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706B1 - 손목시계용 관절 접합식 장치 - Google Patents

손목시계용 관절 접합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706B1
KR920010706B1 KR1019860700764A KR860700764A KR920010706B1 KR 920010706 B1 KR920010706 B1 KR 920010706B1 KR 1019860700764 A KR1019860700764 A KR 1019860700764A KR 860700764 A KR860700764 A KR 860700764A KR 920010706 B1 KR920010706 B1 KR 920010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watch
slot
transverse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206A (ko
Inventor
랑베르 피에르
Original Assignee
기안프란코 페레 에스.피.에이
루치아노 아데리오 스카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안프란코 페레 에스.피.에이, 루치아노 아데리오 스카페티 filed Critical 기안프란코 페레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87070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44C5/147Watchcase itself used as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2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 A44C5/24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with fold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1Strap tighteners
    • Y10T24/2143Strap-attached folding lever
    • Y10T24/2155Jewelry-watch stra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ckl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Wire Bond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손목시계용 관절 접합식 장치
제1도는 관절 접합식 장치가 접합 상태로 되어 있는 남성용 손목시계의 부분 정면도이다.
제2도는 관절 접합식 장치의 중간 및 최종 부품이 장치의 접합 또는 해체 사이클의 중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시계에 연결된 제1도의 관절 접합식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종방향 측면도이다.
제3도 및 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중앙면 B-B를 취하여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면 B-B에 대해 수직인 단면 A-A를 취하여 제3도 및 4도와 동일한 크기로 확대한 도면이다.
제6도 및 7도는 제1도 및 2도와 유사하나 여성용 손목시계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에 관한 부분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계를 풀때 시계와 같이 시계줄이 손에서 벗어나 벗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계줄의 길이를 늘일 수 있으며, 시계줄 또는 팔찌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손목시계용 관절 접합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관절 접합식 장치는 손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해제 수단이 제공된 자동 안전쇄정 수단에 의해 접합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형식의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링크에 의해 관절 접합이 형성되는 여성 또는 남성의 손목시계용 금속 시계줄 또는 팔찌에 적용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장치는 금속 박판으로된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부품들은 시계줄의 중앙면에 대해 직각으로 놓여 있는 평행축을 중심으로 서로 힌지되어 있어서, 부품의 갈짓자 접속 때문에 장치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중첩된 관계를 이루고 있는 사용 위치에서 부품이 실제로 동일한 면이 될때 길이가 최대가 되는 확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 운동함에 의하여 부품들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장치는 일반적으로 시계줄 또는 팔찌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따라서 시계줄은 반드시 2길이로 절단되어야 한다. 하나의 시계줄은 시계 본체의 한 측면에 피버트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줄은 관절 접합식 장치의 제1부품과 제3부품에 제각기 연결된다.
본 발명은 공지된 장치와 유사한 작동 구조를 가지지만 아래의 장점을 제공하도록 변경된 구조를 가지는 개량된 관절 접합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a) 관절 접합식 장치는 작동 상태에서 시계 본체 뒤에 숨겨져 있으므로 실제로 볼 수 없으며, 한편 시계줄 또는 팔찌는 단독의 연속 띠나 스트립 링크로써 형성된다.
b) 관절 접합식 장치의 제1부품은 시계를 지지 및 보호하는 수단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2개의 부재로 구성되는데, 제1부재는 시계 본체를 수령하고 측면에서 보호하기 위하여 환형의 주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반면에 제2부재는 시계의 내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시계 케이스의 바닥벽을 보호한다.
c) 관절 접합식 장치는 접합 위치에서 3개의 부품을 위한 안전 쇄정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안전 쇄정 수단은 착용자가 외부의 제어 푸시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만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절 접합식 장치는 손목시계에 결합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갖는 시계줄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 안전 쇄정 수단을 구비하고, 갈짓자 관계로 서로 접힐 때 최소길이가 되며 상호 동일한 평면 관계일 때 최대 길이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제2, 및 제3평행 횡단 회전축(x-x, y-y, z-z)을 갖는 힌지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 제1부품, 제2부품 및 제3부품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2부품은 제1부분과 제2부분을 가지며 제3부품은 제1부분과 제2부분을 가지고, 여기서 제1부품은 상단이 개방되어서 손목시계 본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내부 공간을 서로 연합하여 형성하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구비한다. 이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탄성 압력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부 부재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가진다. 상기 제1측면부에는 시계줄의 제1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며 또 시계를 손목에 찰때 제2부품 및 제3부품의 각각의 제1단부들을 수용하여 쇄정 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쇄정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부 부재의 제2측면부에는 상부 부재와 제2부품의 제2부분을 제1횡단축(x-x)을 중심으로 피버트 가능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힌지수단이 제공되고, 여기서 제2부품의 제1단부는 제2횡단축(y-y)에 대하여 제3부품의 제1부분에 힌지된다. 여기서 제3부품의 제2부분에는 제3횡단축(z-z)에 대하여 시계줄의 제2단부에 연결시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안전 쇄정 수단은, (1) 관절 접합식 장치가 접혀서 포개어진 위치에 있을 때 제3부품의 제2단부에서 외부로 연장하여 제2부품의 제2단부에 배치된 오리피스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형상의 후크 부재와, (2) 상부 부재의 제2측면부 아래에 배치되어 제1횡단축(x-x)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챔버내로 활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 쇄정 활주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챔버는 아래가 개방되어 있으며 관절 접합식 장치가 접힌 위치에 있을 때 제2부품의 제2부분의 상부 부분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전 쇄정 활주 부재와 후크 부재를 상호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에 적합한 제1스프링 장치와, 수동으로 제어 가능한 외부의 해제식 푸시버튼에 가해진 압력에 반응하여 제1스프링 장치의 작용에 반작용을 가하도록 적용된 제2스프링 장치에 반응하여 안전 쇄정 활주 부재(19, 19a, 19b, 32)가 역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 쇄정 수단은, 장기간 사용한 후에 종래 장치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간단한 쇄정 탄성 후크 수단이 약화되어서 관절 접합식 장치를 개방시켜서 시계줄과 시계를 착용자의 손에서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게 함으로써 비효율적으로 되는 그러한 단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안전 쇄정 수단은 상술한 특징 및 구성에 의해 장치의 내구성이 대단히 강할 뿐만 아니라 또한 시계줄과 함께 시계가 착용자의 손목 주위에서 안전하고 밀접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시계가 착용자의 손목에서 도난당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함으로써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면에 대해 언급하면, 먼저 본 발명의 관절 접합식 장치의 주요 성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5도에 대해 언급하면, 남성용 손목시계의 본체(1)가 도시되어 있는데, 시계의 본체(1)내에 있는 어떤 작동 부품은 본 발명에 의해 변경되어 있지 아니하다. 상기 본체(1)는 장치의 제1부품(2)에 의해 하부에서 지지되고 측방향에서 보호되며, 상기 제1부품은 주변 프레임의 형상으로된 상부 부재(3)와 디스크형 하부 부재(4)가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상부 부재(3)의 측면중 하나 즉, 제1측면부(3a)(제1도의 좌측면)에서 상부 부재(3)는 양호하게 금속으로 만들어진 시계줄 또는 팔찌(이하 ‘시계줄’이라 함)(7)의 제1단부(7a)에 횡단축 w-w를 중심으로 피버트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면에 상부 부재(3)의 대향 제2측면부(3b)에서, 상부 부재(3)는 관절 접합식 장치의 제2부품(5)의 단부에 평행축 x-x을 중심으로 힌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부품(5)의 다른 단부(제1도의 좌측면)는 관절 접합식 장치의 제3부품(6)의 단부에 축 y-y을 중심으로 축 x-x 및 w-w에 평행하게 힌지되고, 상기 제3부품(6)의 대향 단부는 시계줄(7)의 제2단부(7b)에 전술한 축에 평행하게 축 z-z을 중심으로 힌지되어 있고,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시계줄의 제2단부(7b)는 단독의 연속 링크 띠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부품(2)은 2개의 부재(3, 4)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부재(3)는 2개의 견부(25a, 25b) 사이에서 본체(1)를 단단하게 보유할 수 있는 형상과 위치를 가진 환상 견부(25a, 25b)를 구비하는 중앙 구멍(25)이 제공된 주변 프레임의 형태를 가진다. 시계 본체(1)는 주변 플랜지(8)에 가해지는 압력 효과에 의해 상부 부재(3)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하부 부재(4)에 의하여 하부에서 보호된다. 하부 부재(4)는 시계의 정밀한 내부 기구와 장착되는 시계 케이스의 바닥벽을 보호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관절축 w-w가 제공되어 있는 곳에서 상부 부재(3)는 제1측면부(3a)와 함께 외부로 연장하는데, 제1측면부(3a)는 봉과 유사하고 계단 모양을 이루며 중앙면 B-B에 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1측면부(3a)의 단부에 달린 림(3a′)은 90°하방으로 굽어지고, 상기 림(3a′)에 제1힌지 부재(9a)가 용접되어 피버트 핀(27)에 관하여 장착되고, 반면에 제2힌지 부재(9b)는 제1힌지 부재(9a)와 피버트 핀(9)과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시계줄(7)의 단부(7a)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림(3a′)의 내부면에는 노치(10)가 배치되는데 이의 기능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측면부(3a)의 내부면(3a″)은 관절 접합식 장치의 제2 및 제3부품(5, 6)의 측방향 봉형 부분(5a, 6a)을 수용하기 위해 프레임형의 상부 부재(3)의 외향 측면(3′)과 함께 리세스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봉형 부분은 제2부품(5)과 일체로 만들어진 힌지 부재(12a)와 제3부품(6)과 일체로 만들어진 동축상의 힌지 부재(12b)에 의해 제각기 힌지되어 있으며, 횡방향 피버트 핀(26)의 축 y-y에 대하여 피버트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힌지 부재(12a 또는 12b)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방사상의 작은 핀 또는 프롱(11)(제2도 및 4도)은 압력을 가하면 노치(10)에 삽입될 수 있는 그러한 위치 및 치수를 가진다. 제2부품(5)의 제1부분(5a)은 내부면(3a″)의 중앙부에 접하는 형태로된 상부면을 가지고, 반면에 제3부품의 제1부분(6a)과 직면하는 제1부분(5a)의 하부면은 상기 제1부분(6a)을 수령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제4도).
시계 바늘의 위치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손목시계 본체(1)의 종래 푸시버튼(14)에 대응하여, 제2 및 제3부품(5, 6)에는 푸시버튼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푸시버튼(14) 주위에 부재를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위치와 형상으로된 측방향 리세스(35, 36)가 제공되어 있다.
상부 부재(3)의 제2측면부(3b)(제3도)는 횡방향 봉형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작되어 있고, 상부 부재(3)의 외향 측면(3′)과 함께 부재의 내부면(3b′)은 상부 챔버(31)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만들어서 제2부품(5)의 우측에 놓인 봉형 제2부분(5b)을 수령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봉형 제2부분(5b)은 그 단부에서 제2측면부(3b)가 감싸고 있는 핀(30)에 관하여 피버트 가능하게 장착된 관형 힌지 부재(13)를 지탱한다. 상기 챔버(31)는 손으로 제어가능한 해제 수단이 설치된 안전쇄정 장치의 구성 부품들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이제 제5도에 대해 언급하면, 챔버(31)는 축 x-x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실제로 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하부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적어도 중앙 부분에서는 후크(15)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후크(15)는 횡단 홈(28)의 바닥에서부터 위로 연장하며, 외부로 개방되고, 제3부품(6)의 상부 봉형의 제2부분(6b)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횡단벽(19a, 19b)과 종방향 상부벽(19)으로 구성된 활주 부재는 챔버(31)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횡단벽(19a)에 대해 종방향 로드(21)의 단부가 접하고, 로드의 확대된 헤드(21a)는 부싱(23)의 내부에 놓이고, 부싱내에는 팽창 스프링(24)이 그의 한 단부가 로드(21)의 헤드(21a)를 가압하고 대향 단부가 부싱(23)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제어 푸시버튼(22)에 접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횡단벽(19a)의 대향측에는 활주 부재의 다른 횡단벽(19b)에 로드(37)의 단부가 접하고, 반면에 로드(37)의 확대된 헤드(37a)는 고정 캡(16)의 내부에서 활주하고 스프링(17)을 가압하는데, 상기 캡(16)은 제거 가능하게 제2측면부(3b)에 연결된다.
홈(28)의 바닥에 고정된 후크 헤드(15a)를 가지는 후크(15)는 상향으로 연장하며, 제2부분(5b)에 배치된 오리피스(5f)를 통과하여 활주 부재(19, 19a, 19b)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챔버(31)의 내부면(3b′)과 접촉할 때까지 상부벽(19)내에 배치된 종방향 슬롯(20)내로 들어갈 수 있다.
후크(15)의 후크 슬롯(15c)이 개방되어 있는 헤드(15a)의 측면과 대향하는 사각형 돌출평판(32)이 종방향 상부벽(19)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후크(15)의 헤드(15a)가 챔버(31)의 상부벽 즉, 내부면(3b′)과 접촉하게 될때, 상기 평탄은 종방향 슬롯(20)의 횡단 모서리를 지나서 슬롯(15c)내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므로, 활주 부재의 종방향 상부 벽(19)의 두께는 슬롯(15c)위에 설치된 후크 헤드(15a)의 높이와 실제로 동일하여야 한다. 돌출 평판(32)과 직면하는 후크 헤드(15a)는 결합을 촉진시키는 형상의 모서리(15b)로 되고, 한편 평판(32)의 두께는 슬롯(15c)의 높이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관절 접합식 장치의 제2 및 제3부품(5, 6)이 이동하여 본체(1)를 지탱하는 제1부품(2)의 상부 부재(3)와 접촉할 때, 후크 부재(15, 15a)는 오리피스(5f)를 통과하여 챔버(31)에 도달하고, 챔버의 내부에서 돌출평판(32)의 각이 진 돌출부(32a)가 대향하는 후크 헤드(15a)의 모서리(15b)와 접촉하고, 또한 돌출부(32a)는 후크 헤드(15a)의 모서리(15b)와 결합이 촉진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돌출 평판(32)은 활주 부재의 벽과 일체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후크 헤드(15a)가 돌출평판(32)의 돌출부(32a)를 지나 갈 수 있을 때까지 활주 부재는 스프링(17)의 효과에 의해 멀리 이동하게 되고, 그후에 활주 부재(19, 19a, 19b)는 휴지 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발명의 관절 접합식 장치의 각 부품(2, 5, 6)은 안전한 쇄정 상태에서 보유되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착용자가 손목시계를 풀기를 원할 때, 착용자는 푸시버튼(22)을 누르고, 푸시버튼은 스프링(24)과 로드(21, 21a)에 의하여 활주 부재(19, 19a, 19b)를 스프링(17)의 효과와는 반대로 캡(16)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활주 부재(19, 19a, 19b)의 이동거리는 슬롯-핀 조립체(33, 34)로 구성되는 제한 정지 수단에 의하여 제한된다.
활주 부재가 정지한 위치에서(제5도에서 우측을 향하는), 돌출 평판(32)에서 나온 돌출부(32a)가 후크(15)의 슬롯(15c)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후크 부재(15, 15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3부품(6)의 제2부분(6b)과 함께 내부면(3b′)에서 멀리 이동될 수 있고, 반면에 제2부품(5)은 반시계 방향으로 핀(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6도 및 7도에는 여성용 손목시계(1A)에 적용되어 있는 관절 접합식 장치의 변경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관절 접합식 장치는 실제로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여성용 시계가 남성용 시계보다 작기 때문에 양호한 신뢰성 및 상술한 특성을 가지는 안전 쇄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남성용 시계보다 여성용 시계에서는 각 부품(2, 5, 6)의 길이를 더 작게 교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련된 상부 부재(3)의 폭을 더욱 크게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측면 봉형 부품(3aA, 3bB))(전자는 제6도 및 7도에 도시되지 않음)은 더 강하고 더 짧은 안전 쇄정 수단을 수령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특히 부품(3bB)이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선 B-B를 따라 측정하여 더 큰 폭을 가질 것이다. 그러므로 남성용 손목시계에 비해 챔버(31)는 더 짧고 더 넓어질 것이고, 안전 스냅 쇄정 수단의 후크 부재(15, 15a)가 연장하는 홈(28B)도 더 짧아지지만 더 넓어질 것이다.

Claims (3)

  1. 손목시계에 결합되는 제1단부(7a) 및 제2단부(7b)를 갖는 시계줄(7)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서 안전 쇄정 수단을 구비하고, 갈짓자 관계로 서로 접힐 때 최소 길이가 되며 상호 동일한 평면 관계일 때 최대 길이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제2, 및 제3평행 횡단 회전축(x-x; y-y; z-z)을 갖는 힌지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 제1부품(2), 제2부품(5) 및 제3부품(6)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2부품(5)은 제1부분(5a)과 제2부분(5b)을 가지며 제3부품(6)은 제1부분(6a)과 제2부분(6b)을 가지고, 여기서 제1부품(1)은 상단이 개방되어서 손목시계 본체(1, 1A)를 수용하기에 접합한 내부 공간을 서로 연합하여 형성하는 상부 부재(3)와 하부 부재(4)를 구비하고, 이 상부 부재(3) 및 하부 부재(4)는 탄성 압력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부 부재(3)는 제1측면부(3a) 및 제2측면부(3b)를 가지고, 상기 제1측면부(3a)에는 시계줄(7)의 제1단부(7a)에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며 또 시계를 손목에 찰 때 제2부품(5) 및 제3부품(6)의 각각의 제1단부(5a, 6b)들을 수용하며 쇄정 수단(10, 11)에 의해 탄성적으로 쇄정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부 부재(3)의 제2측면부(3b)에는 상부 부재(3)와 제2부품의 제2부분(5b)을 제1횡단축(x-x)을 중심으로 피버트 가능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힌지 수단이 제공되고, 여기서 제2부품의 제1단부(5a)는 제2횡단축(y-y)에 대하여 제3부품(6)의 제1부분(6a)에 힌지되고, 여기서 제3부품(6)의 제2부분(6b)에는 제3횡단축(x-x)에 대하여 시계줄(7)의 제2단부(7b)에 연결시키는 수단이 제공되고, 안전 쇄정 수단이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관절 접합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쇄정 수단은, (1) 관절 접합식 장치가 접혀서 포개어진 위치에 있을 때 제3부품(6)의 제2단부(6b)에서 외부로 연장하여 제2부품(5)의 제2단부(5b)에 배치된 오리피스(5f)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형상의 후크 부재(15, 15a, 15c)와, (2) 상부 부재(3)의 제2측면부(3b) 아래에 배치되어 제1횡단축(x-x)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챔버(31)내로 활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 쇄정 활주 부재(19, 19a, 19b, 32)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31)는 아래가 개방되어 있으며 관절 접합식 장치가 접힌 위치에 있을 때 제2부품(5)의 제2부분(5b)의 상부 부분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안전 쇄정 활주 부재(19, 19a, 19b, 32)와 후크 부재(15, 15a, 15c)를 상호 결합상태로 유지하기에 적합한 제1스프링 장치(16, 17, 37, 37a)와, 수동으로 제어 가능한 외부의 해제식 푸시버튼(22)에 가해진 압력에 반응하여 제1스프링 장치의 작용에 반작용을 가하도록 적용된 제2스프링 장치(21, 21a, 22, 23, 24)에 반응하여 안전 쇄정 활주 부재(19, 19a, 19b, 32)가 역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접합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3부품(6)의 제2부분(6b)의 상부면에는 횡단축(x-x, y-y, z-z)에 평행하게 모양을 취한 홈(28)이 배치되고, 후크(15)는 상기 홈(28)에서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후크 부재는 제1스프링 장치(16, 17, 37, 37a)와 마주보는 면에서 후크 슬롯(15c)이 제공되어 있는 후크 헤드(15a)를 구비하고, 한편 후크 헤드(15a)는 안전 쇄정 활주 부재(19, 19a, 19b, 32)의 돌출 평판(32)과 후크 부재(15, 15a)와의 결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그런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홈(28)은 관절 접합식 장치의 접합 상태에서 제2 및 제3부품(5, 6)의 각각의 제2부분(5b, 6b)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챔버(31)의 하부에서 공간을 만드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2부품(5)의 제2부분(5b)에 배치된 오리피스(5f)는 후크 부재(15, 15a) 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가져서 상기 후크 부재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후크 부재(15, 15a)는 관절 접합식 장치의 접합 위치에서 후크 부재(15, 15a)의 상부 부분이 상부 부재(3)의 제2측면부(3b)에 배치된 챔버(31)의 내부면(3b′)과 접촉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접합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챔버(31)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전 쇄정 활주 부재(19, 19a, 19b, 32)는 종방향 상부벽(19)과 활주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1횡단벽(19a) 및 제2횡단벽(19b)을 구비하며, 따라서 두 정지 위치간을 챔버(31)내에서 종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고, 제2횡단벽(19b)은 제1스프링 장치(16, 17, 37, 37a)의 작용하에 있으며, 상기 제1스프링 장치는 확대된 헤드(37a)를 갖는 종방향 로드(37)와 제거식 고정 캡(16)과의 사이에 배치된 나선형 압축 스프링(17)을 포함하고, 상기 확대된 헤드(37a)는 캡(16)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활주 부재의 종방향 상부벽(19)에는 후크 부재(15, 15a)를 통과시키기 위한 종방향 슬롯(20)이 제공되고, 후크 부재는 슬롯(15c)을 구비하고, 종방향 상부벽(19)의 종방향 슬롯(20)은 후크 부재(15, 15a)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짧은 돌출 평판(32)은 종방향 상부벽(19)의 하부면에 고정되어서 후크 부재의 슬롯(15c)과 바로 마주보는 종방향 슬롯(20)의 횡단 모서리를 지나서 돌출하고, 또 후크 부재의 슬롯(15c)의 높이보다 짧은 두께를 가지며 또한 슬롯(20)의 횡단 모서리를 지나서 연장하여 후크 부재의 슬롯(15c)과의 결합을 촉진시키는 형상으로 된 돌출부(32a)를 형성하게 되며, 후크 부재(15, 15a)와 협동하는 대응 후크의 작용을 하여 안전 쇄정 수단의 역할을 하고, 상기 안전 쇄정 수단이 착용자가 해제 푸시버튼(22)에 가한 압력 때문에 제2스프링 장치(21, 21a, 22, 23, 24)의 제2스프링(24)이 압축되어 생긴 스프링(17)의 효과에 대항하는 활주 부재(19, 19a, 19b)의 변위에 반응하여서만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접합식 장치.
KR1019860700764A 1985-03-05 1986-02-27 손목시계용 관절 접합식 장치 KR920010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47771-A/85 1985-03-05
IT47771/85A IT1199958B (it) 1985-03-05 1985-03-05 Dispositivo articolato per l'allungamento del cinturino metallico di un orologio da polso e formante il supporto dell'orologio,dotato di fermo di sicurezza
PCT/IT1986/000017 WO1986005077A1 (en) 1985-03-05 1986-02-27 An improved watch case functioning as a clasp, the clasp-watch case, being locked by a press but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206A KR870700206A (ko) 1987-05-30
KR920010706B1 true KR920010706B1 (ko) 1992-12-14

Family

ID=1126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764A KR920010706B1 (ko) 1985-03-05 1986-02-27 손목시계용 관절 접합식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748604A (ko)
EP (1) EP0247056B1 (ko)
JP (1) JP2678440B2 (ko)
KR (1) KR920010706B1 (ko)
AT (1) ATE47013T1 (ko)
AU (1) AU5581086A (ko)
CA (1) CA1251333A (ko)
DE (1) DE3666129D1 (ko)
ES (1) ES287549Y (ko)
IT (1) IT1199958B (ko)
WO (1) WO1986005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9540A (en) * 1989-04-25 1993-11-09 Skidata Computer Gesellschaft M.B.H. Data carrier
DE59008439D1 (de) * 1990-04-25 1995-03-23 Skidata Gmbh Schliesse.
US5274613A (en) * 1992-10-16 1993-12-28 Timex Corporation Wristwatch radiotelephone
DE4303173C2 (de) * 1993-02-04 1999-01-07 Helmut Buehrle Armband für eine Armbanduhr
DE19729903A1 (de) * 1997-07-12 1999-01-14 Jaeger Lecoultre Sa Armband
FR2773622B1 (fr) * 1998-01-15 2000-02-18 Montres Pequignet Dispositif de fixation rapide pour montre-bracelet
FR2786281A1 (fr) * 1998-11-25 2000-05-26 Michel Becker Support pour un boitier tel qu'un boitier de montre, de boussole, etc., et montre comportant un boitier monte sur un tel support
EP1074197A1 (de) * 1999-08-02 2001-02-07 Meliga Habillement Horloger S.A. Eine bevorzugt am Handgelenk zu tragende, in sich umfangmässig geschlossene Anordnung mit einem Umlegeverschluss
EP1074198A1 (de) 1999-08-02 2001-02-07 Meliga Habillement Horloger S.A. Mit einem Umlegeverschluss im Umfang vergrösserbares Armband
DE10008993A1 (de) * 2000-02-25 2001-01-1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rmbanduhr mit einem Schliessmechanismus zum Verschliessen eines Armbandes
US6505763B2 (en) 2000-08-02 2003-01-14 Meliga Habillement Horloger Sa Circumferentially continuous arrangement which is to be worn preferably on the wrist and has a hinged closure
CH701103B1 (fr) * 2004-02-17 2010-11-30 Lvmh Swiss Mft Sa Boîte de montre incluant un fermoir de bracelet.
US20070189127A1 (en) * 2005-08-24 2007-08-16 Isaac Pollak Combination watch device
US20080310260A1 (en) * 2007-06-07 2008-12-18 Ofer Segal Modular watch and device for securing a watch strap to a watch casing
EP2309349B1 (fr) * 2009-10-12 2013-07-24 Bovet Fleurier SA Boîte pour pièce d'horlogerie à configurations multiples
US9152129B2 (en) * 2014-06-25 2015-10-06 Dilshan Thilina Modaragamage Electronic watch clasp systems and methods
WO2016081913A1 (en) * 2014-11-20 2016-05-26 Duo Watches Corporation Mounts for a multi-watch band
KR101555489B1 (ko) * 2015-07-03 2015-10-06 (주)거노코퍼레이션 시계 체결 및 해제장치
CH711847A2 (fr) * 2015-11-25 2017-05-31 Oréade Mft De Boîtes Sa Boucle déployan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41364A (fr) * 1929-08-27 1930-07-31 Gerber Freres S A Boîtier de montre ne comportant pas de charnerons soudés.
CH162506A (fr) * 1931-02-21 1933-06-30 Ed Jaeger Societe Anonyme Ets Bracelet-montre.
US2169738A (en) * 1938-06-02 1939-08-15 Frank S Moody Adjustable watchcase for wrist watches
FR54478E (fr) * 1945-11-21 1950-05-02 Perfectionnements aux montres-bracelets
US2429950A (en) * 1946-03-01 1947-10-28 Weber Emmerich Foldable clasp for wrist watch bands
EP0021063B1 (de) * 1979-06-23 1984-08-15 RODI & WIENENBERGER Aktiengesellschaft Verstellbarer Faltverschluss für Uhrarmbänder
DE3435207A1 (de) * 1984-09-26 1986-04-03 IWC International Watch Co AG, Schaffhausen Verschluss fuer armbae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502382A (ja) 1987-09-17
DE3666129D1 (en) 1989-11-16
ES287549Y (es) 1986-07-16
IT1199958B (it) 1989-01-05
ATE47013T1 (de) 1989-10-15
EP0247056A1 (en) 1987-12-02
ES287549U (es) 1985-12-16
IT8547771A1 (it) 1986-09-05
US4748604A (en) 1988-05-31
CA1251333A (en) 1989-03-21
KR870700206A (ko) 1987-05-30
WO1986005077A1 (en) 1986-09-12
AU5581086A (en) 1986-09-24
JP2678440B2 (ja) 1997-11-17
IT8547771A0 (it) 1985-03-05
EP0247056B1 (en) 198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706B1 (ko) 손목시계용 관절 접합식 장치
US7571519B2 (en) Device for setting the length of a bracelet, bracelet provided with such a device and watch fitted with such a bracelet
KR100972950B1 (ko) 스트랩 걸쇠를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
JP6672378B2 (ja) ブレスレットの留め金
US20070271740A1 (en) Clasp, accessory bracelet, and timepiece
US10945497B2 (en) Adjustable bracelet clasp
US9149093B2 (en) Extensible clasp for a bracelet, in particular a watchstrap
US20070271747A1 (en) Clasp, accessory bracelet, and timepiece
JPH02111301A (ja) 腕輪の留金
GB2037570A (en) Releasable and adjustable end attachment for watchband and the like
US20140130545A1 (en) Extendable clasp for a bracelet in particular for a watch
JP3987954B2 (ja) 折り畳みアームを備えた留め金
JP3920391B2 (ja) 腕輪の伸長可能な留め金
ITFI970105U1 (it) Orologio da polso con cinturino agevolmente sostituibile e con sostegno per il piazzamento su un piano d'appoggio
US2126263A (en) Self-adjusting clasp for wrist watch bracelets and the like
TW201511707A (zh) 用於珠寶或腕錶之扣件
JPH0134603B2 (ko)
US3217374A (en) Interchangeable variable width end attachments for watch bands
US4564982A (en) Clasp for a bracelet or the like
US3964652A (en) Watch band and connector therefor
US1629040A (en) Article holder and case
JP3753756B2 (ja) 帯状装身具の中留
ITVI20100143A1 (it) Chiusura per accessori di uso personale
USRE21753E (en) Extension device
JP4409645B2 (ja) 帯状装身具の中留及びその中留を使用した腕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