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114B1 -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114B1
KR100940114B1 KR1020030013153A KR20030013153A KR100940114B1 KR 100940114 B1 KR100940114 B1 KR 100940114B1 KR 1020030013153 A KR1020030013153 A KR 1020030013153A KR 20030013153 A KR20030013153 A KR 20030013153A KR 100940114 B1 KR100940114 B1 KR 100940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ayer
forming
crystal display
active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291A (ko
Inventor
김용국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1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01D39/2082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Organic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4Chlorine

Abstract

본 발명은 픽셀 박막 폴리 증착 공정을 고온, 고압의 높은 가스비를 통하여 짧은 시간동안 진행함으로써, 박막의 밀도가 더욱 치밀하게 되어 낮은 두께에서도 저항의 손실 없이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박막의 폴리층으로 이루어진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도체 기판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액정층 상부에 실리콘 상에 형성된 절연체(SOI; silicon on insulator)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630 ∼ 650℃의 온도에서 SOI층 상에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칼라 필터, 픽셀 폴리, 칼라 디바이스

Description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IN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공정 조건으로 진행되었을 경우에 픽셀 폴리실리콘층을 SEM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면이다.
삭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이 적용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2에 도시된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가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 조건에 의하여 형성된 박막의 폴리실리콘층을 SEM으로 촬영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SOI(silicon-on-insulator) 웨이퍼를 이용한 능동 매트릭스 액정디스플레이(AMLCD;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칩의 제조 공정 중에서 픽셀부의 LCD 구동을 위한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리콘 액티브를 형성하고, 그리고 나서 임계전압(Vt)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게이트를 형성한 후 얕게 도핑된 드레인(LDD; lightly doped drain)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이어서, N+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공정을 수행한 후, 픽셀전극 콘택 형성을 위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식각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픽셀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고 픽셀 형성을 위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식각한 후 P+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여 이온주입을 수행한다. 이때 픽셀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625 ℃, 16 Pa의 압력에서 SiH4 120 sccm의 조건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공정 조건으로 진행되었을 경우에 픽셀 폴리실리콘층을 SEM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다. 이후의 공정은 배선 공정으로 CMOS 공정과 동일한다.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극의 제조방법에서는 낮은 밀도(low density)로 인하여 충분히 낮은 저항, 즉 6.0 x 106 Ω/SQ을 갖는 픽셀 폴리실리콘을 얻기 위해서는 폴리실리콘의 두께가 적어도 250 Å이상으로 두껍게 진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매우 두꺼운 두께의 픽셀 폴리실리콘으로 인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빛이 픽셀 폴리실리콘층을 통과하면서 백색(white)이 노란색(yellowish color)을 빛으로 바뀌게 되는 빛의 왜곡(distortion)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픽셀 개방(pixel open) 영역을 좁게, 즉 대략 15 x 10 ㎛2 정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지 못하여 디바이스의 밀도를 증가하는데 한계점을 드러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폴리실리콘막의 밀도가 더욱 치밀하게 되어 낮은 두께에서도 저항의 손실 없이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액정층 상부에 실리콘 상에 형성된 절연체(SOI; silicon on insulator)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630 ∼ 650℃의 온도에서 SOI층 상에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폴리실리콘 전극이 적용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도2에 도시된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가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폴리실리콘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액정판(100)에 실리콘 상에 형성된 절연체(SOI; silicon on insulator) 층(102)을 형성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한다. 그리고 나서, 실리콘 액티브를 형성한 후, 임계전압(Vt)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공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게이트를 형성한 후 얕게 도핑된 드레인(LDD; lightly doped drain)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이어서, N+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공정을 수행한 후, 픽셀 전극 콘택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식각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픽셀 형성을 위한 폴리실리콘(106)을 증착하고 픽셀 폴리실리콘층에 대한 사진식각 공정과 이온주입을 수행한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 폴리실리콘층(106)을 형성하는 공정은 대략 630∼650℃, 대략 45∼55Pa의 압력에서 SiH4가 약 430∼500sccm인 조건에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폴리실리콘 전극이 적용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도2에 도시된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가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하는 온도를 높게 진행함으로써 SiH4의 반응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두께를 대략 200 Å 정도 이하로 낮게 진행하고서도 매우 치밀한(dense) 폴리실리콘 박막을 얻게 된다.
전술한 공정조건을 적용하여 얻게된 박막의 두께에 대한 실험 데이터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대략적으로 45∼55 Pa의 높은 압력에서 반응되어 형성된 폴리실리콘 박막은 밀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즉, 대략 630∼650 ℃ 정도의 높은 온도, 높은 압력, 높은 가스비(high gas ratio)를 통하여 짧은 시간동안 저항의 손실(loss) 없이, 오히려 낮은 저항을 가진 공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픽셀부의 빛의 왜곡 현상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이렇게 얻은 저항은 5 x 106 Ohm/SQ 정도로 기존의 250 Å 정도의 두께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낮은 저항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본 명세서 내에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개시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 및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건으로 공정을 수행하면, 높은 품질의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픽셀 전극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 픽셀 개방 사이즈(pixel open size)의 제한을 해결함과 동시에 이로 인하여 고밀도(high density)의 픽셀을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해상도(high resolution)의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의 낮은 저항으로 픽셀 부 LCD의 반응 속도를 향상하여 속도 측면에서 낮은 저항과 비례하여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 부의 백색(white)의 황색화(yellowish)를 개선함으로써, 컬러 디바이스에 적용시 컬러 필터(color filter)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반도체 기판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정층 상부에 실리콘 상에 형성된 절연체(SOI; silicon on insulator) 층을 형성하는 단계;
    630 ∼ 650℃의 온도에서 상기 SOI층 상에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상기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45 ∼ 55Pa의 압력에서 실란(SiH4)의 유량을 430 ∼ 500sccm으로 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KR1020030013153A 2003-03-03 2003-03-03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KR100940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153A KR100940114B1 (ko) 2003-03-03 2003-03-03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153A KR100940114B1 (ko) 2003-03-03 2003-03-03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291A KR20040078291A (ko) 2004-09-10
KR100940114B1 true KR100940114B1 (ko) 2010-02-02

Family

ID=3736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153A KR100940114B1 (ko) 2003-03-03 2003-03-03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1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5529A (ja) 1986-08-25 1988-03-10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37169A (ko) * 1997-10-17 1999-05-25 순페이 야마자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302403B1 (ko) 1995-02-16 2001-11-07 야마자끼 순페이 반도체장치 제작방법
JP2002014375A (ja) 1990-12-13 2002-01-18 Kopin Corp 液晶光バル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5529A (ja) 1986-08-25 1988-03-10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2014375A (ja) 1990-12-13 2002-01-18 Kopin Corp 液晶光バルブ装置
KR100302403B1 (ko) 1995-02-16 2001-11-07 야마자끼 순페이 반도체장치 제작방법
KR19990037169A (ko) * 1997-10-17 1999-05-25 순페이 야마자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291A (ko) 200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6695B2 (en) Array substrates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491567B1 (ko) 픽셀 및 구동영역에서 상이한 전기적 특성들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 장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제조하는방법
JP4372993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309034C (zh) 底栅控制型多晶硅薄膜晶体管的制造方法
JP5150555B2 (ja) キャパシタ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を有する基板、これを具備した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該キャパシタ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WO2018000478A1 (zh) 薄膜晶体管的制造方法及阵列基板的制造方法
CN100339964C (zh) 具有轻掺杂漏极的金属氧化物半导体的制作方法
KR100307457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US5347146A (en) Polysilicon thin film transistor of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40213B1 (ko) 폴리실리콘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0940114B1 (ko)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 제조방법
KR100552296B1 (ko) 다결정규소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US7678623B2 (en) Staggered source/drain and thin-channel TFT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040178412A1 (e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transistor
CN115588696A (zh) 一种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薄膜晶体管的制备方法
US671332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film transistor panel
KR100349913B1 (ko)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0154303B1 (ko)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JP2776411B2 (ja) 順スタガ型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50572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JP3417402B2 (ja) 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312541B2 (ja) 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4157210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1308337A (ja) 低温ポリシリコンtftの製造方法
KR10108512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