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606B1 - 차량용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606B1
KR100918606B1 KR1020087004528A KR20087004528A KR100918606B1 KR 100918606 B1 KR100918606 B1 KR 100918606B1 KR 1020087004528 A KR1020087004528 A KR 1020087004528A KR 20087004528 A KR20087004528 A KR 20087004528A KR 100918606 B1 KR100918606 B1 KR 10091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ehicle
operation knob
scroll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462A (ko
Inventor
하지메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조작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에 표시되는 차재 기기에 관련된 조작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또한 차재 기기에 관련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선택·실행 수단을, 조작 노브 (30) 와 그것에 형성된 복수의 조작 스위치 (31, 32) 로 구성하고, 조작 노브 (30) 의 조작 및 복수의 스위치 (31, 32) 에 조작의 조합에 의해 조작 메뉴의 선택 및 기능의 실행을 지령하게 한다. 이로써, 조작 노브 (30) 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한 손의 조작으로 조작 메뉴의 선택 및 기능의 선택·실행을 단시간에 간단히 지령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조작 노브 (30) 를 좌우의 탑승자의 중간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조작 스위치 (31, 32) 를 조작 노브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였으므로, 좌우의 탑승자는 조작 노브 (30) 및 조작 스위치 (31, 32) 를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차재 기기에 대한 작동의 지령을 간단히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조작 장치{OPERAT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차재 기기에 관련된 조작 메뉴 및 기능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모니터에 표시되는 조작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과 함께, 모니터에 표시되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선택·실행 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 에어컨, 오디오 등의 차재 기기의 조작을, 모니터의 화면 상의 포인터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지령하는 것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에 이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누름에 의한 스위치 조작이 가능한 조작 노브를 형성하고, 이 조작 노브로 포인터를 이동시켜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 하기 특허 문헌 1 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57944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것은, 조작 노브를 눌러 스위치 조작을 실시하게 되어 있는데, 그 스위치 조작의 역할은 화면 상에서 포인터가 지시하는 항목의 선택 (이른바 실행 스위치) 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종의 차재 기기에 대하여 수많은 작동을 지령하는 조작이 번거로워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에 탑재된 차재 기기에 대한 수많은 작동의 지령을 간단히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된 차재 기기에 관련된 조작 메뉴 및 기능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모니터에 표시되는 조작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과 함께, 모니터에 표시되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및 실행시키는 선택·실행 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선택·실행 수단은 조작 노브와 그 조작 노브에 형성된 복수의 조작 스위치로 구성되고, 조작 노브의 조작 및 조작 스위치의 조작의 조합에 의해 조작 메뉴의 선택 및 기능의 선택·실행을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가 제안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특징에 추가로, 조작 노브는 좌우의 탑승자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조작 스위치는 조작 노브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가 제안된다.
또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또는 상기 제 2 특징에 추가로, 조작 스위치는 스크롤 스위치, 실행 스위치 및 캔슬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가 제안된다.
또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3 특징에 추가로, 스크롤 스위치 및 실행 스위치는, 조작 노브를 잡은 손의 손가락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가 제안된다.
또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3 특징에 추가로, 스크롤 스위치, 실행 스위치 및 캔슬 스위치 중 적어도 두 개를 동시에 조작함으로써, 단독으로 조작하는 경우와 별도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가 제안된다.
또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3 특징에 추가로, 차재 기기의 기능의 계층 전환 및 초기 화면에 대한 복귀의 양방을, 캔슬 스위치의 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가 제안된다.
또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6 특징에 추가로, 차재 기기의 기능의 계층 전환 및 초기 화면에 대한 복귀의 선택을, 캔슬 스위치의 조작 시간의 길이에 따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가 제안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모니터에 표시되는 차재 기기에 관련된 조작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또한 차재 기기에 관련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선택·실행 수단을, 조작 노브와 그것에 형성된 복수의 조작 스위치로 구성하고, 조작 노브의 조작 및 복수의 스위치에 조작의 조합에 의해 조작 메뉴의 선택 및 기능의 선택·실행을 지령하므로, 조작 노브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한 손의 조작만으로, 수많은 조작 메뉴의 선택 및 기능의 선택·실행을 단시간에 간단히 지령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조작 노브를 좌우의 탑승자의 중간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조작 스위치를 조작 노브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였으므로, 좌우의 탑승자는 조작 노브 및 조작 스위치를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조작 스위치를 스크롤 스위치, 실행 스위치 및 캔슬 스위치로 구성하였으므로, 스크롤 스위치로 모니터의 화면의 스크롤, 실행 스위치로 모니터에 표시된 기능의 선택·실행, 캔슬 스위치로 모니터에 표시된 기능의 계층의 복귀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르면, 스크롤 스위치 및 실행 스위치를 조작 노브를 잡은 손의 손가락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였으므로, 스위치 조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르면, 스크롤 스위치, 실행 스위치 및 캔슬 스위치 중 적어도 두 개를 동시에 조작하면, 단독으로 조작하는 경우와 별도의 기능을 발휘하므로, 스위치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르면, 캔슬 스위치의 조작으로 차재 기기의 기능의 계층 전환 및 초기 화면에 대한 복귀의 양방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따르면, 캔슬 스위치의 조작 시간의 길이에 따라 차재 기기의 기능의 계층 전환 및 초기 화면에 대한 복귀의 선택을 실시하므로, 차재 기기의 기능의 계층 전환 및 초기 화면에 대한 복귀의 일방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 은 자동차의 차실 전방부의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2 는 도 1 의 2 방향 화살표로 본 확대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3 은 도 2 의 3 방향 화살표로 본 도면이다. (제 1 실시예)
도 4 는 도 2 의 4 방향 화살표로 본 도면이다. (제 1 실시예)
도 5 는 도 4 의 5-5 선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6 은 도 5 의 6-6 선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7 은 도 5 의 7-7 선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8 은 도 5 의 8-8 선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9 는 도 5 의 9-9 선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10 은 가이드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기 도 9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제 1 실시예)
도 11 은 조작 노브의 경사 운동각과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 1 실시예)
도 12 는 메인 스위치 및 서브 스위치 기능의 설명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13 은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제 2 실시예)
도 14 는 도 13 의 14 방향 화살표로 본 도면이다. (제 2 실시예)
도 15 는 도 13 의 15-15 선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
도 16 은 메인 스위치 및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
부호의 설명
30 조작 노브
31 메인 스위치 (조작 스위치)
32 서브 스위치 (조작 스위치, 캔슬 스위치)
33 스크롤 스위치
34 실행 스위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용차의 운전석 (11) 및 조수석 (12)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터 콘솔 (13) 의 상면에 시프트 레버 (14) 가 배치되어 있고, 이 시프트 레버 (14) 의 후방에 인터페이스 장치 (15) 가 배치된다.
도 1 ∼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 (15) 는 상자형태의 케이싱 (16) 과, 그 상면을 덮는 커버 (17) 를 구비하고 있고, 케이싱 (16) 의 내부에 베이스 플레이트 (18) 가 4 개의 지지다리 (19) 를 통해 지지된다. 베이스 플레이트 (18) 의 상면에 세워 설치된 전후 한쌍의 지주 (20, 20) 사이에서 핀 (21, 21) 을 통해 프레임 형태의 아우터 짐벌 (22) 이 자유롭게 좌우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이 아우터 짐벌 (22) 의 내부에서 좌우 한쌍의 핀 (23, 23) 을 통해 판 형태의 이너 짐벌 (24) 이 자유롭게 전후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이너 짐벌 (24) 은 베이스 플레이트 (18) 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요동할 수 있다.
이너 짐벌 (24) 의 중심으로부터 상부 지축 (24a) 및 하부 지축 (24b) 이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부 지축 (24a) 의 상단 외부 둘레에 회전축 (25) 의 하단 내부 둘레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지고, 볼트 (26) 로 빠짐 방지된다. 회전축 (25) 의 상반부는, 커버 (17) 에 형성한 개구 (17a) 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된다. 회전축 (25) 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25a) 를 상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부 노브 반체 (27) 및 하부 노브 반체 (28) 가 끼워맞춰지고, 볼트 (29, 29) 로 일체로 체결된다. 상부 노브 반체 (27) 및 하부 노브 반체 (28) 는 협동하여 구상의 조작 노브 (30) 를 구성하고, 이 조작 노브 (30) 는 회전축 (25) 을 통해서 베이스 플레이트 (18) 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 (18) 와 함께 전후 좌우로 경사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노브 (30) 의 직경은 80㎜ 이고, 이 치수를 채용함으로써 조작 노브 (30) 를 사람의 손으로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조작 노브 (30) 는, 후측의 손바닥 유지부 (30a) 와, 전측의 손가락 유지부 (30b) 를 구비하고 있고, 손바닥 유지부 (30a) 및 손가락 유지부 (30b) 의 경계는 도 5 의 P 점이다. 이 P 점은, 조작 노브 (30) 를 자연스럽게 잡았을 때에, 검지 및 중지의 밑둥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조작 노브 (30) 의 전면에는 메인 스위치 (31) 가 형성되고, 조작 노브 (30) 의 좌우 양측면에는 한쌍의 서브 스위치 (32, 32) 가 형성된다. 메인 스위치 (31) 는 스크롤 스위치 (33) 와 실행 스위치 (34) 로 구성되고, 좌우 2 분할된 스크롤 스위치 (33) 는 회전축 (25) 의 전단 (前端) 에 지지된 지축 (35) 둘레로 회전할 수 있고, 2 분할된 스크롤 스위치 (33) 사이에 끼인 실행 스위치 (34) 는, 스크롤 스위치 (33) 의 지축 (35) 의 상방에 배치된 지축 (36) 둘레로 후방으로 요동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33) 의 회전각은 지축 (35) 과 회전축 (25) 사이에 형성된 로터리 엔코더 (37) 에 의해 검출되고, 실행 스위치 (34) 의 조작은 회전축 (25) 에 형성된 스위치 소자 (38) 에 의해 검출된다. 또 좌우의 서브 스위치 (32, 32) 는 주로 캔슬 스위치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조작은 회전축 (25) 에 형성된 스위치 소자 (39, 39) 에 의해 검출된다.
베이스 플레이트 (18) 의 중앙부에 부분 구상의 오목부 (18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 (18a) 에 8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별형의 가이드홈 (18b) 이 형성된다. 이너 짐벌 (24) 의 하부 지축 (24b) 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 (24c) 에 슬라이딩 부재 (40) 가 수납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 부재 (40) 는 하단에 형성된 반구상의 슬라이딩부 (40a) 가 상기 가이드홈 (18b) 에 맞닿도록 스프링 (41) 에 의해 하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가이드홈 (18b) 각각의 홈의 형상은, 도 9 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단순히 테이퍼되어 있고, 도 10 의 변형예에서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처음에는 일정한 폭이고, 이어서 테이퍼되어 있다.
회전축 (25) 의 하단에 원판상의 클릭 플레이트 (42)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회전축 (25) 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7 개의 클릭 구멍 (42a) 이 형성됨과 함께, 7 개의 클릭 구멍 (42a) 의 직경 방향 내측에 1 개의 클릭 구멍 (42b) 이 형성된다. 이너 짐벌 (24) 에 지축 (43) 을 통해서 볼 홀더 (44) 의 중간부가 지지되어 있고, 볼 홀더 (44) 의 내부에 수납된 볼 (45) 이 상기 클릭 구멍 (42a, 42b) 중 어느 하나에 끼워맞출 수 있게 스프링 (46) 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너 짐벌 (24) 의 하면에 지지되는 솔레노이드 (47) 와 볼 홀더 (44) 의 하단이 로드 (48) 로 접속되어 있고, 솔레노이드 (47) 를 신축 구동시켜 지축 (43) 둘레로 볼 홀더 (44) 를 요동시키면, 볼 (45) 은 클릭 구멍 (42a) 에 끼워맞춰지는 직경 방향 외측 위치와, 클릭 구멍 (42b) 에 끼워맞춰지는 직경 방향 내측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너 짐벌 (24) 에 대한 회전축 (25) 의 회전각은, 로터리 엔코더 (49) 에 의해 검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구비한 제 1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 노브 (30) 는,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우전방, 좌전방, 우후방 및 좌후방의 8 방향으로 경사 운동 가능하고, 이 8 방향은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 (18) 의 오목부 (18a) 의 가이드홈 (18b) 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즉, 아우터 짐벌 (22) 및 이너 짐벌 (24) 을 통해 자유롭게 경사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조작 노브 (30) 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조작 노브 (30) 와 일체인 하부 지축 (24b) 으로부터 스프링 (41) 의 탄발력 (彈發力) 에 의해 하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부재 (40) 의 슬라이딩부 (40a) 는, 별형의 가이드홈 (18b) 의 중심에 안정 상태로 걸어맞춰져 있고, 이로써 조작 노브 (30) 는 중립 위치로 유지된다. 또 조작 노브 (30) 는 경사 운동한 위치에서 손을 떼면, 도시하지 않은 복귀 수단에 의해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노브 (30) 를 8 방향 중 1 방향으로 경사 운동시키면, 슬라이딩 부재 (40) 의 슬라이딩부 (40a) 가 테이퍼된 가이드홈 (18b) 을 따라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안내되고, 가이드홈 (18b) 의 홈폭이 좁아짐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 (40) 가 스프링 (41) 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하부 지축 (24b) 의 중공부 (24c) 내에 압입됨으로써, 조작 노브 (30) 의 경사 운동에 소정의 부하가 발생한다.
도 11 의 실선은 도 9 의 가이드홈 (18b) (제 1 실시예) 에 대응하는 것으로, 조작 노브 (30) 의 경사 운동각의 증가에 수반하여 하중이 리니어하게 증가하고, 슬라이딩부 (40a) 가 가이드홈 (18b) 을 지나치면 하중은 일정값이 된다.
도 11 의 파선은 도 10 의 가이드홈 (18b) (제 1 실시예의 변형예) 에 대응하는 것으로, 조작 노브 (30) 의 경사 운동각의 증가에 수반하여 슬라이딩부 (40a) 가 가이드홈 (18b) 의 평행부에 걸어맞춰질 때까지 하중은 리니어하게 증가하고, 슬라이딩부 (40a) 가 가이드홈 (18b) 의 평행부를 슬라이딩하는 동안에 하중은 일정값으로 유지되고, 슬라이딩부 (40a) 가 가이드홈 (18b) 의 테이퍼부를 슬라이딩하는 동안에 하중은 리니어하게 증가하고, 슬라이딩부 (40a) 가 가이드홈 (18b) 을 지나치면 하중은 일정값이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홈 (18b) 의 형상에 따라 조작 노브 (30) 의 경사 운동에 절도를 주어 조작감을 높임과 함께, 8 개의 방향으로부터 어긋난 방향으로 조작 노브 (30) 를 조작한 경우라도, 가이드홈 (18b) 의 작용으로 조작 노브 (30) 를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노브 (30) 를 8 개의 방향으로 경사 운동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접점이 닫혀 경사 운동 방향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어 수단으로 출력된다.
또 조작 노브 (30) 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조작 노브 (30) 와 일체인 회전축 (25) 이 상부 지축 (24a) 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축 (25) 과 일체인 클릭 플레이트 (42) 가 이너 짐벌 (24)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47) 가 신장되어 볼 홀더 (44) 가 도 5 의 시계 방향 위치로 요동하면, 볼 (45) 의 위치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볼 (45) 은 클릭 플레이트 (42) 의 직경 방향 내측에 있는 1 개의 클릭 구멍 (42b) 에 끼워맞춰지고, 조작 노브 (30) 를 회전 운동 방향의 중립 위치로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노브 (30) 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 (45) 이 스프링 (46) 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클릭 구멍 (42b) 으로부터 이탈할 때에 부하가 발생함으로써, 중립 위치로부터의 조작 노브 (30) 의 회전 운동에 절도를 줄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47) 가 수축되어 볼 홀 더 (44) 가 도 5 의 반시계 방향 위치로 요동하면, 볼 (45) 의 위치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볼 (45) 은 클릭 플레이트 (42) 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는 7 개의 클릭 구멍 (42a) 의 어느 하나에 끼워맞춰지고, 조작 노브 (30) 를 회전 운동 방향의 7 개의 위치로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조작 노브 (30) 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 (45) 이 스프링 (46) 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클릭 구멍 (42a) 으로부터 이탈할 때에 부하가 발생함으로써, 조작 노브 (30) 의 회전 운동에 절도를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노브 (30) 가 회전 운동하면, 그 회전 운동 위치에 따른 신호를 로터리 엔코더 (49) 가 제어 장치로 출력한다. 또한, 조작 노브 (30) 의 회전 운동각의 한계 위치는, 중립 위치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각 25°이고, 조작 노브 (30) 를 조작한 후에 손을 떼면, 도시하지 않은 복귀 수단에 의해 중립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조작 노브 (30) 의 회전 운동 가능 범위가 중립 위치를 사이에 두고 좌우 각 25°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탑승자는 조작 노브 (30) 를 바꿔 잡지 않고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탑승자가 조작 노브 (30) 를 잡으면, 손바닥이 조작 노브 (30) 의 손바닥 유지부 (30a) 에 지지되고, 중지 및 검지가 손바닥 유지부 (30a) 의 전방의 손가락 유지부 (30b) 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중지 및 검지의 선단은 메인 스위치 (31) 에 닿기 때문에 스크롤 스위치 (33) 의 회전 조작이나 실행 스위치 (34) 의 누름 조작을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고, 또 엄지 혹은 약지로 좌우의 서브 스위치 (32, 32) 의 누름 조작을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노브 (30) 를 잡아 경사 운동시켰을 때, 조작 노브 (30) 의 하단과 커버 (17) 사이에 손가락끝이 끼지 않도록, 커버 (17) 의 개구 (17a) 주위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오목부 (17b)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노브 (30) 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L1 로 하고, 조작 노브 (30) 의 하단과 오목부 (17b) 의 최심부의 높이를 L2 로 하면, L1 > L2 가 성립한다. 이로써 조작 노브 (30) 가 커버 (17) 로부터 크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프트 레버 (14) 조작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메인 스위치 (31) 를 포함하는 조작 노브 (30) 의 전후 방향 길이를 L3 으로 하고, 그 중 손가락 유지부 (30b) 의 전후 방향 길이 (= 메인 스위치 (31) 의 직경) 를 L4 로 하고, 도 5 의 L4 우단부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검지와 중지의 분기점을 기준으로 하면, L3 및 L4 사이에는, L3 > 2 × L4 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로써 조작 노브 (30) 의 손바닥 유지부 (30a) 의 치수를 충분히 확보하여 손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스위치 (31) (특히 스크롤 스위치 (33)) 를 순조롭게 조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8 방향에 대한 경사 운동과 자기 축선 둘레의 좌우 각 25°의 범위 내의 회전 운동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노브 (30) 에 메인 스위치 (31) 및 서브 스위치 (32, 32) 를 형성하였으므로, 조작 노브 (30) 의 자세 (위치) 에 기초하는 신호와 메인 스위치 (31) 및 서브 스위치 (32, 32) 의 조작에 기초하는 신호의 조합에 의해, 수많은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또 조작 노브 (30) 에 메인 스위치 (31) 및 서브 스위치 (32, 32) 를 형성함으로써, 조작 노브 (30) 를 잡 으면 손가락끝이 자연스럽게 메인 스위치 (31) 및 서브 스위치 (32, 32) 에 닿게 되고, 메인 스위치 (31) 및 서브 스위치 (32, 32) 의 위치를 찾지 않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오조작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장치 (15) 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터페이스 장치 (15) 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오디오 시스템, 에어컨 시스템과 같은 복수의 시스템을, 모니터의 화면을 통해, 조작 노브 (30), 메인 스위치 (31) 및 서브 스위치 (32, 32) 의 조작의 조합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다.
메인 스위치 (31) 는, 실행 스위치 (34) 의 누름에 의해 초기 화면으로부터 메뉴 화면을 호출함과 함께, 스크롤 스위치 (33) 의 회전에 의해 항목을 선택하여 실행 스위치 (34) 의 누름에 의해 결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서브 스위치 (32, 32) 는, 메뉴 화면을 연속으로 전환함과 함께, 하층 화면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캔슬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또한 다단계의 하층 화면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길게 누름으로써 단번에 메뉴 화면으로 복귀하는 캔슬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니터의 초기 화면으로부터 메인 스위치 (31) (실행 스위치 (34)) 를 누르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최상층 화면 (네비게이션 메인 화면) 이 표시되고, 서브 스위치 (32, 32) 를 누르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최상층 화면 → 오디오 시스템의 최상층 화면 (오디오 진입 화면) → 에어컨 시스템의 최상층 화면 (에어컨 진입 화면) 이 순서대로 표시된다.
또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최상층 화면 (네비게이션 메인 화면) 으로부터 메인 스위치 (31) 를 누르면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제 2 층의 화면 (네비게이션 메뉴 화면) 이 표시되고, 다시 메인 스위치 (31) 를 누르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제 3 층의 화면 (네비게이션 서브 메뉴 화면) 이 표시된다.
또 오디오 시스템의 최상층 화면 (오디오 진입 화면) 으로부터 메인 스위치 (31) 를 누르면, 오디오 시스템의 제 2 층의 화면 (오디오 메인 화면) 이 표시되고, 다시 메인 스위치 (31) 를 누르면, 오디오 시스템의 제 3 층의 화면 (오디오 서브 화면) 이 표시된다.
또 에어컨 시스템의 최상층 화면 (에어컨 진입 화면) 으로부터 메인 스위치 (31) 를 누르면, 에어컨 시스템의 제 2 층의 화면 (에어컨 메인 화면) 이 표시되고, 더욱 메인 스위치 (31) 를 누르면, 에어컨 시스템의 제 3 층의 화면 (에어컨 서브 화면) 이 표시된다.
한편, 메인 스위치 (31) 대신에 서브 스위치 (32, 32) 를 누르면, 그 때마다 하층의 화면으로부터 상층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최종적으로 최상층의 화면으로 복귀한다. 또 서브 스위치 (32, 32) 를 길게 (2 초 이상) 누르면, 하층의 화면으로부터 최상층의 화면으로 단번에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스위치 (32, 32) 의 누름 시간의 장단에 따라 2 종류의 기능을 발휘시키므로, 스위치 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메인 스위치 (31) 및 서브 스위치 (32, 32) 를 동시 조작함으로써, 스위치의 수를 함부로 증가시키지 않고, 이하와 같은 여러가지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메인 스위치 (31) (실행 스위치 (34)) 의 누름 및 서브 스위치 (32, 32) 의 누름을 동시에 실시하면,
예 1 : 단기능 할당
·각각의 화면 조작에 있어서, 특히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자유롭게 할당한다
·지도 화면에 있어서는, 자신의 차 위치상 표시 및 북상 (北上) 표시를 전환한다
예 2 : 메뉴 호출
·통상 메뉴와는 별개의 메뉴를 호출한다
·지도 기능 화면에 있어서는,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메뉴를 호출한다
·오디오 화면에 있어서는, 기능 설정 화면을 호출한다
메인 스위치 (31) (스크롤 스위치 (33)) 의 회전 및 서브 스위치 (32, 32) 의 누름을 동시에 실시하면,
예 1 : 쇼트 컷 할당
·계층하에 있는 선택 조작이 필요한 특정한 단기능을 직접 호출한다
·어느 화면에 있어서도 전화번호부 (선택 조작이 필요) 를 직접 호출한다
예 2 : 아날로그 양적 조작
·각각의 화면 조작에 있어서, 특히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자유롭게 할당한다
·지도 화면에 있어서는 각도 조정, 에어컨 화면에서는 풍량 조정 등을 실시 한다
또 조작 노브 (30) 의 8 방향의 경사 운동 조작은, 네비게이션 화면의 임의의 방향에 대한 스크롤이나, 오디오 화면의 소스 변경이나, 에어컨 화면의 기능 전환에 사용되고, 또 조작 노브 (30) 의 회전 운동 조작은, 네비게이션 화면이나 오디오 화면에 있어서의 음량 조정이나, 에어컨 화면에 있어서의 온도 조정, 풍량 조정 등에 사용된다.
실시예 2
도 13 ∼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의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 제 1 실시예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의 조작 노브 (30) 는 대체로 구형이지만, 제 2 실시예의 조작 노브 (30) 는 상하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고 있다. 조작 노브 (30) 의 전후 방향 치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80㎜ 이다. 조작 노브 (30) 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L1 로 하고, 조작 노브 (30) 의 하단과 커버 (17) 의 상면 사이의 높이를 L2 로 하면, L1 > L2 가 성립한다. 또 메인 스위치 (31) 를 포함하는 조작 노브 (30) 의 전후 방향 길이를 L3 으로 하고, 그 중 손가락 유지부 (30b) 의 전후 방향 길이를 L4 로 하는 도 14 의 L4 우단부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검지와 중지의 분기점을 기준으로 하면, L3 및 L4 사이에는, L3 > 2 × L4 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들 치수 L1 ∼ L4 의 대소 관계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2 실시예는, 조작 노브 (30) 의 형상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것 이외에, 메인 스위치 (31) 의 구조가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 1 실시예의 메인 스위치 (31) 는, 스크롤 스위치 (33) 가 그 자리에서 회전하고, 실행 스위치 (34) 가 스크롤 스위치 (33) 와는 별개로 눌리는 것이지만, 제 2 실시예의 메인 스위치 (31) 는 스크롤 스위치 (33) 및 실행 스위치 (34) 가 일체로 회전하고, 또한 일체로 눌리는 것이다.
즉, 제 2 실시예는, 한쌍의 사이드 멤버 (51, 51) 를 전방부 크로스 멤버 (52) 및 후방부 크로스 멤버 (53) 로 접속한 슬라이드 부재 (54) 를 구비하고 있고, 슬라이드 부재 (54) 의 전단의 사이드 멤버 (51, 51) 사이에 메인 스위치 (31) 가 지축 (55) 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함께, 지축 (55) 의 회전이 로터리 엔코더 (49) 에서 검출된다. 슬라이드 부재 (54) 는 조작 노브 (30) 의 내부에 형성한 슬라이드 가이드 (56) 에 자유롭게 전후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슬라이드 부재 (54) 의 후방부 크로스 멤버 (53) 와 슬라이드 가이드 (56) 의 후단 사이에, 슬라이드 부재 (54) 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57) 이 배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56) 에 전방부 크로스 멤버 (52) 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스위치 소자 (38) 가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의 그 밖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메인 스위치 (31) 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각이 로터리 엔코더 (49) 에 의해 검출되고, 또 메인 스위치 (31) 를 누르면 슬라이드 가이드 (56) 를 따라 슬라이드 부재 (54) 가 후퇴하고, 전방부 크로스 멤버 (52) 가 스위치 소자 (38) 를 눌러 메인 스위치 (31) 의 누름이 검출된다.
이 제 2 실시예에 의해서도,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조작 스위치는 메인 스위치 (31) (스크롤 스위치 (33), 실행 스위치 (34)) 및 서브 스위치 (32) (캔슬 스위치) 인데, 조작 스위치의 수나 종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0)

  1. 차량에 탑재된 차재 기기에 관련된 조작 메뉴 및 기능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모니터에 표시되는 조작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과 함께, 모니터에 표시되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선택·실행 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선택·실행 수단은 조작 노브 (30) 와 상기 조작 노브 (30) 에 형성된 복수의 조작 스위치 (31, 32) 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조작 스위치 (31, 32) 중 적어도 하나는 조작 노브 (30) 의 차량 진행 방향 전면에, 조작 노브 (30) 보다 차량 진행 방향 전면으로 더 돌출하여 설치되고, 조작 노브 (30) 의 조작 및 조작 스위치 (31, 32) 의 조작의 조합에 의해 조작 메뉴의 선택 및 기능의 선택·실행을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 노브 (30) 는 좌우의 탑승자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조작 스위치 (31, 32) 는 조작 노브 (30) 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 (31, 32) 는 스크롤 스위치 (33), 실행 스위치 (34) 및 캔슬 스위치 (3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크롤 스위치 (33) 및 실행 스위치 (34) 는, 조작 노브 (30) 를 잡은 손의 손가락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스크롤 스위치 (33), 실행 스위치 (34) 및 캔슬 스위치 (32) 중 적어도 두 개를 동시에 조작함으로써, 미리 할당된 기능이 실행되거나 소정의 메뉴가 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차재 기기의 기능의 계층 전환 및 초기 화면에 대한 복귀의 양방을, 캔슬 스위치 (32) 의 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차재 기기의 기능의 계층 전환 및 초기 화면에 대한 복귀의 선택을, 캔슬 스위치 (32) 의 조작 시간의 길이에 따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8. 차량에 탑재된 차재 기기에 관련된 조작 메뉴 및 기능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모니터에 표시되는 조작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과 함께, 모니터에 표시되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선택·실행 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선택·실행 수단은 조작 노브 (30) 와 상기 조작 노브 (30) 에 형성된 복수의 조작 스위치 (31, 32) 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조작 스위치 (31, 32) 는 조작 노브 (30) 의 차량 진행 방향 전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31) 를 포함하고, 그 차량 진행 방향 전면의 스위치 (31) 는 수평인 지축 (35, 55) 둘레에서 회전하는 스크롤 스위치 (33) 를 포함하고, 조작 노브 (30) 의 조작 및 조작 스위치 (31, 32) 의 조작의 조합에 의해 조작 메뉴의 선택 및 기능의 선택·실행을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조작 노브 (30) 는 좌우의 탑승자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조작 스위치 (31, 32) 는 조작 노브 (30) 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 (31, 32) 는 상기 스크롤 스위치 (33) 에 추가로, 실행 스위치 (34) 및 캔슬 스위치 (3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스크롤 스위치 (33) 및 실행 스위치 (34) 는, 조작 노브 (30) 를 잡은 손의 손가락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스크롤 스위치 (33), 실행 스위치 (34) 및 캔슬 스위치 (32) 중 적어도 두 개를 동시에 조작함으로써, 단독으로 조작하는 경우와 별도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차재 기기의 기능의 계층 전환 및 초기 화면에 대한 복귀의 양방을, 캔슬 스위치 (32) 의 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차재 기기의 기능의 계층 전환 및 초기 화면에 대한 복귀의 선택을, 캔슬 스위치 (32) 의 조작 시간의 길이에 따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차량 진행 방향 전면의 스위치 (31) 는 누름 조작에 의해 기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에 의해 기능하는 스위치는 스크롤 스위치 (33) 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스위치 (33) 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의해 기능하는 스위치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스위치 (33) 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의해 기능하는 스위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스위치 (33) 는 좌우 2 분할되며, 회전축 (25) 의 전단에 지지된 지축 (35) 둘레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실행 스위치 (34) 는 스크롤 스위치 (33) 의 2 분할된 부분 사이에 끼이며, 상기 스크롤 스위치 (33) 의 지축 (35) 의 상방에 배치된 지축 (36) 둘레로 후방으로 요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스위치 (33) 는 좌우 2 분할되며, 회전축 (25) 의 전단에 지지된 지축 (35) 둘레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실행 스위치 (34) 는 스크롤 스위치 (33) 의 2 분할된 부분 사이에 끼이며, 상기 스크롤 스위치 (33) 의 지축 (35) 의 상방에 배치된 지축 (36) 둘레로 후방으로 요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KR1020087004528A 2005-07-29 2006-07-25 차량용 조작 장치 KR100918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0642 2005-07-29
JP2005220642A JP4732056B2 (ja) 2005-07-29 2005-07-29 車両用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462A KR20080031462A (ko) 2008-04-08
KR100918606B1 true KR100918606B1 (ko) 2009-09-25

Family

ID=3768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528A KR100918606B1 (ko) 2005-07-29 2006-07-25 차량용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94395A1 (ko)
EP (1) EP1911629B1 (ko)
JP (1) JP4732056B2 (ko)
KR (1) KR100918606B1 (ko)
CN (1) CN101233013B (ko)
DE (1) DE602006010876D1 (ko)
WO (1) WO2007013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4964B2 (en) * 2012-05-07 2018-08-21 Google Llc Building control unit method and controls
EP2857942A4 (en) * 2012-05-29 2016-05-18 Honda Motor Co Ltd DISPLAY DEVICE FOR VEHICLES
JP6269343B2 (ja) * 2014-06-23 2018-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US9879464B2 (en) * 2015-11-24 2018-01-30 Fca Us Llc Automated window closure system
JP6363668B2 (ja) * 2016-08-31 2018-07-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FR3075457B1 (fr) 2017-12-19 2019-11-15 Airbus Helicopters Mecanisme de commande electrique et aeronef
WO2020230315A1 (ja) * 2019-05-15 2020-1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719A (ja) * 1998-11-13 2000-05-30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入力装置
JP2004026050A (ja) 2002-06-26 2004-01-29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2004299539A (ja) 2003-03-31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639Y2 (ko) * 1986-10-13 1991-05-23
JPH1050178A (ja) * 1996-07-30 1998-02-20 Niles Parts Co Ltd 多方向作動スイッチ
DE19639119A1 (de) * 1996-09-24 1998-03-26 Philips Patentverwaltung Elektronisches Gerät mit einem bidirektionalen Drehschalter
JP3638071B2 (ja) * 1997-01-31 2005-04-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ステムスイッチ
JPH10241501A (ja) * 1997-0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付複合操作型電子部品
US5945646A (en) * 1997-08-04 1999-08-31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Multi-switch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subsystems
JP4014014B2 (ja) * 1997-08-12 2007-11-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用集中コントロール装置
GB2335822B (en) * 1998-03-25 2003-09-10 Nokia Mobile Phones Ltd Context sensitive pop-up window for a portable phone
DE19832677A1 (de) * 1998-07-21 2000-02-03 Mannesmann Vdo Ag Bedienvorrichtung
JP2000149721A (ja) * 1998-11-09 2000-05-30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機器用操作装置
DE10012753A1 (de) * 1999-12-27 2001-06-28 Volkswagen Ag Bedieneinrichtung mit mehreren Bedienelementen
JP2001291456A (ja) * 2000-04-06 2001-10-19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載用パワーミラー装置
JP2002002416A (ja) * 2000-06-16 2002-01-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機器の操作システム
JP2002062944A (ja) * 2000-08-18 2002-02-28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入力装置
DE10139693A1 (de) * 2000-11-14 2002-05-16 Volkswagen Ag Multifunktions-Bedieneinrichtung
DE50113481D1 (de) * 2000-11-14 2008-02-21 Volkswagen Ag Multifunktions-bedieneinrichtung
DE10131039C2 (de) * 2001-06-29 2003-05-15 Caa Ag Bedienelement für ein Fahrzeugrechner-System und Fahrzeugrechner-System
US6640185B2 (en) * 2001-07-21 2003-10-28 Alpine Electronics, Inc.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JP2003327059A (ja) * 2002-03-08 2003-11-19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入力装置
DE10253462A1 (de) * 2002-11-16 2004-05-27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Elektrischer Schalter
US6836723B2 (en) * 2002-11-29 2004-12-28 Alpine Electronics, Inc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US7522155B2 (en) * 2003-01-16 2009-04-21 Panasonic Corporation Trackball device and vehicle incorporating the same
JP2005001587A (ja) * 2003-06-13 2005-01-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多機能操作装置
JP4359478B2 (ja) * 2003-10-14 2009-11-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型スイッチ装置
JP4412460B2 (ja) * 2003-11-05 2010-02-10 名古屋電機工業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の表示項目制御装置
US7317404B2 (en) * 2004-01-14 2008-01-08 Itr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consumption data from a meter reading system
US20060082545A1 (en) * 2004-10-20 2006-04-2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uman machine interface for vehicle including proximity sensor
DE102005040125A1 (de) * 2004-12-17 2006-06-29 Volkswagen Ag Bedienvorrichtung
US7302322B1 (en) * 2006-06-28 2007-1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ular interface including armrest control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719A (ja) * 1998-11-13 2000-05-30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入力装置
JP2004026050A (ja) 2002-06-26 2004-01-29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2004299539A (ja) 2003-03-31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30814A (ja) 2007-02-08
CN101233013A (zh) 2008-07-30
CN101233013B (zh) 2011-06-08
EP1911629A4 (en) 2008-12-03
US20090194395A1 (en) 2009-08-06
KR20080031462A (ko) 2008-04-08
EP1911629A1 (en) 2008-04-16
WO2007013442A1 (ja) 2007-02-01
JP4732056B2 (ja) 2011-07-27
EP1911629B1 (en) 2009-12-02
DE602006010876D1 (de)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537B1 (ko) 차량용 조작 장치
KR100962157B1 (ko) 인터페이스 장치
KR100918606B1 (ko) 차량용 조작 장치
JP4960127B2 (ja) 操作デバイス
US6658350B1 (en) Navigation device
JP4596020B2 (ja) 車両用操作装置
US8941585B2 (en) Input device with touch input function
US6911919B2 (en) Operating device for an in-car computing system and in-car computing system
US20040012361A1 (en) Operating unit
JP5204163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04224149A (ja) 操作パネル
JP2006131134A (ja) 車両用情報入力表示装置
JP4738619B2 (ja) 車載用操作装置
JP2006178862A (ja) 機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