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618B1 - 주출용기 - Google Patents

주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618B1
KR100939618B1 KR1020047000348A KR20047000348A KR100939618B1 KR 100939618 B1 KR100939618 B1 KR 100939618B1 KR 1020047000348 A KR1020047000348 A KR 1020047000348A KR 20047000348 A KR20047000348 A KR 20047000348A KR 100939618 B1 KR100939618 B1 KR 100939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iece
check valve
gas inlet
inle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181A (ko
Inventor
스즈키가즈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4010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스퀴즈변형 가능하고 복원자유자재인 가요성을 가지고, 상부에 원통형상의 외부용기체 입구부를 세워 형성한 외부용기체와, 외부용기체 입구부에 원통형상의 내부용기체 입구부를 직접 끼워맞춤 조립 고정한 상태로 외부용기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피감소 변형가능한 내부용기체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 내부용기체 입구부내부에 끼워맞춤 조립 고정하여, 외부 공기의 진입을 불가능하게 내부용기체 입구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역지밸브부와, 외부용기체 입구부와 내부용기체 입구부 중 어느 한쪽에 끼워맞춤 조립 고정하고, 다른 한쪽에 선단부를 밀접하게 둘레 접촉하여, 외부용기체와 내부용기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입구부 상단으로부터 바닥부에 이르는 유동통로를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진입은 가능하게, 내부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을 불가능하게 개폐하는 제 2 역지밸브부에 의해,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소형의 2중용기로 실현가능한 역지밸브기구를 구성하며, 이로써 생산성이 높고, 외부공기의 내부로의 진입이 없고, 위생면에서 뛰어난 주출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출용기{DISPENSING CONTAINER}
본 발명은, 주출용기, 특히 용기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진입시키는 일없이 내용물의 주출이 가능한 안약용 용기 등의 주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안약 등의 약품을 수납하는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의 몸통부를 손가락으로 눌러, 소량씩 주출하는 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주출을 끝내고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몸통부가 탄성적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 그 결과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용기내부에 진입하여, 공기중에 존재하는 이물이나 잡균이 내용액에 혼입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성 4-29726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성 6-14972호 공보에는, 내용액의 토출유로내에 필터를 부설하는 방법, 또한 일본 실용공개 소화 63-183047에는 용기의 말단부가 편평화된 형상 또는 편평화현상으로 접기 가능하게 하여, 용기의 부피가 내용액의 감소에 따라서 감소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의 진입을 억제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있다.
또한, 외부의 공기를 진입시키지 않는 방법으로서, 일본 실용공개 평성 7-22951호 공보에는, 내부용기체(안용기체)를 내부에 수납한 용기본체(바깥용기체)의 개구부에 주출캡체를 씌워 부착하여, 이 캡체에 내용물을 주출가능하고, 또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지 않는 내용물 토출밸브와, 외부의 공기를 흡입가능하고 또한 공기를 외부에 토출하지 않는 공기흡입밸브를 설치하여, 내용물이 감소한 만큼, 내부용기체와 용기본체의 틈새에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2중용기에 대한 기재가 있다.
그러나, 토출유로내에 필터를 부설하는 방법은, 필터의 막힘에 의해, 혹은 필터 부분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일본 실용공개 소화 63-183047의 말단부를 편평화하는 방법은, 주로 예를 들면 치약용 튜브 등에 사용되는 것을 응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상의 변리성, 외관상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실용공개 평성 7-22951호 공보의 2중용기에 있어서는, 특히 주출캡체에서 용기본체와 내부용기체의 입구부를 조립 고정하고, 또한 이 주출캡체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가능하고 또한 공기를 외부에 토출하지 않는 공기흡입밸브의 기능을 부가하는 등, 복잡한 구성이며, 특히 안약 등의 주출용기에서는 현실적으로 이러한 기능을,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부설하는 것이 어렵고,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특히 소형의 2중용기로 실현 가능한 역지 밸브기구의 창출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이로써 생산성이 높으며, 외부공기의 내부에의 진입이 없고, 위생면에서 뛰어난 주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중, 청구항 1에 기재된 수단은,
스퀴즈변형가능하고 복원자유자재인 가요성을 가지고, 상부에 원통형상의 외부용기체 입구부를 세워 형성한 외부용기체를 가지는 것,
외부용기체 입구부에 원통형상의 내부용기체 입구부를 직접 끼워맞춤 조립한 상태에서 외부용기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피감소 변형가능한 내부용기체를 가지는 것,
내부용기체 입구부 내부에 끼워맞춤 조립 고정하여, 외부의 공기의 진입을 불가능하게 내부용기체 입구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역지밸브부를 가지는 것,
외부용기체 입구부와 내부용기체 입구부 중 어느 한쪽에 끼워맞춤 조립 고정되고, 다른 쪽에 선단부를 밀접하게 둘레접촉하여, 외부용기체와 내부용기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입구부 상단에서 바닥부에 이르는 유동통로를 외부로부터의 공기 진입은 가능하게, 내부로부터의 공기 배출을 불가능하게 개폐하는 제 2 역지 밸브부를 가지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외부용기체와, 내부용기체와, 제 1 역지밸브부 및 제 2 역지밸브부를 조립 고정함으로써, 외부용기체와 내부용기체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입구부 상단에서 바닥부에 이르는 틈새는 연이어 통한 공기의 유동통로가 되지만, 외부용기체 입구부 혹은 내부용기체 입구부 중 어느 한쪽에 조립 고정되어, 다른쪽에 선단부를 밀접하게 둘레접촉하는 제 2 역지밸브부가, 외부용기체 입구부와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의해 형성되는 틈새에 위치하여, 유동통로를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진입은 가능하게, 내부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을 불가능하게 개폐하는 역지밸브로서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외부용기체의 몸통부의 누름에 의해, 내부용기체내에 수납된 내용물을 주출한 후, 누름을 멈추고, 누름을 해제하면 내용물의 주출이 멈추고, 외부용기체의 몸통부가 탄성적인 회복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시작하여,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조립 고정한 제 1 역지밸브의 작용효과에 의해 내부용기체 내부에의 내용물의 역류 및 외부의 공기 진입을 막을 수 있다.
이 때, 내부용기체는 부피감소 변형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입구부 상단면에서 도입되고, 제 2 역지밸브부의 선단부를 변형시켜, 그 밀접하게 둘레접촉상태를 해제하면서, 외부용기체와 내부용기체로부터 형성되는 틈새로 도입하며, 그 결과적으로 내부용기체가 부피감소 변형한 상태로, 외부용기체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외부용기체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해 다시 누를 때에는, 제 2 역지밸브부의 역지기능에 의해, 유동통로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내용물에 압력이 가해져서, 내용물이 제 1 역지밸브부를 열어 외부로 주출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내부용기체내로 진입시키는 일없이, 외부용기체와 내부용기체의 틈새로 진입시킴으로써, 내용물을 외부의 공기에 접촉시키는 일 없이, 누름에 의한 주출조작성을 손상하는 일이 없는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여기서, 청구항 1의 구성은, 외부용기체 입구부와 내부용기체 입구부를 직접 조립 고정하고, 또한, 제 1 역지밸브부를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또한 제 2 역지밸브부를 내부용기체 입구부 혹은 외부용기체 입구부에 끼워맞춤 조립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품수를 적게 하는 것, 용기의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 안약주출용기와 같은 소형의 것에 있어서도, 2종의 역지 밸브를 가지는 2중용기를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 2 역지밸브부를, 원통형의 바깥끼움통편의 하단에 복원자유자재인 안쪽으로의 변형을 가능하게 아래쪽으로 지름이 확대된 테이퍼통형상의 제 2 밸브본체를 아래로 늘어뜨려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바깥끼움통편을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밀접하게 바깥에서 끼워, 제 2 밸브본체의 바깥둘레끝단을 외부용기체 입구부의 안둘레면에 밀접하게 둘레접촉한 상태에서, 제 2 역지밸브부를 상기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조립 고정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상기 구성은, 제 2 역지밸브부의 구조 및 조립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전체의 형상이 축대칭인 꼭대기를 가지는 아래쪽으로 지름이 확대된 테이퍼통형상이고 연질합성수지 혹은 고무형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제 2 역지밸브부의 조립 고정은, 원통형의 바깥끼움통편을, 원통형의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바깥에서 끼워맞춤하는 것으로, 둘레방향의 위치결정을 하지 않고 용기에 조립 고정을 달성할 수 있으며, 제 2 밸브본체의 바깥둘레끝단을 정밀도 높게 외부용기체 입구부의 안둘레면에 둘레접촉시킬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내부용기체 입구부와의 시일성도 확실히 유지되기 때문에, 역지밸브로서의 작용효과를 확실히 발휘시킬 수 있다.
즉, 본 청구항에 기재된 제 2 역지밸브부는,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고, 또한 그 조립 고정의 공정도 용이한 것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용기를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그리고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내부용기체 입구부의 안둘레면에서 안날밑둘레편을 연이어 접하여 주출구를 형성하고, 제 1 역지밸브부를 원통형상의 끼워넣음통편의 하단부에 연결편을 통해 제 1 밸브본체를 연이어 설치한 구성으로 하며, 끼워넣음통편을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밀접하게 끼워넣어, 이 끼워넣음통편의 하단면을 안날밑둘레편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 1 역지밸브부를 내부용기체 입구부의 내부에 조립 고정하여, 제 1 밸브본체가 주출구를 개폐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상기 구성은, 제 1 역지밸브부의 구조 및 조립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제 1 역지밸브부의 조립 고정은, 원통형상의 끼워넣음통편을, 원통형상의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끼워넣어, 하단면을 안날밑둘레편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조립 고정하기 때문에, 둘레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의 조립고정을 달성할 수 있고, 동시에 내부용기체 입구부와의 시일성도 확실히 유지되기 때문에, 제 1 밸브본체에 의한 역지밸브로서의 작용효과를 확실히 발휘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그리고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원통형의 주출통편의 상단에, 바깥날밑형상으로 플랜지편을 연이어 형성하고, 또한 지름축소부를 통해 앞끝단통편을 세워 형성한 주출부를, 주출통편을 제 1 역지밸브부의 끼워넣음통편에 밀접하게 끼워넣고, 플랜지편의 하면을 내부용기체 입구부의 상단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내부용기체 입구부의 상단부에 조립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역지밸브부의 끼워넣음 통편은 안팎에서 각각 원통형의 주출통편 및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의해 끼워지고, 또한 상단면이 플랜지편에 접촉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고정 및 시일성이 보다 강고하게 달성되고, 보다 신뢰성이 높은 역지밸브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외부용기체 몸통부와 내부용기체 몸통부를 튜브체로부터 형성하는 것에 있다.
상기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해, 압출성형된 튜브체 등을 사용하고, 이 튜브체의 일끝단에, 어깨부와 입구부를 사출성형 혹은 압축성형에 의해서 형성하여 일체화하고, 외부용기체에 내부용기체를 아래쪽에서 삽입후, 남는 일끝단을 함께 시일하는 등의 수단으로, 용이하게 2중용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내용물을 안약으로 하는 것에 있으며,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내용물을 안약으로 하는 것에 있다.
외부의 공기의 잡균 혹은 쓰레기 등의 이물이 용기본체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성, 안전성에 뛰어난 안약용의 주출용기를 제공할 수 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주출용기의 실시예 1에 오버캡을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반종단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출용기의 실시예 1에 오버캡을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출용기의 실시예 1을 주요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주출용기의 실시예 1을 주요부 확대하여, 도 4의 B-B선에 따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주출용기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것으로, 외부용기체 (1), 내부용기체(11), 제 1 역지밸브부(21), 제 2 역지밸브부(26) 및 주출부(31)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이 중 외부용기체(1), 내부용기체(11) 및 주출부(31)는 경질성의 합성수지, 제 1 역지밸브부(21) 및 제 2 역지밸브부(26)는 연질성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형상의 재료로부터 형성된다(이하 주로 주요부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외부용기체(1)는 스퀴즈변형가능하고 복원자유자재인 가요성을 가지는 외부용기체 몸통부(3)의 상부에 테이퍼형의 어깨부를 통해 원통형상의 외부용기체 입구부(2)를 세워 형성한 것으로, 이 외부용기체 입구부(2)의 상단부에는 안날밑형상으로 후술하는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걸어멈춤홈(16)에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 안날밑편(5)이 둘레에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는 나선조(2a)가 형성되며, 또한 안둘레면 대략 중앙높이위치에 단부(2b)가 형성되어 그 하부에, 내부용기체 입구부(13)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제 2 역지밸브부(26)가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내부용기체(11)는 부피축소 변형가능하게 두께가 얇게 형성된 내부용기체 몸통부(12)의 상부에 테이퍼형의 어깨부를 통해 원통형의 내부용기체 입구부(13)를 세워 형성한 것으로, 안둘레면의 대략 중앙높이위치에 안날밑둘레편(15)이 둘레에 형성되어 주출구(17)를 형성하고, 바깥둘레면의 상부에는 외부용기체(1)의 걸어멈춤 안날밑편(5)이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홈(16)이 형성되며, 대략 중앙높이위치에는 후술하는 제 2 역지밸브부(26)의 바깥끼움통편(27)을 밀접하게 바깥에서 끼워 조립 고정하기 위한 둘레홈(19)이 형성되고, 또한 상단부에서 둘레홈(19)에 이르는 외부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홈(18)이 (도 4, 5 참조) 복수개(본 실시예 1에서는 8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외부용기체(1) 및 내부용기체(11)는 어느 것이나, 압출성형에 의해 얻어진 튜브체의 일끝단에, 어깨부와 입구부를 사출성형 혹은 압축성형에 의해서 형성하여 일체화하고, 외부용기체(1)에 내부용기체(11)를 아래쪽 으로부터 삽입 후, 남는 일끝단을 합쳐서, 시일부(10)를 형성하여 얻어진 것이다(도 1, 2 참조).
제 1 역지밸브부(21)는 연질성의 합성수지 혹은 고무형상의 재료로 형성되고, 원통형상의 끼워넣음통편(22)의 안둘레면의 하단부 근방으로부터 작은조각형상의 연결편(24)을 통해 하면중앙부에 반구형상의 볼록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제 1 밸브본체(23)를 연이어 접한 것으로, 끼워넣음통편(22)을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안둘레면에 밀접하게 끼워넣고, 하단면을 안날밑둘레편(15)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내부용기체 입구부(13)에 조립 고정하고, 연결편(24)의 가요성, 탄성적인 회복변형성을 이용하여 제 1 밸브본체(23)가 상하로 요동하여 주출구(17)를 개폐하는 역지밸브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제 2 역지밸브부(26)는, 연질성의 합성수지 혹은 고무형상의 재료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바깥끼움통편(27)의 하단에 복원자유자재인 안쪽으로의 변형을 가능하게 아래쪽에 지름이 확대된 테이퍼통형상의 제 2 밸브본체(28)를 아래로 늘어뜨려 설치한 것으로, 바깥끼움통편(27)을 둘레홈(19)의 부분에 밀접하게 바깥에서 끼워 내부용기체 입구부(13)에 조립 고정하지만, 이 때 바깥끼움통편(27)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둘레홈(19)에 접촉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하방향의 위치결정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 이 제 2 역지밸브부(26)의 둘레홈(19)에의 조립 고정은 언더커트상태이지만, 제 2 역지밸브부(26)를 유연성이 큰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내부용기체 입구부 (13)의 위쪽으로부터 바깥에서 끼우도록 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주출부(31)는 원통형의 주출통편(32)의 상단에, 바깥날밑형상에 플랜지편 (33)을 연이어 설치하고, 또한 지름축소부를 통해 앞끝단통편(34)을 세워 설치한 것으로, 주출통편(32)을 끼워넣음통편(22)에 밀접하게 끼워 넣고, 플랜지편(33)의 하면을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상단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내부용기체 입구부 (13)의 상단부에 조립 고정한다.
플랜지편(33) 및 주출통편(32)에 의해 연질성의 재료로 형성된 제 1 역지밸브부(21)를 확실히 고정함과 동시에, 목적에 따른 형상의 앞끝단통편(34) 및 주출선단구(35)를 형성할 수가 있다.
상술한 외부용기체(1), 내부용기체(11), 제 1 역지밸브부(21), 제 2 역지밸브부(26) 및 주출부(31)를 조립한 상태에서, 외부용기체 입구부(2)의 상단에서, 흡기홈(18)을 거쳐 제 2 역지밸브부(26)의 제 2 밸브본체(28)를 통해, 외부용기체(1)와 내부용기체(11)에 의해서 형성되는 틈새(9)에 이르는 외부의 진입하는 유동통로 (8)가 연이어 통하고, 또한 제 2 밸브본체(28)의 바깥둘레단이 외부용기체 입구부 (2)의 안둘레면에 밀접하게 둘레에 설치한 상태가 된다(도 5 참조).
또 통상, 본 실시예 1의 주출용기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에 있는 바와 같이, 오버캡(41)을 외부용기체 입구부(2)에 나사맞춤 조립하여 보관한다.
상기한 조립상태로부터, 외부용기체 몸통부(3)를 손끝으로 누르면, 제 1 밸브본체(23)가 연결편(24)을 지점으로, 상부로 들고 일어나, 내용물이, 선단의 주출선단구(35)로부터 외부로 주출되고, 누름을 해제하면 내용물의 주출이 멈추고, 외부용기체 몸통부(3)가 그 탄성적인 회복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시작하 지만, 제 1 밸브본체(23)의 역지밸브기능에 의해, 내부용기체(11) 내부로의 내용물의 역류 및 외부 공기의 진입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때, 내부용기체(11)의 몸통부는 부피감소변형한 상태를 유지한 채이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흡기홈(18)으로부터 도입되어, 제 2 밸브본체(28)를 안쪽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틈새(9)에 진입하고, 그 결과로서 내부용기체(11)는 부피감소 변형한 형상인 상태로, 외부용기체(1)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도 5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외부용기체 입구부(2)의 상단면에서 흡기홈(18)을 통과하여, 제 2 밸브본체(28)를 통해 틈새(9)에 이르는 외부 공기의 유동통로 (8)를 나타낸다.
외부용기체 몸통부(3)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해 다시 누를 때에는, 제 2 밸브본체(28)의 역지기능에 의해, 흡기홈(18)과 틈새(9)와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틈새(9)의 공기가 밀봉된 상태가 되어, 내용물에 압력이 가해지고, 내용물이 제 1 밸브본체(23)를 열어 내부용기체(11)로부터 유출하여, 주출선단구(35)로부터 외부로 주출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누름에 의한 주출조작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외부 공기의 용기내부의 진입이 없는 위생적으로 뛰어난 주출용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용기체 입구부와 내부용기체 입구부를 직접 조립 고정하고, 또한 제 1 역지밸브부를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또한 제 2 역지밸브부를 내부용기체 입구부 혹은 외부용기체 입구부에 끼워맞춤 조립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부품수를 적게 하는 것, 용기의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가 있어, 안약주출용기와 같은 소형인 것에 있어서도, 2종의 역지밸브를 가지는 2중용기를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 2 역지밸브부의 조립고정은, 원통형상의 바깥끼움통편을 원통형의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바깥에서 끼우는 것으로, 위치결정하는 일없이 용기에 용이하게 조립 고정할 수가 있고, 또한 역지밸브로서의 작용효과를 확실히 발휘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또는 4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역지밸브부를 원통형상의 끼워넣음통편을 원통형상의 내부용기체 입구부에 끼워넣어 조립 고정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의 조립 고정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역지밸브로서의 작용효과를 확실히 발휘시킬 수 있다.
청구항 5 또는 6의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부에 의해 제 1 역지밸브부의 조립 고정 및 시일성이 보다 강고하게 달성되고, 보다 신뢰성이 높은 역지밸브로서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목적에 따른 형상의 앞끝단통편 및 주출선단구를 형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압출성형된 튜브체 등을 사용하여, 튜브체의 일끝단에, 어깨부와 입구부를 사출성형 혹은 압축성형에 의해서 형성하여 일체화하고, 외부용기체에 내부용기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후, 남는 일끝단을 합쳐서 시일하는 등의 수단으로, 용이하게 2중용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 또는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외부 공기의 잡균 혹은 쓰레기 등의 이물이 용기본체내에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위생성, 안전성에 뛰어난 안약용의 주출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9)

  1. 스퀴즈변형 가능하고 복원자유자재인 가요성을 가지고, 상부에 원통형상의 외부용기체 입구부(2)를 세워 형성한 외부용기체(1)와, 상기 외부용기체 입구부(2)에 원통형상의 내부용기체 입구부(13)를 직접 끼워맞춤 조립 고정한 상태로 외부용기체(1)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피감소 변형가능한 내부용기체(11)와, 상기 내부용기체 입구부(13)내부에 끼워맞춤 조립 고정하여, 외부 공기의 진입을 불가능하게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역지밸브부(21)와, 상기 외부용기체 입구부(2)와 내부용기체 입구부(13)중 어느 한쪽에 끼워맞춤 조립 고정되고, 다른 한쪽에 앞끝단부를 밀접하게 둘레 접촉하여, 외부용기체(1)와 내부용기체(1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입구부 상단으로부터 바닥부에 이르는 유동통로를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진입은 가능하게, 내부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을 불가능하게 개폐하는 제 2 역지밸브부(26)를 가지는 주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역지밸브부(26)를, 원통형상의 바깥끼움통편 (27)의 하단에 복원자유자재인 안쪽으로의 변형을 가능하게 아래쪽으로 지름이 확대된 테이퍼통형상의 제 2 밸브본체(28)를 아래로 늘어뜨려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바깥끼움통편(27)을 내부용기체 입구부(13)에 밀접하게 바깥에서 끼우고, 상기 제 2 밸브본체(28)의 바깥둘레끝단을 외부용기체 입구부(2)의 안둘레면에 밀접하게 둘레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 2 역지밸브부(26)를 상기 내부용기체 입구부(13)에 조 립 고정한 주출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안둘레면으로부터 안날밑둘레편(15)을 연이어 접하여 주출구(17)를 형성하고, 제 1 역지밸브부(21)를 원통형상의 끼워넣음통편(22)의 하단부에 연결편(24)을 통해 제 1 밸브본체(23)를 연이어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끼워넣음통편(22)을 내부용기체 입구부(13)에 밀접하게 끼워 넣어, 해당 끼워넣음통편(22)의 하단면을 상기 안날밑둘레편(15)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 1 역지밸브부(21)를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내부에 조립 고정하여, 상기 제 1 밸브본체(23)가 상기 주출구(17)를 개폐하는 주출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안둘레면으로부터 안날밑둘레편(15)을 연이어 접하여 주출구(17)를 형성하고, 제 1 역지밸브부(21)를 원통형상의 끼워넣음통편(22)의 하단부에 연결편(24)을 통해 제 1 밸브본체(23)를 연이어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끼워넣음통편(22)을 내부용기체 입구부(13)에 밀접하게 끼워 넣어, 해당 끼워넣음통편(22)의 하단면을 상기 안날밑둘레편(15)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 1 역지밸브부(21)를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내부에 조립 고정하여, 상기 제 1 밸브본체(23)가 상기 주출구(17)를 개폐하는 주출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주출통편(32)의 상단에, 바깥날밑형상으로 플랜지편(33)을 연이어 형성하고, 또한 지름축소부를 통해 앞끝단통편(34)을 세워 형성한 주출부(31)를, 상기 주출통편(32)을 제 1 역지밸브부(21)의 끼워넣음통편(22)에 밀접하게 끼워 넣어, 상기 플랜지편(33)의 하면을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상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해당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상단부에 조립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주출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주출통편(32)의 상단에, 바깥날밑형상으로 플랜지편(33)을 연이어 형성하고, 또한 지름축소부를 통해 앞끝단통편(34)을 세워 형성한 주출부(31)를, 상기 주출통편(32)을 제 1 역지밸브부(21)의 끼워넣음통편(22)에 밀접하게 끼워 넣어, 상기 플랜지편(33)의 하면을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상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해당 내부용기체 입구부(13)의 상단부에 조립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주출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용기체 몸통부(3)와 내부용기체 몸통부(12)를 튜브체로 형성한 주출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용물을 안약으로 한 주출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내용물을 안약으로 한 주출용기.
KR1020047000348A 2002-04-30 2003-04-30 주출용기 KR100939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28339 2002-04-30
JP2002128339A JP4129811B2 (ja) 2002-04-30 2002-04-30 注出容器
PCT/JP2003/005512 WO2003093127A1 (fr) 2002-04-30 2003-04-30 Contenant de distribu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181A KR20040101181A (ko) 2004-12-02
KR100939618B1 true KR100939618B1 (ko) 2010-02-01

Family

ID=2939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348A KR100939618B1 (ko) 2002-04-30 2003-04-30 주출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04426B2 (ko)
EP (1) EP1500602B1 (ko)
JP (1) JP4129811B2 (ko)
KR (1) KR100939618B1 (ko)
CN (1) CN100361876C (ko)
AU (1) AU2003231560A1 (ko)
DE (1) DE60329912D1 (ko)
TW (1) TWI284619B (ko)
WO (1) WO20030931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7720C (en) * 2004-03-09 2012-08-14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Liquid container
EP1595810A1 (de) * 2004-05-10 2005-11-16 Createchnic AG Behälter mit Inliner-Beutel und Einweg-Spenderventil
JP2006062700A (ja) * 2004-08-26 2006-03-09 Katsutoshi Masuda 流動体貯留容器
US8297318B2 (en) 2005-05-21 2012-10-30 Mark Johnson Check valve
US8061918B2 (en) 2006-04-13 2011-11-22 S.C. Johnson & Son, Inc. Heated flowable product dispenser
EP2188190B1 (en) * 2007-08-28 2011-10-12 Entegr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luids
US9433960B2 (en) 2008-09-01 2016-09-06 Rieke Corporation Liquid dosing devices
GB0815881D0 (en) * 2008-09-01 2008-10-08 Rieke Corp Liquid dosing devices
JP5227346B2 (ja) * 2009-01-30 2013-07-03 株式会社 資生堂 二重容器
CN102725615A (zh) * 2009-09-18 2012-10-10 宝洁公司 单位剂量分配设备
GB201000601D0 (en) 2010-01-14 2010-03-03 Rieke Corp Pump dispensers
GB201011144D0 (en) 2010-07-01 2010-08-18 Rieke Corp Dispensers
GB201011143D0 (en) 2010-07-01 2010-08-18 Rieke Corp Dispensers
JP5757560B2 (ja) * 2011-02-28 2015-07-29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スパウト収納型容器
WO2013012579A2 (en) * 2011-07-18 2013-01-24 Stehli Jr Charles Lidding, Pull-tab and Self-opening System
WO2013099696A1 (ja) * 2011-12-26 2013-07-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容器
PT2895314T (pt) * 2012-09-13 2019-12-26 Hoffmann Neopac Ag Método para fabricar um corpo de recipiente de um tubo e corpo de recipiente fabricado pelo tal método
US9669973B2 (en) 2013-06-28 2017-06-06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walled container
EP3145564B1 (en) * 2014-05-19 2020-03-04 Medicom Innovation Partner a/s A medical cartridge comprising a one way valve
WO2016080313A1 (ja) * 2014-11-19 2016-05-2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JP6761159B2 (ja) * 2014-11-19 2020-09-2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JP6537319B2 (ja) * 2015-03-30 2019-07-03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6548440B2 (ja) * 2015-04-15 2019-07-24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容器及びキャップ
JP6921143B2 (ja) * 2015-08-07 2021-08-18 花王株式会社 塩分含有調味液用容器
US10472162B2 (en) 2016-09-09 2019-11-12 The Clorox Company Continuous spray dispenser for highly corrosive and other low compatibility products
JP7265900B2 (ja) * 2019-03-22 2023-04-27 メビウス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二重構造容器
US10723526B1 (en) * 2019-03-29 2020-07-28 Chubby Gorilla, Inc. Bottle and cap arrangement
CN112027300A (zh) * 2020-10-12 2020-12-04 广州长霖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双层瓶
CN112849724A (zh) * 2021-03-15 2021-05-28 广州长霖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单向密封的双层瓶
CN112849725A (zh) * 2021-03-15 2021-05-28 广州长霖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低成本的双层瓶
KR102462543B1 (ko) * 2021-11-12 2022-11-03 광일몰드테크(주) 에어리스 구조를 갖는 튜브 용기용 기능성 커버 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650U (ko) * 1990-02-21 1991-11-08
JPH04132051U (ja) * 1991-05-22 1992-12-07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飲料容器
JPH074351U (ja) * 1993-06-25 1995-01-24 吉田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
JPH08164954A (ja) * 1994-12-15 1996-06-25 Yoshida Kogyo Kk <Ykk> チューブ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502205A (nl) 1985-08-08 1987-03-02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bepalen van een n.m.r. spectrum.
JPS63183147A (ja) 1987-01-23 1988-07-28 Toshiba Corp 磁気テ−プ接触部品用アルミニウム合金
JPS63183047A (ja) 1987-01-26 1988-07-28 株式会社東芝 磁気共鳴イメ−ジング装置
US5056689A (en) 1990-01-08 1991-10-15 Ciba-Geig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moving components from solutions
JP2822734B2 (ja) 1991-11-29 1998-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ノイズシェイパ
TW205503B (en) 1992-04-24 1993-05-11 Ciba Geigy Ag Apparatus for removing components from solutions
DE4332885A1 (de) * 1992-09-28 1994-03-31 Colgate Palmolive Co Eindrückbarer Abgabebehälter für fließfähige Stoffe
AU718698B2 (en) * 1996-06-06 2000-04-20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Uniform dispensing multichamber tubular containers
US6302607B1 (en) * 1998-11-20 2001-10-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uid applicators
JP4749572B2 (ja) * 2001-03-13 2011-08-17 大成化工株式会社 分与容器の口栓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650U (ko) * 1990-02-21 1991-11-08
JPH04132051U (ja) * 1991-05-22 1992-12-07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飲料容器
JPH074351U (ja) * 1993-06-25 1995-01-24 吉田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
JPH08164954A (ja) * 1994-12-15 1996-06-25 Yoshida Kogyo Kk <Ykk> チューブ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40182A1 (en) 2005-02-24
JP4129811B2 (ja) 2008-08-06
TW200306273A (en) 2003-11-16
EP1500602A4 (en) 2007-10-17
AU2003231560A1 (en) 2003-11-17
DE60329912D1 (de) 2009-12-17
JP2003321038A (ja) 2003-11-11
CN100361876C (zh) 2008-01-16
TWI284619B (en) 2007-08-01
EP1500602B1 (en) 2009-11-04
EP1500602A1 (en) 2005-01-26
US7104426B2 (en) 2006-09-12
CN1537065A (zh) 2004-10-13
KR20040101181A (ko) 2004-12-02
WO2003093127A1 (fr) 200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618B1 (ko) 주출용기
EP1594619B1 (en) Spray nozzle
US5857595A (en) Self-closing apparatus
KR101356677B1 (ko) 유체, 특히 의약품 등을 담기 위한 병
US7731065B2 (en) Closure member
US20130160891A1 (en) Pediatric dosing dispenser
EP0781151A1 (en) Valved intravenous fluid line infusion device
KR102334654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US6986444B2 (en) Dispenser for discharging a fluid medium
JP2007015693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並びに、吐出弁機構、吸入弁機構、及びバルブ
EP1108477A1 (en)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JP5072976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ヘッド
US10336511B2 (en) Dosing cap for a dosing bottle
JP2020007044A (ja) 細菌浸透防止機能を有する薬剤ディスペンサー
US20170320641A1 (en) Tube with throttle insert
JP3942708B2 (ja) 噴射器
WO2021210620A1 (ja) キャップ
JP3695040B2 (ja) 二重構造容器
CN111819006B (zh) 孔口及包括其的喷雾容器
JP5878000B2 (ja) 吐出容器
JP3889853B2 (ja) 噴出器用の往復ポンプ
CN220676177U (zh) 吸入器和用于显示吸入器的呼吸动作的呼吸指示器
KR102604299B1 (ko) 약제 디스펜서
UA125594C2 (uk) Попередньо наповнена питна соломинка з поперечно-щілинним клапанним затвором на обох кінцях
KR20240000843U (ko) 풀림방지 스토퍼 구조를 갖는 스프레이 액상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