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160B1 -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 Google Patents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160B1
KR100938160B1 KR1020097014020A KR20097014020A KR100938160B1 KR 100938160 B1 KR100938160 B1 KR 100938160B1 KR 1020097014020 A KR1020097014020 A KR 1020097014020A KR 20097014020 A KR20097014020 A KR 20097014020A KR 100938160 B1 KR100938160 B1 KR 100938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shock absorber
shock
oi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267A (ko
Inventor
다카히로 기타미
Original Assignee
다카히로 기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히로 기타미 filed Critical 다카히로 기타미
Publication of KR2009007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3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 F16F9/435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via opening in cylinde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2Bi-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3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6Conver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아우터 튜브(11)에 나사구멍(11a)을 형성하고,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오일을 배출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로 교환용 오일(35)을 주입하고, 첵크밸브(20)를 나사구멍(11a)에 장착하고, 그 후에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첵크밸브(20)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열린 첵크밸브(20)의 유로를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가스를 빨아내어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로 교환용의 질소가스(36)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METHOD OF CHANGING DAMPING CHARACTERISTICS OF DOUBLE-TUB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자동차(自動車)나 오토바이(auto bicycle) 등에 장착되는 복통식 쇼크업소버(複筒式 shock absorber)의 감쇠특성(減衰特性)의 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 장착되는 복통식 쇼크업소버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29386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는, 감쇠특성이 이용자의 사용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에 복통식 쇼크업소버 자체를 교환하여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해결수단)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복통식 쇼크업소버(複筒式 shock absorber)의 아우터 튜브(outer tube)에 구멍을 뚫는 구멍형성스텝(hole 形成 step)과, 상기 구멍형성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오일(oil)을 배출시키는 오일배출스텝(oil 排出 step)과, 상기 구멍형성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상기 구멍을 통한 유체(流體)의 유출(流出)을 방지하는 유출방지밸브(流出防止 valve)를 상기 구멍에 장착하는 유출방지밸브 장착스텝(流出防止 valve 裝着 step)과, 상기 오일배출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교환용 오일을 주입(注入)하는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交換用 oil 注入 step)과, 상기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 및 상기 유출방지밸브 장착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유출방지밸브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열린 상기 유출방지밸브의 유로(流路)를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가스를 빨아내는 가스흡출스텝(gas 吸出 step)과, 상기 가스흡출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유출방지밸브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열린 상기 유출방지밸브의 상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교환용 가스를 주입하는 교환용 가스 주입스텝(交換用 gas 注入 ste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하는 교환용 오일의 종류, 교환용 오일의 양, 교환용 가스의 종류 및 교환용 가스의 양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조정함으로써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에서의 상기 오일배출스텝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압축가스(壓縮 gas)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스텝(壓縮 gas 注入 step)과, 상기 압축가스 주입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 로드(piston rod)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상기 압축가스를 배출시키는 피스톤 로드 위치 상측상태 압축가스 배출스텝(piston rod 位置 上側狀態 壓縮 gas 排出 step)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아우터 튜브의 구멍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압축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아우터 튜브 및 인너 튜브 사이의 기압(氣壓)이 내려가기 때문에, 인너 튜브의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을 인너 튜브 바닥부의 베이스 밸브를 통하여 인너 튜브의 내부에서 외부로 빨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에서의 상기 오일배출스텝은,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빨아내는 로드위치 상측상태 유체흡출스텝(rod 位置 上側狀態 流體吸出 step)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아우터 튜브의 구멍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빨아냄으로써 아우터 튜브 및 인너 튜브 사이의 기압이 내려가기 때문에, 인너 튜브의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을 인너 튜브 바닥부의 베이스 밸브를 통하여 인너 튜브의 내부에서 외부로 빨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에서의 상기 오일배출스텝은,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의 위치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빨아내는 구멍위치 하측상태 유체흡출스텝(hole 位置 下側狀態 流體吸出 step)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구멍의 위치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구멍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빨아내기 때문에,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을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서 외부로 빨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에서의 상기 오일배출스텝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압축가스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스텝과, 상기 압축가스 주입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의 위치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상기 압축가스를 배출시키는 구멍위치 하측상태 압축가스 배출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구멍의 위치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구멍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압축가스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을 아우터 튜브 내부의 압축가스와 함께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상기 오일배출스텝에 있어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된 상기 오일의 양을 계량(計量)하는 배출오일 계량스텝(排出 oil 計量 step)을 포함하고, 상기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에 있어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하는 상기 교환용 오일의 양은, 상기 배출오일 계량스텝에 있어서 계량된 양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 원래 주입된 오일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교환용 오일의 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을 목적으로 하는 감쇠특성으로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에서의 상기 교환용 오일은, 고무(rubber)의 유연제(柔軟劑)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은, 복통식 쇼크업소버에서의 고무로 만든 밀봉 부분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교환용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을 적용하기 전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2는 아우터 튜브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을 적용한 후의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4는 인너 튜브의 내부에 오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의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5는 인너 튜브의 내부에 오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의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진공펌프가 접속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6은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 오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의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진공펌프가 접속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7은 첵크밸브의 밸브 케이스만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8은 교환용 오일이 주입된 상태에서의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9는 피스톤 로드를 완전히 인출하고, 첵크밸브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의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도9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의 첵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11은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의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12는 피스톤 로드를 완전히 압입하고, 첵크밸브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의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13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진공펌프나 가스 봄베가 접속된 시스템의 가스흡출스텝에 있어서의 구성도이다.
도14는 도13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의 첵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진공펌프나 가스 봄베가 접속된 시스템의 교환용 가스 주입스텝에 있어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복통식 쇼크업소버 11 : 아우터 튜브
11a : 나사구멍(구멍) 15 : 오일
16 : 가스 17 : 공기(가스)
20 : 첵크밸브(유출방지밸브) 20a : 유로
35 : 오일(교환용 오일) 36 : 질소가스(교환용 가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관한 복통식 쇼크업소버(複筒式 shock absorber)의 감쇠특성(減衰特性)의 변경방법(이하 「감쇠특성 변경방법」이라고 한다)을 적용하기 전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에 관한 감쇠특성 변경방법을 적용하기 전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단면도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통식 쇼크업소버(10)는, 아우터 튜브(outer tube)(11)와, 아우터 튜브(11)의 내부에 배치된 인너 튜브(inner tube)(12)와, 인너 튜브(12)의 내부에 배치된 피스톤(piston)(13)과, 피스톤(13)과 일체화(一體化) 된 피스톤 로드(piston rod)(14)와, 아우터 튜브(11) 및 인너 튜브(12)의 사이 또는 인너 튜브(12)의 내부에 주입(注入)된 오일(oil)(15)과, 아우터 튜브(11) 및 인너 튜브(12)의 사이에 주입된 가스(gas)(16)를 구비하고 있다.
인너 튜브(12)에는 바닥부에 베이스 밸브(base valve)(1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3)에는 피스톤 밸브(piston valve)(13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감쇠특성 변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감쇠특성 변경방법은,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아우터 튜브(11)에 구멍으로서 나사구멍(11a)(도2 참조)을 형성하는 구멍형성스텝(hole 形成 step),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오일(15)을 배출(排出)하는 오일배출스텝(oil 排出 step), 첵크밸브(check valve)(20)(도3 참조)의 밸브 케이스(valve case)(21)(도3 참조)만을 나사구멍(11a)에 장착하는 밸브 케이스 장착스텝(valve case 裝着 step),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교환용 오일(35)(도3 참조)을 주입하는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 (交換用 oil 注入 step), 첵크밸브(20)를 나사구멍(11a)에 장착하는 첵크밸브 장착스텝(check valve 裝着 step)(유출방지밸브 장착스텝(流出防止 valve 裝着 step)),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가스로서의 공기(空氣)(17)(도4 참조)를 빨아내는 가스흡출스텝(gas 吸出 step),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교환용 가스로서의 질소가스(36)(도3 참조)를 주입하는 교환용 가스 주입스텝(交換用 gas 注入 step), 본 실시예에 관한 감쇠특성 변경방법을 적용한 복통식 쇼크업소버(10)가 완성된 것인가 아닌가를 시험하는 완성시험스텝(完成試驗 step)의 순서로 실시한다. 이하, 각 스텝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멍형성스텝(hole 形成 step))
도2는 아우터 튜브(11)에 나사구멍(11a)을 형성한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통식 쇼크업소버(10)를 눕힌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계속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아우터 튜브(11)의 측면에 있어서, 도2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 아우터 튜브(11)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 아우터 튜브(11)의 외부에서 드릴(drill)로 구멍을 뚫고, 뚫린 구멍에 탭(tap)으로 나사산(螺絲山)을 형성하여 나사구멍(11a)으로 한다. 아우터 튜브(11)에 있어서의 나사구멍(11a)의 위치는, 나사구멍(11a)에 첵크밸브(20)(도3 참조)가 장착된 상태에서 복통식 쇼크업소버(10)가 자동차나 오 토바이 등의 탈것에 장착될 때에, 다른 부재에 첵크밸브(20)가 방해되지 않도록 선정된다.
또 아우터 튜브(11)의 외부에서 드릴로 구멍을 뚫을 때에는, 드릴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스러기가 아우터 튜브(11)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진공 클리너(vacuum cleaner)로 흡인(吸引)하면서 작업을 한다.
(오일배출스텝(oil 排出 step))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오일(15)을 배출시킨다. 배출된 오일(15)은 흘리지 않도록 회수하여 계량(計量)한다(배출오일 계량스텝(排出 oil 計量 step)).
오일(15)을 배출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복통식 쇼크업소버(10)를 여러 각도로 기울여서 여러 가지 패턴(pattern)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14)를 스트로크(stroke) 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다음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방법1)
도4는 인너 튜브(12)의 내부에 오일(15)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단면도이다. 도5는 인너 튜브(12)의 내부에 오일(15)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진공펌프(vacuum pump)(42)가 접속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우선,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14)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계속하여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압축가스(壓縮 gas)(예를 들면 압축공기(壓縮空氣))를 일시적으로 주입하여(압축가스 주입스텝(壓縮 gas 注入 step)),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압축가스를 배출시킨다(피스톤 로드 위치 상측상태 압축가스 배출스텝(piston rod 位置 上側狀態 壓縮 gas 排出 step)).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압축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아우터 튜브(11) 및 인너 튜브(12) 사이의 기압(氣壓)이 내려가기 때문에, 인너 튜브(12)의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15)을 인너 튜브(12) 바닥부의 베이스 밸브(12a)를 통하여 인너 튜브(12)의 내부에서 외부로 빨아낼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4)를 완전히 압입(壓入)한 후에,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나사구멍(11a)의 위치를 하측으로 하여,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오일(15)을 배출시킨다.
또 압축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후술하는 밸브 케이스 장착스텝(valve case 裝着 step)을 먼저 실시한 후에,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케이스(21)에 오일 세퍼레이터(oil separator)(41) 및 진공펌프(42)를 접속시키고, 나사구멍(11a) 내 밸브 케이스(21)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流路)(21a)를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 즉 오일(15) 및 공기(17)를 진공펌프(42)로 빨아내는 것(로드위치 상측상태 유체흡출스텝(rod 位置 上側狀態 流體吸出 step))에 의한 방법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방법2)
도6은 아우터 튜브(11)의 내부에 오일(15)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진공펌프(42)가 접속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우선 후술하는 밸브 케이스 장착스텝을 먼저 실시한 후에, 피스톤 로드(14)를 완전히 압입하고,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나사구멍(11a)의 위치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계속하여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케이스(21)에 오일 세퍼레이터(41) 및 진공펌프(42)를 접속시키고, 나사구멍(11a) 내 밸브 케이스(21)의 유로(21a)를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 즉 오일(15) 및 공기(17)를 진공펌프(42)로 빨아낸다(구멍위치 하측상태 유체흡출스텝(hole 位置 下側狀態 流體吸出 step)).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나사구멍(11a)의 위치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빨아내기 때문에, 아우터 튜브(11)의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15)을 아우터 튜브(11)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 오일 세퍼레이터(41) 및 진공펌프(42)를 이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압축가스(예를 들면 압축공기)를 일시적으로 주입하고(압축가스 주입스텝(壓縮 gas 注入 step)),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나사구멍(11a)의 위치를 하측 으로 한 상태에서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압축가스를 배출시키는 것(구멍위치 하측상태 압축가스 배출스텝(hole 位置 下側狀態 壓縮 gas 排出 step)에 의한 방법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밸브 케이스 장착스텝(valve case 裝着 step))
도7은 밸브 케이스(21)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단면도이다.
밸브 케이스(21)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21b)에 밀봉 테이프(密封 tape)를 감고 내구성(耐久性)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씰제(Seal 劑)를 도포(塗布)하고 나사구멍(11a)에 결합시킴으로써,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케이스(21)를 나사구멍(11a)에 장착시킨다.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交換用 oil 注入 step))
도8은 교환용 오일(35)이 주입된 상태에서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밸브 케이스(21)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계속하여 나사구멍(11a) 내 밸브 케이스(21)의 유로(21a)를 통하여 교환용 오일(35)을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시킨다. 여기에서 피스톤 로드(14)를 압입시키면,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의 공기(17)는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14)를 인출(引出)시키면, 교환용 오일(35)은 나사구멍(11a)을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외부에서 내부로 흡입된다.
또 교환용 오일(35)의 양은 상기한 배출오일 계량스텝에 있어서 계량된 오일(15)(도1 참조)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면,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감쇠특성(減衰特性)을 목적으로 하는 감쇠특성으로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교환용 오일(35)의 양은, 상기한 배출오일 계량스텝에 있어서 계량된 오일(15)의 양에 대하여 10%∼20% 정도의 범위에서 가감(加減)한다. 교환용 오일(35)의 양이 많은 만큼 피스톤 로드(14)가 압입되었을 때의 교환용 질소가스(36)(도3 참조)의 부피 변화율이 크기 때문에,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풀 범프(full bump) 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교환용 오일(35)은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 원래 주입되어 있는 오일(15)과는 점도(粘度)가 다른 오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환용 오일(35)로서는 오일(15) 점도의 2∼4배 정도, 즉 3×10-5m2/s∼8×10-5m2/s 정도 점도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교환용 오일(35)은, 고무(rubber)의 유연제(柔軟劑)가 예를 들면 5%∼10% 정도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환용 오일(35)에 고무의 유연제가 첨가되어 있으면,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고무로 만든 밀봉 부분, 예를 들면 아우터 튜브(11)와 피스톤 로드(14) 사이의 밀봉 부분을 통 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교환용 오일(35)이 누설(漏泄)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첵크밸브 장착스텝(check valve 裝着 step))
도9는 피스톤 로드(14)를 완전히 인출시키고, 첵크밸브(20)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도9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의 첵크밸브(20)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4)를 완전히 인출시키고,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밸브 케이스(21)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계속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사구멍(11a)을 통한 유체(流體)의 유출(流出)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케이스(21)의 내측에 밸브 코어(valve core)(22)를 삽입하여, 밸브 케이스(21)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21c)와 밸브 코어(22)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부(22a)를 결합시킴으로써 밸브 케이스(21)에 밸브 코어(22)를 부착시켜서 첵크밸브(20)를 완성시킨다. 이에 따라 첵크밸브(20)는 유출방지밸브(流出防止 valve)로서 정식으로 나사구멍(11a)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가스흡출스텝(gas 吸出 step))
도11은 피스톤 로드(14)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단면도이다. 도12는 피스톤 로드(14)를 완전히 압입하고, 첵 크밸브(20)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단면도이다. 도13은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진공펌프(42)나 가스 봄베(gas bombe)(47)가 접속된 시스템의 가스흡출스텝에 있어서의 구성도이다. 도14는 도13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의 첵크밸브(20)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14)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계속하여 피스톤 로드(14)의 스트로크 압력(stroke 壓力)이 안정될 때까지 피스톤 로드(14)를 반복하여 스트로크 시킨다.
계속하여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4)를 완전히 압입하고,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첵크밸브(20)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13 및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스 노즐(gas nozzle)(43)을 첵크밸브(20)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첵크밸브(20)는, 밸브 코어(22)의 로드(22b)가 가스 노즐(43) 내부의 로드(43a)에 밀려서 스프링(spring)(22c)의 탄성력(彈性力)에 저항하여 이동됨으로써 일시적으로 열린다. 또한 가스 노즐(43)은, 로드(43a)가 첵크밸브(20)의 로드(22b)에 밀려서 스프링(43b)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됨으로써 일시적으로 열린다.
따라서 복통식 쇼크업소버(10)는 스톱 밸브(stop valve)(44)를 통하여 오일 세퍼레이터(41) 및 진공펌프(42)에 접속됨과 아울러, 스톱 밸브(45)를 통하여 레귤레이터(regulator)(46) 및 가스 봄베(47)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스톱 밸브(44) 및 스톱 밸브(45)는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일시적으로 열린 첵크밸브(20)의 유로(20a)를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가스, 즉 공기(17)를 진공펌프(42)에 의하여 완전히 빨아낸 후에 스톱 밸브(44)를 닫는다.
(교환용 가스 주입스텝(交換用 gas 注入 step))
교환용 가스 주입스텝은 가스흡출스텝에 연속되어 이루어진다.
도3은 본 실시예에 관한 감쇠특성 변경방법을 적용한 후의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단면도이다. 도15는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진공펌프(42)나 가스 봄베(47)가 접속된 시스템의 교환용 가스 주입스텝에 있어서의 구성도이다.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46)와 복통식 쇼크업소버(10) 사이의 질소가스(36)의 압력이 목표압력(目標壓力)이 될 때까지 가스 봄베(47)의 메인콕(main cock)을 연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열린 첵크밸브(20)의 유로(20a)(도14 참조)를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교환용 가스, 즉 질소가스(36)가 주입되어 목표압력으로 충전(充塡)된다.
그리고 첵크밸브(20)를 통하여 질소가스(36)가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누설(漏泄)되지 않도록 가스 노즐(43)을 첵크밸브(20)로부터 민첩하게 빼낸다. 이에 따라 첵크밸브(20)는, 밸브 코어(22)의 로드(22b)(도14 참조)가 스프링(22c)(도14 참조)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닫힌 다. 또한 가스 노즐(43)은 로드(43a)가 스프링(43b)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되어 닫힌다.
마지막으로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첵크밸브(20)의 밸브 케이스(21)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21d)와 첵크밸브(20)의 보호용 캡(23)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23a)를 결합시킴으로써 첵크밸브(20)를 보호용 캡(23)으로 덮는다.
(완성시험스텝(完成試驗 step))
우선,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통식 쇼크업소버(1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14)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계속하여 피스톤 로드(14)의 스트로크 압력이 안정될 때까지 피스톤 로드(14)를 반복하여 스트로크 시킨다.
그리고 교환용 오일(35)이나 질소가스(36)의 누설이 없으면, 본 실시예에 관한 감쇠특성 변경방법을 적용한 복통식 쇼크업소버(10)가 완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감쇠특성 변경방법은,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하는 교환용 오일(35)의 종류, 교환용 오일(35)의 양, 교환용 질소가스(36)의 종류 및 교환용 질소가스(36)의 양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조정함으로써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감쇠특성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감쇠특성이 이용자의 사용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에,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감쇠특성을 이용자의 사용조건에 따 라 변경시킬 수 있다. 복통식 쇼크업소버(10) 자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폐기물(廢棄物)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복통식 쇼크업소버(10)가 가스 봉입식(gas 封入式)의 복통식 쇼크업소버가 아닌 경우이더라도 봉입식의 복통식 쇼크업소버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 후에 첵크밸브 장착스텝을 실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구멍형성스텝보다 후이고 가스흡출스텝보다 전에 실시한다면 첵크밸브 장착스텝을 언제든지 실시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오일배출스텝보다 전에 첵크밸브 장착스텝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오일배출스텝에 있어서는 나사구멍(11a) 내 일시적으로 열린 첵크밸브(20)의 유로(20a)를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오일(15)을 배출시키면 좋고,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에 있어서는 나사구멍(11a) 내 일시적으로 열린 첵크밸브(20)의 유로(20a)를 통하여 복통식 쇼크업소버(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교환용 오일(35)을 주입시키면 좋다.

Claims (7)

  1. 복통식 쇼크업소버(複筒式 shock absorber)의 아우터 튜브(outer tube)에 구멍을 뚫는 구멍형성스텝(hole 形成 step)과,
    상기 구멍형성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오일(oil)을 배출시키는 오일배출스텝(oil 排出 step)과,
    상기 구멍형성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상기 구멍을 통한 유체(流體)의 유출(流出)을 방지하는 유출방지밸브(流出防止 valve)를 상기 구멍에 장착하는 유출방지밸브 장착스텝(流出防止 valve 裝着 step)과,
    상기 오일배출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교환용 오일을 주입(注入)하는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交換用 oil 注入 step)과,
    상기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 및 상기 유출방지밸브 장착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유출방지밸브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열린 상기 유출방지밸브의 유로(流路)를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가스를 빨아내는 가스흡출스텝(gas 吸出 step)과,
    상기 가스흡출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유출방지밸브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열린 상기 유출방지밸브의 상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교환용 가스를 주입하는 교환용 가스 주입스텝(交換用 gas 注入 step)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減衰特性)의 변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배출스텝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압축가스(壓縮 gas)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스텝(壓縮 gas 注入 step)과,
    상기 압축가스 주입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상기 압축가스를 배출시키는 피스톤 로드 위치 상측상태 압축가스 배출스텝(piston rod 位置 上側狀態 壓縮 gas 排出 step)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배출스텝은,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빨아내는 로드위치 상측상태 유체흡출스텝(rod 位置 上側狀態 流體吸出 ste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배출스텝은,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의 위치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빨아내는 구멍위치 하측상태 유체흡출스텝(hole 位置 下側狀態 流體吸出 ste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배출스텝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압축 가스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스텝과,
    상기 압축가스 주입스텝보다 후의 스텝으로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의 위치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상기 압축가스를 배출시키는 구멍위치 하측상태 압축가스 배출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배출스텝에 있어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된 상기 오일의 양을 계량(計量)하는 배출오일 계량스텝(排出 oil 計量 step)을 포함하고,
    상기 교환용 오일 주입스텝에 있어서 상기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하는 상기 교환용 오일의 양은, 상기 배출오일 계량스텝에 있어서 계량된 양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용 오일은, 고무(rubber)의 유연제(柔軟劑)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KR1020097014020A 2007-01-25 2007-12-28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KR100938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14947 2007-01-25
JP2007014947A JP4115505B1 (ja) 2007-01-25 2007-01-25 複筒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衰特性の変更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267A KR20090079267A (ko) 2009-07-21
KR100938160B1 true KR100938160B1 (ko) 2010-01-21

Family

ID=3964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020A KR100938160B1 (ko) 2007-01-25 2007-12-28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18334B2 (ko)
JP (1) JP4115505B1 (ko)
KR (1) KR100938160B1 (ko)
WO (1) WO2008090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703U (ja) * 1992-10-21 1994-05-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CN102135153B (zh) * 2011-01-27 2012-08-08 江苏宏丰奥凯机电有限公司 多工位注油机
KR102238047B1 (ko) 2015-12-10 2021-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쇼크업소버
CN105909718B (zh) * 2016-04-21 2018-06-08 北京空间飞行器总体设计部 一种粘性流体阻尼器填充装置及使用方法
CN106523572B (zh) * 2016-11-25 2018-11-09 南京工程学院 一种车用减振器
US11706310B2 (en) 2018-03-01 2023-07-18 Thales Dis Cpl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response provided by a first device
JP7123490B2 (ja) * 2018-12-03 2022-08-23 株式会社免制震ディバイス ダンパへの作動流体の注入装置
CN110107638B (zh) * 2019-05-10 2021-03-05 扬州华交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地铁油压减震器注油装置
CN111618596B (zh) * 2020-06-17 2021-04-23 苏州三众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锂电池盖板的生产工艺
US20240102530A1 (en) * 2022-09-28 2024-03-28 Hitachi Astemo, Ltd. Shock absor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31U (ko) 1977-07-06 1979-02-02
JPH01169633U (ko) * 1988-05-23 1989-11-30
JP2006029386A (ja) 2004-07-13 2006-02-02 Nissan Motor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7639U (ko) * 1979-02-10 1980-08-20
US4261446A (en) * 1979-07-20 1981-04-14 Bolger Joseph E Removable closure subassembly for a sealed strut
US4567637A (en) * 1983-09-14 1986-02-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servicing vehicle suspension struts
US5152547A (en) * 1990-11-02 1992-10-06 Davis Leo W Dual piston strut
DE4137330C1 (en) * 1991-11-13 1992-11-12 Boge Ag, 5208 Eitorf, De Shock absorber for vehicle - includes valve centred by ring and secured in place by screw connection
US6026939A (en) * 1997-05-15 2000-02-22 K2 Bike Inc. Shock absorber with stanchion mounted bypass damping
JP4055023B2 (ja) * 1997-09-24 2008-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7140601B2 (en) * 2004-08-06 2006-11-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dependent and integrated compact air-bump stops
DE202005011439U1 (de) * 2005-07-18 2006-11-23 Hemscheidt Fahrwerktechnik Gmbh & Co. Kg Feder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31U (ko) 1977-07-06 1979-02-02
JPH01169633U (ko) * 1988-05-23 1989-11-30
JP2006029386A (ja) 2004-07-13 2006-02-02 Nissan Motor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8334B2 (en) 2013-04-16
JP4115505B1 (ja) 2008-07-09
WO2008090591A1 (ja) 2008-07-31
JP2008180310A (ja) 2008-08-07
KR20090079267A (ko) 2009-07-21
US20100024184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160B1 (ko) 복통식 쇼크업소버의 감쇠특성의 변경방법
US8052128B2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pring strut
US8360403B2 (en) Hydraulic mount and filling device for the same
US4544144A (en) Hydropneumatic spring
KR100880820B1 (ko) 쇽 업소버의 유체 봉입 방법 및 장치
KR101217279B1 (ko) 쇽업소버의 시일 유닛
CN112324389A (zh) 随钻旁通注入工具
US11420297B2 (en) Production method for a cylinder device
CN102301139B (zh) 具有弹性隔膜和液压控制的泵
KR100808420B1 (ko) 셀프 레벨라이저 댐퍼
JPH11325149A (ja) ショックアブソ―バ
JP2010255808A (ja) 複筒型液圧緩衝器
KR100832494B1 (ko)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KR100726587B1 (ko)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
KR100819425B1 (ko) 셀프 펌핑유닛을 갖는 쇽업소버
KR100819424B1 (ko) 셀프 펌핑유닛을 이용하여 차고조절 가능한 쇽업소버
KR200287278Y1 (ko) 쇽업소버 가스 주입구조
DE102010049905A1 (de) Definierter Systemdruck in einem hydraulisch gedämpften Spannsystem
KR100578247B1 (ko)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용 메쉬의 결합 구조
KR100716427B1 (ko) 차고 조절용 쇽 업소버
JPH07174180A (ja) 車両懸架装置用シリンダユニット
JPS594191Y2 (ja) 油圧緩衝器に於けるチエツク弁装置
RU21558U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телескопический демпфер подвес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9140000A (zh) 一种双级限速机构
JP2009127678A (ja) ダンパ用注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