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341B1 -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 Google Patents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341B1
KR100928341B1 KR1020090004593A KR20090004593A KR100928341B1 KR 100928341 B1 KR100928341 B1 KR 100928341B1 KR 1020090004593 A KR1020090004593 A KR 1020090004593A KR 20090004593 A KR20090004593 A KR 20090004593A KR 100928341 B1 KR100928341 B1 KR 10092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frame
lifting
members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898A (ko
Inventor
김두희
Original Assignee
김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희 filed Critical 김두희
Priority to KR102009000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341B1/ko
Priority to PCT/KR2009/000302 priority patent/WO2009093835A2/ko
Publication of KR2009008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근 및 철골 등의 자재를 인양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인양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러스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안정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인양틀의 자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 일체로 제작된 한 쌍의 트러스 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가 마주보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러스 부재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의 양쪽 끝에 설치된 틀 유지부재; 및 상기 트러스 부재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틀 유지부재와 함께 운반 및 인양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며 인양 후에는 분리되는 상부 인양부재를 포함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이 제공된다.
인양틀, 크레인, 트러스

Description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FRAME FOR LIFTING UP CONSTRUCTION MEMBER USING TRUSS}
본 발명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근 및 철골 등의 자재를 인양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인양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러스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안정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인양틀의 자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시공시 중량물인 철근 및 철골 등의 자재를 인양하는 수단으로 크레인이 이용되고 있으나 인양되는 철근 및 철골 등은 개별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상차 및 하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크레인의 작업 능률을 감안하여 인양되는 자재의 최적 중량을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제로 철골의 경우 크기와 중량에 관계없이 한개 또는 2개씩 크레인으로 인양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근래들어 철근을 공장에서 가공하여 현장에서는 별도의 가공 및 절단 작업 없이 조립만 하는 시공방식이 일반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철근의 운반 및 인양작업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계에 따라 공장에서 가공된 철근이 현장에서의 조립작업 생산성 향상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본원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래브 시공방법에 대한 대한민국 특허 제10-0736383호 및 선조립 보의 시공방법에 대한 대한민국 특허 제10-0736282호를 제안한 바 있고 이에 대한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또한 본원출원인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철근 및 철골 등의 자재를 소요처와 크레인의 작업성을 감안하여 분류한 후 별도로 제작된 틀에 넣어 상차 및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 인양틀을 인양한다면 해결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특히 자재가 넣어지는 틀의 자중이 커지면 틀 자체의 운반 및 인양에 따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러스 부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철근 및 철골 등의 자재를 소요처와 크레인의 작업성을 감안하여 분류한 상태에서 보관하고, 상차 및 하차는 물론 크레인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한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공장 또는 현장의 지상가공 후 철근을 소요처별로 분류 적재하여 인양함으로써 소요처에서 중량물인 철근의 운반시 작업자의 운반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선조립된 보 철근을 동시에 다수 인양함으로써 작업자 및 크레인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인양된 인양틀을 수직으로 세워 기둥 및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선조립 철근을 동시에 다수 인양함으로써 작업자 및 크레인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인양틀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 일체로 제작된 한 쌍의 트러스 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가 마주보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러스 부재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의 양쪽 끝에 설치된 틀 유지부재; 및 상기 트러스 부재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틀 유지부재와 함께 운반 및 인양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며 인양 후에는 분리되는 상부 인양부재를 포함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상부 인양부재는 트러스 부재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들 사이에 지지부재들과 직교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부재와 함께 사각틀을 만드는 다수의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상부 인양부재는 트러스 부재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와, 교차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들의 양쪽 끝에 연결 설치된 보강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부재, 틀 유지부재 및 받침부재는 각 부재의 접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부재에 내측으로 통공을 갖는 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양쪽에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에 축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부재 양쪽 하부에는 바퀴 부재를 설치하여서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트러스 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는 철망 또는 메탈라스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부재의 결합부위에 내측으로 통공을 갖는 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틀 유지부재, 받침부재 및 지지부재의 양쪽에 형성된 결합부는 상기 통공에 축부재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부재의 폭에 대응되는 틀 유지부재, 받침부재 및 지지부재의 길이는 받침부재의 간격에 비하여 짧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틀 유지부재 중 상부의 결합구조를 축부재에 의한 틀 유지부재의 회전방향이 수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는 회전이 구속되는 보조 받침부재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틀 유지부재를 사각틀 모양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사각틀 모양의 틀 유지부재의 모서리에는 서로 교차하는 보강 와이어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2개의 골조부재와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로 이루어진 보조부재가 상기 트러스 부재의 양쪽에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조부재의 한쪽 면을 이루는 골조 부재는 한 쌍의 수직부재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조부재의 한 쌍의 수직부재 사이에는 다수의 보조 수평재를 결합하거나 판재를 결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틀 유지부재 사이에는 다수의 보조 수직재 또는 판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틀 유지부재와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의 트러스 부재의 상현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틀 유지부재와 고정부재는 인장재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부재가 올려놓게 되면 바닥과 공간이 형성되는 이격다리를 갖는 받침틀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인양틀은 트러스 부재를 이용하여 자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장에서 가공된 철근 및 철골 등을 소요처 별로 보관된 상태에서 상,하차 및 크레인을 이용한 인양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재를 개별적으로 운반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시간이 단축되며, 기둥 및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선조립된 철근 구조물의 경우 인양틀과 함께 간편하게 세워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러스 구조를 이용하여 인양틀 자체의 자중을 최소화 함으로써 별도의 운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인양틀을 운반할 수 있게 한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현장에서의 철근배근시 철근을 소요처별로 분류 적재함으로써 중량물인 철근의 운반시 작업자의 운반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 기둥 및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선조립 철근을 동시에 다수 인양함으로써 작업 자 및 크레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장 생산품인 철근트러스 일체형 거푸집의 현장작업시, 지상에서 조립하여 다수를 적층하여 인양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와 크레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소작업을 감소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인양틀은 운반 및 인양하고자 하는 철근이나 철골의 길이, 운송차량의 폭원 및 크레인의 양중 능력 등을 고려하여 한 쌍의 트러스 부재의 간격 및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크레인용 인양틀의 몇가지 규격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a)에 도시된 규격의 크레인용 인양틀을 가지고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인양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인양틀은, 각각 일체로 제작된 한 쌍의 트러스 부재(10); 상기 트러스 부재(10)가 마주보게 세워진 상태에서 양쪽 끝에 설치된 틀 유지부재(20); 상기 트러스 부재(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30); 및 상기 트러스 부재(10)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트러스 부재(10)의 상부에 조립되는 다수의 지지부재(41)와 지지부재(41)들 사이에 지지부재(41)들과 직교하 도록 결합되어 지지부재(41)와 함께 사각틀을 만드는 다수의 연결부재(42)로 구성되는 상부 인양부재(4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트러스 부재(10), 틀 유지부재(20) 및 받침부재(30)는 각 부재의 접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부 인양부재(40)는 축부재(16)와 체결부재(17)에 의해 트러스 부재(10)에 대해 분해와 조립이 자유롭도록 구성된다.
트러스 부재(10)는 상현재(11), 하현재(12) 및 상현재(11)와 하현재(12) 사이에 경사부재(13)가 일체로 설치된 공지의 워렌 트러스 형식을 적용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3a에 도시된 프랫 트러스, 도 3b에 도시된 하우 트러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수직부재가 있는 워렌 트러스 방식의 트러스 구조가 본 발명의 트러스 부재(10)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틀 유지부재(20)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세워진 한 쌍의 트러스 부재(10)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상, 하부에 트러스 부재(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용접으로 접합되어 트러스 부재(10)와 받침부재(30)에 의해 형성된 일면이 개방된 구조의 형태를 양단부가 결합된 폐쇄형 구조의 형태로 구성한다.
받침부재(30)는 한 쌍의 트러스 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트러스 부재(1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철근 또는 철골이 놓여지는 받침 역할을 한다. 받침부재(30)의 상면에는 스크래치 작업을 하거나 미끄럼 방지용 러버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인양부재(40)는 지지부재(41)와 연결부재(42)로 구성되어 트러스 부 재(10)에 탈부착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인양부재(40)는 틀 유지부재(20)와 함께 운반 및 인양시 인양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며 인양 후에는 분리되어 자재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트러스 부재(10)에는 내측으로 통공(14)을 갖는 돌부(15)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재(41)의 양쪽에 형성된 결합부(411)는 상기 통공(14)에 축부재(16)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며 축부재(16)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7)를 분리함으로써 상부 인양부재(40)를 트러스 부재(10)와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인양틀에는 상부 인양부재(40)가 결합되기 전에 철근 및 철골 등의 자재를 받침부재(30) 위에 놓고 지지부재(41)의 결합부(411)를 트러스 부재(10)의 돌부(15)에 축부재(16)와 체결부재(17)를 이용해 결합하면 본 실시예의 인양틀에 철근 및 철골 등이 소요처 별로 보관되는 것으로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재가 보관된 인양틀을 현장으로 운반하기 위해 차량에 적재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차량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b)는 차량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렇게 자재가 넣어진 상태에서 보관된 인양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인양용 와이어(52)를 걸어 상하차 및 크레인을 이용한 인양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트러스 부재(10)는 받침부재(30)를 통해 가해지는 자재 중량을 지지하는 역활을 한다. 그리고 상부 인양부재(40)의 지지부재(41)와 연결부재(42)의 접점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브레이스 부재(43)을 더 설치하여 상부 인양부재(40)의 형태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트러스 부재(10) 양쪽 하부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부재(50)를 설치하여 자재가 실린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b에 나타낸 것처럼, 한 쌍의 트러스 부재(10)와 받침부재(30) 사이에는, 즉 인양틀의 측면에 저면에 철망 또는 메탈라스(60)를 결합하여 인양틀에 적재되는 자재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인양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인양틀은 각각 일체로 제작된 한 쌍의 트러스 부재(10); 상기 트러스 부재(10)가 마주보게 세워진 상태에서 양쪽 끝에 설치된 틀 유지부재(20); 상기 트러스 부재(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30); 상기 트러스 부재(10)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트러스 부재(1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는 다수의 지지부재(41)와 교차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41)들의 양쪽 끝에 연결 설치된 보강부재(44)로 구성되는 상부 인양부재(40a)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인양틀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인양틀과 상부 인양부재의 구성이 상이할 뿐 나머지 트러스 부재(10), 틀 유지부재(20) 및 받침부재(3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인양부재(40a)는 트러스 부재(1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는 다수의 지지부재(41)와 교차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41)들의 양쪽 끝에 연결 설치된 보강부재(44)로 구성된다.
트러스 부재(10)에는 내측으로 통공(14)을 갖는 돌부(15)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재(41)의 양쪽에 형성된 결합부(411)는 상기 통공(14)에 축부재(16)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며 축부재(16)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7)를 분리함으로써 상부 인양부재(40a)를 트러스 부재(10)와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보강부재(44)는 인양틀의 수평내력을 향상시켜 수평변형이나 수평비틀림을 작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와이어, 형강, 강봉 또는 강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보강부재를 와이어로 구성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와이어(44)의 양쪽에 턴버클(441)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41)에서 축부재(16)가 결합되는 결합부(411)에 상기 턴버클(441) 볼트가 끼워지는 결합핀(412)을 설치하여 턴버클(441) 볼트를 끼우면 된다. 형강 등으로 보강부재를 구성한 경우에는 결합부(411)에 용접 또는 볼트로 접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인양틀에는 상부 인양부재(40a)가 결합되기 전에 철근 및 철골 등의 자재를 받침부재(30) 위에 놓고 지지부재(41)의 결합부(411)를 트러스 부재(10)의 돌부(15)에 축부재(16)와 체결부재(17)를 이용해 결합하고 두 개의 보강부재(44)가 교차되도록 턴버클(441)을 이용하여 결합핀(412)에 연결 설치하면 본 실시예의 인양틀에 철근 및 철골 등이 소요처 별로 보관된다.
크레인에 의해 인양된 본 발명의 인양틀로부터 자재를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 인양부재(40a)를 트러스 부재(10)로부터 분리해야 하는데, 지지부재(41)가 축부재(16)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한쪽에 결합된 축부재(16)만 분해하면 지지부재(41)를 나머지 한쪽의 축부재(16)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인양 틀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자재를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인양틀을 보관시에 접을 수 있도록 한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트러스 부재(10)의 결합부위에 내측으로 통공(14)을 갖는 돌부(15)가 돌출 형성하고, 틀 유지부재(20), 받침부재(30) 및 지지부재(41)의 양쪽에 형성된 결합부(21)(31)(411)는 통공(14)에 축부재(16)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한 것이다.
상기 트러스 부재(10)의 폭에 대응되는 틀 유지부재(20), 받침부재(30) 및 지지부재(41)의 길이(L1)는 받침부재(30)의 간격(L2)에 비하여 짧게 이루어진 경우 완전히 접힐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인양틀은 트러스 부재(10)의 양쪽 끝에 틀 유지부재(20)의 결합부(21)를 축부재(16)로 체결부재(17)가 조여지게 결합하여 일정한 형태가 되도록 한 후 받침부재(30)들의 결합부(31)를 하현재(12)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철근 및 철골 등의 자재를 받침부재(30) 위에 놓고 지지부재(41)의 결합부(411)를 트러스 부재(10)에 축부재(16)로 결합한 후 두 개의 보강부재(44)가 교차되도록 턴버클(441)을 이용하여 결합핀(412)에 연결 설치하면 본 발명의 인양틀에 철근 및 철골 등이 소요처 별로 보관되는 것으로 자재의 보관 및 상,하차와 인양 작업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17)의 조임상태를 헐겁게 조절하고 상부 인양부재(40)를 분해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16)를 중심으로 틀유 지부재(20)를 포함한 받침부재(30)가 회전하여 일자로 접혀짐으로써 인양틀 자체의 보관이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비록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인양부재(40)가 지지부재(41)와 보강부재(44)로 구성된 실시예의 변형으로써 인양틀이 접히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실시예와 같이 상부 인양부재(40)가 지지부재(41)와 연결부재(42)로 구성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체결부재(17)의 조임상태를 헐겁게 조절하고 상부 인양부재(40)를 분리하면 축부재(16)를 중심으로 틀유지부재(20)를 포함한 받침부재(30)가 회전하여 일자로 접혀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인양틀을 보관시에 접을 수 있도록 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것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트러스 부재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 있어 받침부재(30) 사이에 수평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보조 받침부재(30a)를 더 설치한 것이다. 회전이 고정되는 보조 받침부재(30a)는 트러스 부재(10)의 결합부위에 내측으로 통공을 갖는 돌출편(121)이 형성되고, 받침부재(30a) 양쪽에 단부판(32)을 결합하고 단부판(32)에 내측으로 통공을 갖는 결합편(33)을 결합시켜 통공에 축부재(16)를 결합하고 체결부재(17)를 체결한 것이다.
이렇게 보조 받침부재(30a)를 수평으로 회전이 구속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인양틀의 조립작업이 보다 간편해 지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인양틀을 접고자 할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이 구속되는 보조 받침부재(30a)를 분리해 내고 회전이 자유로운 받침부재(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부재(17)를 느슨하게 하여 축부재(16)를 중심으로 틀유지부재(20)를 포함한 받침부 재(30)가 회전하여 일자로 접혀지게 된다.
도 12는 축부재(16)에 의한 틀 유지부재(20)의 회전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시 말해 트러스 부재(10)의 상현재(11)에 결합되는 틀 유지부재의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하고 하현재(12)에 결합되는 틀 유지부재의 회전방향을 수평으로 함으로써 체결부재(17)를 조여주지 않아도 트러스 부재(10)와 틀 유지부재(20)만으로도 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는 트러스 부재(10)와 틀 유지부재(20)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틀 형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받침부재(30)와 지지부재(4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a,13b는 틀 유지부재(20)를 사각틀로 구성하여 인양틀 자체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써,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모양의 틀 유지부재(2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부재(16)로 트러스 부재(10)에 결합하거나,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모양의 틀 유지부재(20)의 상,하부 중 한 곳을 축부재(16)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데, 틀 유지부재(20)의 상,하부 중 한 곳을 축부재(16)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경우 틀 유지부재(20)를 분해한 상태에서 인양틀을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사각틀 모양의 틀 유지부재(20)의 모서리에는 서로 교차하는 보강 와이어(53)가 설치 되어 있다. 이 보강 와이어는 일종의 수직 브레이스로 기능하는 것으로 그 재료는 반드시 와이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형강, 강봉 또는 강관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인양틀 한 쪽에 설치되어 인양 후 수직으로 세웠을 때 벽체 또는 기둥에 사용되는 선조립 철근 구조물을 받쳐주는 보조부재(70)를 보인 도면이다.
이것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2개의 골조부재(71,72)와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73)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 쪽 면을 이루는 골조부재(72)는 한 쌍의 수직부재(73)에 대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하여 선조립 철근의 수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골조부재(71,72)는 도시한 바와 브레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브레이스의 설치가 설치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귀잡이 보를 설치하는 것과 같이 골조부재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보강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73) 사이에는 다수의 보조 수평재(731)를 결합하여 선조립 철근 구조물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73) 사이에 판재를 결합하여 개방된 면을 막히도록 보조부재(7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양틀 한 쪽에 보조부재(70)를 결합하고 선조립된 철근을 한 쌍의 수직부재(73)와 다수의 보조 수평재(731)들로 이루어진 쪽에 인접하게 올려 놓은 후 지지부재(41)와 인양 와이어(52)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부재(10)의 한 쪽을 들어 수직으로 세운 후 인양한 다음 선조립 철근의 수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 인양부재를 제거하고 다수의 선조립 철근을 소요처에서 조립하면 된다.
도 16은 보조부재(7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부재로 이루어지는 보조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순히 고정부재(74)를 설치하고 고정부재(74)와 틀 유지부재(20)를 와이어(741) 또는 강봉 등의 인장재로 연결하여 보조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74)는 틀 유지부재(20)와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의 트러스 부재(10)의 상현재(11)들을 서로 연결한다. 고정부재(74)는 한 쌍의 트러스 부재(10)의 상현재(11)들에 볼트를 이용해 결합된다. 그리고 선조립 철근 구조물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틀 유지부재(20)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 수직재(211)를 더 결합하거나 판재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인양틀을 소요처로 인양한 후 이격다리(81)를 갖는 받침틀(80) 위에 올려 놓은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써, 상기 이격다리(81)는 받침틀(80)과 바닥 거푸집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바닥의 철근 배근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역활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틀의 다양한 규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3a,3b,3c는 본 발명의 트러스 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양틀을 차량에 적재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양틀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인양틀에 바퀴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인양틀에 메탈라스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인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인양틀을 접는 방법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을 보인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인양틀을 접는 방법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트러스 부재와 틀 유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실시예시도이다.
도 13a,13b는 본 발명의 틀 유지부재를 사각틀로 구성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선조립철근용 보조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보조부재를 사용하여 선조립철근을 인양후 세워주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선조립철근용 보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인양틀을 받침틀 위에 올려놓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Claims (18)

  1. 각각 일체로 제작된 한 쌍의 트러스 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가 마주보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러스 부재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의 양쪽 끝에 설치된 틀 유지부재; 및
    상기 트러스 부재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틀 유지부재와 함께 운반 및 인양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며 인양 후에는 분리되는 상부 인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양부재는 트러스 부재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들 사이에 지지부재들과 직교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부재와 함께 사각틀을 만드는 다수의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트러스 부재의 내측으로 통공을 갖는 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에 축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2. 삭제
  3. 각각 일체로 제작된 한 쌍의 트러스 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가 마주보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러스 부재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의 양쪽 끝에 설치된 틀 유지부재; 및
    상기 트러스 부재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틀 유지부재와 함께 운반 및 인양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며 인양 후에는 분리되는 상부 인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양부재는 트러스 부재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와, 교차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들의 양쪽 끝에 연결 설치된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에 내측으로 통공을 갖는 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양쪽에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에 축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 틀 유지부재 및 받침부재는 각 부재의 접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 양쪽 하부에는 바퀴 부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러스 부재와 받침부재에는 철망 또는 메탈라스가 결합되어 인양틀의 적재물 낙하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8. 각각 일체로 제작된 한 쌍의 트러스 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가 마주보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러스 부재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
    상기 트러스 부재의 양쪽 끝에 설치된 틀 유지부재; 및
    상기 트러스 부재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틀 유지부재와 함께 운반 및 인양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며 인양 후에는 분리되는 상부 인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러스 부재의 결합부위에 내측으로 통공을 갖는 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틀 유지부재, 받침부재, 지지부재의 양쪽에 형성된 결합부는 상기 통공에 축부재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의 폭에 대응되는 틀 유지부재, 받침부재 및 지지부재의 길이는 받침부재의 간격에 비하여 짧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틀 유지부재 중 상부의 결합구조를 축부재에 의한 틀 유지부재의 회전방향이 수직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는 회전이 구속되는 보조 받침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12.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 유지부재를 사각틀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각틀 모양의 틀 유지부재의 모서리에는 서로 교차하는 보강 와이어가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14.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2개의 골조부재와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로 이루어진 보조부재가 상기 트러스 부재의 양쪽에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의 한쪽 면을 이루는 골조 부재는 한 쌍의 수직부재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 사이에는 다수의 보조 수평재를 결합하거나 판재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17.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 유지부재 사이에는 다수의 보조 수직재 또는 판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틀 유지부재와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의 트러스 부재의 상현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틀 유지부재와 고정부재는 인장재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18.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가 올려놓게 되면 바닥과 공간이 형성되는 이격다리를 갖는 받침틀을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KR1020090004593A 2008-01-22 2009-01-20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KR100928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93A KR100928341B1 (ko) 2008-01-22 2009-01-20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PCT/KR2009/000302 WO2009093835A2 (ko) 2008-01-22 2009-01-20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74 2008-01-22
KR20080006574 2008-01-22
KR1020090004593A KR100928341B1 (ko) 2008-01-22 2009-01-20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898A KR20090080898A (ko) 2009-07-27
KR100928341B1 true KR100928341B1 (ko) 2009-11-26

Family

ID=4090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593A KR100928341B1 (ko) 2008-01-22 2009-01-20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8341B1 (ko)
WO (1) WO20090938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0525B4 (de) * 2016-02-10 2024-02-29 Liebherr-Werk Ehingen Gmbh Gitterstückelement und Gitterstück für Kranausleger
CN112897298A (zh) * 2021-01-13 2021-06-04 太原理工大学 提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78A (ja) 1997-10-15 1999-04-27 Souwa Koji:Kk 板状製品のための搬送用ラック
JP2005075363A (ja) * 2003-08-28 2005-03-24 Daifuku Co Ltd 段積み可能な搬送用ボックスパレット
KR100789301B1 (ko) * 2007-01-23 2007-12-28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장척물 운반용 파렛트
KR100821067B1 (ko) * 2007-02-15 2008-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상형 프로파일용 파레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176A (ja) * 1995-01-30 1996-08-13 Nippo Kensetsu:Kk 吊り具
AUPQ780900A0 (en) * 2000-05-29 2000-06-22 Becfab Equipment Pty Ltd Article transf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78A (ja) 1997-10-15 1999-04-27 Souwa Koji:Kk 板状製品のための搬送用ラック
JP2005075363A (ja) * 2003-08-28 2005-03-24 Daifuku Co Ltd 段積み可能な搬送用ボックスパレット
KR100789301B1 (ko) * 2007-01-23 2007-12-28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장척물 운반용 파렛트
KR100821067B1 (ko) * 2007-02-15 2008-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상형 프로파일용 파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898A (ko) 2009-07-27
WO2009093835A2 (ko) 2009-07-30
WO2009093835A3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599B1 (ko) 접철방식의 조립식 컨테이너
KR102354929B1 (ko) 골조 부재를 위한 컨테이너
US4901650A (en) Industrial pallet having upward extending support posts and locking means
KR20100077853A (ko) 원통형화물의 보관랙
KR100928341B1 (ko)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US20030188495A1 (en) Suspended jig for roof construction
JP7297344B1 (ja) 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構成部材ユニット、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搬送方法、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構築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解体方法
AU2011202176B2 (en) Bearer Arrangement
KR20100095714A (ko) 원통형화물의 보관랙
JPH0144421Y2 (ko)
JP3138112U (ja) 屋根ユニット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用金物
KR100948447B1 (ko) 트러스 상판 해체 장치 및 방법
JP5759857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構造
JP5322216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躯体施工法
JP5406335B2 (ja) パイプベント構造
JP7292750B2 (ja) セントルの組立・解体方法
JP2002347763A (ja) 仮設構造物輸送コンテナ及び仮設構造物輸送方法
JP5071697B1 (ja) パイプベント構造
JP7388883B2 (ja) クレーンの基礎構造部
EP1111143B1 (en) Lifting of horizontally cast on-site wall panels
JP2009002035A (ja) 折畳み可能な構台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JP2542018Y2 (ja) 積上式仮設支持枠の端部支持枠
JPH0745710Y2 (ja) パネル工法によるユニット構造体用補強部材
JP2021123865A (ja) パネル積載ラック及びパネル施工方法
JPH0672487B2 (ja) モジュール式足場プラットホームとこれに用いるトラスフレーム構成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