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572A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572A
KR20070050572A KR1020050107939A KR20050107939A KR20070050572A KR 20070050572 A KR20070050572 A KR 20070050572A KR 1020050107939 A KR1020050107939 A KR 1020050107939A KR 20050107939 A KR20050107939 A KR 20050107939A KR 20070050572 A KR20070050572 A KR 2007005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ctive layer
doped region
photoresist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0572A/ko
Publication of KR2007005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77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e.g. of silic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Patterning using multi-mask exp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제조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은 절연 기판 상에 액티브층을 형성한 후, 액티브층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 절연막 상에 금속막을 형성한 후, 금속막 상에 패터닝된 제1 감광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금속막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후, 제1 감광막 상측으로부터 불순물을 저농도로 도핑하여 액티브층에 저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 감광막 상에 패터닝된 제2 감광막을 형성한 후, 제2 감광막 상측으로부터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액티브층에 고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 및 제2 감광막을 동시에 제거한 후, 고농도 도핑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갖는 제2 절연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콘택홀을 통해 고농도 도핑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제조 공정수를 줄이고, 식각 공정시 게이트 전극의 언더컷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OF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200 : 절연 기판
300 : 차단막 400 : 박막 트랜지스터
410 : 액티브층 420 : 제1 절연막
430 : 금속막 440 : 제1 감광막
450 : 게이트 전극 460 : 제2 감광막
470 : 제2 절연막 480 : 소오스 전극
490 : 드레인 전극 500 : 보호막
600 : 화소 전극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수를 줄이고, 식각 공정시 게이트 전극의 언더컷(under cut)을 방지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하나로써, 다른 평판표시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 기판, TFT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키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TFT 구조에 따라서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이하, a-Si TFT) 기판이 채용된 a-Si 액정표시장치와,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polycrystalline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이하, poly-Si TFT) 기판이 채용된 poly-Si 액정표시장치로 구분된다.
최근 들어, 액정표시장치가 대면적화 및 고밀도화 됨에 따라, a-Si TFT 기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하의 이동 속도가 빠른 poly-Si TFT 기판을 채용한 poly-Si 액정표시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poly-Si TFT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절연 기판의 상면에는 차단막이 형성되고, 차단막 상에 poly-Si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이 형성된다. 이어서, 액티브층 상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된 후, 게이트 절연막 상에 금속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금속막 상에 패터닝된 제1 감광막을 형성하고, 금속막을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 감광막 상측으로부터 불순물을 저농도로 도핑하여 액티브층에 저농도 도핑 영역(Lightly Doped Drain : LDD)을 형성한 후, 제1 감광막을 제거한다. 이어서, 패터닝된 제2 감광막을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하고, 제2 감광막 상측으로부터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액티브층에 고농도 도핑 영역(Heavily Doped Drain : HDD)을 형성한 후, 제2 감광막을 제거한다. 이어서, 고농도 도핑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갖는 층간 절연층을 형성한 후 고농도 도핑 영역에 각각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poly-Si TFT 기판이 완성된다.
그러나, 액티브층에 저농도 도핑 영역과 고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감광막을 서로 다른 공정에서 제거함으로써, 제조 공정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게이트 전극은 금속막을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식각시켜 형성함으로써, 제1 감광막의 하부로 용액이 침투하여 게이트 전극에 언더컷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제조 공 정수를 줄이고, 식각 공정시 게이트 전극의 언더컷을 방지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은 절연 기판 상에 액티브층을 형성한 후, 상기 액티브층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금속막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막 상에 패터닝된 제1 감광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금속막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감광막 상측으로부터 불순물을 저농도로 도핑하여 상기 액티브층에 저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감광막 상에 패터닝된 제2 감광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감광막 상측으로부터 상기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상기 액티브층에 고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광막을 동시에 제거한 후, 상기 고농도 도핑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갖는 제2 절연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고농도 도핑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금속막은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식각된다.
상기 액티브층은 폴리-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폴리-실리콘 재질의 액티브층에 저농도 도핑 영역 및 고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감광막을 동시에 제거하고, 금속막은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식각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공정수를 줄이고, 식각 공정시 게이트 전극의 언더컷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은 절연 기판(200), 차단막(300),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400), 보호막(500) 및 화소 전극(600)을 포함한다.
절연 기판(200)은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유리나 석영, 사파이어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기판이다.
차단막(300)은 절연 기판(200)상에 형성된다. 차단막(300)은 실리콘 산화물질로 이루어진다. 차단막(300)은 절연 기판(200) 내의 각종 불순물들이 TFT(4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TFT(400)는 절연 기판(200)의 TFT 영역(TA)에 형성된다. TFT(400)는 차단막(300) 상에 형성된 액티브층(410), 액티브층(410) 상에 형성된 제1 절연막(420), 절연막(420)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450), 게이트 전극(450) 상에 형성된 제2 절연막(470) 및 액티브층(410)에 연결되는 소오스 전극(480) 및 드레인 전극(490)을 포함한다.
액티브층(410)은 폴리-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TFT 영역(TA)에 형성된다. TFT 영역(TA)은 채널 영역(CA), 채널 영역(CA)의 좌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 2 저농도 도핑 영역(LDD1, LDD2), 제1 저농도 도핑 영역(LDD1)의 좌측에 위치한 제1 고농도 도핑 영역(HDD1), 및 제2 저농도 도핑 영역(LDD2)의 우측에 위치한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저농도 도핑 영역(LDD1, LDD2)에는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 보다 상대적으로 불순물이 낮은 농도로 도핑된다. 불순물은 가전자가 5개인 5족 원소(N)이다. 예를 들어, 불순물은 인(P) 또는 비소(As)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불순물은 가전자가 3개인 붕소(B) 및 갈륨(Ga)과 같은 3족 원소(P)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티브층(410) 상에는 제1 절연막(420)이 형성된다. 제1 절연막(420)은 금속 물질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계면에 공기층의 형성을 억제하는 산화실리콘(SiO2)이나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다.
제1 절연막(420) 상에는 게이트 전극(450)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450)은 채널 영역(CA)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450)은 일 예로, 도전성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게이트 전극(450) 상에는 제2 절연막(470)이 형성된다. 제2 절연막(470)은 일부분이 제거되어 액티브층(41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콘택홀(472, 474)을 갖는다. 이때, 제1 및 제2 콘택홀(472, 474)은 각각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에 형성된다.
제2 절연막(470) 상에는 소오스 전극(480) 및 드레인 전극(490)이 형성된다. 소오스 전극(480)은 제1 고농도 도핑 영역(HDD1)에 위치하고, 드레인 전극(490)은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2)에 위치한다. 소오스 전극(480) 및 드레인 전극(490)은 제1 및 제2 콘택홀(472, 474)을 통해 액티브층(410)과 연결된다.
소오스 전극(480) 및 드레인 전극(490)의 상부, 및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2 절연막(470)의 상부에는 TFT(4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500)이 구비된다. 보호막(500)은 일부분이 제거되어 드레인 전극(490)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3 콘택홀(510)을 갖는다.
보호막(500)의 상부에는 화소 전극(600)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화소 전극(600)은 제3 콘택홀(510)을 통해 드레인 전극(4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FT(400)에는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 보다 상대적으로 불순물의 농도가 낮은 제1 및 제2 저농도 도핑 영역(LDD1, LDD2)이 형성됨으로써, 오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TFT 기판(10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절연 기판(200)의 상부에 차단막(300)을 형성한 후, 차단막(300)의 상부에 TFT 영역(TA)에 대응하도록 액티브층(410)을 형성한다. 차단막(300)은 절연 기판(200) 내의 각종 불순물들이 TFT(4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액티브층(410)은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액티브층(410) 상에 제1 절연막(420)을 형성한다. 금속 물질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계면에 공기층의 형성을 억제하는 산화실리콘(SiO2)이나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다. 제1 절연막(420)은 액티브층(410)과 상부에 형성될 게이트 전극(450)의 쇼트를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절연막(420) 상에 금속막(430)을 형성한다. 금속막(430)은 스퍼터링 증착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막(430)은 일 예로, 알루미늄 합금, 알루미늄-네오디뮴 합금물질로 형성된 알루미늄 합금막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속막(430) 상에 제1 감광막(440)을 형성한다. 제1 감광막(440)은 자외선광에 의해 제거되는 감광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제1 감광막(440)은 채널 영역(CA)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금속막(430)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440)을 형성한다. 금속막(430)은 제1 감광막(440)에 의해 미커버된 영역이 식각되는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건식 식각 공정은 아르곤 가스 또는 혼합 화학가스를 사용하여 플라즈마 상태에서 이온의 가속력과 화학 작용으로 식각하는 공정으로 비등방성인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건식 식각 공정은 종래에 사용한 습식 식각 공정과는 달리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습식 식각 공정에서 용액이 제1 감광막(440)의 하부로 침투함으로 인해 발생되던 게이트 전극(450)의 언더컷(under cut)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식 식각은 진공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감광막(440) 상측으로부터 불순물을 저농도로 도핑하여 게이트 전극(450)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응하는 액티브층(410)에 불순물이 저농도로 도핑된다. 즉, 채널 영역(CA)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되는 액티브층(410)에 불순물이 저농도로 도핑된다. 불순물은 가전자가 5개인 5족 원소(N)이다. 예를 들어, 불순물은 인(P) 또는 비소(As)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불순물은 가전자가 3개인 붕소(B) 및 갈륨(Ga)과 같은 3족 원소(P)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되는 불순물은 N- 또는 P-로 표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감광막(440) 상에 패터닝된 제2 감광막(460)을 형성한다. 제2 감광막(460)은 제1 감광막(440) 및 게이트 전극(450)을 커버하면서 제1 절연막(420)에 접한다.
제2 감광막(460)은 제1 감광막(44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 감광막(460)은 채널 영역(CA), 제1 및 제2 저농도 도핑 영역(LDD1, LDD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된다.
이후, 제2 감광막(460) 상측으로부터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액티브층(410)에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은 액티브층의 양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채널 영역(CA)과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 사이에 제1 및 제2 저농도 도핑 영역(LDD1, LDD2)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되는 불순물은 N+ 또는 P+로 표기된다.
즉,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액티브층(410)에는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양측에 불순물이 저농도로 도핑된 제1 및 제2 저농도 도핑 영역(LDD1, LDD2)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저농도 도핑 영역(LDD1, LDD2)의 외측에는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450) 상에 패터닝된 제1 및 제2 감광막(도 8의 440, 460)을 동시에 제거한다. 제1 감광막(도 8의 440)은 게이트 전극(450)을 패터닝시키고, 액티브층(410) 상에 제1 및 제2 저농도 도핑 영역(LDD1, LDD2)이 형성시킨다. 제2 감광막(도 8의 460)은 액티브층(410) 상에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을 형성시킨다. 제1 및 제2 감광막(도 8의 440, 460)은 강산성의 용액에 의해 제거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감광막(도 8의 440, 460)은 황산(H2SO4)용액에 의해 제거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450)이 형성된 절연 기판(200)의 전면에 제2 절연막(470)을 형성한다. 이때, 제2 절연막(470)에는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된 제1 및 제2 콘택홀(472, 474)이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콘택홀(472, 474)이 형성된 제2 절연막(470) 상에 금속 물질을 도포한다. 이어서, 금속 물질을 패터닝하여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거함에 따라 소오스 전극(480) 및 드레인 전극(490)을 형성한다. 소오스 전극(480) 및 드레인 전극(490)은 제1 및 제2 콘택홀(472, 474)을 통해 액티브층(410)의 제1 및 제2 고농도 도핑 영역(HDD1, HDD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후, 소오스 전극(480) 및 드레인 전극(490)이 형성된 절연 기판(200)의 전면에 보호막(500)을 형성한다. 보호막(500)은 드레인 전극(490)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일부분이 제거되어 제3 콘택홀(510)을 형성한다. 보호막(500) 상에 투명한 도전성 전극이 도포된 후,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제3 콘택홀(510)을 통해 드레인 전극(4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전극(도 1의 60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폴리-실리콘 재질의 액티브층 상에 불순물이 저농도로 도핑된 저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감광막과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고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감광막을 동시에 제거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은 금속막을 종래의 용액을 사용하던 습식 식각 공정과는 달리 가스를 사용하는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식각시켜 형성됨으로써, 습식 식각 공정에서 감광막의 하부로 용액이 침투하여 발생되던 게이트 전극의 언더컷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절연 기판 상에 액티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층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막 상에 패터닝된 제1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막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감광막 상측으로부터 불순물을 저농도로 도핑하여 상기 액티브층에 저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감광막 상에 패터닝된 제2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감광막 상측으로부터 상기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상기 액티브층에 고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감광막을 동시에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농도 도핑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갖는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고농도 도핑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식각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은 폴리-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도핑 영역은 상기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도핑 영역은 상기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상기 저농도 도핑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은 5족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은 3족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KR1020050107939A 2005-11-11 2005-11-1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KR20070050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939A KR20070050572A (ko) 2005-11-11 2005-11-1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939A KR20070050572A (ko) 2005-11-11 2005-11-1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572A true KR20070050572A (ko) 2007-05-16

Family

ID=3827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939A KR20070050572A (ko) 2005-11-11 2005-11-1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05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814B1 (ko) * 2008-08-05 2011-02-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온에서 동작하는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035660B1 (ko) * 2009-02-16 2011-05-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1453B1 (ko) 2015-10-14 2016-02-03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아파트 발코니 누수방지를 위한 벽체 매립배관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814B1 (ko) * 2008-08-05 2011-02-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온에서 동작하는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035660B1 (ko) * 2009-02-16 2011-05-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1453B1 (ko) 2015-10-14 2016-02-03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아파트 발코니 누수방지를 위한 벽체 매립배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5290B1 (en) Etching method, thin film transistor matrix substrate, and its manufacture
KR100204071B1 (ko) 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US738792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TW201301521A (zh) 用以邊緣電場切換模式液晶顯示器之陣列基板及其製造方法
JP2010135384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70075808A (ko)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표시 기판
WO2020228499A1 (zh) 晶体管器件及其制造方法、显示基板、显示装置
KR101274708B1 (ko) 평판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07457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US20180197974A1 (en) Oxide semiconductor film etch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11627933B (zh) 主动元件基板及其制造方法
KR20070050572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US20130087802A1 (en) Thin film transistor,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KR101475411B1 (ko) 폴리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809750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JPH11135797A (ja) 積層膜の形状加工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0275957B1 (ko)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441436B1 (ko) 투과율이 향상된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321122B (zh) Cmos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KR101050284B1 (ko)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54719A (ja) 半導体製造方法、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0656493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H02297969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とその製造方法
KR101258080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0781A (ko) 표시장치용 어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