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399B1 -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 - Google Patents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399B1
KR100927399B1 KR1020090066339A KR20090066339A KR100927399B1 KR 100927399 B1 KR100927399 B1 KR 100927399B1 KR 1020090066339 A KR1020090066339 A KR 1020090066339A KR 20090066339 A KR20090066339 A KR 20090066339A KR 100927399 B1 KR100927399 B1 KR 10092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concrete
adhesive
waterproof she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도
심재황
Original Assignee
창일건설(주)
심재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일건설(주), 심재황 filed Critical 창일건설(주)
Priority to KR102009006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10Adhesive or cohesive 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tach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23Special coating or treatment of the intern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판상의 고정부재를 이용하되, 콘크리트 못을 사용하지 않고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콘크리트 못을 박음으로 인해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수많은 구멍들이 콘크리트 벽체를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균열, 누수, 방수시트의 들뜸 등 여러 가지 시공 후의 하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조의 방수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이용한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조의 방수 구조체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입구는 좁고 내부공간은 넓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합고정홈이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된 판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고정홈 내에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충전시켜 도포하며, 상기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접착한 후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경화시켜 콘크리트 벽체와 콘크리트용 접착제는 콘크리트용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고정시키고, 콘크리트용 접착제와 고정부재는 고정부재의 결합고정홈과 이 결합고정홈 내에 충전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용 접착제와의 결합력에 의해 고정시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부재를 고정하며,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타측면과 방수시트의 대향면을 열융착시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WATERPROOF SHEET ATTACHING METHOD AND WATERPROOF STRUCTURE OF WATER TAN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된 판 형상의 고정부재를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하여 고정한 후, 고정부재와 방수시트를 열융착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에 방수시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수조는 합성수지재의 방수시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함으로써 수조의 누수를 방지하고, 또한 외부의 침출수가 수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하고 있다.
종래에 알려진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으로는, 콘크리트 벽체에 합성수지재의 방수시트를 직접 부착하는 방법과, 원판형상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방수시트를 간접적으로 부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방수시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직접 부착하는 방법에 비하여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부착하 는 방법이 하자 보수가 용이하고, 방수시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 후 누수 또는 들뜸 등의 하자발생이 적어 시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주로 고정부재를 이용한 방수시트 부착방법으로 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방법은, 고정부재를 콘크리트 못으로 콘크리트 벽체에 박아 고정한 후, 고정부재와 방수시트를 열풍기 또는 고주파융착기를 이용하여 열융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먼저, 고정부재와 방수시트를 열풍기로 열융착시키는 방법은, 고정부재를 방수시트의 재질과 같은 계통의 합성수지재로 제작한 경우이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고정부재(110)의 중앙 구멍으로 콘크리트 못(120)을 관통시켜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130)에 박아 넣음으로써 고정부재(110)를 먼저 콘크리트 벽체(130)에 고정한다.
이어서,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방수시트(140)를 콘크리트 벽체(130)에 고정된 고정부재(110)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이격시켜 근접시키고, 열풍기(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부재(110)와 방수시트(140)가 마주하는 대향면 사이에 열풍을 공급하면, 열풍의 고열에 의해 합성수지재인 고정부재(110)의 표면과 방수시트(140)의 표면이 녹아 용융부(a)가 각각 형성되고, 이어서 방수시트(140)의 바깥쪽에서 방수시트(140)를 고정부재(110)쪽으로 가압하게 되면 용융부(a)가 접착제 기능을 하여 고정부재(110)와 방수시트(140)가 부착된다.
또한, 고정부재와 방수시트를 고주파융착기로 열융착시키는 방법은, 고정부 재의 재질을 방수시트와 다른 금속재질로 제작한 경우로서, 이때 고정부재의 표면에는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열융착시트가 코팅된다. 즉,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합성수지재의 열융착시트(250)가 코팅된 금속재질 고정부재(210)의 중앙 구멍으로 콘크리트 못(220)을 관통시켜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230)에 박아 넣음으로써 고정부재(210)를 먼저 콘크리트 벽체(130)에 고정한다.
이어서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방수시트(240)를 콘크리트 벽체(130)에 고정한 금속재질의 고정부재(210)에 밀착시킨 후, 방수시트(240)의 바깥쪽에서 고주파융착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유도전류를 금속재질의 고정부재(210)를 향하여 조사하게 되면, 고주파융착기로부터 출력된 고주파유도전류가 방수시트(240)와 열융착시트(250)를 통과하여 금속재질인 고정부재(210)에 유도되어 표면에서 고열을 발생하게 되므로 표면에 코팅된 열융착시트(250)를 용융시켜 용융부(a)를 형성하게 되고, 이 용융부(a)가 접착제 기능을 하여 금속재질인 고정부재(210)와 합성수지재인 방수시트(240)를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은, 고정부재(110,210)를 모두 콘크리트 벽체(130,230)에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 못(120,220)을 박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 벽체(130,230)에는 콘크리트 못(120,220)에 의한 직경 6~8㎜, 길이 100~120㎜의 구멍이 형성되고, 통상 수조의 용적이 1000톤인 경우, 최하 1000개 이상의 많은 콘크리트 못을 박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체에는 수많은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많은 구멍들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30,23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 못(120,220)이 박힌 부분에서 침출수가 새어나와 콘크리트 벽체(130,230)와 방수시트(140,240) 사이에서 흐르게 되므로, 콘크리트 벽체(130,230)와 방수시트(140,240) 사이에 습기 및 물 고임 현상이 발생하고, 또한 방수시트(140,240)가 콘크리트 벽체(130,230)로부터 밀착되지 않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시공 후에 여러 가지 하자가 발생하여 하자보수에 많은 시간과 인력 그리고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합성수지재의 고정부재(110)는 열풍기로만 방수시트(140)와 열융착할 수 있고, 금속재질의 고정부재(210)는 표면에 코팅된 합성수지재의 열융착시트(250)를 열풍기로 용융시켜 방수시트(240)와 열융착할 수 있으나, 열풍기로 가열하는 동안 용융된 열융착시트(250)가 금속재질인 고정부재(210)의 미끄러운 표면으로부터 흘러내리기 때문에 접착성능을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고주파융착기로만 방수시트(240)와 열융착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고정부재(110,210)는 호환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금속재질로 제작된 고정부재(210)의 경우는, 합성수지재인 열융착시트(250)와 재질이 서로 다르고 또한 금속재질의 고정부재(210) 표면은 미끄럽기 때문에, 고정부재(210)와 용융된 열융착시트(250) 사이의 접착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210)로부터 방수시트(240)가 쉽게 떨어질 염려가 있고, 이로 인해 장기간 경과 후 고정부재(210)로부터 방수시트(240)가 떨어지게 되어 부착 불량 및 들뜸 현상 등 시공 후 하자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금속재질로 제작된 고정부재(210)는 콘크리트 벽체(230)와 방수시트(240) 사이에 발생하는 습기 또는 누수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부식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고정부재의 내구성 및 고정력이 저하되어 방수시트의 고정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판상의 고정부재를 이용하되, 콘크리트 못을 사용하지 않고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콘크리트 못을 박음으로 인해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수많은 구멍들이 콘크리트 벽체를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균열, 누수, 방수시트의 들뜸 등 여러 가지 시공 후의 하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재와 방수시트를 열융착시켜 부착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에 따라 열풍기 또는 고주파융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호환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에 판 형상의 고정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와 방수시트를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입구는 좁고 내부공간은 넓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합고정홈이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된 판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비한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결합고정홈 내에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충전시켜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단계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도포된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접착한 후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경화시켜 콘크리트 벽체와 콘크리트용 접착제는 콘크리트용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고정시키고, 콘크리트용 접착제와 고정부재는 고정부재의 결합고정홈과 이 결합고정홈 내에 충전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용 접착제와의 결합력에 의해 고정시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타측면과 방수시트의 대향면을 열융착시키는 방수시트 부착단계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판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단계에서 고정부재의 사출성형시 복수개의 결합구멍을 가지는 고주파유도판을 타측면 내부에 매립시키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열융착되어 고정되는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입구는 좁고 내부공간은 넓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결합고정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은, 콘크리트용 접착제로 고정하되, 콘크리트 벽체와 콘크리트용 접착제는 콘크리트용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고정되고, 콘크리트용 접착제와 고정부재는 고정부재의 결합고정홈과 이 결합고정홈 내에 충전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용 접착제와의 결합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면 내부에 매립된 복수개의 결합구멍을 가지는 고주파유도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면과 고주파유도판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매립 두께가 0.5~1.5㎜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와 고정부재를 콘크리트용 접착제로 고정하되, 콘크리트 벽체와 콘크리트용 접착제는 콘크리트용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고정되고, 콘크리트용 접착제와 고정부재는 고정부재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고정홈과 이 결합고정홈에 충전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용 접착제와의 결합력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콘크리트용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잘 부착되지 않는 특성을 가진 합성수지재의 고정부재에 대하여 단점을 보완하여 콘크리트용 접착제로도 고정부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수많은 콘크리트 못을 콘크리트 벽체에 박음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못이 박힌 부분에서 침출수가 새어나와 콘크리트 벽체와 방수시트 사이에서 흐르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습기 및 물 고임 현상, 방수시트의 들뜸 현상 등 시공 후의 여 가지 하자를 방지할 수 있어 하자보수에 따른 많은 시간과 인력 그리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접착제로 고정부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콘크리트 못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에 비하여 고정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며 시공기간을 앞당길 수 있다. 이로 인해 인건비 등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이점이 많은 산업상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고정부재 내부에 금속재의 고주파유도판이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열풍기에 의한 열풍으로 합성수지재인 고정부재와 방수시트의 표면을 용융시켜 열융착시키거나, 고주파융착기에 의한 고주파유도전류로 고주파유도판을 가열시킴으로써 고주파유도판과 방수시트 사이에 위치한 고정부재의 일부분을 용융시켜 열융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가열수단을 작업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을 가지며 작업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재의 고주파유도판이 합성수지재의 고정부재 내부에 매립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 벽체와 방수시트 사이에 습기 또는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부식될 염려가 없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을 나타 낸 공정도로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단계(S1), 고정부재에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 고정부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S3) 및 고정부재와 방수시트를 열융착시키는 단계(S4)로 이루어진다.
먼저,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단계(S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의 고정부재(10)를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되, 고정부재(10)의 일측면(12)에 입구(11a)는 좁고 내부공간(11b)은 넓게 확장된 단면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결합고정홈(11)이 병렬로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고정홈(11)의 단면형상은 입구(11a)의 진입방향과 내부공간(11b)의 확장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후술하는 콘크리트용 접착제(20)가 내부공간(11b)에 충전되어 경화된 상태에서 결합고정홈(1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의 사출성형시 복수개의 결합구멍(31)을 가지는 얇은 원판 형상의 고주파유도판(30)을 타측면(13) 내부에 매립시킨다. 고주파유도판(30)은 고주파융착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유도전류를 유도하여 가열될 수 있는 금속 등의 전도성 재질이면서 부식에 강한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고,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에 매립하되,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과 고주파유도판(30)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으로부터의 매립 두께(t)는 0.5~2㎜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매립 두께(t)가 0.5㎜보다 얇으면, 후술하는 고주파융착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유도전류가 방수시트(50)와 고정부재(10)의 매립 두께(t) 부분을 통과하여 고주파유도판(30)에 유도됨으로써 충분히 가열할 수 있지만, 고정부 재(10)의 매립 두께(t)는 고주파유도판(30)의 가열에 의해 녹아 접착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용융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접착력이 약하여 고주파유도판(30)과 방수시트(50)를 충분히 접착시킬 수 없으며, 매립 두께(t)가 2㎜보다 두꺼우면, 고주파융착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유도전류가 고주파유도판(30)까지 충분히 미치지 않아 고주파유도판(30)을 충분히 가열하지 못하게 되므로 접착불량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고정부재(10)에 콘크리트용 접착제(20)를 도포하는 단계(S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의 일측면(12), 즉 복수개의 결합고정홈(11)이 형성된 면에 콘크리트용 접착제(20)를 일정두께로 도포하되, 상기 결합고정홈(11)의 입구(11a)를 통해 내부공간(11b)으로도 콘크리트용 접착제(20)가 충분히 충전되도록 도포한다. 상기 콘크리트용 접착제(20)로는 콘크리트와 친화적이어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화 후의 내구성이 높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를 들면, 에틸렌 초산 비닐계 고분자 에멀전과 아크릴계 고분자 에멀전을 특수첨가제로 배합하여 만든 몰탈 접착제 또는 석재용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한다.
이어서, 고정부재(10)를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40)에 고정하는 단계(S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의 일측면(12)에 도포된 콘크리트용 접착제(20)를 콘크리트 벽체(40)에 접착한 후 일정시간 경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콘크리트 벽체(40)와 콘크리트용 접착제(20)는 콘크리트에 친화적인 콘크리트용 접착제(20)의 접착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지만, 합성수지재인 고정부재(10)는 콘크리트용 접착제(20)와 친화적이지 못하여 콘크리트용 접착제(20)의 접 착력으로 잘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정부재(10)에 결합고정홈(11)을 구비한 것으로, 고정부재(10)의 결합고정홈(11)의 내부공간(11b)에 충전된 콘크리트용 접착제(20)가 경화됨으로써 입구(11a)는 좁고 내부공간(11b)은 넓게 확장된 결합고정홈(11)의 단면형상에 의해 경화된 콘크리트용 접착제(20)가 결합고정홈(11) 내에서 고정부재(10)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고정부재(10)를 콘크리트 벽체(40)에 분리됨이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에 방수시트(50)를 열융착시키는 단계(S4)는, 열풍기를 이용한 방법과 고주파융착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9의 (a) 및 (b)는 열풍기를 이용한 열융착을 나타낸 것으로, 도 9의 (a)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40)에 고정된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에 방수시트(50)를 소정간격 이격시켜 근접시킨 후, 측방향에서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과 방수시트(50)의 대향면을 열풍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열풍으로 가열하게 되면, 합성수지재인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과 방수시트(50)의 대향면이 열풍에 의해 표면이 녹아 용융부(a)를 형성하게 되고, 이어서 열풍의 공급을 멈춤과 동시에, 도 9의 (b)에서와 같이 방수시트(50)를 고정부재(10)쪽으로 가압하게 되면,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과 방수시트(50)의 대향면 사이의 용융부(a)가 접착제 기능을 하여 고정부재(10)와 방수시트(50)를 접착하게 되고, 고정부재(10)와 방수시트(50)는 같은 합성수지재 계열이므로 견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도 10의 (a) 및 (b)는 고주파융착기를 이용한 열융착을 나타낸 것으로, 도 10의 (a)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40)에 고정된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에 방수시트(50)를 밀착시킨 후, 방수시트(50)의 바깥쪽에서 고주파융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고주파유도전류를 고정부재(10)쪽으로 출력하게 되면, 고주파유도전류가 방수부재(50)와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 부분을 통과하여 고정부재(10)의 타측면(13)에 매립된 고주파유도판(30)에 유도되고, 이로써 고주파유도판(30)의 표면이 가열되면서 고주파유도판(30)과 방수시트(50) 사이의 매립 두께(t) 부분을 녹여 용융부(a)를 형성하게 되며, 이어서 도 10의 (b)에서와 같이 방수시트(50)를 고정부재(10)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용융부(a)가 접착제 기능을 하여 고정부재(10)와 방수시트(50)를 열융착시키게 된다.
이때, 고주파유도판(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구멍(31)은 합성수지재인 용융부(a)와 금속재인 고주파유도판(30) 사이의 접착력이 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결합구멍(31)을 통해 용융부(a)에 의한 고정부재(10)와 방수시트(50) 사이의 접착면적을 증대시켜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는, 도 9의 (b) 및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콘크리트용 접착제(20)를 사용하여 고정부재(10)를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40)에 고정하되, 콘크리트 벽체(40)와 콘크리트용 접착제(20)는 콘크리트용 접착제(20)의 접착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콘크리트용 접착제(20)와 고정부재(10)는 고정부재(10)의 일측면(12)에 복수개 형성한 결합고정홈(11)의 입구(11a)를 통해 내부공간(11b)으로 충전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용 접착제(20)와 결합고정홈(11)의 형상에 의한 결합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콘크리트용 접착제(20)와 합성수지재인 고정부재(10)와의 접착력이 약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콘크리트 벽체(40)와 고정부재(10)를 콘크리트용 접착제(20)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정부재(10)를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40)에 고정하는 작업이, 콘크리트 못으로 고정부재(10)를 고정하는 방식에 비하여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벽체에 콘크리트 못을 박음으로써 형성되는 구멍에 의한 크랙발생, 누수에 의한 여러 가지 하자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고정부재(10) 내부에 고주파유도판(30)이 매립된 구성이므로, 합성수지재인 고정부재(10)와 방수시트(50)를 열풍기로 가열하여 열융착시킬 수도 있고, 상기 고주파유도판(30)에 의해서 고주파융착기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0)와 방수시트(50)를 열융착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에 따라 열풍기 또는 고주파융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주파유도판(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구멍(31)을 통해 고정부재(10)의 일부가 녹아 형성된 용융부(a)와 금속재인 고주파유도판(30) 사이의 접착력이 약한 단점이 보완되어 고정부재(10)와 방수시트(50)의 접착력이 강화됨으로써 고정부재(10)와 방수시트(50)의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 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열풍기에 의한 종래의 방수시트 부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고주파융착기에 의한 종래의 방수시트 부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을 나타낸 공정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주파유도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에서 콘크리트용 접착제 도포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에서 고정부재 고정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에서 열풍기에 의한 방수시트 열융착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에서 고주파융착기에 의한 방수시트 열융착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부재 11 : 결합고정홈
11a : 입구 11b : 내부공간
12 : 일측면 13 : 타측면
20 : 콘크리트용 접착제 30 : 고주파유도판
31 : 결합구멍 40 : 콘크리트 벽체
50 : 방수시트 a : 용융부
t : 매립 두께

Claims (4)

  1. 삭제
  2.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에 판 형상의 고정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와 방수시트를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입구는 좁고 내부공간은 넓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합고정홈이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된 판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비한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결합고정홈 내에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충전시켜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단계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도포된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접착한 후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경화시켜 콘크리트 벽체와 콘크리트용 접착제는 콘크리트용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고정시키고, 콘크리트용 접착제와 고정부재는 고정부재의 결합고정홈과 이 결합고정홈 내에 충전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용 접착제와의 결합력에 의해 고정시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타측면과 방수시트의 대향면을 열융착시키는 방수시트 부착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단계에서 고정부재의 사출성형시 복수개의 결합구멍을 가지는 고주파유도판을 타측면 내부에 매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3. 삭제
  4.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열융착되어 고정되는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입구는 좁고 내부공간은 넓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결합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은, 콘크리트용 접착제로 고정하되, 콘크리트 벽체와 콘크리트용 접착제는 콘크리트용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고정되고, 콘크리트용 접착제와 고정부재는 고정부재의 결합고정홈과 이 결합고정홈 내에 충전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용 접착제와의 결합력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면 내부에 매립된 복수개의 결합구멍을 가지는 고주파유도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면과 고주파유도판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매립 두께가 0.5~1.5㎜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
KR1020090066339A 2009-07-21 2009-07-21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 KR10092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339A KR100927399B1 (ko) 2009-07-21 2009-07-21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339A KR100927399B1 (ko) 2009-07-21 2009-07-21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399B1 true KR100927399B1 (ko) 2009-11-19

Family

ID=4160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339A KR100927399B1 (ko) 2009-07-21 2009-07-21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3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025B1 (ko) 2015-04-28 2015-09-21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콘크리트 저수조의 pe라이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50411B1 (ko) * 2016-01-07 2016-08-2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무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와 절연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를 위한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13499B1 (ko) * 2016-09-22 2017-03-07 (주)탱크마스타 항균성능을 가지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방수공법
KR101732484B1 (ko) * 2016-09-23 2017-05-04 (주)탱크마스타 물탱크 조립용 단위패널
KR101980078B1 (ko) 2018-08-02 2019-08-29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매립형 고주파 열융착시트를 이용한 pe라이닝 시공방법 및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437Y1 (ko) 2002-04-19 2002-07-13 주식회사 경보산업 콘크리트 수조의 폴리에틸렌 라이닝 구조
KR20050015091A (ko) * 2003-08-02 2005-02-21 장성순 방수방법 및 방수시트 연결방법
KR20060091619A (ko) * 2005-02-16 2006-08-21 이상근 건설 구조물의 이음부 연결용 방수 조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437Y1 (ko) 2002-04-19 2002-07-13 주식회사 경보산업 콘크리트 수조의 폴리에틸렌 라이닝 구조
KR20050015091A (ko) * 2003-08-02 2005-02-21 장성순 방수방법 및 방수시트 연결방법
KR20060091619A (ko) * 2005-02-16 2006-08-21 이상근 건설 구조물의 이음부 연결용 방수 조인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025B1 (ko) 2015-04-28 2015-09-21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콘크리트 저수조의 pe라이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50411B1 (ko) * 2016-01-07 2016-08-2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무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와 절연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를 위한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13499B1 (ko) * 2016-09-22 2017-03-07 (주)탱크마스타 항균성능을 가지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방수공법
KR101732484B1 (ko) * 2016-09-23 2017-05-04 (주)탱크마스타 물탱크 조립용 단위패널
KR101980078B1 (ko) 2018-08-02 2019-08-29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매립형 고주파 열융착시트를 이용한 pe라이닝 시공방법 및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399B1 (ko)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
KR101014230B1 (ko) 외벽단열 건축물 외벽 보수보강 시공공법
KR100837053B1 (ko) 전자기유도가열을 이용한 시트 접합구조
KR101980078B1 (ko) 매립형 고주파 열융착시트를 이용한 pe라이닝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447572B1 (ko)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구조체
KR200452464Y1 (ko) 벽체 배수판
KR20060112874A (ko)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
JP5345504B2 (ja) 水路のシート施工方法及び水路の補修構造
JP2759187B2 (ja) シートパネル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取り付け構造
KR20070053407A (ko)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를 이용한투명패널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에폭시 수지와유리섬유를 이용한 투명패널과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투명패널을 이용한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JPH0925024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KR200281439Y1 (ko) 건축용 보강판재
JP201117924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100587410B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1672303B1 (ko) 전단균열이 발생되기 전 보강재를 상기 구조물에 설치하는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JP2006161407A (ja) コンクリート躯体壁面の補修構造及び補修方法
JP2016125217A (ja) 外壁タイルの修繕工法
JPH10280724A (ja) 漏水防止シートの施工方法
KR101301033B1 (ko) 콘크리트 저수조 라이닝용 탄성커버
KR100591263B1 (ko)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
JP7116693B2 (ja) 石材構造物の補修方法
JPH06306959A (ja) 建築構造物の接合構造
CN210597850U (zh) 环保型混凝土结构
KR100851865B1 (ko) 건축용 거푸집 제조방법
KR102321682B1 (ko) 접착식 매입형 앵커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시설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