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235Y1 -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235Y1
KR0139235Y1 KR2019960035547U KR19960035547U KR0139235Y1 KR 0139235 Y1 KR0139235 Y1 KR 0139235Y1 KR 2019960035547 U KR2019960035547 U KR 2019960035547U KR 19960035547 U KR19960035547 U KR 19960035547U KR 0139235 Y1 KR0139235 Y1 KR 0139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refrigerator
operating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212U (ko
Inventor
이연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5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235Y1/ko
Priority to JP27484897A priority patent/JP3045983B2/ja
Priority to CN97120077A priority patent/CN1104613C/zh
Priority to US08/955,245 priority patent/US5915805A/en
Publication of KR19980022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핸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냉장고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개방하는 도어(30)가 마련된 냉장고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도어(30)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본체(10)를 밀 수 있도록 상기 도어(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작동축(70), 상기 작동축(70)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축(70)이 상기 본체(10)를 밀 때 본체(10)의 손상과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80), 상기 도어(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작동축(70)의 타단을 밀 수 있도록 돌기(62)를 구비하는 회동부재(60), 상기 회동부재(60)를 회동시키기 위한 도어핸들(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개방장치.

Description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에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핸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저장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실을 갖춘 본체와 본체에 결합된 도어. 그리고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설치된 가스켓을 구비한다.
도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측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는 정면이 개방된 저장실(2)을 갖추고 있고, 도어(3)는 본체(1)의 정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미도시)로 결합되어 저장실(2)을 개폐하며 도어(3)의 배면에는 가스켓(5)이 설치된다. 가스켓(5)은 유연한 고무 재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와 맞닿는 부분에 자석(6)이 내장되어 있어 도어(3)를 닫을 때 도어(3)와 본체(1) 사이를 밀착할수 있게 해준다. 도어(3)의 외부에는 도어핸들(4)이 마련되어있다. 이 도어핸들(4)은 도어(3)에 단순고정되어 도어(3)를 개방할 때 손잡이의 역할을 하여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냉장고는 도어(3)를 닫을 때 도어(3)의 배면 테두리 전면에 걸쳐 설치되며 자석(6)이 내장된 가스켓(5)과 금속 재질인 본체(1)의 정면 테두리가 밀착하여 저장실(2) 내부를 밀폐하는 동시에 자석(6)의 자력으로 인해 도어(3)가 함부로 열리지 못하게 하는 걸쇠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는 도어를 닫을 경우에 도어가 외부 공기를 몰고 폐쇄되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가 압축 상태로 되고, 가스켓에 내장된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도어가 본체에 강하게 밀착되므로 냉장고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핸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장고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5는 도3에서 도어핸들을 당겼을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30 : 도어
33 : 슬라이딩홀 40 : 도어핸들
41 : 슬라이드부 42 : 손잡이부
43 : 결합홈 45 : 틈새
50 : 레버 51 : 결합구
60 : 회동부재 61 : 회전축
62 : 돌기 63 : 후크
70 : 작동축 71 : 축부
72 : 누름판 73 : 탄성복원부
74 : 삽입홈 80 : 완충부재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방하는 도어, 일단이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본체를 밀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작동축, 상기 작동축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축이 상기 본체를 밀 때 본체의 손상과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 상기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작동축의 타단을 밀 수 있도록 돌기를 구비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도어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가 마련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체(10)는 정면이 개방된 저장실(20)을 갖추고 있고, 도어(30)는 본체(10)의 정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미도시)로 결합되어 저장실(20)을 개폐하며 도어(30)의 배면에는 도어(3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스켓(31)이 설치된다. 가스켓(31)은 유연한 고무 재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맞닿는 부분에 자석(32)이 내장되어 있어 도어(30)를 닫을 때 도어(30)와 본체(10) 사이를 밀착할수 있게 해준다.
도3은 본고안의 특징적인 요소인 도어 개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장치는 도어핸들(40)과 결합된 레버(50)의 개구된 상측으로 회전축(61)이 마련된 회동부재(60)의 후크(63)가 삽입되고 상단부에는 회전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돌기(62)와 접촉되는 작동축(70)을 구비하며 도어(30)에는 도어핸들(40)의 슬라이드부(41)와 작동축(70)이 이동하는 슬라이딩홀(33)이 마련된다.
이를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도2의 A부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0)의 상측에는 도어핸들(40)이 마련된다.
이 도어핸들(40)은 도어(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나와 외부의 힘을 도어(30)에 전달하는 손잡이부(42)와 손잡이부(42)에서 연장, 절곡되어 도어(30)의 내부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부(41)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42)의 하측의 안쪽으로는 내부손잡이와 결합되는 결합홈(43)을 구비하여 ㄱ자형상을 갖추게된다.
레버(50)는 하측에 도어핸들(40)의 결합홈(43)에 결합하는 결합구(5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차적인 굴곡을 가지며 이 굴곡으로 마련되며 그 사이로 회동부재(6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45)가 형성된다.
회동부재(60)는 좌우로 회전축(61)을 구비한 원형상에 상측과 하측으로 일부가 연장된 돌기(62)와 후크(63)를 가지며 작동축(70)의 폭을 감싸는 정도의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후크(63)는 도어핸들(40)과 레버(50)의 사이의 틈새(45)로 삽입이 되고 돌기(62)는 작동축(70)의 후면에 형성이 된다.
여기서 돌기(62)가 후크(63)의 회전하는 힘을 회전축(61)을 거쳐 전달받아 작동축(70)으로 전달하여 작동축(70)을 직선왕복운동하게 하는것이다.
작동축(70)은 회동부재(60)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슬라이딩하는 축부(71)와 이에 연장된 끝단에 본체(10)로 부터 도어(30)를 이격시키는 누름판(72)이 일체로 마련되어있다. 이 누름판(72)은 축부(71)보다는 큰 면적을 가지고 있어 많은 힘을 도어(30)에 전달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고, 누름판(72)의 전면에는 안쪽으로 함몰된 삽입홈(74)이 마련된다.
여기에 삽입홈(74)에 대향된 삽입돌기(81)를 가지며 탄력있는 재질로 구성된 완충부재(80)가 마련되어 삽입홈(74)에 삽입되고 그 후면에서 스크류(82)로 체결이 된다. 이 완충부재(80)는 본체(10)로 부터 도어(30)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이격시키는 것으로서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도어와 접촉하는 면의 훼손이나 변형을 막아 줄 수 있는 것이다.
누름판(72)의 후면과 축부(71)의 하측으로는 이 둘을 연결하는 걸림턱(75)이 마련이 되어 작동축(70)이 도어(30)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축부(71)의 타단 즉 회동부재(60)로 부터 힘을 전달받는 쪽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U자의 형태로 본체(10)쪽으로 형성된 탄성복원부(73)가 마련이 된다.
한편 도어(30)의 상측 내부에는 도어핸들(40)의 슬라이드부(41)와 작동축(70)의 축부(71)가 전후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홀(33)이 마련되어 상측으로는 슬라이드부(41)가 삽입이 되고 그 하측으로는 작동측의 축부(71)가 삽입된다. 그리고 도어(30)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좌우로 홈을 가지는 회전축고정부(35)가 마련되어 회동부재(60)의 회전축(61)과 회동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는 도어(30)의 슬라이딩홀(33)에 작동축(70)을 결합하고 그 상측으로는 회전축고정부(35)에 회동부재(60)의 회전축(61)을 삽입, 결합하고, 레버(50)와 도어핸들(40)을 결합시킨다. 이후에 회동부재(60)의 후크(63)를 도어핸들(40)과 레버(50)의 사이로 삽입시킨후 도어핸들(40)의 슬라이드부(41)를 슬라이딩홀(33)로 삽입시켜 결합시킨다.
도5는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 도어(30) 개방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핸들(40)을 도어(30)의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도어핸들(40)과 `이와 결합된 레버(50)가 슬라이딩홀(33)을 타고 도어(3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된다. 이에 따라 레버(50)에 끝단과 접촉하고 있는 회동부재(60)의 후크(63)가 회전축(61)을 중심으로 이동하게됨으로 회전축(61)을 중심으로 반대의 위치에 있는 돌기(62)는 본체(10)쪽으로 회동하며 작동축(70)의 축부(71)를 밀게됨으로써 작동축(70)의 탄성복원부(73)가 눌리며 완충부재(80)가 도어(30)를 밀게되어 도어(30)와 본체(10)는 이격되게된다.
도어(30)를 개방한후에 도어핸들(40)을 놓게되면 눌려있던 작동축(70)의 탄성복원부(73)가 원형으로 돌아오며 도어 개방장치는 도어(30)를 열기전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이상 구성과 작동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도어핸들을 당김으로서 도어핸들의 내측에 있는 작동축이 본체와 도어를 이격시킬 때 작동축에 마련된 완충부재로 인해 작동축이 접촉하는 부분의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이에 접촉하는 본체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방하는 도어가 마련된 냉장고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도어(30)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본체(10)를 밀 수 있도록 상기 도어(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작동축(70), 상기 작동축(70)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축(70)이 상기 본체(10)를 밀 때 본체(10)의 손상과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80), 상기 도어(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작동축(70)의 타단을 밀 수 있도록 돌기(62)를 구비하는 회동부재(60), 상기 회동부재(60)를 회동시키기 위한 도어핸들(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70)의 일단에는 상기 작동축(70)이 이동하여 본체(10)를 밀 때 접촉하는 면적을 늘리기 위한 누름판(72)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72)에는 완충부재(8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
KR2019960035547U 1996-10-25 1996-10-25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0139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547U KR0139235Y1 (ko) 1996-10-25 1996-10-25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JP27484897A JP3045983B2 (ja) 1996-10-25 1997-10-07 冷蔵庫の扉装置
CN97120077A CN1104613C (zh) 1996-10-25 1997-10-13 冰箱门的手柄装置
US08/955,245 US5915805A (en) 1996-10-25 1997-10-21 Door handle assembly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547U KR0139235Y1 (ko) 1996-10-25 1996-10-25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212U KR19980022212U (ko) 1998-07-15
KR0139235Y1 true KR0139235Y1 (ko) 1999-05-15

Family

ID=1947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547U KR0139235Y1 (ko) 1996-10-25 1996-10-25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2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533B1 (ko) * 1999-09-0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핸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533B1 (ko) * 1999-09-0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핸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212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5983B2 (ja) 冷蔵庫の扉装置
USRE48270E1 (en) Opening device for refrigerator
EP3008408B1 (en) Refrigerator
US5988709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refrigerator door
JP3679003B2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EP3008268B1 (en) Fixing device
EP2613114A2 (en)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KR20080100553A (ko)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KR101620399B1 (ko) 냉장고
KR0139235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EP1176375B1 (en) Handle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door
KR0139234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0139233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100839899B1 (ko) 냉장고용 손잡이
KR100607678B1 (ko) 냉장고
KR0182734B1 (ko) 냉장고
KR101624556B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0150604B1 (ko) 냉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KR200166856Y1 (ko) 양방향으로개폐가능한냉장고도어
KR20110029514A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100420346B1 (ko) 냉장고 도어의 개폐장치
US20230272961A1 (en) Vacuum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KR20060055986A (ko) 냉장고의 개폐장치
CN115573627A (zh) 锁组件、电器设备及电器设备的柜体或门体
KR100528990B1 (ko) 문의 열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