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429B1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429B1
KR100931429B1 KR1020077014939A KR20077014939A KR100931429B1 KR 100931429 B1 KR100931429 B1 KR 100931429B1 KR 1020077014939 A KR1020077014939 A KR 1020077014939A KR 20077014939 A KR20077014939 A KR 20077014939A KR 100931429 B1 KR100931429 B1 KR 10093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peed
deceleration
time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756A (ko
Inventor
마스노리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기와; 속도 제어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을 통상 정지시킬 때의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는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과;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감속 정지 거리를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어드밴스 위치를 산출하는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의 위치와 어드밴스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다음회 정지층을 설정하는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을 가지고 있다. 속도 제어기는 저울 장치 및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다음회 정지층에 통상 정지할 때까지의 속도 패턴을 생성하고, 속도 패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CONTROL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내의 부하 등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속도 제어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에 대해 선행하는 착상 가능한 위치를 구하고, 착상 가능한 위치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속도 제어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의해 행선층이 등록되고, 등록된 행선층에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 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내의 부하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 및 행선층에 따른 속도 패턴이 생성된다.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는 생성된 속도 패턴에 따라 제어된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4-20469호 공보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양호한 효율로 하기 위해, 속도 패턴의 생성을 엘리베이터 칸내의 부하에 의해서도 변하도록 한 경우에 승객의 타고ㆍ내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내의 부하가 변화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속도 제어 장치에 의해서는 모든 속도 패턴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가능한 위치를 구할 수 없게 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보다 양호한 효율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으로의 통상 정지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다음회 정지층을 설정하는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 엘리베이터 칸내의 부하를 검출하기 위한 저울 장치 및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다음회 정지층에 통상 정지할 때까지의 속도 패턴을 생성하고, 속도 패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기; 속도 제어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엘리베이터 칸을 통상 정지시킬 때의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는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 및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에 감속 정지 거리를 가산하는 것에 의해, 어드밴스(advance) 위치를 산출하는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의 위치와 어드밴스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다음회 정지층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속도 제어기에 의해 생성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2의 시각 T1까지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및 가속도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 장치의 연산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4의 모드 1의 연산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4의 모드 2의 연산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4의 모드 3의 연산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4의 모드 4의 연산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4의 연산 동작에 의해 산출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 및 어드밴스 위치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卷上機)(구동 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4)는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5)와, 권상기 본체(5)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sheave)(6)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6)에는 복수 라인의 메인 로프(7)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각 메인 로프(7)에 의해 승강로(1)내에 매달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구동 쉬브(6)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내를 승강하게 된다.
권상기 본체(5)에는 구동 쉬브(6)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인코더(검출기)(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2)내의 중량을 부하로서 검출하기 위한 저울 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인코더(8) 및 저울 장치(9)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10)에 전송된다.
제어 장치는(10)는 권상기(4)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기(11)와, 속도 제어기(1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 SYNC로부터, 권상기 본체(5)의 모터의 감속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을 정지시킬 때(즉, 엘리베이터 칸(2)을 통상 정지시킬 때)의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는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과,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에 의해 산출된 감속 정지 거리를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 SYNC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 정지 위치(어드밴스 위치 ADVN)를 산출하는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13)과,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13)으 로부터의 정보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다음회 정지층을 설정하는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을 가지고 있다.
제어 장치(10)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및 RAM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속도 제어기(11),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13) 및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의 기능은 제어 장치(10)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속도 제어기(11),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13) 및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 연산식의 데이터, 인코더(8)나 저울 장치(9)등의 정보도 기억부에 격납된다. 연산 처리부는 기억부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0)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속도 제어기(11)는 저울 장치(9) 및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이 다음회 정지층에 통상 정지할 때까지의 엘리베이터 칸(2) 속도의 시간적 변화를 속도 패턴으로서 생성한다. 즉, 속도 제어기(11)는 엘리베이터 칸(2)내의 부하와 다음회 정지층의 위치에 기초하여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를 연산에 의해 구하고, 구한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패턴을 생성한다. 또, 속도 제어기(11)는 인코더(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패턴에 따르도록, 인버터(15)를 통하여 권상기 본체(5)를 제어한다.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 및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13)은 감속 정지 거리 및 어드밴스 위치를 각각 일정한 연산 주기로 상시 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은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13)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2)의 어드밴스 위치 ADVN과,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의 다음회 정지층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은 엘리베이터 칸(2)의 어드밴스 위치 ADVN이 행선층보다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앞으로 진행하고 있을 때, 행선층을 다음회 정지층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어드밴스 위치 ADVN이 행선층과 동일 위치이거나, 또는 어드밴스 위치 ADVN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하여 행선층보다 바로 앞에 있을 때, 행선층을 다음회 정지층의 대상 후보로 한다. 다음회 정지층의 대상 후보 중, 엘리베이터 칸(2)에 가장 가까운 행선층이 다음회 정지층으로 된다.
도 2는 도 1의 속도 제어기(11)에 의해 생성되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도 제어기(11)에 의해 생성되는 속도 패턴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되고 나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시각 T3에서 최고 속도 V0에 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2)은 이동의 개시에서부터 시각 T3으로 될 때까지는 가속되고, 시각 T3을 경과한 후,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될 때까지는 감속되도록 속도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또, 속도 패턴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시각 T3에서 최고 속도 V0 로 되도록,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커지는 기동 저크(jerk) 시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일정하게 되는 일정 가속 시간, 및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작아지는 가속 라운드-오프(round-off)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또, 기동 저크 시간에서부터 일정 가속 시간으로 이행할 때의 시각이 T1로 되고, 일정 가속 시간에서부터 가속 라운드-오프 시간으로 이행할 때의 시각이 T2(T2>T1)로 되어 있다.
또한, 속도 패턴에서는 시각 T3에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될 때까지의 동안에,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의 가속도(감속도)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커지는 감속 라운드-오프 시간,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가 일정하게 되는 일정 감속 시간, 및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작아지는 착상(着床) 저크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또, 감속 라운드-오프 시간에서부터 일정 감속 시간으로 이행할 때의 시각이 T4로 되고, 일정 감속 시간에서부터 착상 저크 시간으로 이행할 때의 시각이 T5(T5>T4)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되고 나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될 때까지의 거리는 도 2의 Q2-K2-L2-Q2 로 둘러싸인 범위의 면적으로 표시된다.
다음에, 제어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2)이 어떤 층에 정지하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지면,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 중에서, 엘리베이터 칸(2)에 가장 가까운 행선층이 다음회 정지층으로서 설정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다음회 정지층에 통상 정지할 때까지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패턴이 속도 제어기(11)에 의해 생성된다. 이 때의 속도 패턴은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될 때의 엘리베이터 칸(2)내의 부하에 따른 속도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은 생성된 속도 패턴에 따라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다음회 정지층까지 속도 제어기(11)의 제어에 의해 이동된다. 이 때, 속도 제어기(11)는 인코더(8)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상시 검출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패턴에 따르도록, 구동 쉬브(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칸(2)이 이동되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진 경우에 속도 패턴에 있어서의 시간대에 따라 설정된 서로 다른 4 개의 연산 모드 MOD(모드 1 ~ 4) 중에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진 시각에 대응하는 연산 모드 M0D에 의해, 감속 정지 거리 및 어드밴스 위치가 각각 산출된다.
즉, 감속 정지 거리 및 어드밴스 위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진 때의 시각이 시각 T1까지의 시간(기동 저크 시간)내에 있는 경우에 모드 1의 연산 동작에 의해 산출되고, 시각 T1에서부터 시각 T2까지의 시간(일정 가속 시간)내에 있는 경우에 모드 2의 연산 동작에 의해 산출되고, 시각 T2에서부터 시각 T3까지의 시간(가속 라운드-오프 시간)내에 있는 경우에 모드 3의 연산 동작에 의해 산출되고, 시각 T3에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내에 있는 경우에 모드 4의 연산 동작에 의해 산출된다.
도 3은 도 2의 시각 T1까지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진 경우에 엘리 베이터 칸(2)의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및 가속도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동 저크 시간내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진 때에는 기동 저크 시간 Tj가 종료된 후, 가속 라운드-오프 시간 Ta에 직접 이행하고, 감속 라운드-오프 시간 Td가 종료한 후, 착상 저크 시간 Tl에 직접 이행한다.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 정지 거리는 도 3의 J1-K1-Q1-J1 로 둘러싸이는 범위의 면적으로 표시된다. 즉, 모드 1의 연산 동작은 도 3의 J1-K1-Q1-J1 로 둘러싸이는 범위의 면적을 구하여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에 감속 정지 거리를 가산하는 것에 의해, 어드밴스 위치를 산출하는 연산 동작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가속 라운드-오프 시간 Ta가 개시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를
Figure 112007047679789-pct00001
a 로 하고, 감속 라운드-오프 시간 Td가 종료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를
Figure 112007047679789-pct00002
d 로 하고 있다.
다음에, 제어 장치(10)의 어드밴스 위치를 산출할 때의 연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제어 장치(10)의 연산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제어 장치(10)의 연산 동작은 일정한 주기로 상시 행해진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에서는 먼저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속도 제어기(11)에 의해서 판정된다(S11).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되는 스타트 위치 STAT 및 어드밴스 위치 ADVN의 각각에,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 SYNC를 초기값으로서 설정한다(S12). 또, 카운터 TC에 0을 초기값으로서 설정하고(S13), 어드밴스 위치 ADVN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 모드 M0D에 모드 1을 초기값으로서 설정한다(S14). 이 후, 모드 1의 연산을 행하여,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된 다음이므로, 어드밴스 위치 ADVN, 스타트 위치 STAT, 카운터 TC 및 연산 모드 M0D에는 전(前)회까지의 연산 동작에 의한 값이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어드밴스 위치 ADVN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의 위치 STOP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에 의해 판정된다(S15). 어드밴스 위치 ADVN이 행선층의 위치 STOP보다 큰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행선층의 위치 STOP에 정지할 수 없으므로,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어드밴스 위치 ADVN이 행선층의 위치 STOP보다 작은 경우에 카운터 TC에 1 이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에 의해 가산된다(S16). 이 후, 연산 모드 MOD가 모드 1인지의 여부가 속도 제어기(11)에 의해 판정된다(S17). 모드 1인 경우에는 모드 1의 연산을 행하고(S30),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모드 1이 아닌 경우에 연산 모드 MOD가 모드 2인지의 여부가 속도 제어기(11)에 의해 판정된다(S18). 모드 2인 경우에 모드 2의 연산을 행하고(S40),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모드 2가 아닌 경우에 연산 모드 MOD가 모드 3인지의 여부가 속도 제어기(11)에 의해 판정된다(S19). 모드 3인 경우에 모드 3의 연산을 행하고(S50),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모드 3이 아닌 경우에 연산 모드 MOD가 모드 4 인지의 여부가 속도 제어 기(11)에 의해 판정된다(S20). 모드 4인 경우에 모드 4의 연산을 행하고(S60),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모드 4가 아닌 경우에 그대로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에, 모드 1의 연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모드 1의 연산 동작(S30)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카운터 TC의 시각이 시각 T1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31). 카운터 TC의 시각이 시각 T1보다 작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될 때까지의 거리 BIAS는 도 3의 J1-K1-Q1-J1 로 둘러싸이는 범위의 면적으로 표시되므로, 식 (1)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7047679789-pct00003
ㆍㆍㆍ (1)
이 후, 식(1)에서 구해진 거리 BIAS 및 엘리베이터 칸(2)의 스타트 위치 STAT를 이용하여, 어드밴스 위치 ADVN이 식(2)에 의해 구해지고(S32),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ADVN=STAT+BIAS ㆍㆍㆍ (2)
카운터 TC의 시각이 시각 T1 이상인 경우에 기동 저크 시간내에서의 연산은 아니므로, 연산 모드 MOD가 모드 2로 되고(S33),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에, 모드 2의 연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모드 2의 연산 동작(S40)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카운터 TC의 시각이 시각 T2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41). 카운터 TC의 시각이 시각 T2보다 작은 경우에 도 2의 일정 가속 시간(시각 T1에서부터 시각 T2까지의 시간) 내에 카운터 TC의 시각이 속하고 있으므로, 어드밴스 위치 ADVN은 카운터 TC의 시각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V로 하면, 식 (3)에 의해 구해진다(S42).
Figure 112007047679789-pct00004
ㆍㆍㆍ(3)
한편, 카운터 TC의 값이 시각 T2 이상인 경우에는 일정 가속 시간내에서의 연산은 아니므로, 연산 모드 MOD가 모드 3으로 되고(S43),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에, 모드 3의 연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모드 3의 연산 동작(S50)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카운터 TC의 시각이 시각 T3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51). 카운터 TC의 시각이 시각 T3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 2의 가속 라운드-오프 시간(시각 T2에서부터 시각 T3까지의 시간)내에 카운터 TC의 시각이 속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항상 도 2의 속도 패턴에 따른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의 스타트 위치 STAT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는 항상 도 2의 Q2-K2-L2-Q2 로 둘러싸인 범위의 면적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어드밴스 위치 ADVN은 일정 가속 시간이 종료했을 때(시각 T2)의 위치에서 일정하게 되고, 시간이 경과해도 변화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카운터 TC의 시각이 시각 T3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대로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카운터 TC의 시각이 시각 T3 이상인 경우에는 가속 라운드-오프 시간내에서의 연산은 아니므로, 연산 모드 MOD가 모드 4로 되고(S52),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에, 모드 4의 연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4의 모드 4의 연산 동작(S60)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 모드 MOD가 모드 4로 되어 있을 때에는 카운터 TC의 시각은 엘리베이터 칸(2)이 최고 속도(정격 속도) VO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의 시각, 또는 엘리베이터 칸(2)이 감속하고 있을 때의 시각 중 어느 하나로 되어 있다. 이 때의 감속 정지 거리 DSLR은 도 2의 J2-K2-L2-J2 로 둘러싸인 범위의 면적으로 일정하게 되므로, 식(4)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7047679789-pct00005
···(4)
또한, t는 시각 T4에서부터 시각 T5까지의 일정 감속 시간이다.
또, 어드밴스 위치 ADVN은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 SYNC 및 감속 정지 거리 DSLR를 이용하여, 식(5)에 의해 구해진다.
ADVN=SYNC+DSLRㆍㆍㆍ(5)
따라서, 연산 모드 MOD가 모드 4로 되어 있을 때에는 식 (5)에 의해 어드밴스 위치 ADVN이 산출되고(S61), 연산 동작이 종료한다.
도 9는 도 4의 연산 동작에 의해 산출되는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 SYNC 및 어드밴스 위치 ADVN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동 저크 시간내(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개시에서부터 시각 T1까지의 시간내) 또는 가속 라운드-오프 시간내(시각 T2에서부터 시각 T3까지의 시간내)에 카운터 TC의 시각이 속하고 있을 때에는 어드밴스 위치가 일정하게 되고, 일 정 가속 시간내(시각 T1에서부터 시각 T2까지의 시간내)에 카운터 TC의 시각이 속하고 있을 때에는 어드밴스 위치 ADVN과 엘리베이터(2)의 현재 위치 SYNC 사이의 감속 정지 거리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커지며, 가속 라운드-오프 시간이 종료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내에 카운터 TC의 시각이 속하고 있을 때에는 어드밴스 위치 ADVN과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 SYNC 사이의 감속 정지 거리 DSLR이 일정하게 된다.
도 9에 있어서, 예를 들어 카운터 TC의 시각 Tn에 있어서 N 층이 행선층인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발생했을 때에는 어드밴스 위치 ADVN이 이미 N 층의 위치보다 앞으로 진행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은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따르지 않고 N 층을 통과한다. 이것에 대해, 카운터 TC의 시각 Tn에 있어서 N+1 층이 행선층인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발생한 때에는 어드밴스 위치 ADVN이 N+1 층의 위치보다 바로 앞에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은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따라서 N+1 층에 통상 정지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서는 속도 제어기(11)가 엘리베이터 칸(2)내의 부하 및 다음회 정지층의 위치의 각각에 기초하여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패턴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고,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13)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 정지 거리를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어드밴스 위치 ADVN을 산출하고,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14)은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의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2)의 어드밴스 위치 ADVN을 비교함으로써, 다음회 정지층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내의 부하가 승객의 타고ㆍ내림에 의해 변화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패턴이 변경된 경우에도, 속도 패턴에 따라 어드밴스 위치 ADVN을 보다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을 보다 양호한 효율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으로의 통상 정지가 가능한지의 여부가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은 엘리베이터 칸(2)내의 부하 및 다음회 정지층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따른 감속 정지 거리를 초기값으로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2)을 양호한 효율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패턴이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된 속도 패턴에 따른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은 속도 제어기(11)에 있어서 설정된 최저의 감속도에 의해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감속 정지 거리를 초기값(최저값)으로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감속 정지 거리의 초기값은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될 때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개시시에 감속 정지 거리의 초기값을 최대로 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된 후에, 속도 제어기(11)에 의해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가 작아지도록 속도 패턴이 변경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2)을 감속하지 못하고 다음회 정지층의 위치를 지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은 권상기 본체(5)의 모터에 공급되는 전 류(모터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은 모터로의 토크(torque) 지령을 발생하는 토크 지령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과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 정지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으로의 통상 정지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로스가 크고, 속도 패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2)을 이동시킬 수 없게 되어서, 속도 패턴이 변경된 경우 등이어도, 변경된 속도 패턴에 따른 감속 정지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 승강로(1)의 상하 종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승강로(1)의 바닥부에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과속도 검출 레벨이 설정되고,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제동하는 강제 감속 장치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12)은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과속도 검출 레벨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된 감속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은 권상기(4)에 탑재된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켜서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에 의해, 강제적으로 제동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2)이 종단층에 정지될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과속도 레벨을 넘는 일이 없어지며, 강제 감속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내의 부하 등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다음회 정지층을 설정하는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부하를 검출하기 위한 저울 장치 및 상기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다음회 정지층에 통상 정지할 때까지의 속도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속도 패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기,
    상기 속도 제어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통상 정지시킬 때의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는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에 상기 감속 정지 거리를 가산하는 것에 의해, 어드밴스(advance) 위치를 산출하는 어드밴스 위치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다음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었던 행선층의 위치와 상기 어드밴스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다음회 정지층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개시할 때 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부하 및 상기 다음회 정지층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따른 상기 감속 정지 거리를 초기값으로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개시할 때에, 상기 속도 제어기에 있어서 설정된 최저의 감속도에 의한 상기 감속 정지 거리를 초기값으로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卷上機)의 모터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검출기, 및 상기 모터로의 토크(torque) 지령을 발생하는 토크 지령 장치 각각의 정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하 종단부에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과속도 검출 레벨이 설정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제동하는 종단층 강제 감속 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감속 정지 거리 산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과속도 검출 레벨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된 감속도에 의해, 상기 감속 정지 거리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20077014939A 2005-09-30 2005-09-30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0931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8159 WO2007039927A1 (ja) 2005-09-30 2005-09-30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756A KR20070088756A (ko) 2007-08-29
KR100931429B1 true KR100931429B1 (ko) 2009-12-11

Family

ID=3790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939A KR100931429B1 (ko) 2005-09-30 2005-09-30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30277A4 (ko)
JP (1) JP5014790B2 (ko)
KR (1) KR100931429B1 (ko)
CN (1) CN101065311A (ko)
WO (1) WO2007039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4357B (zh) * 2008-12-01 2011-01-05 希姆斯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适用于短楼层且远距离驱动曳引机的电梯控制系统
US8269616B2 (en) 2009-07-16 2012-09-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gaps between objects
KR101268819B1 (ko) * 2009-09-09 2013-05-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N102234048B (zh) * 2010-04-22 2013-08-21 永大机电工业股份有限公司 电梯速度曲线修正方法
JP2012153480A (ja) * 2011-01-26 2012-08-1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当該エレベータ制御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5668599B2 (ja) * 2011-05-18 2015-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
JP5537532B2 (ja) * 2011-05-31 2014-07-02 三菱重工パーキング株式会社 リフト搬送機制御装置、機械式駐車装置、及びリフト搬送機制御方法
EP2628699B1 (en) * 2012-02-20 2018-08-22 Kone Corporation Elevator, and also a system and a method for enabling embarkation and disembarkation of a vessel
CN103264936B (zh) * 2013-04-24 2016-02-24 深圳市海浦蒙特科技有限公司 电梯运行控制方法
DE112014006938T5 (de) * 2014-09-09 2017-06-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vorrichtung
US10625979B2 (en) 2015-03-11 2020-04-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CN108439103B (zh) * 2018-04-27 2020-12-01 深圳技术大学(筹) 电梯运行速度测量方法和系统
CN114560362B (zh) * 2022-03-16 2024-04-30 深圳市高德科技有限公司 精确计算电梯轿厢运行速度的方法、装置、介质及设备
CN114890258B (zh) * 2022-05-05 2023-09-08 国新电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智能速度控制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638A (ja) * 2002-03-14 2003-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885A (ja) * 1981-07-06 1983-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終端階減速装置
US4658935A (en) * 1985-08-05 1987-04-21 Dover Corporation Digital selector system for elevators
JPH05319708A (ja) * 1992-05-15 1993-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638A (ja) * 2002-03-14 2003-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0277A1 (en) 2008-06-11
WO2007039927A1 (ja) 2007-04-12
JPWO2007039927A1 (ja) 2009-04-16
KR20070088756A (ko) 2007-08-29
JP5014790B2 (ja) 2012-08-29
EP1930277A4 (en) 2012-09-26
CN101065311A (zh)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429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52142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741949B (zh) 电梯装置
KR100994582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096904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8060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9215057A (ja) エレベータの強制減速制御システム
JP507928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215012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時減速制御システム
JP200713754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86443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428900B2 (ja)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
JP4732578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461863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8004300A1 (ja) エレベーターの表示装置
EP3650384B1 (en) System for monitoring lobby activity to determine whether to cancel elevator service
JPH05155553A (ja) エレベータの速度監視装置
WO2022097231A1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CN101844718B (zh) 电梯装置
KR20070069127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0402229B (zh) 电梯的控制装置以及曳引绳索的伸缩量估计方法
KR100275576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705580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11209020A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管制運転装置
KR20060006768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