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990B1 - 문의 열림장치 - Google Patents

문의 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990B1
KR100528990B1 KR10-2003-0028723A KR20030028723A KR100528990B1 KR 100528990 B1 KR100528990 B1 KR 100528990B1 KR 20030028723 A KR20030028723 A KR 20030028723A KR 100528990 B1 KR100528990 B1 KR 100528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ctuator
plate
forc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114A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2003-002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9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의 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에 몸체를 부착하고 상기 몸체에 작동체를 회전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하며, 상기 작동체의 일단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타단은 바퀴를 매개로 하여 밀판에 접촉시키되, 축으로부터 손잡이까지의 길이를 축으로부터 바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므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잡고 적은 힘으로 작동체를 회전시켜도 바퀴는 큰 힘으로 밀판을 밀어 문이 쉽게 열리도록 하는 문의 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의 열림장치{An apparatus which facilitates opening door}
본 발명은 문의 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에 몸체를 부착하고 상기 몸체에 작동체를 회전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하며, 상기 작동체의 일단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타단은 바퀴를 매개로 하여 밀판에 접촉시키되, 축으로부터 손잡이까지의 길이를 축으로부터 바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므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잡고 적은 힘으로 작동체를 회전시켜도 바퀴는 큰 힘으로 밀판을 밀어 문이 쉽게 열리도록 하는 문의 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은 미닫이문과 여닫이문으로 구분하는데, 미닫이문은 하단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부합하는 레일이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레일을 따라 문이 움직이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고, 여닫이문은 문의 일측이 축으로 문틀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축을 따라 문이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미닫이문의 경우 문틀에는 눈썹(미닫이문이 닫혔을 때 외풍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닫이문과 밀착되어 있는 부분)이 설치되어 있어 이 눈썹이 외풍을 막기위해 미닫이문과 단단히 밀착접촉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열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였으며,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여닫이 문의 경우 자석의 힘으로 문이 닫혀 있으므로 문을 열기 위해서는 문과 문틀에 구비된 자석의 인력(引力)보다 더 큰 힘을 가하여야만 했다.
또한, 문이 조금 열려 움직이는 상태에서는 미닫이문의 경우 미닫이문이 눈썹에서 떨어져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고, 여닫이문의 경우 자석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자석의 인력이 감소하므로 닫힌 문을 열때보다 적은 힘을 가하여도 문을 열 수가 있었다.
더욱이, 현대 주택의 베란다 등에 사용되는 미닫이문이나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여닫이문은 그 크기가 거대해지고 중량 또한 많이 나가는 추세이므로 닫혀있는 문을 최초로 움직이게 하는데 큰 힘을 필요로 하여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문을 열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최초로 움직이게 하는데 드는 힘을 줄여 적은 힘으로 문을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에 몸체를 설치하고, 상기 몸체에 작동체를 회전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하며, 상기 작동체의 일단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타단은 바퀴를 매개로 하여 밀판에 접촉시키되, 축으로부터 손잡이까지의 길이를 축으로부터 바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므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잡고 적은 힘을 가하여 작동체를 회전시켜도 밀판은 큰 힘으로 문틀을 밀어 문이 쉽게 열리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 문의 열림장치는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문(1)(1')에 몸체(3)(3')를 설치하고 문틀(2)(2')에 마찰판(5)(5')을 부착하며, 상기 몸체(3)(3')에 작동체(4)(4')를 회전가능하도록 축(8)(8')으로 결합하고, 상기 작동체(4)(4')의 일단에는 손잡이(6)(6')를 형성하며 타단은 바퀴(7)(7')를 매개로 하여 밀판(11)(11')에 접촉시켜 사용자가 손잡이(6)(6')를 잡고 작동체(4)(4')를 회전시키면 밀판(11)(11')이 마찰판(5)(5')을 밀면서 반작용에 의해 문(1)(1')이 열리도록 되어 있는데, 축(8)(8')으로부터 손잡이(6)(6')까지의 길이(D)(D')가 축(8)(8')으로부터 바퀴(7)(7')까지의 길이(d)(d')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작동체(4)(4')를 회전시켜도 밀판(11)(11')이 큰 힘으로 마찰판(5)(5')을 밀어 문(1)(1')을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 문의 열림장치를 미닫이문(1)에 적용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미닫이문(1)에 작동체(4)가 구비된 몸체(3)를 설치하고, 이에 대항하는 문틀(2)에 마찰판(5)을 부착하여 형성된다.
몸체(3)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정면에 작동체(4)가 설치되는 수용홈(9)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의 좌측면(13)에는 밀판(11)이 삽입되는 가이드 통로(12)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체(4)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미닫이문(1)이 쉽게 열리도록 하는 것으로 ""형으로 되어 있고, 회전가능하도록 축(8)으로 몸체(3)에 결합되어 있으며, 작동체(4)의 일단에는 손잡이(6)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밀판(11)에 부착된 바퀴(7)에 접촉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6)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작동체(4)에서 축(8)으로부터 손잡이(6)까지의 길이(D)가 축(8)으로부터 바퀴(7)까지의 길이(d)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손잡이(6)에 적은 힘을 가해도 바퀴(7)에는 큰 힘이 가해지게 된다.
밀판(11)은 가이드 통로(12)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며, 일측부에는 바퀴(7)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바퀴(7)는 작동체(4)의 일단에 접촉되어 작동체(4)에 가해진 힘을 밀판(11)에 전달하고 동시에 작동체(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며, 상기 밀판(11)과 수용홈의 우측면(14) 사이에는 스프링(10)이 개재되어 있어 작동체(4)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밀판(11)이 항상 수용홈의 우측면(14)에 접촉되어 있도록 탄력을 제공한다.
문틀(2)에 부착되어 있는 마찰판(5)은 금속 등의 단단한 재질로 되어 있어 밀판(11)이 마찰판(5)을 밀때 문틀(2)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작동체(4)가 회전하면서 밀판(11)을 미는 힘을 반작용 법칙에 의해 미닫이문(1)에 전달하여 미닫이문(1)이 열리도록 하는 것으로, 작동체(4)를 회전시키면 작동체(4)의 일단에 접촉되어 있는 밀판(11)의 바퀴(7)에 힘이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밀판(11)이 움직이면서 마찰판(5)을 밀어 미닫이문(1)이 열리게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미닫이문(1)이 닫혀 있으면 작동체(4)의 일단은 바퀴(7)에 접촉되어 있고, 밀판(11)은 가이드 통로(12)에 삽입된 상태로 수용홈의 우측면(14)과 문틀(2)의 마찰판(5)에 접촉되어 있는데, 미닫이문(1)을 열기 위해 손잡이(6)를 잡고 작동체(4)를 문쪽(1)으로 회전시키면 바퀴(7)에 힘이 가해져 밀판(11)을 밀게 되고, 이 힘에 의해서 밀판(11)은 마찰판(5)을 밀어 미닫이문(1)이 열리게 된다.
이때, 축(8)으로부터 손잡이(6)까지의 거리(D)가 축(8)으로부터 바퀴(7)까지의 길이(d)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손잡이(6)를 회전시켜도 바퀴(7)에 큰 힘이 가해지게 되어 미닫이문(1)이 쉽게 열리게 되고, 또 정지마찰계수에 비해 운동마찰계수가 더 작으므로 한번 움직이기 시작한 미닫이문(1)은 적은 힘을 들여도 계속 움직이게 된다.
한편, 손잡이(6)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밀판(11)은 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밀판(11)이 가이드 통로(12)에 완전히 삽입되어 수용홈의 우측면(14)에 접촉되어 있는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미닫이문(1)을 닫기 위해서는 문(1)을 열때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바퀴(7)에 닿아있던 작동체(4)의 일단이 수용홈의 우측면(14)에 접촉하면서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가해진 힘은 모두 축(8)에 전달되어 미닫이문(1)이 닫히게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본 발명 문의 열림장치를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여닫이문(1')에 적용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문(1')에 작동체(4')가 구비된 몸체(3')를 설치하고, 이에 대항하는 문틀(2')에 마찰판(5')을 부착하여 형성한다.
몸체(2')는 도 6 및 도 9와 같이 작동체(4')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9')이 정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9')에 가로방향으로 작동체(4')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의 바닥면(18) 중앙에는 밀판(11')의 돌출부(16)가 삽입되는 가이드 통로(12')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체(4')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여닫이문(1')이 쉽게 열리도록 하는 것으로 ""형으로 되어 있고, 회전가능하도록 축(8')으로 몸체(3')에 결합되어 있으며, 작동체(4')의 일단에는 손잡이(6')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바퀴(7')가 부착되어 있는데, 손잡이(6')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고, 바퀴(7')는 작동체(4')가 회전하며 밀판(11')을 밀 때 작동체(4')가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밀판(11')에 접촉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작동체(4')에서 축(8')으로부터 손잡이(6')까지의 길이(D')가 축(8')으로부터 바퀴(7')까지의 길이(d')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손잡이(6')에 적은 힘을 가해도 바퀴(7')에는 큰 힘이 가해지게 된다.
밀판(11')은 접촉부(17)의 배면에 돌출부(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접촉부(17)는 정면이 바퀴(7')와 접촉하여 힘을 받도록 평평하게 되어 있고 이 접촉부(17)의 배면과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18) 사이에는 스프링(10')이 개재되어 있어 작동체(4')가 힘을 받지 않는 동안에는 밀판(11')이 스프링(10')의 힘으로 밀려올라와 작동체(4')의 축(8')으로부터 바퀴(7')까지의 부분이 스토퍼(15)에 닿아있는 위치에 있도록 탄력을 제공하며, 상기 돌출부(16)는 가이드 통로(12')에 삽입되어 움직임을 안내받는다.
스토퍼(15)는 작동체(4')의 초기 위치를 지정하여 주는 것으로 상기 몸체(3')의 수용홈(9')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작동체(4')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스프링(10')의 탄력으로 작동체(4')는 항상 스토퍼(15)에 접촉되어 위치하게 된다.
문틀(2')에 부착되어 있는 마찰판(5')은 금속 등의 단단한 재질로 되어 있어 문틀(2')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작동체(4')가 회전하면서 밀판(11')을 미는 힘을 반작용 법칙에 의해 여닫이문(1')에 전달하여 여닫이문(1')이 열리도록 하는 것으로, 작동체(4')를 회전시키면 작동체(4')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바퀴(7')에 힘이 전달되고, 이 힘으로 밀판(11')이 움직이면서 돌출부(16)가 마찰판(5')을 밀게되며 반작용에 의해 여닫이문(1')이 열리게 된다.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여닫이문(1')이 닫혀 있으면 작동체(4')의 바퀴(7')는 밀판(11')의 접촉부(17)에 접촉되어 있고, 밀판(11')의 돌출부(16)는 가이드 통로(12')에 삽입되어 끝단이 마찰판(5')에 닿아 있는데, 여닫이문(1')을 열기 위해 손잡이(6')를 잡고 위로 회전시키면 바퀴(7')에 힘이 가해져 밀판(11')을 밀게 되고, 이 힘으로 밀판(11')이 움직이면서 밀판(11')의 돌출부(16)가 마찰판(5')을 밀어 여닫이문(1')이 열리게 된다.
이때, 축(8')으로부터 손잡이(6')까지의 길이(D')가 축(8')으로부터 바퀴(7')까지의 길이(d')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손잡이(6')를 회전시켜도 바퀴(7')에 큰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여닫이문(1')이 쉽게 열리게 되고, 또 조금 열린 여닫이문(1')은 여닫이문(1')과 문틀(2')에 구비된 자석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자력이 약해지므로 적은 힘을 들여도 완전히 열 수 있다.
한편, 여닫이문(1')을 열기 위해 손잡이(6')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밀판(11')은 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작동체(4')가 스토퍼(15)와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체(4')에 형성된 바퀴(7')에 밀판(11')의 접촉부(17)가 접촉되어 있는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여닫이문(1')을 닫기 위해서는 문(1')을 열때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작동체(4')가 스토퍼(15)에 의해 회전하지 않으며 가해진 힘이 모두 축(8)에 전달되어 여닫이문(1')이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은 문을 열 때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손잡이에 적은 힘을 가하여도 마찰판에 큰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 쉽게 문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움직이기 시작한 문은 적은 힘을 가하여도 계속 움직이게 되므로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문을 용이하게 열 수 있으며, 장치가 간단하여 설치에 어려움이 없고 시공비가 적게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 문의 열림장치가 미닫이문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에서 작동체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는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미닫이문이 닫혀있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문의 열림장치를 작동하여 미닫이문이 일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 문의 열림장치가 여닫이문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일부확대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 문의 열림장치를 조립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의 여닫이문이 닫혀있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 문의 열림장치를 작동하여 여닫이문이 일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7의 주요부분 확대도이다.
도 9B는 도 8의 주요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닫이문 1' : 여닫이문
2, 2' : 문틀 3, 3' : 몸체
4, 4' : 작동체 5, 5' : 마찰판
6, 6' : 손잡이 7, 7' : 바퀴
8, 8' : 축 9, 9' : 수용홈
10, 10' : 스프링 11, 11' : 밀판
12, 12' : 가이드 통로 13 : 수용홈의 좌측면
14 : 수용홈의 우측면 15 : 스토퍼(stopper)
16 : 돌출부 17 : 접촉부
18 : 수용홈의 바닥면
D, D' : 축으로부터 손잡이까지의 길이
d, d' : 축으로부터 바퀴까지의 길이

Claims (2)

  1. 미닫이문에 작동체가 구비된 몸체가 설치되어 있고 몸체와 마주하는 위치의 문틀에 마찰판이 부착되어 있으며 몸체는 작동체가 설치되는 수용홈과 밀판이 삽입되는 가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체는 회전가능하도록 축으로 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체의 일단은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되 축으로부터 손잡이까지의 길이가 축으로부터 바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에 적은 힘을 가하여도 미닫이문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문의 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3)는 정면에 수용홈(9)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의 좌측면(13)에 가이드통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9)의 내부에는 일측부에 바퀴(7)가 부착되어 있는 밀판(11)이 가이드통로(12)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작동체(4)는 ""형으로 되어 있되 타단은 밀판(11)에 부착된 바퀴(7)에 접촉되어 있고, 밀판(11)과 수용홈의 우측면(14) 사이에 스프링(10)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열림장치.
  2. 삭제
KR10-2003-0028723A 2003-05-06 2003-05-06 문의 열림장치 KR100528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723A KR100528990B1 (ko) 2003-05-06 2003-05-06 문의 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723A KR100528990B1 (ko) 2003-05-06 2003-05-06 문의 열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114A KR20040095114A (ko) 2004-11-12
KR100528990B1 true KR100528990B1 (ko) 2005-11-17

Family

ID=3737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723A KR100528990B1 (ko) 2003-05-06 2003-05-06 문의 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9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114A (ko) 200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8513A1 (zh) 一种门体铰链装置及具有该门体铰链装置的冰箱
US7637543B2 (en) Reversible magnetic door stop/latch
CA2322926A1 (en) Sash lock actuator
JP2001107621A (ja) 鞄 錠
KR101620399B1 (ko) 냉장고
KR100528990B1 (ko) 문의 열림장치
KR20150071572A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5422299B2 (ja) 両開き扉の召し合わせ構造
JP2003095025A (ja) 格納式フック装置
KR20040095115A (ko) 문의 열림장치
JP2809753B2 (ja) 冷蔵庫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JP2020067189A (ja) 貯蔵庫
KR100680380B1 (ko) 도어 체커
KR0139235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100555209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CN219365686U (zh) 一种智能锁离合装置
JP5426466B2 (ja) 戸当り
JP2003214010A (ja) 引戸の開閉装置
CN219509473U (zh) 一种开门器
JPS5838849Y2 (ja) 扉の開閉装置
EP0903458B1 (en) Retaining stop for doors and the like
JP4020542B2 (ja) 引戸の開戸補助装置
CN212105461U (zh) 一种静音锁
KR0139234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