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77419A1 -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77419A1
WO2022177419A1 PCT/KR2022/095038 KR2022095038W WO2022177419A1 WO 2022177419 A1 WO2022177419 A1 WO 2022177419A1 KR 2022095038 W KR2022095038 W KR 2022095038W WO 2022177419 A1 WO2022177419 A1 WO 20221774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permanent magnet
vehicle door
d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950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춘택
황보상무
장동봉
오화영
이승재
김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바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바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바랩스
Publication of WO20221774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774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emergency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door emergency opening and closing device.
  • This electric vehicl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mass-produced vehicles such as electronic hidden type door handle (handle) and falcon wing, and unlike general passenger cars, there is no door handle to open the door. When you touch the part with the door handle, it opens automatically.
  • a separate battery is in charge of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interior lighting.
  • it is designed only by an electric switch method without a mechanical conne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oor cannot be opened from the outside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and it is difficult to open the door from the insid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switch equipped with a permanent magnet in the door of the vehicle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using magnetic force, thereby providing the vehicle in an emergenc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escape from a vehicle by opening a door inside the vehicle through a simple operation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 the vehicle door emergency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switching unit that is built into the door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tha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based on the magnetic force of a permanent magnet. ;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perform an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in a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in a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witching unit is built in a do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ehicle door emergency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ncludes a switching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30 .
  • the switching unit 110 is built in the door of the vehicle, has a permanent magnet, and may include a switching element tha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based on a magnetic force generated as an external magnetic material approaches.
  • the external magnetic material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may be a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a mobile phone or other small home appliance.
  • a magnetic component having a magnetic force of about 1000 Gauss is built-in in the case of cell phones or smart phones owned by most people in recent years, such a cell phone or smart phone is used as an external magnetic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 the switching unit 110 basically maintains a locked state, and when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by an external magnetic body approaching the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the switching unit 110, the lock is released to open and close the vehicle door. A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
  • the driver or passenger puts his or her cell phone to the portion where the switching unit 110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oor of the vehicle and unlocks the cell phone. By rotating the , the lock of the switching unit 110 may be released. To this end, a portion in which the switching unit 110 is disposed may be separately displayed on the door of the vehicle.
  •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vehicle door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 the driver or passenger can easily escape from the vehicle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vehicle in an emergency.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witch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witching unit 110 may include a cap unit 111 , a manipulation unit 113 , and a control unit 115 .
  • the cap portion 111 may be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117 in surface contact.
  • the permanent magnet 117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cap part 111 , or the permanent magnet 117 may be provid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side of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formed by the cap part 111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 the operation unit 113 rotates together as the cap unit 111 rotates,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to be in a locked state, and is in a locked state by the permanent magnet 117 provided in the cap unit 111 and an external magnetic material.
  • the lock is released by rot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at the time of locking by the generated magnetic force (gravity).
  • the manipulation unit 113 may rotate in the right direction or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rotating direction is not limited.
  • the control unit 115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and when a switching signal is input by the switching element as the lock of the operation unit 113 is released, a control comm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of the vehicle.
  •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ermanent magnet 117 is provided in the switch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p portion 111 of the switch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form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S), a permanent magnet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S) (S) 117) can be provided.
  • the permanent magnet 117 may be provided in surfac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in the switch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p part 111 of the switching unit 110 does not form a separate accommodating spac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formed in a cap shape.
  • a permanent magnet 117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111 to be in surface contact. However, this also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and the permanent magnet 117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art 111 .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witch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in a door of a vehicle.
  • the switching unit 110 is completely embedded in the door 10 of the vehicle, and the cap unit 111 of the switching unit 110 is disposed to face the inside of the vehicle. . Accordingly, the driver or passenger can release the lock by rotating the operation unit 113 us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thereby in a state where the driver or passenger touches the magnetic material on the portion where the cap portion 111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river or passenger to easily and manually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vehicle through a device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without the need for complicated manipulation, thereby enabling quick escape in case of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 내장되며, 영구자석에 의한 자력을 기반으로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본 발명은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가 아파트 주차장 벽면에 충돌한 뒤 불이 나 한 명이 숨지고 두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전기차에 대한 안전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이 전기자동차는 전자식 히든 타입 도어 핸들(손잡이)이나 팔콘 윙 등 일반 양산차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고, 일반 승용차와 달리 문을 여는 도어 핸들이 없다. 도어 핸들이 있는 부분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열리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서는 차량 구동에 사용되는 메인 배터리 시스템 외에 별도 배터리가 문 개폐, 실내조명 등을 담당한다. 그러나 기계적인 연결 없이 전기 스위치 방식으로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 공급이 끊기면 외부에서는 문을 열 수 없고, 내부에서도 문을 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상 시에 차량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간편한 조작을 통해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서 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 내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제어스위치를 내장하여 자력을 이용하여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 시에 차량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간편한 조작을 통해 차량 내부에서 도어를 열어 차량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 내장되며, 영구자석에 의한 자력을 기반으로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도어 내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제어스위치를 내장하여 자력을 이용하여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 시에 차량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간편한 조작을 통해 차량 내부에서 도어를 열어 차량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가 차량의 도어 내부에 내장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100)는 스위칭부(11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스위칭부(110)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 내장되며,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있어 외부의 자성체가 근접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력을 기반으로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자성체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휴대폰이나 기타 소형 가전제품에 구비된 영구자석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최근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의 경우 1000 가우스 정도의 자력을 갖는 자성 성분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이 본 발명에서의 외부의 자성체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10)는 기본적으로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부의 자성체가 스위칭부(110) 내에 구비된 영구자석에 근접함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면, 잠금이 해제되어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에 사고 등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자신의 휴대폰을 해당 차량의 도어 가운데 스위칭부(110)가 위치하는 부분에 가져다 대고, 잠금 해제를 위하여 자신의 휴대폰을 회전시킴에 따라 스위칭부(11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의 도어에는 스위칭부(110)가 배치된 부분이 별도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스위칭부(110)에 의해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으면, 그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비상시에 차량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차량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1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스위칭부(11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110)는 캡부(111), 조작부(113) 및 제어유닛(115)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캡부(111)에는 영구자석(117)이 면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다. 캡부(111)의 외부면측에 영구자석(117)이 접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캡부(111)가 형성하는 일정 수용공간의 내부에 영구자석(117)이 면 접촉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캡부(111)에 구비된 영구자석(117)에 외부의 자성체가 접근하면, 외부의 자성체와 영구자석(117) 간에 발생하는 인력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서로 간에 인력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외부의 자성체를 회전시키면 외부의 자성체와 영구자석(117) 간의 인력으로 말미암아 캡부(111)에 구비된 영구자석(117)도 외부의 자성체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캡부(111)가 외부의 자성체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작부(113)는 캡부(11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여 잠금 상태가 되고, 캡부(111)에 구비된 영구자석(117)과 외부의 자성체에 의해 발생한 자력(인력)에 의해 잠금 시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여 잠금이 해제된다.
조작부(113)는 우측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도 있고, 좌측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도 있으며, 그 회전하는 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유닛(115)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조작부(113)의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스위칭 소자에 의해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 명령을 차량의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110)에 영구자석(117)이 구비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110)의 캡부(111)는 일정 수용공간(S)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수용공간(S)의 내부에 영구자석(117)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영구자석(117)은 그 수용공간(S)의 바닥면 일측에 면접촉 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110)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110)의 캡부(111)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있지 않으며, 캡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 캡부(111)의 하부면 일측에는 영구자석(117)이 면접촉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영구자석(117)이 캡부(111)의 상부면 일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110)가 차량의 도어 내부에 내장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110)는 차량의 도어(10) 내부에 완전히 내장되되, 스위칭부(110)의 캡부(111)가 차량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그 캡부(111)가 위치하는 부분에 자성체를 갖다 댄 상태에서 그로 인해 발생한 자력을 이용하여 조작부(113)를 회전시킴으로써,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복잡한 조작을 할 필요없이 자성체를 구비하는 기기 등을 통해 간편하게 수동으로 차량의 도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비상 시에 빠른 탈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차량의 도어 내부에 내장되며, 영구자석에 의한 자력을 기반으로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영구자석이 면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는 캡부;
    상기 캡부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여 잠금 상태가 되고, 상기 영구자석과 외부의 자성체 간에 의해 발생한 인력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에 의해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영구자석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 일측에 상기 영구자석이 면접촉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차량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부면은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측에는 상기 영구자석이 면접촉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PCT/KR2022/095038 2021-02-22 2022-02-22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WO20221774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513 2021-02-22
KR1020210023513A KR102403510B1 (ko) 2021-02-22 2021-02-22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419A1 true WO2022177419A1 (ko) 2022-08-25

Family

ID=8178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95038 WO2022177419A1 (ko) 2021-02-22 2022-02-22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3510B1 (ko)
WO (1) WO202217741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129B1 (ko) * 1995-11-22 1998-04-24 김태구 자동차도어 비상열림장치
KR0176362B1 (ko) * 1996-04-17 1999-04-01 양재신 자동차의 비상탈출용 도어 열림장치
KR100759752B1 (ko) * 2006-05-29 2007-09-20 홍순업 도어의 개폐장치
KR20080004979A (ko) * 2006-07-07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의 자동 개방장치 및 그 방법
US20140300116A1 (en) * 2013-04-03 2014-10-09 Alexander Hellwig System For Interlocking and Unlocking a Sliding Do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129B1 (ko) * 1995-11-22 1998-04-24 김태구 자동차도어 비상열림장치
KR0176362B1 (ko) * 1996-04-17 1999-04-01 양재신 자동차의 비상탈출용 도어 열림장치
KR100759752B1 (ko) * 2006-05-29 2007-09-20 홍순업 도어의 개폐장치
KR20080004979A (ko) * 2006-07-07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의 자동 개방장치 및 그 방법
US20140300116A1 (en) * 2013-04-03 2014-10-09 Alexander Hellwig System For Interlocking and Unlocking a Sliding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510B1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69122B (zh) 电动车辆的充电端口控制装置
CN105083041B (zh) 电气充电接口的锁止装置的控制
US8053922B2 (en) Clos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CN207587042U (zh) 一种基于ZigBee网关的智能门锁系统
CN109162544A (zh) 一种无人驾驶地铁列车的车门电解锁控制电路
CN108515864A (zh) 一种汽车充电舱控制系统、汽车及充电设备
US9750143B2 (en) Control system including a stationary emergency stop button and a mobile emergency stop button
CN206477747U (zh) 门锁自动化控制系统
WO2022177419A1 (ko) 차량 도어 비상 개폐 장치
CN108643713A (zh) 一种无源锁结构、无源锁具及其控制系统和方法
CN207920283U (zh) 一种家庭用可隐藏的独立式门锁
US20220136289A1 (en) Vehicle door opening assembly
CN205541038U (zh) 一种新型智能电子密码锁
CN217841229U (zh) 用于车门的锁定装置
CN206000275U (zh) 智能护锁器及护锁系统
CN206480376U (zh) 用于门锁的语音识别装置
CN213927894U (zh) 智能锁芯
WO2012053685A1 (ko)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CN104494562B (zh) 独立式车门锁监管装置
CN217841191U (zh) 用于车门的锁定装置
CN108979317A (zh) 多功能低耗节能型电子锁
CN112252851A (zh) 智能锁芯
JPS58164876A (ja) スライド式オ−トドアにおける安全装置
WO2022075619A1 (ko) 잠금장치 구동 방법
CN206571289U (zh) 电子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566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566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