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120B1 -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120B1
KR100931120B1 KR1020070099196A KR20070099196A KR100931120B1 KR 100931120 B1 KR100931120 B1 KR 100931120B1 KR 1020070099196 A KR1020070099196 A KR 1020070099196A KR 20070099196 A KR20070099196 A KR 20070099196A KR 100931120 B1 KR100931120 B1 KR 10093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mpression
car
support
compress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048A (ko
Inventor
유태욱
권재수
진철민
김한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1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62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shredding scrap metal, e.g. automobi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지게차의 사용이 불필요해짐으로써,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복수의 롤러가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폐차를 압축함으로써, 폐차의 압축시간이 줄어들며, 압축롤러의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차량에 대해서도 압축이 가능해지고, 압축된 폐차의 두께 조절이 가능해지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부지지대에 리프트로 연결된 복수의 압축롤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압축롤러의 양측에 장착된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압축롤러가 회전하여, 폐차가 압축 배출되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를 제공한다.
압축롤러, 폐차, 구동모터, 리프트, 지지대, 업홀더

Description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Continuing roller-type apparatus for pressing of scrapped car}
본 발명은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지게차의 사용이 불필요해짐으로써,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복수의 롤러가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폐차를 압축함으로써, 폐차의 압축시간이 줄어들며, 압축롤러의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차량에 대해서도 압축이 가능해지고, 압축된 폐차의 두께 조절이 가능해지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자동차 보유대수가 매년 증가하여 2007년 1,600만대를 넘어섰고, 내수판매량은 2007년 120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며, 폐차발생량은 2006년 53만대이나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에는 100만대에 이를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때문에 사용수명이 끝난 폐차에 대한 적정처리가 매우 중요하고, 부품 및 재료의 재사용을 위한 사전처리가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 폐차는 약 75%정도가 중고부품 및 고철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나머지 25%는 ASR로서 매립되고 있다.
또한, 2008년 1월 1일부터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자원순환법'이 시행되어 환경을 고려한 폐차처리 시스템 및 폐차처리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상기 자원순환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폐차장은 법규에 맞는 시설변경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기존 폐차장은 현재 약 350개에서 절반 이하로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처리능력의 증대가 요구되며, 폐차를 압축하는 압축기의 압축능력 향상 및 압축시간 단축 또한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유압식 폐차 압축기의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종래 유압식 폐차 압축기의 개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폐차 압축시스템에서는 유압식 압축기(100)에 폐차(120) 운반시 지게차(110)를 이용하여야 하며, 압축된 폐차의 배출시 다시 지게차(110)를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폐차의 수량이 많아질 경우 작업자가 지게차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폐차의 투입 및 배출을 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부지지대에 리프트로 연결된 복수의 압축롤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압축롤러의 양측에 장착된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압축롤러가 회전하여, 이에 의해 폐차가 압축 배출됨으로써, 지게차의 사용이 불필요해져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복수의 롤러가 연속적으로 폐차를 압축하여 폐차의 압축시간이 줄어들며, 압축롤러의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차량에 대해서도 압축이 가능해지고, 압축된 폐차의 두께 조절이 가능해지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지지대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 하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함으로써, 하기 압축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 하부에 장착되되,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롤러지지대와;
상기 롤러지지대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벨트가 감겨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감겨진 벨트에 양측이 결합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압축롤러와;
상기 압축롤러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폐차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지지대의 하부에 결합하되, 상기 압축롤러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압축롤러를 지지하는 업홀더;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업홀더는 길게 평판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롤러지지대에 장착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압축롤러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우선, 종래 지게차의 사용이 불필요해짐으로써,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복수의 롤러가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폐차를 압축함으로써, 폐차의 압축시간이 줄어들고,
압축롤러의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차량에 대해서도 압축이 가능해지고, 압축된 폐차의 두께 조절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의 개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 및 리프트의 결합 개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롤러의 개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업홀더의 개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지지대(200)에 리프트(210)로 연결된 복수의 압축롤러(26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여, 폐차의 크기에 따라 압축장치(400) 입구의 높이가 조절되고, 압축롤러(260)의 양측에 장착된 벨트(250)와 연결되는 구동모터(240)의 작동에 의해 압축롤러(260)가 회전하여, 지게차 등의 운반장치 없이도 폐차가 압축 배출되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지지대(2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면에 복수의 유 압실린더(220)가 장착 고정되고, 각 유압실린더(220)의 하부에는 리프트(210)가 삽입되어, 유압실린더(220)의 유압공급에 의해 리프트(21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유압실린더(220)의 내부에는 유압의 공급을 조절하는 유압공급수단(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압축장치(400)로 운반되는 폐차의 크기에 따라 리프트(210)가 상부지지대(200)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부지지대(290) 방향으로 하강함으로써, 압축롤러(26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롤러지지대(230)는 2개의 리프트(210) 하부에 각각 장착되되어 리프트(210)의 상하 이동시 함께 이동하고, 내부에 구동모터(24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지지대(230)의 내부에는 하나의 압출롤러(260)에 복수개로 배속되는 구동모터(240)가 설치되고, 각 구동모터(240)의 외측에 결합된 회전축에는 벨트(250)가 장착되며, 양쪽 벨트(250)의 하부에는 압축롤러(260)의 롤러축(270)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압출롤러(260)는 자신에게 배속되어 있는 복수개의 구동모터(240)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벨트(250)는 구동모터(240)의 회전력을 압축롤러(260)에 전달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체인으로 대체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폐차가 운반되어 들어오는 입구측 벨트(250)길이가 가장 짧고, 폐차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벨트(250)길이가 길어져, 배출구측 벨트(250)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압축장치(400)에 운반된 폐차는 입구에서 배출구로 이동하면서 점점 낮은 높이로 압축된다.
상기 압축롤러(260)는 양측의 롤러축(270)이 벨트(250)에 장착되어 구동모 터(240)의 작동시 벨트(25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상기 압축롤러(260)의 외주면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 돌출형의 후크(261)가 복수개 형성되어, 압축롤러(260)의 회전시 후크(261)에 걸린 폐차가 배출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후크(261)는 일방향 라인을 형상한채 설치되어 폐차가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경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져 폐차의 중량에 의한 외압을 이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261)가 배열된 라인 사이에는 홀더홈(262)이 형성되고, 업홀더(300)는 이 홀더홈(262)에 삽입 장착됨과 동시에 롤러지지대(230) 하부에 고정되어 압축롤러(26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업홀더(3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길게 평판형으로 돌출되어 롤러지지대(230)에 장착되는 홀딩부(310)가 일측에 형성되고, 홀딩부(310)의 하부에는 홀더홈(262)에 삽입되는 삽입부(32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압축롤러(260)와 맞닿는 삽입부(320)의 내측면은 베어링(330)이 설치되어, 압축롤러(260)의 회전시 압축롤러(260)와 업홀더(300) 사이의 마찰이 감소됨으로써, 압축롤러(260)의 회전이 용이해지게 된다.
상기 압축롤러(260)의 하부에는 운반된 폐차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290)가 설치되고, 하부지지대(290) 상부 양측(압축롤러(260)의 양측)에는 수직벽으로 형성된 측면지지대(280)가 설치되어 폐차 압축시 폐차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측면지지대(280)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의 라인홈(350)이 길게 형성되고, 이 라인홈(350)에는 벨트(250) 및 압축롤러(260)의 롤러축(270)이 삽입되어, 리프트(210)의 작동에 의해 압축롤러(260)가 라인홈(35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측면지지대(280)는 압축롤러(260)와 이격없이 설치됨으로써, 폐차 압축시 압축롤러(26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압축롤러(260)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폐차 압축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발처리, 액상류 회수, 외장류 분리, 내장류 분리 및 엔진과 변속기 해체 등의 공정을 거친 폐차(120)는 라인벨트(360)를 따라 압축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폐차(120)의 크기에 따라 압축롤러(260)의 높이는 유압실린더(220)의 작동과 리프트(210)의 이동에 의해 조절된다.
다음으로, 압축장치(400)로 투입된 폐차(120)는 구동모터(240)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입구측 압축롤러(260)의 가압에 의해 우선 압축되고, 압축롤러(260)의 외주면에 형성된 후크(261)에 의해 이동하며, 배출구측 압축롤러(260)에 의해 최종 압축되어, 압축장치를 빠져 나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 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유압식 폐차 압축기의 개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의 개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 및 리프트의 결합 개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롤러의 개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업홀더의 개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상부지지대 210 : 리프트
220 : 유압실린더 230 : 롤러지지대
240 : 구동모터 250 : 벨트
260 : 압축롤러 270 : 롤러축

Claims (5)

  1. 상부지지대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 하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함으로써, 하기 압축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 하부에 장착되되,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롤러지지대와;
    상기 롤러지지대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고, 벨트가 감겨지며, 하나의 압축롤러에 복수개로 배속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감겨진 벨트에 양측이 결합하여, 자신에게 배속되어 있는 복수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압축롤러와;
    상기 압축롤러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폐차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지지대에 리프트로 연결된 복수개의 압축롤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폐차의 크기에 따라 압축장치의 입구 높이가 조절되고, 압축장치에 운반된 폐차는 입구에서 배출구로 이동하면서 점점 낮은 높이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대의 하부에 결합하되, 상기 압축롤러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압축롤러를 지지하는 업홀더;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업홀더는 길게 평판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롤러지지 대에 장착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압축롤러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축롤러는 외주면에 돌출형상의 후크가 형성되어 폐차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대는 내측에 상기 벨트가 삽입되는 라인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KR1020070099196A 2007-10-02 2007-10-02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KR10093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196A KR100931120B1 (ko) 2007-10-02 2007-10-02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196A KR100931120B1 (ko) 2007-10-02 2007-10-02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048A KR20090034048A (ko) 2009-04-07
KR100931120B1 true KR100931120B1 (ko) 2009-12-10

Family

ID=4076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196A KR100931120B1 (ko) 2007-10-02 2007-10-02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682A (ko) * 2014-05-27 2015-12-08 김명수 약칠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6125A (en) * 1976-01-16 1977-07-19 Mezei John R Trailer mounted automobile crusher
KR200149955Y1 (ko) 1996-03-26 1999-06-15 김동복 폐차 압축 장치
US6612421B1 (en) 1999-11-03 2003-09-02 Metso Lindemann Gmbh Device for loading a fragmenting machine for example a hammer crusher
KR200371484Y1 (ko) * 2004-10-07 2004-12-31 뉴코리카산업개발(주) 폐차 파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6125A (en) * 1976-01-16 1977-07-19 Mezei John R Trailer mounted automobile crusher
KR200149955Y1 (ko) 1996-03-26 1999-06-15 김동복 폐차 압축 장치
US6612421B1 (en) 1999-11-03 2003-09-02 Metso Lindemann Gmbh Device for loading a fragmenting machine for example a hammer crusher
KR200371484Y1 (ko) * 2004-10-07 2004-12-31 뉴코리카산업개발(주) 폐차 파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682A (ko) * 2014-05-27 2015-12-08 김명수 약칠기
KR101593798B1 (ko) 2014-05-27 2016-02-16 김명수 약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048A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512B2 (en)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US9187801B2 (en) Apparatus for recycling metal scraps
CN205291656U (zh) 一种汽车加工用冲压机
KR20050095727A (ko)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
KR101371624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KR100931120B1 (ko) 연속롤러형 폐차 압축장치
US8657557B2 (en) Method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EP1149926B1 (en) Recycling of grinding sludge in the form of briquettes
CN108146940B (zh) 一种新型餐厨垃圾车
KR101394376B1 (ko) 폐차 압축장치
CN212245357U (zh) 一种循环上料系统
US20080156205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bent, irregularly shaped pieces of scrap sheet metal
KR101825160B1 (ko) 폐차 시스템
CN2425058Y (zh) 半高位自装卸压缩式垃圾运输车
KR100921131B1 (ko) 관성롤러를 이용한 폐차 압축장치
CN2786052Y (zh) 推料机
RU2760587C1 (ru) Мусороперегрузочная установка
CN111824632A (zh) 一种带有送料结构的垃圾压缩装置
CN211616720U (zh) 一种带进料机构的金属打包设备
CN100362137C (zh) 阴极浸渍筐装卸装置
CN219235656U (zh) 一种用于人造石压制成型的设备
CN212473224U (zh) 一种自卸车用分段式卸料装置
CN211195041U (zh) 一种自动压缩打包机
CN210252164U (zh) 一种带有提升装置的干法造粒机
SU172804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выделени и измельчени резины из автомобильных изношенных ши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