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517B1 -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517B1
KR100919517B1 KR1020070126184A KR20070126184A KR100919517B1 KR 100919517 B1 KR100919517 B1 KR 100919517B1 KR 1020070126184 A KR1020070126184 A KR 1020070126184A KR 20070126184 A KR20070126184 A KR 20070126184A KR 100919517 B1 KR100919517 B1 KR 10091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black garlic
cheonggukjang
powder
white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362A (ko
Inventor
조용미
Original Assignee
조용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미 filed Critical 조용미
Priority to KR102007012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5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Abstract

본 발명은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국장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흑마늘 10~70중량부 및 다시마 분말 10~5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환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환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청국장 분말은 흰 콩을 5~6시간 동안 삶는 단계; 상기 삶은 흰 콩을 건져 40~45℃ 온도의 황토방에서 45~50시간 동안 띄워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흰 콩을 35~40℃ 온도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흰 콩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흑마늘은 생마늘을 편백나무 함에 넣고 20~25℃ 온도에서 30~40일 동안 숙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청국장 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ill of grinded mixture of fermented soybeans}
본 발명은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마늘을 숙성하여 제조한 흑마늘과 흰 콩을 발효시켜 분쇄하여 얻은 청국장 분말을 혼합하고, 여기에 선택적으로 다시마 분말을 더 첨가한 후, 이를 섭취하기 용이한 환의 형태로 제조하는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늘(Allium sativum L.)은 파, 양파, 부추, 달래 등과 함께 식물분류학적으로 백합과(Liliaceae) 알리움속(Allium)에 속하는 다년생 구군 식물로 5천 년 이상 재배되어 온 인류 최초의 경작식물 중 하나이다. 마늘의 1차 기원지는 중앙아시아, 2차 기원지는 지중해 지역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여기로부터 세계로 보급되어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이집트의 단편 기록에 따르면 마늘의 22가지 이용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심장질환, 두통, 종양, 기생충 등에 대하여 적용하였음이 언급되어 있어 식품으로뿐만 아니라 민간의약품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마늘은 약 60% 정도의 수분, 28% 탄수화물(주로 프록탄), 2.3% 유기 황화합물, 2% 단백질(주로 알리나제), 1.2% 유리 아미노산(주로 아르기닌), 1.5% 섬유소, 0.15% 지방, 소량의 피친산(Phytic Acid, 0.08%), 사포닌(0.07%), 그리고 시토스테롤(0.0015%) 등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A, B1, B2, C 등의 비타민류와 칼슘, 칼륨, 구리, 아연, 게르마늄, 철, 마그네슘, 망간, 인, 황, 셀레늄 등의 무기물도 미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마늘의 효능으로는 살균 및 항균작용,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작용, 고혈압 및 당뇨 개선 작용, 아토피성 피부염의 알레르기 억제 작용, 정장 및 소화 촉진 작용 등이 있으며, 특히 마늘은 인체 세포를 활성화하므로 암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진 마늘을 섭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한가지 방법으로 생마늘을 일정기간 동안 알맞은 온도 및 습도 조건에서 숙성시켜 섭취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숙성되어 마늘의 색깔이 검은색으로 변한 것을 흑마늘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흑마늘은 생마늘에 비하여 항산화력이 현저하게 상승하고, 암 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동맥경화개선, 심장질환의 예방 등의 효과가 생마늘보다 현저하게 증가되며, 폴리페놀류의 함량이 증가하여 생마늘에는 존재하지 않는 S-아릴시스테인이라는 수용성의 유황 아미노산이 생성된다.
또한, 마늘을 숙성시킴으로써 냄새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황화합물이 줄어들기 때문에, 먹은 후에 입에서 마늘냄새가 몸속에서부터 진동하는 마늘 특유의 불쾌감이 전혀 없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청국장은 무르게 익힌 콩을 뜨거운 곳에서 납두균이 생기도록 띄워 만든 한국 된장으로, 청국장에는 레시틴과 사포닌이란 성분이 많이 들어있어 이 성분들로 인하여 체내의 과다한 지방을 흡수해 몸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이 있으며, 청국장에는 그냥 콩 보다 훨씬 많은 섬유질이 함유되어 있고, 장내까지 도달할 수 있는 유익한 균이 많아 변비개선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다시마는 크게 잎, 줄기 및 뿌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사리나 버섯처럼 포자로 번식을 하는 바다생물이다. 잘 알려져 있는 다시마의 효능은 다시마에 포함되어 있는 양질의 섬유질이 장의 활동을 원활히 하여 대장기능을 개선해 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다시마는 흔히 미네랄의 보고, 완전식품 등으로 불리는데, 그 이유는 신체의 신진대사에 중요한 요오드, 칼슘, 칼륨 등 수많은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실러스 균을 함유한 청국장 분말과 활성산소 제거 효소인 SOD 및 항산화 물질인 S-아릴시스테인 등을 함유한 흑마늘을 혼합하고, 여기에 선택적으로 미네랄을 다량 함유한 다시마를 첨가하여 환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마늘 또는 청국장이 가진 특유의 냄새 및 맛으로 인해 섭취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의 섭취를 통하여 청국장과 흑마늘, 그리고 다시마가 가진 효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은 청국장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흑마늘 10~7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환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환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청국장 분말은 흰 콩을 5~6시간 동안 삶는 단계; 상기 삶은 흰 콩을 건져 40~45℃ 온도의 황토방에서 45~50시간 동안 띄워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흰 콩을 35~40℃ 온도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흰 콩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흑마늘은 생마늘을 편백나무 함에 넣어 20~25℃ 온도에서 30~40일 동안 숙성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청국장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다시마 분말 10~50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은, 장 기능 개선 및 혈액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는 바실러스균을 함유한 청국장 분말과 활성산소 제거 효소인 SOD 및 항산화 물질인 S-아릴시스테인 등을 함유한 흑마늘이 혼합되어 제조된 것이며, 여기에 선택적으로 인체에 유익한 섬유질 및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다시마 분말을 첨가하여 건조한 환으로 제조함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섭취자들이 거부감을 나타내는 청국장과 마늘이 갖는 특유의 냄새 및 맛을 제거하여 섭취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또한 환 형태는 그 휴대가 편리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청국장 분말을 제조하여야 한다.
상기 청국장 분말은 흰 콩을 이용하여 제조하는데, 흰 콩을 준비하여 세척한 후, 이를 무쇠 솥에 넣어 끓는 물에서 5~6시간 동안 삶는다. 특히 상기 흰 콩이 황토색이 될 때까지 삶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삶아진 흰 콩을 건져서 황토방에서 45~50시간 동안 띄워 숙성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황토방의 온도는 40~45℃인 것이 바람직하며, 황토방의 온도가 40℃보다 낮으면 흰 콩의 숙성이 원활히 일어나지 않으며, 45℃보다 높으면 숙성된 흰 콩의 맛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흰 콩을 황토방에서 띄우면 충분한 양의 바실러스균이 생성되어 장 기능 개선 및 혈액순환 개선에 있어 효능이 뛰어난 청국장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황토방에서 숙성된 흰 콩은 35~40℃의 저온에서 2~4일 동안 건조하여, 이를 분말화함으로써 청국장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청국장 분말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에서 제조한 청국장 분말과 흑마늘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혼합되는 상기 청국장 분말과 흑마늘의 비율은 청국장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흑마늘 10~7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국장 분말과 흑마늘의 혼합물을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환의 형태로 성형하고, 성형된 환을 건조기에서 37~43시간 동안 건조하면,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이 완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청국장 분말에 첨가되는 흑마늘은 생마늘을 숙성하여 색깔이 검게 변한 마늘이며, 생마늘을 충분한 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므로, 생마늘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아린 맛과 매운 냄새가 제거될 뿐만 아니라, 숙성과정에서 마늘에 함유된 수분은 줄고 유효성분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흑마늘은 생마늘에 비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소인 SOD(Super Oxide Dismutase)의 함유량이 월등하게 높아 노화를 방지하고, 여러 가지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흑마늘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마늘에는 원래 존재하지 않는 항산화 물질인 S-아릴시스테인(S-Allylcysteine, SAC)이 생성되어 암 예방, 간 장애 예방, 암세포 증식 억제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이와 같은 효능을 갖는 흑마늘의 제조는, 생마늘을 20~25℃ 온도의 상온에서 30~40일 동안 숙성하여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생마늘의 숙성은 편백나무 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백나무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일반 소나무에 비해 3배 이상의 강한 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편백나무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 향이 생마늘 특유의 냄새를 억제하여 주는 효과를 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에는 다시마 분말을 더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첨가되는 다시마 분말의 양은 청국장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5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시마를 20~25℃의 상온에서 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첨가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다시마는 찬 성질이 있고, 청국장 및 마늘은 더운 성질이 있어 이들을 함께 섭취하면 서로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뿐만 아니라 청국장은 필요 이상의 요오드를 인체에서 배출하게 하는 작용을 하나, 다시마를 섭취함으로써 인체에 필요한 요오드를 보충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흑마늘을 함유한 청국장 환의 제조
본 실시예 1은 청국장 분말과 함께 흑마늘을 혼합한 후, 이를 이용하여 환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국장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흰 콩을 준비하여 무쇠솥에서 상기 흰 콩을 5시간 30분 동안 삶는다. 삶아진 흰 콩을 43℃의 황토방에서 48시간 동안 띄워 바실러스균이 생성되도록 한 다음, 이를 40℃에서 3일 동안 건조한 후, 분말로 제조하여 청국장 분말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청국장 분말 20kg과 편백나무 함에서 한 달 동안 숙성한 흑마늘 4k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을 섭취하기 용이한 환의 형태로 성형하여, 이를 건조기에서 40시간 동안 건조하여 완성물인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을 얻는다.
실시예 2: 흑마늘 및 다시마 분말을 함유한 청국장 환의 제조
본 실시예 2는 청국장 분말과 함께 흑마늘 및 다시마 분말을 혼합한 후, 이를 이용하여 환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국장 분말 및 흑마늘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청국장 분말 20kg과 흑마늘 4kg 및 다시마 분말 6k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을 섭취하기 용이한 환의 형태로 성형하여, 이를 건조기에서 40시간 동안 건조하여 완성물인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을 얻는다.

Claims (6)

  1. 흰 콩을 5~6시간 동안 삶는 단계, 상기 삶은 흰 콩을 건져 40~45℃ 온도의 황토방에서 45~50시간 동안 띄워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흰 콩을 35~40℃ 온도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건조된 흰 콩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청국장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생마늘을 20~25℃ 온도에서 30~40일 동안 편백나무 함에 넣어 숙성하여 제조되는 흑마늘 10~7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환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환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청국장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다시마 분말 10~50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070126184A 2007-12-06 2007-12-06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KR100919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184A KR100919517B1 (ko) 2007-12-06 2007-12-06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184A KR100919517B1 (ko) 2007-12-06 2007-12-06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362A KR20090059362A (ko) 2009-06-11
KR100919517B1 true KR100919517B1 (ko) 2009-09-28

Family

ID=4098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184A KR100919517B1 (ko) 2007-12-06 2007-12-06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5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66B1 (ko) 2010-01-26 2010-08-20 재 우 문 홍삼청국장의 제조방법
CN102669527A (zh) * 2012-05-25 2012-09-19 徐州绿之野生物食品有限公司 一种黑大蒜咀嚼片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97034B (zh) * 2010-03-26 2012-09-05 李昌浩 发酵黑蒜酱油及其制作方法
KR101331991B1 (ko) * 2011-05-09 2013-11-25 허승재 기능성 흑마늘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9870B1 (ko) * 2012-09-13 2014-09-23 영농조합법인 태영농수산 다시마와 청국장을 포함한 마늘 엑기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530364A (zh) * 2022-10-28 2022-12-30 育生(厦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黑蒜芝麻丸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23B1 (ko) * 2004-05-19 2006-07-03 순창골전통식품영농조합법인 매실과 다시마가 첨가된 청국장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5602A (ko) * 2006-03-22 2007-10-01 권오태 마늘청국장. 마늘가루청국, 및 마늘환청국장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23B1 (ko) * 2004-05-19 2006-07-03 순창골전통식품영농조합법인 매실과 다시마가 첨가된 청국장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5602A (ko) * 2006-03-22 2007-10-01 권오태 마늘청국장. 마늘가루청국, 및 마늘환청국장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66B1 (ko) 2010-01-26 2010-08-20 재 우 문 홍삼청국장의 제조방법
CN102669527A (zh) * 2012-05-25 2012-09-19 徐州绿之野生物食品有限公司 一种黑大蒜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2669527B (zh) * 2012-05-25 2013-09-25 徐州绿之野生物食品有限公司 一种黑大蒜咀嚼片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362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517B1 (ko) 흑마늘을 이용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CN104782712B (zh) 一种低糖低脂青钱柳叶饼干
KR101077592B1 (ko) 흑마늘을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788449B1 (ko) 모링가 송이버섯 발효차와 이의 제조방법
KR101935593B1 (ko) 기능성 흑울금 두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8406B1 (ko)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CN105326014A (zh) 一种腊味韭花酱
CN104543470A (zh) 一种竹林养洪山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152091B1 (ko) 팔보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61841A (ko) 유기질 비료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질 비료 용 효소 조성물
KR101951483B1 (ko) 산양삼을 이용한 메주 제조방법
KR101833389B1 (ko) 인동초가 함유된 국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국수
CN108391790A (zh) 一种酱香风味牛肉制品的制备方法
CN108552436A (zh) 一种泥鳅用防霉变促生长包膜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412218B1 (ko) 함초 현미죽의 제조방법
KR100604352B1 (ko) 장기 보존이 가능한 기능성 식물 함유 찰떡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183648A (zh) 一种羊肚菌调味料及其制备方法
CN108094968B (zh) 一种牡丹西梅果干及其制备方法
KR101089204B1 (ko) 흑마늘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101818555B1 (ko) 들깨를 이용한 메주와 된장 및 간장과 그 제조 방법
KR20180124476A (ko) 인삼향 가득한 삼계 영양비빔밥
KR102313648B1 (ko) 단풍취를 이용한 항비만 효능이 증진된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102004097B1 (ko) 이미 및 이취를 제거한 마늘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72080A (ko) 함초 추출물이 코팅된 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