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787B1 -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상승효과적 배합물 - Google Patents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상승효과적 배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787B1
KR100712787B1 KR1020027011022A KR20027011022A KR100712787B1 KR 100712787 B1 KR100712787 B1 KR 100712787B1 KR 1020027011022 A KR1020027011022 A KR 1020027011022A KR 20027011022 A KR20027011022 A KR 20027011022A KR 100712787 B1 KR100712787 B1 KR 100712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
butyl
bis
weight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098A (ko
Inventor
코흐하랄드
리치트블라우알렉산더
초흐마티아스
크뢴케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9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08K5/1345Carboxylic esters of phenolcarboxylic acids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물과 장기간 접촉하는 폴리올레핀 도관 및 기타 열가소성 성형 물질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정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상승효과적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합물은 산화 유도 시간(OIT), 색채 및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른 기술적으로 중요한 변수들에 대해 측정시 산화적 분해에 대해 더욱 우수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상승효과적 배합물{SYNERGISTIC COMBINATIONS OF PHENOLIC ANTIOXIDANTS}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도관 및 기타 열가소성 성형 물질, 특히 물과 접촉하는 도관 및 성형 물질에서 사용하기 위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상승효과적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송수관, 열장치용 배관 등과 같이 물과 장기간 접촉하는, 특히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도관 및 기타 열가소성 물질의 사용 수명은 중합체의 기계적 특성, 밀도, 몰질량 및 질량 분포와 같은 다수의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최종 용도 및 사용 기간 동안의 국소적 조건(온도, 응력 및 환경 영향)에 따라, 수십년까지 그 수명이 보장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예상 수명이 50년 이상으로 요구되는 추세이다. 송수 용도인 경우, 적절한 안정화제를 첨가하고 안정화제 조건을 유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특정한 요구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러한 안정화제를 첨가하고 안정화 조건을 유지시킴에 따른 효과는 고온수에서 저장함에 따른 승온에서 가속화된 시험 조건하에 측정될 수 있다. 중요한 기술적 평가기준으로서, 산화 유도 시간(OIT) 및 기계적 안정성을 사용하여 폴리올레핀 도관 또는 기타 폴리올레핀계 성형 물질의 안정 상태를 평가한다. OIT-데이타의 외삽된 수치는 통상적인 오븐 시효 시험 결과에 비해 너무 양호한 결과로 수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오랫동안 논의되어 오기는 했지만, 그래도 OIT-시험은 여전히 널리 알려져 있으며 기술적으로 중요한 평가기준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중합체 매트릭스에서의 효과, 예를 들어 결정도, 자유 부피, 형태학, 확산 동력학 계수 및 반응 동력학 계수의 변화는 분해 기작을 변화시킨다. 그럼에도, 특히 폴리에틸렌(PE)-MD-섹터(sector) 및 PE-HD-섹터에서는 210℃에서 30분 이상의 OIT-한계치가 요구된다. 특정한 기술적 요구조건으로서 충족되어야 하는 또다른 기술적 평가기준은 황색도(YI)로 결정되는 색채이다.
물과 접촉하는데 사용되는 수지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술적 평가기준은 관련된 수지 생산자들 및 최종 제품의 제조자들이 사용하는 표준 시험 프로그램의 일부인 고온수(95℃)에서 저장된 후에 남아있는 안정화제의 함량이다.
하기 공개문헌들에 상기 문제점들이 기재되어 있다:
1) 일본 소재의 오사카 가스 컴파니 리미티드(Osaka Gas Co., Ltd.)의 히구치 와이(Higuchi, Y.), 니시무라 에이치(Nishimura, H.), 다마무라 에이치(Tamamura, H.) 및 하라다 티(Harada, T.)의 문헌[Proc. Int. Gas Res. Conf., 3, 67-75, 1998]; 및
2)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Ciba Specialty Chemicals, Inc.)의 슈무츠 트(Schmutz, Th.), 크라머 이(Kramer, E.), 츠바이펠 에이치(Zweifel, H.) 및 되르너 쥐(Dorner, G.)의 문헌[Advanced extraction resistant long-term thermal stabilizers for polyolefin pipes, J. Elastomers Plast., 30(1), 55-67, 1998].
열가소성 중합체에 기초한 폴리올레핀 도관 또는 기타 성형 제품의 급속한 산화적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결정적 평가기준중 하나는 수명이 긴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 효과는 도관 수지내의 첨가제에 대한 양립성, 가용성, 유동성 및 이동에 의해 좌우된다.
폐놀계 산화방지제는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와 함께, 그리고 때때로는 폴리에틸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안정화시키는 알파-토코페롤과 함께 사용되어 왔다(국제 특허 공개공보 제 WO-A-97/49758 호). 폴리올레핀을 페놀계 산화방지제로 안정화시키는 것에 대한 내용은 또한 문헌[R. Gachter, H. Muller, Handbook "Plastic Additives"("Kunststoffadditive"), 3. German Edition, Carl Hanser Publishers, Munich, Vienna, p68, 1990]에 개시되어 있다.
추출성 매질과 장기간 접촉하는 용도로 쓰여지는 중합체 기질에서 사용되는 안정화제 시스템은 (이동,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 시스템의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개선되어야 할 특정한 기술적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이르러, 특정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배합물이 고온수에서의 저장 전후에 물의 추출적 조건하에서 사용될 열가소성 제품, 특히 폴리올레핀 제품을 장 기간 열안정화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상승효과를 제공함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 배합물은 놀랍게도 산화적 분해에 대한 저항성, 색채 및 기타 변수들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의 안정화제보다 우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a)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3급-부틸페닐)부탄산]-글리콜에스테르(I),
4,4',4"-[(2,4,6-트리메틸-1,3,5-벤젠트리일)트리스(메틸렌)]-트리스[2,6-비스(1,1-디메틸에틸)페놀](II),
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1,3,5-트리스[[4-(1,1-디메틸에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페닐]메틸](III),
페놀, 4,4',4"-(1-메틸-1-프로파닐-3-일리덴)트리스[2-(1,1-디메틸에틸)-5-메틸 (IV),
페놀, 2,6-비스[[3-(1,1-디메틸에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옥타하이드로-4,7-메타노-1H-인데닐]-4-메틸(V), 및
벤젠프로판산, 3-(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5-메틸-, 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3,9-디일-비스(2,2-디메틸-2,1-에탄디일)에스테르(V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b)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하이드로신나메이트 (VII), 및
옥타데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VII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를 1:10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1의 (a) 성분 대 (b) 성분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폴리올레핀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정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화합물 (I) 내지 (VIII)는 각각 하기 화학식 I 내지 VIII의 화학 구조를 갖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제품이다:
Figure 112002027172713-pct00001
Figure 112002027172713-pct00002
Figure 112002027172713-pct00003
Figure 112002027172713-pct00004
Figure 112002027172713-pct00005
Figure 112002027172713-pct00006
Figure 112002027172869-pct00017
Figure 112002027172713-pct00008
특히, (a) 성분이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안정화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a) 성분에 적합한 또다른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다음과 같다:
1,4-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페놀;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3급-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하이드로-1,3,5-트리아진; 또는
1,3,5-트리스(3,5-디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특히 물에서 저장되기 전에, 저장되는 동안 그리고 저장된 후에 물과 접촉된 폴리에틸렌-HD 및 폴리에틸렌-MD 제품을 장기간 사용하기 위해, 모든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안정화될 열가소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0 내지 0.200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과 같은 추출성 매질과 장기간 접촉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폴리올레핀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안정화제 조성물을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0 내지 0.20 중량%의 농도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물과 같은 추출성 매질과 장기간 접촉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폴리올레핀에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0 내지 0.20 중량%의 상기 안정화제 조성물을 혼입시킴으로써 상 기 중합체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될 적절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하기 1 내지 30번에 개시된 중합체들이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및 사이클로올레핀의 중합체,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넨; 또한 폴리에틸렌(선택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음),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몰질량의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몰질량의 폴리에틸렌(HDPE-UHMW), 중밀도 폴리에틸렌(H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분지된 저밀도 폴리에틸렌(BLDPE).
폴리올레핀, 즉 상기 단락에 예시된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한 제조 방법, 특히 하기 (a) 또는 (b)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유리 라디칼 중합 방법(통상적으로 고압 및 승온하에); 또는
b) 원소 주기율표 제4b족, 제5b족, 제6b족 또는 제8족의 하나 이상의 금속을 통상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적 중합 방법.
이들 금속은 통상적으로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옥사이드, 할라이드,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케닐 및/또는 아릴과 같은 하나 이상의 리간드를 갖는다. 이들 금속 착체는 유리 형태이거나 또는 기질, 예를 들어 활성화 염화마그네슘, 염화티탄(III), 알루미나 또는 산화규소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들 촉매는 중합 매질에서 가용성이거나 불용성일 수 있다. 이러한 촉매는 중합 방법에 그 자체로 활성이거나 또는 또다른 활성화제, 예를 들어 금속 알킬, 금속 하이드라이드, 금속 알킬 할라이드, 금속 알킬 옥사이드 또는 금속 알킬옥산(이때, 금속은 원소 주기율표 제1a족, 제2a족 및/또는 제3a족의 원소이다)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화제는, 예를 들어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 기로 개질될 수 있다. 이들 촉매 시스템은 통상 필립스(Phillips), 스탠다드 오일 인디아나(Standard Oil Indiana), 지글러(-나타)(Ziegler(-Natta)), TNZ(듀퐁(DuPont)사 제품), 메탈로센 또는 단일부위 촉매(SSC)로 지칭된다.
2. 상기 1번에 개시된 중합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 폴리에틸렌과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를 들어, PP/HDPE/LDPE) 및 상이한 유형의 폴리에틸렌들 서로간의 혼합물(예를 들어, LDPE/HDPE).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의 서로간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및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 예를 들어 헥사디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넨과의 삼원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들 서로간의 혼합물 및 상기 공중합체들과 상기 1번에 개시된 중합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L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L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교대(alternating) 또는 랜덤(random)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이들과 기타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와의 혼합물.
4.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어, C5-C9), 예를 들어 그의 수소화 개질물(예를 들어, 점착제 수지) 및 폴리알킬렌과 전분의 혼합물.
5.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6.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과 디엔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타크릴레이트; 고충격 강도의 스티렌 공중합체와 또다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의 혼합물; 및 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7.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이들과 상기 6번에 개시된 공중합체와의 혼합물, 예를 들어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 공지된 공중합체 혼합물.
8. 할로겐-함유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클로로프렌, 염화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의 염화 및 브롬화 공중합체(할로부틸 고무), 염화 또는 설포염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염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9. α,β-불포화산 및 그의 유도체로부터 유래한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 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충격-개질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 상기 9번에 개시된 단량체들 서로간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다른 불포화 단량체들과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원공중합체.
11. 불포화 알코올, 불포화 아민 또는 이들의 아실 유도체 또는 아세탈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리에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멜라민; 및 이들과 상기 1번에 개시된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2. 환상 에테르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과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와의 공중합체.
13. 폴리아세탈,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 및 공단량체(예를 들어,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폴리옥시메틸렌;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이들과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와의 혼합물.
15. 하이드록실-말단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부타디엔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및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전구체.
16. 디아민 및 디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및/또는 아미노카복실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4, 6, 6/6, 6/10, 6/9, 6/12, 4/6, 12/12, 11 및 12;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으로부터 출발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개질제로서 탄성중합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그래프트화된 탄성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또한, EPDM 또는 ABS로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가공중에 축합된 폴리아미드(RIM 폴리아미드 시스템).
17.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하이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디카복실산 및 디알코올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또는 상응하는 락톤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사이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록실-말단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블록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19.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20. 폴리설폰, 폴리에테르 설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21. 알데하이드로부터 유도된 가교결합된 중합체, 및 다른 한편으로는 페놀, 우레아 또는 멜라민으로부터 유도된 가교결합된 중합체, 예를 들어 페놀/포름알데하이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하이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수지.
22. 무수 알키드 수지 및 함수 알키드 수지.
23. 포화 및 불포화 디카복실산과 가교결합제로서 다가 알코올 및 비닐 화합물의 코폴리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의 할로겐-함유 저-인화성 개질물.
24. 치환된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가교결합가능한 아크릴계 수지.
25.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로 가교결합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
26. 지방족, 지환족, 헤테로환상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 에테르로부터 유도된, 통상적인 경화제(예를 들어, 무수물 또는 아민)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촉진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가교결합된 에폭시 수지.
27. 천연 중합체, 예를 들어 셀룰로스, 천연 고무, 젤라틴, 중합체-동족화 방식으로 화학적으로 개질된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스 부티레이트, 또는 셀룰로스 에테르(예를 들어, 메틸 셀룰로스), 및 로진 및 유도체.
28. 전술한 중합체의 혼합물(폴리블렌드), 예를 들어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ABS 또는 PBT/PET/PC.
29. 순수한 단량체성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을 구성하는 천연 및 합성 유기 성분, 예를 들어 광유, 동물성 또는 식물성 지방, 오일 및 왁스, 또는 합성 에스테르(예를 들어,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멜리테이트)에 기초한 오일, 왁스 및 지방, 및 또한 예를 들어 스핀 피니쉬(spin finish)로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광유와 합성 에스테르의 임의의 바람직한 중량비의 블렌드 및 그의 수성 유화액.
30.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의 수성 유화액,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라텍스 또는 카복실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라텍스.
본 발명의 안정화제 조성물 또는 안정화될 열가소성 중합체는 또한 경우에 따라 추가의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금속 불활성화제, 정전기 방지제, 난연제, 윤활제, 핵형성제, 산 소거제(염기성 조안정화제), 안료 및 충진제를 포함한다. 배합물에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첨가제의 예는 하기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류, 예를 들어 2,6-디-3급-부틸-4-메틸페놀, 2-부틸-4,6-디메틸페놀, 2,6-디-3급-부틸-4-에틸페놀, 2,6-디-3급-부틸-4-n-부틸페놀, 2,6-디-3급-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사이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사이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사이클로헥실페놀, 2,6-디-3급-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선형 또는 측쇄-분지된 노닐페놀, 예를 들어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크-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류, 예를 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3급-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1.3 하이드로퀴논 및 알킬화 하이드로퀴논류, 예를 들어 2,6-디-3급-부틸-4-메톡시페놀, 2,5-디-3급-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3급-아밀하이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3급-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 3,5-디-3급-부틸-4-하이드록 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하이드록실화 티오디페닐 에테르류, 예를 들어 2,2'-티오비스(6-3급-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3급-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3급-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2급-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디설파이드.
1.5 알킬리덴비스페놀류, 예를 들어 2,2'-메틸렌비스(6-3급-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3급-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사이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사이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3급-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3급-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3급-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3급-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3급-부틸-2-메틸페놀), 1,1-비스(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3급-부틸-5-메틸-2-하이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비스(3-3급-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디사이클로펜타디엔, 비스[2-(3'-3급-부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6-3급-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3급-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펜탄, 에틸 렌 글리콜 비스[3,3-비스(3'-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1.6 O-, N- 및 S-벤질 화합물류, 예를 들어 3,5,3',5'-테트라-3급-부틸-4,4'-디하이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 4-하이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아민, 비스(4-3급-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설파이드, 이소옥틸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 4-하이드록시-3,5-디-3급-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1.7 하이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류, 예를 들어 디옥타데실 2,2-비스(3,5-디-3급-부틸-2-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 2-(3-3급-부틸-4-하이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 머캅토에틸-2,2-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 2,2-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8 벤질포스포네이트류, 예를 들어 디메틸 2,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에틸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 5-3급-부틸-4-하이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및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폰산의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Ca 염.
1.9 아실아미노페놀류, 예를 들어 4-하이드록시아우르아닐라이드, 4-하이드록시스테아르아닐라이드, 옥틸 N-(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카바메이트.
1.10 β-(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1 β-(5-3급-부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2 β-(3,5-디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3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 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4 3,3-비스(3'-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부티르산과,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사이클로[2.2.2]옥탄의 에스테르.
1.15 β-(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류, 예를 들어 N,N'-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
1.16 토코페롤류, 예를 들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 E).
1.17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1.18 아민 산화방지제류, 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2급-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사이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디(나프틸-2-)-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사이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톨루엔설폰아미도)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2급-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3급-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를 들어 p,p'-디-3급-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나노일아미노페놀, 4-도데카노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카노일아미노페놀, 디(4-메톡시페닐)아민, 2,6-디-3급-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디-[(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디-(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나이드, 디-[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3급-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3급-부틸/3급-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3급-부틸디페닐아 민의 혼합물, 2,3-디하이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3급-부틸/3급-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3급-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2. 자외선(UV)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2.1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 예를 들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3급-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3급-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3급-부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2급-부틸-5'-3급-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3급-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3급-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3'-3급-부틸-2'-하이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의 혼합물;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3급-부틸-5'-(2-메톡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R-CH2CH2-COO(CH2)3]2(이때, R은 3'-3급-부틸-4'-하이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이다).
2.2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 예를 들어 4-하이드록시 유도체, 4-메톡시 유도체, 4-옥틸옥시 유도체, 4-데실옥시 유도체, 4-도데실옥시 유도체, 4-벤질옥시 유도체, 4,2',4'-트리하이드록시 유도체 및 2'-하이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조산의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4-3급-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레소르시놀, 비스(4-3급-부틸벤조일)레소르시놀, 벤조일레소르시놀, 2,4-디-3급-부틸페닐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3급-부틸페닐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류, 예를 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 메이트, 메틸 α-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류,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사이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과 같은 추가의 리간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체(예를 들어, 1:1 또는 1:2 착체); 니켈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모노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4-하이드록시-3,5-디-3급-부틸벤질포스폰산의 니켈 염; 추가의 리간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케트옥심(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 케트옥심)의 니켈 착체 또는 1-페닐-4-라우로일-5-하이드록시피라졸의 니켈 착체.
2.6 입체장애된 아민류, 예를 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글루타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글루타레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베헤네이트, 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베헤네이트, 1-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3급-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1,2,3,4-부탄테트라오에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2-n-부틸-2-(2-하이드록시-3,5-디-3급-부틸벤질)말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2-n-부틸-2-(4-하이드록시-3,5-디-3급-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사이클로헥실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과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메톡시프로필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과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메톡시프로필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 원자가 대체된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반응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 원자가 대체된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반응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4-3급-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과,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 원자가 대체된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반응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4-3급-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과,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 원자가 대체된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반응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4-(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과,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 원자가 대체된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반응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4-(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과, 아민상의 1개 내지 모든 활성 수소 원자가 대체된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반응 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과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및 또한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올리고머화 2,2,4,4-테트라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올리고머화 1,2,2,4,4-펜타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올리고머화 1-아세틸-2,2,4,4-테트라메틸-20-(옥시라닐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도데실 에스테르, 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테트라데실 에스테르, 2,2,3,4,4-펜타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2,2,3,4,4-펜타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도데실 에스테르, 2,2,3,4,4-펜타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테트라데실 에스테르, 3-아세틸-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21-온, 3-아세틸-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도데실 에스테르, 3-아세틸-2,2,4,4-테트라메틸-7-옥사-21-옥소-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3-프로판산 테트라데실 에스테르, 1,1',3,3',5,5'-헥사하이드로-2,2',4,4',6,6'-헥사아자-2,2',6,6'-비스메타노-7,8-디옥소-4,4'-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비페닐, 폴리-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8-디아자데실렌, 2,2,6,6-테트라메틸-4-알릴옥시피페리딘과 폴리메틸하이드리도실록산(4000 이하의 몰질량)의 부가물, 1,2,2,6,6-펜타메틸-4-알릴옥시피페리딘과 폴리메틸하이드리도실록산(4000 이하의 몰질량)의 부가물, N,N'-디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디포르밀-N,N'-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헥사메틸렌디아민, 5,11-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3,5,7,9,11,13-헥사아자테트라-사이클로[7.4.0.02,7.13,13]테트라데칸-8,14-디온, 5,11-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3,5,7,9,11,13-헥사아자테트라-사이클로[7.4.0.02,7.13,13]테트라데칸-8,14-디온, [(4-메톡시페닐)메틸렌]프로판디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에스테르, [(4-메톡시페닐)메틸렌]프로판디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에스테르, 2,4,6-트리스(N-사이클로헥실-N-[2-(3,3,4,5,5-펜타메틸피페라지논-1-일)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옥타데실아민과 반응한 메틸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과 스티렌의 공중합체, 4-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및 옥타데실아민과 반응한 α-메틸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과 스티렌의 공중합체, 디올 성분으로서 2,2'-[(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비스[에탄올]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성분으로서 2,2'-[(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비스[에탄올]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반응한 말레산 무수물 및 C30 이하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1-아세틸-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반응한 말레산 무수물 및 C30 이하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4-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딘과 반응한 말레산 무수물 및 C30 이하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또한 피페리딘상에 유리 NH 기를 갖는 상기 화합물의 N-알킬-옥시 유도체 및 N-아릴-옥시 유도체, 특히 α-메틸벤질옥시 및 C1 내지 C18의 알킬옥시.
2.7 옥살아미드류, 예를 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라이드, 2,2'-디에톡시아닐라이드, 2,2'-디옥틸옥시-5,5'-디-3급-부틸옥사닐라이드, 2,2'-디도데실옥시-5,5'-디-3급-부틸옥사닐라이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라이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살아미드, 2-에톡시-5-3급-부틸-2'-에틸옥사닐라이드 및 이와 2-에톡시-2'-에틸-5,4'-디-3급-부틸옥사닐라이드의 혼합물, o-메톡시-이치환된 옥사닐라이드와 p-메톡시-이치환된 옥사닐라이드의 혼합물, 및 o-에톡시-이치환된 옥사닐라이드와 p-에톡시-이치환된 옥사닐라이드의 혼합물.
2.8 2-(2-하이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류, 예를 들어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하이드록시페닐)-4,6-비스 (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부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3-부톡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불활성화제, 예를 들어 N,N'-디페닐옥살아미드, N-살리실랄-N'-살리실로일하이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하이드라진, N,N'-비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 스(벤질리덴)옥살릴 디하이드라자이드, 옥사닐라이드, 이소프탈로일 디하이드라자이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하이드라자이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하이드라자이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 디하이드라자이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오닐 디하이드라자이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류, 예를 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3급-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3급-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이소데실옥시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3급-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3급-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3급-부틸페닐) 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3급-부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6-플루오로-2,4,8,10-테트라-3급-부틸-12-메틸-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3급-부틸-6-메틸페닐)메틸포스파이트, 비스(2,4-디-3급-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트리스(2-3급-부틸-4-티오(2'-메틸-4'-하이드록시-5'-3급-부틸)페닐-5-메틸)페닐 포스파이트, 2,2',2"-니트릴로[트리에틸 트리스(3,3',5,5'-테트라-3급-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비스[2-메틸-4,6-비스(1,1-디메틸에틸)페놀]인산 에틸 에스테르.
5. 하이드로실아민류, 예를 들어 N,N-디벤질하이드록실아민, N,N-디에틸하이드록실아민, N,N-디옥틸하이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하이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하이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하이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수소화 탈로우(tallow) 지방 아민으로부터 제조된 N,N-디알킬하이드록실아민.
6. 니트론류, 예를 들어 N-벤질 알파-페닐 니트론, N-에틸 알파-메틸 니트론, N-옥틸 알파-헵틸 니트론, N-라우릴 알파-운데실 니트론, N-테트라데실 알파-트리데실 니트론, N-헥사데실 알파-펜타데실 니트론, N-옥타데실 알파-헵타데실 니트론, N-헥사데실 알파-헵타데실 니트론, N-옥타데실 알파-펜타데실 니트론, N-헵타데실 알파-헵타데실 니트론, N-옥타데실 알파-헥사데실 니트론, 수소화 탈로우 지방 아민으로부터 제조된 N,N-디알킬하이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래한 니트론.
7. 제올라이트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류, 예를 들어 DHT 4A(등록상표).
이러한 유형의 하이드로탈사이트는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로 기술될 수 있다:
[(M2+)1-x(M3+)x(OH)2(An-)x/n yH2O]
상기 식에서,
(M2+)는 Mg, Ca, Sr, Ba, Zn, Pb, Sn 또는 Ni이고;
(M3+)는 Al, B 또는 Bi이고;
An은 원자가 n의 음이온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A는 OH-, Cl-, Br-, I-, ClO4 -, CH3 COO-, C6H5COO-, CO3 2-, SO4 2-, (OOC-COO)2-, (CHOHCOO)2 2-, (CHOH)4CH2OHCOO-, C2H 4(COO)2 2-, (CH2COO)2 2-, CH3CHOHCOO -, SiO3 2-, SiO4 4-, Fe(CN)6 3-, Fe(CN)6 4-, BO3 3-, PO3 3- 또는 HPO4 2-이고;
x는 0 내지 0.5의 수이고;
y는 0 내지 2의 수이다.
상기 식중 (M2+)가 (Ca2+), (Mg2+), 또는 (Mg2+)와 (Zn2+ )의 혼합물이고, (An-)가 CO3 2-, BO3 3- 또는 PO3 3-이고, x가 0 내지 0.5의 수이고, y가 0 내지 2의 수인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로 기술될 수 있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M2+)x(Al3+)2(OH)2x+6nz(An-)2 yH2O]
상기 식에서,
(M2+)는 Mg2+ 또는 Zn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Mg2+이며;
(An-)는 음이온, 특히 CO3 2-, (OOC-COO)2-, OH- 및 S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음이온이고, 이때 n은 음이온의 원자가이며;
y는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특히 0.5 내지 5이고;
x 및 z는 정수이고, x가 바람직하게 2 내지 6인 경우에는 z는 2미만이어야 한다.
하기 화학식 XI 내지 XVII의 하이드로탈사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Al2O3 x 6MgO x CO2 x 12H2O
Mg4.5Al2(OH)13 x CO3 x 3.5H2O
4MgO x Al2O3 x CO2 x 9H2O
4MgO x Al2O3 x CO2 x 6H2O
ZnO x 3MgO x Al2O3 x CO2 x 8-9H2O
ZnO x 3MgO x Al2O3 x CO2 x 5-6H2O
Mg4.5Al2(OH)13 x CO3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합체 배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특히 0.2 내지 3 중량%의 농도로 중합체에 사용된다.
8. 티오시너지스트(thiosynergist), 예를 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9. 퍼옥사이드 제거제, 예를 들어 β-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라우릴 에스테르, 스테아릴 에스테르, 미리스틸 에스테르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 염, 아연 알킬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디옥타데실 모노설파이드, 디옥타데실 디설파이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0.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 들어 요오다이드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된 구리 염, 및 2가 망간 염.
11. 염기성 조안정화제, 예를 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하이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민,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베헨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리시놀레산나트륨, 팔미트산칼륨, 피로카테콜산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주석, 락트산의 알칼리 금속 염 및 알칼리 토금속 염 및 또한 아연 염 또는 알루미늄 염.
12. 핵형성제, 예를 들어 무기 성분, 예를 들어 활석, 금속 옥사이드(예를 들어, 산화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포스페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설페이트;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모노카복실산 또는 폴리카복실산 및 이들의 염, 예를 들어 4-3급-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나트륨 또는 벤조산나트륨, 방향족 알데하이드 및 다작용성 알코올(예를 들어, 소르비톨)의 아세탈, 예를 들어 1,3-2,4-디(벤질리덴)-D-소르비톨, 1,3-2,4-디(4-톨릴리덴)-D-소르비톨, 1,3-2,4-디(4-에틸벤질리덴)-D-소르비톨; 중합체성 화합물, 예를 들어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13. 충진제 및 강화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옥사이드,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카본블랙, 흑연, 목재 가루, 및 기타 천연 산물의 기타 가루 또는 섬유, 합성섬유.
14. 기타 첨가제, 예를 들어 가소화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레올로지(rheological) 첨가제, 촉매, 수평화 보조제, 광학 증백제, 방염제, 정전기 방지제, 취입제.
15. 벤조푸라논 및 인돌린류,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325,863 호, 미국 특허 제 4,338,244 호, 미국 특허 제 5,175,312 호, 미국 특허 제 5,216,052 호, 미국 특허 제 5,252,643 호, 독일 특허원 제 DE-A-4316611 호, 독일 특허원 제 DE-A-4316622 호, 독일 특허원 제 DE-A-4316876 호, 유럽 특허원 제 EP-A-0589839 호 또는 유럽 특허원 제 EP-A-0591102 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은 벤조푸라논 및 인돌린,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3급-부틸벤조푸란-2-온, 5,7-디-3급-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라논-2-온, 3,3'-비스[5,7-디-3 급-부틸-3-(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3급-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3급-부틸벤조푸란-2-온, 3-(3,5-디에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3급-부틸벤조푸란-2-온.
물에서 저장되기 전에, 저장되는 동안 또는 저장된 후에 수-추출적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된 제품에 본 발명의 안정화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제품들은 산화 유도 시간(OIT)과 같은 표준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시 장기간 동안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는 두꺼운 절편 또는 얇은 층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또한 강철-도관 또는 해저-케이블과 같은 금속 제품상에 피복층 또는 적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수처리 전, 수처리 동안 또는 수처리 후에 수-추출적 조건에 노출되는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모든 종류의 제품들을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안정화제 시스템은 중합체 수지의 이동에 의해 초기에 닳아 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거동은 상기 제품들의 장기간 안정성을 분명하게 개선시킨다.
가소성 물질의 사용 수명을 예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적으로 중요한 변수인 산화 유도 시간(OIT)을 입체장애된 페놀의 이원 혼합물로 안정화된 폴리올레핀 제품에서 측정하였다. 물에서 저장되기 전후에 측정된 OIT-수치들은 단지 하나의 입체장애된 페놀이 혼입된 시료에서 측정된 수치들을 뚜렷하게 초과하였다. 이러 한 결과들은 선행기술에 비해 개선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원을 하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청색 착색된 PE-HD-도관 표본의 제조 및 시험
폴리에틸렌-HD와 안정화제의 분말화 혼합물의 제조
플라스크에서 100 중량부의 폴리에틸렌-HD(PE-HD CRP 100 유형, 착색되지 않음, 2형 분자량 분포, 생산처: 독일 프랑크푸르트 소재의 엘레낙 게엠베하(Elenac GmbH))를, 0.1 중량부의 스테아르산칼슘, 0.1 중량부의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0.1 중량부의 페놀계 성분(화합물 (I) 또는 화합물 (VII), 또는 이들 페놀의 1:1 혼합물)으로 구성된 기본 안정화제 조성물과 혼합하였다.
청색-착색된 시험 표본을 사용하여, 4.1 중량%의 청색 안료 및 2.8 중량%의 TiO2(금홍석 유형)를 함유하는 레마핀-블루(Remafin-Blue) 154(등록상표)로 지칭되는 마스터배치(masterbatch) 2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상기 첨가제들을 중합체의 존재하에 아세톤에 용해시킨 후,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단일축 압출기(브라벤더(Brabender) 유형, 축 직경 16mm, L/D=20)를 210 내지 240℃에서 125rpm으로 사용하여 균질화시켰다. 안료-마스터배치를 첨가함으로 써, 동일한 조건하에 또다른 3배의 압출 공정을 수행하였다.
시험-시료는 185℃의 온도에서 스팀-가열식/수-냉각식 수압을 사용하여 5분간 30bar의 접촉압 및 3분간 200bar의 최종 압력하에 제조된 가압된 플라크(plaque)(300×300mm, 두께 1mm)로부터 천공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시험 절차
시료를 90℃에서 2개월간 고온수에서 저장하였다.
산화 유도 시간(OIT)은 20K/분의 가열속도 및 60㎖/분의 산소-유속을 사용하여 200℃에서 측정하였다.
기본적 첨가제로서 0.1 중량부의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 0.1 중량부의 스테아르산칼슘 + 2.0 중량부의 레파민-블라우 셀(Refamin-Blau CEL, 등록상표) 154를 첨가하였다.
청색으로 착색된 송수관의 OIT-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페놀 농도/조성물 OIT/분
수처리 전 수처리 후
0.1 중량%의 화합물(VII)(비교용) 32.1 4.8
0.1 중량%의 화합물(I)(비교용) 33.8 15.0
0.05 중량%의 화합물(I) 및 0.05 중량%의 화합물(VII) 47.9 18.0

실시예 2
고온수에서 저장되고 고온에서 가공된 후의 활석-강화된 폴리프로필렌의 색채
1mm 두께의 플라크를 도시바(Toshiba) IS100EN상에서 210 내지 240℃에서 60×60mm의 크기로 사출 성형하여 시험 폴리프로필렌-플라크를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과 안정화제의 분말화 혼합물의 제조
플라스크에서 100 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P 단독중합체 유형, 사출 성형 등급)을, 0.1 중량부의 스테아르산칼슘, 0.1 중량부의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0.2 중량부의 아미드 왁스(리코왁스(Licowax) C(등록상표) 유형)로 피복된 35 중량부의 탈크 프레버(Talc Prever) M 30, 3 중량부의 이산화티탄(크로노스(Kronos) 2220(등록상표) 유형), 0.2 중량부의 황 성분(β,β'-티오-디(프로피온산-스테아릴에스테르)) 및 0.1 중량부의 페놀계 성분(하기 표 2에 기술된 바와 같은 성분)으로 구성된 기본 안정화제 조성물과 혼합하였다.
색채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개개의 시험 표본을 고온수(T=95℃)에서 21일간 저장하였다. 이후에, 색채(YI: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데이타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페놀 농도/조성물 고온수 저장 전의 YI 고온수 저장 후의 YI
0.1 중량%의 화합물(I)(비교용) 6.5 8.3
0.1 중량%의 화합물(VII)(비교용) 5.1 16.8
0.1 중량%의 화합물(I)/(VII) (0.05 중량%:0.05 중량%) 5.3 10.6
0.1 중량% 화합물(I)/(VII)에 대한 이론적 YI 수치 5.8 12.55

상기 혼합물에서 측정된 YI는 계산된 이론적 수치보다 더 우수하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배합물이 선행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단일 화합물에 비해 상승효과를 발휘함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고온 활주 시스템에서의 혹독한 조건을 모의하기 위해, 개개의 안정화된 폴 리프로필렌 용융물을 사출 성형 기계의 고온 대역에서 240 내지 280℃의 온도에서 10분간 놓아두었다.
실시예 2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황색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열 전처리된 물질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된 플라크(두께 1mm)를 제조하였다. 수집된 데이타를 하기 표 3에 제시하였다. 표준 공정 조건에서 제조된 플라크의 황색도와 혹독한 공정 조건에서 제조된 플라크의 황색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페놀 농도/조성물 사출 성형 장치 내부에서 표준 조건에서의 YI와 10분간 열처리 (280℃)한 후의 YI 사이의 ΔYI
0.1 중량%의 화합물(I)(비교용) 1.25
0.1 중량%의 화합물(VII)(비교용) 0.34
0.1 중량%의 화합물(I)/(VII) (0.05 중량%:0.05 중량%) 0.79
0.1 중량%의 화합물(I)/(VII)에 대한 이론적 YI 수치 0.80

상기 실험 데이타로부터,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이 선행기술의 안정화제보다 더욱 뛰어난 안정화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a) 하기 화학식 I의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3급-부틸페닐)부탄산]-글리콜에스테르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b) 하기 화학식 VII의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하이드로신나메이트, 및
    하기 화학식 VIII의 옥타데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를 1:10 내지 10:1의 (a) 성분 대 (b) 성분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정화제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02027172869-pct00009
    화학식 VII
    Figure 112002027172869-pct00018
    화학식 VIII
    Figure 112002027172869-pct00016
  2.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 대 (b) 성분의 중량비가 1:2 내지 2:1인 안정화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안정화제 조성물을 열가소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00 중량%의 양으로 열가소성 중합체에 혼입시키는, 안정화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 조성물의 양이 열가소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20 내지 0.20 중량%인, 안정화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올레핀인, 안정화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6. 안정화량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안정화제 조성물을 열가소성 중합체에 가공 전에 또는 가공 동안 혼입시킴을 포함하는, 물과 장기간 접촉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 조성물을 열가소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20 내지 0.2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027011022A 2000-02-25 2001-02-21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상승효과적 배합물 KR100712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04437.0 2000-02-25
GBGB0004437.0A GB0004437D0 (en) 2000-02-25 2000-02-25 Synergistic combinations of phenolic antioxid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098A KR20020091098A (ko) 2002-12-05
KR100712787B1 true KR100712787B1 (ko) 2007-05-02

Family

ID=988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022A KR100712787B1 (ko) 2000-02-25 2001-02-21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상승효과적 배합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646035B2 (ko)
EP (1) EP1268642B1 (ko)
JP (1) JP2003524049A (ko)
KR (1) KR100712787B1 (ko)
AT (1) ATE266058T1 (ko)
AU (1) AU3217301A (ko)
CA (1) CA2399131C (ko)
DE (1) DE60103141T2 (ko)
ES (1) ES2219502T3 (ko)
GB (1) GB0004437D0 (ko)
HU (1) HUP0303581A2 (ko)
MX (1) MXPA02008013A (ko)
WO (1) WO2001062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8240A1 (en) * 2001-04-30 2002-11-07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Polyacetal molded articles stabilized against discoloration
KR100792112B1 (ko) * 2001-12-21 2008-01-04 삼성토탈 주식회사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EP1334994A1 (en) * 2002-02-08 2003-08-13 SOLVAY POLYOLEFINS EUROPE - BELGIUM (Société Anonyme) Polyethylene-based composition
US7081213B2 (en) 2002-05-14 2006-07-25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Stabilizer mixtures for the protection of polymer substrates
GB0222670D0 (en) * 2002-10-01 2002-11-06 Clariant Int Ltd Synergistic combinations of phenolic antioxidants
CA2574588A1 (en) * 2004-07-23 2006-02-09 Polnox Corporation Anti-oxidant macromonomers and 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1828104A1 (en) 2004-12-03 2007-09-05 Polnox Corporation Synthesis of aniline and phenol-based antioxidant macromonomers and corresponding polymers
WO2006091705A2 (en) 2005-02-22 2006-08-31 Polnox Corporation Nitrogen and hindered phenol containing dual functional macromolecular antioxidants: synthesis , performances and applications
US7705185B2 (en) 2005-03-25 2010-04-27 Polnox Corporation Alkylated and polymeric macromolecular antioxid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70149660A1 (en) 2005-10-27 2007-06-28 Vijayendra Kumar Stabilized polyolefin compositions
WO2007050985A2 (en) 2005-10-27 2007-05-03 Polnox Corporation Macromolecular antioxidants based on stξrically hindered phenolic phosphites
US20070161522A1 (en) 2005-12-02 2007-07-12 Cholli Ashok L Lubricant oil compositions
CN101321812B (zh) * 2005-12-07 2012-03-28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纤维素酯膜、其制造方法、偏振片和液晶显示装置
WO2008005358A2 (en) 2006-07-06 2008-01-10 Polnox Corporation Novel macromolecular antioxidants comprising differing antioxidant moieties: structu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2666543A1 (en) 2006-10-12 2008-04-17 Suncolor Corporation Polymeric composition
US7767853B2 (en) 2006-10-20 2010-08-03 Polnox Corporation Antioxid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307885B2 (ja) * 2008-04-15 2013-10-02 サンカラー コーポレイション 光学高分子組成物およびその生成方法
US8287765B2 (en) * 2008-06-17 2012-10-16 R.T. Vanderbilt Company, Inc. Systems and compositions for color stabilization of polymer
EP2407506A1 (en) * 2010-07-13 2012-01-18 Borealis AG Pipes made from a polyethylene copolymer with slow crack growth
US9023826B2 (en) 2012-10-12 2015-05-05 L'oreal S.A. Compositions containing adenosine and the hydrotropes caffeine and nicotinamide for cosmetic use
US9107853B2 (en) 2012-10-12 2015-08-18 L'oreal S.A. Composition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and hydrotropes for cosmetic use
US9018177B2 (en) 2012-10-12 2015-04-28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for increasing bioavailability of the active compounds baicalin and/or vitamin C
US9072919B2 (en) 2012-10-12 2015-07-07 L'oreal S.A. Synergistic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of baicalin and taxifolin, at least one of caffeine and nicotinamide, at least one of vitamin C and resveratrol and ferulic acid
EP2725057B2 (en) * 2012-10-24 2022-08-24 Borealis AG Use of an acid scaveng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a polyolefin composition against disinfectant containing water
US9669242B2 (en) 2013-07-01 2017-06-06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two phenolic compounds, a lipid-soluble antioxidant and at least one hydrotrope for cosmetic use
EP3071544B1 (en) 2013-11-22 2022-07-06 Polnox Corporation Macromolecular antioxidants based on dual type moiety per molecule: structu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GB201320919D0 (en) 2013-11-27 2014-01-08 Addivant Switzerland Gmbh Composition
WO2018153917A1 (en) * 2017-02-23 2018-08-3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olefin composition
WO2018160879A2 (en) 2017-03-01 2018-09-07 Polnox Corporation Macromolecular corrosion (mcin) inhibitors: structu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3421529A1 (en) * 2017-06-29 2019-01-02 Songwon Industrial Co., Ltd. Polyolefin articles with improved resistance against chlorine dioxid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8851A1 (en) * 1981-07-01 1983-01-05 Union Carbide Corporation Metallic salts of hindered phenolic anti-oxidant as anti-gel component in transition metal-catalyzed olefin polymers containing halide residue
EP0124664A1 (en) * 1983-05-04 1984-11-14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oly-1-butene resin composition and water pipe manufactured therefrom
US4579900A (en) 1984-08-31 1986-04-01 Shell Oil Company Polymeric composition useful for hot water pipe service
EP0238140A2 (en) * 1986-03-19 1987-09-23 Akzo N.V.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EP0310393A2 (en) * 1987-09-30 1989-04-05 Shell Oil Company Olefin polymer compositions for use with water systems
DE19637181A1 (de) * 1995-09-15 1997-03-20 Ciba Geigy Ag Stabilisierung von Polyolefinen in Dauerkontakt mit extrahierenden Medie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2562B (en) 1979-02-05 1983-05-11 Sandoz Ltd Stabilising polymers
US4624679A (en) * 1985-01-03 1986-11-25 Morton Thiokol, Inc. Compositions containing antimicorbial agents in combination with stabilizers
DE3605793A1 (de) 1986-02-22 1987-08-27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rukturierten epitaxialen schichten auf einem substrat
US4746692A (en) * 1986-05-05 1988-05-24 Shell Oil Company Polyolefin compositions for use with water systems
US4837259A (en) * 1987-09-25 1989-06-06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Polypropylene stabilized against oxidative degradation with mixtures of diarylamine derivatives and sterically hindered phenols
DE3919691A1 (de) 1989-06-16 1990-12-20 Hoechst Ag Polymere polyalkyl-1-oxa-diazaspirodecane
US5175312A (en) 1989-08-31 1992-12-29 Ciba-Geigy Corporation 3-phenylbenzofuran-2-ones
US5252643A (en) 1991-07-01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Thiomethylated benzofuran-2-ones
TW206220B (ko) 1991-07-01 1993-05-21 Ciba Geigy Ag
NL9300801A (nl) 1992-05-22 1993-12-16 Ciba Geigy 3-(acyloxyfenyl)benzofuran-2-on als stabilisatoren.
GB2267490B (en) 1992-05-22 1995-08-09 Ciba Geigy Ag 3-(Carboxymethoxyphenyl)benzofuran-2-one stabilisers
TW260686B (ko) 1992-05-22 1995-10-21 Ciba Geigy
TW255902B (ko) 1992-09-23 1995-09-01 Ciba Geigy
MX9305489A (es) 1992-09-23 1994-03-31 Ciba Geigy Ag 3-(dihidrobenzofuran-5-il)benzofuran-2-onas, estabilizadores.
DE4423055A1 (de) 1994-07-01 1996-01-11 Hoechst Ag Polyalkylpiperidin-Verbindungen
JPH11106626A (ja) * 1997-10-08 1999-04-20 Toyobo Co Ltd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
DE19804910A1 (de) * 1998-02-07 1999-08-12 Clariant Gmbh Polyolefin-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kalandrierten Folien/Platten
US6080929A (en) * 1998-03-25 2000-06-27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Stabilized filler compositions for cable and wire
US6277907B1 (en) * 1998-11-09 2001-08-21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Thermoplastic resins stabilized by blends of sterically hindered phenols, secondary amines, and thioethers
WO2000077084A1 (en) 1999-06-14 2000-12-21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Stabilization of plastics and articles produced or coated therewith
WO2001007511A2 (en) 1999-07-23 2001-02-01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Non-blooming, stabilized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and method of flame retarding polyolefi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8851A1 (en) * 1981-07-01 1983-01-05 Union Carbide Corporation Metallic salts of hindered phenolic anti-oxidant as anti-gel component in transition metal-catalyzed olefin polymers containing halide residue
EP0124664A1 (en) * 1983-05-04 1984-11-14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oly-1-butene resin composition and water pipe manufactured therefrom
US4579900A (en) 1984-08-31 1986-04-01 Shell Oil Company Polymeric composition useful for hot water pipe service
EP0238140A2 (en) * 1986-03-19 1987-09-23 Akzo N.V.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EP0310393A2 (en) * 1987-09-30 1989-04-05 Shell Oil Company Olefin polymer compositions for use with water systems
DE19637181A1 (de) * 1995-09-15 1997-03-20 Ciba Geigy Ag Stabilisierung von Polyolefinen in Dauerkontakt mit extrahierenden Med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62839A1 (en) 2001-08-30
AU3217301A (en) 2001-09-03
GB0004437D0 (en) 2000-04-12
MXPA02008013A (es) 2003-01-28
EP1268642A1 (en) 2003-01-02
HUP0303581A2 (hu) 2004-03-01
EP1268642B1 (en) 2004-05-06
US20030045616A1 (en) 2003-03-06
ES2219502T3 (es) 2004-12-01
ATE266058T1 (de) 2004-05-15
CA2399131C (en) 2009-10-27
CA2399131A1 (en) 2001-08-30
JP2003524049A (ja) 2003-08-12
US6646035B2 (en) 2003-11-11
DE60103141D1 (de) 2004-06-09
KR20020091098A (ko) 2002-12-05
DE60103141T2 (de)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787B1 (ko)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상승효과적 배합물
EP1268644B1 (en) Synergistic stabilizer compositions for thermoplastic polymers in prolonged contact with water
EP1149133B1 (en) Synthetic polymers comprising additive blends with enhanced effect
KR100533188B1 (ko) 폴리알킬-1-옥사-디아자스피로데칸을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60128832A (ko) 열적 산화에 대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안정화
US20050250889A1 (en) Synergistc stabilizer composition for color stable pigmented thermophastic polymers in prolonged contact with water
US7105590B2 (en) Phenolfree stabilization of polyolefins
EP1474471B1 (en) Selective oxidation of sodium sulfide in kraft cooking liquors
KR20020015049A (ko) 플라스틱 및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거나 피복된 제품의안정화 방법
WO2004031282A1 (en) Synergistic combinations of phenolic antioxidants
KR20010103601A (ko) 난연성 중합체
KR20010050085A (ko) 신규한 입체 장애 아민
EP1149865A1 (en) Synergistic stabilizer compositions comprising copolymers of ethylene with hindered amine moiety-containing acrylate or methacrylate comono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