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773B1 -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 - Google Patents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773B1
KR100942773B1 KR1020070072097A KR20070072097A KR100942773B1 KR 100942773 B1 KR100942773 B1 KR 100942773B1 KR 1020070072097 A KR1020070072097 A KR 1020070072097A KR 20070072097 A KR20070072097 A KR 20070072097A KR 100942773 B1 KR100942773 B1 KR 100942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bel
conductive yarn
yarn
conductiv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827A (ko
Inventor
이진욱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이진욱
이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욱, 이기호 filed Critical 이진욱
Priority to KR102007007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7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82Forms or constructions for textiles, e.g. clothing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 및 라벨을 구비한 섬유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도전사로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로서, 섬유류 마찰포, 예를 들면, 모, 면,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직물과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 대전압이 1000V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조물, 도전사, 봉제사, 섬유제품

Description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Label and Textiles hav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전사로 제작된 라벨을 사용한 의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전사 20 : 의류본체
30 : 라벨 40 : 봉제사
본 발명은 라벨 및 상기 라벨을 구비한 섬유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을 구비한 섬유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섬유류의 라벨이란 섬유류의 재질, 성분, 세탁방법, 및 제조사 등을 표기하는 인식표를 말한다. 따라서, 섬유류의 라벨은 이외의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 재료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제작된다.
한편, 정전기는 전압은 높아도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위험하지는 않다고 알려져 있으나, 정전기가 발생되어서는 안되는 작업장에서의 작업하 는 사람의 경우에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제진복, 제진장갑등을 착용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제진복 및 제진장갑 및 이를 직조하기 위한 도전사등이 개발되었다.
예컨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6-0001211호에는 도전성 아크릴 섬유로 도전사를 제조되는 도전사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0367788호에는 정전기 방지용 의복이 개시되어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제진복 및 제진장갑등은 산업용으로 전술한 일부 특수 직종에 있는 사람들이나, 등산용 기능의류 등에만 사용되고 있다. 이는 이들 제진복 및 제진장갑의 가격이 비싸고, 착용감이 좋지 않을 뿐만아니라 제조공정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정전기가 건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피부를 자극해 염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고, 피부가 건조한 사람, 피부병이나 당뇨병을 앓는 사람, 심장이 약한 노인 등은 정전기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정전기 자체는 인체에 무해하다고 하더라도 정전기에 의해 놀란 동작으로 2차 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 정전기의 발생을 우려하는 노이로제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 일반인들의 의류등의 섬유류에서도 효과적으로 정전기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시도로서 의류를 린스로 헹구거나 정전기 방지용 스프레이를 뿌리는 등의 일시적인 정전기 제거방법이 있으나, 보다 영구적으로 섬유류에서 정전기를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류의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제조가 간편하며, 인체에 이물감을 주지 않는 라벨 및 라벨이 부착된 섬유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전사로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로서, 섬유류의 마찰포와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대전압이 1000V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마찰대전압은 100V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도전사는 도전성 성분과 비도전성 성분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비도전성 성분은 나일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도전성 성분은 카본블랙 또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은 전체 도전사의 중량 중 30wt% 내지 50wt%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금속은 전체 도전사의 중량 중 2.5wt% 내지 7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은 구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성 성분이 상기 도전사의 표면에 노출되는 비율은 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도전성 성분이 상기 도전사의 표면에 노출되는 비율은 3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섬유제품본체; 상기 섬유제품본체의 일정 위치에 봉제되며, 도전사로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로서, 섬유류 마찰포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대전압이 1000V 미만인 라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제품은 의류, 침장, 소파, 및 카페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은 상기 라벨을 제조한 도전사와 동일한 도전사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은 상기 라벨을 제조한 도전사 보다 도전성 성분이 더 많은 도전사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대전압은 100V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도전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도전사로 직물 또는 편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 또는 편물이 섬유로된 마찰포와의 마찰에 의해서 마찰대전압이 1000V 미만으로 제조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의 제조방법이다.
이 때, 상기 도전사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도전사를 공기교락하는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섬유제품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제품본체의 일정 위치에 도전사로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로서, 섬유류 마찰포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대전압이 1000V 미만인 라벨을 도전사인 봉제사로 봉제하는 단계; 포 함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적용례에 따른 의류용 라벨을 설명한다.
의류용 라벨은 의류본체에 상표, 제품의 크기, 세탁방법, 및 치수등을 표시하기 위해 부착하는 인식표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라벨은 의류의 일정한 부위에 부착되며, 도전사로 균일하게 직조된 직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라벨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된 인체와 의류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전사(10)로 이루어진 라벨은 섬유류 마찰포, 예를 들면, 모, 면,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와 직접 마찰시켰을 때 마찰대전압이 1000V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직물을 면 마찰포와 마찰시켰을 때 1000V미만, 모 마찰포와 마찰시켰을 때 700V미만, 나일론 마찰포와 마찰시켰을 때 700V미만, 폴리에스테르 마찰포와 마찰시켰을 때 300V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라벨을 부착하였을 경우, 의류의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의 대전전위를 인체가 전기적 충격으로 느낄 수 없는 수준인 3000V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찰대전압이 100V미만이다. 특히, 마찰대전압은 의류의 세탁 후 높아지는 경향을 감안하면 제작 후 세탁전 마찰대전압은 40V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직물을 면 마찰포와 마찰시켰을 때 30V미만, 모마찰포와 마찰시켰을 때 40V미만, 나일론 마찰포와 마찰시켰을 때 20V미만, 폴리에스테르 마찰포와 마찰시켰을 때 20V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라벨을 부착하였을 경우, 의류의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의 대전전위를 인체가 전혀 감지할 수 없는 1000V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마찰대전압은 제직물을 세탁한 후에도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라벨은 의류의 정전기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영구적으로 정전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라벨에 사용되는 도전사는 구조 및 재료에 있어서, 제한이 없으나, 통상 비도전성 성분 및 도전성 성분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도전성 성분은 카본블랙, 금속, 및 금속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카본블랙인 경우에 비해서 세탁 후에도 마찰대전압을 낮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며, 특히,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비도전성 성분은 도전사의 제직특성을 향상시키고, 도전성 성분은 전도특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적정한 비율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사의 도전성 성분은 금속을 사용할 경우 전체 도전사 중량 중 2.5 내지 7wt%로 함유된다.
즉, 도전사의 도전성 성분의 비를 2.5wt% 미만되게 사용할 경우 도전성이 떨어져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없고, 7wt%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통상의 방법으로는 제직이 어려워지고, 의복용 라벨등으로 이용시 이물감이 강하기 때문이다. 금속 도전성 성분의 더욱 바람직한 성분 중량%는 전체 도전사 중량의 4 내지 5wt%이다. 이 범위에서 제직이 보다 자유로우면서도, 정전기를 방지하는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한편, 금속 도전성 성분의 비를 2.5wt%이상으로 할 때는 원사가 강하여 통상의 방법으로는 제직이 불가능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 도전사는 공기교락(Air Interlacing)을 이용한 가공을 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전성 성분으로 카본블랙을 사용할 경우 바람직한 중량%는 전체 도전사 중량의 30wt%초과 내지 50wt%미만이다. 도전사의 카본블랙의 성분비를 30wt%미만으로 할 경우 도전성이 현저히 떨어져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없고, 50wt%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통상의 방법으로는 제직이 어려워지고, 의복용 라벨등으로 이용시 이물감이 강하기 때문이다.
한편, 비도전성 성분은 나일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비도전성 성분과 도전성 성분이 복합된 도전사는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비제한적으로 도전성 성분이 내심을 이루되 일부는 외표면으로 노출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 때, 도전성 성분이 외표면으로 노출되는 비율은 도전사 전체 외표면의 면적에서 5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30 내지 40%이다. 이는 도전성 성분이 도전사 표면의 5%미만인 경우 도전성능이 저하되고, 도전성 성분이 도전사 표면의 50%초과인 경우 제직시 도전성 성분이 벗겨지기 때문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의류용 라벨은 도전성 성분으로 구리가 5wt% 함유되고, 비도전성 성분으로 아크릴계섬유를 포함하며, 그 표면에 구리가 35% 노출된 도전사를 공기교락 가공한 후 제직된 직물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의류용 라벨은 도전성 성분으로 구리가 4wt% 함유되고, 비도전성 성분으로 아크릴계섬유를 사용하며, 그 표면에 구리가 35% 노출된 도전사를 공기교락 가공한 후 제직된 직물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의류용 라벨은 도전성 성분으로 카본블랙이 40wt% 함유되고, 비도전성 성분으로 나일론을 사용하며, 표면에 카본블랙이 30%노출된 도전사로 제직된 직물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의류용 라벨은 도전성 성분으로 카본블랙이 35wt% 함유되고, 비도전성 성분으로 나일론을 사용하며, 표면에 카본블랙이 30%노출된 도전사로 제직된 직물로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로 종래에 널리 의류용 라벨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제직물로 의류용 라벨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로 종래에 널리 의류용 라벨로 사용되는 나일론 제직물로 의류용 라벨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전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로 제시된 라벨을 각각 면마찰포, 모마찰포, 나일론 마찰포, 폴리에스테르 마찰포에 문질러서 마찰대전압을 측정하였다.(KS K 0555 : 2002 B법) 이에 따른 시험결과는 아래 표 1 과 같다.
시험항목 (마찰대전압(V)) 시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세탁전 면마찰포 10이하 10이하 200 360 3400 1900
모마찰포 10이하 10이하 120 210 3700 3700
나일론 마찰포 10이하 10이하 51 44 3300 3300
폴리에스테르 마찰포 10이하 10이하 57 110 6100 6100
세탁후 면마찰포 10이하 22 780 740 - -
모마찰포 10이하 32 700 670 - -
나일론 마찰포 10이하 18 620 620 - -
폴리에스테르 마찰포 10이하 16 250 220 - -
측정조건 20±2℃, 40±2℃, 세탁조건 : KS K ISO 6330:2002, 6B(켄모어자동세탁기, 정상사이클, 40±3℃, 텀블건조)
표 1에 따르면, 구리를 도전성 성분으로 하여 5wt%로 포함시킨 도전사로 제조한 라벨이 정전기 방지에 가장 좋은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라벨과 비교할 경우 모든 실시예들이 의류의 정전기 방지에 현저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전기 방지 의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의류본체와 의류본체에 부착되는 의류용 라벨을 포함한다. 의류본체는 상의, 하의, 모자, 속옷, 겉옷등 다양한 모든 종류의 의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라벨(30)은 의류의 일정한 부위, 예컨데, 상의의 경우 옆선부분, 하의의 경우 허리 안쪽부분등에 부착되며, 도전사로 균일하게 직조된 직조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직조물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된 인체와 의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에 적용되는 의류용 라벨(30)을 이루는 제직물은 섬유류, 마찰포 예컨데, 면,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와 직접 마찰시켰을 때 마찰 대전압이 1000V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V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라벨(30)은 의류본체(20)에 봉제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봉제사(40)는 라벨을 제조하는 도전사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거나, 라벨을 제조하는 도전사보다 도전성분이 더 많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봉제사(40)를 도전사로 사용할 경우 의류본체에 대전된 정전기를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술의 내용은 의류에 적용되는 라벨을 기준으로 주로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의류 외에도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는 라벨이 있는 섬유류, 예를 들면, 카페트, 침장, 소파등에도 당업자는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로 제직된 라벨은 섬유류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제직이 간편하며, 인체에 이물감을 주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라벨이 부착된 섬유류는 인체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이물감없이 착용되며, 특별히 부가되는 공정없이 통상의 라벨을 부착하는 공정만으로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라벨을 가지는 기성복이 거의 대부분의 의류를 차지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인류가 의복을 입기 시작한 때로부터 겪어왔던 의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여, 일반인 누구나 정전기 걱정없이 생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18)

  1. 도전사로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로서, 섬유로된 마찰포와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대전압이 1000V 미만이고, 상기 도전사는 도전성 성분과 비도전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성분은 상기 도전사의 전체 외표면의 30 내지 40%를 차지하는 면적만큼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대전압은 100V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 성분은 나일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성분은 카본블랙 또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은 전체 도전사의 중량 중 30wt% 내지 50wt%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전체 도전사의 중량 중 2.5wt% 내지 7wt%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9. 삭제
  10. 삭제
  11. 섬유제품본체;
    상기 섬유제품본체의 일정 위치에 봉제되며, 도전사로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로서,섬유로된 마찰포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대전압이 1000V 미만이고, 상기 도전사는 도전성 성분과 비도전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성분은 상기 도전사의 전체의 표면의 30 내지 40%를 차지하는 면적만큼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라벨을 포함하는 섬유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제품은 의류, 침장, 소파, 및 카페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상기 라벨을 제조한 도전사와 동일한 도전사로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상기 라벨을 제조한 도전사 보다 도전성 성분이 더 많은 도전사로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대전압은 100V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16. 도전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도전사로 직물 또는 편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 또는 편물이 섬유로된 마찰포와의 마찰에 의해서 마찰대전압이 1000V 미만이고, 상기 도전사는 도전성 성분과 비도전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성분은 상기 도전사의 전체의 표면의 30 내지 40%를 차지하는 면적만큼 노출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사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도전사를 공기교락하는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의 제조방법.
  18. 삭제
KR1020070072097A 2007-07-19 2007-07-19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 KR100942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97A KR100942773B1 (ko) 2007-07-19 2007-07-19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97A KR100942773B1 (ko) 2007-07-19 2007-07-19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27A KR20090008827A (ko) 2009-01-22
KR100942773B1 true KR100942773B1 (ko) 2010-02-18

Family

ID=4048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097A KR100942773B1 (ko) 2007-07-19 2007-07-19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7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767A (ko) 2017-12-21 2019-07-01 조민 정전기방지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
KR20190093473A (ko) 2018-02-01 2019-08-09 김도경 결속형 정전기제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3788B (zh) * 2016-03-24 2018-02-27 湖州新利商标制带有限公司 一种黑色商标带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378A (ja) * 1989-08-04 1991-03-20 Tokyo Tatsuno Co Ltd 複写伝票
KR100465257B1 (ko) 2003-03-31 2005-01-1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무진의용 직물지
KR100553565B1 (ko) 2003-10-01 2006-03-10 권오규 전자파 차폐 의류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378A (ja) * 1989-08-04 1991-03-20 Tokyo Tatsuno Co Ltd 複写伝票
KR100465257B1 (ko) 2003-03-31 2005-01-1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무진의용 직물지
KR100553565B1 (ko) 2003-10-01 2006-03-10 권오규 전자파 차폐 의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767A (ko) 2017-12-21 2019-07-01 조민 정전기방지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
KR20190093473A (ko) 2018-02-01 2019-08-09 김도경 결속형 정전기제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27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22281A (ja) 感電防止服
US3590570A (en) Sewing thread
JP6016392B2 (ja) 静電気対策衣料
KR100942773B1 (ko)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섬유제품
CN209274087U (zh) 一种亲肤舒适的服装面料
JP2012522906A (ja) 静電気放電(esd)衣服
CN107893278A (zh) 一种涤棉防静电a级功能面料
JP2001073207A (ja) 制電衣服
DE202008018139U1 (de) Textiles Flächengebilde
CN102839473A (zh) 一种涤纶、椰子纤维和铜氨纤维混纺纱
JP3225849U (ja) 衣服
JPH11279881A (ja) 制電性ダブルカバリング弾性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トッキング
JP2020200558A (ja) 帯電抑制性を有した防護服、及び、シート状物
CN219727432U (zh) 一种耐磨面料
JP3153935U (ja) 防塵服
JP2008095246A (ja) 吸湿機能及び速乾機能を有する吸湿速乾糸を含む下着の付属部分品及びそれが付設される下着
CN213587521U (zh) 一种抗水洗变形的Polo衫扁机领
CN210988287U (zh) 一种穿着舒适的抗静电毛衫
US20020098760A1 (en) Protective fabric
JP6979106B2 (ja) ビジネスシャツ用編地及びビジネスシャツ
CN214215043U (zh) 一种阻燃无纺布
CN216860786U (zh) 一种耐磨性好的涤棉布料
JPH0364503A (ja) 無塵衣
JP3152015U (ja) 防塵服及び帯電防止靴
CN209931554U (zh) 一种抗静电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