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628B1 - 광학 렌즈 및 조인트를 얻는 방법 및 그것의 실행을 위한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광학 렌즈 및 조인트를 얻는 방법 및 그것의 실행을 위한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628B1
KR100941628B1 KR1020047014542A KR20047014542A KR100941628B1 KR 100941628 B1 KR100941628 B1 KR 100941628B1 KR 1020047014542 A KR1020047014542 A KR 1020047014542A KR 20047014542 A KR20047014542 A KR 20047014542A KR 100941628 B1 KR100941628 B1 KR 100941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ection
filling hole
fill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314A (ko
Inventor
트리돈진-마크
소아브파스칼
Original Assignee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filed Critical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Publication of KR20040101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38Fee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13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made by moulding between two mould parts which a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one another, e.g. comprising a seal between or on the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08Lens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방법은 두개의 셸(2,3)과 환상의 조인트(4)로 구성되는 밀폐된 몰드의 사용을 포함하는데, 상기 조인트는 중합가능 재료로 몰드 공동을 채우기 위한 구멍(19)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의 도입은 함께 셸(2,3)을 가져오기 위해서 외부의 기계적인 작용이 발휘되는 단계 후에 그리고 상기 작용이 이완되는 단계 전에 일어난다. 조인트(4)에서, 충전 구멍(19)은 두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제 1 섹션은 몰딩 공동으로부터 더 넓은 제 2 섹션까지 연장된다. 디바이스는 셸(2,3)을 함께 가져오기 위해 외부 작용을 발휘하기 위한 수단(34-40)과 몰딩 공동안으로 중합가능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광학 렌즈, 중합, 몰딩, 몰드, 캐뉼러, 플러그, 시일.

Description

광학 렌즈 및 조인트를 얻는 방법 및 그것의 실행을 위한 디바이스{METHOD FOR OBTAINING AN OPTICAL LENS AND JOINT AND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본 발명은 중합가능 재료로부터 광학 렌즈, 특히, 물론 이것만은 아니지만 안과 렌즈를 얻는 것에 관한 것이다.
떨어진 거리에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셸로 형성된 몰드 및 몰딩 공동을 한정하기 위한 셸의 외주와 함께 협력하는 환상 시일로 이러한 종류의 렌즈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있다. 공동을 향해 면하는 셸의 면은 일반적으로 각각 오목면과 볼록면이고, 몰드로부터 제거할 때 또는 그들을 마무리하기 위해 기계가공한 후에 전방 및 후방 면이 원하는 형태를 가지기 위해서, 얻어질 렌즈의 각각 전방면과 후방면에 해당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몰드로 광학 렌즈를 얻는 다양한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이 방법에서 첫번째 단계는 시일 위에 몰딩 셸을 놓는 것이고, 그후 셸을 보유하기위한 스프링 클램프를 끼워맞추고, 공동은 그후 시일의 변형 및 클램프의 작용에 대한 문제의 셸의 약간의 움직임 덕분에 시일과 셸 중 하나 사이에 삽입되는 주입 노즐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채워지고, 과잉의 공기를 방출하기 위해서, 범 람이 일어날때까지 계속해서 채워지고, 조립된 상태로 유지된 채워진 몰드는 그후 수조로 이송되고 거기서 몰드 안으로 도입된 재료는 열에 의해 중합된다.
몰드가, 중합하는 동안 몰드가 함유하는 재료의 수축을 수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시일은 수축에 의해 유발된 서로를 향한 셸의 움직임의 영향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축되도록 적합화된다.
상기 언급한 종류의 몰드는 특히 미국 특허 3,136, 000 및 국제 출원 WO 00/30836에서 이미 제안되었는데 여기서 시일은 각각 하나의 측면 구멍과 몇개의 측면 구멍을 가지고, 중합가능 재료는 시린지의 방식으로 충전 구멍 안으로 끼워맞춰진 노즐에 의해 몰드의 공동안으로 도입되고, 처음에 몰딩 공동에 존재하는 공기는 각각 노즐로부터 떨어진 통로를 통해 그리고 충전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을 통해 빠져나간다. 중합가능 재료를 몰드 안으로 도입 후에, 단일 구멍과 다중 구멍은 각각 노즐을 제거하는 동안 단일 구멍의 앞에 있는 위치로 되돌아가는 플랩에 의해 그리고 바깥쪽으로부터 다중 구멍안으로 밀어내어지는 플러그에 의해 막힌다.
또한 특히 미국 특허 4,251, 474에서는, 시일에 어떠한 구멍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 제안되었으며, 수평으로 몰드를 배치하고, 충전 노즐을 시일과 상부 셸 사이에 도입하고, 그후, 일단 몰드가 채워지고 노즐이 제거되면, 하부 셸을 브레이싱하면서 외부 기계적인 힘에 의해 상부 셸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따라서 몰드 안으로 도입된 재료의 과잉부가 상부 셸과 협력하는 시일의 립을 벗어나서 몰드 밖으로 넘치게 된다. 상부 셸이 방출될때, 시일은 본래 구성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지만, 공기가 몰딩 공동 안으로 침투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몰딩 셸은 흡입관의 방식으로 시일과 접촉하여 유지되고, 따라서 어쨋든 기계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힘에 비해 오로지 적당한 스프링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위에서 언급한 스프링 클램프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류의 몰드의 사용의 조건을 개선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합가능한 재료로부터 광학 렌즈를 얻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이 방법은 두개의 대면하는 간격을 두고 떨어진 셸로 형성되는 몰드 및 몰딩 공동을 한정하는 상기 셸의 외주와 협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환상 시일을 사용하며, 상기 시일은 상기 셸이 서로를 향해 움직일때 탄력적으로 압축되도록 적합화되고, 방법은 상기 몰딩 공동을 상기 중합가능한 재료로 채우는 단계, 몰딩 공동을 채우는 재료를 중합하는 단계, 서로를 향해 상기 셸을 움직이기 위해 외부의 기계적인 힘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힘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셸의 외주와 협력하기 위한 상기 수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환상 시일에 충전 구멍이 제공된다는 점과, 상기 충전 단계 동안에 상기 재료는 상기 충전 구멍을 통해서 공동안으로 도입된다는 점과, 상기 재료는 서로를 향해 상기 셸을 이동하기 위해 기계적인 외부 힘을 가하는 상기 단계 후와 상기 힘을 방출하는 상기 단계 전에 도입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셸의 외주와 협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수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시일에서 구 멍을 통해 채우는 것과 조합하여, 몰드를 채운 후 보다는 오히려 몰드를 채우기 전에 서로를 향해 셸을 움직이기 위해 외부 기계적인 힘을 가하는 것은 몰드가 셸과 시일 사이에서 몰딩 공동으로부터 어떠한 누출없이 채워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누출의 이러한 부재는 특히 셸 주변에서의 범람의 결과로서 낭비의 부재로부터 중합가능한 재료의 절약을 초래하기 때문은 물론이고, 보다 중요하게는, 셸의 주변과 협력하기 위한 수단의 위치에서 재료의 범람과 미리 관련된 몰드로부터 제거한 후에 작동을 피하기 때문에 유리하고, 이는 실제로 바깥에 홈을 갖는 립을 포함하고; 이는 섬광을 제거하기 위해 몰드로부터 제거한 후에 렌즈위에서 작업할 필요성을 피하고 재순환 전에 시일의 청소를 촉진한다.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플러그는 상기 시일에서 각각의 구멍을 막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충전 단계는 상기 재료를 도입한 후와 상기 힘을 방출하는 상기 단계 전에, 상기 플러그중 하나로 상기 구멍의 각각을 막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힘이 방출될 때는, 각각의 셸의 수준에서 흡입 효과가 존재하며 그로인해 몰드는 자발적으로 조립된 구성으로 남아있다.
상기 충전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상 시일에서 유일한 구멍이다.
몰드를 채우는 작업은 따라서 특히 간단하고 편리하고, 충전 구멍을 통해 재료를 도입하는 작업 후에, 플러그를 끼워맞추는데 단일 작업은 충분하다.
상기 충전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일의 꼭대기에 위치해 있는 상기 충전 구멍과 수직으로 놓인 상기 몰드로 실행된다.
따라서 몰드 안으로 중합가능한 재료를 도입하는 작업은 특히 몰드에 처음부 터 함유된 공기의 배출이 관계되는 뛰어난 조건하에서 실행될 수 있고: 충전 구멍의 출구는 공동의 꼭대기에 위치하고, 충전 구멍 자체가 채워지기 시작할 때 처음에 몰드에 함유된 공기가 완전히 배출되었다는 것이 확실하다.
실행의 단순함과 편리함을 이유로 바람직한 다른 특징들에 따르면:
-돌출부는 상기 충전 구멍 주변에 제공되고 시일의 측면에 비해 돌출된다;
및/또는
-상기 충전 구멍은 방사상 방향으로 배향된다; 및/또는
-상기 충전 구멍은 각각 제 1 셸과 제 2 셸과 협력하도록 적합화된 상기 수단들 사이의 중도에 또는 실질적으로 중도에 있다; 및/또는
-서로를 향해 상기 셸을 이동하기 위해 기계적 외부 힘을 가하는 상기 단계는 소정의 힘에 도달할때까지 서로를 향해 상기 셸을 이동하도록 적합화되고; 선택적으로는
-서로를 향해 상기 셸을 움직이는 상기 힘은 제어 센터에 연결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생산된다; 및/또는
-서로를 향해 상기 셸을 이동시키는 힘을 가하는 상기 단계 동안에, 상기 힘은 상기 셸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각각의 슬리브를 지나서 상기 셸에 가해진다.
실행의 단순함과 편리함을 이유로 바람직한 다른 특징들에 따르면:
-유닛은 상기 몰드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고 서로를 향해 상기 셸을 움직이기 위한 힘을 가하는 상기 단계 및 상기 힘을 방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수용 유 닛에 의해 실행되고; 선택적으로는
-센터링 수단 및 앵귤러 배치 수단은 몰드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유닛에 제공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센터링 수단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시일의 외측면과 협력하도록 적합화된 된 두개의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앵귤러 배치 수단은 상기 시일의 외측면에 관하여 돌출되는 보스와 협력하도록 적합화된 포크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충전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중합가능 재료를 상기 몰드의 공동 안으로 도입하기 위한 스테이션 및 상기 충전 구멍을 막기 위한 스테이션이 제공되고, 상기 도입 스테이션 및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은 나란히 배치되고, 몰드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유닛은 플러깅 스테이션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도입 스테이션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동일한 이유로 바람직한 다른 특징들에 따르면:
-중합가능 재료를 도입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 및 과잉 재료를 흡인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는 스테이션에 의해 실행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상기 노즐은 경사져있고; 및/또는
-상기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상기 노즐의 원단부는 상기 흡인 노즐의 원단부 아래에 있다.
동일한 이유로 바람직한 다른 특징들에 따르면:
-상기 충전 구멍을 막기 위해 플러그가 제공되고 블라인드 홀을 포함하고 상 기 플러그로 상기 충전 구멍을 막는 단계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블라인드 홀에 연동되도록 적합화된 캐뉼러를 포함하는 플러깅 스테이션에서 실행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캐뉼러는 진공 시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를 상기 캐뉼러 상의 제자리에 유지하고 상기 캐뉼러는 대기로 구멍이 나있어 상기 플러그를 방출하고; 및/또는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충전 구멍안으로 프레스된다.
동일한 이유로 바람직한 다른 특징들에 따르면:
-상기 시일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하고 시일의 나머지에 관해 소정의 위치를 통합시키는 가로방향 말단 표면을 갖는 비교적 좁은 러그(lug)가 제공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충전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몰드의 공동안으로 상기 중합가능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스테이션 및 상기 충전 구멍을 막기 위한 스테이션이 제공되고, 상기 도입 스테이션 및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은 나란히 배치되고, 유닛은 소정의 위치에 상기 몰드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수용 유닛은 플러깅 스테이션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도입 스테이션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셀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 또는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에 관해 몰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되고 몰드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유닛은 상 기 광학 셀과 함께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수직 정렬로 또는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과 수직 정렬하여 위치하고; 선택적으로는
-각각의 광학 셀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을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양태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환상 시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세번째 양태는 위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된 시일은 위에서 설명된 것들을 제외한 조건하에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어떠한 수축도 당하지 않는 몰드 재료에, 그 경우에 시일의 축방향 변형에 대한 능력은 필요 불가결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또한 재료에 상관없이, 특히 재순환 및/또는 작동 조건과 연결된 이유 때문에, 플러그의 재료는 시일의 잔여의 재료와 동일한 것이 유익하고, 동일한 의견이 몰드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비교적 좁은 러그 및 적어도 하나의 광학 셀에 의해 몰드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적용된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은 다음에 비제한 예를 통해 이후에 주어지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의 설명과 함께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계속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광학 렌즈를 얻기 위한 몰드의 분해 원근도이다;
-도 2는 플러그 없이, 몰드의 시일의 원근법에 의한 부분 단면도이고, 단평면은 시일의 축과 충전 구멍의 축을 함유한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하지만 필러 구멍안으로 끼워맞춰진 플러그를 갖는 도면이다;
-도 4는 지지 핑거위의 위치에서 플러그가 없는, 몰드 및 도 6에서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디바이스에 제공된 몰드의 수용 유닛의 앵귤러 배치화 포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선 V-V를 따라 취한 단면에서의 입면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5에서 보여준 몰드를 사용하는 광학 렌즈를 얻기 위한 디바이스의 도식적인 입면도이며;
-도 7은 시일의 플러그없이 조립된 구성에서의 몰드의 도 2와 3에서와 동일한 선을 따라 취한 단면에서의 개략적인 입면도이고;
도 8은 수용 유닛에서 적소에서의 몰드의 유사도이고(지지 핑거와 포크는 도시되지 않는다), 이 유닛은 서로를 향해 셸을 움직이기 위한 외부 기계적 힘을 물드에 가한다;
도 9 내지 13은 충전 작동의 연속적인 단계들을 보여주는 몰드의 유사한 부분도이고;
도 14는 도 6에 나타낸 디바이스의 수용 유닛으로부터 뽑아질 때 흡입 효과 덕분으로 자립해 있는 충전된 몰드의 유사도이다.
확대 원근도가 도 1에 나타나는 몰드(1)는 두개의 셸(2)와 (3)과 제거가능한 플러그(5)가 제공된 환상 시일(4)을 포함한다.
셸(2)와 (3)은 하나의 오목면, 하나의 볼록면 및 원형 윤곽 가장자리를 갖는 비교적 두꺼운 유리로부터 종래부터 만들어진다. 시일(4)을 마주하는 면에 위치한, 셸(2)의 활성면(6)은 오목하고 얻고자하는 렌즈의 전방면에 해당하는 형태를 가진다. 시일(4)과 마주하는 면위에 또한 위치한 셸(3)의 활성면(7)은 볼록면이고 얻고자하는 렌즈의 후부면에 해당한다.
시일(4)은 합성 엘라스토머 재료로부터 몰딩된다. 내부에 벨트(8)보다 더 좁은 비드(9)가 부착되는 외부 벨트(8)과 함께 구형으로 환상의 형태를 가지고 도브테일-형태의 단면적을 가지는데 단면적의 더 좁은 쪽에 의해 비드가 벨트(8)에 부착된다.
따라서 비드(9)의 어느 한쪽 면위에는 셸(2)와 (3)의 하나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오목부가 존재하고, 이 오목부의 주변 표면은 벨트(8)의 내부 표면(10)이고, 오목부의 직경은 셸(2)와 (3)의 직경에 해당하고, 오목부의 숄더 면은 비드(9)의 측면(11)이고, 이것은 시일의 중앙 바깥쪽 및 그쪽을 향해 경사져있다. 표면(11)과 비드(9)의 주변면(13) 내부 사이의 접합점에서 각각의 가장자리(12)는 따라서 도 7과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셸(2)와 (3)중 하나와의 실링 방식을 협력하도록 적합화된 립(14)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시일(4)의 외부면(15)은 시일(4)을 제작하는데 사용된 몰드의 시일의 평면에 해당하는 중앙 가장자리(16)의 어느 한쪽 면에 약간의 릴리프를 갖는다.
도 4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16)의 오직 한쪽으로만 연장되는 비교적 좁은 러그(17)가 측면(15)으로부터 돌출되고, 러그(17)는 가장자리(16)와 동일한 면에서 가로방향 말단면(18)을 갖는다.
플러그(5)에 의해 막히는 러그(17)와 구멍(19) 사이의 앵귤러 오프셋은 시일(4)의 꼭대기에 구멍(19)이 있을때,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러그(17)는 시일(14) 위에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나중에 설명되는 것처럼, 몰드(1)과 따라서 축 방향으로 구멍(19)을 배치시키는데 사용된다.
구멍(19)은 방사상 방향으로 배향되고 셸(2)와 (3)과 협력하는 시일(4)의 표면(10)과 (11)에 의해 각각 범위가 한정된 두개의 반대편 오목부들 사이의 중도에 또는 실질적으로 중도에, 가장자리(16)을 함유하는 평면의 중앙에 있다.
구멍(19) 주변에 시일(4)은 표면(15)에 대해 돌출하는 보스(20)를 갖는다.
두개의 출구 사이에, 각각 보스(20)의 외부면 위로 그리고 비드(9)의 내부표면(13) 위에, 각각, 구멍(19)은 다른 직경을 갖는 3개의 섹션(21,22,23)을 갖는다.
가장 좁은 섹션(21)은 표면(13)에서 제 1 말단과, 섹션(21)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섹션(22)의 제 1 말단에 결합되는 제 2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고; 약간의 챔퍼는 섹션(21)과 (22) 사이의 접합점에서 형성되고, 섹션(22)는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섹션(23)에 결합되는 제 2 말단까지 멀리 연장되고, 섹션(23)은 보스(20)의 상부 표면까지 멀리 연장된다.
따라서 구멍(19)의 섹션(21, 22, 23)은 일반적으로 계단 모양의 배열을 가진다.
플러그(5)는 시일(4)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플러그(5)는 헤드(24)와 본체(25)를 가진다. 헤드(24)의 직경은 섹션(23)의 직경에 해당하고, 본체(25)의 직경은 섹션(21)의 직경에 해당하고, 본체(25)의 길이는 섹션(21)과 섹션(22)의 길이의 총합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세하게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5)가 구멍(19)에 끼워 맞춰질때, 본체(25)의 자유 말단은 표면(13)과 접하고 본체(25) 측면에 위치하는 헤드(24)의 가로방향 표면은 섹션(23)의 숄더면위에 위치한다.
섹션(21)과 본체(25) 사이의 끼워맞춤은 본체(25)가 섹션(21)에서 적소에 있을 때 섹션(21)이 플러깅되고 실링되도록 적당히 타이트하다. 유사하게는, 헤드(24)와 섹션(23) 사이의 맞춤은 적당히 타이트하고, 따라서 헤드(24)의 섹션(23)으로의 꼭맞음은 섹션(23)을 막고 밀봉한다.
보여준 실시예에서, 섹션(21)의 직경은 7.8mm의 오더이고, 섹션(22)의 직경은 16.6 mm의 오더이고, 섹션(23)의 직경은 17.8 mm이고, 섹션(21)의 직경은 3 mm의 오더이고, 섹션(22)의 직경은 3.7 mm 이고 섹션(23)의 직경은 2.4 mm의 오더이다.
플러그(5)가 구멍(19)에서 적소에 있을때, 섹션(22) 내에 본체(25) 주변에, 본체(25)와 섹션(21) 사이의 협력에 의해 한쪽 위에 그리고 헤드(24)와 섹션(23) 사이의 협력에 의해 다른 쪽 위에서 플러그된 밀봉된 챔버(26)가 존재한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위에서 명기된 치수가 주어지면, 또한 챔버(26)의 부피가 섹션(21)의 부피보다 더 크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5와는 달리, 도 6 내지 9처럼, 매우 도식적인 도 10 내지 13에서 볼 수 있듯이, 이것의 결과는 만일 중합가능 재료가 섹션(21)과 (22) 사이의 접합점에 도달할때까지 시일(4)안으로 끼워맞춰진 셸(2)와 (3)에 의해 범위한정된 몰딩 공동이 채워지고 플러그(5)가 그후 끼워맞춰지면, 섹션(21)에 함유된 재료는 몰드 밖으로 중합가능 재료의 범람을 방지하는 플러그(5)가 도중 내내 밀어내졌을때, 챔버(26)에 수용될 수 있고 밀봉된 방식으로 거기에 보유될 수 있다.
몰드(1)를 사용하여 광학 렌즈를 얻기 위해, 셸(2)와 (3)은 특히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4)안으로 끼워맞춰지고, 그후에 이러한 식으로 얻어진 몰드(1)는 도 6에서 나타낸 충전 디바이스(30)에, 보다 정확하게는 디바이스의 몰드의 수용 유닛(31)에 위치한다.
몰드(1)를 수용하기 위해, 유닛(31)은 두개의 핑거(32)와 포크(33)를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와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몰드(1)는 시일(4)의 꼭대기에 충전 구멍을 갖는 유닛(31)에서 수직으로 배치되고, 핑거(32)와 포크(33)는 시계 문자판에서 4시, 8시 및 12시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앵귤러 위치에 있다. 시일(4)는 단순히 핑거(32)에 남아있고, 핑거(32)는 유닛(31)에 대해 시일(4)을 중앙에 두는 반면, 보스(20)는 포크(33)와 맞물리고 있고, 포크(33)는 시일(4)을 유닛(31)에 대해 각을 이루며 위치시키고 특히 구멍(19)이 시일(4)의 꼭대기에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몰드(1)에 대한 위치의 각각의 면 위에 유닛(31)은 각각의 슬리브(34)와 (35)를 포함하고, 도 8에서 보다 상세하게 나타나있다(여기서 핑거(32)와 포크(33) 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슬리브(34)는 유닛(31)의 프레임(36)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한편, 유압 액추에이터(37)는 슬리브(35)와 프레임(36) 사이에 제공되는데, 유압 액추에이터(37)의 본체는 프레임(36)에 고정되고 유압 액추에이터(37)의 피스톤 막대는 슬리브(35)에 고정된다. 액추에이터(37)의 챔버는 각각의 파이프(38)과 (39)에 의해 종래부터 유압 펌프와 분배 및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센터(40)로 연결된다.
유닛(31)은 피스톤 막대(37)가 쑥 들어가는 몰드(1)를 끼워맞추고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즉, 슬리브(35)가 도 8에 나타낸 위치에 대해 오른쪽으로 오프셋되는 위치.
이러한 구성에 있는 유닛(31)으로, 몰드(1)는 셸(2)이 슬리브(34)와 접촉하게 될때까지 핑거(32)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포크(33)에서 보스(20)을 맞물림으로써 위치로 들어간다.
제어 센터(40)에서, 액추에이터의 가압 챔버(이 실시예에서 도 8에서 나타낸 오른쪽에 있는 챔버)에서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역치에 도달할 때까지, 작동자는 그후 피스톤 막대(37)를 배치하기 위해 그안에 제공된 자동 제어 수단을 시작하고,제어 센터(40)에 제공된 제어 수단은 그후 이 위치에서 피스톤 막대(37)를 유지한다.
피스톤 막대(37)의 배치 동안에, 슬리브(35)는 셸(3)과 접촉하게 되고, 그 후에 피스톤 막대의 더 나아간 움직임은 서로를 향해 셸(2)와 (3)을 움직이는 힘을 가하고, 효과는 도 7과 8을 비교함으로써 볼 수 있듯이, 시일(4)이 축 방향으로 특히 립(14)의 위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된다.
외부의 기계적 힘에 의한 시일(4)의 이러한 압축은 시일(4)과 셸(2)및(3) 사이에서 뛰어난 시일을 제공한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시일(4)이 만들어지는 합성 엘라스토머는 시험 방법 NF T 46-002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0.8 내지 1.3 Mpa의 오더의 100 %에서 탄성 계수, 3 내지 7 Mpa 의 오더의 항복 강도, 및 500 내지 750 %의 오더의 항복점에서의 신장, NF ISO 868법을 사용하는, SHORE A (30s) 경도는 30 내지 49의 오더이고 ; 액추에이터(37)의 직경은 40 mm이고 제어 센터(40)에서의 제어 수단이 피스톤 막대(37)를 배치하는 소정의 압력 역치는 0.3 Mpa의 오더이다.
슬리브(34) 및 (35)를 통해 액추에이터(37)에 의해 몰드(1)에 가해진 외부 기계적 힘은 따라서 37.7 daN의 오더의 비교적 높다.
슬리브(34)와 셸(2) 사이의 접촉 면이 환상 립(14)과 셸(2) 사이의 접촉 면과 반대이고 슬리브(35)와 셸(3) 사이의 접촉 면과 마찬가지로 환상 립(14)과 셸(3) 사이의 접촉면과 반대이고, 이는 셸(2)와 (3)의 변형의 위험을 최소화한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디바이스(30)의 구조 및 작동은 보다 상세하게 다음에 기술된다.
디바이스(30)는 유닛(31)에 더하여, 중합가능 액체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스테이션(41) 및 플러깅 스테이션(42)을 포함한다.
스테이션(41) 및 (42)의 각각은 더블-헤드 화살표(43) 및 (44)로 나타낸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위쪽과 아래쪽으로 추진되도록 적합화되는 반 면, 수용 유닛(31)은 더블-헤드 화살표(45)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오른쪽을 향해 그리고 왼쪽을 향해 추진되도록 적합화된다.
스테이션(41) 및 (42)의 각각에서 축 방향으로 몰드(1)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각각의 광학 셀(46)과 (47)이 존재하고, 셀(46)과 (47)의 각각은 도 5에 부분적으로 나타낸 입사 빔과 반사 빔(47')과 같은 광 빔의 방사체와 수용체를 포함한다. 입사 빔(47')은 수직으로 배향되고 몰드(1)가 빔을 방출하는 셀 아래에 있을때, 빔은 표면(15)의 수준에 있고, 항상 러그(17)의 두께보다 더 작은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에 있다. 몰드가 러그(17)가 수직으로 입사빔(47')과 한줄로 있도록 하는 위치에 있을때, 빔은 러그(17)에 의해 반사되고 빔을 방출한 셀은 반사된 빔을 수용하고 검출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몰드(1)가 러그(17)가 수직으로 입사 빔(47')와 정렬하지 않는 위치에 있을때, 러그(17)에서 빔의 어떠한 반사도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반사되지 않은 빔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셀(46)과 (47)이 반사 빔을 수용하는지 아닌지 여부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몰드(1)를 방출된 빔과 정렬되는 러그(17)의 표면(18), 즉 구멍(19)이 중심에 있는 평면에 위치한 표면(18)과 함께 매우 정확하게 구멍이 중합가능 액체 재료 도입 스테이션(41)과 플러깅 스테이션(42) 각각에 대해 중심에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중합가능한 액체 재료 도입 스테이션(41)은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두개의 노즐, 각각 중합가능한 재료를 몰드(1)의 공동 안으로 도입하기 위한 노즐(48)과 구멍(19)에서 과잉의 재료를 흡인하기 위한 노즐(49)을 포함한다. 노즐(49)은 셀 (46)에 의해 방출된 빔을 함유하는 가로방향 평면에 있고 유닛(31)에 대해 중심에 있다.
플러깅 스테이션(42)은 셀(47)에 의해 방출된 빔을 함유하는 가로방향 평면에 위치하고 유닛(31)에 대해 중심에 있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플러그(5)를 수용하기 위한 캐뉼러(50)를 포함한다.
캐뉼러(50)와 함께 협력하기 위해서, 플러그(5)는 헤드(24)와 서로 인접하는 말단에서 열려있고 본체(25)와 인접하는 말단에서 닫혀있는 블라인드 홀(51)을 포함하고, 홀(51)은 캐뉼러(50)의 외부 직경에 해당하는 직경을 갖는데, 캐뉼러는 진공 시스템에 연결되고, 캐뉼러의 자유 말단의 반대쪽 말단에서, 캐뉼러(50) 주변에서 숄더를 형성하는 접부(abutment)(52)에 의해 둘러싸인다.
유닛(31)이 몰드(1)를 끼워맞추고 제거하기 위한 구성에 있을 때, 유닛(31)의 축 위치는 몰드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깅 스테이션(42)와 수직으로 정렬하도록 한다.
작동자는 이전에 설명된 방식으로, 몰드(1)를 손에 의해 핑거(32)와 포크(33) 위에 놓고, 예를 들어 그의 다른 손을 사용하여, 플러그를 캐뉼러(50) 위로 끼우고(thread), 캐뉼러는 블라인드 홀(51) 안으로 침투한다. 본체(25)에 반대쪽인 헤드(24)의 면이 접부(abutment)(52)와 직면하고, 플러그는 캐뉼러(50)가 진공 시스템에 연결된 이 시간에 있다는 사실 덕분에 흡인에 의해 계속 유지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센터(40)를 사용하여, 작동자는 서로를 향해 셸(2)와 (3)을 움직이는 소정의 강도의 외부 힘이 발휘될때까지 피스톤 막대(37)의 전개를 명령한다.
유닛(31)은 그후 중합가능 액체 재료 도입 스테이션(41)쪽으로, 즉 도 6의 왼쪽을 향해서 추진되고, 추진 수단은 셀(46)과 함께 몰드(1)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구멍(19)에 대해 중심에 위치한 노즐(49)과 함께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중합가능 액체 재료 도입 스테이션(41)은 그후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8)과 (49)의 원단부가 구멍(19) 내부에 있을 때까지 아래쪽으로 추진된다.
보여준 실시예에서, 중합가능 재료 도입 노즐(48)의 원단부와 과잉 재료 흡인 노즐(49)의 원단부는 구멍(19)의 섹션(22)에 있고 상기의 어떠한 경우에는 섹션(21)과 면하고, 노즐(49)의 원단부는 노즐(48)의 원단부 위에 있다.
비록 노즐(49)이 수직이지만, 노즐(48)은 약간 경사져있어서, 이 노즐이 방출하는 중합가능 재료의 분출(jet)이 섹션(21)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배향되고, 해당 분출은 이 섹션을 통과하고 그후 셸(3)과 마주치고, 몰드(1)의 공동이 채워질 때 셸을 따라 중합가능 재료가 흐른다.
실제 문제로, 재료의 분출(jet)이 방금 지시한 방식으로 섹션(21)을 가로지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노즐(48)은 매우 개략적인 도 9에서보다 덜 경사져있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몰딩 공동안으로 도입된 재료는 셸(3)의 벽을 따라 흐른다는 사실은 균일한 렌즈를 제조하는 것을 돕고 특히 기포의 형성을 막는다.
중합가능 재료의 도입은 섹션(21) 및 섹션(22)의 일부가 중합가능 재료로 채워질때까지 계속된다.
섹션(21)은 몰딩 공동의 꼭대기에 있다고 가정하면, 이 섹션은 그 자체가 중합가능 재료로 채워질 때 어떠한 공기도 몰딩 공동에 남아있지 않다는 것이 확실하다.
노즐(49)은 그후 범람하는 중합가능 재료를 흡인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이 멈출때 중합가능한 재료의 수준은 섹션(21)의 꼭대기와의 수준이 되도록 노즐(49)의 원단부는 섹션(21)의 꼭대기에 대해 위치한다. 노즐(49)의 원단부와 섹션(21)의 꼭대기 사이의 높이 차이는 중합가능 재료 수준이 노즐(49)의 원단부의 수준 아래로 떨어지는 시간과 흡인이 멈추는 시간 사이에 남아있는 중합가능 액체 재료의 기둥의 높이에 해당한다.
중합가능 액체 재료의 표면은 도 10과 11의 도식에서 완전히 수평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실제 실행에서는 이 표면이 돔형태라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일단 중합가능 재료의 도입이 끝나면, 즉 노즐(49)에 의한 재료의 흡인이 멈출때, 스테이션(41)은 위쪽으로 추진되어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로 되돌아가고, 그 후에 구멍(19)이 셀(47) 및 러그(17)에 의해, 이전에 설명한 방식으로, 플러그(5)에 맞춰 끼워진 캐뉼러(50)가 구멍(19)에 대해 중심에 있는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몰드(1)의 수용 유닛(31)은 플러깅 스테이션(42)을 향해 수평으로 추진된다.
스테이션(42)은 그후 아래쪽으로 추진되어, 따라서 도 11 내지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5)는 구멍(19)안으로 점진적으로 침투한다.
플러그의 본체(25)가 섹션(21) 안으로 침투할때, 이 섹션에 함유된 중합가능 액체 재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챔버(26) 안으로 점진적으로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재료는 플러그의 본체(25)에 의한 섹션(21)의 플러깅 및 헤드(24)에 의한 섹션(23)의 플러깅 때문에 밀봉된 방식으로 포획된다.
챔버(26)를 향해 즉, 몰딩 공동으로부터 멀리, 섹션(21)에 함유된 중합가능 액체 재료를 방출하는 것은 플러그를 끼워맞추는 경우에 어떠한 공기도 몰딩 공동안으로 도입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본체(25)가 섹션(21)안으로 프레스되는 동안, 본체(25)와 섹션(21)의 외주 사이의 중합가능 액체 재료의 작은 부분이 몰딩 공동에서 어느정도의 압력 상승을 유발하지만, 이러한 역학적 압력 상승은 슬리브(34)와 (35)에 의해 가해진 외부 힘으로 인해 시일(4)와 셸(2)와 (3) 사이에서 어떠한 누출도 유발하지 않고, 그 외부 힘은 도 9 내지 13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단계 동안 내내 유지되었다.
일단 플러그(5)를 구멍(19) 안으로 끼워맞춤이 끝나면, 즉, 일단 스테이션(42)이 아래쪽으로의 이동의 최후에 있으면, 캐뉼러(50)와 진공 시스템 사이의 연결은 깨지고 캐뉼러(50)는 대기로 출구를 내고, 또는 심지어 약간 증가된 압력을 받고, 이는 스테이션(42)으로부터 플러그(5)를 방출하고, 그후 도 6에 나타낸 최상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제어 센터(40)를 사용하여, 작동자는 그후 유압액이 파이프(38) 및 (39)에서 피스톤 막대(37)를 액추에이터의 본체 안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초래하여, 그 결과 슬리브(35)를 끌어당겨, 도 8의 오른쪽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
슬리브(35)의 수축이 시작할때 발생하는, 셸(2) 및 (3)을 서로를 향해 움직이는 외부 힘의 방출은 시일(4)에 대한 셸(2)와 (3)의 위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셸(2)와 (3)의 각각은 흡입 효과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따라서 중합가능 재료로 채워진 몰드(1)는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발적으로 조립된 구성으로 남아있다. 작동자는 그후 유닛(31)으로부터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는 디바이스(30)으로부터 채워진 몰드(1)를 제거하고, 그후 이 몰드(1)는 수욕으로 수송된 후 몰딩 공동에서 재료를 중합하는데 필요한 시간동안 남아있다.
일단 중합이 완료되면, 렌즈는 시일(4)과 그다음 셸(2)와 (3)을 제거함으로써 몰드로부터 제거된다.
셸(2)및 (3)과 립(14) 사이의 누출의 부족은 시일(4)의 표면(10)과 (11) 사이에 중합된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플래시를 제거하기 위해 몰드로부터 제거한 후에 렌즈에 어떠한 중재도 필요하지 않고, 이는 또한 시일의 세척을 촉진하여 재순환하기 전에 중합된 재료를 제거한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실제로, 중합된 재료가 남아있는 시일(4)의 유일한 부분은 챔버(26)이고, 이것은 비교적 다루기 쉬운 매우 집중화된 영역이다.
도시하지 않은 변형에서는, 오직 셀(46)만이 제공된다: 플러깅 작동 전에 스테이션(42)과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몰드(1)의 위치는 몰드(1)가 스테퍼 모터를 사용하여, 스테이션(41)과 (42) 사이의 정확한 거리에 의해 스테이션(41)과 수 직으로 정렬되는 위치로부터 이 유닛(31)을 움직임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변형에서, 몰드(1)는 유닛(31)이 각각 수직으로 스테이션(41)과 정렬되는 위치와 스테이션(42)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유닛(31)위에 놓인다: 이것은 캐뉼러(50)위로 플러그(5)를 끼우기(thread) 위한 보다 많은 공간을 제공한다.
보여준 실시예에서, 셀(46)과 (47)은 각각 스테이션(41)과 스테이션(42)보다 위에 있지만, 그들은 러그(17)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어떠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다른 변형에서는, 충전 구멍은 오직 섹션(21)과 (22)을 포함하고, 플러그의 헤드가 직접적으로 시일의 측면 바깥쪽위에 위치하고, 표면(10)과 (11)에 의해 한정된 숄더와 같이, 몰딩 셸과 협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부터 멀리있는 시일에서 어떠한 구멍도 존재하지 않고, 이중-작용 유압 액추에이터(37)는 일부 다른 형태의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단일-작용 공기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대체되고 및/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도 8에서 나타낸 것 이외의 타입의 메카니즘이 서로를 향해 셸을 움직이기 위한 외부의 기계적인 힘을 생산하기 위해 제공되고, 이러한 메카니즘은 아마도 바이스 또는 척과 같이, 손으로 작동된다.
도시한 성분들의 치수 및 기계적인 특성의 관점에 대하여 또한 다수의 변형이 가능하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기술되고 보여준 실시예로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지적된다.

Claims (55)

  1. 중합가능한 재료로부터 광학 렌즈를 얻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두개의 셸(2,3), 및 상기 셸의 외주와 함께 몰딩 공동을 형성하는 수단(10,11)을 포함하는 환상 시일(4)로 구성된 몰드(1)를 이용하며, 상기 시일(4)은, 상기 셸(2,3)이 서로 근접하면 탄력적으로 압축하게 되어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몰딩 공동을 상기 중합가능한 재료로 충전하는 단계, 몰딩 공동에 충전된 재료를 중합하는 단계, 기계적인 외부힘을 가하여 상기 셸을 서로 근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힘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충전 구멍(19)이 상기 수단(10,11)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환상 시일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 단계 동안에 상기 재료는 상기 충전 구멍을 통해서 공동안으로 도입되고, 상기 재료는 기계적인 외부힘을 가하여 상기 셸을 서로 근접시키는 단계 후와 상기 힘을 방출하는 단계 전에 도입되며,
    상기 시일(4)의 각 구멍(19)을 막기 위해 플러그(5)가 제공되고, 상기 충전 단계는 상기 재료를 도입한 후와 상기 힘을 방출하는 상기 단계 전에 상기 구멍(19)의 각각을 상기 플러그(5)중의 하나로 막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상 시일(4)에서 유일한 구멍은 상기 충전 구멍(19)이며,
    상기 충전은, 상기 충전 구멍(19)이 상기 시일(4)의 정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리고 상기 몰드(1)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실시되며,
    상기 충전 구멍은 제 1 섹션(21)과 제 2 섹션(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21)은 이것의 제 1 말단과 제 2 말단 사이가 연장된 것이고, 상기 제 1 말단은 상기 몰딩 공동안으로 열려있고 상기 제 2 말단은 상기 제 2 섹션(22)의 제 1 말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5)의 본체(25)는 충전 구멍(19)을 틀어막도록 하기 위해 충전 구멍(19)의 제 1 섹션(21)에 타이트하게 끼워맞도록 이루어진 제 1 부분과, 충전 구멍(19)의 상기 제 2 섹션(22)과 함께 상기 본체(25)의 제 2 부분 주변의 챔버(26)를 구성하도록 하기 위해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본체(25)의 상기 제 1 부분은 자유 말단을 가지며, 상기 공동 및 구멍(19)의 상기 제 1 섹션(21)은 중합가능 재료를 공동안으로 도입하는 상기 단계 동안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공동 및 충전 구멍(19)의 상기 제 1 섹션(21)은 상기 충전 단계 동안에 제 1 섹션(21)과 제 2 섹션(22) 사이의 접합부의 높이 위치까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플러그(5)의 본체(25)주변의 상기 챔버(26)의 부피가 충전 구멍(19)의 상기 제 1 섹션(21)의 부피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19)은 제 3 섹션(23)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3 섹션(23)의 제 1 말단은 상기 제 2 섹션(22)의 제 2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3 섹션(23)의 제 2 말단은 상기 시일(4)의 외부로 개방되고,
    상기 플러그(5)는, 충전 구멍(19)의 상기 제 3 섹션(23)안으로 타이트하게 끼워맞도록 되어있어 상기 챔버(26)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는 헤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스(20)는 상기 충전 구멍(19) 주변에 제공되고 시일(4)의 외측면(15)에 대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19)은 방사상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19)은 상기 수단들(10,11) 사이의 중도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삭제
  13.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힘은 제어 센터(40)에 연결된 액추에이터(37)에 의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힘을 가하는 단계 동안, 상기 힘은 상기 셸(2,3)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각각의 슬리브(34, 35)를 지나서 상기 셸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를 수용하는 유닛(31)이 설치되고, 상기 힘을 가하여 상기 셸을 서로 근접시키는 상기 단계와 상기 힘을 방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유닛(31)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센터링 수단 및 앵귤러 배치 수단은, 몰드(1)를 수용하는 상기 유닛(31)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수단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시일(4)의 외측면(15)과 함께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두개의 핑거(32)를 포함하고, 상기 앵귤러 배치 수단은 상기 시일의 외측면(15)에 관하여 돌출되는 보스(20)와 함께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포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중합가능 재료를 상기 몰드(1)의 공동 안으로 도입하기 위한 스테이션(41) 및 상기 충전 구멍을 막기 위한 스테이션(42)이 제공되고, 상기 도입 스테이션(41)과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42)은 나란히 배치되고, 몰드(1)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유닛(31)은 플러깅 스테이션(42)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도입 스테이션(41)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가능 재료를 도입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48)과 과잉 재료를 흡인하기 위한 노즐(49)을 포함하는 스테이션(41)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상기 노즐(48)은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상기 노즐(48)의 원단부는 상기 흡인 노즐(49)의 원단부 아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5)는 상기 충전 구멍(19)을 막기 위해 제공되고 블라인드 홀(51)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로 상기 충전 구멍을 막는 단계는 상기 플러그(5)의 상기 블라인드 홀(51)에서 연동되도록 된 캐뉼러(50)를 포함하는 플러깅 스테이션(42)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러(50)는 진공 시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를 상기 캐뉼러 상의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상기 캐뉼러(50)는 대기로 구멍이 나있어 상기 플러그(5)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5)는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42)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충전 구멍(19)안으로 프레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4)의 외측면(15)에 대해 돌출하고, 시일의 잔부에서 가로방향의 단면(18)을 갖는 러그(1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몰드(1)의 공동안으로 상기 중합가능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스테이션(41) 및 상기 충전 구멍(19)을 막기 위한 스테이션(42)이 제공되고, 상기 도입 스테이션(41) 및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42)은 나란히 배치되며, 유닛(31)은 상기 몰드(1)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수용 유닛(31)은 플러깅 스테이션(42)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도입 스테이션(41)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셀(46,47)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41) 또는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42)에 관해 몰드(1)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되고, 몰드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유닛(31)은 상기 광학 셀(46,47)과 함께 상기 충전 스테이션(41)과 수직 정렬로 또는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42)과 수직 정렬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각각의 광학 셀(46, 47)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41) 및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42)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중합가능 재료로부터 광학 렌즈를 얻기 위해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사용되는 환상 시일로서,
    상기 시일은 두개의 대면하는 몰딩 셸(2,3)의 외주와 함께 몰딩 공동을 형성하는 수단(10,11)을 갖고, 제 1 셸(2)의 외주와 함께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수단(10,11)과 제 2 셸(3)의 외주와 함께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수단(10,11) 사이에 가해지는, 셸을 서로 근접시키는 힘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축되도록 이루어진 환상 시일에 있어서,
    상기 수단(10,11)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셸(2,3)의 외주와 함께 작동하도록 된 충전 구멍(19)을 가지며, 이 충전 구멍은 제 1 섹션(21)과 제 2 섹션(22)을 포함하고, 제 1 섹션(21)은 상기 몰딩 공동안으로 열려있는 제 1 말단과, 제 2 섹션(22)의 제 1 말단에 접합되는 제 2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5)의 상기 본체(25)는 충전 구멍(19)을 틀어막도록 하기 위해 충전 구멍(19)의 제 1 섹션(21)에 타이트하게 끼워맞도록 이루어진 제 1 부분과, 충전 구멍(19)의 상기 제 2 섹션(22)과 함께 상기 본체(25)의 제 2 부분 주변의 챔버(26)를 구성하도록 하기 위해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본체(25)의 상기 제 1 부분은 자유 말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 시일.
  30. 제 29항에 있어서, 유일한 구멍이 상기 충전 구멍(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31. 제 29항에 있어서, 플러그(5)의 본체(25) 주변의 상기 챔버(26)의 부피가 충전 구멍(19)의 상기 제 1 섹션(21)의 부피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19)은 제 3 섹션(23)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3 섹션은 제 2 섹션(22)의 제 2 말단에 결합되는 제 1 말단과, 상기 시일(4)의 외부로 개방되는 제 2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5)는 충전 구멍(19)을 막기 위해 충전 구멍(19)의 상기 제 3 섹션(23)안으로 타이트하게 끼워맞도록 된 헤드(24)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챔버(26)가 완전히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33. 제 29항에 있어서, 시일은 상기 충전 구멍(19) 주변에 제공되고 시일의 외측면(15)에 대해 돌출하는 보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34.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19)은 방사상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35.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19)은 상기 수단들(10,11) 사이의 중도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36.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4)의 외측면(15)에 대해 돌출하고, 시일의 잔부에서 가로방향의 단면(18)을 갖는 러그(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19)과 상기 러그(17) 사이의 앵귤러 거리는 상기 몰드(1)가 꼭대기에서 상기 충전 구멍(19)과 함께 위치할 때, 상기 러그(17)는 시일(14) 위에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38.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19)을 막기 위한 상기 플러그(5)는 상기 본체(25) 내부에 밀폐된 말단을 갖는 블라인드 홀(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39. 제 29항에 있어서, 내부에 벨트(8)보다 더 좁은 비드(9)가 결합되는 벨트(8)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는 도브테일-형태의 단면적을 가지며, 이 단면적의 더 좁은 쪽에 의해 상기 비드(9)가 상기 벨트(8)에 결합되며, 그 결과 상기 비드(9)의 어느 한쪽 위에는 상기 셸(2,3)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된 오목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4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5) 및 상기 시일(4)의 잔부는 동일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41. 중합가능 재료로부터 광학 렌즈를 얻기 위해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사용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간격을 두고 떨어진 두개의 대면하는 몰딩 셸(2,3)과, 상기 셸(2,3)의 외주와 함께 몰딩 공동을 구성하는 수단(10,11)을 갖는 환상 시일(4)로 형성된 몰드(1)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4)은 상기 셸을 서로 근접시키는 힘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디바이스(30)는 상기 중합가능 재료로 상기 몰딩 공동을 채우기 위한 수단(41,42)과 상기 셸(2,3)을 서로 근접시키는 힘을 가하기 위한 수단(34-40)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4)은 상기 셸(2,3)의 외주와 함께 작동하기 위한 상기 수단(10,11)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충전 구멍(19)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수단(41,42)이 상기 충전 구멍(19)을 통해서 상기 재료를 몰딩 공동안으로 도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셸을 서로 근접시키는 힘을 가하는 상기 수단(34-40)이 상기 충전 수단(41,42)의 사용 전과 후에 각각 상기 힘을 가하고 방출하도록 되고,
    상기 충전 구멍은 제 1 섹션(21)과 제 2 섹션(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21)은 이것의 제 1 말단과 제 2 말단 사이가 연장된 것이고, 상기 제 1 말단은 상기 몰딩 공동안으로 열려있고 상기 제 2 말단은 상기 제 2 섹션(22)의 제 1 말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5)의 상기 본체(25)는 충전 구멍(19)을 틀어막도록 하기 위해 충전 구멍(19)의 제 1 섹션(21)에 타이트하게 끼워맞도록 이루어진 제 1 부분과, 충전 구멍(19)의 상기 제 2 섹션(22)과 함께 상기 본체(25)의 제 2 부분 주변의 챔버(26)를 구성하도록 하기 위해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본체(25)의 상기 제 1 부분은 자유 말단을 가지며, 상기 공동 및 구멍(19)의 상기 제 1 섹션(21)은 중합가능 재료를 공동안으로 도입하는 동안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2. 삭제
  43. 삭제
  44. 제 41항에 있어서, 셸을 서로 근접시키는 힘을 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제어 센터(40)에 연결된 액추에이터(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5. 제 41항에 있어서, 셸을 서로 근접시키는 힘을 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셸에 상기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셸(2,3)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각각의 슬리브(34, 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6. 제 41항에 있어서, 셸을 서로 근접시키는 힘을 가하기 위한 상기 수단(34-40)이 제공된 상기 몰드(1)를 수용하기 위한 유닛(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7. 제 46항에 있어서, 몰드(1)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유닛(31)은 센터링 수단 및 앵귤러 배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수단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시일(4)의 외측면(15)과 함께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두개의 핑거(32)를 포함하고, 상기 앵귤러 배치 수단은 상기 시일의 외측면(15)에 관하여 돌출되는 보스(20)와 함께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포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9.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수단은, 상기 중합가능 재료를 상기 몰드(1)의 공동 안으로 도입하기 위한 스테이션(41) 및 상기 충전 구멍을 막기 위한 스테이션(42)을 포함하고, 상기 도입 스테이션(41)과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42)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스(30)는 상기 시일(4)의 꼭대기에 위치한 상기 충전 구멍(19)와 수직한 위치에서 상기 몰드를 수용하기 위한 유닛(31)을 포함하며, 몰드(1)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유닛(31)은 플러깅 스테이션(42)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도입 스테이션(41)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스테이션(41)은 상기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48) 및 과잉 재료를 흡인하기 위한 노즐(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도입 노즐(48)은 경사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2.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노즐(48)의 원단부는 상기 흡인 노즐(49)의 원단부 아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3.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19)을 막기 위한 상기 플러그(5)는 블라인드 홀(51)을 포함하고, 플러깅 스테이션(42)은 상기 플러그(5)의 상기 충전 블라인드 홀(51)에서 연동되도록 된 캐뉼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러(50)를 진공 시스템에 연결하여 상기 플러그를 상기 캐뉼러 상의 제자리에 유지하고 상기 캐뉼러(50)에 대기로 출구를 내어 상기 플러그(5)를 방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5.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5)를 상기 충전 구멍(19)안으로 밀어내기 위해서 상기 플러깅 스테이션(42)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047014542A 2002-03-19 2003-03-17 광학 렌즈 및 조인트를 얻는 방법 및 그것의 실행을 위한디바이스 KR100941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3380A FR2837419B1 (fr) 2002-03-19 2002-03-19 Procede pour l'obtention d'une lentille optique ainsi que joint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FR02/03380 2002-03-19
PCT/FR2003/000846 WO2003078144A1 (fr) 2002-03-19 2003-03-17 Procede pour l'obtention d'une lentille optique ainsi que joint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314A KR20040101314A (ko) 2004-12-02
KR100941628B1 true KR100941628B1 (ko) 2010-02-12

Family

ID=2779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542A KR100941628B1 (ko) 2002-03-19 2003-03-17 광학 렌즈 및 조인트를 얻는 방법 및 그것의 실행을 위한디바이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18098B2 (ko)
EP (1) EP1487631B1 (ko)
JP (1) JP4750363B2 (ko)
KR (1) KR100941628B1 (ko)
CN (1) CN100528543C (ko)
AT (1) ATE393010T1 (ko)
AU (1) AU2003232293A1 (ko)
BR (1) BR0303402B1 (ko)
DE (1) DE60320543T2 (ko)
FR (1) FR2837419B1 (ko)
WO (1) WO2003078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6006B1 (fr) * 2003-06-11 2007-03-23 Essilor Int Dispositif a supports articules pour le moulage d'une lentille optique, en particulier une lentille ophtalmique
FR2890592B1 (fr) * 2005-09-13 2007-11-30 Essilor Int Dispositif pour la realisation d'une lentille optique en matiere synthetique polymerisable.
CN101037013A (zh) * 2006-03-15 2007-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模具装置
CN101618589B (zh) * 2008-06-30 2012-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片模具
JP2011207152A (ja) * 2010-03-30 2011-10-20 Nikon-Essilor Co Ltd 光学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069259A1 (en) * 2010-07-05 2013-03-21 Cedric Buch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for providing an optical display
DE102013222232B4 (de) * 2013-10-31 2021-01-28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Brillenglas
KR102524455B1 (ko) * 2015-06-22 2023-04-24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CN109130040A (zh) * 2018-04-21 2019-01-04 丹阳市雷登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测量镜片模具间隙位置的方法
EP3725501B1 (en) * 2019-04-19 2023-10-25 Essilor International A molding device comprising mold shells and a gasket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configured to be worn by a wearer, such a gaske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le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0846A (en) * 1960-06-20 1963-01-01 Bausch & Lomb Mold construction for casting thermosetting plastics of accurately controlled shape
JPH09300478A (ja) * 1996-05-16 1997-11-25 Nikon Corp 光学素子の成形方法、成形用ガスケット、光学素子の成形に用いる注入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4501A (en) * 1960-04-13 1960-12-13 Titmus Optical Company Inc Glycol carbonate addition polymers
US3136000A (en) * 1962-10-18 1964-06-09 American Optical Corp Mold for producing lenses and lens blanks from polymerizable materials
US4257988A (en) * 1978-09-12 1981-03-24 Optical Warehouse Showroom And Manufacturing, Inc. Method and assembly for molding optical lenses
FR2449519A1 (fr) * 1979-02-23 1980-09-19 Essilor Int Joint annulaire propre au moulage de lentilles ophtalmiques ou optiques en matiere organiqu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 tel joint
JPS55134224U (ko) * 1979-03-16 1980-09-24
JPS55134224A (en) 1979-04-04 1980-10-18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High frequency heater
FR2469733A1 (fr) * 1979-11-08 1981-05-22 Essilor Int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 verre composite, en particulier lentille ophtalmique, et verre composite correspondant
JPS6218225A (ja) * 1985-07-16 1987-01-27 Mikasa Kogyo Kk 合成樹脂製複合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用ガスケツト
JPH01258916A (ja) * 1988-04-09 1989-10-16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成形用注形型
JPH01306230A (ja) * 1988-06-03 1989-12-11 Matsuba Megane Kogyo Kk カット加工用の合成樹脂製装飾眼鏡レンズを製造するためのガスケット
JP2852460B2 (ja) 1990-07-02 1999-02-03 戸田工業株式会社 紡錘形を呈した鉄を主成分とする金属磁性粒子粉末の製造法
JPH04218016A (ja) * 1990-10-03 1992-08-07 Asahi Opt:Kk 眼鏡用レンズ及びその製法
JPH0463210U (ko) * 1990-10-05 1992-05-29
US6391231B1 (en) * 1998-11-23 2002-05-21 Younger Mfg. Co. Method for side-fill lens cas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0846A (en) * 1960-06-20 1963-01-01 Bausch & Lomb Mold construction for casting thermosetting plastics of accurately controlled shape
JPH09300478A (ja) * 1996-05-16 1997-11-25 Nikon Corp 光学素子の成形方法、成形用ガスケット、光学素子の成形に用いる注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32293A1 (en) 2003-09-29
CN100528543C (zh) 2009-08-19
BR0303402A (pt) 2004-04-20
BR0303402B1 (pt) 2012-11-27
DE60320543T2 (de) 2009-05-28
WO2003078144A1 (fr) 2003-09-25
US20050179148A1 (en) 2005-08-18
FR2837419A1 (fr) 2003-09-26
JP4750363B2 (ja) 2011-08-17
EP1487631A1 (fr) 2004-12-22
US7718098B2 (en) 2010-05-18
DE60320543D1 (de) 2008-06-05
KR20040101314A (ko) 2004-12-02
EP1487631B1 (fr) 2008-04-23
ATE393010T1 (de) 2008-05-15
CN1642719A (zh) 2005-07-20
FR2837419B1 (fr) 2006-11-24
JP2005520708A (ja)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628B1 (ko) 광학 렌즈 및 조인트를 얻는 방법 및 그것의 실행을 위한디바이스
CA217530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lens mold filling and assembly
JPH07304045A (ja) 真空射出を用いる眼用レンズ成形の方法および装置
US53167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excess lens forming material
KR20090046813A (ko)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EP3366446B1 (en) Wax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njection nozzle used in lost-wax casting
MXPA97000097A (en) Mold with any annular gate for molding by injection of conta lenses
CN101238263B (zh) 注射喷嘴及使用该注射喷嘴的销连接方法
CA215134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lens mold filling and assembly
KR20040002661A (ko) 도즈 펌프, 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01754844A (zh) 排气装置
US6843940B2 (en) Method and mold for molding plastic lenses
CN115557086A (zh) 一种乳液泵、乳液泵插管设备及插管工艺
EP1243403B1 (en) Method for molding plastic lenses
JP6021266B2 (ja) 流動性補修材注入器
JP5999838B2 (ja) コンクリートまたはモルタルの供試体成型用型枠
KR20230158865A (ko) 씨피엠 공법에서의 대용량 가압 배기구조
AU7258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lens mold filling and assembly
EP1533096A1 (en) A manufacturing process for water-cleaning guns.
JPH08229985A (ja) 射出圧縮成形用金型
JP2000281188A (ja) 液体充填ノズルおよび液体充填方法
EP0895844A2 (de) Harzeinfüllgefäss mit Schliessvorrichtung
MXPA96001642A (en) Apparatus for filling and assembling molds for container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