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752B1 -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752B1
KR100759752B1 KR1020060048164A KR20060048164A KR100759752B1 KR 100759752 B1 KR100759752 B1 KR 100759752B1 KR 1020060048164 A KR1020060048164 A KR 1020060048164A KR 20060048164 A KR20060048164 A KR 20060048164A KR 100759752 B1 KR100759752 B1 KR 10075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gnetic force
opening
magnet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업
이성해
정순용
Original Assignee
홍순업
이성해
정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업, 이성해, 정순용 filed Critical 홍순업
Priority to KR102006004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닫힐 때는 자력작용체간의 인력이 작용하여 닫힘과 동시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열 때는 자력작용체간의 인력 감소 내지 척력이 작용하여 저항 없이 쉽게 열리도록 하는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자석식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대상물의 일측에 고정 마련되는 자력작용체1; 상기 개폐대상물을 개폐시키는 도어의 일측에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자력자성체1과 인력과 척력 반응하는 자력작용체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개폐대상물에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자력작용체1과 자력작용체2가 극성이 반대 상태로 포개어져 있어 상호 인력 작용함으로써, 도어가 개폐대상물에 대해 닫혀 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도어 측 자력작용체2를 이동시켜 자력작용체1과 인력 척력이 동시에 작용하도록 하거나 동일 자극이 되도록 하면, 도어가 무저항 상태로 쉽게 열리거나 개폐대상물에 대해 반발하면서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자력작용체간의 인력 척력에 의해 도어의 용이한 개폐가 이루어지며, 개폐 시 충격 발생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도어의 개폐장치{OPEN CLOSE APPARATUS OF DOOR}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열린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닫힌 상태).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자력작용체1, 2가 포개진 상태의 정면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자력작용체1, 2가 어긋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은 도 4의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의 a)는 도 4에서 자력작용체1, 2가 포개진 상태의 정면도.
도 6의 b)는 도 4에서 자력작용체1, 2가 어긋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9의 a)는 도 7에서 자력작용체1, 2가 척력 작용한 상태의 측 단면도.
도 9의 a)는 도 7에서 자력작용체1, 2가 척력 작용한 상태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개폐장치 11 : 자력작용체1
12 : 자력작용체2 12a : 회전축
13 : 손잡이 1 : 개폐대상물
2 : 도어 2a : 홈
2b : 슬라이드홈
본 발명은 도어의 자석식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개폐대상물 예컨대, 가구 또는 현관 등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어, 도어 사이의 내/외부를 오픈 차단시키는 문짝 그 자체이다.
이러한 도어에는 닫혀 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폐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금속과 자석간의 끌어당김을 이용한 자석식 개폐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자석식 개폐장치는 도어 또는 개폐대상물인 가구본체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을 구비시키고, 다른 하나에는 금속을 구비시켜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닫혀졌을 때 닫힘 유지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자석과 금속간의 강제 끌어당김으로 해서 도어가 닫힐 때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며, 그로인해 개폐대상물 또는 도어에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거나, 그 기본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개폐대상물이 가구이거나 냉장고일 경우에는 열릴 때의 충격으로 인해 내부에 보관된 수용물이 파손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닫힐 때는 자력작용체간의 인력이 작용하여 닫힘과 동시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열 때는 자력작용체간의 인력 감소 내지 척력이 작용하여 저항 없이 쉽게 열리도록 하는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개폐대상물의 일측에 고정 마련되는 자력작용체1; 상기 개폐대상물을 개폐시키는 도어의 일측에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자력자성체1과 인력과 척력 반응하는 자력작용체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개폐대상물에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자력작용체1과 자력작용체2가 극성이 반대 상태로 포개어져 있어 상호 인력 작용함으로써, 도어가 개폐대상물에 대해 닫혀 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도어 측 자력작용체2를 이동시켜 자력작용체1과 인력 척력이 동시에 작용하도록 하거나 동일 자극이 되도록 하면, 도어가 무저항 상태로 쉽게 열리거나 개폐대상물에 대해 반발하면서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자력작용체간의 인력 척력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쉽게 이루어지며, 개폐 시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거나 감소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에 참고가 되는 도면으로, 도 1을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열린 상태)로, 도 2를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닫힌 상태)로, 도 3의 a)를 본 발명의 자력작용체1, 2가 포개진 상태의 정면도로, 도 3의 b)를 본 발명의 자력작용체1, 2가 어긋난 상태의 정면도로, 도 4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 도 5을 도 4의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로, 도 6의 a)를 도 4에서 자력작용체1, 2가 포개진 상태의 정면도로, 도 6의 b)를 도 4에서 자력작용체1, 2가 어긋난 상태의 정면도로, 도 7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 도 8을 도 7의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로, 도 9의 a)를 도 7에서 자력작용체1, 2가 척력 작용한 상태의 측 단면도로, 도 9의 a)를 도 7에서 자력작용체1, 2가 척력 작용한 상태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로 제시하며, 이 중 도면 부호 10은 본 발명인 개폐장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대상물(1)의 일측에 고정 마련되는 자력작용체1(11); 상기 개폐대상물(1)을 개폐시키는 도어(2)의 일측에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자력자성체1(11)과 인력과 척력 반응하는 자력작용체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전술한 자력작용체1(11)은 N극/S극 또는 어느 한 극성만을 갖는 영구자석일 수 도 있고, 입력신호에 따라 자성을 띠는 전자석일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자력작용체1(11)은 개폐대상물(1)의 일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 중 자력작용체2(12) 역시 N극/S극 또는 상기 자력작용체1(11)과 다른 어느 한 극성만을 갖는 영구자석일 수 도 있고, 입력신호에 따라 자 성을 띠는 전자석일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자력작용체2(12)는 상기 자력작용체1(11)과 대응하는 도어(2)의 일측 부분에 인서트 설치되는 회전축(12a) 단부에 중간부분이 고정 설치되어, 도어(2) 전면의 홈(2a)으로 노출될 수 도 있다. 이때, 회전축(12a)과 자력작용체2(12)의 고정은 접착 고정일 수 도 있고, 상호 관통하는 나사를 통해 고정될 수 도 있으며,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닫혀졌을 때는 개폐대상물(1)에 고정된 자력작용체1(11)과 도어(2)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된 자력작용체2(12)가 서로 다른 극성끼리 포개져서 인력 작용한다. 그러므로, 도어(2)는 개폐대상물(1)에 대해 닫혀 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한다.
그러나, 첨부 도면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된 자력작용체2(12)를 회전축(1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자력작용체1(11)의 N극과 자력작용체2(12)의 S극 및 자력작용체1(11)의 S극과 자력작용체2(12)의 N극이 서로 어긋나, 자력작용체1(11)과 자력작용체2(12)가 교차되는 부분에는 N극과 S극이 혼재하여 인력과 척력이 상쇄되어 무기력 상태 즉 무저항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큰 힘 들이지 않고 도어(2)를 열수 있게 된다. 이때, 자력작용체2(12)를 더 회전시키면, 자력작용체1(11)의 N극과 자력작용체2(12)의 N극 및 자력작용체1(11)의 S극과 자력작용체2(12)의 S극이 포개지게 되므로 척력 작용하여 상호 반발하면서 도어(2)가 별도의 끌어당김 동작 없이도 반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자력작용체2(12)의 중간부분에는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의 용이함을 돕는 손잡이(1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3)는 상기와 같이 자력작용체2(12)의 중강부분에 고정되되, 도어(2)의 전면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손잡이(13)와 자력작용체2(12)의 고정은 접착 고정일 수 도 있고, 상호 관통하는 나사를 통해 고정될 수 도 있으며,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자력작용체2(12)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는 손잡이(13)의 축은 도어(2)에 대해 회전축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닫혀졌을 때는 개폐대상물(1)에 고정된 자력작용체1(11)과 도어(2)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된 자력작용체2(12)가 서로 다른 극성끼리 포개져서 인력 작용한다. 그러므로, 도어(2)는 개폐대상물(1)에 대해 닫혀 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한다.
그러나, 첨부 도면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의 전면에 위치한 손잡이(13)를 회전시키면, 자력작용체2(12) 역시 회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자력작용체1(11)의 N극과 자력작용체2(12)의 S극 및 자력작용체1(11)의 S극과 자력작용체2(12)의 N극이 서로 어긋나게 되며, 자력작용체1(11)과 자력작용체2(12)가 교차되는 부분에는 N극과 S극이 혼재하여 인력과 척력이 상쇄되어 무기력 상태 즉 무저항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큰 힘 들이지 않고 도어(2)를 열수 있게 된다. 이때, 손잡이(13)를 더 회전시키면, 자력작용체2(12) 역시 더 회전하여, 자력작용체1(11)의 N극과 자력작용체2(12)의 N극 및 자력작용체1(11)의 S극과 자력작용체2(12)의 S극이 포개지게 되므로 척력 작용하여 상호 반발하면서 도어(2)가 별도의 끌어당김 동작 없이도 반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자력작용체2(12)의 이동이 회전이 아닌 직선 이동을 통해서도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첨부 도면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에 상기 자력작용체2(12)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상기 자력작용체2(12)의 길이 보다 2배 긴 슬라이드홈(2b)을 형성하되, 상기 자력작용체2(12)는 슬라이드홈(2b)의 어느 한 방향이 치우쳐 상기 자력장용체1(11)과 인력 작용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자력작용체1(11)의 N극과 자력작용체2(12)의 S극 및 자력작용체1(11)의 S극과 자력작용체2(12)의 N극은 상호 포개져서 인력 작용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력작용체2(12)를 슬라이드홈(2b)을 타고 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자력작용체1(11)의 N극과 S극에 대해 자력작용체2(12)의 S극과 N극이 이탈한다.
그러면, 자력작용체1(11)의 N극과 S극 중간 부분에 자력작용체2(12)의 S극이 위치하여 자력작용체1(11)의 N극과는 인력이 작용하고 S극과는 척력이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인력과 척력이 상쇄되므로, 무기력 상태 즉, 무저항 상태가되어 도어(2)를 용이하게 열수 있다.
이때, 자력작용체2(12)를 더 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자력작용체1(11)의 S극과 자력작용체2(12)이 S극이 마주하여, 결과적으로 척력 작용하면서 밀어내므로, 도어(2)가 반발력에 의해 반자동을 열리게 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드식에서도 자력작용체2(12)에 손잡이를 마련하여 슬라이드를 도울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자력작용체1,2(11)(12)를 N극과 S극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신호에 의해 자성을 띠는 전자석으로 적용하여 동일한 작용을 얻어 낼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기적 스위치의 원터치 동작을 통해 전자석을 구성하는 코일로 신호가 입력되어, 그 신호의 방향에 따라 전자석의 자극 방향이 변화되면서 인력 척력이 작용하여 도어(2)의 개폐 가능 상태 및 닫혀 진 상태의 유지가 이루어진다.
끝으로, 본 발명의 개폐대상물(1)과 도어(2)의 접하는 면에 러버와 같은 완충부재를 더 구비시키는 것도 개폐대상물(1)과 도어(2)의 걔폐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개폐대상물에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자력작용체1과 자력작용체2가 극성이 반대 상태로 포개어져 있어 상호 인력 작용함으로써, 도어가 개폐대상물에 대해 닫혀 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도어 측 자력작용체2를 이동 시켜 자력작용체1과 인력 척력이 동시에 작용하도록 하거나 동일 자극이 되도록 하면, 도어가 무저항 상태로 쉽게 열리거나 개폐대상물에 대해 반발하면서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자력작용체간의 인력 척력에 의해 도어의 용이한 개폐가 이루어지며, 개폐 시 충격 발생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4)

  1. 개폐대상물(1)의 일측에 고정 마련되는 자력작용체1(11); 상기 개폐대상물(1)을 개폐시키는 도어(2)의 일측에서 회전 또는 슬라이드를 통한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자력작용체1(11)과 인력과 척력 반응하는 자력작용체2(12)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력작용체2(12)는 상기 자력작용체1(11)과 대응하는 도어(2)의 일측 부분에 인서트 설치되는 회전축(12a) 단부에 중간부분이 고정 설치되어, 도어(2) 전면의 홈(2a)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60048164A 2006-05-29 2006-05-29 도어의 개폐장치 KR10075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164A KR100759752B1 (ko) 2006-05-29 2006-05-29 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164A KR100759752B1 (ko) 2006-05-29 2006-05-29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752B1 true KR100759752B1 (ko) 2007-09-20

Family

ID=3873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164A KR100759752B1 (ko) 2006-05-29 2006-05-29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75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0120A (en) * 2009-05-05 2010-11-10 Alan Green A magnetic catch device
CN101915043A (zh) * 2010-08-13 2010-12-15 上海市闵行第二中学 门的缓冲装置
CN102390534A (zh) * 2011-09-13 2012-03-28 宁波市鄞州千峰机械科技有限公司 重力式航空机舱防斜滑式高箱锁定机构
WO2016140484A1 (en) * 2015-03-02 2016-09-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720064B1 (ko) * 2015-12-16 2017-03-27 채형원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JP2021524728A (ja) * 2018-03-16 2021-09-16 エッペンドル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磁気閉鎖機構を有する実験室試料を保管するための実験室キャビネット装置
KR20220002035U (ko) * 2021-02-10 2022-08-17 송영민 적층형 케이지
WO2022177419A1 (ko) * 2021-02-22 2022-08-25 주식회사 노바랩스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325U (ko) * 1976-02-19 1977-08-22
JPS52154320U (ko) * 1976-05-19 1977-11-22
JPS5829759U (ja) * 1981-08-20 1983-02-26 船倉 浩二 省力磁石掛金
JPH04185880A (ja) * 1990-11-21 1992-07-02 Nifco Inc 開閉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325U (ko) * 1976-02-19 1977-08-22
JPS52154320U (ko) * 1976-05-19 1977-11-22
JPS5829759U (ja) * 1981-08-20 1983-02-26 船倉 浩二 省力磁石掛金
JPH04185880A (ja) * 1990-11-21 1992-07-02 Nifco Inc 開閉具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0120A (en) * 2009-05-05 2010-11-10 Alan Green A magnetic catch device
CN101915043A (zh) * 2010-08-13 2010-12-15 上海市闵行第二中学 门的缓冲装置
CN102390534A (zh) * 2011-09-13 2012-03-28 宁波市鄞州千峰机械科技有限公司 重力式航空机舱防斜滑式高箱锁定机构
AU2016226778B2 (en) * 2015-03-02 2018-08-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60106295A (ko) * 2015-03-02 2016-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6140484A1 (en) * 2015-03-02 2016-09-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265599A4 (en) * 2015-03-02 2018-10-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119220B2 (en) 2015-03-02 2018-11-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316088B1 (ko) * 2015-03-02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20064B1 (ko) * 2015-12-16 2017-03-27 채형원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JP2021524728A (ja) * 2018-03-16 2021-09-16 エッペンドル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磁気閉鎖機構を有する実験室試料を保管するための実験室キャビネット装置
JP7069325B2 (ja) 2018-03-16 2022-05-17 エッペンドル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 磁気閉鎖機構を有する実験室試料を保管するための実験室キャビネット装置
KR20220002035U (ko) * 2021-02-10 2022-08-17 송영민 적층형 케이지
KR200497210Y1 (ko) 2021-02-10 2023-08-30 송영민 적층형 케이지
WO2022177419A1 (ko) * 2021-02-22 2022-08-25 주식회사 노바랩스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752B1 (ko) 도어의 개폐장치
US7942458B2 (en) Magnetic gate latch
US7647081B2 (en) Electronic device sliding mechanism
US6588811B1 (en) Reversible magnetic door stop/latch
WO2007041187A3 (en) Electromechanical latching rela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0563444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refrigerator
JP2006009367A (ja) キャビネット
US20200224455A1 (en) Magnetic lock
JP2006141797A (ja) 引出し装置
CN208831744U (zh) 直驱风门机构
EP3004763B1 (en) Door opening-closing assembly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ame
KR100771842B1 (ko) 도어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문화재 전시용 전진 슬라이드진열장 및 도어 계폐 제어방법
JPH10184173A (ja) 自動半開き蝶番
JPH11107608A (ja) 扉開閉機構
JP4518124B2 (ja) 引戸
JP2018127872A (ja) マグネットキャッチ
JPH08151850A (ja) 家具の扉装置
WO2016038844A1 (ja) 操作アシスト装置及び操作アシスト装置付き構造体
KR200481499Y1 (ko)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DE202004019166U1 (de) Magnetverschluß- und Öffner zugleich
CN210666948U (zh) 门开关机构和设有该门开关机构的彩票终端
CN207660400U (zh) 电子门锁
KR100797402B1 (ko) 개폐가 쉬운 기밀 유지용 도어
KR19990037510U (ko) 도어개폐장치
KR100528990B1 (ko) 문의 열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