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769B1 - 시계줄 연결요소 - Google Patents

시계줄 연결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769B1
KR100929769B1 KR1020020050684A KR20020050684A KR100929769B1 KR 100929769 B1 KR100929769 B1 KR 100929769B1 KR 1020020050684 A KR1020020050684 A KR 1020020050684A KR 20020050684 A KR20020050684 A KR 20020050684A KR 100929769 B1 KR100929769 B1 KR 10092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crew
decorative
hollow element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117A (ko
Inventor
구에리 크리스토퍼
볼츠 세바스티엔
거버 스티브
Original Assignee
몬트래스 라도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트래스 라도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몬트래스 라도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3001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Adorn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ceramics)과 같은 경질재료로 만들어진 장식적 요소를 포함한 손목시계에 대한 특유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식 요소들이 제조되는 동안 실시되는 소결단계(sintering step)는 그것들의 크기에 대한 최대 불확정성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로 얻어지는 부품들은 공통 접점에서 틈의 발생을 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정확한 크기를 갖지 못한다.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연결요소(1)는 서로 다른 장식 요소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형성하는 정밀한 조정과 결과적으로 그들 사이에 얻어진 연속 접점을 허용하는 기계장치(17, 26, 29, 34, 37, 5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계줄 연결요소{LINK FOR WATCH BRACELET}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은 비 제한적 예시로 주어진 추가 도면들을 참조한 다음 상세 묘사를 읽음으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선행기술의 연결요소를 포함한 손목시계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2a 와 도 2b 는 시계 케이스에 연결된 연결요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시계줄(bracelet) 연결요소 상부 면(upper plane)을 도시하는 개략적 횡단면도;
도 2c 는 시계 케이스 없이 도 2a 의 II-II 선을 따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도 2a 및 도 2c 와 각각 유사하게 도시한 닮은꼴 도면;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두 가지 차동 배치에서 본 발명의 연결요소 정중면을 도시하는 개략적 횡단면도;
도 4c 는 도 4a 와 도 4b 에서 연결요소 유형품목을 도시하는 확대 투시도;
도 5a 와 도 5b 는 제 4 실시예에 대해 도 4a 와 및 4b 와 각각 유사하게 도시한 닮은꼴 도면;
도 5c 는 시계 케이스 없이 도 5a 의 V-V 선을 따라 도시한 개략적 횡단면도;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해 도 4a 와 도 4b 와 각각 유사하게 도시한 닮은꼴 도면.
* 부호설명
1, 105 : 연결요소 2 : 제 1 중공요소
4 : 덮개 5 : 나사
6, 45, 53 : 나사구멍 7, 21, 29, 48 : 개구
8, 19, 20 : 벽 9 : 제 2 요소
10 : 부착수단 12: 제 1단부
13 : 제 2단부 14 : 봉
15 : 힌지부 16 : 키
17 : 헬리컬 스프링 18, 104 : 장식요소
22, 103 : 케이스 23 : 평 가스킷
24 : 환형홈 26 : 블록
27 : 주요부품 28, 32 : 빗면
30, 43, 47 : 리세스 31 : 측부
33 : 원통형 개구 34 : 나사
35 : 나사머리 36 : 완충기
38, 39 : 베이스 40, 41 : 면
42 : 홀 49, 50, 51, 52 : 부품
101 : 손목시계 102 : 시계줄
106 : 이탈수단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소결단계(sintering step)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얻은 외부 요소, 시계줄의 세로방향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경계부분을 이루는 외부요소 또는 장식요소를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에 시계줄을 연결하기 위해 공급되는 연결요소(link)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총체적으로 가령 세라믹(ceramics)과 같은, 경질재료로 만들어진 외부 부품들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갖는 시계를 조립할 용도인, 부분적 경질재료로 만들어진 시계줄 분야와 관계된다.
중심부(core)와 틀(frame)의 기능을 보증하는 다소 유연한 내부 구조를 포함하고 최소한 부분적으로 장식요소로 덮여있는 이러한 유형의 시계줄은 당해업자에게 공지되어있다.
미국 특허 번호 5,365,753은 특히 시계에 대해, 힌지(hinge)로 각각 연결된 관절 연결요소(articulated links)를 형성하는 내부 체인(chain)을 갖는 시계줄을 발표한다. 두 개의 구조상 요소로 된 각각의 연결요소는 세라믹 물질로 된 외부 장식요소로 덮여있다. 또한, 각 연결요소는 각각에 연결요소를 연결하는 여러 힌지가 감추어지도록 하여 유리한 미적효과(aesthetic effect)를 얻을 수 있도록 상응하는 장식요소를 지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선행기술에서 이러한 유형의 시계줄이 공지된 것처럼, 이 러한 구조는 그 응용에 어떤 제한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세라믹 물질과 같은 경질재료로 만들어진 장식부품은 소결단계에 따라 주조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얻어진다. 이러한 소결단계동안, 수축이 발생하는데 즉, 열과 압력의 결합작용을 통해, 부피에 있어서의 분명한 감소, 최초 부피의 30% 이상이 될 수 있는 이러한 수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설정된 방법은 현재 대략 0.5 에서 1% 의 치수공차를 갖는 것과 같은 제조부품, 낮은 공차를 얻기 어렵게 하는 소결단계를 허용한다. 이러한 공차가 사용된 원료 묶음(batches)의 작용으로서 변동한다는 것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관련 공차는 예를 들면, 3 센티미터 세라믹 시계케이스 길이를 초과해 약 1/5 밀리미터의 불확정성을 초래한다. 이러한 유형의 시계는 시계제조 오차범위를 초과하게 되며, 이러한 불확정성은 제조업자에게 허용될 수 없다.
따라서 선행기술은 소결단계 후에 이러한 시계의 외부 부품들의 세라믹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여러 유곡(play)을 제거하기 위해, 수동기계가공을 했다.
그러나 그러한 제품에 대해 증가하는 고객의 수요에 직면해, 제조되는 세라믹 장식요소를 포함하는 시계제조 부품의 수는 지난 몇 해 동안 크게 증가해왔고, 기계가공 단계를 매우 힘들게 만들었으며, 다량의 부품이 처리되게 되었다. 게다가, 이러한 기계가공단계는 현재 만들어지는 시계 케이스 결합구조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매우 어려워지고, 제대로 작동하게 하기 위해 주어진 위치로 부품을 고정시키는 것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이런 문제는 제조될 장식부품들이 크기 때문에 더욱더 불편하다는 점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특히, 전술한 제조 공차는 크기가 시계줄 연결요소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시계 케이스에 유해한 영향을 끼친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시계 제조업자가 더 큰 크기의 시계줄 연결요소를 만들고자 할수록, 만족할만한 미적 외관을 갖는 시계줄 연결요소 사이 또는 시계 케이스와 시계줄 사이에서 접점을 만들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선행기술의 전술한 결점을 극복하고 현재 시계의 미적 외관을 더 좋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시계줄에 부착하는 부착 수단을 구비한 제 1 중공요소(hollow element), 제 1 중공요소에 내포되고 시계 케이스에 제 2 요소를 부착하는 제 2 부착수단을 지지하는 제 2 요소의 한 부분 및 제 1 중공요소에 고정되고 최소한 제 2 부착 수단의 측면에서 제 2 요소를 부분적으로 덮는 제 3 외부 장식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된 유형의 시계줄을 위한 연결요소와 관계된다. 본 발명의 연결요소는 또한 시계 케이스의 장식요소에 대해 제 3 장식요소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시계줄 방향에서 제 2 요소에 대해 제 1 중공요소가 병진이동(translation)하도록 하는 기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들의 결과로서, 제조 공차 문제를 보상하기 위해서 시계 케이스에 관해 시계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한 조정의 결과로서 시계줄과 시계 케이스 사이에 연속 접점이 생기고, 그것은 미적 관점에서 유리하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중공요소는 속이 비었으며 기계장치는 가령 한개 이상의 스프링 또는 탄성중합체 덩어리(elastomer block)와 같은 탄성수단(resilient means)의 형태 속에 격납된다. 이러한 탄성수단은 제 2 부착 수단을 옮기고 제 2 요소의 벽에 만들어진 개구(aperture)를 통해 제 1 중공요소 외부를 확장시키는 제 2 요소의 제 2 단부에 가까이 오게 할 수 있도록 제 1 중공요소에 복원력을 가한다. 이러한 복원력을 적용함으로서 얻는 결과는 시계 케이스의 제조공차 값과 별개로 영구히 시계 케이스에 근접한 연결요소의 제 3 장식요소를 가져오는 것이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제 1 중공요소에서 기계장치에 의한 자유 부피는 특수구조 및 적합 밀봉의 사용으로, 외부 환경에 관해 불투수성(impervious)이거나 밀봉된다. 이러한 특징은 여러 전자 부품 또는 제 1 중공요소에서의 전지(battery)를 격납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장치는 시계 케이스에 관해 시계줄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환언하면, 접점이 연속적이고 계속해서 수정될 수 있도록 시계줄이 케이스에 부착될 때 수정이 실시된다. 이러한 수단은 특히, 조절나사(adjusting screw)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라 연결요소의 여러 요소들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사는 사실상 제 2 연결요소에 배열된 홀(hole)에 격납될 수 있고, 완충기가 제 2 요소의 각 측부 나사에 배열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완충기는 나사산이 구비된 최소한 하나의 완충기, 시계줄의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시계줄 방향에 대해 최소한 하나의 경사 가이드(oblique guide)가 각 완충기에 대해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중공요소의 벽 또는 제 2 요소의 제 1 단부에 배열되는데 그것은 각 경사 가이드가 상응하는 완충기에 대해 정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나사의 어떠한 회전도 완충기 사이의 거리와 이에따른 제 1 중공요소와 제 2 요소의 상대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제 2 요소에 관한 제 1 중공요소 위치와, 이런 식으로 시계 케이스에 관한 제 3 장식요소의 위치를 매우 정확하게 한다.
다른 변형에서, 나사 머리가 제 1 중공요소와 접촉하고 있는 표면을 마주한 제 2 요소면에 대해 정지하는 위치에서 체결되어 있는 반면, 제 1 연결요소와 제 2 연결요소는 또한 각각 최소한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각각 마주해 위치한 측면(lateral surfaces), 직사각 연장영역(elongated oblong section)을 갖는 제 2 요소에서 개구를 통과하는 나사, 제 1 중공요소의 표면을 통해 배열된 나사구멍(tapped hole)에 격납되는 나사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접근 가능한 선행 변형보다 낮은 조정정확도가 얻어지지만, 구조간이성(construction simplicity)이 더 큰 이점이 있다.
다른 변형은, 나사단부가 제 1 중공요소 내부에 위치한 제 2 연결요소 단부의 나사구멍에 격납되는 반면, 나사 머리가 개구를 포함한 벽에 마주한 제 1 중공요소의 벽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격납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나사 머리가 선행 변형에 접근가능하지 않은 만큼, 구조 간이성이 큰 동안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여기 추가된 제 18 항에 규정된 것처럼 시계줄에 관련된다.
따라서 그 결과로 얻어진 손목시계는 시계줄과 케이스 사이에 존재하는 연속성 때문에 보기 좋은 미적 외관을 갖는다.
각각의 시계줄 연결요소는 또한 전체 시계에서 접점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시계줄과 시계 케이스 사이에 접점을 형성하는 연결요소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은 시계케이스(103)에 연결된 시계줄(102), 세라믹 장식요소(104)로 덮인 비가시적인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를 포함하는 선행기술에 따라 손목시계(101)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시계케이스(103)의 각 측면에서, 유곡(play), 지시된 d1 과 d2 가 케이스와 시계줄(102)의 제 1 연결요소(105) 사이 접점에서 명백한 점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유곡 d1 과 d2 는 상기에 언급된 대로, 장식요소(104)에서 제조공차로부터 비롯된다. 여기 도시된 시계(101)의 케이스에서, 시계줄 장식요소는 예정된 고정위치 내부 구조에 배열된다. 따라서 다양하고 연속적인 장식요소에서 치수변형(dimensional variations)은 미적 관점에서, 시계줄을 케이스위에 부착하기 위한 이탈수단(106)에 대한 유감스러운 결과를 갖는 변형들 간의 틈이 눈에 보이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이 시계줄과 케이스 사이에 기계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특수 구조를 갖는 연결요소를 이용함으로서 극복되게 한다.
도 2a, 2b 와 2c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그와 같은 연결요소(1)를 도시한다. 연결요소(1)는 덮개(4)로 닫히고 하부 부분(lower part)에서 하단부(bottom)(3)와 함께 도시된 일반적으로 평행육면체형(parallelepiped shape)의 제 1 중공요소(2)를 포함한다. 일례로, 나사환봉(threaded rods)이 제 1 중공요소의 나사구멍(6)과 협력하는 반면, 나사(5)는 제 1 중공요소(2)와 덮개에 대한 접합점(abutment)에 배열된 나사머리(screw heads)에 덮개(4)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제 1 중공요소(2)는 벽(8)을 통해 제 2 요소(9)의 연장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벽(8)들 중 하나의 중심에서, 사실상 원형인, 개구(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중공요소(2)는 또한 일반적 유형으로, 벽(8)을 마주한 제 1 중공요소(2)의 벽(11)에 배열되고 (도시되지 않은)일반적 유형의 바(bar)와 협력하여 사용되는 도면에 도시된 힌지(hinge)와 같이, 다음 연결요소에 그것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10)을 포함한다.
하기에 기술된 연결요소는 여기 도시된 것과 같이, 시계 케이스에 시계줄을 부착할 뿐만 아니라, 전체 시계줄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특히 주목해야한다. 제 2 대안에서, 부착수단(10) 또한 펼침버클(unfolding buckle)과 같은 시계줄 부착수단과 기계적 연결을 확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제 2 요소(9)는 제 2 단부(13)가 외부에 위치하는 반면, 일반적인 연장형상(elongated shape)이고, 제 1 중공요소(2) 내부에 격납되는 제 1 단부(12)를 갖는다. 제 1 단부(12)는 크기가 제 1 중공요소의 내부 크기보다 다소 작은 직사각형에서, 시계줄의 세로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 2 요소는 또한 사실상 원형 단면이고 개구(7)보다 다소 작은 봉(14)을 포함한다. 제 1 단부(12) 중심에서 시작하는 봉(14)은 제 2 단부(13)를 규정하는 보다 큰 단면을 갖는 영역까지, 개구(7)를 지난다. 제 2 단부(13)는 힌지부 또는 부착 수단의 기능을 하거나, 제 2 요소(9), 이런 식으로 연결요소(1)의, 연결을 (부분적으로 도식화된)시계 케이스에 확립하기 위한 바를 조절할 수 있는 내경(bore)을 포함한다.
시계줄의 경우에 있어서 모든 연결요소는 본 발명의 구조를 포함하고, 내경은 또한, 보다 정밀하게 다음(next) 연결요소의 부착수단(10)을 갖는 선행 연결요소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연결요소 조립품과 연결된, 제 2 요소는 종래유형의 키(key)(16)에 의해 봉(14)에 만들어지는 두 개의 별개 부품 접점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 사실상 이러한 불가결한 구조적 특징은 제 2 요소(9)가 개구(7)를 통해 조립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수 기계장치는 제 1 중공요소(2)에 격납된다. 보다 정밀하게, 두 개의 헬리컬 스프링(helical springs)(17)은 봉(14)의 각 측면에서 제 1 중공요소(2)에서 제 2 요소의 제 1 단부(12)와 제 1 중공요소의 벽(8) 사이에 삽입된다. 제 2 요소(9)가 제 1 단부(12)를 제 1 중공요소의 벽(11)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열될 때,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은 다소 압축상태(compressed state)에 있다.
연결요소는 또한 덮개기능 또는 장식기능을 하는 제 3 주요소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제 3 장식요소는 대개 중공 평행육면체형상이고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장식요소의 내부 크기는 사실상 제 1 중공요소(2)의 외부 크기보다 더 크며 그것의 벽(19)들중 하나는 제 3 장식요소(18) 내부에 제 1 중공요소(2)를 격납할 수 있도록, 전면 개방된다. 또한, 벽(19)을 마주한 벽(20)은 제 2 요소에 대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 2 요소(9)의 제 2 단부(13)보다 사실상 더 큰 크기의 개구(21)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요소(1)가 조립될 때, 제 3 장식요소(18)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 1 중공요소와 제 2 요소를 덮는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중공요소(2)가 제 3 장식요소(18)로 완전히 덮이는 연결요소(1)의 구조를 가진다.
스프링(17)이 제 2 요소(9)의 제 1 단부(12)에 접촉하면, 스프링은 시계줄의 세로방향에서 제 2 요소(9)가 병진이동하도록 한다. 보다 정확히, 스프링(17)은 제 1 중공요소(2)와 근접한 제 2 단부(13)를 이끌 수 있도록 제 2 요소(9)에, 도 2a 에서 F로 언급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난, 복원력을 가한다. 일단 제 2 단부(13)에서 연결요소(1)가 시계 케이스(22)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면, 케이스(22)의 장식요소와 연결요소의 제 3 장식요소(18)가 서로 인접할 때까지, 상술된 구조의 작용에 의해 시계 케이스(22)와 연결요소(1)가 근접하도록 한다.
그다음, 다음과 같은 배치에서, 연결요소(1)와 케이스(22) 사이에, 미적관점에서 유리하고 어떠한 간섭도 없는 연결이 이루어진다.
비 제한적 실시예로 제시된 도 2a, 2b 와 2c 에서 추가적인 구조요소가 나타나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사실상 제 1 중공요소 내부는, 무엇보다 외부 환경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습기 또는 먼지로부터 반환기구(return mechanism)를 보호하기 위해 불투수성으로 만들어져왔다. 상기 부피에서, 예를 들어 전지 또는, 전자부품들을 배열하기 위해 또한 제 1 중공요소의 내부 유효부피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 2c 에서 보이는 평 가스킷(flat gasket)(23)은 제 1 중공요소(2)의 상부 표면과 상기 제 1 중공요소를 닫는 덮개(4)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환형 홈(annular groove)(24)은 도 2c 에서 보이는 곳에 배열되는 O-링(O-ring) 유형 접합부(joint)를 허용하고, 제 1 중공요소(2)와 제 2 요소(9)의 봉(14) 사이에 불투수성 밀봉을 보장하는 개구(7)에서 제 1 중공요소(2)의 벽에 배열된다.
이러한 추가 특징이 본 발명의 핵심을 구성하지 않고,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되었기 때문에, 본 출원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음 상세한 묘사에서, 상기에 이미 묘사된 구조적 요소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2a 내지 도 3c 에서와 같이 동일한 참조번호들을 지닌다.
도 3a 와 도 3b 는 단지 묘사된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다. 게다가 이러한 두 가지 변형을 구별하는 유일한 차이점은 제 2 요소(9)에 복원력을 가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장치의 성질과 관련된다. 도 3a 에서 스프링(17)은 평행육면체 형상의 블록(26)으로 각각 바뀌고, 고무 또는 다른 어떠한 탄성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되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블록(26)은 따라서 제 2 요소(9)에 복원력을 가하는 것과 같이 시계 케이스(22)와 연결요소(1) 간격이 좁아질 수 있도록, 도 3a 에서 압축상태로 도시된다. 상기 블록(26)은 또한 제 1 중공요소(2)에서 자유롭지 않을 수 있지만, 도 3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 가스킷(23)과 완전체가 된다. 따라서 제 1 중공요소(2)의 위치 안정성과 기계적 반환장치의 올바른 작동이 보장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은 본 결과로 얻어진 것처럼 사전에 묘사된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하다.
다음 실시예들은 단순 조정을 제외하고 더 이상 연결요소(1)의 제 2 요소(9)에 복원력을 보장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제 1 중공요소(2)에 격납된 기계장치까지에서 사전에 묘사된 차동 작업에 근거한다.
도 4a 와 도 4b 에 나타난 변형예에서, 제 1 중공요소와 제 2 요소는 이미 기술된 것과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
연결요소(1)의 제 2 요소(9)는 제 1 단부(12)를 이루는 각각 직각인 2개의 주요 부품을 포함하여 일체(single piece)로 만들어 지는 반면, 제 2 주요 부품(27)은 제 2 단부(13)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단부(12)는 일반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데 있어서 제 2 주요 부품(27) 측면에 위치하고 시계줄의 세로방향에 직각인 두 변부가 절사되는데, 그것은 두 빗면(28)의 경계를 정하기 위해서이다. 제 2 주요 부품(27)은 제 1 단부(12)의 중앙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시계줄의 세로방향에서 연장 평행육면체 형상으로 연장된다. 그것은 상기 제 1 단부(21)에 근접하여, 가로방향으로 꿰뚫고 직사각 영역을 갖는 개구(29)를 포함한다. 또한, 마주한 상기 제 1 단부(12), 힌지부(15) 또는 부착수단의 기능을 하고 제 2 요소의 제 2 단부(13) 경계를 정하는 내경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15)는 제 2 요소(9), 이런 식으로 연결요소(1)의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도식화된)시계 케이스(22)에 대해 (도시되지 않은)바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중공요소는, 벽(8)에서, 크기가 제 2 요소(9)의 제 2 주요 부품(27)보다 다소 큰 직사각 단면의 개구(7)를 갖는다. 상기 벽(8)은 또한 제 1 중공요소(2)의 측부(lateral flanks)(31)와의 각각의 점점에 리세스(recesses)(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세스(30)는 따라서 시계줄의 세로방향에 대한 각각의 각이 제 1 단부(12)의 빗면(28) 각들 맞은편에 있는 빗면(32)과 경계를 이루고, 각각 맞은편에 위치한다.
제 1 중공요소의 상기 측부(31) 중 하나는 그 기능이 하기에 기술될 원통형 개구(33)를 포함한다.
나사(34)는 제 2 요소(9)의 개구(29), 조작자에게 접근가능하게 하는 원통형 개구(33)를 향해 배열된 나사머리(35)를 통해 배열된다.
두 완충기(36, 37)는 제 2 요소(9)의 각 측면, 상기 나사(34)에 배열된다. 이러한 완충기(36, 37)들은 당해업자에게 어떠한 문제도 제기하지 않을 선택인 탄성중합체(elastomer)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기(36)의 투시도를 나타낸 도 4c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완충기들은 두 개의 평행한 직사각형 베이스(38, 39) 및 두 개의 마주보는 면들(40)이 상기 베이스에 직각인 네 개의 면들, 마주하고 있는 상기 빗면(28, 32)등과 같이 나사각에 대해 같은 각도로 기울어진 두 개의 다른 면들(41)을 포함한다. 두 개의 다른 면들(40)이 사다리꼴인 반면, 두 개의 면들(41)은 직사각형이다. 완충기들은 또한 각각 중앙에서 상기 베이스에 직각을 이루는 관통하는 홀(42)을 포함한다.
나사머리(35) 측면에 위치한 제 1 완충기(36)는 또한 상기 나사머리(35)가 그 안에 완전히 격납될 수 있을만한 크기의 원통형 리세스(43)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리세스(43)와 상기 관통하는 홀(43)은 완충기(36)에서 나사(34)의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나사머리(35)와 나사(34)보다 사실상 각각 크기가 더 크다.
제 2 완충기(37)는 관통하는 홀에서, 나사(34) 절삭을 돕는 내부 암나사(female screw thread) 나사산을 포함하고, 나사(screw rod)(34) 단부에 근접해 위치한다.
도 4b 에 나타난 배치에 대해 도 4a 에 도시된 배치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나사(34)가 "조여지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나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또한, 상기 나사(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완충기(37)는 상기 나사(34)의 나사머리(35)에 가까워지기 위해 병진이동된다. 완충기(36)의 위치가 나사(34)에 대하여 고정되면, 나사머리(35)쪽으로의 완충기(37)가 병진이동하여 상기 두 개의 완충기(36, 37)가 간격을 좁힐 수 있게 한다. 각각에 대한 이러한 운동은 상기 완충기들을 위한 경사 가이드를 형성하는 상응 빗면(28, 32)에서 각 완충기의 빗면에 미끄러짐으로서 가능해진다. 상기 미끄러짐은 또한 제 2 요소(9)의 제 1 단부(12)와 제 1 중공요소(2)가 서로 멀리 떨어질 수 있게 한다. 서로 멀어지는 상기 운동은 제 1 중공요소(2)와 제 2 요소(9)의 제 2 단부(13) 각각에 대한 운동에 해당하는데 그것은 또한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요소(1)와 케이스(22)에 대한 운동에 해당한다.
상기 묘사된 기계장치의 작용결과로서, 연속접점이 시계 연결요소(1)와 케이스(22)에 생기는데 바람직한 미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 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연결요소(1)의 제 1 중공요소(2)에 격납된 나사(34)의 사용에 의지한다. 상기실시예에서처럼, 상기 나사는 상기 실시예보다 더 큰 넓이의 직사각영영의 제 2 요소 개구(29)를 통해 배열되고, 나사머리(35)는 상기 제 1 중공요소의 측부(31)중 하나에 배열된 개구(33)를 통해 접근가능하다. 그러나, 본 변형에서, 나사(34)의 나사환봉 단부(44)가 개구(33)를 포함하는 곳에 마주한 제 1 중공요소의 측부(33)에 만들어진 나사구멍(45)에 격납된다.
기술된 기계조정장치를 완성하기 위해서, 제 1 중공요소의 벽(8)에 근접한 상기 나사구멍(45)을 포함하는 측부(31)의 큰 부품(46)이 상기 벽(8)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상기 측부(31)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부품(46)은 도 5b 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34)가 고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측면에 위치한 제 2 요소의 주요 부품(27) 측면과 접한다.
연결요소(1)와 시계 케이스(22)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나사(34)는 도 5a에 도시된 대로 비슷한 위치에서 풀린다. 그러한 배치에서, 제 1 중공요소(2)와 부품(46)과 제 2 요소(9)의 제 2 주요 부품(27)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작다. 따라서 제 2 요소(9)에 대해, 혹은 역으로, 제 1 중공요소(2)의 병진이동이 가능해진다. 제 2 요소(9)는 그리고나서 연결요소(1)가 시계케이스(22)에 장착될 때, 제 3 장식요소(18)를 상기 케이스(22)와 고르게 하기 위해 제 1 중공요소(2)에 대해서 배열된다. 나사(34)는 그 후에 제 2 요소(9) 부품(27)에 나사머리(35)가 접할 때까지 조여지는데, 제 1 중공요소(2)의 부품(46)에 대해 제 2 요소(9)를 조여 주는 효과를 갖는다. 도 5b 에 나타난 배치에서, 제 1 중공요소(2)와 제 2 요소(9) 사이의 마찰력은 매우 커서 다른 부분에 관해 이러한 요소들 중 하나가 더 이상 병진이동될 수 없다.
손목시계는 그리고나서 케이스(22) 및 상기 케이스의 각 측면에 위치한 제 1 연결요소(1) 사이 접점에서 가시적인 내부구조 없이 조립될 수 있다.
도 6a 와 도 6b 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요소(1)는 또한 나사(34)를 포함하지만 시계줄의 세로방향에 배열된다. 제 1 중공요소(2)는 상기 변형들에 대해 단순화된 형태를 가진다. 게다가, 요소(2)의 일반적 형상은 평행육면체이고 또한 벽(8)에서 시작되고, 요소(2)의 전체 높이와 대부분의 넓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평행육면체형인 리세스(47)를 포함한다. 제 1 중공요소(2)는 또한 벽(11)에서부터 리세스(47)까지 제 1 중공요소(2)를 지나는 원통형 개구(48)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48)는 벽(11)으로부터, 그리고 시계줄의 세로방향에서, 두 개의 부품(49, 50)을 포함하는데 제 1 부품(49)은 리세스(47)로 제 2 부품(50) 개구보다 직경이 더 크다.
제 2 요소(9)는 제 1 단부(12)로부터, 제 1 부품과 같이 동일한 단면의 제 2 단부(13)에서 종결되고 상기 제 1 부품보다 다소 큰 영역의 제 2 부품(52)에 따라, 리세스(47)의 크기보다 더 작은 사실상 일정영역(constant section)의 제 1 부품(51)을 포함한다. 제 2 요소(9)는 또한 시계줄의 세로방향에서 제 1 단부(12)로부터 배열된 나사구멍(53)을 포함한다.
제 3 장식요소(18)는 벽(20)부분에 제 2 요소(9)의 제 2 부품(52)보다 사실상 더 큰 크기의 직사각형 영역 개구(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부품(52)의 길이는 사실상 상기 벽(20)의 두께와 동일하다.
나사(34)는 나사머리(35)와 봉의 단락부(short part)가 제 1 중공요소(2), 부품(49, 50)을 분리하는 접점에 접하는 나사머리(35)의 원통형 개구(48)에 격납되도록 연결요소(1)에 배열된다. 본 변형에서 나사머리(35)는 제 3 장식요소(18)의 개방벽(19)을 거쳐 접근가능하다. 나사(34)의 단부(44)는 제 2 요소(9)의 나사구멍(53)으로 조여진다. 따라서 나사(34)가 제 2 요소(9)로 들어가는 정도가 그것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함으로서 조절될 수 있는 반면, 나사(34)는 제 1 중공요소(2)에 대해 움직이지 않고, 나사 주변을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 결과로, 나사(34)가 각각 제 2 요소(9)로부터 느슨해지고, 안으로 조여질 때, 제 1 단부(12)는 각각 제 1 중공요소(2)의 벽(11)으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가까워진다. 제 2 요소의 제 2 단부(13)가 시계 케이스(22)에 연결되면, 제 2 단부는 제 1 단부(12)에 대해 상기 기술된 것처럼 동일한 운동을 한다.
이러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통해, 연결요소(1)에 관한 케이스(22) 위치의 정교한 조정 가능성과 각각의 장식요소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제조방법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두 요소들 사이에 부족한 연속성에 대한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내부에 전자부품을 격납할 수 있도록, 특히 중공지대(hollow zone)와 외부 환경에 대해 상기 불투수성 중공지대를 만드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예를 들면 보다 복잡한 형상의 제 1 중공요소(2)를 명백히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묘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하고, 특히 본 발명의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여러 구조적 요소들에 대해 묘사된 형상에 관해서는, 제한을 고려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당해업자는, 예를 들면 시계의 여러 장식요소들 사이에 연속접점을 만드는 충분한 틈새를 가진 기계장치를 만들기 위해 쓰인 세라믹 물질의 본래 기능과 같이 어떠한 어려움 없이 여러 구조적 요소들의 크기를 맞출 수 있다.

Claims (22)

  1. 시계 케이스(22)에 시계줄을 연결하고, 시계줄의 세로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시계 케이스(22)와 경계부분을 형성하는 장식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시계 케이스(22)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연결요소(1)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1)가 시계줄에 부착하기 위한 제 1 수단으로 구비되는 제 1 중공요소(2), 상기 제 1 중공요소에 내포되고 시계 케이스(22)에 상기 제 2 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제 2 부착수단으로써 제 2단부(13)와 힌지부(15)를 가지는 제 2 요소(9)의 일부분인 제 1 단부(12)와 상기 제 2 부착 수단 측면에서 상기 제 2 요소(9)를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제 1 중공요소(2)에 고정된 제 3 장식요소(18)를 포함하고, 상기 시계 케이스(22)의 장식요소에 대해 상기 제 3 장식요소(18)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시계줄 방향에서 제 2 요소(9)에 대해 제 1 중공요소(2)가 병진이동하도록 하는 기계장치(17, 26, 29, 34, 36, 37, 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장식요소(18)가 1 센티미터 크기로 소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3. 제 1 항에 있어서, 개구(7)가 상기 제 2 요소(9)의 연장영역이 연장되는 곳을 통해 상기 제 1 중공요소(2)의 벽(8)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소의 제 1 단부(12)가 상기 제 1 중공요소 내부에 수용되어 기계장치(17, 26, 29, 34, 36, 37, 53)와 결합되는 반면, 제 2 단부(13)는 상기 제 1 중공요소 외부에 위치하고, 제 2 부착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요소(2)가 이동 가능한 덮개(4)로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장식요소(18)가 세라믹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요소(2)가 상기 제 3 장식요소(18)에서 마찰력으로 고정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요소(2)가 상기 제 3 장식요소(18)에 마찰력으로 고정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장치(17, 26)가 상기 제 2 요소(9)의 상기 제 2 단부(13)에 가까이 오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시계 케이스(22)에 근접한 상기 제 3 장식요소(18)를 가져올 수 있도록 상기 제 1 중공요소(2)에 복원력을 가하기 위해 제공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장치(17, 26)가 상기 제 2 요소(9)의 상기 제 2 단부(13)에 가까이 오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시계 케이스(22)에 근접한 상기 제 3 장식요소(18)를 가져올 수 있도록 상기 제 1 중공요소(2)에 복원력을 가하기 위해 제공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소(9)의 상기 제 1 단부(12)가 하나이상의 지지면(support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이 한편으로 상기 지지면에 대해, 또 한편으로 상기 제 1 중공요소(2)에 대해 접합점에 배열된 하나이상의 스프링(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소(9)의 상기 제 1 단부(12)가 하나이상의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이 한편으로 상기 지지면에 대해, 또 한편으로 상기 제 1 중공요소(2)의 내부편에 대해 접합점에 배열된 탄성중합체 물질(elastomeric material)로 된 하나이상의 블록(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12. 제 8 항에 있어서, 수단(23, 25)이 상기 제 1 중공요소의 내부를 불투수성으로 만들기 위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23, 25)이 제 1 중공요소(2)와 덮개(4) 사이에 삽입된 평 가스킷(23)과 상기 제 2 요소(9)의 일부와 영구히 접촉하도록 제 1 중공요소(2)의 상기 개구(7)에 배열된 가스킷(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요소(2)가 또한 내부에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장치(29, 34, 36, 37, 53)가 시계줄 방향에서 상기 제 1 중공요소(2)와 제 2 요소(9)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장치가 특히 상기 제 2 요소(9)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나사(34)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34)의 회전이 시계줄 방향에서 상기 제 2 요소(9)에 대해 상기 제 1 중공요소(2)의 운동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1).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34)가 상기 제 2 요소(9)에 배열된 홀(29)에 격납되고, 나사를 구비한 완충기(37) 중 하나이상, 시계줄 방향에 수직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는 완충기(36, 37)가 제 2 요소(9)의 각 측면에서 상기 나사(34)에 배열되며, 시계줄 방향에 대해 하나이상의 경사 가이드(28, 32)가 각 완충기(36, 37)에 대해, 제 1 중공요소(2)의 상기 벽(8) 또는 상기 제 2 요소(9)의 상기 제 1 단부(12)에 배열되고, 각 경사 가이드(28, 32)가 상응 완충기(36, 37)에 대해 접합점에 배열되며, 상기 나사(34)의 회전이 두 개의 완충기(36, 37)들 사이의 거리와 이에 따른 제 1 중공요소(2)와 제 2 요소(9)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18. 제 16 항에 있어서, 나사(34)의 나사머리(35)가 고정위치, 제 1 중공요소(2)와 접촉한 상기 면에 마주한 상기 제 2 요소(9) 면에 대한 접합점에 있는 반면, 상기 제 1 중공요소(2)와 제 2 요소(9)는 각각 제 1 중공요소(2)의 상기 면을 통해 배열된 나사구멍(45)에 격납된 상기 나사(34)의 나사 단부(threaded end)(44), 직사각 연장영역을 갖는 상기 제 2 요소(9)에서 개구(29)를 지나는 각각의 나사(34)에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한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19.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나사에서, 나사단부(44)가 상기 제 2 요소(9)의 상기 제 1 단부(12)의 나사구멍(53)에 격납되는 반면, 상기 나사가 개구(7)를 포함하는 상기 벽(8)에 마주한 상기 제 1 중공요소(2)의 벽(11)에 나사머리(35)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격납된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요소.
  20. 두 개의 단부를 갖는 두 개의 각 시계줄 가닥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2개의 단부 중 제 1 단부는 상기 시계줄을 종결하기 위한 수단에 부착수단을포함하고, 제 2단부는 연결요소(1)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요소는 시계 케이스(22)에 부착하기 위한 제 2 부착수단인 제 2단부(13)와 힌지부(15)를 가지며,
    시계줄의 세로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시계 케이스(22)의 경계부분을 형성하는 장식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시계 케이스, 소결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지는 이러한 장식요소를 포함하는 시계줄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1)가 상응하는 시계줄 가닥의 상기 제 2 단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10)을 구비한 제 1 중공요소(2)와 상기 제 1 중공요소(2)를 내포하고 상기 제 2 부착수단을 갖는 제 2 요소(9)의 일부인 제 1 단부(12), 상기 제 2 부착수단의 측면에서 상기 제 2 요소(9)를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제 1 중공요소(2)에 고정된 제 3 장식요소(18)를 포함하고, 상기 시계 케이스(22)의 장식요소에 대해 상기 제 3 장식요소(18)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요소(1)가 또한 시계줄 방향에서 제 2 요소(9)에 대해 제 1 중공요소가 병진이동하도록 하는 기계장치(17, 26, 29, 34, 36, 37, 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장식요소(18)가 1 센티미터보다 더 큰 세로크기를 갖고, 또한 소결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22. 제 2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시계줄 가닥(bracelet strands)이 시계 케이스(22)에 부착된 상기 연결요소(1)의 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연결요소, 상기 연결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각 연결요소의 제 1 중공요소(2), 다음 연결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제 2 부착수단으로써 제 2단부(13)와 힌지부(15)를 갖는 사실상 연장형인 각 연결요소의 제 2 요소(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KR1020020050684A 2001-08-29 2002-08-27 시계줄 연결요소 KR100929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6082001 2001-08-29
CH1608/01 2001-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117A KR20030019117A (ko) 2003-03-06
KR100929769B1 true KR100929769B1 (ko) 2009-12-03

Family

ID=456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684A KR100929769B1 (ko) 2001-08-29 2002-08-27 시계줄 연결요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14400B2 (ko)
JP (1) JP4195805B2 (ko)
KR (1) KR100929769B1 (ko)
CN (1) CN1254205C (ko)
HK (1) HK1054493A1 (ko)
SG (1) SG98489A1 (ko)
TW (1) TW5891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48525B2 (fr) * 2003-12-23 2017-08-16 Rolex Sa Elément en céramique pour boîte de montr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t élément
DE60315852T2 (de) * 2003-12-23 2008-01-17 Rolex Sa Keramisches Element für Uhrengehäus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602004003672T2 (de) * 2004-03-23 2007-10-04 Comadur S.A. Gelenkarmband mit auf eine Kette aufgezogenen dekorativen Gliedern
FR2881326B1 (fr) * 2005-02-03 2007-03-23 Samep S A Sa Dispositif de fixation rapide notamment pour montre-bravelet
US8511890B2 (en) * 2006-08-27 2013-08-20 Nike, Inc. Rocking bezel control
US7874722B2 (en) * 2006-08-27 2011-01-25 Nike, Inc. Watch casing integrally formed with watch band
JP5197208B2 (ja) * 2008-07-28 2013-05-15 株式会社 フォー・クリエイターズ バンド用中留、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ンド並びに腕時計
EP2615507B1 (fr) * 2012-01-13 2017-03-08 Comadur S.A. Élément d'habillage céramique de pièce d'horlogerie
EP2633775B1 (fr) * 2012-02-29 2015-07-01 Montres Rado S.A. Bracelet articulé
EP2720093B1 (fr) * 2012-10-10 2014-12-10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Système pour relier un bracelet à un boîtier de montre
EP2720092B1 (fr) * 2012-10-10 2014-12-10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Système pour relier un bracelet à un boîtier de montre
JP6020494B2 (ja) * 2014-03-13 2016-11-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バンドの取付構造及び時計
TW201602469A (zh) * 2014-07-04 2016-01-16 Jarllytec Co Ltd 定位鉸鏈
EP3155921B1 (fr) * 2015-10-14 2018-05-02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aillon réglable pour bracelet
EP3257393B1 (fr) * 2016-06-15 2021-10-20 Rolex Sa Vis d'assemblage de deux composants horlogers
KR101886790B1 (ko) * 2017-09-06 2018-08-08 김일근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855U (ko) * 1985-12-26 1987-07-13 박태호 뒷뚜껑을 이용할 수 있게 한 시계의 회동장치
JPS63115314U (ko) * 1987-01-22 1988-07-25
JPS63172313U (ko) * 1987-04-28 1988-11-09
KR200197938Y1 (ko) * 2000-04-12 2000-10-02 린 미-티엔 시계 줄의 핀 조인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34132A (fr) 1927-05-10 1928-02-09 Bracelet à éléments reliés par charnières et son mode de fabrication
US3857235A (en) 1964-07-15 1974-12-31 Junghans Gmbh Geb Electrical clock movement
US3994126A (en) * 1976-02-02 1976-11-30 Textron, Inc. Expansible linkage and methods of making expansible linkages
US4051668A (en) * 1976-09-30 1977-10-04 Duchess Mfg. Corporation Link chain
GB2137475B (en) 1983-02-10 1986-08-13 Citizen Watch Co Ltd Watch band
DE3603850A1 (de) * 1986-02-07 1987-08-13 Int Watch Co Iwc Gliederband
FR2685614B1 (fr) 1991-12-31 1994-03-04 Rado Sa Montres Bracelet a maillons notamment pour montre.
DE19906127C2 (de) * 1999-02-13 2002-09-26 Rowi Rodi & Wienenberger Gmbh Dehnbares Armband, insbesondere Uhrarmband
US6345492B1 (en) * 2000-03-22 2002-02-12 Montres Rado S.A. Articulated bracelet with limited ben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855U (ko) * 1985-12-26 1987-07-13 박태호 뒷뚜껑을 이용할 수 있게 한 시계의 회동장치
JPS63115314U (ko) * 1987-01-22 1988-07-25
JPS63172313U (ko) * 1987-04-28 1988-11-09
KR200197938Y1 (ko) * 2000-04-12 2000-10-02 린 미-티엔 시계 줄의 핀 조인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02522A (ja) 2003-04-08
CN1406536A (zh) 2003-04-02
TW589167B (en) 2004-06-01
KR20030019117A (ko) 2003-03-06
HK1054493A1 (en) 2003-12-05
CN1254205C (zh) 2006-05-03
US20030043698A1 (en) 2003-03-06
US6714400B2 (en) 2004-03-30
SG98489A1 (en) 2003-09-19
JP4195805B2 (ja)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769B1 (ko) 시계줄 연결요소
JP5758959B2 (ja) ブレスレットを腕時計ケースに接続するための構造
JP5690382B2 (ja) ブレスレットを腕時計ケースに接続するための構造
US8289815B2 (en) Timepiece with a pivoting case
US10945497B2 (en) Adjustable bracelet clasp
US6738317B2 (en) Wristwatch with a reversible case
JPS58153191A (ja) 一体構造とした腕時計用ケ−スとバンド
KR20060134067A (ko) 스트랩 걸쇠를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
KR920010706B1 (ko) 손목시계용 관절 접합식 장치
KR0163059B1 (ko) 두 인접한 쉘을 포함하는 시계케이스
CN111543746A (zh) 一种腕戴设备及其连接组件
USD293302S (en) Wrist watch band
JP3556680B2 (ja) 腕時計の側
US4448502A (en) Spreadable bar for eyeglass frames provided with a spring hinge
GB2173927A (en) Wrist-watch casing
US6522602B2 (en) Wristwatch with a reversible case
CN116471958A (zh) 包括可移动表带的腕表
USD284951S (en) Watch band
GB2129280A (en) Watchband attachment structure
USD388001S (en) Watch
JP2564115Y2 (ja) 時計バンドの構造
USD346118S (en) Watch case
GB2087471A (en) Watch Band Buckle
JPS6144648Y2 (ko)
CN219302888U (zh) 一种连接表壳和表带的头粒结构、表带及手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