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600B1 -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 Google Patents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600B1
KR100689600B1 KR1020060107350A KR20060107350A KR100689600B1 KR 100689600 B1 KR100689600 B1 KR 100689600B1 KR 1020060107350 A KR1020060107350 A KR 1020060107350A KR 20060107350 A KR20060107350 A KR 20060107350A KR 100689600 B1 KR100689600 B1 KR 10068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uide
tongs
air cylinder
embroid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기
이상복
김제봉
노석홍
Original Assignee
김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기 filed Critical 김태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8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horizontal needles
    • D05C9/10Work holders or carriers
    • D05C9/12Holding or stretching arrangements for the base fabric in embroidery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단(B)의 y축방향이동과 헤드(10)의 x축방향이동으로 자수작업이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은 원단공급롤러(2)와 원단권취롤러(4)가 갖는 토크모터(6)(8)에 의해 이동방향으로 긴장감이 부여되도록 구성되는 자수기(A)에 있어, 자수부 양측에 LM가이드(18)(20)를 따라 전후좌우작동하고 또 감지센서(28)(30)에 의해 전후이동거리가 주어지는 집게(26)를 좌우에 설치하고, 상기 좌우집게(26)의 내측 상부에는 각각 좌우집게(26)를 피해 설치되는 가압대(32)의 가압부(32a)가 위치하도록 하여 좌우집게(26)가 자수부에 위치한 원단(B)의 양측을 집고 당겨서 x축방향으로 상시 일정한 긴장감이 주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해당부위의 자수로 집게가 전방으로 치우치게 되면 감지센서의 감지로 자수작업의 일시중지 및 좌우가압대(32)에 의한 원단(B)의 가압고정하에서 집게(26)가 복귀하여 그 복귀점에서 다시 원단(B)을 집고 당겨서 긴장감이 주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자수작업시 원단(B)의 x축방향으로도 상시 일정한 긴장감을 부여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TEXTILES STRETCHING DEVICE OF EMBROIDERY MACHINE}
도 1 :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요부사시도
도 4 : 본 발명의 요부확대사시도
도 5 : 본 발명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요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자수기 (B)--원단
(2)--원단공급롤러 (4)--원단권취롤러
(6)(8)--토크모터(torque motor) (10)(12)--원단이송롤러
(14)--헤드 (16)--원단확포롤러
(18)(20)--LM가이드 (22)(24)--수평에어실린더
(26)--집게 (28)(30)--감지센서
(32)--가압대 (32a)--가압부
(34)--안내편 (36)--안내봉
(38)--연결대 (40)--안내봉
(42)(44)--수직에어실린더
본 발명은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원단의 x축방향으로도 상시 일정한 긴장감을 부여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수기에 대하여는 이미 헤드가 x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면서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실용신안등록 제223005호와, 상기한 자수기를 이용한 자수작업시 원단에 x,y축 양방향으로 긴장감을 부여해 줄 수 있도록 한 공개특허 제2005-111523호등을 제공한바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2005-111523호는 공급되는 원단이 y축방향으로는 원단공급롤러와 원단권취롤러가 갖는 토크모터(torque motor)에 의해 긴장감이 부여되게 하고, x축방향으로는 전후 원단이송롤러 사이의 자수부에 좌우로 설치되는 수개의 긴 탬플(temple)에 의해 긴장감이 부여되게 한 것으로서, 이는 토크모터가 갖는 특성상 y축방향으로는 전체적으로 적절한 긴장감을 부여해 줄 수가 있으나, x축방향으로의 긴장감부여는 만족한 결과를 얻기 어렵다.
왜냐하면 탬플은 긴 지지봉에 촘촘히 형성되는 경사진 안내홈에 각기 침봉이 빙둘러 형성되는 확포링을 끼워 설치하여 원단이 탬플과의 접촉상태에서 y축방향으로의 움직임시 원단에 꽂힌 침봉에 의한 확포링의 회전으로 x축방향으로 당김이 주어지게 되므로 탬플을 길게 형성해 주어야만 원단에 충분한 당김이 주어지게 되나 탬플이 길게 형성될수록 그 침봉에 의한 원단의 손상이 심해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또 봉형으로 이루어진만큼 원단은 탬플과의 접촉부만 당김이 주어지게 되는데 이는 여러개의 탬플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해결해 줄 수 있다 하겠으나, 여러개의 탬플이 설치될 경우 원단의 손상율은 더욱 높아지게 됨은 물론 헤드가 갖는 니들을 피해 설치해 주어야 하는만큼 x축방향으로는 원단의 당김에 의한 긴장감부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가 없게 된다.
특히 탬플에 의한 원단의 당김시 그 당김폭은 탬플이 갖는 확포링의 회전수와 비례하게 되므로 원단에 자수되는 무늬모양이 복잡하여 원단의 전후이동횟수가 증가할수록 원단에 주어지는 긴장감은 더해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무늬모양이 간단하거나 또는 무늬사이에 갖는 공간부가 넓어 원단의 전후이동횟수가 감소할수록 원단에 주어지는 긴장감은 완화되므로 결국 원단의 x축방향으로는 적절한 긴장감을 지속시켜 주기 어려울뿐 아니라 부분적인 긴장감 차이 등으로 자수무늬의 변형을 가져와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필요이상의 긴장감이 주어질시 탬플의 침봉에 의한 원단의 손상이 가중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더욱 떨어뜨리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원단의 손상없이 x축방향으로도 상시 적절하고 일정한 긴장감을 부여해 줄 수가 있어 고품질의 자수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가 위치하는 자수부 양측에 각각 LM가이드에 의해 전후좌우 작동하는 긴 집게를 갖도록 하여 상기 좌우집게가 원단의 양끝을 집고 당겨서 x축방향으로 적절한 긴장감이 주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원단을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계속되는 자수작업으로 집게가 전방으로 치우치게 되면 감지센서의 감지로 좌우가압대가 원단의 양측을 가압하여 긴장감이 유지되게 한 상태에서 집게가 복귀하여 그 복귀점에서 다시 원단의 양측을 집고 당겨서 긴장감을 유지시켜 주어지도록 한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자수기(A)는 원단공급롤러(2)와 원단권취롤러(4)가 각각 토크모터(torque motor)(6)(8)에 의해 회전하고, 전후 원단이송롤러(10)(12) 사이에 갖는 헤드(14)는 x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원단공급롤러(2)와 전방원단이송롤러(10) 사이에 원단확포롤러(16)를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또 수개의 원단공급롤러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누비기로서의 기능을 만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헤드(14)가 갖는 니들은 필요에 따라 1열 또는 2열이상으로 배열형성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헤드(14)가 위치하는 자수부의 원단(B) 양측에 각각 LM가이드(18)(20)와 수평에어실린더(22)(24)에 의해 전후좌우로 작동하는 집게(26)가 좌우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집게(26)는 그 전후에 갖는 감지센서(28)(30)에 의해 전후작동거리가 주어지며, 좌우집게(26)의 인근에는 각각 가압대(32)가 상하로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좌우가압대(32)의 가압부(32a)가 좌우집게(26)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좌우집게(26)를 전후좌우 작동시켜 주는 LM가이드(18)(20)는 안정감을 얻기 위하여 좌우측에 각각 두쌍씩이 설치되는데 그 중 좌우로 작동하는 LM가이드(20)는 레일을 통하여 프레임의 상면에 나란히 연결설치되게 하고 좌우로 마주하는 블럭의 내측에는 각각 프레임 상의 안내편(34)을 관통하는 적정길이의 안내봉(36)이 연결되게 하여 상기 좌우안내봉(36) 사이에 수평에어실린더(24)를 연결설치해 주므로서 상기 수평에어실린더(24)의 작동으로 LM가이드(20)의 블럭이 레일을 따라 좌우로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후로 작동하는 LM가이드(18)는 레일을 통하여 좌우로 작동하는 LM가이드(20)의 블럭 상에 전후로 나란히 연결설치되는데 상기 LM가이드(18)가 갖는 좌우블럭 간에는 연결대(38)가 연결되게 하고, 상기 연결대(38)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수평에어실린더(22)와 안내봉(40)이 연결설치되게 하여 집게(26)의 전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수평에어실린더(22)의 작동시 집게(26)의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좌우집게(26)는 각각 상하집게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후로 비교적 길 게 형성되어 전후LM가이드(18)의 블럭 사이에 연결편을 통하여 연결설치되는데 좌우집게(26)의 하부집게는 각각 연결편에 연결고정되고 상부집게는 하부집게 저면에 연결설치되는 수직에어실린더(42)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에어실린더(42)에 의해 집게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집게(26)의 집게부는 요철을 갖도록 하고 또 그 몸체부는 안내홈과 안내돌부에 의해 결합되게 하여 전후로 긴 상하집게에 전체적으로 고른 힘이 작용하여 집게작동이 안정감있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우가압대(32)는 프레임 상면에 직립고정되는 수직에어실린더(44)에 연결편을 통하여 전후로 긴 가압부(32a)를 연결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그 가압부(32a)는 집게(26)의 작동공간을 피해 집게(2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감지센서(28)(30)는 집게(26)의 전후에 상기 집게와 적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집게(26)와 가압대(32)가 갖는 에어실린더(22)(24)(42)(44)와 함께 자수기(A)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접속되게 하여 제어기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누비작업과 연관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기와 프로그램은 상용화된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집게(26)를 전후좌우로 작동시켜주는 LM가이드(18)(20)는 각기 독립된 수평에어실린더(22)(24)에 의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상기 LM가이드(18)(20)가 각기 독립된 수평에어실린더(22)(24)에 의해 작동되게 할 경우 전후로 작동하는 LM가이드(18)의 블럭은 상기 블럭의 안내편을 관통하는 연결대(38)로 연결되게 하여 전후동시작동되게 하고 또 그 안내편을 관통하는 연결대(38)의 단부에 멈춤링(38a)을 형성하여 좌우집게(26)의 벌어짐폭이 멈춤링에 의해 제어되도록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역시 좌우집게(26)와 가압대(32)가 갖는 에어실린더(22)(24)(40)(42)가 제어기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집게(26)의 전후좌우작동이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공급된 원단(B)이 y축방향으로는 원단공급롤러(2)와 원단권취롤러(4)가 갖는 토크모터(6)(8)에 의해 긴장감이 주어진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원단(B)의 x축방향으로는 좌우집게(26)에 의해 긴장감이 부여되는데 상기 좌우집게(26)는 고정된 하부집게로부터 수직에어실린더(42)에 의한 상부집게의 상승상태에서 좌우로 작동하는 LM가이드(20)의 블럭이 각각 수평에어실린더(24)에 의해 레일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벌어진 상하집게 사이로 원단(B)의 양끝이 진입하게 되고, 이후 수직에어실린더(42)에 의한 상부집게의 하강으로 좌우집게(26)가 원단(B)의 양끝을 집게 되며, 이후 좌우집게(26)가 수평에어실린더(24)의 작동으로 LM가이드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원단(B)의 x축방향으로 적절한 긴장감이 부여된다.
이때 LM가이드(20)를 작동하는 수평에어실린더(24)는 LM가이드의 좌우 블럭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있어 좌우집게(26)에 주어지는 외측으로의 이동거리는 좌우동등한 거리가 아닌 상기 좌우집게(26)가 집고 있는 원단(B)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 원단(B)은 y축방향으로의 이동위치를 고수하면서 x축방향으로 적절한 긴장감이 주어지게 된다.
또한 좌우집게(26)는 헤드(14)가 갖는 니들의 간섭을 피해 원단(B)의 양끝을 집게 되고 또 전후로 길이가 긴만큼 자수부에 위치한 원단(B)을 전체적으로 집고 당겨서 일정한 긴장감을 부여해 주게 된다.
또한 좌우집게(26)에 의해 x축방향으로 긴장감이 주어진 원단(B)은 원단공급롤러(2)와 원단권취롤러(4)에 의한 y축방향이동과 니들을 갖는 헤드(14)의 x축방향이동으로 자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원단(B)이 y축방향으로 이동할시 그 원단(B)의 양끝을 집고 당겨서 x축방향으로 적절한 긴장감을 부여하는 좌우집게(26)는 전후LM가이드(18)가 갖는 수평에어실린더(22)의 에어밸브를 개방시켜 주는 것으로 그 원단(B)을 따라 y축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계속되는 자수작업으로 집게(26)가 점차 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감지센서(30)에 감지되면 제어기는 자수작업을 일시중지시켜 줌과 동시에 수직에어실린더(44)를 하강작동시켜서 좌우가압대(32)의 가압부(32a)가 좌우집게(26)의 내측에서 원단(B)의 양측을 가압고정하여 긴장감이 유지되게 하고, 이후 수직에어실린더(42)에 의한 좌우집게(26)의 벌어짐과 수평에어실린더(22)에 의한 LM가이드(18)의 작동으로 후퇴하여 복귀하게 되고 그 복귀점에서 다시 LM가이드(20)에 의한 내측으로의 이동 및 집게(26)의 집게작동으로 원단(B)의 양끝을 집은 상태에서 가압대(32)의 가압부(32a)가 상승되게 함과 동시에 좌우집게(26)를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원단(B)에 x축방향으로 적절한 긴장감이 재 부여되게 한 다음 자수작업을 재개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수기 외에 여러개의 원단공급롤러를 갖는 누비기에도 적용할 수가 있고 또 헤드가 갖는 니들은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설치해 줄 수도 있으며, 특히 좌우집게(26)는 전후좌우로 작동하는 LM가이드(18)(20)를 통하여 연결설치되어 원단(B)의 양측을 집어서 x축방향으로 긴장감있게 당긴 상태에서 원단을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면 만족하므로 그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면 모두 동일기술범주 내에 속한다 한 것임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후로 긴 좌우집게(26)가 각각 원단(B)의 양끝을 집은 상태에서 외측으로 이동하여 x축방향으로 적절한 긴장감이 부여되도록 하므로서 x축방향으로의 긴장감부여시 원단의 손상우려가 전혀 없고 또 자수무늬의 복잡성에 관계없이 자수부에 위치한 원단에 전체적으로 상시 일정한 긴장감을 지속적으로 부여해 줄 수가 있어 자수작업 중 원단의 긴장감 차이로 인한 자수무늬의 변형없이 고품질의 자수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전후원단이송롤러 사이의 자수부에 갖는 헤드가 x축방향으로 변위운동하고, 원단공급롤러와 원단권취롤러는 토크모터를 갖는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자수부의 원단(B) 양측에 수평에어실린더(24)에 의해 좌우로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LM가이드(20)와;
    상기 LM가이드(20)상에 수평에어실린더(22)에 의해 전후로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LM가이드(18)와;
    상기 LM가이드(18)상에 연결설치되는 좌우집게(26)와;
    상기 좌우집게(26)의 전후에 설치되어 집게의 전후작동거리를 제어하는 감지센서(28)(30)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집게(26) 인근에 각각 수직에어실린더(44)에 의해 작동하는 가압대(32)를 설치하여 상기 가압대가 갖는 가압부(32a)가 각각 좌우집게(2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M가이드(20)를 좌우로 작동시켜 주는 수평에어실린더(24)는 좌우LM가이드(20) 사이에 연결설치되게 하여 상기 좌우LM가이드(20)가 좌우로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M가이드(18)를 작동시켜 주는 수평에어실린더(22)는 LM가이드(18)를 연결하는 연결대(38)에 연결설치되게 하여 좌우LM가이드(18)가 전후로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집게(26)는 각각 LM가이드(18)의 블럭에 연결고정되는 하부집게와, 상기 하부집게가 갖는 수직에어실린더(42)에 의해 상하작동하는 상부집게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M가이드(18)(20)는 각기 독립된 수평에어실린더(22)(24)에 의해 작동되게 하고, LM가이드(18)가 갖는 좌우블럭은 안내편을 관통하는 연결대(38)로 연결되게 하여 전후동시작동되게 하며, 상기 좌우안내편을 관통한 연결대(38)의 양단부에는 좌우집게의 벌어짐폭을 제어하는 멈춤링(38a)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KR1020060107350A 2006-07-10 2006-11-01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KR100689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73 2006-07-10
KR20060064573 2006-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600B1 true KR100689600B1 (ko) 2007-03-02

Family

ID=3810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350A KR100689600B1 (ko) 2006-07-10 2006-11-01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9600B1 (ko)
CN (1) CN10148462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080B1 (ko) * 2009-02-16 2009-10-16 김태기 자수기
KR101000343B1 (ko) 2008-04-01 2010-12-13 김태기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CN107354622A (zh) * 2016-05-10 2017-11-17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绗绣机自动夹布装置
KR20180115765A (ko) * 2016-02-23 2018-10-2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비강성 재료 다중 프레임 제조 장치
KR102326271B1 (ko) * 2020-05-27 2021-11-15 태평양물산주식회사 재봉용 원단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1608A1 (en) * 2009-11-19 2011-05-26 Rajkumar Lakshman Vertical embroidery machine
CN105129473B (zh) * 2015-09-28 2017-04-19 江苏润源控股集团有限公司 绣花机的送布机构
CN106012357B (zh) * 2016-07-11 2018-04-24 江苏大岛机械集团有限公司 刺绣加工中心
CN107090676B (zh) * 2017-05-26 2019-08-30 杭州华业纺织有限公司 一种刺绣机及其卷布框
CN107447358A (zh) * 2017-09-12 2017-12-08 海宁市新益毛绒有限公司 一种经编机托布机构
IT201700117062A1 (it) * 2017-10-17 2019-04-17 Corrado Pedroni Macchina da ricamo di un tessuto
CN108060519B (zh) * 2018-01-29 2020-11-10 台州市翼翔科技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刺绣机械用夹紧装置
CN108166180A (zh) * 2018-02-07 2018-06-15 严伟强 一种张紧进料模切式自动绣花机及其操作方法
CN112796046B (zh) * 2020-12-17 2022-07-26 浙江绅仕镭集团有限公司 可调式多头龙门机桁架防松送料机构
CN113789617B (zh) * 2021-08-27 2022-08-23 诸暨轻工时代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智能夹布设备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95Y1 (ko) * 2001-12-05 2002-03-15 박종현 원단확포인출 안내장치
KR200282796Y1 (ko) * 2002-04-08 2002-07-23 강석태 자수장치용 원단 이송구조
KR200302731Y1 (ko) * 2002-10-12 2003-01-30 이상희 누비용 원단 권취장치
KR100589558B1 (ko) * 2005-11-01 2006-06-19 주식회사 휴먼텍스 원단 이송장치의 원단 미끄럼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6915A1 (de) * 1993-05-20 1994-11-24 Saurer Sticksysteme Ag Spannrahmen-Führung und -antrieb für Stickmaschinen
JP2001129280A (ja) * 1999-08-24 2001-05-15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95Y1 (ko) * 2001-12-05 2002-03-15 박종현 원단확포인출 안내장치
KR200282796Y1 (ko) * 2002-04-08 2002-07-23 강석태 자수장치용 원단 이송구조
KR200302731Y1 (ko) * 2002-10-12 2003-01-30 이상희 누비용 원단 권취장치
KR100589558B1 (ko) * 2005-11-01 2006-06-19 주식회사 휴먼텍스 원단 이송장치의 원단 미끄럼 방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343B1 (ko) 2008-04-01 2010-12-13 김태기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KR100922080B1 (ko) * 2009-02-16 2009-10-16 김태기 자수기
WO2010093110A1 (ko) * 2009-02-16 2010-08-19 Kim Tae Ki 자수기
KR20180115765A (ko) * 2016-02-23 2018-10-2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비강성 재료 다중 프레임 제조 장치
KR102144417B1 (ko) * 2016-02-23 2020-08-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비강성 재료 다중 프레임 제조 장치
CN107354622A (zh) * 2016-05-10 2017-11-17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绗绣机自动夹布装置
KR102326271B1 (ko) * 2020-05-27 2021-11-15 태평양물산주식회사 재봉용 원단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84625A (zh) 2009-07-15
CN101484625B (zh)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600B1 (ko)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JP7438250B2 (ja) タフティング機およびタフティングの方法
KR100922080B1 (ko) 자수기
KR100222255B1 (ko) 실 가공 기계, 특히 실 교환 장치를 가지는 자수 기계
JP2018534443A (ja) 彫刻を施したような多重パイル高さパターン化物品をタフト付き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073045B (zh) 用于可变或多隔距簇绒的背衬移位器
EP1496146A1 (en) Machine for producing loom-woven fabrics decorated by embroidering or by applying decorative elements such as sequins, beads, cordonnets, tapes or the like
IT9021302A1 (it) Apparecchio di alimentazione del filato per macchina per maglieria rettilinea a intarsio
JPH0235078B2 (ko)
CN210066155U (zh) 一种绗缝机的机头上部
CN102051767B (zh) 多头刺绣机及其所用的拉幅框
US9051672B2 (en) Tufting machine for producing a precise graphic design
CN205062364U (zh) 一种经编绣花一体机
KR100272351B1 (ko)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N204199022U (zh) 一种服装多头绗绣机
CN2658188Y (zh) 多头电脑绗、绣一体机
US3407764A (en) Sewing method and linear punching multi-needle machine therefor
WO2008007831A1 (en) Cloth tensioning apparatus in embroidering machine
KR101000343B1 (ko) 자수기의 원단당김장치
CN113795621B (zh) 一种织物绗缝机
CN217104388U (zh) 一种防褶皱高品质提花布用印染装置
JP2607218B2 (ja) タフティング機のパイル糸打込装置
CN110144676B (zh) 刺花机的针板组件结构
CN210975312U (zh) 一种强捻纱花瑶绉机器印花检测装置
JPH11279928A (ja) タフテッド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