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051B1 -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 Google Patents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051B1
KR100928051B1 KR1020080135345A KR20080135345A KR100928051B1 KR 100928051 B1 KR100928051 B1 KR 100928051B1 KR 1020080135345 A KR1020080135345 A KR 1020080135345A KR 20080135345 A KR20080135345 A KR 20080135345A KR 100928051 B1 KR100928051 B1 KR 100928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uel
supply pipe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일석
Original Assignee
백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일석 filed Critical 백일석
Priority to KR102008013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02M27/045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by permanent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1/00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 F02B51/04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involving electricity or magnet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100)는, 네오디뮴자석으로 구성된 자력발생부(112); 및 내열성부재로서, 내연기관의 연료공급관(1)의 상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네오디뮴자석(112)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형상의 하우징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에서 연료토출구로의 방향으로 연료가 진행하는 방향으로갈수록 상기 네오디뮴자석이 중복되어 상부로 적층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방향으로 자력이 점차증가하므로 연료의 미립화성능이 비용대비 효율면에서 증가한다.

Description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An apparatus for enhancing fuel-efficiency of internal-combustion engine using neodymium magn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는 도 1의 연료효율증가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연료효율증가장치(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연료효율증가장치(300)의 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연료효율증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된 자석구조를 이용하여 연료 분쇄 성능이 향상된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연료효율증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엔진에 대해 연료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중 일부는 자석을 이용하여 연료를 연소하기 쉬운 상태로 변환시키는 특성을 가진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소62-121855(1987.6.3)에 기술된 연료절감장치는 오일탱크의 연료배출구에 영구자석으로 감싸여진 케이싱이 부착되고 상기 케이싱의 오일통로로 연료를 송입하여 자석의 반발자장으로 연료를 미립화하였다. 그러나, 1000 가우스(gauss)정도의 일반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연료를 미립화하는 것은 엔진에서 연료의 연소효과를 크게 개선하지 못할 뿐 아니라 상기 일본특개소의 장치는 연료의 흐름이 간섭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영구자석은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 자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주위의 온도는 섭씨 100도 이상인데 일반적인 영구자석은 섭씨 80도 이상에서 자력이 감쇠되기 때문에, 일반 영구자석은 연료 분해성능이 급격히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온도에도 자력이 감쇠되지 않으며, 자력이 일정하게 유지될뿐 아니라 연료흐름이 간섭되지 않으며, 연료미립화 효율이 증가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100)에 있어서, 네오디뮴자석으로 구성된 자력발생부(112); 및 내열성부재로서, 내연기관의 연료공급관(1)의 상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네오디뮴자석(112)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형상의 하우징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에서 연료토출구로의 방향으로 연료가 진행하는 방향으로갈수록 상기 네오디뮴자석이 중복되어 상부로 적층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력발생부(112)는 장방형의 판상의 네오디뮴자석이고, 상기 하우징부(114)는, 상기 연료공급관(1)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면에 상기 연료공급관의 표면에 대응되도록 곡면형상의 만입부(118)가 형성된 상부하우징(110); 및 상기 상부하우징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상기 상부하우징(11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연료공급관(1)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상기 네오디뮴자석은 동일한 크기의 네오디뮴자석이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내에서 상기 연료공급관방향에 대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력발생부(310)는 중공의 원통형의 네오디뮴자석이고, 상기 하우징부(320)는, 중공(419)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이며 상기 네오디뮴자석을 내부에 포함하는 제1실린더(310)로서, 일단이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방향으로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연료토출구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419)에 상기 연료공급관(1)이 삽입된 제1실린더(410); 중공(429)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이며 상기 네오디뮴자석을 내부에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만입부(427)를 포함하는 제2실린더(320)로서, 상기 제2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만입부(427)에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이 상기 연료토출구방향으로 배치된 제2실린더(420); 및 중공(439)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이며 상기 네오디뮴자석을 내부에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만입부(437)를 포함하는 제3실린더(330)로서, 상기 제3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만입부(437)에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실린더의 타단이 상기 연료토출구방향으로 배치된 제3실린더(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실린더의 일단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3실린더의 일단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실린더(420)에 포함되는 최외각에 있는 네오디뮴자석은 제2실린더의 만입부(427)의 외곽에 형성되고, 제2실린더의 외곽 길이(L22)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3실린더(430)에 포함되는 최외각에 있는 네오디뮴자석은 제3실린더의 만입부(437)의 외곽에 형성되고, 제3실린더의 외곽 길이(L32)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는 도 1의 연료효율증가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효율증가장치(100)는 자력발생부(112) 및 하우징부(114)를 포함한다.
자력발생부(112)는 장방형의 판상형상의 네오디뮴자석이다. 네오디뮴자석은 Nd-Fe-B, 즉 네오디뮴-철-붕소로 이루어져 있는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자력을 가지는 자석으로서, 주 자성 상은 Nd2Fe14B 이고, 여기에 보통 자기적 성질과 온도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Co, Al, Ga 등의 미량원소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제조방법은 주로 소결법(소결자석)과 급냉응고법(수지자석)으로 분류된다. 강력한 자기적특성을 가지며 큐리에 온도가 섭씨 310 내지 340도로서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환경에도 자력이 쉽게 상실되지 않는다(아래 표 1 참조).
(표 1)
큐리에온도 310~340도
밀도 7.4~7.5g/cm2
경도 Hv600
온도계수 -0.1~0.12%/섭씨도
Recoil 투자율 1.1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석의 구성성분은 Nd(네오디뮴) 28Wt%, Fe(철)67.42Wt%, B(붕소)1.08wt, Dy(디스프로슘) 2.8wt%, 기타(Al 외)0.7wt 이다.
본 발명에서, 자력발생부는 연료저장소에서 연료토출구방향으로 갈수록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즉 네오디뮴자석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갈수록 1층->2층->3층...으로 적층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로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자석들은 서로 반대극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로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자석들은 동일한 극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동일극이 발생시키는 척력으로 인해 제품 제조가 용이하지 않음을 방지하기 위함이도, 서로 반대극이 발생시키는 인력으로 인해 자력발생방향으로 자력감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우징부(114)는 내열성부재로 형성된 부재로서 자력발생부(112)를 외부에서 둘러싸는 형상이다. 내열성부재는 섭씨 30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도 2a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력발생부(112)는 연료저장소에서 연료토출구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네오디뮴자석이 적층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부(114)도 적층된 형상을 가진다. 가장 바람직한 형상은 도 1 과 같이 계단형으로 적층된 3중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자력발생부 및 하우징부는 연료공급관(1)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연료효율증가장치(100)는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연료공급관(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20)의 내부에 상부자력발생부(112) 및 하부자력발생부(122)가 삽입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자력발생부(112,122)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토출구방향으로 적층되며 서로 마주본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하우징은 결합수단(3)에 의해 연료공급관에 묶여짐으로써 연료공급관(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3)는 통상 '타이'라고 불리우는 합성수지형 노끈이다. 본 발명은 연료공급관의 외부에서 고정되어 연료입자(2)를 분해하기 때문에 연료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20)의 하부 표면에는 만입부(118)가 형성된다. 만입부(118)는 연료공급관의 외부표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원형이며, 연료공급관에 상부 및 하부하우징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만입되어진 형상이다.
또한, 자력발생부(112,122)는 동일한 크기의 네오디뮴자석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통일된 크기의 네오디뮨자석이 연료저장소에서 연료토출구방향으로 제1층에서 제3층까지 순서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층효과로 인한 자력증가효과를 규칙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자재 규격의 통일화로 제품단가를 감소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료공급관의 지경은 12 내지 25이며, 이 경우 2500 내지 3500가우스의 자석이 차례대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료공급관의 직경이 12 내지 25mm 에는 연료인입측에 총 2500 내지 3500 가우스의 자석을 배치하고, 중간측에 총 4000 내지 4900 가우스가 되도록 배치하고, 연료 토출측에 4500 내지 5500 가우스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험치는 자석의 겹침으로 인해 상쇄되는 자력을 감안하여 적절한 가우스의 범위를 결정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다.
내연기관에서 연료(2)는 연료저장소(in)에서 연료토출구(out)로 연료공급관(1)을 따라 진행한다. 연료공급관(1)을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부(110,120)의 내부에 있는 자력발생부(112,122)는 자력을 발생시키며, 이 자력은 연료를 더욱 미립화한다. 자력이 내연기관의 연료를 미립화하는 원리는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자력을 연료저장소에서 연료토출구 즉 연료가 미립화되는 단계에 따라 자력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첫 단계에서 미립화된 연료는 동일크기의 자력으로는 쉽게 미립화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단계에서는 좀더 큰 자력을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미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고 첨부터 큰 자력을 사용하는 것은 미립화의 한계 때문에 비용대비 효율적이지 않다. 연료는 연료공급관을 일정속도 이상으로 흘러가야하고 이 때문에 자력이 크더라도 연료입자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에 연료가 미립화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네오디뮴자석은 고가이기 때문에 자재의 사용 효율은 매우중요하다. 본원에서는 점차적으로 자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비용대비 효율적인 연료 미립화성능을 달성하였다.
본 출원인의 실험결과 동일한 첫 단계에서 미립화되는 비율은 50%정도에 불과했다. 이 실험은 미립화된 분자를 정확히 측정한 값은 아니지만 첫단계의 자력만 가했을 때의 연료효율을 3단계를 적층해서 가했을 때의 연료효율에 대해 비교한 값으로 추정한 값이기 때문에 연료 미립화정도의 추정값으로 어느정도 사용가능하다.
도 2b에서 자력 m1 및 m2는 연료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할수록 단계적으로 증가됨으로 인해 연료 미립화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더욱이 이는 최소한의 자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연료효율증가장치(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연료효율증가장치(300)의 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효율증가장치(300)는 자력발생부(310) 및 하우징부(320)를 포함하는 것은 동일하나, 첫째 자력발생부가 장방형이 아니라 원통형이라는 점, 및 둘째 하우징부는 계단식이 아니라 서로 동일한 중심을 가지지만 직경이 서로 다른 원통형이며, 또한 제1 내지 제3실린더(410,420,430)를 포함하는 형상인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료효율증가장치(300)의 자력발생부(310)는 원통형의 네오디뮴자석(412,422,424,432,434,436)으로 형성된다. 즉 원통형의 네오디뮴자석이 제1 내지 제3실린더(410,420,430)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하우징부(320)는 제1 내지 제3실린더(410,420,430)를 포함한다.
제1실린더(410)는 중공(419)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원통형의 네오디뮴자석이 내부에 삽입된다. 제1실린더(410)의 일단이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방향으로 배치되고 반대측 타단이 연료토출구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419)에 연료공급관(1)이 삽입됨으로써 연료공급관에 고정된다.
제2실린더(420)는 중공(429)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역시 원통형의 네오디뮴자석이 내부에 삽입된다. 제2실린더의 일단에는 만입부(427)이 형성되어 있다. 만입부(427)는 제2실린더(420)의 일단에서 상기 제1실린더(410)의 타단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제2실린더(420)의 일단이 상기 만입부(427)에 상기 제1실런더(410)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420)의 타단이 상기 연료토출구방향으로 배치된다.
제3실린더(430)는 중공(439)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역시 원통형의 네오디뮴자석이 내부에 삽입된다. 제3실린더(430)의 일단에는 역시 만입부(437)이 형성되어 있다. 만입부(437)는 제2실린더(420)의 타단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실린더(430)는 제3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만입부(437)에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실린더의 타단이 상기 연료토출구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첫째 자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증가함으로써 연료공급관에 가해지는 자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연료미립화 성능이 항샹되며, 둘째 3개의 실린더가 연료공급관이 중공에 위치하는 채로 차례대로 적층되어 결합하는 구조이 기 때문에 본 장치의 결합, 분해 및 연료공급관으로의 고정이 더욱 용이해진다.
특히 셋째 제1 내지 제3실린더의 적층으로 인해 자석이 자연스럽게 중복이 되므로, 자석의 적층효과도 당연히 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자석을 교체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실린더의 일단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3실린더의 일단은 나사결합된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나사돌기(411)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제2실린더의 내주면에는 나사홈(4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나사돌기(421)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제2실린더의 내주면에는 나사홈(4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각 실린더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사용자는 연료공급관에 제1 내지 제3실린더를 차례대로 즉 연료진행방행으로 삽입한 후에 서로를 회전시켜 나사결합하기만 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린더(420)에 포함되는 최외각에 있는 네오디뮴자석은 제2실린더의 만입부(427)의 외곽에 형성되고, 제2실린더의 외곽 길이(L22)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실린더에서 최외각에 있는 네오디뮴자석은 제2실린더의 만입부의 외곽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로 앞의 네오디뮴자석 즉 제1실린더의 네오디뮴자석과 만입부(427)의 깊이만큼 중첩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인 자석의 중첩구조가 자연스럽게 달성되며, 하우징에서 낭비되는 공간이 없이 자력이 중첩되는 자석의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실린더(430)에 포함되는 최외각에 있는 네오디뮴자석은 제3실린더의 만입부(437)의 외곽에 형성되고, 제3실린더의 외곽 길이(L32)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효과는 제2실린더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4에서, 연료공급관에 가해지는 자력은 L11, L21, L31 의 범위마다 각각 자력이 적층된다. 즉 만입부에 의해 실린더들이 일부 겹치는 영역까지 자석이 연장됨으로써 자력의 적층도 자연스럽게 달성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큐리에온도가 높고, 자성이 강한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하여 연료를 미립화하기 때문에 일반자석보다 연료절감효율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네오디뮴자석이 연료진행방향으로갈수록 적층되어 증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료미립화효율이 비용대효율대비 성능이 향상된다. 즉 연료속도 때문에 발생하는 연료미립화의 비효율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형의 실린더가 중첩된 구조에 의해 자력의 누설이 방지되고, 실린더사이의 체결이 용이하며, 연료공급관으로의 부착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뒤에 위치하는 실린더의 최외각의 자석이 만입부의 외곽까지 연장되어 있고, 앞에 위치하는 실린더와 일부중첩되는 구조에 의해 하우징의 공간낭비가 없이 자력이 중첩되는 구조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300)에 있어서,
    네오디뮴자석으로 구성된 자력발생부(310); 및
    내열성부재로서, 내연기관의 연료공급관(1)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네오디뮴자석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형상의 하우징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발생부(310)는 중공의 원통형의 네오디뮴자석이고,
    상기 하우징부(320)는,
    중공(419)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이며 상기 네오디뮴자석을 내부에 포함하는 제1실린더(410)로서, 일단이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방향으로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연료공급관의 상기 내연기관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419)에 상기 연료공급관(1)이 삽입된 제1실린더(410);
    중공(429)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이며 상기 네오디뮴자석을 내부에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만입부(427)를 포함하는 제2실린더(420)로서, 상기 제2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제2실린더(420)의 만입부(427)에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이 상기 연료공급관의 상기 내연기관측방향으로 배치된 제2실린더(420); 및
    중공(439)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이며 상기 네오디뮴자석을 내부에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만입부(437)를 포함하는 제3실린더(430)로서, 상기 제3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제3실린더(430)의 만입부(437)에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료공급관(1)의 연료저장소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실린더의 타단이 상기 연료공급관의 상기 내연기관측방향으로 배치된 제3실린더(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실린더의 일단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타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3실린더의 일단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420)에 포함되는 최외각에 있는 네오디뮴자석은 제2실린더의 만입부(427)의 외곽에 형성되고, 제2실린더의 외곽 길이(L22)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3실린더(430)에 포함되는 최외각에 있는 네오디뮴자석은 제3실린더의 만입부(437)의 외곽에 형성되고, 제3실린더의 외곽 길이(L32)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KR1020080135345A 2008-12-29 2008-12-29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KR100928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345A KR100928051B1 (ko) 2008-12-29 2008-12-29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345A KR100928051B1 (ko) 2008-12-29 2008-12-29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051B1 true KR100928051B1 (ko) 2009-11-30

Family

ID=4160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345A KR100928051B1 (ko) 2008-12-29 2008-12-29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564B1 (ko) * 2010-07-06 2013-07-11 김창식 내연기관 연료효율 향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505U (ja) * 2002-03-11 2002-09-20 有限会社フェリス 液体改質装置
KR200413186Y1 (ko) 2006-01-18 2006-04-04 이행사 영구자석을 이용한 연료활성화장치
KR200414244Y1 (ko) * 2006-02-08 2006-04-17 이순철 차량 연료절감장치
JP2007327423A (ja) 2006-06-08 2007-12-20 Nippon System Kikaku Kk 燃料油改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505U (ja) * 2002-03-11 2002-09-20 有限会社フェリス 液体改質装置
KR200413186Y1 (ko) 2006-01-18 2006-04-04 이행사 영구자석을 이용한 연료활성화장치
KR200414244Y1 (ko) * 2006-02-08 2006-04-17 이순철 차량 연료절감장치
JP2007327423A (ja) 2006-06-08 2007-12-20 Nippon System Kikaku Kk 燃料油改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564B1 (ko) * 2010-07-06 2013-07-11 김창식 내연기관 연료효율 향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2620A (zh) 用于优化内燃机的方法
KR100928051B1 (ko)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US6890432B1 (en) Magnetic fuel treatment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fuel line
CN101571088A (zh) 用于螺线管操控的阀组件的保护装置
ID30251A (id) Alat untuk mereduksi bahan buangan beracun dari bahan bakar disel
ATE479018T1 (de) Brennstoffeinspritzventil
MXPA05011271A (es) Bomba electromagnetica.
WO2004061287A3 (en) Fuel injector having segmented metal core
KR20110135064A (ko)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네오디뮴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증가장치
BRPI0404450A (pt) Motor linear e compressor linear que utiliza o mesmo
WO2016034989A1 (en) Anti-harmful emissions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602004007420D1 (de) Elektromagnetischer Aktuator zur Betätigung eines Gaswechselventils an einer Kolbenbrennkraftmaschine und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solchen Aktuator
GB2597031A8 (en) Highly efficient linear motor
JP3187804U (ja) 液体燃料改質装置
CN103867353A (zh) 一种内燃机燃料促进器
CN206539426U (zh) 一种便携式的节油器
EP2745000B1 (en) Device for improving the combustion of fuel
EA201790518A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усиленным намагничиванием
KR100943622B1 (ko) 연료 절감기
TN2010000057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un carburant utilisant un champ magnetque
Johnson et al. Characterization of barium hexaferrite thick films deposited by aerosol deposition method
ATE330321T1 (de) Elektromagnetischer betätiger mit dauermagnet
IT202100025316A1 (it) Sistema integrato per l’ottimizzazione della combustione di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con effetto magnetizzante, irraggiamento ir, uv e elettrolizzatore
KR20090010964U (ko) 영구자석의 양 자극을 이용한 액체 이온화장치
KR20100103161A (ko) 연료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