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421B1 -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링크구동부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링크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421B1
KR100942421B1 KR1020060013235A KR20060013235A KR100942421B1 KR 100942421 B1 KR100942421 B1 KR 100942421B1 KR 1020060013235 A KR1020060013235 A KR 1020060013235A KR 20060013235 A KR20060013235 A KR 20060013235A KR 100942421 B1 KR100942421 B1 KR 10094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link
main link
air condition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339A (ko
Inventor
최성용
김남희
한주희
김동희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421B1/ko
Publication of KR2007008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를 통해 액추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메인링크를 상기 레버와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하고 상기 메인링크와 상기 액추에이터가 조립되는 부분의 구조를 개선하여 링크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한 조립 부품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 내측의 부품들과 링크되게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핀들이 수용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직선 및 곡선으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형상의 슬롯궤적이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수직배치되는 메인링크와; 원통형의 끝단에 접촉돌기가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링크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접촉돌기가 일면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링크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되,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촉돌기의 조립부에는 메인링크가 일정구간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2~4mm 정도의 여유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돌기가 액추에이터에 조립되어 밀착되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면과 상기 레버의 끝단과의 접촉 폭을 2~3mm 정도가 되도록 형성하여 회전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링크의 상하 유동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된다.
공기조화장치, 액추에이터, 메인링크, 레버, 일체화

Description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Link Unit for Air Conditioner directly driven by Actuator}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 공조케이스 200a, 200b :메인링크
210 : 슬롯궤적 300a, 300b : 레버
310 : 서브링크 311 : 스크류
320a, 320b : 접촉돌기 400 : 액추에이터
500 : 보스 600 : 연결암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링크를 레버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메인링크와 액추에이터가 조립되는 부분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부품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기조화장치는 차량의 실내 전방에 설치되어 내부 공기 또는 외부 공기를 도입하여 덕트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난방을 위한 히터, 냉방을 위한 증발기 등의 다양한 열교환기가 구비되며, 상기의 다양한 열교환기는 공조케이스에 내장,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공기 유입구와 다수개의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조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들과 선택적인 열교환을 행하고 상기 공기 유출구들을 통과하여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에는 상기 공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어 및 상기 밸브가 연결된 축에는 링크구동부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도어 및 밸브를 개폐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 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는 크게 레버(300a)와, 메인링크(200a)와, 보스(500)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구동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400)가 결합된다.
상기 링크구동부의 메인링크(200a)는 공조케이스(100a)의 내부에 내장된 부품들의 연결축 또는 상기 연결축을 통해 개폐되는 도어 또는 밸브에 연동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0a)의 외측에 구비되는 핀들이 수용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불규칙한 형상의 슬롯궤적(210)이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메인링크(200a)는 슬롯궤적(210)에 수용되는 핀(미도시)들이 유동되도록 상기 메인링크(200a)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400)가 연결되는데,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접촉돌기(320a)를 갖는 원통형의 레버(300a)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접촉돌기(320a)가 상기 액추에이터(400)의 일측에 조립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00a)의 외측에는 보스(500)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링크(200a)의 중앙부에 조립되는데, 상기 보스(500)가 메인링크(200a) 후면의 중앙부에 크게 자리 잡아 주변의 슬롯궤적(210)에 연관된 핀 또는 레버가 간섭되는 일이 발생하는 설계의 제약에 따라 상기 레버(300a)에 별도의 서브링크(310)를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서브링크(310)를 메인링크(200a)에 조립하는 스크류(311)가 필요하게 되므로, 조립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게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를 통해 액추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메인링크의 중앙부에 상기 레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레버와 보스 등의 조립 부품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메인링크 후면의 공간을 확보하여 서브 링크 없이도 핀 또는 레버와 메인링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액추에이터에 직접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링크에 일체로 형성되어 액추에이터에 조립되는 접촉돌기의 조립부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여유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면과 접촉돌기가 형성된 레버 끝단의 접촉 폭을 일정 폭 확보함으로써 메인링크의 회전 및 상하 유동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게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 내측의 부품들과 링크되게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핀들이 수용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직선 및 곡선으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형상의 슬롯궤적이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수직배치되는 메인링크와; 원통형의 끝단에 접촉돌기가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링크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접촉돌기가 일면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링크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촉돌기의 조립부에는 메인링크가 일정구간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2~4mm의 여유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돌기가 액추에이터에 조립되어 밀착되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면과 상기 레버의 끝단과의 접촉 폭을 2~3mm가 되도록 형성하여 회전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링크의 상하 유동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조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연결암에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연결암의 길이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와의 거리 폭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100b)의 내부에는 증발기와, 히터 코어 등의 부품들(미도시)이 내장되며, 상기 부품들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및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작동 도어들 또는 밸브들이 구비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작동 도어에는 차량 바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플로어 도어와, 운전석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밴트도어, 습기 제거를 위한 디프로스트 도어가 있으며, 상기 도어에 연결된 축 또는 밸브에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도어 또는 밸브를 조절하는 링크구동부가 상기 공조케이스(100b)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는 크게 메인링크(200b)와 상기 메인링크(200b)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레버(300b)와 상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400)로 구성되는데, 상기 메인링크(200b)와 상기 레버(300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링크(200b)는 전면부에 다수의 직선 및 곡선으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형상의 슬롯궤적(210)들이 형성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00b)의 외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수직배치되는데, 상기 공조케이스(100b) 내측의 부품들에 연결된 도어에 연결된 축 또는 밸브에 연동(링크)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0b)의 외측에 다수의 핀들이 구비되어 상기 슬롯궤적(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동하며, 상기 메인링크(200b)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는 슬롯궤적(210)에 의해 상기 핀들이 유동하게 되어 도어 또는 밸브들이 소정의 각도로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레버(300b)는 상기 메인링크(200b)의 중앙부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원통형의 끝단에 접촉돌기(320b)가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링크(200b)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링크(200b)를 고정시키기 위해 공조 케이스(100b)에 구비되는 보스(500)가 필요 없어 상기 보스(500)에 의해 발생하는 핀 또는 레버들의 간섭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서브링크(310)의 필요가 없어져 조립공수가 감소되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액추에이터(400)는 링크구동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버(300b)에 구비된 접촉돌기(320b)가 일면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링크(200b)에 회전력을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400)는 공조케이스(100b)의 외측에 구비되는 연결암(600)에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연결암(600)의 길이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100b)와의 거리 폭이 결정되며, 상기 액추에이터(400)의 조립부는 상기 메인링크(200b)의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약간의 원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접촉돌기(320b)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돌기(320b)가 조립되는 액추에이터(400)의 일면 즉, 조립부(미도시)에 상기 메인링크(200b)가 일정구간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여유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링크(200b)가 상기 액추에이터(400)에 직결됨으로써 상기 메인링크(200b)의 상하 유동성이 없어 핀이 링크의 궤적 사이에 작동하다가 낌 현상이 발생하여 작동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여유 공간으로는 2~4mm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접촉돌기(320b)가 액추에이터(400)에 조립됨으로써 밀착되는 상기 액추에이터(400)의 일면과 상기 레버(300b)의 끝단과의 접촉 폭이 2~3mm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하여 메인링크(200b)의 회전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링크의 상하 유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버를 통해 액추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메인링크를 상기 레버와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레버, 보스 등의 조립 부품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조립성이 향상되어 보스를 통해 메인링크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링크의 후면 공간이 넓게 확보됨으로써 간섭되는 형상이 방지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서브 링크 없이도 핀 또는 레버에 직접 메인링크를 연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링크와 액추에이터가 조립되는 부분의 공간 구조를 개선하여 메인링크의 회전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링크의 상하 유동 및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조케이스(100b) 내측의 부품들과 링크되게 상기 공조케이스(100b)의 외측에 구비되는 핀들이 수용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직선 및 곡선으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형상의 슬롯궤적(210)이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00b)의 외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수직배치되는 메인링크(200b)와;
    원통형의 끝단에 접촉돌기(320b)가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링크(200b)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300b)와;
    상기 접촉돌기(320b)가 일면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링크(200b)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추에이터(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촉돌기(320b)의 조립부에는 메인링크(200b)가 일정구간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2~4mm의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320b)가 액추에이터(400)에 조립되어 밀착되는 상기 액추에이터(400)의 일면과 상기 레버(300b)의 끝단과의 접촉 폭을 2~3mm가 되도록 형성하여 회전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링크의 상하 유동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00)는 공조케이스(100b)의 외측에 구비되는 연결암(600)에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연결암(600)의 길이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100b)와의 거리 폭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링크구동부.
KR1020060013235A 2006-02-10 2006-02-10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링크구동부 KR10094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235A KR100942421B1 (ko) 2006-02-10 2006-02-10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링크구동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235A KR100942421B1 (ko) 2006-02-10 2006-02-10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링크구동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339A KR20070081339A (ko) 2007-08-16
KR100942421B1 true KR100942421B1 (ko) 2010-02-17

Family

ID=3861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235A KR100942421B1 (ko) 2006-02-10 2006-02-10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링크구동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4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1451A (en) 1993-07-20 1995-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vent control apparatus
KR20040077995A (ko) * 2003-03-03 2004-09-08 한라공조주식회사 공기조화 장치의 캠 및 구동유닛 조립체
JP2007055370A (ja) 2005-08-23 2007-03-08 Japan Climate Systems Corp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1451A (en) 1993-07-20 1995-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vent control apparatus
KR20040077995A (ko) * 2003-03-03 2004-09-08 한라공조주식회사 공기조화 장치의 캠 및 구동유닛 조립체
JP2007055370A (ja) 2005-08-23 2007-03-08 Japan Climate Systems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339A (ko)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6590B1 (en) Assembling structure of temperature- adjusting door
EP1160519B1 (en) Ceiling grille for rooftop air conditioner unit
JP2008540205A (ja) 自動車の通気設備、暖房設備または空調設備の少なくとも3つのフラップのための操作装置
KR100747305B1 (ko) 외기 모드시 내기가 유입되는 자동차 공기 조화기용 내외기
US20140342650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0942421B1 (ko)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공기조화장치용링크구동부
KR100736981B1 (ko) 4절 링크를 이용한 에어 벤트 댐퍼
KR101179599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24177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JP4074039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7057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01368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812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487436B2 (ja) 空調装置のリンクプレート構造
KR10114602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634170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634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938412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4300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5980B1 (ko)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조작용 구동부재
KR201100244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726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KR202000123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50092A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190037840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