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576B1 - Mc형 균일촉매 및 o2-co2 혼합기체를 이용한 유기산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Mc형 균일촉매 및 o2-co2 혼합기체를 이용한 유기산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576B1
KR100916576B1 KR1020070062496A KR20070062496A KR100916576B1 KR 100916576 B1 KR100916576 B1 KR 100916576B1 KR 1020070062496 A KR1020070062496 A KR 1020070062496A KR 20070062496 A KR20070062496 A KR 20070062496A KR 100916576 B1 KR100916576 B1 KR 10091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reaction
derivative
organic acid
oxidation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838A (ko
Inventor
유진선
이상철
김호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캣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캣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캣
Priority to CNA200710146652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161625A/zh
Priority to JP2007217177A priority patent/JP2008094829A/ja
Priority to EP07016561A priority patent/EP1911737A1/en
Priority to US11/844,685 priority patent/US20080091043A1/en
Priority to TW096131532A priority patent/TW200823177A/zh
Priority to EP07018229A priority patent/EP1911830A1/en
Priority to CNA2007101534612A priority patent/CN101161788A/zh
Priority to US11/858,449 priority patent/US7591943B2/en
Priority to JP2007244523A priority patent/JP2008095095A/ja
Priority to TW096135174A priority patent/TW200837184A/zh
Priority to EP07019865A priority patent/EP1911831A1/en
Priority to JP2007265224A priority patent/JP2008095107A/ja
Priority to US11/870,820 priority patent/US7615145B2/en
Priority to CNA2007101524377A priority patent/CN101173188A/zh
Priority to TW096138299A priority patent/TW200833828A/zh
Publication of KR2008003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33/00Oxidation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6Halogens; Compounds thereof
    • B01J27/128Halogens; Compounds thereof with iron group metals or platinum group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1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 C07C51/21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 C07C51/255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out ring-splitting
    • C07C51/265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out ring-splitting having alkyl side chains which are oxidised to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3/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형 균일촉매 및 산화제의 존재 하에서 탄화수소 기질을 산화처리하여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Co/Br, Mn/Br, Co/Mn/Br 및 Co/Mn/M/Br 중에서 선택된 MC형 균일촉매 및 산소분압이 30-40%로 조절된 O2/CO2 혼합기체 산화제를 사용하여 탄화수소기질을 산화처리함으로써, 더욱 완화된 반응 조건에서도 산화반응 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반응의 전환율 및 PTA의 선택도와 수율 등이 모두 탁월하게 향상되고, 특히 색상 불순물 및 종래 별도의 수소첨가에 의한 환원공정을 반드시 거쳐 제거해야만 했었던 4-CBA나 p-톨루산의 생성량을 정제가 필요 없을 정도로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상업공정에서 일어나는 용매인 아세트산의 연소에 의한 손실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MC형 균일촉매, 산화제, 산소 분압, 탄화수소 기질, PTA, 4-CBA, p-톨루산, 색상 불순물

Description

MC형 균일촉매 및 O2-CO2 혼합기체를 이용한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using MC-type homogeneous catalyst and O2-CO2 mixture}
도 1은 종래의 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LOR 반응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고순도 테레프탈산을 제조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로서, 산화공정에 의해 CTA가 제조되고 나서 4-CBA 등을 쉽게 제거하기 환원공정(수소화처리)을 거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캣의 고순도 테레프탈산을 제조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로서, 재결정, 원심분리와 같은 단순 정제공정만을 거칠 뿐이며 별도의 환원공정(수소화처리)을 거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MC형 균일촉매 및 산화제의 존재 하에서 탄화수소 기질을 산화처리하여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Co/Br, Mn/Br, Co/Mn/Br 및 Co/Mn/M/Br 중에서 선택된 MC형 균일촉매 및 산소분압이 30-40%로 조절된 O2/CO2 혼합기체 산화제를 사용하여 탄화수소기질을 산화처리함으로써, 더욱 완화된 반응 조건에서도 산화반응 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반응의 전환율 및 PTA의 선택도와 수율 등이 모두 탁월하게 향상되고, 특히 종래 환원공정(수소화처리)과 같이 복잡하고 고비용이 드는 별도의 정제공정을 반드시 거쳐 제거해야만 했었던 4-CBA나 p-톨루산이나 색상 불순물의 생성량을 종래의 별도 정제공정이 필요 없을 정도로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상업공정에서 일어나는 용매인 아세트산의 연소에 의한 손실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업화된 정제 테레프탈산(purified terephthalic acid, 이하 'PTA') 제조공정은 크게 (i) MC형 산화반응 첫 단계로 조 테레프탈산(crude terephthalic acid, 이하 'CTA')를 합성하고 나서, (ii) 후처리로 CTA를 수소화하여 정제하는 2 단계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상업화된 공정의 첫 단계에서 생성되는 CTA에는 다음 표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4-CBA 및 p-톨루산 등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제조시 PTA와 에틸렌 글리콜간의 축합 반응에 있어서 쇄 종결제로서 작용하므로 중합 공정에 특히 해롭고, 2,6-디카르복시안트라퀴논과 같은 색상 불순물 등은 PET의 색상에 극심한 영향을 주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유발하기 때문에, Pd/C 촉매를 이용한 수소화 반응을 수행하여 이를 제공하는 정제 후처리를 반드시 거칠 수밖에 없다.
Figure 112007046116504-pat00001
이러한 상업화된 PTA 공정 중의 하나로서, 미국 프렉스에어(Praxair)사는 향상된 기체 반응기(advanced gas reactor, AGR)와 액체 산화 반응기(liquid oxidation reactor, LOR)를 개발함으로써, 도 1과 같은 종래의 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CSTR)가 가지고 있었던 많은 문제점(예를 들어 기포 내의 산소 농도를 5% 미만으로 유지해야만 한다는 한계점)들을 극복하는 한편, 순수한 산소를 사용해서도 폭발성이 높은 증기 혼합물의 생성을 막고 안전하게 액상 산화반응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ARG 반응기는 기체-액체상 반응기로서 하향으로 펌핑하는 교반기(downward pumping impeller)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교반기 내에 반응성이 높은 기체를 잘 분산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드래프트 튜브(draft tube)가 포함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미국특허 제4,454,077호]. 따라서, ARG 반응기는 종래의 CSTR에 비해서 기체를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고 에너지를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서, 프렉스에어사는 1985년 이후 액상 산화반응을 상업적으로 수행하는데 성공한 바가 있다. 그 한 예로, 순수 산소를 사용하여 CuSO3를 CuSO4로 산화시켜 안전하고 효율성 높게 합성하였으며 식용유의 수소화와 지방산 아민(fatty amines)을 상업적으로 합성하는데 성공한 바가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반응기 내의 증기 층에 연소가능한 혼합물(flammable mixture)이 형성되지 않는 시스템에 한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치명적인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A.K. Roby and J. P. Kingsley, Chem. Tech., 27, No. 1, 39-46 (1996); 미국특허 제5,846,498호; 미국특허 제5,696,285호; 미국특허 제5,536,875호; 미국특허 제5,523,474호; 미국특허 제5,371,283호; 미국특허 제5,451,349호; 미국특허 제4,900,480호].
이러한 ARG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낸 LOR 반응기를 개발하게 되었는데, 우선 혼합기구(mixing hardware)를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ARG 반응기와 유사하나, 반응하지 않은 산소를 상층의 증기 공간에 손실되지 않고 액체탄화수소 기질과 산소를 안전하게 혼합하고 반응하게 한다는데 특징이 있는 장치이다. 미량의 N2 퍼지(purge)로 연소 혼합물 생성을 막을 수 있고, 산소 기포를 액체상 내에서 거의 모두 소멸할 때까지 재순환 하게 함으로써, 즉 산소기포를 증기 층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기포를 재순환함으로써, 높은 산소 사용률을 성취한 바 있다(99%).
안전한 산화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가 있어 왔음에도, 높은 농도의 산소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액상 및 기상 산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들은 아직껏 상용화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PTA를 제조하는 상업적 공정에서는 아직도 p-자일렌을 산화하는데 공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거의 반세기 이상 사용되고 있는 공정으로서 공정의 전체 효율을 더 이상 향상시킬 수 없을 만큼 극도로 개량되어 있는 상황이다(>98%). 켐시스템(Chem System)사에 의하면 현재의 상용화된 PTA 공정은 더 이상 향상이 불가능할 정도로 초고도로 최적화되었으며 더 이상 기본 화학의 의미 있는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평가이다.
한편, 삼성종합화학은 종래 산화기체로서 사용하던 공기에 CO2(질소 포함)를 첨가하고 K, Zr 등 부촉매를 추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으며[미국특허 제6,194,607호; 미국특허 제6,180,822호; 일본특허 제2002-543172호], 그 후 한국화학연구원에서는 공기에 CO2를 혼입시킨 공정을 개발하였으며, 이어서 질소가 들어있지 않은 O2와 CO2를 미리 혼합한 혼합가스(premixed gas)를 사용하고 Fe, Ni 등 부촉매를 추가한 기술을 개시하였으나, 이때 혼합가스의 산소 분압은 26% 이하로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11134호; 한국특허 제10-050868호; 한국공개특허 10-2005-0068565호; 한국특허 제10-0427298호].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에도 불구하고, 그 생성물에는 4-CBA, p-톨루산 뿐만 아니라 벤질, 플루오레논, 안트라퀴논을 포함하는 색상 불순물(color impurities)이 여전히 다량 잔존하는 문제점이 심각하였으며, 따라서 이러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상업적 공정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까다로운 분리, 정제 공정을 추가 비용을 들여서 별도로 수행할 수밖에 없는 기술적인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O2를 이용하고 기존 반응장치를 변경함이 없이 고농도 O2를 적용하고 반응조건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위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그 생성물에 4-CBA, p-톨루산 뿐만 아니라 벤질, 플루오레논, 안트라퀴논을 포함하는 색상 불순물의 생성량을 복잡하고 고비용이 드는 별도의 정제가 필요 없을 정도로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완화된 반응 조건에서도 산화반응 속도가 향상되고 반응의 전환율 및 PTA의 선택도와 수율 등을 모두 탁월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상업공정에서 일어나는 용매인 아세트산의 연소에 의한 손실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MC형 균일촉매 및 산화제의 존재 하에서 탄화수소 기질을 산화처리하여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C형 균일촉매는 Co/Br, Mn/Br, Co/Mn/Br 및 Co/Mn/M/Br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M은 Ni, Fe, Zr, Hf, Zn, Ti, Cu, Cr, Na, K, Rb, Cs, Ta, Nb, Ta, Re, Ce, Pr, Nd, Mo, V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C형 균일촉매가 Co/Mn/Br 및 Co/Mn/M/Br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MC형 균일촉매가 Co/Mn/Br 또는 Co/Mn/M/Br이며, 상기 M은 K, Ni, Zr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 생성물인 상기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록 PTA에 대해서만 개시를 하고 있으나, 본 발명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에 대해서도 동등하게 우수한 작용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개시내용 및 실험결과에 기초해서 PTA 이외의 기질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예에는 PTA, IPA(이소프탈산), TMA(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TME(트리메스산), PMDA(파이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 NDCA(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BPDA(바이페닐 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아디프산, p-하이드록실벤조산, 하이드록시나프토산, 4,4'-디하이드록시바이페닐, BA(벤조산), PNBA(p-니트로벤조산), PHBA(p-하이드록시벤조산), PABA(p-아세톡시벤조산), ONBA(o-니트로벤조산), TBIA(5-t-부틸이소프탈산), PA(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CBP(4,4'-카르복시바이페닐), OBBA(4,4'-옥시비스벤조산), SBBA(4,4'-술포닐비스벤조산), CBBA(4,4'-카르복시비스벤조산), BTDA(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릭 안하이드라이드), OPAN(옥시비스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SPAN(술포닐비스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IPAN(이소파이로필리덴 비스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CPAN(4,4'-카르복시비스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6-FDA(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 디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1,8-나프토익 안하이드라이드, ANA(아세톡시나프토산), PIDA(트리메틸페닐린단 디카르복실산), PIDADA(트리메틸페닐린단 디안하이드라이드), HCB(헥사카르복시벤젠), CHDA(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CHTA(시클로헥산 트리카르복실산), DDA(2.6-데칼린 디카르복실산), SDA(4,4'-스틸벤 디카르복실산), 4-TFMPA(4-trifluoromethyl프탈산), NA(니코틴산=3-카르복시피리딘), 인돌-2-카르복실산, 퀴놀린산,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디페닐 프탈레이트, 디페닐 이소프탈레이트, 디페닐 테레프탈레이트, 디벤질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가 PTA, IPA, TMA, TME, PMDA, NDCA, BPDA, 아디프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이 유리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는 PTA, IPA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이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O2/CO2 혼합기체이며, 상기 혼합기체 중에서 O2의 부피비 또는 분압은 30-4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0%인 경우가 가장 유리하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O2와 CO2를 미리 혼합한 혼합기체 내의 산소 분압을 저압력에서만 수행하던 종래의 선행기술과는 달리 산소 분압을 30%, 35%, 40%로 올려 p-자일렌 산화 반응을 수행함에 따라서 예상치 않게 급격한 산화반응 메커니즘의 진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40% 이상에서는 그 효과가 유지되 는(leveling off) 결과를 관찰하였다.
즉, O2/CO2 혼합기체에서 산소 분압이 30-40%의 범위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0% 범위 내에서는, 반응시간, 압력, 온도 등이 더욱 완화된 반응 조건에서도 산화반응 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반응의 전환율 및 PTA의 선택도와 수율 등이 모두 탁월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종래의 상업화된 공정뿐만 아니라 공지의 모든 선행기술에 기재된 PTA 공정에 의해서는 부산물인 4-CBA나 p-톨루산이 다량 생성되어, 이를 수소 환원시켜 제거하는 정제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O2와 CO2를 미리 혼합한 혼합기체 내의 산소 분압이 30%-40%로 올라감에 따라 산화 반응기구가 예상외로 급변하여 반응 조건이 훨씬 온화한 상태에서도 부산품인 4-CBA나 p-톨루산이 복잡하고 고비용이 드는 별도의 정제가 필요없을 정도로 소멸된다는 점에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O2 부피비 또는 분압이 30% 미만이면 생성물 중에 불순물인 4-CBA 및 p-톨루산의 생성량이 크게 상승하여 별도의 정제공정을 거쳐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소압 상승에 따른 위험요소가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O2의 부피비 또는 분압은 30-40%인 상기 O2/CO2 혼합기체에는 CO2 외의 기체는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아 CO2의 부피비가 70-60%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O2/CO2의 혼합기체에 5-50 부피%의 헬륨 또는 아르곤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O2/CO2의 혼합기체에는 질소가 20 부피%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부피%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반응의 전환율 및 생성물의 색깔을 결정짓는 벤질, 플루오레논, 안트라퀴논과 같은 색상 불순물의 생성량이 반응 온도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는 점에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 단계는 120-210˚C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190˚C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170˚C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상기 온도 범위의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의 전환율이 낮고 이 경우에 4-CBA 및 p-톨루산의 생성비율도 함께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상기 온도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의 반응과는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서 반응이 진행된다는 점과, 그 결과 벤질, 플루오레논, 안트라퀴논과 같은 색상 불순물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CTA의 색깔이 흰색이 아니라 황색을 띠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혼합기체 내 O2 함량과 반응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불순물, 특히 색상 불순물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만 극대화된 효과를 위해서는 기질마다 서로 다른 조건들, 특히 반응온도 하에서 반응을 수행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개시내용과 본 발명의 실험결과에 기초하기만 하면, 본 발명 이 속하는 당업분야의 당업자라면 그 기질마다 극대화된 반응온도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현재의 상업공정에서 일어나는 용매인 아세트산의 연소에 의한 손실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 단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순환기류식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산화처리 단계에 의해서 불순물인 4-CBA 및 p-톨루산은 각각 25 ppm 및 200 ppm 미만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화 환원 공정과 같은 복잡하고 고비용의 추가 공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원하는 수준으로 불순물의 함량을 낮출 수 있었던 종래의 선행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라 산화처리 단계만을 수행하여 얻은 조 PTA는 재결정이나 원심분리와 같은 단순한 공정만에 의해서 색상 불순물인 벤질벤젠, 플루오레논, 안트라퀴논의 총량을 원하는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재결정이나 원심분리와 같은 단순한 공정을 거치기 전에 흰색이 가장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고체생성물이 옅은 노란색 정도이기만 해도 수소화 환원 공정과 같은 복잡하고 고비용의 추가 공정이 아닌 재결정이나 원심분리와 같은 단순한 공정을 통해서 흰색의 원하는 생성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O2/CO2의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생기는 배출가 스 중에 존재하는 일산화탄소(CO)는 상업용 산화 촉매(Pt/C) 상에서 CO2로 전환시켜서 순환시킴과 동시에, 반응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을 회수하여 반응에 보충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O 2 /CO 2 혼합기체내의 O 2 분압의 영향
실시예 1
산화처리하여 유기산으로 제조되어지는 탄화수소 기질은 p-크실렌, o-크실렌, m-크실렌 1, 3, 5- 트리메틸벤젠, 2, 6-디메틸나프탈렌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대표적인 화합물인 p-크실렌에 대해서 산화반응을 표 2와 같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용매로는 아세트산(glacial, 99.8%, 알드리치), 촉매로는 CoBr2(99%, 알드리치), Mn(OAc)2·4H2O(99%, 알드리치)를 사용하여 촉매조성은 반응물 중량기준으로 코발트 287 ppm, 망간 1,481 ppm, 브롬 779 ppm이 되도록 하였다.
p-크실렌 7g, 아세트산 107g, 증류수 5g을 촉매와 같이 혼합하여 총 중량이 120g인 혼합액을 200밀리리터 Ti-오토클레이브에 첨가하여 15기압의 O2/CO2(30%/70%) 산화가스를 400cc/분으로 흘리면서 170˚C에서 350 rpm 교반하며 1시간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의 최종물질은 고액분리를 한 다음 액체는 GC-MS(Agilent 5973I)와 GC-FID(Agilent 6890N)로 분석하여 생성물들의 수율을 계산하였고, 고체는 건조하여 에스테르화반응을 하여 GC-FID(Agilent 6890N)로 분석하여 생성물들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TA의 수율이 90.2%로 얻어졌고, 4-CBA, p-톨루산 등의 부산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1, 2, 3에 비교하여 TA의 수율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O2/CO2 혼합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안전하게 O2의 분압을 높일 수 있고, 높은 O2 분압을 사용한 O2/CO2 혼합 산화가스는 높은 전환율과 선택성을 급격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O2/CO2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35%와 CO2 6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95.8%로 증가하였고 4-CBA, p-톨루산 등의 불순물은 관찰되지 않았고, 비교예 1, 2, 3에 비교하여 전환율과 선택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O2/CO2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40%와 CO2 6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95.6%이였고 4-CBA 등의 불순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비교예 1, 2, 3에 비교하여 전환율과 선택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실시예 2와 비교하여서는 거의 동일한 전환율과 선택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O2/CO2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21%와 CO2 79%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58.2%이였고 30.1%의 p-톨루산, 2.7%의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됨을 확인하였고, 실시예 1, 2, 3에 비교하여 전환율과 선택성이 매우 크게 떨어짐을 알았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O2/CO2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26%와 CO2 74%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67.1%이였고 21.2%의 p-톨루산, 3.9%의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됨을 확인하였고, 비교예 1과 비교해서는 전환율이 약간 높지만, 실시예 1, 2, 3에 비교하여서는 전환율과 선택성이 매우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O2/CO2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28%와 CO2 7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69.7%이였고 12.7%의 p-톨루산, 2.5%의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됨을 확인하였고, 비교예 1, 2와 비교해서는 전환율이 약간 높지만, 실시예 1, 2, 3에 비교하여서는 전환율과 선택성이 급격하게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07046116504-pat00002
* a: 테레프탈산, b: p-톨루산, c: 4-카르복시벤즈알데히드, d: 고체생성물의 색깔
산화반응 온도의 영향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산화반응 온도를 13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표 3과 같이 TA의 수율이 78.5%였고 p-톨루산, 4-CBA 등의 불순물이 미량 생성되었다. 이들 불순물들은 반응시간을 3시간으로 올려 반응한 결과 모두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과 비교하여 전환율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5와 비교하여서는 전환율 및 선택성이 낮지만 고체 생성물이 흰색으로 얻어짐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의 노란색의 고체생성물은 2,6-DCAq(2,6-디카르복시안트라퀴논) 등의 부산물이 다량 포함되어 짙은 색깔을 띠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산화반응 온도를 14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89.7%였고 4-CBA, p-톨루산 등의 부산물은 미량 검출되었으나, 이들 불순물들은 반응시간을 3시간으로 올려 반응한 결과 모두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과 비교하여 전환율과 선택성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5와 비교하여서 고체 생성물이 흰색으로 얻어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7, 8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산화반응 온도를 175℃(실시예 6), 185℃(실시예 7), 195℃(실시예 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92.4%(실시예 6), 95.3%(실시예 7), 94.9%(실시예 8)였고 4-CBA, p-톨루산 등의 부산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4와 비교하여 전환율과 선택성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고체 생성물이 노란색을 띠었으나 비교예 5와 비교해서 2,6-DCAq 등의 부산물이 아주 미미할 정도로 관찰되었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산화반응 온도를 11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17.3%였고 29.3%의 p-톨루산, 2.6%의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고, 실시예 4, 6, 7, 8에 비교하여서는 전환율과 선택성이 매우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들 불순물들은 반응시간을 3시간으로 올려 반응을 수행하여도 약간 감소할 뿐 모두 제거되지는 않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산화반응 온도를 22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94.5%였고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실시예 4, 6, 7, 8에 비교하여서는 2,6-DCAq 등의 부산물이 다량으로 생성되어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고온으로 인해 아세트산이 산화되어 손실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07046116504-pat00003
* a: 테레프탈산, b: p-톨루산, c: 4-카르복시벤즈알데히드, d: 고체생성물의 색깔, e: 2,6-디카르복시안트라퀴논(○○: 다량 관찰, ○: 소량 관찰, △: 미량 관찰, X: 미관찰)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O2 함량과 반응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불순물, 특히 색상 불순물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록 본 명세서 상에는 구체적인 결과는 제시되지 않았으나 극대화된 효과를 위해서는 기질마다 서로 다른 조건들, 특히 반응온도 하에서 반응을 수행해야 함을 확인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개시내용과 본 발명의 실험결과에 기초하기만 하면,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분야의 당업자라면 그 기질마다 극대화된 반응온도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94.5%였고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되지 않 았지만, 실시예 4, 6, 7, 8에 비교하여서는 2,6-DCAq 등의 부산물이 다량으로 생성되어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고온으로 인해 아세트산이 산화되어 손실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산화 혼합가스중의 N 2 및 Ar 가스의 영향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30%와 CO2 40%, Ar 3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TA의 수율이 80.3%로 얻어졌다. p-톨루산,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되었지만, 이들 불순물들은 반응시간을 1시간 30분으로 올려 반응한 결과 모두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Ar 대신 N2를 사용한 비교예 6과 비교하여 전환율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Ar은 산화반응을 저해하지는 않지만 N2는 산화반응을 저해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9의 산화반응 조건 중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30%와 CO2 40%, N2 3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TA의 수율이 41.0%로 얻어졌고, 31.7%의 p-톨루산, 1.8%의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되었다. 이들 불순물들은 반응시간을 2시간으로 올려 반응을 하여도 p-톨루산, 4-CBA 등이 여전히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반응시간과 관계없이 N2가 산화반응을 저해함을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9의 산화반응 조건 중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30%와 N2 7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TA의 수율이 39.1%로 얻어졌고, 54.8%의 p-톨루산, 4.0%의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되었다. 이들 불순물들은 반응시간을 2시간으로 올려 반응을 하여도 p-톨루산, 4-CBA 등이 여전히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불순물인 4-CBA는 비교예 6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많이 생성되었다.
Figure 112007046116504-pat00004
* a: 테레프탈산, b: p-톨루산, c: 4-카르복시벤즈알데히드, d: 고체생성물의 색깔
산화반응 시간의 영향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의 산화반응 조건 중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35%와 CO2 65%로, 산화반응 온도를 190℃로, 산화반응 시간을 50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표 5와 같이 TA의 수율이 92.1%로 얻어졌고 p-톨루산 등의 부산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8과 비교하여 O2/CO2의 혼합 산화가스하에서는 반응시간을 약간만 증가해도 4-CBA, p-톨루산 등의 부산물을 쉽게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10의 산화반응 조건 중 산화반응 시간을 40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TA의 수율이 68.0%로 얻어졌고 19.1%의 p-톨루산, 3.3%의 4-CBA 등의 불순물이 검출되었다.
비교예 9
상기 실시예 10의 산화반응 조건 중 혼합 산화가스의 부피비를 O2 30%와 CO2 70%로, 산화반응 시간을 40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후 최종생성물의 분석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산화반응의 결과 표 5와 같이 TA의 수율이 42.2%로 얻어졌다. p-톨루산, 4-CBA 등의 불순물이 생성되었지만, 이들 불순물들은 반응시간을 1시간으로 올려 반응한 결과 모두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07046116504-pat00005
* a: 테레프탈산, b: p-톨루산, c: 4-카르복시벤즈알데히드, d: 고체생성물의 색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더욱 완화된 반응 조건에서도 산화반응 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반응의 전환율 및 PTA의 선택도와 수율 등이 모두 탁월하게 향상되고, 특히 색상 불순물 및 종래 별도의 수소첨가에 의한 환원공정을 반드시 거쳐 제거해야만 했었던 4-CBA나 p-톨루산의 생성량을 정제가 필요 없을 정도로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상업공정에서 일어나는 용매인 아세트산의 연소에 의한 손실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보임을 확 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MC형 균일촉매 및 산화제의 존재 하에서 탄화수소 기질을 산화처리하여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MC형 균일촉매는 Co/Mn/Br 및 Co/Mn/M/Br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M은 Ni, Zr, K,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산화제는 O2/CO2 혼합기체이고, 상기 혼합기체 중에서 O2의 부피비는 30-40%이며;
    상기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는 PTA(정제 테레프탈산), IPA(이소프탈산), TMA(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TME(트리메스산), PMDA(파이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 NDCA(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BPDA(바이페닐 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BA(벤조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C형 균일촉매는 Co/Mn/Br 및 Co/Mn/M/Br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M은 Ni, Zr, K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는 PTA(정제 테레프탈산), IPA(이소프탈산), NDCA(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 단계는 반응온도를 조절하여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 단계는 120-210˚C에서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 단계는 140-170˚C에서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2/CO2의 혼합기체는 5-50 부피%의 헬륨 또는 아르곤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2/CO2의 혼합기체는 질소를 20 부피% 이하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O2/CO2의 혼합기체는 질소를 5 부피% 이하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 단계는 순환기류식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 단계에 의해서 불순물인 4-CBA 및 p-톨루산은 수소처리 환원공정을 거치지 않고 재결정 또는 원심분리의 단순한 방법에 의해서 각각 25 ppm 미만 및 200 ppm 미만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는 재결정 또는 원심분리의 단순한 방법을 수행하기 전에 흰색 또는 옅은 노란색이며, 재결정 또는 원심분리의 단순한 방법을 수행한 후에는 흰색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2/CO2의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생기는 배출가스 중에 존재하는 CO를 상업용 산화 촉매(Pt/C) 상에서 CO2로 전환시켜서 순환시킴과 동시에, 반응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을 회수하여 반응에 보충하는데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20070062496A 2006-10-12 2007-06-25 Mc형 균일촉매 및 o2-co2 혼합기체를 이용한 유기산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91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A2007101466526A CN101161625A (zh) 2006-10-12 2007-08-23 用均相mc型催化剂和o2/co2混合物制备有机酸或其衍生物的方法
JP2007217177A JP2008094829A (ja) 2006-10-12 2007-08-23 Mc型均一触媒およびo2/co2混合気体を用いた有機酸またはその誘導体の製造方法
EP07016561A EP1911737A1 (en) 2006-10-12 2007-08-23 Process for preparing an organic acid or its derivatives using a homogeneous MC-Type catalyst an O2/CO2 mixture
US11/844,685 US20080091043A1 (en) 2006-10-12 2007-08-24 Process for preparing an organic acid or its derivatives using a homogeneous mc-type catalyst and an o2/co2 mixture
TW096131532A TW200823177A (en) 2006-10-12 2007-08-24 Process for preparing an organic acid or its derivatives using a homogeneous MC-type catalyst and an O2/CO2 mixture
EP07018229A EP1911830A1 (en) 2006-10-12 2007-09-17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sulfur, nitrogen and the production of useful oxygenates from hydrocarbon materials via one-pot selective oxidation
CNA2007101534612A CN101161788A (zh) 2006-10-12 2007-09-19 通过一步选择性氧化减少硫、氮以及由烃材料生产有用含氧化合物的方法
US11/858,449 US7591943B2 (en) 2006-10-12 2007-09-20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sulfur, nitrogen and the production of useful oxygenates from hydrocarbon materials via one-pot selective oxidation
JP2007244523A JP2008095095A (ja) 2006-10-12 2007-09-20 脱窒、脱硫、含酸素化合物の製造のための炭化水素基質の選択酸化方法
TW096135174A TW200837184A (en) 2006-10-12 2007-09-20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sulfur, nitrogen and the production of useful oxygenates from hydrocarbon materials via one-pot selective oxidation
EP07019865A EP1911831A1 (en) 2006-10-12 2007-10-10 One-pot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sulfur, nitrogen and the production of useful oxygenates from hydrocarbon materials via one-pot selective oxidation
JP2007265224A JP2008095107A (ja) 2006-10-12 2007-10-11 脱窒、脱硫、含酸素化合物の製造のための炭化水素基質の選択酸化方法
US11/870,820 US7615145B2 (en) 2006-10-12 2007-10-11 One-pot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sulfur, nitrogen and the production of useful oxygenates from hydrocarbon materials via one-pot selective oxidation
CNA2007101524377A CN101173188A (zh) 2006-10-12 2007-10-12 用于脱硫、脱氮及产生含氧化合物的烃基质选择性氧化方法
TW096138299A TW200833828A (en) 2006-10-12 2007-10-12 One-pot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sulfur, nitrogen and the production of useful oxygenates from hydrocarbon materials via one-pot selective oxid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105206P 2006-10-12 2006-10-12
US60/851,052 2006-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38A KR20080033838A (ko) 2008-04-17
KR100916576B1 true KR100916576B1 (ko) 2009-09-11

Family

ID=3957337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781A KR100882259B1 (ko) 2006-10-12 2007-06-11 탈질, 탈황, 함산소 화합물 제조를 위한 탄화수소 기질의선택산화 방법
KR1020070062496A KR100916576B1 (ko) 2006-10-12 2007-06-25 Mc형 균일촉매 및 o2-co2 혼합기체를 이용한 유기산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20070078542A KR100885497B1 (ko) 2006-10-12 2007-08-06 탈질, 탈황, 함산소 화합물 제조를 위한 탄화수소 기질의선택산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781A KR100882259B1 (ko) 2006-10-12 2007-06-11 탈질, 탈황, 함산소 화합물 제조를 위한 탄화수소 기질의선택산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542A KR100885497B1 (ko) 2006-10-12 2007-08-06 탈질, 탈황, 함산소 화합물 제조를 위한 탄화수소 기질의선택산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0882259B1 (ko)
TW (3) TW2008231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55764T3 (es) 2012-01-11 2018-02-21 Cj Cheiljedang Corporation Microorganismo recombinante que tiene una capacidad mejorada de producción de putrescina y un procedimiento para producir putrescina utilizando el mismo
KR101607741B1 (ko) 2013-03-20 2016-03-31 씨제이제일제당 (주) 퓨트레신 생산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방법
EP3397956B1 (en) * 2015-12-29 2019-10-30 Total Raffinage Chimie Method for detecting and quantifying oxygen in oxidizable compounds
CN117123209B (zh) * 2023-09-28 2024-02-06 北京英诺格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垃圾渗滤液氧化处理的催化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298B1 (ko) 2001-03-31 2004-04-17 한국화학연구원 알킬방향족 화합물의 액상산화에 의한 방향족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KR100549107B1 (ko) 1999-04-28 2006-02-06 삼성토탈 주식회사 아로마틱 폴리카본산의 제조방법
KR20060061134A (ko) * 2004-12-01 2006-06-07 한국화학연구원 액상산화의 순환기류식 공정에 의한 방향족 카르복시산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8990B1 (fr) * 2000-12-28 2004-09-24 Total Raffinage Distribution Procede et dispositif de desulfuration d'hydrocarbures charges en derives thiopheniques
US6558533B2 (en) * 2001-04-13 2003-05-06 W.R. Grace & Co.-Conn Process for sulfur removal from hydrocarbon liquids
DE10139531A1 (de) 2001-08-10 2003-02-20 Bayer Ag Verfahren zur Epoxidierung von Kohlenwasserstoffen
US7074375B2 (en) * 2002-12-03 2006-07-11 Engelhard Corporation Method of desulfurizing a hydrocarbon gas by selective partial oxidation and adsorption
FR2864101B1 (fr) * 2003-12-19 2006-03-17 Total France Procede catalytique de purification des hydrocarbures leg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107B1 (ko) 1999-04-28 2006-02-06 삼성토탈 주식회사 아로마틱 폴리카본산의 제조방법
KR100427298B1 (ko) 2001-03-31 2004-04-17 한국화학연구원 알킬방향족 화합물의 액상산화에 의한 방향족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KR20060061134A (ko) * 2004-12-01 2006-06-07 한국화학연구원 액상산화의 순환기류식 공정에 의한 방향족 카르복시산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7184A (en) 2008-09-16
KR20080033835A (ko) 2008-04-17
KR100882259B1 (ko) 2009-02-09
KR20080033054A (ko) 2008-04-16
KR100885497B1 (ko) 2009-02-24
TW200823177A (en) 2008-06-01
KR20080033838A (ko) 2008-04-17
TW200833828A (en) 200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94829A (ja) Mc型均一触媒およびo2/co2混合気体を用いた有機酸またはその誘導体の製造方法
WO2010040251A1 (zh) 空气氧化对二甲苯制备对苯二甲酸的方法和设备
KR100916576B1 (ko) Mc형 균일촉매 및 o2-co2 혼합기체를 이용한 유기산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EP1173401B1 (en) A production method of aromatic carboxylic acids
US7378544B2 (en) Anthracene and other polycyclic aromatics as activators in the oxid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EP1856019B1 (en) Processes for producing aromatic dicarboxylic acids
US20060058551A1 (en) Method of purifying aromatic polycarboxylic acid
US9382184B2 (en) Processes for producing terephthalic acid
JP2008534577A (ja) 水中におけるp−キシレンの液相酸化によるp−トルイル酸の製造方法
US6180822B1 (en) Method of producing aromatic carboxylic acids by oxidizing alkyl aromatic compounds or partially oxidized intermediates thereof with carbon dioxide containing gas
JPS6168444A (ja) 2,6−ナフタレンジ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US9199906B2 (en) Processes for producing isophthalic acid
US20060205974A1 (en) Processes for producing aromatic dicarboxylic acids
US7465824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 purity aromatic carboxylic acids using a benzoic acid and water solvent for oxidation and purification
RU2254324C2 (ru) Непрерывны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чистой терефталевой кислоты
TWI337995B (en) Anthracene and other polycyclic aromatics as activators in the oxid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RU241217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нутримолекулярных ангидридов бензолполикарбоновых кислот
JPS60184043A (ja) 芳香族ジ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KR20100003843A (ko) 고순도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JPS62255448A (ja) ナフタレンジ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KR20050068565A (ko) 알킬방향족 화합물의 액상산화에 의한 방향족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JPH06239794A (ja) 2,6−ナフタレンジ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JP2011098938A (ja) トリメリット酸又はピロメリット酸の製造方法
JPS6341378B2 (ko)
JPH05339203A (ja) ナフタレンジ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