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720B1 -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720B1
KR100928720B1 KR1020090002874A KR20090002874A KR100928720B1 KR 100928720 B1 KR100928720 B1 KR 100928720B1 KR 1020090002874 A KR1020090002874 A KR 1020090002874A KR 20090002874 A KR20090002874 A KR 20090002874A KR 100928720 B1 KR100928720 B1 KR 10092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ermanent magnet
ceiling frame
upper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인수
Original Assignee
문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수 filed Critical 문인수
Priority to KR102009000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을 개시한다. 그의 어셈블리는, 천장에 형성되는 횡방향 천장틀에 형성된 상부 고리; 상기 상부 고리에 교차 삽입되면서 상기 횡방향 천장틀에 교차되는 종방향 천장틀에 형성된 하부 고리; 및 상기 하부 고리 및 상기 상부 고리의 교차 영역을 통한 음파 및 진동의 전달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교차 영역 내에서 자기력으로 상기 하부 고리와 상기 상부 고리를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영구 자석을 포함함에 의해 상기 횡방향 천장틀과 상기 종방향 천장틀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지 않고 공중 부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파 및 진동의 고체 전달 경로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서, 상부층의 바닥진동이 하부층의 천장 마감판넬에 전달되어 재생되는 층간 소음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방음, 천장틀, 고리, 층간 소음, 영구 자석

Description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assembly for soundproofing ceiling frame and setting method used the same }
본 발명은 천장방음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에서 체결되는 천장틀을 통해 천장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소음과 같은 음파 및 진동을 차단하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고층의 빌딩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공동주택은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사용하고 있는 공간으로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중에 가장 근본적인 것은 층간 소음을 없애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스티로폼과 같은 여러 종류의 발포성 방음재를 삽입하여 층간 소음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발포성 방음재 또한 콘크리트 슬라브 및 온돌 몰탈층에 둘러싸인 고 체 물질로서 음파 및 진동을 전달하는 매개체이기 때문에 층간 소음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포성 방음재의 일부 방음 효과를 맹신한 나머지 그의 과다한 사용으로 층간 거리가 증가되고 공동주택의 자중 또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는, 횡방향 틀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고리(60), 상기 상부 고리(60)에 교차되고 소정 간격 떨어져 있는 종방향 틀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고리(70), 상기 상부 고리(6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고정판(82), 상기 하부 고리(7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82)과 마주하며 제2 수용 공간을 가지는 원판(84),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영구 자석(92),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1 영구 자석(92)과 마주하며, 일측의 극성이 상기 제1 영구 자석(92)과 동일한 제 제2 영구 자석(94), 그리고 상기 원판(8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원판(84)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대(8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고리(70)의 측부에 관통되면서 상기 회전대(86)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회전걸쇠(8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판(84)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 고리(70)에 상기 원판(84)을 고정시키는 리벳(85)과, 상기 원판(84)에 대향되는 상기 고정판(82)의 가장자리를 상기 상부 고리(60)에 고정시키는 걸쇠(6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리(60)와 상기 하부 고리(70) 각각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 홀(65, 75)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 1 영구 자석(92) 및 상기 제 2 영구 자석(94)의 척력에 의해 이격되는 상기 상부 고리(60) 및 상기 하부 고리(70)를 서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핀(52)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천장의 슬라브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횡방향 천장틀(20); 상기 횡방향 천장틀에 교차되는 종방향 천장틀(30); 상기 횡방향 천장틀(20)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고리(60), 상기 상부 고리(60)에 교차되고 소정 간격 떨어져 있는 상기 종방향 천장틀(30)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고리(70), 상기 상부 고리(6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고정판(82), 상기 하부 고리(7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82)과 마주하며 제2 수용 공간을 가지는 원판(84),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영구 자석(92),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1 영구 자석(92)과 마주하며, 일측의 극성이 상기 제1 영구 자석(92)과 동일한 제 제2 영구 자석(94), 그리고 상기 원판(8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원판(84)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대(86)를 구비하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상기 종방향 천장틀(30)의 하부에 형성된 천장 플레이트(40); 및 상기 천장 플레이트(40)를 상기 천장과 연결되는 측벽면으로부터 이탈시키면서 상기 음파 및 진동의 전달을 감소시키는 탄성 고무로 상기 천장 플레이트(40)를 마감하는 측벽 마감부재(10)를 포함하는 천장 방음·방진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천장의 슬라브에 횡방향 천장틀(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횡방향 천장틀(20)에 상부 고리(60)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상부 고리(60)에 맞물린 하부 고리(70)에 종방향 천장틀(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장 슬라브에 연결되는 측벽 콘크리트에 측벽 마감 부재(1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측벽 마감 부재(10)에 삽입되면서 상기 종방향 천장틀(30)에 연결되는 천장 플레이트(4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고리(60) 및 상기 하부 고리(70)를 고정시키는 핀(52)을 뽑아 상기 상부 고리(60)와 상기 하부 고리(70) 사이에서 서로 동일한 극성이 서로 대면되는 제 1 영구 자석(92)과 제 2 영구 자석(94)의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고리(60)와 상기 하부 고리(70)를 소정 거리로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장 방음·방진 장치의 설치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 고리(70)에 형성된 원판(84)을 회전시키는 회전대(86)를 소정 각도의 방위각으로 돌려 상기 원판(84)에 형성된 제 2 영구 자석(94)과, 상기 하부 고리(70)에 삽입된 상기 상부 고리(60)의 고정판(82)에 형성된 제 1 영구 자석(92)사이의 자기력을 조절하여 상기 하부 고리(70)와 상기 상부 고리(60)의 간극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적 구성에 따르면,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에 형성되는 횡방향 천장틀과 종방향 천장틀을 자기력으로 이격시켜 음파 및 진동의 전달을 방지 또는 최소화함으로서 층간 소음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많은 특정 상세 내용들이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설명되었음을 주목(note)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이들 특정한 상세 내용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을 것임은 본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기능 및 동작이 보다 철저히 이해되도록 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방장 방음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방음·방진 장치는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10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횡방향 천장틀(20)과, 상기 횡방향 천장틀(20)에 교차되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종방향 천장틀(30)을, 복수개의 영구 자석(도 4a의 90)의 자기력에 기인되는 측력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종방향 천장틀(30)에 형성되는 천장 플레이트(40)의 외주면과, 상기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100)의 하방으로 연결되는 측벽 콘크리트 슬라브(200)를, 이격시키면서 상기 천장 플레이트(40)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측벽 마감부재(10)를 더 포함한다. 측벽 마감부재(10)는 천장 플레이트(40)와 측벽 콘크리트 슬라브(200)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보다 상세히 나타나 있다. 도 2에 의하면, 측벽 마감부재(10)는 측벽 콘크리트 슬라브(200)에 형성된 각재(18)와 마감 몰딩(16)사이에서 천장 플레이트(40)가 삽입되는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앵글(12)과, 상기 앵글 및 상기 천장 플레이트(40) 사이에 형성된 탄성 고무(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 고무(14)는 천장 플레이트(40)의 수직방향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상하부 탄성 고무(14a, 14c)와, 상기 천장 플레이트(40)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측부 탄성 고무(14b)를 포함한다. 천장 플레이트(40)는 합판(42)과, 석고 보드(14)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54'는 보조 천장틀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패드 재질의 탄성 고무(14) 대신에 일측의 앵글(12)과, 타측의 천장 플레이트(40) 외주면사이에서 동일한 극성으로 대면되는 복수개의 영구 자석들이 형성되어 상기 앵글(12)과 상기 천장 플레이트(40)가 상기 복수개의 영구 자석(90)의 측력에 의해 분리 이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 장치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와 측벽 마감부재(10)를 이용하여 종방향 천장틀(30) 및 천장 플레이트(40)를 자기력으로 공중 부양시킴에 따라 고체 물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 및 진동으로 나타나는 층간 소음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단면도들이다.
도 3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는 횡방향 천장틀(2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상부 고리(60)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영구 자석(92)과, 상기 제 1 영구 자석(92)에서 대향되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갖고 종방향 천장틀(30)에 고정된 하부 고리(70)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영구 자석(94)으로부터 발생되는 측력에 의해 상기 횡방향 천장틀(20)과 종방향 천장틀(30)을 공기중에 부양시킬 수 있다.
상부 고리(60)와 하부 고리(70)는 서로 맞물려 있으면서 서로 교차되는 내부 에서 영구 자석(90)들의 측력에 의해 직접 접촉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날개(도 7의 66, 76)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정 핀(52)에 의해 일정한 거리를 갖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 핀(52)은 횡방향 천장틀(20) 및 종방향 천장틀(30)에 각각 상부 고리(60) 및 하부 고리(70)가 설치된 이후에야 제거될 수 있다.
제 1 영구 자석(92) 및 제 2 영구 자석(94)은 지그(8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그(80)는 상기 상부 고리(60)의 제 1 수평면(도 5의 62)에서 제 1 영구 자석(92)을 고정시키는 고정판(82)과, 상기 하부 고리(70)의 제 2 수평면(도 6의 72)에서 상기 고정판(82)에 고정된 상기 제 1 영구 자석(92)과 동일한 극성의 제 2 영구 자석(94)을 고정하는 원판(84)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판(84)은 하부 고리(70)의 제 2 수평면(72)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 홀(73)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벳(85)과 상기 리벳(85)의 말단에서 원판(84)의 중심내부에 형성되는 탄성 고무 링(8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82)은 상부 고리(60)의 제 1 수평면(62) 외곽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걸쇠(6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그(80)는 원판(84)을 방위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대(86)와, 상기 회전대(86)의 회전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고리(70) 또는 상기 상부 고리(60)의 측벽에 형성된 회전 걸쇠(88)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대(86)를 회전시키면 제 1 영구 자석(92)과 제 2 영구 자석(94)의 자기력선(도 10의 96)인 자속(magnetic flux)이 변화되어 상부 고리(60) 및 하부 고리(70)의 이격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지그(80)를 고정시키는 상부 고리(60) 및 하부 고리(70)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다 더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도 5는 상부 고리(6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부 고리(60)는 양측 측벽사이로 횡방향 천장틀(20)이 삽입되면, 복수개의 제 1 고정홀(65) 내부로 못 또는 나사가 상기 횡방향 천장틀(20)에 체결됨으로서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평면(62)의 외곽에는 지그(80)의 고정판(82)이 고정되는 복수개의 걸쇠(63)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하부 고리(7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하부 고리(70)는 양측 측벽사이로 종방향 천장틀(30)이 삽입되면 복수개의 제 2 고정홀(75)을 통해 못 또는 나사에 의해 종방향 천장틀(30)에 고정될 수 있다. 일측 측벽으로 지그(80)의 회전대(86)가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는 회전 걸쇠(8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수평면(72)의 중심에는 지그(80)의 원판(84)을 고정시키는 리벳(85)이 삽입되는 관통 홀(73)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상부 고리(60) 및 하부 고리(70)의 결합 사시도로서, 상부 고리(60)의 제 1 수평면(62)과 하부 고리(70)의 제 2 수평면(72)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됨으로서 하부 고리(70)가 상부 고리(6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부 고리(60)의 제 1 날개(66) 및 하부 고리(70)의 제 2 날개(76)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67, 77)들에 고정 핀(52)이 삽입되어 상부 고리(60) 및 하부 고리(70)가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 1 날개(66)와, 제 2 날개(76)사이에는 간격 조정용 와셔(5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방음·방진 장치는 횡방향 천장틀(20)에 형성되는 상부 고리(60)와, 상기 횡방향 천장틀(20)에 교차되는 방향의 종방향 천장틀(30)에 형성되는 하부 고리(70)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수평면(62, 72)에서 영구 자석(90)들이 탑재된다.
도 8은 도 3의 고정판(82) 및 원판(84)과 영구 자석(90)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의하면, 고정판(82)에 고정되는 제 1 영구 자석(92)은 원판(84)에서 고정 삽입되는 제 2 영구 자석(94)과 동일한 극성이 대향되며,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를 갖고 그 위치 또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영구 자석(92) 및 제 2 영구 자석(94)은 초강력 자석으로서 네오듐(NEODIUM)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영구 자석(90)들은 N극과 S극을 항시 갖는 쌍극성의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도면의 N극 뒷면에 S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 1 영구 자석(92)과 제 2 영구 자석(94)이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대향되면서 측력으로 고정판(82) 상에서 원판(84)이 부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고정판(82) 및 원판(84)의 결합 측면도로서, 고정판(82)과 원판(84)에 각각 형성된 제 1 영구 자석(92) 및 제 2 영구 자석(94)의 측력에 의해 상기 고정판(82) 및 원판(84)이 일정 거리(d)로 이격되어 있다. 즉, 고정판(82) 상에서 원판(84)이 일정 거리(d)로 부양되어 있다.
도 10은 제 1 영구 자석(92) 및 제 2 영구 자석(94)의 자기력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의하면, 제 1 영구 자석(92) 및 제 2 영구 자석(94)의 N극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N극에서 발산되는 자기력선(96)에 의해 상기 제 1 영구 자석(92) 및 제 2 영구 자석(94)을 지지하는 지그(80)의 고정판(82) 및 원 판(84)이 일정 거리이상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영구 자석(92) 및 제 2 영구 자석(94)의 S극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N'으로 표시된 제 1 영구 자석(92) 및 제 2 영구 자석(94)의 후방은 S극으로서 자기력선(96)이 수렴한다. 도 10에서와 같이 N극에서 발산되는 자기력선(96)이 서로 대칭적으로 맞물려 있을 때 원판(84)과 고정판(82)이 최대로 이격될 수 있다. 반면, 원판(84)이 회전됨에 따라 제 1 영구 자석(92)과 제 2 영구 자석(94)의 자기력선(96)이 일부 이탈됨에 따라 고정판(82)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방음·방진 장치는, 횡방향 천장틀(20)과 종방향 천장틀(30)사이에서 맞물린 상부 고리(60)와 하부 고리(70)사이에 극성이 서로 동일한 영구 자석(90)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천장 방음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횡방향 천장틀(20)과 종방향 사이를 공중 부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층간 소음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방음·방진 장치의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100)에 횡방향 천장틀(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100)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한 횡방향 천장틀(20)이 콘크리트 못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를 형성한다. 여기서,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의 상부 고리(60)에 형성된 제 1 고정홀(65)에 못 또는 나사를 삽입하여 횡방향 천장틀(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 는 횡방향 천장틀(20)의 일정한 거리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에 종방향 천장틀(30)을 형성한다. 종방향 천장틀(30)은 횡방향 천장틀(20)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마다 형성된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의 하부 고리(70)에 삽입되고 제 2 고정홀(75)에 못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천장틀이 형성된 천장과 연결되는 측벽 콘크리트 슬라브(200)에 측벽 마감부재(10)를 형성한다. 측벽 마감부재(10)는 후속에서 종방향 천장틀(30)에 형성되는 천장 플레이트(40)가 앵글의 탄성 고무에 삽입되는 레벨에 형성된다.
그리고, 종방향 천장틀(30)에 보조 천장틀 및 천장 플레이트(40)를 형성한다. 보조 천장틀은 종방향 천장틀(30)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횡방향 천장틀(20)이다. 또한, 보조 천장틀의 하부에 천장 플레이트(40)를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50)의 상부 고리(60) 및 하부 고리(70)에 체결된 고정 핀(52)을 제거하여 상부 고리(60) 및 하부 고리(70)를 분리한다. 따라서, 상부 고리(60) 및 하부 고리(70)는 수직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원판(84)에 형성된 회전대(86)를 회전시켜 상부 고리(60)와 하부 고리(70)간의 간극을 조절한다. 여기서, 원판(84)은 상부 고리(60) 및 하부 고리(70)에 형성된 제 1 영구 자석(92) 및 제 2 영구 자석(94)의 자기력선(96)을 조절시켜 상부 고리(60)로부터 하부 고리(70)를 부양시키는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방음·방진 장치의 설치 방법은 횡방 향 천장틀(20) 및 종방향 천장틀(30) 사이에 천장 방음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천장 방음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횡방향 천장틀(20) 및 종방향 천장틀(30)을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층간 소음을 제거 및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방음·방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벽 마감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천정틀 방음 어셈블리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단면도들
도 5는 도 3의 상부 고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하부 고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상부 고리 및 하부 고리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3의 고정판 및 원판과 영구 자석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고정판 및 원판의 결합 측면도
도 10은 제 1 영구 자석 및 제 2 영구 자석의 자기력선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에 나타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측벽 마감 부재 20 : 횡방향 천장틀
30 : 종방향 천장틀 40 : 천장 플레이트
50 :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60 : 상부 고리
70 : 하부 고리 80 : 지그
90 : 영구 자석 100: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
200: 측벽 콘크리트 슬라브

Claims (8)

  1. 횡방향 틀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고리(60),
    상기 상부 고리(60)에 교차되고 소정 간격 떨어져 있는 종방향 틀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고리(70),
    상기 상부 고리(6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고정판(82),
    상기 하부 고리(7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82)과 마주하며 제2 수용 공간을 가지는 원판(84),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영구 자석(92),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1 영구 자석(92)과 마주하며, 일측의 극성이 상기 제1 영구 자석(92)과 동일한 제 제2 영구 자석(94), 그리고
    상기 원판(8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원판(84)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대(86)
    를 포함하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리(70)의 측부에 관통되면서 상기 회전대(86)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회전걸쇠(88)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84)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 고리(70)에 상기 원판(84)을 고정시키는 리벳(85)과, 상기 원판(84)에 대향되는 상기 고정판(82)의 가장자리를 상기 상부 고리(60)에 고정시키는 걸쇠(63)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리(60)와 상기 하부 고리(70) 각각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 홀(65, 75)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 1 영구 자석(92) 및 상기 제 2 영구 자석(94)의 척력에 의해 이격되는 상기 상부 고리(60) 및 상기 하부 고리(70)를 서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핀(52)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6. 천장의 슬라브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횡방향 천장틀(20);
    상기 횡방향 천장틀에 교차되는 종방향 천장틀(30);
    상기 횡방향 천장틀(20)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고리(60),
    상기 상부 고리(60)에 교차되고 소정 간격 떨어져 있는 상기 종방향 천장틀(30)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고리(70), 상기 상부 고리(6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고정판(82), 상기 하부 고리(7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82)과 마주하며 제2 수용 공간을 가지는 원판(84),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영구 자석(92),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1 영구 자석(92)과 마주하며, 일측의 극성이 상기 제1 영구 자석(92)과 동일한 제 제2 영구 자석(94), 그리고 상기 원판(8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원판(84)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대(86)를 구비하는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상기 종방향 천장틀(30)의 하부에 형성된 천장 플레이트(40); 및
    상기 천장 플레이트(40)를 상기 천장과 연결되는 측벽면으로부터 이탈시키면서 고체물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 및 진동을 감소시키는 탄성 고무로 상기 천장 플레이트(40)를 마감하는 측벽 마감부재(1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방음·방진 장치.
  7. 천장의 슬라브에 횡방향 천장틀(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횡방향 천장틀(20)에 상부 고리(60)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상부 고리(60)에 맞물린 하부 고리(70)에 종방향 천장틀(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장 슬라브에 연결되는 측벽 콘크리트에 측벽 마감 부재(1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측벽 마감 부재(10)에 삽입되면서 상기 종방향 천장틀(30)에 연결되는 천장 플레이트(4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고리(60) 및 상기 하부 고리(70)를 고정시키는 핀(52)을 뽑아 상기 상부 고리(60)와 상기 하부 고리(70) 사이에서 서로 동일한 극성이 서로 대면되는 제 1 영구 자석(92)과 제 2 영구 자석(94)의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고리(60)와 상기 하부 고리(70)를 소정 거리로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방음·방진 장치의 설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리(70)에 형성된 원판(84)을 회전시키는 회전대(86)를 소정 각도의 방위각으로 돌려, 상기 원판(84)에 형성된 제 2 영구 자석(94)과, 상기 하부 고리(70)에 삽입된 상기 상부 고리(60)의 고정판(82)에 형성된 제 1 영구 자석(92) 간의 자기력선을 대칭적으로 맞물리도록 일치시키거나 어긋나도록 일부 이탈시켜 상기 제 2 영구 자석(94) 및 상기 제 1 영구 자석(92) 사이의 자기력을 조절하여 상기 하부 고리(70)와 상기 상부 고리(60)의 간극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방음·방진 장치의 설치 방법.
KR1020090002874A 2009-01-14 2009-01-14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092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874A KR100928720B1 (ko) 2009-01-14 2009-01-14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874A KR100928720B1 (ko) 2009-01-14 2009-01-14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720B1 true KR100928720B1 (ko) 2009-11-27

Family

ID=4160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874A KR100928720B1 (ko) 2009-01-14 2009-01-14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7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288B1 (ko) 2009-11-18 2012-03-21 이지원 시스템 창호
KR200464240Y1 (ko) 2010-06-29 2012-12-18 주식회사 엠테크놀러지 의료용 흡입기의 진동방지장치
KR101828368B1 (ko) * 2017-05-30 2018-02-12 (주)유창 천장 몰딩장치
CN111395629A (zh) * 2020-03-24 2020-07-10 浙江世贸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防变形天花板吊顶结构及其吊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829A (ja) * 1999-05-26 2000-12-05 Higashi Nippon House Kk 天井用吊り具
KR20010055379A (ko) * 1999-12-10 2001-07-04 조용군 천장구조물의 벽몰딩시스템
KR20040099840A (ko) * 2003-05-20 2004-12-02 광건티앤씨(주) 천정프레임 조립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829A (ja) * 1999-05-26 2000-12-05 Higashi Nippon House Kk 天井用吊り具
KR20010055379A (ko) * 1999-12-10 2001-07-04 조용군 천장구조물의 벽몰딩시스템
KR20040099840A (ko) * 2003-05-20 2004-12-02 광건티앤씨(주) 천정프레임 조립용 고정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288B1 (ko) 2009-11-18 2012-03-21 이지원 시스템 창호
KR200464240Y1 (ko) 2010-06-29 2012-12-18 주식회사 엠테크놀러지 의료용 흡입기의 진동방지장치
KR101828368B1 (ko) * 2017-05-30 2018-02-12 (주)유창 천장 몰딩장치
CN111395629A (zh) * 2020-03-24 2020-07-10 浙江世贸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防变形天花板吊顶结构及其吊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720B1 (ko)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1673164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006837B1 (ko)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0884158B1 (ko) 층간 차음재
RU2457301C2 (ru)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ая монтажная скоба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отолочной подвески к балкам междуэтаж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KR101509586B1 (ko) 이중 바닥 구조의 차음 난방장치
KR200385010Y1 (ko) 층간차음재
KR102236474B1 (ko) 우물천장 구조물
KR20190024234A (ko) 바닥패널 고정구
KR10186312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베이스트랩
KR101642289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뜬바닥 어셈블리
JP4084536B2 (ja) 根太施工方法
KR10213343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천장 및 벽체 패널과 이의 시공방법
JP2002106088A (ja) 二重床における壁構造
KR100778659B1 (ko)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재
JP2003172019A (ja) 建物浮き内装構造
KR102540691B1 (ko) 단열기능을 가지는 건축용 원통지지체의 구조
KR102216466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CN220035882U (zh) 一种建筑隔音墙板
JP2002021293A (ja) 内装用板材の取付構造
JP5956181B2 (ja) 床スラブ
JP4152993B2 (ja) 遮音床
JP2004324205A (ja) 壁床の防振・防音構造
KR200402166Y1 (ko) 층간 진동 소음 방지구
JP6453384B2 (ja) 遮音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