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850B1 -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850B1
KR100811850B1 KR1020070034747A KR20070034747A KR100811850B1 KR 100811850 B1 KR100811850 B1 KR 100811850B1 KR 1020070034747 A KR1020070034747 A KR 1020070034747A KR 20070034747 A KR20070034747 A KR 20070034747A KR 100811850 B1 KR100811850 B1 KR 10081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window frame
window
ra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오일동
Original Assignee
김기수
오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오일동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07003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창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창호 시스템은 일면에 제1 자석이 설치된 창문틀, 및 제1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제2 자석을 이동시킴으로써 창문틀을 이동시키는 자동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창호 시스템, 자석

Description

창호 시스템{Window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서, 제1 자석이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서, 제2 자석을 이동시키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문틀 12 : 제1 자석
14 : 레일 삽입홈 20 : 창틀
24 : 레일 30 : 자동 이동 장치
32 : 제2 자석 34 : 이송축
36 : 벨트 38 : 모터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창문틀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적용되는 창호 시스템은 유리 등이 삽입되어 있는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창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창문틀과 창틀은 다양한 형상의 골조에 의해 제작된다. 예를 들어, 골조는 철제나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되는 금속 골조 혹은 플라스틱 골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창호 시스템은 방음, 방풍, 단열 기능 등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다중창을 사용하거나, 기밀성이 우수한 모헤어를 사용하는 등의 기술 개발이 있어 왔다.
이에 비교하여, 창문틀을 쉽고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노력은 적은 편이었다. 즉, 사용자는 직접 힘을 들여 창문틀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창문틀이 크고 무거울 경우, 아동이나 여성들은 쉽게 창문틀을 이동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창문틀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일면에 제1 자석이 설치된 창문틀, 및 제1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제2 자석을 이동시킴으로써 창문틀을 이동시키는 자동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창호 시스템은 창문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창틀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창문틀의 일면에는 창틀의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삽입홈이 형성되고, 레일 삽입홈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창틀과 자동 이동 장치는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일체화(一體化)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자동 이동 장치는 회전 운동을 하는 다수의 이송축과, 이송축의 회전 운동에 따라 이동되고 윗면에 제2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벨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창호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자동 이동 장치는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창문틀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입력부로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또는 창문틀에 설치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창문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창틀, 창틀 상부에 설치된 창문틀로,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삽입홈이 설치되고, 레일 삽입홈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이 설치된 창문틀, 창틀 하부에 설치된 자동 이동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이동시킴으로써 창문틀을 이동시키는 자동 이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 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유리 등이 삽입되어 있는 창문틀(10)을 이동시킬 때, 자석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는 창문틀(10)의 일면(예를 들어, 밑면)에 제1 자석(12)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자석(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자석(32)이 설치되어 있다. 대응되는 제1 자석(12) 및 제2 자석(32)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고 있을 수 있다.
동작을 설명하면, 제2 자석(32)이 일측 방향(a)으로 이동하면, 제2 자석(32)과 제1 자석(12) 사이의 인력으로 인해서, 제1 자석(12)이 설치된 창문틀(10)이 일측 방향(b)으로 이동되게 된다.
제1 및 제2 자석(12, 32)이 설치되는 예시적인 위치, 제2 자석(32)이 이동되게 하는 장치 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자석(12, 32)은 영구 자석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한, 본 발명자들은 약 60kg의 상당히 무거운 창문틀(10)을 이동시키려 할 때, 약 5000G의 영구 자석을 사용하면 충분히 이동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건축물의 여러 곳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파트, 빌라와 같은 공동 주택의 발코니용 창호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서, 제1 자석이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서, 제2 자석을 이동시키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서 설명된 창호 시스템을 예시적/구체적으로 구현한 것에 해당한다.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창문틀(10), 창틀(20), 자동 이동 장치(30) 등을 포함한다.
창문틀(10)은 유리 등의 투명판 또는 불투명판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철제, 알루미늄 등의 금속 골조 혹은 플라스틱 골조로 제작될 수 있다. 창틀(20)은 창문틀(10)이 설치되는 것으로, 창문틀(10)과 마찬가지로 금속 골조 또는 플라스틱 골조로 제작될 수 있다.
창틀(20)에는 창문틀(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24)이 설치되어 있고, 창문틀(10)에는 레일(24)과 마주보는 면에 레일(24)이 삽입되는 레일 삽입홈(14)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창틀(20)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12)이 설치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삽입홈(14)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도 3 및 도 4에서는 레일 삽입홈(14)의 양측에 설치된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일측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자동 이동 장치(30)는 제1 자석(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자석(32)을 포함하고, 제2 자석(32)을 이동시킴으로서, 제2 자석(32)과 제1 자석(12) 사이의 인력에 의해서 창문틀(1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동 이동 장치(30)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이송축(34), 벨트(36), 모터(38) 등을 포함하여, 제2 자석(32)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의 이송축(34)은 나란하게 배치되고, 모터(38)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한다. 벨트(36) 윗면에는 제2 자석(32)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벨트(36)는 다수의 이송축(3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이동되게 되고, 벨트(36)의 이동에 따라 제2 자석(32)이 이동하게 된다. 벨트(36)와 제2 자석(32)의 결합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창문틀(10)을 이동시키려 할 때, 사용자는 직접 힘을 들여 창문틀(10)을 이동시키지 않고, 입력부(도 7, 도 8에서 후술함)를 통해서 지시를 하게 된다. 그러면, 자동 이동 장치(30) 내의 모터(38)가 동작하기 시작하고, 벨트(36)의 이동에 따라 제2 자석(32)이 이동하게 된다. 제2 자석(32)과 제1 자석(12) 사이의 인력에 의해, 제1 자석(12)이 설치된 창문틀(10)이 따라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힘이 부족한 아동이나 여성들이 크고 무거운 창문틀(10)을 이동시키려 하더라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서, 창틀(20)과 자동 이동 장치(3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이,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창틀(20a)과 자동 이동 장치(30a)가 일체화(一體化)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자동 이동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였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창틀(20a)과 자동 이동 장치(30a)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거나, 제1 실시예보다는 훨씬 작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사용 자의 지시(즉, 사용자가 창문틀을 이동시키라는 지시)를 받는 입력부로 스위치(40)를 사용한다. 이러한 스위치(40)는 창문틀(1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자동 이동 장치(30)는 스위치(4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2 자석을 움직이게 하고, 결국 창문틀(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스위치(40)에는 여러 가지 키(key)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사용자가 창문틀(10)의 여러 가지 키 중 특정 키를 누르면, 창문틀(10)이 완전 개폐되거나, 일부 개폐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시를 받는 입력부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50)를 사용할 수 있다. 자동 이동 장치(30)는 리모트 컨트롤러(5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2 자석을 움직이게 하고, 결국 창문틀(10)을 이동시키게 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입력부로써 리모트 컨트롤러(50) 또는 창문틀에 설치된 스위치(40)를 이용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로는, 사용자의 지시를 받을 수 있는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이 도 1과 다른 점은 창문틀(10)의 윗면에 제1 자석(12a)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자석(12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자석(32a)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동작을 설명하면, 제2 자 석(32a)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자석(32a)과 제1 자석(12a) 사이의 인력으로 인해서, 제1 자석(12a)이 설치된 창문틀(1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 1 및 도 9에서는, 제1 자석이 창문틀의 밑면 또는 윗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창문틀을 쉽게 이동시킬 수 위치라면, 창문틀의 어떤 위치에도 제1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창호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힘을 들여 창문틀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고 자석을 이용하여 창문틀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창문틀이 크고 무겁더라도 아동이나 여성들이 쉽게 창문틀을 이동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일면에 제1 자석이 설치된 창문틀; 및
    상기 제1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자석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창문틀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창문틀의 밑면 또는 윗면에 설치된 창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시스템은 상기 창문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창틀을 더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의 일면에는 상기 창틀의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삽입홈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자석이 설치된 창호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과 상기 자동 이동 장치는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일체화(一體化)되어 있는 창호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동 장치는 회전 운동을 하는 다수의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회전 운동에 따라 이동되고 윗면에 상기 제2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벨트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이동 장치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창문틀을 이동시키는 창호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또는 상기 창문틀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9. 창문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창틀;
    상기 창틀 상부에 설치된 창문틀로,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삽입홈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 삽입홈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이 설치된 창문틀; 및
    상기 창틀 하부에 설치된 자동 이동 장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창문틀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20070034747A 2007-04-09 2007-04-09 창호 시스템 KR10081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47A KR100811850B1 (ko) 2007-04-09 2007-04-09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47A KR100811850B1 (ko) 2007-04-09 2007-04-09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850B1 true KR100811850B1 (ko) 2008-03-10

Family

ID=3939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47A KR100811850B1 (ko) 2007-04-09 2007-04-09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8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411A (ko) * 1997-05-15 1998-12-05 김광호 전자석을 이용한 커텐 자동 개폐기
KR20000011789U (ko) * 1998-12-08 2000-07-05 이용해 미닫이 창호용 창틀의 이물질 분리구조
KR200243986Y1 (ko) 2001-04-27 2001-10-12 김재수 화물차용콘베이어장치
KR20060005724A (ko) * 2004-07-14 2006-01-18 주식회사 야스 자기 부상식 직선운동 가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411A (ko) * 1997-05-15 1998-12-05 김광호 전자석을 이용한 커텐 자동 개폐기
KR20000011789U (ko) * 1998-12-08 2000-07-05 이용해 미닫이 창호용 창틀의 이물질 분리구조
KR200243986Y1 (ko) 2001-04-27 2001-10-12 김재수 화물차용콘베이어장치
KR20060005724A (ko) * 2004-07-14 2006-01-18 주식회사 야스 자기 부상식 직선운동 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7413A1 (en) Reversible door opening mechanism and refrigerator
AU64671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actuating and unlatching of the shaft doors of an elevator
CN106460409A (zh) 锁止系统
KR20080068284A (ko)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HK1076646A1 (en) Simplified device for magnetically operating blinds within a glass-enclosed chamber
EP375495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control method
US20110036510A1 (en) Magnetic driving device and built-in sunshade products adapted for use in double glazing
CN101205033B (zh) 电梯轿厢内操作盘
EP1801339A3 (de) Antrieb zum Betätigen eines beweglichen Flügels, insbesondere einer Tür oder eines Fensters
KR100759752B1 (ko) 도어의 개폐장치
KR100811850B1 (ko) 창호 시스템
KR101122288B1 (ko) 시스템 창호
YU107104A (sh) Jednostavan uređaj za žaluzine koje se pokreću magnetnim putem unutar komore zatvorene staklom
US20050252091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preventing noise from door window glass for vehicles
CN104481353A (zh) 一种电动双开门淋浴房门
EP3004763B1 (en) Door opening-closing assembly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ame
SI1865130T1 (sl) Naprava za odpahnenje
JP2008303546A (ja) 上げ下げ窓の安全装置
GB2415739B (en) Releasable door jamb assembly
US8494603B2 (en) Ope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sliding cover of portable electronic product
CN209244474U (zh) 一种无尘车间的自动传递窗
JP4518124B2 (ja) 引戸
KR200413587Y1 (ko) 틈새 방지용 도어 장치
KR200245947Y1 (ko)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CN205326774U (zh) 一种天窗框架驱动软轴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