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556B1 -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556B1
KR101624556B1 KR1020090090641A KR20090090641A KR101624556B1 KR 101624556 B1 KR101624556 B1 KR 101624556B1 KR 1020090090641 A KR1020090090641 A KR 1020090090641A KR 20090090641 A KR20090090641 A KR 20090090641A KR 101624556 B1 KR101624556 B1 KR 101624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refrigerator
grip por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900A (ko
Inventor
신정호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5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55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의 도어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결합부와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서 돌출되어 냉장고의 본체 전면을 누르는 가압부를 갖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가 돌출되어 상기 냉장고의 본체 전면의 일부를 누르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가 제공된다.
냉장고, 도어, 가스켓, 푸시

Description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DOOR OPENER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의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를 보다 손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그 용도 및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분류할 수 있으나, 어느 경우든 저장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이러한 본체를 외기에 대해서 밀폐할 수 있도록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갖는다.
이러한 도어는, 일측이 본체의 전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 개방되는 형태의 회전식 도어와,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식 도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도어와 본체의 접촉면 사이에서 냉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와 도어 사이에는 가스켓이 설치되며, 이러한 가스켓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가 본체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즉, 상기 가스켓의 내부에 자석을 내장하여, 자력을 이용하여 가스켓이 냉장 고의 본체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상기 도어는 본체와 충분한 정도로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로 인해서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는 그만큼 더 큰 힘을 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냉장고의 내부 온도로 인해서 본체의 내부 공간과 외부와의 사이에는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차는 도어의 개방을 더욱 어렵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냉장고의 도어에 도어의 개방을 보조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가 부착된 형태의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그 일 예로서, 유럽특허 EP1174668호에서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가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손잡이의 일측 단부와 접하며 손잡이 회전시에 도어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푸시 로드를 구비한 도어 개방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도 1은 상기 EP1174668호에 개시된 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10)의 전면에 도어(20)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10)와 도어(20)의 사이에 가스켓(30)이 위치한다. 한편,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22)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20)의 단부에 손잡이(22)의 단부와 접하는 푸시 로드(24)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푸시 로드(24)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26)이 상기 도어와 푸시 로드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1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2)를 당기면, 손잡이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손잡이(22)의 단부와 접하고 있던 푸시 로드(24)가 상기 본체(10)측으로 돌출되면서 도어(20)를 본체(10)로부터 밀어내게 된다. 이로 인해서, 가스켓(30)이 본체(1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 적은 힘을 가하여도 도어를 손쉽게 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예에서는 상기 푸시 로드(24)가 도어(20)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길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변형에 취약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손잡이(22)의 회전 운동을 푸시 로드(24)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링크 구조를 갖고 있어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장고의 도어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단순한 구조를 갖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냉장고의 도어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결합부와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서 돌출되어 냉장고의 본체 전면을 누르는 가압부를 갖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가 돌출되어 상기 냉장고의 본체 전면의 일부를 누르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별도의 링크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와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 누름 부재가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서 돌출되면서 냉장고 본체의 전면을 누르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도어 개방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도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 상기 누름 부재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고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부재의 가압부는 상기 손잡이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의 본체 전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부재의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 부재는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도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힌지에 결합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고정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의 양단부에 상기 누름 부재가 각각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고정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누름 부재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양 단부에는 제1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누름 부재의 가압부는 상기 제1고정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 설치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설치부에 상기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설치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는 회전 로드; 및 상기 회전 로드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하면서 압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회전 로드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단부측에 누름 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와 함께 이동하는 누름 부재로 인해서 별도의 링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는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형태에 한하지 않으며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도어 및 서랍식 도어를 갖는 임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00)는 상부에 냉동실을, 하부에 냉장실을 갖는 본체(10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2)의 전면에는 각각 냉동실 도어(104) 및 냉장실 도어(106)가 힌지(10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104) 및 냉장실 도어(106)에는 각각 도어 개방장치(110, 120)가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두 개의 도어 개방장치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냉동실 도어(104)에 장착된 도어 개방장치(11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110)는 상기 냉장고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파지부(112)를 갖는다. 상기 파지부(112)는 손잡이의 일부를 구성하며, 사용자가 도어 개방시에 파지부(112)를 통해서 도어에 개방 모멘트를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지부(112)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고정부(114a, 114b)가 결합된다.
상기 제1 고정부(114a)는 상기 파지부(112)의 상단부 부근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그 단부에는 누름 부재(118)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누름 부재(118)의 일측단부는 상기 냉장고 본체(102)의 전면을 가압하는 가압부(118a)로서 기능하게 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고정부(114a)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8b)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118a)는 상기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의 전면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114a)는 상기 도어(104)의 측면에 힌지(116)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힌지(116)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파지부를 도어와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리턴 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고정부(114b)는 상기 도어와 접하고 있을 뿐 결합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힌지(116)를 중심으로 회전시에 상기 제2 고정부(114b)는 상기 도어의 표면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제2 고정부(114b)에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접하는 스토퍼(115)가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가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상기 파지부(112)가 회전되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 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파지부(1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누름 부재(118)의 가압부(118a)의 상단부가 파지부가 회전하기 전의 상태에 비해서 상기 냉장고 본체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도어가 본체로부터 멀어지면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부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즉,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지점)과 상기 힌지 사이의 거리가 상기 힌지와 상기 가압부(118a) 사이의 거리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로 인해서 상기 가압부(118a)가 상기 도어를 미는 힘이 증폭된다. 이로 인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반드시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의 측면에 위치할 필요는 없으며, 도어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파지부는 냉장고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누름 부재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누름 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 부재(128)는 전체적으로 원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부(114a)와 결합되는 결합부(128b)보다 가압부(128a)가 상기 힌지(116)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파지부(112)가 상기 힌지(116)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부(128a)의 회전 반경이 제1 실시예에 비해 증가되므로 도어의 후면측 으로 돌출되는 거리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파지부를 적게 회전시켜도 도어가 개방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예는 상기 파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제1 고정부(11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부(114a)의 단부에 상기 누름 부재(1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의 사이에 힌지 고정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고정부(130)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지부(112)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누름 부재(118)가 돌출되면서 도어를 개방시키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힌지 고정부(130)의 상부를 잡아당기면 하부에 위치하는 누름 부재(118)가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힌지 고정부(130)의 위치는 두 개의 제1 고정부의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한쪽으로 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파지부(112)는 상기 제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지만, 케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점에서 제3 실시예와 차이 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200)는 커버(210) 및 박스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210)에는 두 개의 가이드 홈(212)이 커버(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체(220)의 내부에는 박스체(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로드(230)가 힌지(232)에 의해 박스체(2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 로드(230)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고정부(114a)과 고정되기 위한 결합홀(23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234)을 통해서 상기 제1 고정부(114a) 및 상기 회전 로드(230)가 볼트(240)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212)은 상기 볼트(2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20)의 내벽에는 상기 회전 로드(230)가 회전면서 압축되는 리턴 스프링(236)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236)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 로드(23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어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200)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2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측면에도 상술한 가이드 홈(212)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9는 상기 파지부(112)의 하부를 사용자가 잡아당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12)를 사용자가 잡고 회전 시키면 상기 케이스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 로 드(230)가 힌지(23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누름 부재(118)를 도어로부터 돌출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개방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제1 실시예가 장착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제3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제4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3)

  1. 파지가 가능하게 일 측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 측에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는 힌지를 구비하여 냉장고의 도어의 전면에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서 돌출되어 냉장고의 본체 전면을 누르는 가압부를 갖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가 돌출되어 상기 냉장고의 본체 전면의 일부를 누르고,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 설치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설치부에 상기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 설치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힌지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는 회전 로드; 및
    상기 회전 로드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지부의 양 단부에 각각 돌출되는 제1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누름 부재의 가압부는 상기 각 제1고정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하면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지부의 양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 로드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단부측에 상기 누름 부재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1020090090641A 2009-09-24 2009-09-24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101624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41A KR101624556B1 (ko) 2009-09-24 2009-09-24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41A KR101624556B1 (ko) 2009-09-24 2009-09-24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900A KR20110032900A (ko) 2011-03-30
KR101624556B1 true KR101624556B1 (ko) 2016-05-26

Family

ID=4393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641A KR101624556B1 (ko) 2009-09-24 2009-09-24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51B1 (ko) * 2014-12-31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900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1021B2 (en) Apparatus for opening a door of a climatic test cabinet, an incubator, an environmental simulation chamber or a freezer or the like
US20060226750A1 (en)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KR100895874B1 (ko) 도어록
KR20080100553A (ko)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KR101620399B1 (ko) 냉장고
TWI316597B (ko)
CN101356336B (zh) 门致动辅助装置
KR101624556B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CN113039337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US20080122330A1 (en) Cabinet with guiding assembly
KR101592311B1 (ko) 냉장고
KR10047900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JP6643178B2 (ja) ロック解除機構
KR0139235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101297721B1 (ko) 냉장고
KR101036478B1 (ko) 냉장고
EP2245399B1 (en) A cooling device
JP2004068595A (ja) 扉開閉機構
JP2011080303A (ja) プッシュラッチ構造、扉の開閉構造及び扉の開閉構造に用いられるプッシュラッチ装置
JP4303897B2 (ja) 引戸錠のラッチング状態解除機構
KR101531514B1 (ko) 도어개방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053623B1 (ko) 냉장고
JP2592070Y2 (ja) 扉用ハンドル
JP2721135B2 (ja) 家具などの開閉体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