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796B1 - 다중 경로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경로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796B1
KR100937796B1 KR1020047019433A KR20047019433A KR100937796B1 KR 100937796 B1 KR100937796 B1 KR 100937796B1 KR 1020047019433 A KR1020047019433 A KR 1020047019433A KR 20047019433 A KR20047019433 A KR 20047019433A KR 100937796 B1 KR100937796 B1 KR 100937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alog
signals
digit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115A (ko
Inventor
타이크너데트레프
링크허만
볼레필립
Original Assignee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1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ost-detection diversity
    • H04B7/088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ost-detection diversity with comb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6Channel splitting in point-to-point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방송 신호를 다중 경로로 수신하는 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신기들 중 한 수신기가 아날로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신기들 중 다른 수신기가 디지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수신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가 디지털화되고, 각 경우에 두 신호 중 더 품질이 우수한 것 아니면 두 신호의 결합이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방식으로, 수신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가 가중된 방법으로 다이버시티 장치에서 디지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에 더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아날로그 신호의 수신을 위해 여러 수신기가 제공되고, 디지털 신호의 수신을 위해 여러 수신기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각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경로에서 각 경우에 더 우수한 품질을 가진 아날로그 신호 및 각 경우에 더 우산한 품질을 가진 디지털 신호가 추가적 처리를 거쳐 가중된 덧셈으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두 신호 브랜치로부터 더 우수한 사운드 신호가 출력 비디오 신호에 지정된다.
다중 경로 수신, 방송 신호, 안테나, 텔레비젼 신호

Description

다중 경로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CIRCUIT FOR MULTIPATH RECE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전체적으로 기재된 특징에 따른 텔레비젼 신호를 다중 경로로 수신(multipath reception)하는 방법 및 청구항 제25항에 전체적으로 기재된 특징에 따른 상기 다중 경로 수신 방법에 적합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다중 경로 수신은 여러 전송 경로 또는 채널 중의 하나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안테나 다이버시티로서 묘사되는 여러 택일적 안테나 중 하나에 의해, 그리고 주파수 다이버시티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묘사되는 여러 택일적 수신기 주파수 중 하나를 통하여 방송 및/또는 텔레비젼 신호를 다중 경로로 수신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안테나 다이버시티 수신기 시스템은 여러 안테나(일반적으로 공간적으로 떨어져있음) 중 하나에 접속될 수 있는 무선 수신기를 가진 무선 수신 시스템이다. 이러한 타입의 안테나 다이버시티 수신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방송 및/또는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에서 사용된다. 차량에 사용되는 선호되는 안테나는 예를 들어 차량의 차창 내로 통합되는 차창 안테나이다. 방송 수신기, 텔레비젼 수신 기, 또는 전화 시스템과 같은 안테나 다이버시티 수신기가 사용될 때, 선택기 스위치는 무선 수신기로의 접속을 위해 지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안테나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런 타입의 기준은 수신 필드 강도 또는 예를 들어 신호 반사의 결과로서 다중 경로 수신을 방해함으로서 야기될 수 있는 더 높은 수신 필드 강도에서 발생하는 간섭이다. 그 후 시스템은 더 우수한 수신 품질을 가진 수신 신호를 공급하는 다른 안테나로 가능한 한 빨리 스위칭한다.
주파수 다이버시티 수신기 시스템은 적어도 두개의 무선 수신기를 가진 무선 수신 시스템이다. 하나의 무선 수신기는 동작 수신기로서 사용되는 반면, 나머지 무선 수신기는 대안으로서의 다른 수신 주파수를 찾아서 그들의 수신 품질을 테스트하는 검색 및 테스트 수신기이다. 만일 검색 수신기가 동작 수신기에서 현재 설정된 수신 주파수보다 더 우수한 수신 품질을 제공하는 다른 수신 주파수를 발견한다면, 동작 수신기는 새로이 발견된 수신 주파수로 튜닝되거나, 아니면, 검색 수신기와 동작 수신기가 서로 역할을 바꾼다. 검색 수신기는 그 후 자신이 발견한 최적의 수신 주파수로 튜닝하여 유지하고, 이제 검색 수신기로서, 동작 수신기였던 것의 태스크를 넘겨받아서, 대안으로서의 다른 수신 주파수를 검색하고 그들의 수신 품질을 테스트한다.
안테나 다이버시티 수신기 시스템처럼, 주파수 다이버시티 수신기 시스템은 차량에 특히 적합한데, 그 이유는 주변 지역의 형태가 끊임없이 변하는 결과로서 주행 동안에 수신 조건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테나와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조합은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유형의 조합된 다이버시티 수신 시스템에, 선택기 스위치에 의해 여러 수신기에 연결될 수 있는 여러 안테나가 제공된다. 따라서, 필요한 임의의 안테나-주파수 조합이 실현될 수 있다.
한편,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시스템과 더불어,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되는 방송 신호의 수신을 위한 수신기 시스템이 또한 사용된다. 디지털 수신기 시스템은 장래에 더욱더 중요해질 것인데, 그 이유는 증가하는 수의 브로드캐스팅 단체가 그들의 프로그램을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하는 것을 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벌써 어느 정도까지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되는 텔레비젼에도 점점 더 많이 적용되고 있다. 디지털 텔레비젼을 방송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디지털 텔레비젼은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Terrestrial)이라는 명칭하에 공지되어 있다.
특별한 디지털 수신기 시스템은 이러한 DVBT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 종래의 전통적인 수신기는 적합하지 않다.
디지털 텔레비젼은 아날로그 텔레비젼을 점점 더 대체하게 되어 있지만, 디지털 텔레비젼은 국가 전체에 즉시 보급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아날로그 방송 신호와 디지털 방송 신호 모두를 처리하고 특히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와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수신개념이 특히 필요하고, 모바일 TV 수신기가 점점 더 디지털 차량에 설치되고 있으므로 더욱 그러하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이 발명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통적인 다이버시티 수신기 시스템보다 훨씬 더 우수한 품질을 가진 재생 신호가 생성되도록, 방송 신호, 특히 텔레비젼 신호를 다중 경로로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진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제25항의 목적은 이 과제를 해결하는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청구항과 관련된 종속항의 목적은 본 발명을 좀 더 발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개의 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방송 신호를 다중 경로로 수신하는 방법 및 회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기들 중 하나의 수신기가 아날로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신기들 중 다른 수신기가 디지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수신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가 디지털화되고, 각 경우에 두 신호 중 더 품질이 우수한 것 아니면 두 신호의 결합이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방식으로, 수신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가 가중된 방법으로 다이버시티 장치에서 디지털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에 더해진다.
만일 이 서류가 텔레비젼 이미지 신호가 처리되는 사실에 대하여 얘기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단지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사운드 신호(즉,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것까지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 이다.
바람직하게는, 여러개의 수신기가 아날로그 신호의 수신을 위해 제공되고, 여러개의 수신기가 디지털 신호의 수신을 위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경로 각각에서 각 경우에 품질이 더 우수한 아날로그 신호와 품질이 더 우수한 디지털 신호가 좀 더 처리되어 가중된 덧셈이 행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두 신호 브랜치로부터 더 우수한 사운드 신호가 출력 비디오 신호에 지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신호의 가중된 덧셈은 주파수 및/또는 시간 범위에서 수행된다. 가중화는 양자화될 수 있다. 이는 수신된 아날로그 수신 신호로부터 얻어진 디지털화된 신호가, 그 품질에 따라 수신된 디지털 수신 신호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100%, 0%,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만큼 더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만일 디지털 신호 경로부터의 신호가 최적이고 아날로그 신호 경로로부터의 신호가 심각하게 교란된다면,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신호가 1과 곱해지고 아날로그 신호가 팩터 0과 곱해진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신호가 표시를 위해 선택된다. 반대 경우에, 즉, 아날로그 신호가 최적이고 디지털 신호가 교란된다면, 아날로그 신호는 1로 가중치가 부여되고, 디지털 신호는 0으로 가중치가 부여된다. 1과 0 사이의 값들이 언제나 가능하지만, 매번 목표는 어떤 경우라도 더 우수한 신호를 가진 재생 장치를 제공하거나 이 장치에 어떤 개별 신호보다 더 우수한 결합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중된 덧셈은 다이버시티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한 신호에서 다른 신호 또는 결합 신호로 스위칭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시간 섹션에서 수행되는데, 왜냐하면, 수신 조건이 연속적인 시간 섹션에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합 또는 다이버시티는 또한 색차 신호와 휘도 신호간에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디지털 신호 경로에서 간섭 때문에 컬러 정보가 1 비트 그룹에 대해서만 디코딩될 수 있다면(예를 들어, 8×8 이미지 포인트, 노란색), 아날로그 신호 경로를 통해 흑백 이미지 구조만 검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버시티 장치에서 컬러 정보 노랑색이 이미지 구조 정보와 결합되도록 가중된 덧셈이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어느 정도 노랑색으로 채색된 이미지 구조가 된다. 전체적으로, 향상된 이미지 섹션이 이 이미지 영역을 위한 스크린 상에 도시된다.
또한, 신호들의 신호 결합 또는 가중된 덧셈이 행해질 가능성이 주파수 범위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디지털 신호 경로부터의 저주파수 신호 부분이 나머지 아날로그 신호 경로로부터의 더 높은 주파수 신호 부분과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을 좀 더 발전시킨 것으로서, 두 신호의 가중된 덧셈을 행하기 전에, 디지털 신호 경로 및 아날로그 신호 경로로부터의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제안된다.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balancing out running time differences)이 제1 단계 및 후속하는 제2 단계에서 행해지고, 이에 따라 제1 단계에서 두 신호의 대략적인 시간 근사화가 수행되고, 제2 단계에서 적어도 대략 두 신호가 정확하게 시간 동기화된다. 제1 단계에서 두 신호 경로의 오디오 신호가 각 경우에 저역 필터를 통과하여 서로 결합되고 서로 일치하게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관련된 비디오 신호의 대응 시간 변위를 통하여 두 비디오 신호의 대략적인 실행 시간 조정이 수행된다는 면에서 오디오 상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략적인 실행 시간 조정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에서 정확히 수행된다.
제2 단계에서 본 발명을 더 발전시킨 것으로서, 두 신호 경로의 이미지 및/또는 라인 동기화 신호가 서로 비교되어 하나 또는 두 신호의 시간 변위를 통하여 서로 일치하게 된다는 점에서 두 신호의 정확한 상관이 수행된다. 정확한 상관은 약 100 내지 200㎱에서 적어도 정확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아웃은 바람직하게는 아날로그 신호의 수신을 위한 적어도 두개의 수신기 및/또는 디지털 신호의 수신을 위한 적어도 두개의 수신기를 포함한다. 각 수신기의 출력 신호는 각 경우에 아날로그 복조기를 통하여 아날로그 경로에서 복조되고, 각 경우에 디지털 복조기를 통하여 디지털 경로에서 복조화되어, 이에 의해,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최상의 수신 품질을 가진 신호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에서 선택되고, 복조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최상의 수신 품질을 가진 신호가 디지털 선택기 장치에서 선택된다. 최상의 수신 품질을 가진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화된다. 이 후에 최상의 수신 품질을 가진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신호와 최상의 수신 품질을 가진 디지털 신호가 다이버시티 장치에 입력되어 여기서 두 신호가 시간 섹션에서 및/또는 주파수 범위에 의해 가중된 방식으로 더해진다. 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는 디지털 YUV 신호로서 존재하고, 사운드 신호는 PCM 신호로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에 의해 입력 측의 m개의 안테나를 n개 의 수신기에 임의의 조합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각 수신기의 출력 신호는 각 경우에 자동 증폭 제어기에 의해 일정한 레벨까지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디지털 복조기는 패키지 지향의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MPTS)를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로 공급하고,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는 더 적은 오류 패키지를 가진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을 선택하고 이를 MPEG 디코더(DK)로 전달한다.
또한, MPTS 다이버시티 장치로부터 n개의 출력 신호 각각이 n개의 디멀티플렉서 중 하나에서 각 경우에 디멀티플렉스되고, 각 전송 스트림 패키지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 식별자에 의해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SPTS)로 나뉘어질 수 있다. 프로그램은 필터들에 의해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필터링된다. n개의 디멀티플렉서의 출력 신호는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로 공급되고,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는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SPTS), 패키지 지향의 기본 스트림(PES), 또는 순수 기본 스트림(ES)로부터 최상의 품질을 가진 데이터 스트림을 선택하고, 이를 MPEG 디코더(DK)로 전달하고,개별 데이터 스트림간의 실행 시간 차의 균형을 맞춘다.
MPEG 디코더의 출력 신호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의 출력 신호는 다이버시티 장치에서 재생 신호로 함께 그룹지어지는데, 이는 하나의 출력 신호의 섹션이 가중된 방식으로 나머지 출력 신호의 대응 섹션에 그들의 품질에 따라 더해져서 이에 의해 두개의 출력 신호의 상이한 실행 시간의 균형이 맞추어지고, 가중된 방식으로 더해졌었고 그 실행 시간의 균형이 맞추어졌던 결합 신호가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 치(AE)에 입력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이버시티 장치에서 MPEG 디코더(DK)에 의해 제공된 출력 신호 및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제공된 출력 신호의 오디오 부분과 비디오 부분이 별도로 평가되어서, 하나의 출력 신호의 비디오 부분이 나머지 출력 신호의 오디오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신호 경로로부터 이용가능해진 사운드 신호가 관련 시간 섹션에서 더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있지 않는 한, 출력 비디오 이미지를 가진 오디오 신호 출력이 항상 아날로그 신호 경로로부터 이용가능하게 된다. 이는 설령 사운드가 디지털 신호 경로에서 더 이상 발견될 수 없다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사운드 신호가 여전히 아날로그 수신 신호로부터 유도될 수 있음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신기의 중간 주파수 신호의 레벨을 증폭 제어기에 의해 일정한 레벨까지 조정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든 디지털 복조기가 패키지 지향의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프로그램(MPTS)을 MPTS 다이버시티 장치에 제공하고 MPTS 다이버시티 장치는 오류가 없는 패키지를 가진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을 선택하여 이를 MPEG 디코더로 전달하는 것이 제안된다.
만일 오류가 없는 패키지를 가진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MPTS 다이버시티 장치의 n개의 출력 신호 각각이 각 경우에 n개의 디멀티플렉서 중 하나에서 디멀티플렉스되어, 각 전송 스트림 패키지에 포함된 프로그램 식별자에 의해 나뉘어지고, 프로그램이 필터에 의 해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SPTS)으로부터 필터링되는 것이 제안된다.
n개의 디멀티플렉서의 출력 신호가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로 입력되고,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가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 패키지 지향의 기본 스트림, 및 순수 기본 스트림으로부터 최상의 품질을 가진 데이터 스트림을 선택하고, 이를 MPEG 디코더로 전달하고개별 데이터 스트림 사이에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이버시티 장치에서 디지털 선택기 장치 및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출력 신호의 오디오 부분과 비디오 부분이 별도로 평가되는 것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든 장치, 즉,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 수신기, 자동 증폭 제어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복조기,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 MPTS 다이버시티 장치, MPTS 디멀티플렉서, SPTS, PES, 및 ES 다이버시티 장치, MPEG 디코더, 다이버시티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가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MPTS 다이버시티 장치 내의 전송 스트림 패키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의 SPTS 다이버시티 장치 내의 데이터 패키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의 다이버시티 장치 내의 데이터 패키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휘도 및 색차 신호 결합(휘도-색차 다이버시티)을 위한 8×8 픽셀 또는 이미지 포인트 필드를 기반으로 하는 두개의 이미지 신호의 가중된 덧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주파수 범위에서 두 이미지 신호의 가중된 덧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
AD1-ADn : 아날로그 복조기
AE :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
AGC1-AGCn : 자동 증폭 제어기
AW :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
A1-Am : 안테나
D : 디지털 선택기 장치
DD1-DDn : 디지털 복조기
DE : 다이버시티 장치
DK : MPEG 디코더
DX1-DXn : 디멀티플렉서
MD : MPTS 다이버시티 장치
SD :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
T1-Tn : 수신기
ZS : 중앙 제어 장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동일한 의미를 가진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안테나(A1-Am)가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AW)의 m개의 입력에 부착되고,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AW)의 n개의 출력에 n개의 수신기(T1-Tn)가 부착된다. m과 n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n개의 수신기(T1-Tn) 각각의 출력은 각 경우에 하나의 자동 증폭 제어기(AGC1-AGCn)의 입력에 연결된다. n개의 자동 증폭 제어기(AGC1-AGCn) 각각의 출력은 각 경우에 하나의 디지털 복조기(DD1-DDn) 및 아날로그 복조기(AD1-ADn)의 입력에 연결된다. 따라서, 디지털 및 아날로그 복조기는 각 자동 증폭 제어기에 지정된다. n개의 디지털 복조기(DD1-DDn)의 출력은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 다이버시티 장치(MD)의 n개의 입력에 연결되고,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 다이버시티 장치(MD)의 n개의 출력에 프로그램 필터를 가진 n개의 디멀티플렉서(DX1-DXn)가 연결된다. 디멀티플렉서(DX1-DXn)의 출력은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 패키지 지향의 기본 스트림, 또는 순수 기본 스트림을 위한 다이버시티 장치(SD)의 n개의 입력에 접속된다. 다이버시티 장치(SD)의 출력은 MPEG 디코 더(DK)의 입력에 연결되고, MPEG 디코더(DK)의 출력은 다이버시티 장치(DE)의 제1 입력에 연결된다. n개의 아날로그 복조기(AD1-ADn)의 출력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의 n개의 입력에 연결되고,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의 출력은 다이버시티 장치(DE)의 제2 입력에 연결된다. 다이버시티 장치(DE)의 출력은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AE)의 입력에 연결된다. 모든 장치--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AW), 수신기(T1-Tn), 증폭 제어기(AGC1-AGCn), 디지털 복조기(DD1-DDn), 아날로그 복조기(AD1-ADn), 다이버시티 장치(MD), 디멀티플렉서(DX1-DXn), 다이버시티 장치(SD), MPEG 디코더(DK),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 다이버시티 장치(DE), 및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AE)--의 제어 입력은 중앙 제어 장치(ZS)의 제어 출력과 입력에 연결된다. 다이버시티 장치(MD), 디멀티플렉서(DX1-DXn), 다이버시티 장치(SD), MPEG 디코더(DK)는 디지털 선택기 장치(D)를 형성한다.
m개의 안테나(A1-Am)는 필요할 때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AW)에 의해 하나의 예외를 가지고 n개의 수신기(T1-Tn)에 접속될 수 있는데, 이는 중앙 제어 장치(ZS)에 의해 제어된다.
n개의 수신기(T1-Tn)의 출력 신호는 n개의 증폭 제어기(AGC1-AGCn)에 의해 일정한 공통 레벨로 조정되는데, 이는 후속적인 복조를 일어나게 하여, 이 신호의 추가적인 처리를 상당히 쉬워지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n개의 수신기(T1-Tn)의 ZF 신호의 레벨은 일정한 레벨로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레벨로 조정되는 각 증폭 제어기(AGC1-AGCn)의 ZF 신호가 각 경우에 디지털 복조기(DD1-DDn)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복조되고, 각 경우에 아날로그 복조기(AD1-ADn)에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복조된다. 아날로그 복조기(AD1-ADn)에 의해 생성된 복조된 출력 신호는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로 입력되고,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는 필드 강도 또는 간섭 교란의 강도와 같은 공지된 방법 및 기준에 기초하여, n개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 중 최상의 것을 선택하여 이를 다이버시티 장치(DE)로 전달한다.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결정된 최상의 출력 신호는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 아니면 다이버시티 장치(DE)에서 디지털화된다.
디지털 복조기(DD1-DDn)로부터의 디지털 출력 신호는 디지털 선택기 장치(D)로 입력되고, 디지털 선택기 장치(D)는 또한 최상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이를 다이버시티 장치(DE)로 전달한다. 여기서 신호들이 가중된 형태로 더해진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더 심한 간섭을 가진 디지털 선택기 장치(D)에 의해 제공된 신호의 섹션은 시간 섹션 기준으로 더 작은 간섭을 가진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제공된 신호의 대응 신호 섹션에 의해 대체된다. 반면,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제공된 신호가 더 나쁘다면, 이들은 디지털 선택기 장치(D)로부터 더 적은 오류를 가진 신호에 의해 대응 시간 섹션에서 대체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AE)가 다이버시티 장치(DE)로부터 대체로 오류가 없는 신호를 수신한다.
시간 기반의 신호 대체 대신에 두 신호의 가중된 덧셈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두개의 가중 팩터는 0 또는 1이 아니다(0과 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가 대체된다). 예를 들어 두 신호가 곱해지거나 0.5로 가중치가 부여된다. 다 른 가중 팩터를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얻어진 전체 신호가 각개별 신호보다 더 우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 범위에서의 가중된 덧셈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본질적으로 이미지 구조를 전혀 보여주지 않는 8×8 픽셀을 위한 이미지 신호가 디지털 선택기 장치(D)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정확한 컬러 값 예를 들어, 노랑이 8×8 픽셀 블록에 대하여 인식된다. 반면, 이미지 구조, 예를 들어, 흑백으로 된 십자가의 윤곽을 도시하는 동일한 이미지 섹션에 대한 신호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로부터 얻어진다. 그러나, 여기에 컬러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컬러 신호의 변조의 유형 때문에 아날로그 텔레비젼 수신이라는 것이 흑백 이미지는 여전히 보이면서 컬러는 없어진다는 것을 종종 의미하기 때문이다. 두 이미지 신호가 본 발명에 따라 더해진다면, 밝은 노랑을 배경으로 하는 십자가를 도시하는 8×8 픽셀의 이러한 이미지 섹션에 대하여 신호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향상된 이미지 인상이 얻어진다. 두 신호의 가중치는 예를 들어 0.5일 수 있다.
가중 덧셈의 다른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하나의 신호 경로, 예를 들어 아날로그 채널이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 분산되고 나머지 신호 경로 예를 들어 디지털 채널이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 큰 간섭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교란된 주파수 대역이 필터링되거나, 적당한 필터--이 경우 저역 필터 또는 고역 필터--로 차단될 수 있고, 각 경우 덜 교란된 채널의 신호 부분과 혼합된다. 이러한 신호의 덧셈은 주파수 범위에서의 덧셈으로 묘사되는데, 그 이유는 디지털 수신 신호로부터의 낮은 주파수 이미지 섹션 및 아날로그 수신 채널로부터의 더 높은 주파수 이미지 섹션이 서로 더해지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각 장치의 제어를 위해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가 중앙 제어 장치(ZS)에 기준을 제공한다.
디지털 복조기(DD1-DDn) 및 디지털 선택기 장치(D)를 가진 디지털 브랜치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디지털 복조기(DD1-DDn)의 출력에 패키지 지향의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이 있다. n개의 디지털 복조기(DD1-DDn)에 의해 제공된 n개의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다이버시티 장치(MD)가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오류가 없는 패키지를 선택한다.
도 2는 3개의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MPTS)을 도시한다. 오류가 있는 개별 패키지가 (1)로 표시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누락되어 있다. (2)에서 오류가 있는 다수의 데이터 패키지가 전송 스트림에서 누락되어 있다. (3)의 경우, 전송 스트림(1, 2)으로부터 새로운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MPTS)이 생성되고, 최상의 경우에 이것은 오류가 없는 전송 스트림 패키지만을 포함한다.
만일 오류가 없는 패키지가 다이버시티 장치(MD)에서 이용가능하지 않다면,개별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이 디멀티플렉서(DX1-DXn)로 입력되어 디멀티플렉스된다.
각 전송 스트림 패키지에 포함된 프로그램 식별자를 이용하여, 오류가 있는 패키지를 도시하는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이 개별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으로 분할된다.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DX1-DXn)에 제공된 필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이 필터링된다. 만일 하나의 동일한 프로그램이 상이한 주파수로 상이한 방송들로부터 수신된다면 이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방법은 패키지 지향의 기본 스트림 및 순수 비(non) 패키지 지향의 기본 스트림의 경우와 같다. n개의 디멀티플렉서(DX1-DXn)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는 다이버시티 장치(SD)에 입력되고, 다이버시티 장치(SD)는개별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 패키지 지향의 기본 스트림, 또는 순수 기본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전송 패키지를 이용하여 오류가 있는 패키지를 가진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다이버시티 장치(SD)가 어떻게 오류가 더 적은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3은 예를 들어, 디지털 디멀티플렉서에 의해 공급된 제1 전송 스트림(MPTS1)과 디멀티플렉서에 의해 공급된 제2 전송 스트림(MPTS2)를 도시한다. 이러한 두개의 전송 스트림은 프로그램(PR1)과 프로그램(PR2)에 속하는 패키지를 포함한다.
전송 스트림(MPTS1)에서 프로그램(Pr1)과 프로그램(Pr2)의 패키지(1), 및 프로그램(Pr2)의 패키지(4)가 교란되는 반면, 프로그램(Pr1)과 프로그램(Pr2)의 패키지(2, 3) 및 프로그램(Pr1)의 패키지(4)는 교란되지 않는다. 필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DD1)과 같은 디멀티플렉서가 전송 스트림(MPTS1)으로부터 프로그램(Pr2)의 패키지를 선택한다. 이는 교란된 패키지(1), 교란되지 않은 패키지 (2, 3), 및 교란된 패키지(4)이다.
제2 전송 스트림(MPTS2)은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DXn)에 의해 제공되는데, 프로그램(Pr2)과 프로그램(Pr3)으로부터의 패키지를 포함한다. 프로그램(Pr2)에서의 패키지(1, 3, 4)는 교란되지 않는 반면, 프로그램(Pr3)의 패키지(1, 3), 및 프로그램(Pr2)의 패키지(2)는 교란된다. 필터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장치(SD)가 프로그램(Pr2)의 패키지(1-4)를 선택한다. 전송 스트림(MPTS2)의 패키지(1, 3, 4)가 교란되지 않는 반면, 패키지(2)는 교란된다. 다이버시티 장치(SD)가 전송 스트림(MPTS2)의 프로그램(Pr2)의 교란되지 않은 패키지(1)로부터, 전송 스트림(MPTS1)의 프로그램(Pr2)의 교란되지 않은 패키지(2)로부터, 전송 스트림(MPTS1)의 프로그램(Pr2)의 교란되지 않은 패키지(3)로부터, 그리고 전송 스트림(MPTS2)의 프로그램(Pr2)의 교란되지 않은 패키지(4)로부터, 교란을 덜 받고 이상적으로 교란을 받지 않은 전송 스트림을 결합한다.
오류가 없거나 오류가 더 적은 이러한 전송 스트림은 MPEG 디코더(DK)에 의해 디코딩되어 다이버시티 장치(DE)로 입력되고, 다이버시티 장치(DE)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선택된 최상의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도 4는 예를 들어 디지털 선택기 장치(D) 및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제공된 신호로부터 어떻게 다이버시티 장치(DE)가 최적의 이미지 신호 및 바람직하게는 사운드 신호까지 생성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4는 디지털 선택기 장치(D)에 의해 제공된 프레임(1-8)을 가진 비디오 신호(8) 및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제공된 프레임(4-10)을 가진 비디오 신 호(9)를 도시한다. 디지털 선택기 장치(D)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에서 프레임(1, 2, 3, 6)이 교란되지 않는 반면, 프레임(4, 5, 7, 8)이 교란된다.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제공된 비디오 신호에서 프레임(4, 5, 7, 8, 10)이 교란되지 않는 반면, 프레임(6, 9)은 교란된다. 디지털 선택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비디오 신호의 교란되지 않은 프레임(1, 2, 3, 6)으로부터 그리고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제공된 비디오 신호로부터의 교란되지 않은 프레임(4, 5, 7)으로부터, 다이버시티 장치(DE)가 이제 오류가 없거나 오류가 더 적은 프레임을 가진 신호를 결합한다. 또한, 다이버시티 장치(DE)는 두개의 비디오 신호간에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춘다.
도 4와 관련하여 이미지 신호만이 설명되었지만, 사운드 또는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와 사운드 신호의 혼합의 처리에도 마찬가지로 똑같이 적용된다.
디멀티플렉서(DX1-DXn)에 의해 제공된 프로그램 스트림 간의 실행 시간 차이는 다이버시티 장치(SD)에서 보상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수신과 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비디오 신호의 비디오 부분과 오디오 부분은 별개로 평가된다. 이러한 별개의 평가가 가능한 이유는 비디오 신호가 수직으로 동기 신호와 수평으로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이버시티 장치(DE)는 또한 이미지와 사운드간에 동시성(synchronicity)을 만들어낸다.
본 발명은 모바일 수신에 있어서 자주 변화하는 어려운 수신 조건, 예를 들어 차량에 특히 적합하지만, 절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 된 가정용 설치에도 적합하다.

Claims (51)

  1. 적어도 두개의 수신기(T1 내지 Tn)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A1 내지 An)에 의해 텔레비젼 신호를 다중 경로로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들 중 하나(T1)는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상기 수신기들 중 다른 하나(Tn)는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는 디지털화되고,
    상기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는, 각 경우에 두 신호 중 품질이 더 좋은 신호 또는 두 신호의 결합이 출력되는 가중된 방식으로(in a weighted manner) 다이버시티 장치(DE)에서 서로 더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신호의 가중된 덧셈은 주파수 또는 시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 경로로부터의 낮은 주파수 신호 부분과 나머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 경로로부터의 더 높은 주파수 신호 부분, 또 는 상기 하나의 신호 경로의 색차 부분과 상기 나머지 신호 경로의 휘도 부분이 서로 결합된다는 점에서, 상기 두 신호의 가중된 덧셈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경로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 경로로부터, 각 경우에 이미지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제공되어 가중된 방식으로 상기 다이버시티 장치(DE)에서 서로 더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된 덧셈은 양자화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신호의 가중된 덧셈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신호 경로와 아날로그 신호 경로 간의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제1 단계 및 후속하는 제2 단계에서 수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두 신호의 제1의 시간 기반 근사화가 수행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두 신호의 제2의 더 정확한 시간 동기화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두 신호 경로의 오디오 신호가 각 경우에 저역 통과 필터링되고 서로 비교되어 서로 일치하도록 만들어지며, 이에 의해 관련된 비디오 신호의 대응하는 시간 변위를 통하여 두 비디오 신호의 실행 시간 조정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오디오 상관(correlation)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시간 조정은 많은 이미지 라인이 지속되는 동안에 걸쳐 수행되고, 50-100μsec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두 신호 경로의 상기 이미지 신호 또는 라인 동기화 신호가 서로 비교되어 하나 또는 두 신호의 시간 변위를 통하여 서로 일치하게 만들어진다는 면에서, 상기 두 신호의 정확한 상관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확한 실행 시간 조정은 도시될 픽셀 해상도로 조정되고, 50-200 nsec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수신기가 아날로그 신호의 수신을 위해 제공되거나, 둘 이상의 수신기가 디지털 신호의 수신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수신기(T1 내지 Tn)의 출력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복조기(AD1 내지 ADn)에 의해 아날로그 경로에서 복조가 수행되고, 디지털 복조기(DD1 내지 DDn)에 의해 디지털 경로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복조가 수행되고,
    상기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들로부터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신호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서 선택되고,
    상기 복조된 디지털 신호들로부터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신호가 디지털 선택기 장치(B)에서 선택되고,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화되고,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신호 및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디지털 신호는 다이버시티 장치(DE)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n개의 안테나(A1 내지 An)는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AW)에 의해 n개의 수신기(T1 내지 Tn)에 임의의 조합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T1 내지 Tn) 마다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각 경우에 자동 증폭 제어기(AGC1 내지 AGCn)에 의해 일정한 레벨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든 디지털 복조기(DD1 내지 DDn)는 패키지 지향의(package-oriented)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MPTS)을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에 공급하고, 상기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는 더 적은 수의 오류 패키지를 가진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을 선택하여, 이를 MPEG 디코더(DK)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MPTS 다비어시티 장치(MD)로부터 n개의 출력 신호 각각이 n개의 디멀티플렉서(DX1 내지 DXn) 중 하나에서 각 경우에 디멀티플렉스되고, 각 전송 스트림 패키지내에 포함된 프로그램 식별자에 의해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SPTS)으로 분할되고, 프로그램이 필터들에 의해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디멀티플렉서(DX1-DXn)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이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에 공급되고, 상기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는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SPTS), 패키지 지향의 기본(elementary) 스트림(PES) 또는 순수(pure) 기본 스트림(ES)으로부터 최고의 품질을 가진 데이터 스트림을 선택하고, 이것을 상기 MPEG 디코더(DK)에 전달하고, 개별 데이터 스트림 간에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MPEG 디코더(DK)의 출력 신호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의 출력 신호가, 하나의 출력 신호의 섹션이 그들의 품질에 따라 나머지 출력 신호의 대응 섹션에 가중된 방식으로 더해지는 식으로, 다이버시티 장치(DE)에서 함께 하나의 재생 신호로 그룹지어지고, 이에 의해 두개의 출력 신호간의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이 맞추어지고, 가중된 방식으로 더해지고 실행 시간의 균형이 맞추어진 결합 신호가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AE)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장치(DE)에서 MPEG 디코더(DK)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제공된 출력 신호의 비디오 부분과 오디오 부분이 별도로 평가되어서, 하나의 출력 신호의 비디오 부분이 나머지 출력 신호의 오디오 부분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경로로부터 이용가능해진 사운드 신호가 당해 시간 섹션에서 더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아날로그 신호 경로로부터의 출력 비디오 이미지를 가진 오디오 신호 출력이 이용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AW), 수신기(T1 내지 Tn), 자동 증폭 제어기(AGC1 내지 AGCn), 아날로그 복조기(AD1 내지 ADn), 디지털 복조기(DD1 내지 DDn),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 디지털 선택기 장치(D), 다이버시티 장치(DE), 및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AE)가 중앙 제어 장치(ZS)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디지털 선택기 장치(D)의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 상기 MPTS 디멀티플렉서(DX1-DXn),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 및 MPEG 디코더(DK)가 중앙 제어 장치(ZS)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는 아날로그 신호의 품질 기준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ZS)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방법.
  25. 적어도 두개의 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텔레비젼 신호를 다중 경로로 수신하는 회로에 있어서,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의 수신을 위한 상기 수신기들 중 한 수신기(T1) 및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의 수신을 위한 다른 수신기(Tn)에는 각 경우에 다운스트림 신호 처리 장치가 제공되고,
    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가 디지털화될 수 있고,
    상기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는, 훨씬 우수한 신호를 얻기 위하여, 각 경우에 두 신호 중 품질이 더 좋은 신호 또는 두 신호의 결합이 출력 장치(AE)에서 출력되는 가중된 방식으로 다이버시티 장치(DE)에서 서로 더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두 신호의 가중된 덧셈은 주파수 또는 시간 범위에서 또는 색차 부분과 휘도 부분의 가중된 덧셈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하나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 경로로부터의 낮은 주파수 신호 부분과 나머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 경로로부터의 더 높은 주파수 신호 부분이 서로 결합된다는 점에서, 상기 두 신호의 가중된 덧셈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28.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경로의 출력 및 아날로그 신호 경로의 출력에서, 각 경우에 이미지 신호 및 사운드 신호가 선택되어 다이버시티 장치(DE)에서 가중된 방식으로 함께 더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29.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된 덧셈은 양자화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두 신호의 가중된 덧셈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신호 경로와 아날로그 신호 경로 간의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제1 단계 및 후속하는 제2 단계에서 수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두 신호의 제1의 시간 기반 근사화가 수행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두 신호의 제2의 더 정확한 시간 동기화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신 회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두 신호 경로의 오디오 신호가 각 경우에 저역 통과 필터링되고 서로 비교되어 서로 일치하도록 만들어지며, 이에 의해 관련된 비디오 신호의 대응하는 시간 변위를 통하여 두 비디오 신호의 실행 시간 조정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오디오 상관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시간 조정은 많은 이미지 라인이 지속되는 동안에 걸쳐 수행되고, 50-100μsec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두 신호 경로의 상기 비디오 신호의 이미지 신호 또는 라인 동기화 신호가 서로 비교되어 하나 또는 두 신호의 시간 변위를 통하여 서로 일치하게 만들어진다는 면에서, 상기 두 신호의 정확한 상관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35. 제34항에 있어서,
    정확한 실행 시간 조정은 도시될 픽셀 해상도로 조정되고, 50-200 nsec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36.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수신기가 아날로그 신호의 수신을 위해 제공되거나, 둘 이상의 수신기가 디지털 신호의 수신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3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각 수신기(T1 내지 Tn)의 출력 신호는 아날로그 복조기(AD1 내지 ADn)에 의해 아날로그 경로에서 복조될 수 있고, 디지털 복조기(DD1 내지 DDn)에 의해 디지털 경로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복조될 수 있고,
    상기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들로부터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신호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서 선택되고,
    상기 복조된 디지털 신호들로부터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신호가 디지털 선택기 장치(D)에서 선택되며,
    상기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화 장치에서 디지털화되고,
    상기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신호 및 상기 최고의 수신 품질을 가진 디지털 신호는 다이버시티 장치(DE)에 입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38.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n개의 안테나(A1 내지 An)는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AW)에 의해 n개의 수신기(T1 내지 Tn)에 임의의 조합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39.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각 수신기(T1 내지 Tn)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각 경우에 자동 증폭 제어기(AGC1 내지 AGCn)에 의해 일정한 레벨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0.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모든 디지털 복조기가 패키지 지향의(package-oriented)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MPTS)을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에 공급하고, 상기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는 더 적은 수의 오류 패키지를 가진 MPEG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을 선택하여, 이를 MPEG 디코더(DK)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로부터 n개의 출력 신호 각각이 n개의 디멀티플렉서(DX1 내지 DXn) 중 하나에서 각 경우에 디멀티플렉스되고, 모든 전송 스트림 패키지내에 포함된 프로그램 식별자에 의해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SPTS)으로 분할되고, 프로그램이 필터들에 의해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디멀티플렉서(DX1-DXn)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이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에 공급되고, 상기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는 단일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SPTS), 패키지 지향의 기본(elementary) 스트림(PES) 또는 순수(pure) 기본 스트림(ES)으로부터 최고의 품질을 가진 데이터 스트림을 선택하고, 이것을 상기 MPEG 디코더(DK)에 전달하고, 개별 데이터 스트림 간에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MPEG 디코더(DK)의 출력 신호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의 출력 신호가, 하나의 출력 신호의 섹션이 그들의 품질에 따라 나머지 출력 신호의 대응 섹션으로 가중된 방식으로 더해지는 식으로, 다이버시티 장치(DE)에서 함께 하나의 재생 신호로 그룹지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두개의 출력 신호간의 실행 시간 차이의 균형이 맞추어지고, 가중된 방식으로 더해지고 실행 시간의 균형이 맞추어진 결합 신호가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AE)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4.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장치(DE)에서 MPEG 디코더(DK)와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에 의해 제공된 출력 신호의 비디오 부분과 오디오 부분이 별도로 평가되어서, 하나의 출력 신호의 비디오 부분이 나머지 출력 신호의 오디오 부분과 결합될 수 있고 그 역도 행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5. 제44항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경로로부터 이용가능해진 사운드 신호가 당해 시간 섹션에서 더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아날로그 신호 경로로부터 출력 비디오 이미지를 가진 오디오 신호 출력이 이용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6.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AW), 수신기(T1 내지 Tn), 자동 증폭 제어기(AGC1 내지 AGCn), 아날로그 복조기(AD1 내지 ADn), 디지털 복조기(DD1 내지 DDn),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 디지털 선택기 장치(D), 다이버시티 장치(DE), 및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AE)가 중앙 제어 장치(ZS)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7. 제46항에 있어서,
    디지털 선택기 장치(D)의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 상기 MPTS 디멀티플렉서(DX1 내지 DXn),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 및 MPEG 디코더(DK)가 중앙 제어 장치(ZS)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는 아날로그 신호의 품질 기준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ZS)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ZS)의 제어 출력들이, 안테나 선택기 네트워크(AW), n개의 수신기(T1 내지 Tn), n개의 자동 증폭 제어기(AGC1 내지 AGCn), n개의 아날로그 복조기(AD1 내지 ADn), n개의 디지털 복조기(DD1 내지 DDn), 아날로그 선택기 장치(A), 디지털 선택기 장치(D), 다이버시티 장치(DE), 및 디스플레이 및 출력 장치(AE)의 제어 입력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50.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n개의 디지털 복조기(DD1 내지 DDn)의 출력은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의 n개의 입력에 접속되고,
    상기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의 n개의 출력은 n개의 MPTS 디멀티플렉서(DX1 내지 DXn)의 입력에 접속되고,
    상기 n개의 디멀티플렉서(DX1-DXn)의 출력은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의 n개의 입력에 접속되고,
    상기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의 출력은 MPEG 디코더(DK)의 입력에 접속되고,
    상기 MPEG 디코더(DK)의 출력은 다이버시티 장치(DE)의 입력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MPTS 다이버시티 장치(MD), n개의 디멀티플렉서(DX1 내지 DXn), SPTS, PES, 또는 ES 다이버시티 장치(SD), MPEG 디코더(DK)의 제어 입력은 중앙 제어 장치(ZS)의 제어 출력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수신 회로.
KR1020047019433A 2002-05-31 2003-06-02 다중 경로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37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24536.3 2002-05-31
DE10224536A DE10224536B4 (de) 2002-05-31 2002-05-31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Mehrwegeempfang
PCT/EP2003/005759 WO2003103280A1 (de) 2002-05-31 2003-06-02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ung zum mehrwegeempfa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115A KR20050013115A (ko) 2005-02-02
KR100937796B1 true KR100937796B1 (ko) 2010-01-20

Family

ID=2959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433A KR100937796B1 (ko) 2002-05-31 2003-06-02 다중 경로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28022B2 (ko)
EP (1) EP1510067B1 (ko)
JP (1) JP2005528859A (ko)
KR (1) KR100937796B1 (ko)
CN (1) CN100379269C (ko)
AU (1) AU2003238454A1 (ko)
CA (1) CA2487240A1 (ko)
DE (1) DE10224536B4 (ko)
WO (1) WO2003103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297B2 (ja) * 2002-05-13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制御装置
CN100596177C (zh) * 2003-07-14 2010-03-24 汤姆森许可公司 用于处理来自多路信号源的模拟和数字信号的装置和方法
JP4229816B2 (ja) * 2003-11-25 2009-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
JP3906209B2 (ja) * 2004-01-26 2007-04-18 株式会社東芝 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受信方法
JP4597547B2 (ja) * 2004-02-26 2010-12-15 船井電機株式会社 Gps信号の伝送システム
DE102004020503A1 (de) * 2004-04-26 2005-11-17 Fuba Automotive Gmbh & Co. Kg Verfahren zum mobilen Empfang von Bildinformationen
DE102004024027B4 (de) * 2004-05-13 2016-10-13 Delphi Technologies, Inc.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Bildqualität beim mobilen Fernsehempfang
US20090310624A1 (en) * 2005-05-04 2009-12-17 Andrew Kent Flickner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ple channels
JP2006352187A (ja) * 2005-06-13 2006-12-28 Hitachi Ltd 受信装置及び受信アンテナ設定方法
US8412840B2 (en) * 2005-11-14 2013-04-02 Ando Media, Llc Live media serving system and method
US7978773B2 (en) * 2006-12-29 2011-07-12 Agere Systems Inc. Multi-channel receiver with improved AGC
KR100781918B1 (ko) * 2007-02-02 2007-12-0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Mdu 방송 신호 분배 시스템
US7769357B2 (en) * 2007-04-25 2010-08-03 Agere Systems Inc. Multi-channel receiver with improved AGC
US7809343B2 (en) 2007-04-25 2010-10-05 Agere Systems Inc. Multi-channel receiver with improved AGC
DE102007028644A1 (de) * 2007-06-21 2009-01-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mpfangseinheit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mit einer peripheren Einheit
DE102008039051A1 (de) * 2008-08-21 2010-02-25 Audi Ag Verfahren zum Gewinnen von Bildern bei Mehrfachempfang
JP5665347B2 (ja) * 2010-04-13 2015-02-0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受信装置
US8819757B2 (en) * 2011-01-11 2014-08-26 Manolo Fabio Rivera Advanced wireless IPTV set top box
US8578428B2 (en) * 2011-08-23 2013-11-05 Rockwell Collins, Inc. Air-to-ground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JP5469121B2 (ja) * 2011-04-26 2014-04-09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受信装置
US9628163B2 (en) * 2014-03-25 2017-04-18 Marvell International Ltd. Low-complexity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nhanced receive diversity
US20160105689A1 (en) * 2014-10-13 2016-04-14 Vigor Systems Inc. Replacing a corrupted video frame
US9813659B1 (en) 2016-05-11 2017-11-07 Drone Racing League, Inc. Diversity receiver
US10737781B2 (en) 2017-09-14 2020-08-11 Drone Racing League, Inc. Three-dimensional pathway tracking system
US10623791B2 (en) 2018-06-01 2020-04-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ield of view prediction in live panoramic video streaming
US10812774B2 (en) 2018-06-06 2020-10-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devices for adapting the rate of video content streaming
US10616621B2 (en) 2018-06-29 2020-04-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multipath routing for panoramic video content
US11019361B2 (en) 2018-08-13 2021-05-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djusting panoramic view of a camera for capturing video content
US10708494B2 (en) 2018-08-13 2020-07-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djusting panoramic video content
US11051079B2 (en) * 2019-01-04 2021-06-29 Applied Digital Research Corp. Method and apparatus that processes programing data by multiple technologies
US11133787B2 (en) 2019-06-25 2021-09-2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automated gain control parameters for an automated gain control protoc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1598A2 (de) * 1999-06-25 2001-01-04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mobilen empfang von rundfunksignal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547B2 (ja) * 1990-06-13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イバシティ受信装置
US5659353A (en) * 1995-03-17 1997-08-19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5940452A (en) * 1995-11-29 1999-08-17 Motorola, Inc. Dual mode radio subscriber unit having 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3777003B2 (ja) * 1996-12-24 2006-05-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選局システム
EP0935385A3 (en) * 1998-02-04 2002-06-19 Hitachi, Ltd. Decoder device and receiver using the same
DE19849318A1 (de) * 1998-10-26 2000-04-27 Rohde & Schwarz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durch ein Mehrantennensystem gleichzeitig empfangenen OFDM-Signalen
JP2000332632A (ja) * 1999-05-20 2000-11-30 Toyota Motor Corp 移動体用放送受信装置
WO2001019075A2 (en) * 1999-09-08 2001-03-15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ultipath distortion in a television signal
US6577353B1 (en) * 1999-10-21 2003-06-10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mization of television reception by selecting among or combining multiple antenna inputs
FR2803459B1 (fr) * 1999-12-30 2002-02-15 Itis Systeme de transmission a diversite spatiale, temporelle et frequentielle
JP2001333347A (ja) * 2000-05-23 2001-11-30 Pioneer Electronic Corp アナログ・デジタル両用テレビ受信装置
DE10026538A1 (de) * 2000-05-27 2001-11-29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und Diversity-Empfangsvorrichtung zum Empfangen eines Mehrträger-Signals
DE10027610A1 (de) * 2000-06-06 2001-12-13 Fuba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Diversityempfang von digitalen Fernsehsignalen
US6603517B1 (en) * 2000-06-29 2003-08-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ery low cost digital TV module
CN1298159C (zh) * 2001-11-01 2007-01-31 汤姆森特许公司 电视信号接收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1598A2 (de) * 1999-06-25 2001-01-04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mobilen empfang von rundfunksigna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28362A1 (en) 2005-06-16
WO2003103280A1 (de) 2003-12-11
CA2487240A1 (en) 2003-12-11
DE10224536A1 (de) 2003-12-24
EP1510067B1 (de) 2014-08-13
AU2003238454A1 (en) 2003-12-19
JP2005528859A (ja) 2005-09-22
KR20050013115A (ko) 2005-02-02
EP1510067A1 (de) 2005-03-02
US7428022B2 (en) 2008-09-23
DE10224536B4 (de) 2009-04-23
CN1663242A (zh) 2005-08-31
CN100379269C (zh)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796B1 (ko) 다중 경로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3564961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9990088311A (ko) 디지털/아날로그겸용티브이수상기
GB2396068A (en) An auto-tuning receiver judges whether a channel contains a digital signal and stores/displays judgement even if program information cannot be extracted
US7034898B1 (en) Mobile television receiver
US20020197968A1 (en) Digital/analog broadcast receiver
JP432955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232016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200511722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チャネル情報取得方法
RU242623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высокочастотных сигналов
JP486605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60080712A1 (en) Television tuner
WO2007037424A1 (ja) 受信装置
KR20140103975A (ko) 다양한 표준의 방송국 추적
EP1562308A2 (en) Diversity receiver
US8826323B2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inor channels for digital televisions
JP453722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6866842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JP683329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CN101103553A (zh) 节目分集
JP5131757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その階層切り替え方法
KR20150092558A (ko) 하이브리드 tv 튜너
JP201607270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00021873A (ko) 복합 위성 방송 수신 시스템의 튜닝 방법
JP2001045393A (ja) 受信装置、受信方法並びにチューナー内蔵テレ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