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288B1 - 시스템 창호 - Google Patents

시스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288B1
KR101122288B1 KR1020090111534A KR20090111534A KR101122288B1 KR 101122288 B1 KR101122288 B1 KR 101122288B1 KR 1020090111534 A KR1020090111534 A KR 1020090111534A KR 20090111534 A KR20090111534 A KR 20090111534A KR 101122288 B1 KR101122288 B1 KR 101122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magnet
window
magnet part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764A (ko
Inventor
이지원
김현균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이지원
정재우
김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원, 정재우, 김현균 filed Critical 이지원
Priority to KR1020090111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2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6Devices for taking the weight of the wing, arranged away from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개폐(開閉)가 용이한 시스템 창호를 개시한다.
그러한 시스템 창호는, 가장자리 안쪽에 개구부가 마련된 창틀과, 창유리를 구비하고 상기 창틀의 개구부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창문틀과, 상기 창틀과 창문틀 하부의 미끄럼 틈새 사이에 마주하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창문틀을 부상(浮上)시키기 위한 자력(磁力)을 발생하는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와, 상기 제1 자석부를 상기 창틀 측에 비고정 상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2 자석부를 상기 창문틀 측에 비고정 상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고정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 또는 제2 고정플레이트를 눌러서 상기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조절구들로 구성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자석(磁石), 부상(浮上), 척력(斥力) 발생, 작동 안정성 및 사용 편의성 향상

Description

시스템 창호{window system}
본 발명은 자력(磁力)을 이용한 부상(浮上) 방식으로 창문틀을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창호는 주로 건물의 벽체 측에 설치되어 시야 확보는 물론이거니와 단열 및 채광(採光), 환기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 창호는, 창틀과, 이 창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창문틀로 구성되며, 여러 가지의 기능들 중에서 특히 창문틀을 밀거나 당기면서 부드럽고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건물의 베란다 측에 설치되는 대형의 시스템 창호들은 창문틀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미끄럼 운동시 마찰 저항이 크게 발생하여 사용자가 창문틀을 열거나 닫을 때 많은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구조로는, 창틀과 창문틀의 미끄럼 틈새 사이에 자석들을 설치하여 창문틀이 자력(磁力)에 의해 부상(浮上)된 상태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자력(磁力) 부상 방식의 구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이러 한 자력 부상 방식은 자석들 간에 작용하는 척력(斥力)을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자력 부상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종래의 시스템 창호들은 여러 가지의 단점이 있다.
즉, 자석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자(減磁) 현상이 뚜렷하게 발생하므로 장기간 사용시 만족할 만한 작동 안전성과 내구성을 기대할 수 없다.
더욱이, 종래의 자력 부상 방식은 자석들이 대부분 창틀과 창문틀 측에 직접 고정된 일체형의 구조로 제공되므로 이러한 일체형의 구조는 유지보수가 어렵고,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자석들을 창틀이나 창문틀 측에 일체로 고정하는 방식은 창틀이나 창문틀의 변형 및 파손을 초래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자석의 감자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석들이 창틀 및 창문틀 측에 직접 고정된 일체형의 구조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磁力)을 이용한 부상(浮上) 방식으로 창문틀을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층 향상된 작동 안전성과 유지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안쪽에 개구부가 마련된 창틀;
창유리를 구비하고 상기 창틀의 개구부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창문틀;
상기 창틀과 창문틀 하부의 미끄럼 틈새 사이에 마주하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창문틀을 부상(浮上)시키기 위한 자력(磁力)을 발생하는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
상기 제1 자석부를 상기 창틀 측에 비고정 상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2 자석부를 상기 창문틀 측에 비고정 상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 또는 제2 고정플레이트를 눌러서 상기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조절구들로 구성되는 간격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시스템 창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 간에 작용하는 자력(磁力, 예: 척력)으로 창문틀을 부상(浮上)시켜서 미끄럼 마찰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개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자석부들 감자(減磁)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고정플레이트와 제2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들을 창틀이나 창문틀 측에 비고정 상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종래와 같이 자석들이 창틀이나 창문틀 측에 고정된 일체형의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전체 구조 및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창틀을 지칭하고, 도면 부호 4는 창문틀을 지칭한다.
상기 창틀(2)과 창문틀(4)은 여러 가지 타입이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미서기 타입의 시스템 창호와 대응하는 구조를 일예로 설명한다.
상기 창틀(2)은 가장자리 내측에 개구부(S)를 구비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틀(4)은 창유리(W)를 구비하고 상기 창틀(2)의 개구부(S)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창문틀(4)은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창틀(2)의 좌,우측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되면서 상기 개구부(S)를 개폐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자석부(6)는 제1 자석(M1)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자석부(8)는 제2 자석(M2)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는 상기 창틀(2)과 창문틀(4) 하부의 미끄럼 틈새 측에서 서로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자석(M1)들은 상기 창틀(2) 측에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석(M2)들은 상기 창문틀(4) 측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 간에는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미는 힘 즉, 척력(斥力)이 발생하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N극과 S극들 중에서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하도록 상기 제1 자석(M1)들과 제2 자석(M2)들을 배열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 간에 미는 힘이 작용하면서 상기 창문틀(4)의 하부가 상기 창틀(2) 상에서 부상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M1)들과 제2 자석(M2)들은 이미 잘 알려진 영구자석들 중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히토류 자석 중에 하나로 알려진 네오디움 자석(일명 "수퍼 자석")을 사용하면 좋다. 이 네오디움 자석은, 부피에 비히여 자속 밀도와 보자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창문틀(4)의 부상을 위한 자력(磁力)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자석(M1, M2)들의 외부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면 좋다. 예를 들어, 네오디움 자석을 사용할 때에는 니켈 증착 도금이나 알루미늄 크로메이트와 같은 특수도금을 하면 내열성과 내부식성 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상기 제1 자석부(6) 및 제2 자석부(8)와 대응하는 고정부(1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의 자석(M1, M2)들을 도 2에서와 같은 배열로 상기 창틀(2) 및 창문(4)틀 측에 비(非)고정 상태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제1 자석부(6)와 대응하는 제1 고정플레이트(P1)와, 상기 제2 자석부(8)와 대응하는 제2 고정플레이트(P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P1)와 제2 고정플레이트(P2)는, 일면에 복수 개의 고정용 홈부(H)들을 각각 구비하고, 이 고정용 홈부(H)들 측에 상기 제1 자석(M1)과 제2 자석(M2)들이 끼워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접착제(예: 에폭시)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자석(M1)이나 제2 자석(M2)들을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P1)또는 제2 고정플레이트(P2) 측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P1, P2)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고 자성(磁性)을 띠는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 중에서 사용하면 좋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P1, P2)의 고정용 홈부(H) 측에 상기와 같이 자석(M1, M2)들을 각각 끼운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홈부(H)의 개방된 부분을 차단하면 좋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용 홈부(H)들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상태로 별도의 보호용 캡을 부착할 수 있다. 그러면, 각종 외부 충격이나 습기 등으로부터 자석(M1, M2)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P1, P2)들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의 자석(M1, M2)들을 도 2에서와 같은 배열로 잡아주면서 상기 창틀(2)과 창문틀(4) 측에 비고정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창틀(2)과 창문틀(4)의 미끄럼 틈새 사이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P1, P2)들을 끼우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유지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간격조절수단(12)을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12)은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12)은 상기 고정부(10)의 제1 고정플레이트(P1) 또는 제2 고정플레이트(P2)를 접촉력으로 밀면서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간격조절수단(12)은, 복수 개의 조절구(D)들로 구성되고, 나사 결합력으로 푸싱 동작이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구(D)들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창문틀(4)의 하부 내측에서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P2) 위쪽에 세워진 상태로 복수 개의 지점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D)들은 상기 창문틀(4) 내측에 형성된 지지대(D1)를 관 통하는 방향으로 나사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절구(D)들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통상의 렌치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들로 간편하게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홈부를 구비하면 좋다.
상기한 조절구(D)들은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대(D1)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는 상기 간격조절수단(12)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 조절구(D)들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일측 단부로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P2)의 윗면을 눌러서 이 제2 고정플레이트(P2)를 아래쪽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구(D)들의 작용에 의하면,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P2)를 움직이면서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 간의 간격(G)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척력을 간편하게 셋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의 간격(G)이 좁을수록 척력은 커지고, 반대로 간격(G)이 넓을수록 척력은 작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자석부(6, 8)의 자석(M1, M2)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자(減(磁)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 간에 간격(G)을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척력을 적절하게 셋팅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구(D)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P2)의 가운데 지점에 배치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P2)를 눌러서 간격(G)을 조절할 때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 간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P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틀(4) 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수단(12)의 조절구(D)들과 대응하는 통로(D2)들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통로(D2)들은 통상의 방법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외부에서 상기 통로(D2)를 이용하여 별도의 도구로 상기 조절구(D)들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상기 간격조절수단(12)과 대응하는 조작수단(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상기 조작수단(14)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조작수단(14)은 기어(gear) 물림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12)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조작수단(14)은, 회전축(16)과, 이 회전축(16)의 회전력을 상기 간격조절수단(12) 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기어부(1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6)은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창문틀(4) 하부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지점이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16)은 예를 들어, 통상의 렌치나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홈부를 형성하면 좋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18)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16)과 상기 간격조절수단(12)의 조절구(D)들 사이를 워엄기어(18a, wormgear)들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16)의 정,역 회전시 상기 워엄기어(18a)들의 기어 물림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조절구(D)들을 회전시켜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조작수단(14)은 상기 회전축(16)을 정,역 회전시키면서 상기 복수 개의 조절구(D)들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기어부(18)는 워엄기어를 사용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미 잘 알려진 여러 가지 타입의 기어(예: 랙기어, 피니언기어)들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 간에 작용하는 척력으로 상기 창문틀(4)을 부상시켜서 열거나 닫을 때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들의 간격(G)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1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자석부(6, 8)들의 간격(G)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상기 창문틀(4)의 부상(浮上)을 위한 척력을 간편하게 셋팅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12)의 작용에 의하면, 예를 들어, 상기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의 감자(減磁)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척력을 간편하게 재셋팅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사용편의성 및 작동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상기한 일실시 예와 비교할 때 제1 자석부(6)와 제2 자석부(8)를 창틀(2)이나 창문틀(4) 측에 비(非)고정 상태로만 제공하는 간단한 기능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이점이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제1 자석부(6)의 제1 자석(M1)들은 제1 고정플레이트(P1)의 고정용 홈부(H) 측에 끼워져서 상기 창틀(2)과 대응하도록 비고정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자석부(8)의 제2 자석(M2)들은 제2 고정플레이트(P2)의 고정용 홈부(H) 측에 끼워져서 상기 창문틀(4)과 대응하도록 비고정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시스템 창호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전체 및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간격조절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조작수단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창틀 4: 창문틀 6: 제1 자석부
8: 제2 자석부 10: 고정부 12: 간격조절수단

Claims (8)

  1. 가장자리 안쪽에 개구부가 마련된 창틀;
    창유리를 구비하고 상기 창틀의 개구부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창문틀;
    상기 창틀과 창문틀 하부의 미끄럼 틈새 사이에 마주하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창문틀을 부상(浮上)시키기 위한 자력(磁力)을 발생하는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
    상기 제1 자석부가 상기 창틀 측에 위치하도록 잡아주는 제1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2 자석부가 상기 창문틀 측에 위치하도록 잡아주는 제2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 또는 제2 고정플레이트를 눌러서 상기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조절구들로 구성되는 간격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시스템 창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는,
    복수 개의 자석들로 각각 구성되며, 이 자석들은 상기 창틀과 창문틀 하부의 미끄럼 틈새 사이에서 척력(斥力)의 발생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스템 창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자석들은,
    영구자석 중에서 네오디움 자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창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 및 제2 고정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고정용 홈부들을 각각 구비하고, 이 고정용 홈부 측에 상기 제1 자석 또는 제2 자석들이 배치되는 시스템 창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조절구들이 나사 결합 상태로 정,역 회전되면서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 또는 제2 고정플레이트 일면을 누를 수 있도록 셋팅되는 시스템 창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창호는,
    상기 간격조절수단과 대응하는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수단,
    상기 조절구들과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어부재들로 구성되어 기 어 물림으로 동력을 전달하면서 상기 조절구들을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셋팅되는 시스템 창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들은,
    워엄기어 또는 랙기어, 피니언기어 중에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창호.
  8. 삭제
KR1020090111534A 2009-11-18 2009-11-18 시스템 창호 KR101122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34A KR101122288B1 (ko) 2009-11-18 2009-11-18 시스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34A KR101122288B1 (ko) 2009-11-18 2009-11-18 시스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64A KR20110054764A (ko) 2011-05-25
KR101122288B1 true KR101122288B1 (ko) 2012-03-21

Family

ID=4436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534A KR101122288B1 (ko) 2009-11-18 2009-11-18 시스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805B1 (ko) * 2012-06-27 2014-11-03 민승기 환기가 용이한 창틀
KR20210079065A (ko) 2019-12-19 2021-06-29 (주)엘지하우시스 밀폐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73Y1 (ko) * 2013-02-15 2018-02-06 최혜영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문구조
KR101987261B1 (ko) * 2016-01-12 2019-06-12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식 슬라이드형 다중 도어 개폐 시스템
CN105952327A (zh) * 2016-06-28 2016-09-21 武汉广信视通科技有限公司 智能控制式自动移动门
CN106522792B (zh) * 2016-12-01 2018-04-20 重庆金华兴门业有限公司 可自动开启的防火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0830A (ja) * 2006-08-24 2008-03-06 Ykk Ap株式会社 建具
KR20090008149U (ko) * 2009-06-26 2009-08-13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자기 부상 창호
KR100928720B1 (ko) 2009-01-14 2009-11-27 문인수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110001729U (ko) * 2009-08-13 2011-02-21 주식회사 이건창호 시스템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0830A (ja) * 2006-08-24 2008-03-06 Ykk Ap株式会社 建具
KR100928720B1 (ko) 2009-01-14 2009-11-27 문인수 천장틀 방음·방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090008149U (ko) * 2009-06-26 2009-08-13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자기 부상 창호
KR20110001729U (ko) * 2009-08-13 2011-02-21 주식회사 이건창호 시스템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805B1 (ko) * 2012-06-27 2014-11-03 민승기 환기가 용이한 창틀
KR20210079065A (ko) 2019-12-19 2021-06-29 (주)엘지하우시스 밀폐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64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288B1 (ko) 시스템 창호
KR20200110924A (ko) 시스템 창호
WO2005060399A3 (en) Rack-mounted door assembly
EP2262358B1 (en) Animal door having an adjustable resistance against being opened
JP2007270860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US20190194991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roller assembly
NO20011719L (no) Vindus- og/eller dörbeslag
KR102049027B1 (ko) 자기력을 이용한 창문의 방음 및 방열 구조체
CN105888409B (zh) 一种用于计量箱柜的自动旋转锁
KR20060000473A (ko) 단열 및 방음이 뛰어난 미닫이 창호의 틈새방지구조
KR200445977Y1 (ko) 수문 권양기의 클러치
US4418951A (en) Rotary latch for screen door
CN209799658U (zh) 一种门轴内部双向90度定位装置
KR102263847B1 (ko) 기밀도어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230022465A (ko) 슬라이딩 도어
GB0504704D0 (en) Releasable door jamb assembly
KR101212010B1 (ko) 덧붙임 창호의 무테창 이동장치의 구조
KR200435374Y1 (ko) 도어록 장치
CN213869309U (zh) 通道门锁
KR100811850B1 (ko) 창호 시스템
CN201212316Y (zh) 一种门铰链
CN213330434U (zh) 一种门窗锁件用滑块
CN219138850U (zh) 一种建筑工程用抗风防变形玻璃安装结构
CN211572924U (zh) 一种智能门锁安装结构
CN217812955U (zh) 一种铰链的防翘结构及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