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061B1 -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061B1
KR100935061B1 KR1020080005261A KR20080005261A KR100935061B1 KR 100935061 B1 KR100935061 B1 KR 100935061B1 KR 1020080005261 A KR1020080005261 A KR 1020080005261A KR 20080005261 A KR20080005261 A KR 20080005261A KR 100935061 B1 KR100935061 B1 KR 100935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arth leakage
switch
breaker
ground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316A (ko
Inventor
타카히로 쿠도
야스히로 타카하시
히사노부 아사노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01H83/04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with testing means for indicating the ability of the switch or relay to function proper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6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current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과제
유닛 케이스에 수용하는 누전 기능 부품을 아크 가스로부터 방호하면서, 유닛 케이스의 스페이스 절약화, 및 조립성의 개선이 도모되도록 조립 구조를 개량한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누전 검출 회로(4), 트립 코일(6), 감도 전류 스위치(7), 동작 시간 스위치(8), 누전 테스트 스위치(9), 및 누전 표시 버튼(13)의 각 기능 부품을 몰드 수지제의 유닛 케이스에 수용하여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에 탑재한 누전 인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닛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19)와, 하부 케이스의 위에 겹친 트레이형상의 상부 케이스(20)와, 상부 케이스의 개방면을 덮는 케이스 커버(21)로 이루어지는 2단적형 케이스로 구성하고, 또한 하부 케이스에는 트립 코일 및 누전 표시 버튼을 수용하고,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한 누전 검출 회로, 감도 전류 스위치, 동작 시간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를 실장한 회로 기판(22)을 수용하고 나서, 해당 회로 기판에 실장한 감도 전류 스위치, 동작 시간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조작부(7a, 8a. 9a)를 케이스 커버를 관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누전 차단기, 누전 인외 장치

Description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EARTH LEAKAGE TRIP DEVICE OF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저전압 배전 계통에 적용하는 누전 차단기에 탑재한 누전 인외(引外) 장치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누전 차단기는 주회로의 전류 차단부와 함께 지락(地絡) 보호 기능 부품을 본체 케이스에 탑재 장비하고 있다. 이 지락 보호 기능 부품은, 영상 변류기, 영상 변류기의 2차 출력으로부터 배전 계통의 누전을 검출하는 누전 검출 회로(IC), 누전 검출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차단기의 개폐 기구를 인외 조작하는 트립 코일, 및 누전 차단기의 감도 전류, 동작 시간을 조절 설정하는 전환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 누전에 의한 차단기의 트립 동작을 알람 표시하는 누전 표시 버튼 등이다.
여기서, 상기한 누전 검출 회로, 전환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 등의 전자 부품 및 트립 코일은, 전류 차단시에 전류 차단부에 발생하여 본체 케이스의 내부로 확산하는 아크 가스(접점 부재 등의 용융 금속을 포함한다)로부터 방호할 필요가 있고, 그를 위해 종래에는 이들 전자 부품을 종합하여 누전 인외 장치의 유닛 케이스에 수용하고, 이 유닛 케이스를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에 탑재하도록 한 구성의 것이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다음에, 누전 차단기의 회로도를 도 7에 도시하고,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에 탑재한 누전 인외 장치의 종래 구조를 도 8에 도시한다. 우선, 도 7의 회로도에서, 1은 3상 주회로, 2는 주회로(1)의 개폐 접점, 3은 주회로(1)를 1차 도체로 하여 주회로에 흐르는 누전 전류를 검출하는 영상 변류기, 4는 영상 변류기(3)의 2차 출력으로부터 누전 발생을 판별하는 누전 검출 회로(IC), 5는 누전 검출 회로(4)의 전원 회로, 6은 누전 검출 회로(4)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개폐 접점(2)을 개극시키는 트립 코일(조작 슬라이더와 조합한 플런저형의 전자석 장치), 7은 누전 차단기의 감도 전류를 가변 설정하는 감도 전류 스위치(슬라이드 스위치), 8은 동작 시간을 가변 설정하는 동작 시간 스위치(슬라이드 스위치), 9는 누전 테스트 스위치(누름버튼 스위치)이다.
또한, 도 8(a), (b)에 도시하는 누전 인외 장치(10)의 조립 구조에서, 11은 상자형의 케이스 개구면에 커버(11a)를 조합시킨 수지제의 유닛 케이스이고, 이 유닛 케이스(11)의 내부에 상기한 누전 검출 회로(4), 트립 코일(6), 감도 전류 스위치(7), 동작 시간 스위치(8), 누전 테스트 스위치(9), 트립 코일(6)에 연계한 조작 슬라이더(12), 및 누전 표시 버튼(13)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14는 누전 동작 검출 스위치(옵션)이다.
상기한 누전 인외 장치(10)는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에 탑재하고 나서, 누전 검출 회로(4)를 본체 케이스 내에 장비한 영상 변류기(3), 전원 회로(5)(도 7 참조)에 배선함과 함께, 상기한 조작 슬라이더(12)의 선단을 개폐 기구의 트립 크로스바에 대치(對峙)시킨다. 또한, 감도 전류 스위치(7), 동작 시간 스위치(8), 누전 테스트 스위치(9)의 조작단(손잡이부)은 외부에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차단기 본체 케이스의 커버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누전 인외 장치(10)의 기능, 동작은 특허 문헌 1에도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주회로(1)에 흐르는 누전 전류를 누전 검출 회로(4)에서 검출하면, 해당 누전 검출 회로(4)의 출력 신호에 의해 트립 코일(6)이 작동하고, 조작 슬라이더(12)를 통하여 차단기의 개폐 기구를 트립 동작시키고, 주회로 접점(2)을 개극한다. 동시에 누전 표시 버튼(13)이 차단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누전 차단 동작을 알람 표시한다. 또한, 누전 동작 검출 스위치(14)(옵션)가 동작하여 전기적인 알람 신호를 외부에 출력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9-63453호 공보(도 1, 도 2, 도 9)
그런데, 도 8에 도시한 종래 구조의 누전 인외 장치에는 다음 기재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누전 인외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커버가 있는 유닛 케이스(11)에 수용함에 의해, 이들 부품을 전류 차단시에 발생하는 아크 가스, 금속 융해물로부터 방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각 부품을 일괄하여 수용하는 유닛 케이스(11)는, 각 부품의 상호간에 부품의 조립, 나사체결 고정에 필요한 여유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 케이스의 외형 치수가 대형화하여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 내에 차지하는 점유 스페이스가 증가한다.
이에 대해,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누전 차단기는, 수요가의 사용감을 고려하여, 같은 암페어 프레임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형 치수와,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의 외형 치수가 통일되어 있다. 이 때문에, 누전 차단기에 탑재하는 누전 인외 장치의 유닛 외형 치수가 대형이 되면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에의 조립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누전 인외 장치는 가능한 한 소형, 컴팩트하게 구성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유닛 케이스에 수용하는 각 부품을 아크 가스로부터 방호하는 기능을 확보하면서, 유닛 케이스의 스페이스 절약화, 및 조립성의 개선이 도모되도록 조립 구조를 개량한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누전 검출 회로, 트립 코일, 감도 전류 스위치, 동작 시간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 및 누전 표시 버튼의 각 기능 부품을 몰드 수지제의 유닛 케이스에 수용하여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에 탑재한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닛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위에 겹친 트레이형상의 상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의 개방면을 덮는 케이스 커버로 이루어지는 2단적형(二段積形) 케이스로 구성하고, 또한 하부 케이스에는 트립 코일 및 누전 표시 버튼을 수용하고,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한 누전 검출 회로, 감도 전류 스위치, 동작 시간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를 실장한 회로 기판을 수용하고 나서, 해당 회로 기판에 실장한 감도 전류 스위치, 동작 시간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각 조작부를, 케이스 커버를 관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한다(청구항 1).
또한, 상기 구성의 유닛 케이스는, 구체적으로 다음 기재와 같은 양태로 구성할 수 있다.
(1) 트립 코일, 회로 기판을 각각 유닛의 하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스냅 피트 결합하여 소정 위치에 괘지(掛止) 고정한다(청구항 2).
(2) 유닛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사이, 및 상부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스냅 피트 결합하여 조립한다(청구항 3).
(3) 트립 코일의 가동부에 인외 조작용의 조작 슬라이더를 연결함과 함께,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조작 슬라이더의 가이드 레일을 일체 성형하고, 상기 조작 슬라이더를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감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한다(청구항 4).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다음 기재와 같이 누전 인외 장치의 각 기능 부품을 아크 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방호하면서,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장치 전체를 소형,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스페이스 절약화가 도모된다. 즉,
(1) 유닛 케이스를 2단적형 케이스로 하여, 트립 코일, 회로 기판의 각 부품을 각각 하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로 나누어 수용함에 의해, 케이스의 부품 수용 효율이 향상하여 유닛 케이스 전체를 소형,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의 위에 트레이형상의 상부 케이스, 케이스 커버를 차례로 겹침으로써,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차폐되기 때문에, 여기에 수용한 각 기능 부품을 아크 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방호할 수 있다. 또한, 기능 부품의 점검, 교환 작업을 각 케이스 단위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티넌스성이 향상한다.
(2) 또한, 트립 코일, 회로 기판을 각각 유닛의 하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스냅 피트 결합하여 소정 위치에 괘지 고정함으로써, 조립시에는 번거로운 나사체결 작업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삽입 조작으로 부품을 소정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3) 또한, 하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 케이스 커버의 조립에 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스냅 피트 결합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유닛 케이스를 간단히 조립, 분해할 수 있다.
(4) 또한, 2단적형의 유닛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의 측벽에 조작 슬라이더의 가이드 레일을 일체 성형하여 두고, 유닛 케이스의 조립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 사이에 트립 코일의 가동부에 연결한 조작 슬라이더를 끼워 넣도록 함으로써, 조작 슬라이더를 좌우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누전 인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c)는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누전 인외 장치의 조립 상태의 외관도, 도 5는 누전 차단기 전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로부터 중간 케이스. 상부 커버를 벗긴 상태에서의 내부 기구를 도시하는 부감도이고, 도 7, 도 8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5, 도 6에서, 15는 저부 케이스(15a), 중간 케이스(15b), 상부 커버(15c)의 분할 구조가 되는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 16은 주회로 접점의 개폐 기구, 17은 전류 차단부의 소호실, 18은 개폐 조작 핸들이다. 또한, 영상 변류기(3), 전원 회로(5)는 개폐 기구(16)를 끼우고 전류 차단부의 소호실(17)과 반대측(부하 단자측)에 배치하고, 누전 인외 장치(10)는 개폐 조작 핸들(18)의 측방에 나열하여 본체 케이스(15)의 거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누전 인외 장치(10)의 상세한 조립 구조를 도 1 내 지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19는 상자형의 하부 케이스, 20은 편평한 트레이 형상의 상부 케이스, 21은 케이스 커버이고 이들은 2단적형 유닛 케이스(몰드 수지제)를 구성한다. 또한, 케이스 커버(21)는 그 단부에 L자형상의 수하(垂下) 차양부(21a)를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20)에 씌운 상태로 케이스 개방면을 덮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하부 케이스(19)에는 트립 코일(6)과, 누전 표시 버튼(13) 및 그 구동 스프링(13a), 구동 레버(13b)를 수용한다. 또한, 누전 표시 버튼(13)은 하부 케이스(19)의 한쪽 구석에 형성한 버튼 수납부(19d)에 삽입 수용하고 있다. 또한, 트립 코일(6)에 조립한 조작 슬라이더(12)는, 트립 코일(전자석)(6) 가동부(6a)에 핀 결합하여 하부 케이스(19)의 외측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6b는 트립 코일(6)로부터 인출한 리드선이다.
또한, 상부 케이스(20)에는 누전 검출 회로(IC)(4), 감도 전류 스위치(7), 동작 시간 스위치(8), 누전 테스트 스위치(9)를 실장한 회로 기판(22)이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회로 기판(22)의 외형은 상부 케이스(20)의 형상에 맞추어서 만들어져 있고, 이 회로 기판상에 감도 전류 스위치(7), 동작 시간 스위치(8), 누전 테스트 스위치(9), 및 누전 검출 회로(IC)(4)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열하여 실장하고, 그 각 부품을 회로 기판(22)에 형성한 회로 패턴에 솔더 접합하여 소정의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7a, 8a는 감도 전류 스위치(7), 동작 시간 스위치(8)의 조작부(노브), 9a는 누전 테스트 스위치(9)의 조작부(버튼)이고, 이들 스위치의 조작부(노브(7a, 8a), 및 조작 버튼(9a))은 상부 케이스(20)의 위에 씌운 케이스 커 버(21)에 개구한 창구멍(21b, 21c)을 관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도 5에 도시한 본체 케이스(15)의 상부 커버(15c)에 개구한 창구멍에 면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한, 22a는 회로 기판(22)의 단부에 형성한 리드선의 접속단자이다.
한편, 상기한 유닛 케이스에 관해서는, 하부 케이스(19), 상부 커버(20), 케이스 커버(21)의 상호간을 다음 기재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스냅 피트 결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하부 케이스(19)의 주벽(周壁)에는 볼록형상의 계합 폴(19a, 19b)을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20)에는 상기 계합 폴(19a, 19b)에 스냅 피트 결합하는 클립 형상의 계합부(20a, 2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20)에는 케이스 커버(21)와 스냅 피트 결합하기 위한 계합각 구멍(20c)을 개구하고, 이 계합각 구멍(20c)에 대응하여 케이스 커버(21)의 주연에는 볼록형상의 계합 폴(2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립 코일(6)을 하부 케이스(19)에 수용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19)의 측벽에는 트립 코일(6)을 수용 위치에 괘지 지지하는 계합각 구멍(角穴)(19c)을 개구하고, 여기에 트립 코일(6)의 요크(계철(繼鐵))의 측연(側緣)에 형성한 계합 폴(6c)을 감합하여 트립 코일(6)을 스냅 피트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회로 기판(22)을 상부 케이스(20)에 수용하여 괘지 고정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20)의 내측에는 괘지 대좌(臺座)(20d)를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20)에 수용한 회로 기판(22)을 상기 대좌(20d)에 스냅 피트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 예의 상부 케이스(20)에는 누전 검출 스위치(옵션)를 장착하기 위한 스위치 지지 테두리(20e)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 밖에, 트립 코일(6)의 가동부(6a)에 핀 결합하여 하부 케이스(19)의 외측 쪽에 배치한 조작 슬라이더(12)를 소정의 동작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기 위해,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9), 상부 케이스(20)의 측벽에는 각각 단면(斷面) L자형의 가이드 레일(19e, 20f)을 일체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유닛 조립 상태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슬라이더(12)의 측연을 가이드 레일(19e와 20f) 사이에 감합하여 화살표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누전 인외 장치(10)의 유닛 케이스를 2단적형 케이스로 구성함에 의해, 도 4(a) 내지 (c)에서 도시하는 조립 상태에서는 하부 케이스(19)의 윗면을 상부 케이스(20)가 덮고, 상부 케이스(20)의 윗면을 케이스 커버(21)가 덮어서 각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다. 이로써, 케이스 내에 수용한 트립 코일(6), 회로 기판(22)을 차단기의 전류 차단부(소호실(17))에 생긴 아크 가스로부터 확실하게 방호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9), 상부 케이스(20), 케이스 커버(21)의 상호간을 착탈 가능하게 스냅 피트 결합하고, 또한 케이스 내부에 수용한 트립 코일(6), 회로 기판(22)도 스냅 피트 결합하여 수용 위치에 괘지 고정하도록 함에 의해, 유닛의 조립이 간단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케이스 내의 여분의 스페이스를 줄여서 유닛 전체를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조립 구조에 비하여 소형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닛 케이스에 수용한 누전 기능 부품의 보수, 점검 작업도 각 케이스(19, 20)마다 개별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티넌스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누전 인외 장치의 조립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본 상부 케이스, 케이스 커버, 회로 기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누전 인외 장치의 유닛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로서, (a), (b), (c)는 각각 도 2, 도 1, 도 3에 대응하는 방향에서 본 사시 외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누전 인외 장치를 탑재한 누전 차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누전 차단기로부터 본체 케이스의 중간 케이스, 상부 커버를 벗긴 상태에서의 내부 기구를 도시하는 부감도
도 7은 누전 차단기의 회로도
도 8은 종래에서의 누전 인외 장치의 조립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종단 측면도, (b)는 커버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회로
2 : 주회로 접점
3 : 영상 변류기
4 : 누전 검출 회로
5 : 전원 회로
6 : 트립 코일
6a : 트립 코일의 가동부
6b : 리드선
7 : 감도 전류 스위치
7a : 감도 전류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부(노브)
8 : 동작 시간 스위치
8a : 동작 시간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부(노브)
9 : 누전 테스트 스위치
9a :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조작부(버튼)
10 : 누전 인외 장치
11 : 유닛 케이스
12 : 조작 슬라이더
13 : 누전 표시 버튼
13a : 구동 스프링
13b : 구동 레버
14 : 누전 동작 검출 스위치
15 :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
i5a :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
15b :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의 중간 케이스
15c : 누전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의 상부 커버
16 : 개폐 기구
17 : 전류 차단부의 소호실
18 : 개폐 조작 핸들
19 : 유닛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
19a, 19b, 21d, 6c : 계합 폴
19c, 20c : 계합각 구멍
19d : 버튼 수납부
19e, 20f : 조작 슬라이더의 가이드 레일
20 : 유닛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
20a, 20b : 계합부
20d : 괘지 대좌
20e : 스위치 지지 테두리
21 : 유닛 케이스의 케이스 커버
21b, 21c : 창구멍
22 : 회로 기판
22a : 리드선의 접속 단자

Claims (4)

  1. 누전 검출 회로, 트립 코일, 감도 전류 스위치, 동작 시간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 및 누전 표시 버튼의 각 기능 부품을 몰드 수지제의 유닛 케이스에 수용하여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에 탑재한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닛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위에 겹친 트레이형상의 상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의 개방면을 덮는 케이스 커버로 이루어지는 2단적형 케이스로 구성하고, 또한 하부 케이스에는 트립 코일 및 누전 표시 버튼을 수용하고,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한 누전 검출 회로, 감도 전류 스위치, 동작 시간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를 실장한 회로 기판을 수용하고 나서, 해당 회로 기판에 실장한 감도 전류 스위치, 동작 시간 스위치,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각 조작부를 케이스 커버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트립 코일, 회로 기판을 각각 하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스냅 피트 결합하여 괘지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유닛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사이, 및 상부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스냅 피트 결합하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립 코일의 가동부에 인외 조작용의 조작 슬라이더를 연결함과 함께,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의 측벽에 상기 조작 슬라이더의 가이드 레일을 일체 성형하고, 해당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상기 조작 슬라이더를 유닛 케이스에 안내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
KR1020080005261A 2007-02-19 2008-01-17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 KR100935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8103A JP4893358B2 (ja) 2007-02-19 2007-02-19 漏電遮断器の漏電引外し装置
JPJP-P-2007-00038103 2007-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316A KR20080077316A (ko) 2008-08-22
KR100935061B1 true KR100935061B1 (ko) 2009-12-31

Family

ID=3965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261A KR100935061B1 (ko) 2007-02-19 2008-01-17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93358B2 (ko)
KR (1) KR100935061B1 (ko)
CN (1) CN101252063B (ko)
FR (1) FR2912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4716B (zh) * 2009-07-08 2014-04-02 黄华道 漏电检测保护电路
CN102157916A (zh) * 2010-02-12 2011-08-17 黄华道 漏电检测保护电路
CN102214910B (zh) * 2010-04-03 2015-10-14 樱花卫厨(中国)股份有限公司 智能漏电检测保护装置
CN102136401B (zh) * 2011-03-24 2012-12-19 浙江天正电气股份有限公司 带漏电保护的小型断路器
CN102436979B (zh) * 2011-09-30 2014-05-07 浙江路美思电气有限公司 暗装接线式漏电保护器
JP5866993B2 (ja) * 2011-11-15 2016-02-2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遮断器
CN106653499A (zh) * 2017-03-13 2017-05-10 新驰电气有限公司 一种剩余电流动作断路器的脱扣装置
US10614986B2 (en) * 2017-11-27 2020-04-0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guide member therefor
CN109755075B (zh) * 2019-03-04 2024-03-29 乐清市万联电器有限公司 一种模块化一体式小型漏电断路器
CN110896016A (zh) * 2019-12-03 2020-03-20 中山市开普电器有限公司 一种电磁式漏电保护器
CN113012990B (zh) * 2021-03-04 2024-05-14 徐进 一种具有警报提示功能的漏电断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661A (ja) 1998-06-15 2000-01-07 Fuji Electric Co Ltd 漏電しゃ断器
JP2004349063A (ja) 2003-05-21 2004-12-09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漏電遮断器
KR20050003962A (ko) * 2003-07-03 2005-01-12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KR20050014644A (ko) * 2003-07-31 2005-02-07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3849A (ja) * 1986-01-13 1987-07-2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ワイパ−制御装置
JP3388638B2 (ja) * 1994-08-05 2003-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等のテストスイッチ装置
JP3234445B2 (ja) * 1995-05-26 2001-12-04 松下電工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3438425B2 (ja) * 1995-08-22 2003-08-18 富士電機株式会社 漏電遮断器の漏電引外し装置
JP2000090804A (ja) * 1998-09-09 2000-03-31 Toshiba Fa Syst Eng Corp 回路遮断器
JP2000357447A (ja) * 1999-06-15 200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
FR2811805B1 (fr) * 2000-07-13 2002-08-30 Schneider Electric Ind Sa Appareil de protection electrique differentiel
CN2454966Y (zh) * 2000-11-11 2001-10-17 李乾良 四合一漏电保护器
JP4012098B2 (ja) * 2003-03-13 2007-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4264817B2 (ja) * 2003-11-27 2009-05-2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4259292B2 (ja) * 2003-11-28 2009-04-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661A (ja) 1998-06-15 2000-01-07 Fuji Electric Co Ltd 漏電しゃ断器
JP2004349063A (ja) 2003-05-21 2004-12-09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漏電遮断器
KR20050003962A (ko) * 2003-07-03 2005-01-12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KR20050014644A (ko) * 2003-07-31 2005-02-07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12835A1 (fr) 2008-08-22
CN101252063A (zh) 2008-08-27
FR2912835B1 (fr) 2015-03-20
JP4893358B2 (ja) 2012-03-07
KR20080077316A (ko) 2008-08-22
JP2008204714A (ja) 2008-09-04
CN101252063B (zh)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061B1 (ko) 누전 차단기의 누전 인외 장치
US7876181B2 (e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US7710694B2 (en) Earth leakage breaker
KR100771767B1 (ko)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 및 누전 차단기
US5907461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ground fault protection and signaling switches
US6211759B1 (en) Ionized gas deflector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0937296B1 (ko) 누전 차단기
JP4507944B2 (ja) 漏電遮断器
JP4644227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CN112106165B (zh) 电路断路器
KR101045465B1 (ko) 회로차단기
JP5866993B2 (ja) 漏電遮断器
KR200382136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차페기
EP4152358A1 (en) Circuit breaker
JPH10294054A (ja) 回路遮断器
EP2015334B1 (en) Air cicuit breaker having simple detachable structure for over current relay
JP3726709B2 (ja) 回路遮断器の零相変流器配設構造
JP2004235098A (ja) 回路遮断器のリモート操作装置
JP3418670B2 (ja) 回路遮断器
KR101026579B1 (ko) 회로 차단기
JP2005166274A (ja) 回路遮断器
KR101045413B1 (ko) 회로 차단기
KR920004652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JP2017139131A (ja) 漏電検知機能付き遮断器
JPH06139909A (ja) 保護継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