>1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a) 없음 - 310
b)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2 1010
c) 산화아연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0.05/0.05 580
d) 하이드로탈사이트(DHT 4a) 0.1 520
e)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산화아연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0.2 0.05/0.05 2240
f)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하이드로탈사이트(DHT 4a) 0.2 0.1 1610
기재-안정화된 필름은 310시간 후, 중합체 분해를 나타내는 ΔCO>1 기준에 도달한다. 추가로 사용되는 안정제의 안정화 효과는 310시간을 경과한 시간량으로부터 산출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2중량%의 안정화 기여도는 700시간(1010-310)이다. 하이드로탈사이트 0.1중량%의 안정화 기여도는 210시간(520-310)이다.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와 하이드로탈사이트(DHT 4a)의 배합에 따른 추가의 안정화 효과는 총 안정화도 1220시간(310+700+210)에 이른다. 그러나, 사실상,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와 하이드로탈사이트(DHT 4a)를 배합할 경우 총 안정화도는 1610시간으로서, 배합시 상승작용이 일어난다. 상승작용은 배합(e)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관찰된다.
실시예 7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서의 광안정화 작용
안정화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인 호스탈렌 PPK 0160 100중량부를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호스타녹스 O 10) 0.1중량부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제조원; Greven) 0.1중량부와 함께 혼합한다. 이러한 기재 제형을 라이스트리츠 2축 압출기(역회전 스크류, 가열 영역 210℃, 220℃, 230℃, 240℃)를 사용하여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0.1중량%)와 함께, 또는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0.05중량%)와 표 2에 제시된 단량체성 HALS 안정제(0.05중량%)의 혼합물과 함께 2회 과립화한다. 그후, 과립을 가공하여 두께가 2mm인 사출성형판(도시바 2축 압출기, 역회전 스크류, 가열 영역 210℃, 220℃, 230℃, 240℃)을 수득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시험 표본을 가속 풍화 장치(제노테스트 1200)에 노출시킨다. 시험 표본의 안정화에 대해 사용되는 판정 기준은 일정 간격(150시간)으로 측정한 변색의 증가량이다. 비교를 위해, 실시예 1로부터의 본 발명의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시트를 시험한다.
안정화된 폴리프로필렌의 변색(현미경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평가한 다음 등급으로 평가함; 0=없음, 1=아주 약함, 2=약함, 3=조금 있음, 4=현저함, 5=상당함, 6=심함)
기재 안정화를 위해 추가로 사용되는 안정제 농도(중량%) 290시간 508시간 674시간
a) 없음 - 0 0 6
b)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1 0 0 2
c) 안정제 A* 0.1 0 1 3
d) 안정제 B** 0.1 0 0 1
e)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안정제 A* 0.05 0.05 0 0 0
f)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안정제 B** 0.05 0.05 0 0 0
*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R티누빈 770, 제조원; CIBA Specialty Chem.)
**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R호스타빈 N20, 제조원; Clariant GmbH)
표에서,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와 입체장애된 아민계 단량체성 광안정제의 혼합물의 안정화 작용이 각 성분의 안정화 작용의 합으로부터 예상될 수 있는 것보다 더 우수함이 입증된다.
실시예 8
압축성형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에서의 광안정화 작용
안정화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인 호스탈렌 PPK 0160 100중량부를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호스타녹스 O 10) 0.1중량부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0.1중량부와 함께 혼합한다. 이러한 기재 제형을 200℃ 및 20rpm에서 10분 동안 브라벤더 혼합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0.1중량%)와 혼련시키거나, 또는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0.05중량%)와 표 3에 제시된 단량체성 HALS 안정제(0.05중량%)의 혼합물과 함께 혼련시키고, 이러한 방법으로 강력하게 균질화시킨다. 이들 기재 혼합물을 사용하여 두께가 100㎛인 압축성형 필름을 제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시험 표본을 가속 풍화 장치(제노테스트 1200)에 노출시킨다. 시험 표본의 안정화에 대해 사용되는 판정 기준은 일정 간격(150시간)으로 측정한 노출 기간 동안의 카보닐 지수의 변화량이다. 카보닐 지수 CO는 식 CO = E1720/E2020(E=흡광도(흡수도))에 따라 결정한다; 노출 종결점은 카보닐 지수가 1단위 증가하는 시점으로 정한다. 비교를 위해, 실시예 1로부터의 본 발명의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을 시험한다.
안정화된 폴리프로필렌의 분해
기재 안정화를 위해 추가로 사용되는 안정제 농도(중량%) ΔCO>1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a) 없음 - 350
b)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1 900
c) 안정제 C* 0.1 700
d)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안정제 C* 0.05 0.05 896
* 부탄이산과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2-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의 중합체(R티누빈 622, 제조원; Ciba Specialty Chem.)
기재-안정화된 필름은 350시간 후, 중합체 분해를 나타내는 ΔCO>1 기준에 도달한다. 추가로 사용되는 안정제의 안정화 효과는 350시간을 경과한 시간량으로부터 산출한다. 따라서,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1중량%의 안정화 기여도는 550시간(900-350)이다. 안정제 C의 안정화 기여도는 350시간(700-350)이다. 이러한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실시예 d에서의 안정제의 농도는 반으로 감소됨을 염두하여야 한다.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와 안정제 C의 배합에 따른 추가의 안정화 효과는 총 안정화도 800시간(350+550/2)에 이른다. 그러나, 사실상,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와 안정제 C를 배합할 경우 총 안정화도는 896시간으로서, 배합시 상승작용이 일어난다.
실시예 9
압축성형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에서의 광안정화 작용
안정화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인 호스탈렌 PPK 0160 100중량부를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호스타녹스 O 10) 0.1중량부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0.1중량부와 함께 혼합한다. 이러한 기재 제형을 200℃ 및 20rpm에서 10분 동안 브라벤더 혼합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0.1중량%)와 혼련시키거나, 또는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0.05중량%)와 표 3에 제시된 UV 흡수제(0.05중량%)의 혼합물과 함께 혼련시키고, 이러한 방법으로 강력하게 균질화시킨다. 이들 기재 혼합물을 사용하여 두께가 100㎛인 압축성형 필름을 제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시험 표본을 가속 풍화 장치(제노테스트 1200)에 노출시킨다. 시험 포본의 안정화에 대해 사용되는 판정 기준은 일정 간격(150시간)으로 측정한 노출 동안의 카보닐 지수의 변화량이다. 카보닐 지수 CO는 식 CO = E1720/E2020(E=흡광도(흡수도))에 따라 결정한다; 노출 종결점은 카보닐 지수가 1단위 증가하는 시점으로 정한다. 비교를 위해, 실시예 1로부터의 본 발명의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을 시험한다.
안정화된 폴리프로필렌의 분해
기재 안정화를 위해 추가로 사용되는 안정제 농도(중량%) ΔCO>1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a) 없음 - 350
b)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1 900
c) 안정제 D* 0.1 458
d)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안정제 D* 0.05 0.05 710
* 벤조트리아졸 안정제(R티누빈 P, 제조원; Ciba Specialty Chem.)
기재-안정화된 필름은 350시간 후, 중합체 분해를 나타내는 ΔCO>1 기준에 도달한다. 추가로 사용되는 안정제의 안정화 효과는 350시간을 경과한 시간량으로부터 산출한다. 따라서,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1중량%의 안정화 기여도는 550시간(900-350)이다. 안정제 D의 안정화 기여도는 108시간(458-350)이다. 이러한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상기 표의 실시예 d에서 안정제의 농도가 반으로 감소되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와 안정제 C의 배합에 따른 추가의 안정화 효과는 총 안정화도 679시간(350+550/2+108/2)에 이른다. 그러나, 사실상,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와 안정제 C를 배합할 경우 총 안정화도는 710시간으로서, 배합시 상승작용이 일어난다.
실시예 10
압축성형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에서의 광안정화 작용
안정화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인 호스탈렌 PPK 0160 100중량부를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호스타녹스 O 10) 0.1중량부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0.1중량부와 함께 혼합한다. 이러한 기재 제형을 200℃ 및 20rpm에서 10분 동안 브라벤더 혼합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0.1중량%)와 혼련시키거나, 또는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0.05중량%)와 표 5에 제시된 입체장애된 포스파이트(0.05중량%)의 혼합물과 함께 혼련시키고, 이러한 방법으로 강력하게 균질화시킨다. 이들 기재 혼합물을 사용하여 두께가 100㎛인 압축성형 필름을 제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시험 표본을 가속 풍화 장치(제노테스트 1200)에 노출시킨다. 시험 표본의 안정화에 대해 사용되는 판정 기준은 일정 간격(150시간)으로 측정한 노출 기간 동안의 카보닐 지수의 변화량이다. 카보닐 지수 CO는 식 CO = E1720/E2020(E=흡광도(흡수도))에 따라 결정한다; 노출 종결점은 카보닐 지수가 1단위 증가하는 시점으로 정한다. 비교를 위해, 실시예 1로부터의 본 발명의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을 시험한다.
안정화된 폴리프로필렌의 분해
기재 안정화를 위해 추가로 사용되는 안정제 농도(중량%) ΔCO>1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a) 없음 - 350
b)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1 900
c) 안정제 E* 0.1 460
d) 안정제 F** 0.1 400
e)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안정제 E* 0.05 0.05 820
f)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안정제 F** 0.05 0.05 700
* 안정제 E ; 비스(2,4-디-3급-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R웨스톤 626, 제조원; Borg Waner)
** 안정제 F ;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호스타녹스 PAR 24, 제조원; Clariant GmbH)
기재-안정화된 필름은 300시간 후, 중합체 분해를 나타내는 ΔCO>1 기준에 도달한다. 추가로 사용되는 안정제의 안정화 효과는 300시간을 경과한 시간량으로부터 산출한다. 따라서,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0.1중량%의 안정화 기여도는 600시간(900-300)이다. 안정제 E의 안정화 기여도는 160시간(460-300)이다. 이러한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상기 표의 실시예 e 및 f에서 안정제의 농도가 반으로 감소되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와 안정제 E의 배합에 따른 추가의 안정화 효과는 총 안정화도 680시간(300+600/2+160/2)에 이른다. 그러나, 사실상,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와 안정제 E를 배합할 경우 총 안정화도는 820시간으로서, 배합시 상승작용이 일어난다.
실시예 11
시간의 함수로서의 포스파이트의 가수분해(중량 증가)
포스파이트의 가수분해에는 (예를 들면, 대기 습도로부터의) 물의 흡수가 관여한다. 따라서, 포스파이트는 1차로 저장 동안 물을 흡수하고 2차로 중합체 중에 혼입된 형태로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가수분해가 증가됨에 따라 효과적이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가수분해는 포스파이트의 수분 흡수에 따른 중량 증가를 관찰해 봄으로써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스(2,4-디-3급-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R웨스톤 626, 제조원; Borg Warner) 125g을 23℃의 온도와 50%의 상대 대기 습도하에서 기후조절된 챔버 속에서 개방된 채로 저장한다. 실시예 1로부터의 신규한 안정제로 인한 이러한 포스파이트의 가수분해 경향의 감소를 입증하기 위해, 제2 샘플(비스(2,4-디-3급-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125g과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 5g의 균질 혼합물)을 마찬가지로 23℃의 온도와 50%의 상대 대기 습도하에서 기후조절된 챔버 속에서 개방된 채로 저장한다. 2가지 샘플 모두 결정 분말 형태이다.
21일간에 걸쳐, 비스(2,4-디-3급-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는 3g의 물을 흡수한 반면, 비스(2,4-디-3급-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와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의 혼합물은 단지 2g의 물을 흡수하였다. 따라서, 이는 실시예 1로부터의 안정제가 포스파이트의 가수분해 경향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을 입증한다.
요약 : 본 발명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중합체성 물질용 안정제로서 뛰어난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단량체성 HALS, 중합체성 HALS 및/또는 포스파이트 및/또는 산 제거제의 혼합물은 유기 물질에 대한 안정화 작용을 가지며, 각각의 성분에 비해 향상된 특성, 예를 들면, 광보호 효과에 있어서 상승작용을 나타낸다.

Claims (42)

  1.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II
    Figure 112003016605735-pct00094
    상기 화학식 III에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이지만, 둘 다 0은 아니고,
    R1은 수소, C5-C7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12 알킬 그룹이며,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18 알킬 그룹이거나,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5원 내지 13원 환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095
    IV의 그룹을 형성하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22 알킬 그룹,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30 알킬옥시 그룹, C5-C12 사이클로알킬옥시 그룹, C6-C10 아릴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치환될 수 있다), C7-C20 아릴알킬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치환될 수 있다), C3-C10 알케닐 그룹, C3-C6 알키닐 그룹, C1-C10 아실 그룹, 할로겐, 또는 페닐 환이 C1-C4 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7-C9 페닐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이지만, 둘 다 0은 아니고, R1이 수소, C6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4 알킬 그룹이며, R2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8 알킬 그룹이거나,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6원 내지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고,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 그룹,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10 알킬옥시 그룹, C5-C6 사이클로알킬옥시 그룹, C6-C7 아릴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치환될 수 있다), C7-C10 아릴알킬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치환될 수 있다), C3-C6 알케닐 그룹, C3-C6 알키닐 그룹, C1-C4 아실 그룹, 할로겐, 또는 페닐 환이 C1-C2 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7-C9 페닐알킬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이지만, 둘 다 0은 아니고, R1이 메틸이며, R2 및 R3이,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고,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아세틸, 옥틸옥시 또는 사이클로헥실옥시인 화합물.
  4. 삭제
  5.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그리고 촉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100 내지 300℃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1:1 내지 100:1의 몰 비로 반응시킴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3016605735-pct00096
    화학식 II
    Figure 112003016605735-pct00097
    상기 화학식 I 및 II에서,
    R1 내지 R3은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다.
  6. 제5항에 있어서, 반응이 용매 및 촉매의 부재하에 120 내지 250℃에서 진공에서 수행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여, 산소, 광 및 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유기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8.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A1 내지 A9로 나타내는 입체장애된 아민과 화합물 A10인 입체장애된 아민을 기본으로 하는 안정제(HAL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여기서, 화합물 A10은 화학식 A10a의 폴리아민을 화학식 A10b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득한 것이다) 중의 하나 이상과의 혼합물.
    화학식 A1
    Figure 112005026513286-pct00098
    상기 화학식 A1에서,
    R1 및 R4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R6은 수소, C1-C4 알킬, C1-C4 알콕시, 할로겐, 시아노, 카복실, 니트로, 아미노, C1-C4 알킬아미노, C1-C4 디알킬아미노 및 아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방향족 라디칼이며,
    o는 1 또는 2이다.
    화학식 A2
    Figure 112005026513286-pct00099
    상기 화학식 A2에서,
    R1 및 R4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p는 1 또는 2이며,
    R7은 p가 1인 경우에는 C1-C22 알킬, C2-C18 옥사알킬, C2-C18 티아알킬, C2-C18 아자알킬 또는 C2-C8 알케닐이고, p가 2인 경우에는 C1-C22 알킬렌, C2-C18 옥사알킬렌, C2-C18 티아알킬렌, C2-C18 아자알킬렌 또는 C2-C8 알케닐렌이다.
    화학식 A3
    Figure 112005026513286-pct00100
    상기 화학식 A3에서,
    R1 및 R4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C7-C12 아르알킬, C7-C12 아릴 또는 카복실산 에스테르이거나, R8 및 R9는 함께 테트라메틸 또는 펜타메틸 그룹을 형성한다.
    화학식 A4
    Figure 112005026513286-pct00101
    화학식 A5
    Figure 112005026513286-pct00102
    상기 화학식 A4 및 A5에서,
    R1, R2, R3 및 R4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q는 1 또는 2이며,
    R10은 수소, 메틸, 페닐 또는 카르브-C1-C21 알콕시이고,
    R11은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2는, q가 1인 경우에는 수소, C1-C21 알킬, C2-C22 알케닐, C5-C12 사이클로알킬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5026513286-pct00103
    의 라디칼(여기서, R1 및 R5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다)이고, q가 2인 경우에는 C1-C18 알킬렌, C5-C9 사이클로알킬렌 또는 아릴렌이다.
    화학식 A6
    Figure 112005026513286-pct00104
    화학식 A7
    Figure 112005026513286-pct00105
    상기 화학식 A6 및 A7에서,
    R1, R4, R7 및 p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A8
    Figure 112005026513286-pct00106
    상기 화학식 A8에서,
    R은
    Figure 112005026513286-pct00190
    (여기서, R1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30은 수소, C1-C12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C7-C9 페닐알킬이며, a는 1 내지 10이다)이다.
    화학식 A9
    Figure 112005026513286-pct00108
    상기 화학식 A9에서,
    R1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7은 C1-C22 알킬, C2-C18 옥사알킬, C2-C18 티아알킬, C2-C18 아자알킬 또는 C2-C8 알케닐이다.
    화학식 A10a
    Figure 112005026513286-pct00109
    화학식 A10b
    Figure 112005026513286-pct00110
    상기 화학식 A10a 및 A10b에서,
    R 및 R'는 H 또는 CH3이고,
    R1, R4 및 R30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n5', n5'',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2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이지만, 둘 다 0은 아니며, R1이 수소 또는 C1-C4 알킬 그룹이고, R2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8 알킬 그룹이거나,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6원 내지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며,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 그룹,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10 알킬옥시 그룹, C5-C6 사이클로알킬옥시 그룹, C6-C7 아릴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치환될 수 있다), C7-C10 아릴알킬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치환될 수 있다), C3-C6 알케닐 그룹, C3-C6 알키닐 그룹, C1-C4 아실 그룹, 할로겐, 또는 페닐 환이 C1-C2 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7-C9 페닐알킬이고, R7이 p가 2인 경우에는 직쇄 C1-C10 알킬렌이고 p가 1인 경우에는 C1-C12 알킬이며, R8 및 R9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2 알킬, C7-C8 아릴알킬, C7-C8 아릴 또는 카복실산 에스테르이고, R10이 수소, 메틸, 페닐 또는 C1-C2 알콕시이며, R11이 수소 또는 메틸이고, R12가 q가 1인 경우에는 수소, C1-C16 알킬, C2-C16 알케닐, C5-C6 사이클로알킬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111
    의 라디칼이고 q가 2인 경우에는 C1-C16 알킬렌, C5-C6 사이클로알킬렌 또는 아릴렌이며, R30이 수소, C1-C8 알킬, C5-C7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C7-C8 페닐알킬이고, a가 1 내지 5이며, o가 1이고, p가 2 내지 5인 혼합물.
  10. 제8항에 있어서,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이지만, 둘다 0은 아니며, R1이 메틸이고, R2 및 R3이,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며,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아세틸, 옥틸옥시 또는 사이클로헥실옥시이고, R6이 p-메톡시페닐이며, R7이 p가 2인 경우에는 옥타메틸렌, 헥사메틸렌 또는 에틸렌이고 p가 1인 경우에는 도데실이며, R8 및 R9가 수소이고, R10이 수소이며, R11이 수소이고, R12가 도데카메틸렌 또는 테트라데카메틸렌이며, R30이 사이클로헥실 또는 n-부틸이고, a가 2이며, o가 1이고, p는 2이며, q가 1인 혼합물.
  11. 제8항에 있어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중의 HALS 화합물이 화학식 A'1 내지 A'14의 화합물인 혼합물.
    화학식 A'1
    Figure 111999014793611-pct00112
    화학식 A'2
    Figure 111999014793611-pct00113
    화학식 A'3
    Figure 111999014793611-pct00114
    화학식 A'4
    Figure 111999014793611-pct00115
    화학식 A'5
    Figure 111999014793611-pct00116
    화학식 A'6
    Figure 111999014793611-pct00117
    화학식 A'7
    Figure 111999014793611-pct00118
    화학식 A'8
    Figure 111999014793611-pct00119
    화학식 A'9
    Figure 111999014793611-pct00120
    화학식 A'10
    Figure 111999014793611-pct00121
    상기 화학식 A'10에서,
    R은
    Figure 111999014793611-pct00184
    이다.
    화학식 A'11
    Figure 111999014793611-pct00123
    화학식 A'12
    Figure 111999014793611-pct00124
    화학식 A'13
    Figure 111999014793611-pct00125
    화학식 A'14
    Figure 111999014793611-pct00126
    상기 화학식 A'14에서,
    R은
    Figure 111999014793611-pct00188
    이고,
    R'는 H 또는 CH3이다.
  12. 제8항에 있어서, 공-성분(들)이 R티누빈(Tinuvin) 770, R티누빈 765, R티누빈 123, R호스타빈(Hostavin) N20, R호스타빈 N24, R우비눌(Uvinul) 4049, R산두보르(Sanduvor) PR 31, R우비눌 4050, R굿라이트(Good-rite) UV 3034 또는 3150, R산두보르 3055, R산두보르 3056, R산두보르 3058, R키마소브(Chimassorb) 119 및 R키마소브 905인 혼합물.
  13.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B1 내지 B3 및 B5 내지 B7로 나타내는 중합체성 HALS 화합물 및 화합물 B4인 중합체성 HALS 화합물(여기서, 화합물 B4는 화학식 B4a의 폴리아민을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다음, 이로부터의 생성물을 화학식 B4b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득한 화학식 B4-1, B4-2, B4-3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중의 하나 이상과의 혼합물.
    화학식 B1
    Figure 112005026513286-pct00128
    상기 화학식 B1에서,
    R1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13은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4는 직접 결합이거나 C1-C10 알킬렌이고,
    r은 2 내지 50이다.
    화학식 B2
    Figure 112005026513286-pct00129
    상기 화학식 B2에서,
    R1 및 R4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15 및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이거나 -N(R22)-CO-R23-CO-N(R24)-의 그룹(여기서, R22 및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8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C7-C9 페닐알킬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5026513286-pct00185
    B2a의 그룹이고, R23은 직접 결합이거나 C1-C4 알킬렌이다)이며,
    R16, R17,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30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화학식 B2a의 그룹이고,
    R19는 수소, C1-C30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R7-R9 페닐알킬, 페닐 또는 화학식 B2a의 그룹이며,
    s는 1 내지 50이다.
    화학식 B3
    Figure 112005026513286-pct00131
    상기 화학식 B3에서,
    R1, R4 및 s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25, R26, R27, R28 및 R29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이거나 C1-C10 알킬렌이다.
    화학식 B4a
    Figure 112005026513286-pct00132
    화학식 B4b
    Figure 112005026513286-pct00133
    상기 화학식 B4a 및 B4b에서,
    R1 및 R4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n5', n5'' 및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2이며,
    R30은 수소, C1-C12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C7-C9 페닐알킬이다.
    화학식 B4-1
    Figure 112005026513286-pct00134
    화학식 B4-2
    Figure 112005026513286-pct00135
    화학식 B4-3
    Figure 112005026513286-pct00136
    상기 화학식 B4-1, B4-2 및 B4-3에서,
    n5는 1 내지 20이고,
    R4 및 R30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B5
    Figure 112005026513286-pct00137
    상기 화학식 B5에서,
    r은 화학식 B1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R31, R33 및 R3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2 알킬 또는 C5-C12 사이클로알킬이거나, C1-C4 알킬-치환된 C5-C12 사이클로알킬이거나, 페닐이거나, -OH-와 C1-C10 알킬 중의 하나 또는 둘 다로 치환된 페닐이거나, C7-C9 페닐알킬이거나, 페닐 라디칼이 -OH와 C1-C10 알킬 중의 하나 또는 둘 다로 치환된 C7-C9 페닐알킬이거나,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5026513286-pct00186
    B5a의 그룹(여기서, R1 및 R5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이거나; 또는
    R31과 R3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고,
    R32는 C2-C18 알킬렌, C5-C7 사이클로알킬렌 또는 C1-C4 알킬렌디(C5-C7 사이클로알킬렌)이거나; 또는
    라디칼 R31, R32 및 R33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5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하고,
    라디칼 R31, R33 및 R34 중의 하나 이상은 화학식 B5a의 그룹이다.
    화학식 B6
    Figure 112005026513286-pct00139
    상기 화학식 B6에서,
    R31, R32, R33 및 r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35 및 R36은 각각 독립적으로 R34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거나, R35와 R36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당해 질소 헤테로원자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5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하며,
    라디칼 R31, R33, R35 및 R36 중의 하나 이상은 화학식 B5a의 그룹이다.
    화학식 B7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0
    상기 화학식 B7에서,
    R1 및 R4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화학식 B3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으며,
    R37은 C1-C10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C1-C4 알킬-치환된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C1-C10 알킬-치환된 페닐이고,
    R38은 C3-C10 알킬렌이다.
  14. 제13항에 있어서,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이지만, 둘 다 0은 아니며, R1이 수소 또는 C1-C4 알킬 그룹이고, R2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8 알킬 그룹이거나,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6원 내지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며,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 그룹, 산소 라디칼 O*, -OH, -NO, -CH2CN, 벤질, 알릴, C1-C10 알킬옥시 그룹, C5-C6 사이클로알킬옥시 그룹, C6-C7 아릴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치환될 수 있다), C7-C10 아릴알킬옥시 그룹(여기서, 아릴 라디칼은 치환될 수 있다), C3-C6 알케닐 그룹, C3-C6 알키닐 그룹, C1-C4 아실 그룹, 할로겐, 또는 페닐 환이 C1-C2 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7-C9 페닐알킬이고, R13이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4가 C1-C5 알킬렌이고, R17 및 R21이 수소 또는 C1-C4 알킬이며, R15 및 R18은 직접 결합이고, R16 및 R20이 C1-C25 알킬 또는 페닐이며, R19가 수소, C1-C12 알킬 또는 화학식 B2a의 그룹이고, R25, R26, R27, R28 및 R29가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이거나 C1-C5 알킬렌이며, R30이 수소, C1-C4 알킬, C5-C6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이고, R31, R33 및 R34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5-C6 사이클로알킬 또는 화학식 B5a의 그룹이며, R32가 C2-C10 알킬렌 또는 C5-C6 사이클로알킬렌이고, R35 및 R36이 각각 독립적으로 R34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거나, R35와 R36이, 이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다른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하며, 라디칼 R31, R33, R35 및 R36 중의 하나 이상이 화학식 B5a의 그룹이고, R37이 C1-C5 알킬, C5-C6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이며, R38이 C3-C5 알킬렌이고, n5', n5'' 및 n5'''가 2 내지 4인 혼합물.
  15. 제13항에 있어서, n 및 m이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이지만 둘다 0인 것은 아니며, R1이 메틸이고, R2 및 R3이,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12원 환 또는 화학식 IV의 그룹을 형성하며,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세틸, 메틸, 옥틸옥시 또는 사이클로헥실옥시이고, R13이 수소이며, R14가 에틸렌이고, R17 및 R21이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5 및 R18은 직접 결합이고, R16 및 R20이 C1-C25 알킬 또는 페닐이며, R19가 헥사데실 또는 화학식 B2a의 그룹이고, R25 및 R27이 메틸렌이며, R26이 직접 결합이고, R28이 2,2-디메틸에틸렌이며, R29가 1,1-디메틸에틸렌이고, R30이 n-부틸이며, R31, R33 및 R34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소옥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이고, 단 이들 중의 하나 이상이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이어야 하며, R32가 헥사메틸렌이고, R35 및 R36이 각각 독립적으로 R34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거나, R35와 R36이, 이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산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인 모르폴린을 형성하고, 라디칼 R31, R33, R35 및 R36 중의 하나 이상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이어야 하며, R37이 메틸이고, R38이 트리메틸렌이며, n5', n5'' 및 n5'''가 2 내지 4인 혼합물.
  16. 제13항에 있어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배합되는 중합체성 HALS 화합물이 화학식 B'1 내지 B'9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화합물 B'10(여기서, 화합물 B'10은 화학식 B'10a의 폴리아민을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다음, 이로부터의 생성물을 화학식 B'10b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득한 화학식 B4-1', B4-2', B4-3'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인 혼합물.
    화학식 B'1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1
    화학식 B'2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2
    화학식 B'3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3
    화학식 B'4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4
    화학식 B'5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5
    화학식 B'6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6
    화학식 B'7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7
    화학식 B'8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8
    화학식 B'9
    Figure 112005026513286-pct00149
    화학식 B'10a
    Figure 112005026513286-pct00150
    화학식 B'10b
    Figure 112005026513286-pct00151
    화학식 B4-1'
    Figure 112005026513286-pct00152
    화학식 B4-2'
    Figure 112005026513286-pct00153
    화학식 B4-3'
    Figure 112005026513286-pct00154
    상기 화학식 B4-1' 내지 B4-3'에서,
    n5는 1 내지 20이다.
  17. 제13항에 있어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서, 기타의 공-성분(들)이 R키마소브(Chimassorb) 944, R티누빈(Tinuvin) 622, R다스티브(Dastib) 1082, R우바소브(Uvasorb) HA 88, R우비눌(Uvinul) 5050, R로빌라이트(Lowilite) 62, R우바실(Uvasil) 299, R시아소브(Cyasorb) 3346, R마르크(Mark) LA 63, R마르크 LA 68 또는 R루켐(Luchem) B 18인 혼합물.
  18.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C1 내지 C7의 인 안정제 중의 하나 이상과의 혼합물.
    화학식 C1
    Figure 112003016605735-pct00155
    화학식 C2
    Figure 112003016605735-pct00156
    화학식 C3
    Figure 112003016605735-pct00157
    화학식 C4
    Figure 112003016605735-pct00158
    화학식 C5
    Figure 112003016605735-pct00159
    화학식 C6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0
    화학식 C7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1
    상기 화학식 C1 내지 C7에서,
    n'는 2, 3 또는 4이고,
    u는 1 또는 2이며,
    t는 2 또는 3이고,
    y는 1, 2 또는 3이며,
    z는 1 내지 6이고,
    A'는, n'가 2인 경우에는 탄소수 2 내지 18의 알킬렌이거나, 또는 -S-, -O- 또는 -NR'4-에 의해 차단된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2
    의 라디칼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3
    의 라디칼 또는 페닐렌이고, n'가 3인 경우에는 화학식 -CrH2r-1의 라디칼이며, n'가 4인 경우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4
    의 라디칼이고,
    A"는 n'가 2인 경우의 A'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으며,
    B'는 화학식 -CH2-, -CHR'4-, -CR'1R'4-, -S-의 라디칼 또는 직접 결합이거나, C5-C7 사이클로알킬리덴 또는 3위치, 4위치 및 5위치 중의 하나 이상의 위치가 1 내지 4개의 C1-C4 알킬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헥실리덴이고,
    D'는 u가 1인 경우 메틸이고 u가 2인 경우 -CH2OCH2-이며,
    E'는 y가 1인 경우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 페닐, 화학식 -OR'1의 라디칼 또는 할로겐이고, y가 2인 경우 화학식 O-A"-O-의 라디칼이며, y가 3인 경우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5
    또는 N(CH2-CH2-O-)3의 라디칼이고,
    Q'는 1개 이상의 알콜성 산소원자와 1개 이상의 페놀성 산소원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통해 1개 이상의 인원자에 결합되는 z가 이상의 알콜 또는 페놀 라디칼이며,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 할로겐-, -COOR'4-, -CN- 또는 -CONR'4R'4-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 -S-, -O- 또는 -NR'4-차단된 탄소수 2 내지 18의 알킬; 페닐-C1-C4 알킬; 탄소수 5 내지 12의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나프틸; 할로겐, 총 탄소수가 1 내지 18인 1 내지 3개의 알킬 라디칼 또는 알콕시 라디칼 또는 페닐-C1-C4알킬로 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6
    의 라디칼(여기서, w는 3 내지 6의 정수이다)이고,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 탄소수 5 내지 12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알킬 잔기의 탄소수가 1 내지 4인 페닐알킬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 또는 탄소수 5 또는 6의 사이클로알킬이고,
    R'7 및 R'8은 t가 2인 경우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4 알킬이거나 R'7과 R'8이 함께 2,3-데하이드로펜타메틸렌 라디칼을 형성하고, t가 3인 경우에는 메틸이며,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9의 알킬 또는 사이클로헥실이고,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며,
    R'16은 수소 또는 C1-C4 알킬이고, 2개 이상의 R'16 라디칼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R'16 라디칼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X' 및 Y'는 각각 직접 결합이거나 -O-이고,
    Z는 직접 결합이거나, -CH2, -C(R'16)2- 또는 -S-이다.
  19. 제1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화학식 C'1 내지 C'12의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제 혼합물.
    화학식 C'1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7
    화학식 C'2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8
    화학식 C'3
    Figure 112003016605735-pct00169
    화학식 C'4
    Figure 112003016605735-pct00170
    화학식 C'5
    Figure 112003016605735-pct00171
    화학식 C'6
    Figure 112003016605735-pct00172
    화학식 C'7
    Figure 112003016605735-pct00173
    화학식 C'8
    Figure 112003016605735-pct00174
    화학식 C'9
    Figure 112003016605735-pct00175
    화학식 C'10
    Figure 112003016605735-pct00176
    화학식 C'11
    Figure 112003016605735-pct00177
    화학식 C'12
    Figure 112003016605735-pct00178
  20. 제18항에 있어서, 인 화합물이 R이르가포스(Irgafos) 38, R이르가포스 12, R호스타녹스(Hostanox) PAR 24, R호스타녹스 OSP 1, R이르가포스 P-EPQ, R울트라녹스(Ultranox) 626, R울트라녹스 618, R마르크(Mark) PEP-36, R마르크 HP10 또는 R도베르포스(Doverphos) 9228을 포함하는 혼합물.
  21.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신남산 유도체 및 옥시아닐리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V 흡수제와의 혼합물.
  22. 제8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비율이 1 내지 99중량%일 수 있는 혼합물.
  23. 제8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혼합물과 UV 흡수제류로부터 선택된 광안정제와의 블렌드.
  24. 단독으로서의 또는 제8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혼합물로서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N,N-디알킬-치환된 하이드록실아민과의 블렌드.
  25. 제24항에 있어서, N,N-디알킬-치환된 하이드록실아민이 N,N-디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인 블렌드.
  26.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금속의 카복실레이트, 산화물, 수산화물 및 카보네이트, 또는 제올라이트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또는 기타 산-결합성 공안정제(costabilizer)와의 혼합물.
  27. 제26항에 있어서, 공안정제가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카보네이트-함유 산화아연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28. 제26항에 있어서, 공안정제가 RDHT 4A, RDHT4 A2, R쿄와아드(Kyowaad) 200, R쿄와아드 300, R쿄와아드 400, R쿄와아드 500, R쿄와아드 600, R쿄와아드 700, R쿄와아드 1000 및 R쿄와아드 2000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하이드로탈사이트 또는 R진콕시드 악티브(Zinkoxid aktiv) 또는 R진콕시드 트랜스페어런트(Zinkoxid transparen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29.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입체장애된 페놀계 산화방지제와의 혼합물.
  30. 제8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혼합물과 입체장애된 페놀계 산화방지제와의 블렌드.
  31. 제30항에 있어서, 3-피라졸리디논 유형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블렌드.
  32. 제30항에 있어서, 1,2,4-트리아졸리딘-3,5-디온 유형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블렌드.
  33. 제30항에 있어서, 3-아릴벤조푸란-2-온 유형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블렌드.
  34. 제33항에 있어서, 3-아릴벤조푸란-2-온이 화학식 D의 3-(3,4-디메틸페닐)-5,7-디-3급-부틸-3H-벤조푸란-2-온인 블렌드.
    화학식 D
    Figure 112005026513286-pct00179
  35. 제30항에 있어서, 염기성 또는 기타의 산-결합성 공안정제를 포함하는 블렌드.
  36.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을 기본으로 하는 염료 또는 안료와의 배합물.
  37. 삭제
  38. 제8항에 따르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유기 물질.
  39. 제38항에 있어서, 중합체인 안정화된 유기 물질.
  40. 제38항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안정화된 유기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5중량%의 농도로 포함하는 안정화된 유기 물질.
  41. 제13항에 있어서, 화학식 B6의 라디칼 R35 및 R36에 대한 정의에서 언급된 다른 헤테로원자가 산소원자인 혼합물.
  42. 제14항에 있어서, R35 및 R36에 대한 정의에서 언급된 다른 헤테로원자가 산소원자인 혼합물.
KR1019997010461A 1997-05-13 1998-05-11 폴리알킬-1-옥사-디아자스피로데칸을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533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9944.5 1997-05-13
DE19719944 1997-05-13
PCT/EP1998/002738 WO1998051690A1 (de) 1997-05-13 1998-05-11 Verbindungen auf basis von polyalkyl-1-oxa-diazaspirodecan-verbind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506A KR20010012506A (ko) 2001-02-15
KR100533188B1 true KR100533188B1 (ko) 2006-01-09

Family

ID=782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461A KR100533188B1 (ko) 1997-05-13 1998-05-11 폴리알킬-1-옥사-디아자스피로데칸을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420461B1 (ko)
EP (1) EP0981530B1 (ko)
JP (1) JP4370000B2 (ko)
KR (1) KR100533188B1 (ko)
BE (1) BE1012986A3 (ko)
BR (1) BR9809626B1 (ko)
DE (1) DE19820157B4 (ko)
ES (2) ES2182622B1 (ko)
FR (1) FR2763338B1 (ko)
GB (1) GB2341180A (ko)
IT (1) IT1299212B1 (ko)
NL (1) NL1009154C2 (ko)
WO (1) WO1998051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5255B4 (de) * 1997-08-14 2007-08-23 Clariant Produkte (Deutschland) Gmbh Synergistisches Stabilisatorgemisch auf Basis von Polyalkyl-1-oxa-diazaspirodecan-Verbindungen und dessen Verwendung
DE19738615A1 (de) 1997-09-04 1999-03-11 Clariant Gmbh Neue Lichtschutzmittel auf Basis von sterisch gehinderten Aminen
DE19738616A1 (de) 1997-09-04 1999-03-11 Clariant Gmbh 4-Hydroxychinolin-3-carbonsäure-Derivate als Lichtschutzmittel
DE19804910A1 (de) * 1998-02-07 1999-08-12 Clariant Gmbh Polyolefin-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kalandrierten Folien/Platten
IT1318423B1 (it) * 2000-03-24 2003-08-25 Great Lakes Chemical Europ Miscele stabilizzanti per polimeri organici.
KR100705557B1 (ko) * 2000-05-31 2007-04-10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화제 혼합물
DE10204690A1 (de) * 2002-02-06 2003-08-07 Claria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synergistischer Stabilisatormischungen
US20030225191A1 (en) * 2002-04-12 2003-12-04 Francois Gugumus Stabilizer mixtures
US20040183053A1 (en) * 2003-03-20 2004-09-23 Pearson Jason Cla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salt
EP1338622A3 (en) * 2003-03-14 2003-09-10 Ciba SC Holding AG Stabilizer mixtures
EP1694562A2 (en) * 2003-12-18 2006-08-30 Altierre Corporation Multiuse wireless display tag infrastructure and methods
WO2008010421A1 (fr) * 2006-07-21 2008-01-24 Konica Minolta Opto, Inc. éléments optiques,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plaque polarisante et dispositif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TWI425041B (zh) * 2006-07-25 2014-02-01 Clariant Finance Bvi Ltd 在以熔融加工製備聚乙烯物件過程中該物件之改良處理條件
CN101541870A (zh) * 2006-11-27 2009-09-23 西巴控股有限公司 耐候稳定的沥青或柏油组合物
US20120083557A1 (en) * 2009-06-08 2012-04-05 Basf Se Sterically hindered amine stabilizers
US20150252066A1 (en) * 2012-09-28 2015-09-10 Clairant Finance (Bvi)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A Polypropylene-Based Object Having An Increased Surface Energy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439C (ko)
CH626109A5 (ko) 1976-05-11 1981-10-30 Ciba Geigy Ag
GB2042562B (en) 1979-02-05 1983-05-11 Sandoz Ltd Stabilising polymers
DE2941004A1 (de) * 1979-10-10 1981-04-23 Hoechst Ag, 6000 Frankfurt Ether auf polyalkyl-1-oxa-diazaspirodecanbasis
DE3104294A1 (de) * 1981-02-07 1982-08-19 Hoechst Ag, 6000 Frankfurt Substituierte diazaspirodecane, ihre herstellung, ihre verwendung als stabilisatoren fuer organische polymere, sowie die so stabilisierten polymeren
EP0080431B1 (de) 1981-10-16 1986-09-24 Ciba-Geigy Ag Synergistisches Gemisch von niedermolekularen und hochmolekularen Polyalkylpiperidinen
US4492791A (en) 1982-05-04 1985-01-08 Ciba-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minotriazines
IT1152192B (it) 1982-05-19 1986-12-31 Apital Prod Ind Composti per stabilizzare i polimeri
JPS5981348A (ja) 1982-11-01 1984-05-11 Adeka Argus Chem Co Ltd 安定化高分子材料組成物
DE3464619D1 (en) 1983-11-28 1987-08-13 Argus Chem Pentaerythritol-spiro-bis-phosphit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ES2054699T3 (es) 1986-04-10 1994-08-16 Sandoz Ag Pigmentos que contienen grupos de piperidilo.
US4863981A (en) 1986-06-30 1989-09-05 Ciba-Geigy Corporation Synergistic mixture of stabilizers
IT1202536B (it) 1987-02-13 1989-02-09 Enichem Sintesi Fosfiti organici resistenti all'idrolisi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IT1215455B (it) 1987-05-05 1990-02-14 Ciba Geigy Spa Composizione stabilizzante per polietilene comprendente composti contenenti gruppi piperidinici e composti metallici
DE3871855D1 (de) 1987-05-05 1992-07-16 Ciba Geigy Ag Gegen lichtschaedigung stabilisierte polyolefine.
EP0290386B1 (de) 1987-05-05 1992-06-10 Ciba-Geigy Ag Stabilisierung von organischen Polymeren gegen Lichtabbau
US4857595A (en) 1987-08-12 1989-08-15 Pennwalt Corporation Polymer bound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IT1218004B (it) 1988-05-27 1990-03-30 Enichem Sintesi Stabilizzanti uv per poli eri organici
JP2653681B2 (ja) 1988-09-16 1997-09-17 旭電化工業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合成樹脂組成物
EP0400454A3 (en) 1989-05-31 1992-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Stabilized phosphite compositions
DE3919691A1 (de) 1989-06-16 1990-12-20 Hoechst Ag Polymere polyalkyl-1-oxa-diazaspirodecane
US5175312A (en) 1989-08-31 1992-12-29 Ciba-Geigy Corporation 3-phenylbenzofuran-2-ones
EP0429731A1 (en) 1989-12-01 1991-06-05 At Plastics Inc. Composition for use in films
IT1246170B (it) 1990-07-24 1994-11-16 Ciba Geigy Spa Composizione stabilizzante per polipropilene comprendente composti triazinici contenenti gruppi piperidinici e composti metallici
IT1247977B (it) 1991-06-04 1995-01-05 Ciba Geigy Spa Stabilizzazione di materiali organici polimerici mediante l`impiego dimiscele sinergiche costituite da ammine cicliche stericamente impeditee derivati del 3-pirazolidinone o del 1,2,4,-triazolidin-3,5,-dione
TW206220B (ko) 1991-07-01 1993-05-21 Ciba Geigy Ag
US5252643A (en) 1991-07-01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Thiomethylated benzofuran-2-ones
US5208362A (en) 1992-02-27 1993-05-04 Ethyl Corporation Process for stabilizing organophosphorus compounds
US5310771A (en) 1992-04-23 1994-05-10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olefin stabilization
TW260686B (ko) 1992-05-22 1995-10-21 Ciba Geigy
GB2267490B (en) 1992-05-22 1995-08-09 Ciba Geigy Ag 3-(Carboxymethoxyphenyl)benzofuran-2-one stabilisers
NL9300801A (nl) 1992-05-22 1993-12-16 Ciba Geigy 3-(acyloxyfenyl)benzofuran-2-on als stabilisatoren.
MX9305489A (es) 1992-09-23 1994-03-31 Ciba Geigy Ag 3-(dihidrobenzofuran-5-il)benzofuran-2-onas, estabilizadores.
TW255902B (ko) 1992-09-23 1995-09-01 Ciba Geigy
EP0592364B1 (de) 1992-10-05 2001-07-11 Ciba SC Holding A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dreiwertiger Phosphorverbindungen mit Aminen
DE69421635T2 (de) 1993-02-23 2000-06-15 Ciba Sc Holding Ag Stabilisierung von Pyrrolopyrrolpigmenten
CA2127334A1 (en) 1993-07-02 1995-01-03 Edward A. Bourbonais Synergistic combination of uv light stabilizers for use with organic polymers
IT1269953B (it) 1994-06-27 1997-04-16 Ciba Geigy Spa Films di poliolefine o copolimeri di olefine con migliorata stabilita' alla luce e resistenza agli insetticidi
DE4423054A1 (de) 1994-07-01 1996-01-04 Hoechst Ag Polyalkylpiperidin-Verbindungen
DE4423055A1 (de) 1994-07-01 1996-01-11 Hoechst Ag Polyalkylpiperidin-Verbindungen
ES2148464T5 (es) * 1994-10-28 2005-06-16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Mezcla de estabilizadores sinergicos.
EP0709426B2 (de) * 1994-10-28 2005-01-05 Ciba SC Holding AG Synergistisches Stabilisatorgemisch
TW357174B (en) * 1995-01-23 1999-05-01 Ciba Sc Holding Ag Synergistic stabilizer m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09154A1 (nl) 1998-11-16
ITMI981016A1 (it) 1999-11-11
WO1998051690A1 (de) 1998-11-19
GB2341180A9 (en) 2000-03-24
JP2001525868A (ja) 2001-12-11
BE1012986A3 (fr) 2001-07-03
ES2182622A1 (es) 2003-03-01
KR20010012506A (ko) 2001-02-15
FR2763338B1 (fr) 1999-08-06
BR9809626A (pt) 2000-10-03
DE19820157B4 (de) 2010-04-08
BR9809626B1 (pt) 2009-01-13
NL1009154C2 (nl) 1999-07-07
GB2341180A (en) 2000-03-08
ES2192772T3 (es) 2003-10-16
US6420461B1 (en) 2002-07-16
EP0981530A1 (de) 2000-03-01
EP0981530B1 (de) 2003-02-19
ES2182622B1 (es) 2003-10-01
IT1299212B1 (it) 2000-02-29
DE19820157A1 (de) 1998-11-19
FR2763338A1 (fr) 1998-11-20
JP4370000B2 (ja) 2009-11-25
GB9926537D0 (en) 200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787B1 (ko)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상승효과적 배합물
KR100533188B1 (ko) 폴리알킬-1-옥사-디아자스피로데칸을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EP1268644B1 (en) Synergistic stabilizer compositions for thermoplastic polymers in prolonged contact with water
KR20030022708A (ko) 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합성 중합체의안정화방법
US20050250889A1 (en) Synergistc stabilizer composition for color stable pigmented thermophastic polymers in prolonged contact with water
EP1417257B1 (en) Phenolfree stabilization of polyolefins
KR100944297B1 (ko) 크라프트 증해액 중의 나트륨 설파이드의 선택적 산화
KR20020015049A (ko) 플라스틱 및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거나 피복된 제품의안정화 방법
KR20010050085A (ko) 신규한 입체 장애 아민
EP1149865A1 (en) Synergistic stabilizer compositions comprising copolymers of ethylene with hindered amine moiety-containing acrylate or methacrylate comonomers
WO2004031282A1 (en) Synergistic combinations of phenolic antioxid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