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080B1 - 자수기 - Google Patents

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080B1
KR100922080B1 KR1020090012365A KR20090012365A KR100922080B1 KR 100922080 B1 KR100922080 B1 KR 100922080B1 KR 1020090012365 A KR1020090012365 A KR 1020090012365A KR 20090012365 A KR20090012365 A KR 20090012365A KR 100922080 B1 KR100922080 B1 KR 10092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pport frame
tension
embroidery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기
전두환
박명규
정혜천
Original Assignee
김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기 filed Critical 김태기
Priority to KR102009001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080B1/ko
Priority to PCT/KR2009/006636 priority patent/WO2010093110A1/ko
Priority to US13/058,906 priority patent/US2011029016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3/00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 D05C3/02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된 한폭만큼의 원단에 자수작업을 완료해 주기까지 원단의 x축방향으로도 주어진 긴장감을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체로 사각의 받침틀(10) 상에 모터(44)와 연결된 볼스크류(43) 및 LM가이드(41)(42)를 통하여 이동체(40)를 y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도록 연결설치하고, 상기 이동체(40) 상에는 모터(64)와 연결된 볼스크류(63) 및 LM가이드(61)(62)를 통하여 미싱기(60)를 x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도록 연결설치하며, 받침틀(10) 양측에는 전후로 긴 좌우집게(70)(80)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좌우집게(70)(80)가 받침틀(10) 내에 공급된 한폭정도의 원단을 집고 당겨서 x축방향으로 긴장감을 부여한뒤 받침틀(10)로부터 이동체(40)의 y축방향 변위운동 및 이동체(40)로부터 미싱기(60)의 x축방향 변위운동으로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받침틀(10)에 공급된 한폭만큼의 원단에 자수작업을 완료해 주기까지 좌우집게(70)(80)를 통하여 원단의 x축방향으로 부여된 긴장감을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원단의 긴장감변화등으로 인한 자수무늬의 변형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수기{EMBROIDERING MACHINE}
본 발명은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불지 등이 갖는 규격을 기준으로 한 한폭만큼의 원단에 자수작업을 완료해주기까지 원단의 x축방향으로 주어지는 긴장감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수기의 경우 원단은 원단공급롤러 및 원단권취롤러가 갖는 토크모터에 의해 y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고 또 여러대의 미싱헤드를 갖는 미싱기는 x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도록 하여 원단에 다양한 무늬모양을 연속적으로 형성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자수기를 이용한 원단의 자수작업시 그 원단은 y축방향으로는 원단공급롤러 및 원단이송롤러가 갖는 토크모터에 의해 적절한 긴장감이 주어지게 되나, x축방향으로는 긴장감이 주어질 수가 없기 때문에 자수시 원단의 긴장감부족등에 의한 자수무늬의 변형으로 상품으로서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본건 출원인은 받침틀 내에 공급된 원단의 양측에 전후로 긴 집게를 전후좌우 작동가능케 설치하여 좌우집게가 원단의 양측을 집은 상태에서 외측으로 벌어져 x축으로도 적절한 긴장감이 주어지도록 한 다음 원단을 따라 y축방향으로 이 동하여 자수작업시 원단의 x축방향으로 주어진 긴장감이 유지되도록 한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에 대하여 특허출원 제2006-64573호 및 동제2008-10318호를 제공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원단당김장치는 원단에 x축방향으로도 적절한 긴장감을 부여해 줄 수는 있다 하겠으나, 좌우집게가 원단의 이송방향인 전후로 길게 설치되어 자수작업시 받침틀 내에서 원단을 따라 전후(y축방향)로 작동을 요하는만큼 전후작동거리가 길게 주어질 수가 없고 또 그에 따라 주어진 작동거리만큼 자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자수작업을 일시중단한 상태에서 약5~7초에 걸쳐 원단을 집고 있는 좌우집게의 집게작동을 해제하고 일정거리 후퇴하여 해당위치에서 다시 원단의 양측을 집고 당겨서 x축방향으로 긴장감이 주어지도록 한 다음 자수작업을 재개시켜 주도록 하는 작동을 반복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불지 등이 갖는 규격을 기준으로 한 한폭(가로 2m × 세로 2.3m)만큼의 원단에 자수작업을 완료해 주기 까지에는 좌우집게의 집게작동이 약20회 반복되어야 하므로 한폭의 자수원단을 얻기까지 적어도 약100초간 자수작업이 중단될 수 밖에 없어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특히 자수작업의 일시중단상태에서 좌우집게의 집게작동을 해제하고 뒤이어 좌우집게의 위치이동후 다시 긴장감이 주여되게 할시 이전에 주어졌던 긴장감과 동일한 긴장감이 주어질 수가 없을 뿐 아니라 자수중단부분을 중심으로 한 자수부위와 비자수부위간에는 원단이 갖는 신축성이 상이할 수 밖에 없어 긴장감차이로 이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긴장감 차이로 인한 자수무늬의 변형으로 상품으로서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등의 많은 문 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폭만큼의 원단에 자수작업을 완료해주기까지 좌우 집게에 의해 x축방향으로 주어진 긴장감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단의 긴장감 변화에 의한 자수무늬의 변형방지로 상품으로서의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체로 사각의 받침틀 양측에 전후로 긴 좌우집게를 연결설치하여 받침틀 내에 공급된 한폭만큼의 원단을 집고 당겨서 x축방향으로 긴장감을 부여한 상태에서 받침틀 상에 갖는 이동체의 y축방향 변위운동 및 상기 이동체 상에 갖는 미싱기의 x축방향 변위운동으로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받침틀 내에 공급된 한폭만큼의 원단에 자수무늬를 모두 형성해 주기까지 좌우집게에 의해 x축방향으로 주어진 긴장감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수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원단공급롤러(20)와 원단이송롤러(30)에 의해 한폭만큼의 원단이 받침틀(10) 내에 공급되면 받침틀(10) 양측에 설치고정되는 긴 좌우집게(70)(80)가 원단의 양측을 집고 당겨서 x축방향으로 긴장감을 부여해 주도록 한 상태에서 받침틀(10)로부터 이동체(40)의 y축방향 변위운동 및 이동체(40)로부터 미싱기(60)의 x 축방향 변위운동으로 자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받침틀(10)에 공급된 한폭만큼의 원단에 자수무늬를 모두 형성해 주기까지 좌우집게(70)(80)에 의해 부여된 x축방향으로의 긴장감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가 있게 되므로 원단에 x축방향으로 긴장감을 부여해 주는데 불필요한 시간적 손실을 없애줄 수가 있어 현저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고, 특히 공급된 한폭만큼의 원단에 자수를 형성해 주는 과정에서 x축방향으로 주어진 긴장감의 변화우려가 전혀 없어 원단의 긴장감 차이등에 의한 자수무늬의 변형을 방지해 줄 수가 있게 되므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여 줄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대체로 사각의 받침틀(10) 전후에 원단공급롤러(20)와 원단이송롤러(30)가 연결설치되고, 받침틀(10)의 좌우프레임(11)(12) 사이에는 LM가이드(41)(42) 및 볼스크류(43)에 의해 y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는 이동체(40)가 연결설치되고, 받침틀(10)의 전방프레임(13)과 이동체(40) 사이에는 공급된 원단의 처짐을 방지하는 여러가닥의 받침띠(50)가 인출가능케 연결형성되고, 이동체(40) 상에는 LM가이드(61)(62) 및 볼스크류(63)에 의해 x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는 미싱기(60)가 연결설치되며, 받 침틀(10)의 양측에는 이동체(40) 및 미싱기(60)를 피해 전후로 긴 좌우집게(70)(80)가 연결설치되어 제어기의 제어로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사각의 받침틀(10)은 이불지 등이 갖는 사이즈를 한폭으로 기준하여 한폭정도의 원단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제작된다.
도 3 및 도 4는 받침틀과 이동체 및 자수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체(40)는 좌우로 긴 직사각형태로서, 알루미늄등과 같이 무게가 가볍고 또 강도가 강한 재질로 제작되는데, 이는 받침틀(10)의 좌우프레임(11)(12) 상에 전후로 길게 연결형성되는 LM가이드(41)(42)의 가이드블럭 및 받침틀(10)의 전후중간프레임(14)(15)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볼스크류(43)의 너트와 연결고정되게 하여 볼스크류(43)와 타이빙벨트로 연결되는 모터(44)의 구동으로 y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미싱부(60)는 가마베이스(65)와 헤드프레임(66)이 좌우연결대를 통하여 일체감있게 연결되고 또 헤드프레임(66)의 일면에는 여러대의 미싱헤드(67)가 등간격으로 연결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좌우연결대가 갖는 연결편을 통하여 이동체(40) 양측 전후에 연결형성되는 LM가이드(61)(62)의 가이드블럭과 연결되고 또 일측 연결대는 이동체(40)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볼스크류(63)의 너트와 연결되어 볼스크류(63)와 타이밍벨트로 연결되는 모터(64)의 구동으로 x축으로 변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집게를 나타낸 것으로서, 좌우집게(70)(80)가 갖는 상하집게부(71)(72)는 각기 휨에 강한 보강대의 마주하는 면에 수개의 지지편이 상하 서로 엇갈리에 형성되게 한 것으로서, 받침틀(10)이 갖는 전후길이만큼 전후로 길게 제작되는데, 상하집게부(71)(72)(81)(82) 사이에는 각각 수개의 수직실린더(73)(83)를 연결설치하여 집게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하부집게부(72)(82)는 전후연결편(74)(84)을 통하여 받침틀(10)의 전후프레임(13)(16) 양측에 좌우로 연결설치되는 LM가이드(76)(77)(86)(87)의 가이드블럭에 연결고정되게 하며, 좌우연결편(74)(84) 사이에는 받침틀(10)의 전후프레임(13)(16) 상에 설치고정되는 수평실린더(75)(85)를 연결설치하여 좌우집게(70)(80)가 각각 수평실린더(75)(85)에 의해 내측방향으로나 또는 외측방향으로 동시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받침틀과 이동체 사이에 여러가닥이 연결설치되어 공급된 원단의 처짐을 방지하는 받침띠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촘촘한 여러가닥의 받침띠(50)는 받침틀(10)의 전방프레임(13)에 토크모터(51)와 연결형성되는 권취봉(52)에 권취되고 또 그 단부는 수평유지를 위한 안내롤러(53)를 통하여 이동체(40)가 갖는 고정편(45)에 연결고정되며, 이는 이동체(40)가 y축으로 변위운동할시 권취봉(52)에 권취되거나 또는 권취봉(52)으로부터 인출되어 토크모터(51)에 의해 상시 팽팽한 긴장감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받침틀(10a) 상에 2대의 이동체(40a)(40b)가 각각 LM가이드 및 볼스크류에 의해 y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도록 구성하고 또 이동체(40a)(40b)에는 각각 별도의 미싱기(60a)(60b)가 LM가이드 및 볼스크류에 의해 x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도록 구성하여 받침틀(10a)내에 공급된 한폭정도의 원단을 자수해줌에 있어서도 두대의 미싱기(60a)(60b)에 의해 자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원단이 원단공급롤러(20)와 미싱부(60) 및 원단이송롤러(30)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하여 한폭정도의 원단이 받침틀(10) 내에 위치하도록 공급해 주게 되면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원단공급롤러(20) 및 원단이송롤러(30)가 갖는 토크모터(21)(31)에 의해 그 원단에는 y축방향으로 긴장감이 부여되고, 뒤이어 좌우집게(70)(80)의 집게작동으로 원단에 x축방향으로도 긴장감을 부여되며, 이후 받침틀(10)로부터 이동체(40)의 y축방향 변위운동 및 이동체(40)로부터 미싱기(60)의 x축방향 변위운동으로 자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원단에 x축방향으로 긴장감을 부여하는 좌우집게(70)(80)는 각각 미싱기(60)가 갖는 가마베이스(65)와 헤드프레임(66) 사이를 여유있게 관통하여 받침틀(10) 양측에 전후로 길게 설치고정되므로 미싱기(60)의 간섭을 피해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좌우집게(70)(80)는 각각 수직실린더(73)(83)에 의한 상하집게부(71)(72)(81)(82)의 벌어짐 상태에서 각각 수평실린더(75)(85)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전진되게 하여 상하집게부(71)(72)(81)(82) 사이에 원단의 양단부가 진입되게 하고, 뒤이어 수직실린더(72)(83)에 의한 상부집게부(71)(81)의 하강으로 좌우집게(70)(80)가 원단의 양단부를 집어주도록 한 다음 수평실린더(75)(85)에 의해 좌우집게(70)(80)가 외측방향으로 후퇴시켜 주게 되면 그 원단에는 x축방향으로도 긴장감이 부여된다.
더 나아가 좌우집게(70)(80)는 받침틀(10)이 갖는 길이만큼 전후로 길게 형 성되므로 주어진 위치에서 받침틀(10) 내에 공급된 한폭정도의 원단을 전체적으로 집어서 긴장감을 주여해 줄 수가 있고 또 상하집게부(71)(72)(81)(82)는 각기 휨에 관한 보강대의 마주하는 면에 수개의 지지편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게 하여 그 상부집게부(71)(81)가 하부집게부(72)(82)로부터 수개의 수직실린더(73)(83)에 의해 집게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전체적으로 강한 집게작동이 이루어질 수가 있어 원단의 x축방향으로도 전체적으로 적절하고도 일정한 긴장감을 부여해 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좌우집게(70)(80)에 의해 원단에 x축방향으로도 긴장감을 부여한 후에는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데, 자수작업은 얻고자 하는 자수무늬에 따라 이동체(40)의 y축방향 변위운동 및 상기 이동체(40)로부터 미싱부(60)의 x축방향 변위운동으로 다양한 무늬모양의 자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얻고자 하는 무늬모양에 따라 이동체(40)는 모터(44)에 의해 정역회전으로 하는 볼스크류(43)와 LM가이드(41)(42)에 의해 받침틀(10)로부터 y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게 되고 또 여러대의 미싱헤드(67) 및 가마베이스(65)를 갖는 미싱기(60)는 모터(64)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볼스크류(63)와 LM가이드(61)(62)에 의해 이동체(40)로부터 x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게 되므로 자수작업이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자수작업시 받침틀(10)에 공급된 원단은 비록 사방에서의 당김으로 x,y축방향으로 적절한 긴장감이 부여되나, 원단이 갖는 특성상 중앙부로 갈수록 심한 처짐현상이 발생되는데, 미싱기(60)의 자수방향인 받침틀(10)의 전방프레 임(13)과 이동체(40) 사이에는 여러가닥의 받침띠(50)가 촘촘히 연결형성되고 또 이들 받침띠(50)는 전방프레임(13)측의 권취봉(52)에 여유있는 길이만큼 권취되어 권취봉(52)과 연결되는 토크모터(51)에 의해 팽팽한 긴장감이 주어지게 되므로 적어도 자수작업전의 원단만큼은 전체적으로 수평을 유지시켜 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받침틀(10)에 공급된 한폭정도의 원단에 자수무늬를 전체적으로 형성해 준 후에는 자수작업의 일시중단상태에서 좌우집게(70)(80)의 집게작동을 해지하고 원단이송롤러(20) 및 자수된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롤러의 작동으로 자수작업된 원단을 배출토록 함과 동시에 새원단이 공급되게 하며, 뒤이어 이동체(40)를 후퇴시켜서 받침틀(10)의 후방에서 대기토록 함과 동시에 좌우집게(70)(80)는 공급된 원단의 양측을 잡고 당겨서 x축방향으로 긴장감이 부여되게 한 다음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받침틀(10)에 공급된 한폭정도의 원단은 좌우집게(70)(80)에 의해 x축방향으로도 적절한 긴장감이 부여된 상태에서 받침틀(10)의 후방에서 대기하고 있던 미싱기(60)가 자수작업을 시작하여 이동체(40)를 따라 점차 전진하면서 그 전방에 이르게 되면 받침틀(10) 내에 공급된 한폭정도의 원단자수작업이 완료되고 또 자수작업을 시작하여 완료하기까지 원단의 x축방향으로 긴장감을 부여하는 좌우집게(70)(80)는 원단에 주어진 x축방향으로의 긴장감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게 되므로 자수작업시 원단에 주어지는 긴장감 변화내지는 원단의 비틀림등에 의한 자수무늬의 변형우려를 없애 줄 수가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받침틀(10a) 상에 2대의 이동 체(40a)(40b)를 갖도록 하여 각각의 이동체(40a)(40b)에 미싱부(60a)(60b)를 설치하여 각각 독립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누비작업전 후방미싱부(60b)는 받침틀(10a)의 후방에 대기하도록 하고 또 전방미싱부(60a)는 받침틀(10a)의 중앙부에 대기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후이동체(40a)(40b)와 미싱부(60a)(60b)가 동시작동하여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면 받침틀(10a) 내에 공급된 한폭만큼의 원단에 누비작업을 해주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반으로 단축시켜 줄 수가 있게 되므로 생산성을 더욱 배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수기에 적용시를 설명하고 있으나, 미싱헤드 등의 교체로 누비기에 적용해 줄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일부사시도
도 4 : 본 발명의 일부저면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집게의 일부정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집게의 사시도
도 7 : 본 발명의 일부측면구성도
도 8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저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받침틀 (11)--좌측프레임
(12)--우측프레임 (13)--전방프레임
(14)(15)--중간프레임 (16)--후방프레임
(20)--원단공급롤러 (21)--토크모터
(30)--원단이송롤러 (31)--토크모터
(40)--이동체 (41)(42)--LM가이드
(43)--볼스크류 (44)--모터
(45)--고정편 (50)--받침띠
(51)--토크모터 (52)--권취봉
(53)--안내롤러 (60)--미싱부
(61)(62)--LM가이드 (63)--볼스크류
(64)--모터 (65)--가마베이스
(66)--헤드프레임 (67)--미싱헤드
(70)(80)--집게 (71)(72)(81))(82)--집게부
(73)(83)--수직실린더 (74)(84)--연결편
(75)(85)--수평실린더 (76)(77)(86)(87)--LM가이드

Claims (3)

  1. 대체로 사각의 받침틀 상에 모터와 연결된 볼스크류 및 LM가이드에 의해 y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는 1대 이상의 이동체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체 상에는 모터와 연결된 볼스크류 및 LM가이드에 의해 x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는 1대이상의 미싱기를 설치하며, 받침틀의 양측에는 좌우집게를 전후로 나란히 설치하여서 된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10)의 전방프레임(13)과 이동체(40) 사이에 전방프레임(13)측의 권취봉(52)에 권취되어 상기 권취봉과 연결되는 토크모터(51)에 의해 팽팽한 긴장감이 주어지는 받침띠(50)를 연결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2. 삭제
  3. 삭제
KR1020090012365A 2009-02-16 2009-02-16 자수기 KR100922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65A KR100922080B1 (ko) 2009-02-16 2009-02-16 자수기
PCT/KR2009/006636 WO2010093110A1 (ko) 2009-02-16 2009-11-12 자수기
US13/058,906 US20110290166A1 (en) 2009-02-16 2009-11-12 Embroider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65A KR100922080B1 (ko) 2009-02-16 2009-02-16 자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2080B1 true KR100922080B1 (ko) 2009-10-16

Family

ID=4156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365A KR100922080B1 (ko) 2009-02-16 2009-02-16 자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90166A1 (ko)
KR (1) KR100922080B1 (ko)
WO (1) WO201009311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4216A (zh) * 2012-05-22 2012-10-03 浙江越隆缝制设备有限公司 精准、稳定驱动框架的绣花机
KR101661294B1 (ko) * 2015-07-30 2016-09-29 주식회사 비엠오 주름 및 에어포켓 방지형 연단기 및 그 연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65150A1 (en) 2013-11-14 2016-09-15 Alberto Landoni Multi-needle quilt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quilting method
ITMI20131892A1 (it) * 2013-11-14 2015-05-15 Alberto Landoni Macchina trapuntatrice multiaghi e relativo metodo di trapuntatura
CN106395474A (zh) * 2015-08-05 2017-02-15 绍兴瑞群纺织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数码印花机的进布装置
KR101777576B1 (ko) 2015-11-20 2017-09-26 안동선 웨이브형 장식사 형성장치
CN107398727B (zh) * 2017-08-21 2019-04-02 诸暨玛雅电器机械有限公司 绣花机构件精确定位安装方法
IT201700117062A1 (it) * 2017-10-17 2019-04-17 Corrado Pedroni Macchina da ricamo di un tessuto
CN107904808A (zh) * 2017-12-21 2018-04-13 陈伯尧 一种电脑刺绣机的可调节绣框装置
CN113355814B (zh) * 2021-06-11 2022-10-14 三威龙(福建)服饰织造有限公司 一种服装加工系统及加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4780U (ja) * 1982-06-19 1983-12-24 近藤 篤重 縫製装置
JPS63139585A (ja) 1986-12-01 1988-06-11 プリンスミシン株式会社 布団等のミシン装置
KR200323787Y1 (ko) * 2002-12-02 2003-08-19 이근철 누비기
KR100689600B1 (ko) * 2006-07-10 2007-03-02 김태기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3875A (en) * 1964-07-27 1967-11-21 Maxwell R Karge Linear motion bearing assembly
US3354850A (en) * 1965-08-25 1967-11-28 Wayne G Story Feed control mechanism for quilting machine arrangement
US4501208A (en) * 1982-09-16 1985-02-26 Meca S.A.S. Di Cagnoni Landoni S.C. Process for the bidirectional feeding of fabrics in quilting machines, and a machine utilizing this process
US4627369A (en) * 1983-06-27 1986-12-09 Conrad Industries, Inc. System for improving embroidered articles
IT1290697B1 (it) * 1997-02-24 1998-12-10 Resta Srl Apparecchiatura per il taglio e la bordatura di panni, in particolare per la fabbricazione di trapunte, imbottite e simili.
US5913275A (en) * 1997-12-16 1999-06-22 Flynn; John F. Multiple use quilting frame
KR100586643B1 (ko) * 1998-04-15 2006-06-07 파프 인두스트리마쉬넨 베르트리브스 게엠베하 재봉 또는 자수 기계
JP2000271363A (ja) * 1999-03-23 2000-10-03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枠駆動装置
JP2001000768A (ja) * 1999-04-21 2001-01-09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枠駆動装置
US6509175B2 (en) * 2001-04-11 2003-01-21 Incyte Genomics, Inc. cDNA librarie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US6631688B1 (en) * 2002-04-24 2003-10-14 John D. Maag Quilting rack for sewing machines
JP2004049481A (ja) * 2002-07-18 2004-02-19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頭ミシン
DE102005034400B4 (de) * 2005-07-22 2010-09-23 Airbu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aservorformlings mit einer nahezu beliebigen Oberflächengeometrie im TFP-Verfahr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4780U (ja) * 1982-06-19 1983-12-24 近藤 篤重 縫製装置
JPS63139585A (ja) 1986-12-01 1988-06-11 プリンスミシン株式会社 布団等のミシン装置
KR200323787Y1 (ko) * 2002-12-02 2003-08-19 이근철 누비기
KR100689600B1 (ko) * 2006-07-10 2007-03-02 김태기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4216A (zh) * 2012-05-22 2012-10-03 浙江越隆缝制设备有限公司 精准、稳定驱动框架的绣花机
KR101661294B1 (ko) * 2015-07-30 2016-09-29 주식회사 비엠오 주름 및 에어포켓 방지형 연단기 및 그 연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3110A1 (ko) 2010-08-19
US20110290166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080B1 (ko) 자수기
KR100689600B1 (ko)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CN108978053B (zh) 一种智能数控电脑绗缝机
KR20090008947A (ko)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
EP0481180B1 (en) Quilting apparatus
JP3958282B2 (ja) 多軸回転式クリール及びサンプル整経機並びに整経方法
CN116654713B (zh) 一种纱线生产用卷绕装置及其卷绕工艺
CN211394897U (zh) 一种多机头电脑绣花机
JP2592583Y2 (ja) 多針式刺繍ミシン
JP3954554B2 (ja) 直列ヤーンガイド機構付サンプル整経機及び整経方法
JP2000136488A (ja) コードの供給方法とゴム被覆設備
JP2006274463A (ja) 刺繍機の原反供給装置
KR100635029B1 (ko) 카카스용 텍스타일 원단 프리킹 장치
CN2658188Y (zh) 多头电脑绗、绣一体机
JP2000199143A (ja) 布帛製造における整経方法とエクスパンションコム
CN210458431U (zh) 一种缫丝机自动抽丝装置
CN201099751Y (zh) 宽幅双排电脑绣花机
US20110030599A1 (en) Supply device
CN214831033U (zh) 一种锁边机
WO2008007831A1 (en) Cloth tensioning apparatus in embroidering machine
CN216272409U (zh) 一种高韧度梭织面料用络丝机
JPH04352855A (ja) 糸引き通し方法及び糸引き通し方法用の糸供給装置
KR101000343B1 (ko)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CN113023446A (zh) 一种生产无纺布的布料张力控制设备
KR101218240B1 (ko) 멀티형 고메즈 자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