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042B1 -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042B1
KR100916042B1 KR1020020063482A KR20020063482A KR100916042B1 KR 100916042 B1 KR100916042 B1 KR 100916042B1 KR 1020020063482 A KR1020020063482 A KR 1020020063482A KR 20020063482 A KR20020063482 A KR 20020063482A KR 100916042 B1 KR100916042 B1 KR 100916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tstone
flange
grindstone
motor
grind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851A (ko
Inventor
안경순
안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3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0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된 숫돌로 부터 플랜지를 분해하거나, 새로운 숫돌에 플랜지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동력작동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정비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정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모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고, 그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숫돌을 거치하기 위한 숫돌 지지판들이 마련된 숫돌 거치판; 상기 숫돌 거치판으로 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모터의 작동으로 전,후이동가능하며, 숫돌 거치판으로 부터 숫돌을 일정거리 위치이동시키는 대차; 상기 대차의 타측에 배치되는 받침판을 갖추고,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서 기어드 모터와 웜감속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드 모터를 구비한 숫돌 고정부; 상기 숫돌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숫돌로 부터 플랜지들을 동력으로 들어 올리는 호이스트;및 상기 호이스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플랜지들이 거치되는 다수개의 칸들이 배치된 플랜지 거치대;를 포함하여 숫돌로 부터 플랜지들을 동력의 작용력으로 분해및 조립하도록 구성되는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20063482
연삭기(GRINDER), 숫돌, 숫돌 거치판, 대차, 호이스트, 플랜지 교환장치

Description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AN APPARATUS FOR EXCHANGING FLANGE FROM GRINDER FOR GRINDING MACHINE}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에 갖춰진 숫돌 거치판, 대차, 숫돌 고정부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에 갖춰진 회동 실린더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에 갖춰진 호이스트와 숫돌 거치대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에 갖춰진 링기어의 내륜와 외륜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의 전체적인 동작관계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제 7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숫돌과 플랜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숫돌과 플랜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베이스플레이트 7.... 피트
10.... 운전판넬 12.... 모터
16.... 기어 20.... 링기어
22.... 내륜 24.... 외륜
30.... 숫돌거치판 32.... 숫돌 지지판
34.... 안내통로 36a,36b... 가이드 레일
40.... 래크 42.... 대차
44.... 피니언 기어 46.... 숫돌 지지판
50.... 모터 53.... 케이블 콘베이어
60.... 숫돌 고정부 64.... 가이드 프레임
68.... 스크류 축 70.... 커플링
72.... 기어드모터 76.... 이동 너트
78.... 브라켓트 80.... 기어드 모터
82.... 연결판 84.... 웜감속기
86.... 승강축 90.... 핀
94.... 고정판 96.... 볼트
100.... 받침대 102.... 오목홈
104.... 절개부 120.... 회동대
122.... 직립 브라켓트 126.... 숫돌 지지판
130.... 플랜지 거치대 136.... 호이스트
137.... 기둥 205.... 상부 플랜지
220.... 숫돌 222.... 중앙구멍
226.... 볼트
본 발명은 연삭기(GRINDER)에서 사용한 후 마모된 숫돌의 폐기에 따라 플랜지를 분해하고, 신규 숫돌에 플랜지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노후된 숫돌로 부터 플랜지를 분해하거나, 새로운 숫돌에 플랜지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동력작동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정비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정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공장에서는 스트립의 압연작업을 이루는 백업롤과 워크롤들이 스트립과 계속적인 마찰을 이룸으로 인해 롤 표면이 거칠게 된다. 이와 같은 백업롤과 워크롤들은 일정시간 압연작업 후에 압연기로 부터 취외하여 연삭기에서 표면연삭작업 과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정비 작업과정에서 롤 표면의 연삭을 숫돌이 하게 된다.
이러한 숫돌은 보통 무게가 무거운 것이고, 일정시간 사용후에는 숫돌도 마모되며, 그에 따라서 노후된 숫돌은 신규 숫돌과 교환을 하여야 한다.
그런데, 숫돌은 플랜지를 통해서 고정하게 되며, 연삭기에 새로운 숫돌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마모된 숫돌에서 플랜지를 취외하여 노후된 숫돌은 폐기 처분하고, 신규 숫돌을 플랜지에 재장착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이는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상부 플랜지(205)와 이에 대응하여 원판으로 이루어지고, 숫돌(220)의 중앙구멍(222)으로 연장하는 원기둥부(212)가 일측면에 마련된 하부 플랜지(210)들이 다수개의 볼트(226)들을 통하여 결합되어 그 사이에서 숫돌(220)을 협착지지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즉, 상기 다수개의 볼트(226)들이 상부 플랜지(205)의 구멍(207)을 관통하여 하부 플랜지(210)의 불트구멍(214)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사이에서 숫돌(220)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숫돌(220)에서 플랜지(205)(210)들을 교환하는 과정이 종래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가 누적되고, 교체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교환 작업중에 무거운 숫돌(220)이 작업자 측으로 전도됨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등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마모되거나 신규 숫돌을 플랜지로 부터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를 동력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정비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정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연삭기(GRINDER)에서 사용한 후 마모된 숫돌의 폐기에 따라 플랜지를 분해하고, 신규 숫돌에 플랜지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모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고, 그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숫돌을 거치하기 위한 숫돌 지지판들이 마련된 숫돌 거치판;
상기 숫돌 거치판으로 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모터의 작동으로 전,후이동가능하며, 그 상부면에는 숫돌이 실리는 숫돌 지지판이 마련되어 상기 숫돌 거치판으로 부터 숫돌을 일정거리 위치이동시키는 대차;
상기 대차의 타측에 배치되는 받침판을 갖추고,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숫돌의 중앙으로 삽입되는 핀을 구비하며, 상기 핀을 구동시키는 기어드 모터와 웜감속기를 갖추고, 상기 기어드 모터와 웜감속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드 모터를 구비한 숫돌 고정부;
상기 숫돌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숫돌로 부터 플랜지들을 동력으로 들어 올리는 호이스트;및
상기 호이스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플랜지들이 거치되는 다수개의 칸들이 배치된 플랜지 거치대;를 포함하여 숫돌로 부터 플랜지들을 동력의 작용력으로 분해및 조립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1)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5)가 지상에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의 하부측으로는 피트(7)가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5)의 앞면 중간에는 운전판넬(10)이 다수개의 볼트(미도시)로 작업장 바닥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의 하부측 피트(7)에는 도 2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2)가 직립으로 브라켓트(14)에 의해서 피트(7)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12)의 축에는 기어(16)가 고정되어 베이스 플레이트(5)의 상부면에 배치된 링기어(20)의 내륜(22)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링기어(20)는 그 외륜(24)이 베이스 플레이트(5)에 볼트(26)로 고정되고, 숫돌 거치판(30)의 하면은 링기어(20)의 내륜(22) 상부에 고정되며, 링기어(20)는 내륜(22)의 외주면에 링형 돌기(22a)가 형성되고, 내륜(22)의 내주면에는 치차(22b)가 형성되며, 상기 외륜(24)의 내부면에는 상기 돌기(22a)가 끼워져서 활주이동가능한 홈(24a)이 형성되어 윤활처리됨으로서 링기어(20)의 외륜(24)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12)의 작동으로 내륜(22)은 회전하여 숫돌거치판(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숫돌 거치판(30)는 그 상면에 다수의 숫돌 지지판(32)들을 구비한 凸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숫돌 지지판(32)들의 사이사이에 각각 숫돌(220)들이 직립으로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위치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숫돌거치판(30)와 작업장 바닥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5)상에 ∪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안내통로(34)가 설치되어 작업장 바닥으로 부터 숫돌 거치 판(30)로 숫돌(220)을 굴려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서 원활한 적치를 돕는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의 뒤쪽에는 두 줄로 가이드 레일(36a)(36b)이 길게 고정되고, 그 사이에는 일측 가이드 레일(36a)을 따라서 래크(40)가 고정되어 대차(42)의 피니언 기어(44)와 치차 결합하고 있다.
상기 대차(42)는 ㄴ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그 상면에는 양측으로 숫돌 지지판(46)들이 돌출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다수개의 라이너(48)가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36a)(36b)을 타고 움직이며, 대차(42)의 일측에 수직하향으로 배치된 모터(50)가 갖춰지고, 상기 모터(50)의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44)가 장착되어 상기 래크(40)에 치차결합된다.
또한, 상기 모터(50)에 동력을 제공하는 케이블 콘베이어(53)는 대차(42)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대차(42)의 전,후진에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모터(50)에 동력과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대차(42)는 모터(50)의 피니언 기어(44)가 회전운동을 받아 대차(42)가 래크(40)를 따라서 전,후진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의 좌측에는 숫돌 고정부(60)가 배치되는 바, 상기 숫돌 고정부(60)는 베이스(62)가 배치되어 피트(7)내에 안착되고, 그 위에 가이드 프레임(64)이 볼트(미도시)로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64)의 상부에 복수의 나란한 가이드(66a)(66b)가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그 중간에는 스크류 축(68)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 축(68)은 커플링(70)에 의해 기어드모터(7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기어드 모터(72)는 상기 가이드 프레 임(64)의 일측에 다수개의 볼트(미도시)들로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 축(68)을 정,역회전시키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 축(68)은 가이드 프레임(64)에서 돌출된 지지리브(64a)상에 각각 베어링(미도시)들을 통해서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이고, 그 중간에는 이동 너트(76)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너트(76)는 그 상부면에 브라켓트(78)가 형성되어 또 다른 기어드 모터(80)의 하면에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기어드 모터(80)는 그 하면에 다수개의 라이너(82)들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64)에 장착된 가이드(66a)(66b)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기어드 모터(72)의 작동으로 스크류 축(68)이 정,역회전하면 이동 너트(76)가 스크류 축(68)을 따라서 전,후진 하면서 기어드 모터(80)의 전,후진을 동시에 이루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어드 모터(80)의 일측에는 모터(80)의 하면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연결판(82)을 통하여 웜감속기(84)가 일체로 장착되는 바, 상기 웜감속기(84)는 승강축(86)이 수직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기어드모터(80)와 웜감속기(84)는 일체로 전,후진하고, 기어드 모터(80)의 회전력은 커플링(88)을 통하여 웜감속기(84)의 입력축에 전달되어 그 출력축인 승강축(86)이 승하강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축(86)의 상단에는 핀(9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205)(210) 중심의 구멍(205a)(210a)들을 통하여 플랜지(205)(2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핀(90)의 상단에는 중앙에 상하로 나사구멍(92)이 형성되고, 상 기 핀(90)의 상부측으로는 중앙에 구멍(94a)이 형성된 고정판(94)이 배치되며, 상기 구멍(94a)을 관통하도록 볼트(96)가 배치되어 상기 고정판(94)을 핀(90)의 상단에 나사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웜감속기(84)및 기어드모터(80)등의 상부측으로는 베이스플레이트(5)가 상기 피트(7)를 덮도록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의 중앙에 형성된 절개부(5a)의 상부측으로는 받침대(100)가 절개부(5a)를 덮도록 베이스 플레이트(5)상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대(100)는 그 상면에 오목홈(102)과 절개부(104)를 갖는다.
상기 오목홈(102)은 그 크기가 하부 플랜지(210)의 직경에 해당하는 폭을 구비하고, 일측 모서리로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오목홈(102)은 받침대(100)의 상면으로 부터 오목하게 단턱이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오목홈(102)의 중앙에는 오목홈(102)과 나란하게 상하로 관통된 절개부(104)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104)를 통하여 상기 웜감속기(84)의 핀(90)이 승하강하고, 기어드 모터(72)의 작동으로 절개부(104)를 따라서 핀(9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0)의 앞측에는 숫돌(220)을 직립된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는 회동 실린더(110)가 마련된다. 상기 회동 실린더(110)는 그 로드(112)가 받침대(100)측으로 연장되고, 그 후단은 힌지(114)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5)의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로드(112)의 선단에는 핀(미도시)을 통하여 회동대(120)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회동대(120)의 타단은 받침대(100)에 인접한 직립 브라켓트(122)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동대(120)의 상면에는 상기 회동 실린더(110)의 로드(112)에 직각인 방향으로 상향돌출된 숫돌 지지판(126)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 실린더(110)의 로드(112)가 인출되면, 회동대(120)는 직립 브라켓트(122)를 중심으로 회동대(120)를 경사시켜서 상기 받침대(100)상에 숫돌(220)을 얹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숫돌 지지판(126)은 그 사이에 숫돌(220)의 일측 모서리가 끼워진 상태이므로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숫돌(220)을 고정하여 회동실린더(110)에 의한 안정된 회전동작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0)의 뒤쪽으로는 즉 회동 실린더(110)의 반대측으로는 다수개의 칸(132)들이 상부면에 구획된 플랜지 거치대(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그 옆으로는 기둥(137)이 고정되고 상기 기둥(137)의 상단에 레일(138)이 설치되며, 레일(138)에는 호이스트(136)가 설치되어 플랜지(205)(210)의 운반을 돕도록 하여 숫돌(220)에서 플랜지(205)(210)의 분해와 조립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140)는 대차(42)로 부터 회동대(120)로 이어지는 안내통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1)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모되어 폐기하고자 하는 숫돌(220)에서 플랜지(205)(210)를 분해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숫돌(220)을 연삭기에서 제거하여 안내통로(34)를 통해 숫돌거치판(30)에 적치를 시킨다.
그리고, 상기 숫돌거치판(30)에 적치된 숫돌(220)중에서 특정 숫돌(220)을 선정한 후 운전판넬(10)에서 작업자가 버튼을 누르면, 모터(12)가 회전을 하고 이어서 피니언 기어(16)가 회전을 하면서 링기어(20)의 내륜(22)에 회전력을 전달하면 링기어(20)의 내륜(22)에 연결된 숫돌거치판(30)가 회전을 하면서 대차(42)에 해당 숫돌(220)을 이동하기 좋은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작업자는 숫돌 거치판(30)로 부터 숫돌(220)을 밀어 대차(42)에 안착을 시킨다. 그리고 기어드모터(50)를 동작시켜 회전운동을 피니언 기어(44)를 통해 래크(40)에 전달하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두 줄의 가이드 레일(36a)(36b)을 타고, 대차(42)가 일정위치까지 전진하게 된다.
전진이 완료되어 대차(42)가 정지되면, 작업자는 대차(42)로 부터 안내통로(140)를 통하여 숫돌(220)을 밀어 회동대(12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회동 실린더(110)를 동작시켜 로드(112)를 전진시키고 회동대(120)를 회전시키면 직립 브라켓트(122)과 회동대(120)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대(120)와 숫돌(220)은 90도 경사 회전하게 되며, 숫돌(220)의 넓은 면이 받침대(100) 위에 서서히 얹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숫돌(220)의 하부 플랜지(205)(210)는 받침대(100)의 오목홈(102)내에 위치된 상태이다.
그러면 기어드 모터(80)를 기동하여 웜감속기(84)의 승강축(86)을 상승시키면 핀(90)이 상,하부 플랜지(205)(210)의 중심 구멍(205a)(210a)을 통과하여 상부 플랜지(205)의 상부로 돌출하게 된다.
그 후, 기어드모터(72)를 기동하여 스크류(68)를 회전시키면 기어드모터(80)와 웜 감속기(84)가 두 줄의 가이드(66a)(66b)을 타고 전진하게 되며, 숫돌(220)이 회동대(120)의 숫돌 지지판(126)으로 부터 분리되어 받침대(100)의 중앙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경우 핀(90)은 받침대(100)의 절개부(104)를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받침대(100)의 중앙에 숫돌(220)을 위치시킨 다음에는, 작업자는 이 상태에서 에어임팩트(미도시)를 사용하여 상부 플랜지(205)의 볼트(226)들을 풀어 제거한다.
그러면, 상기 볼트(226)들은 상,하부 플랜지(205)(210)로 부터 분리되어 빠지고, 볼트(226)가 제거된 상부 플랜지(205)를 호이스트(136)를 작동시켜 볼트 구멍(257)에 아이볼트(eye bolt)(미도시)를 체결한 다음, 들어 올려 측방에 마련된 플랜지 거치대(130)에 적치하게 된다.
이 작업이 끝나면 상기 핀(90)의 상단 구멍에 고정판(94)을 위치시키고 볼트(96)로 고정한 다음, 기어드모터(80)를 작동시켜 웜감속기(84)를 통해 핀(90)을 하강시키면 고정판(94)이 하부플랜지(210)를 당겨서 숫돌(220)과 분리되고, 숫돌(220)에서의 상,하부 플랜지(205)(210)의 분해는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플랜지(205)(210)에 다시 새로운 숫돌(220)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 플랜지(210)가 받침대(100)의 움푹 패인 오목홈(102)에 있는 상태에서 숫돌 거치판(30)의 신규 숫돌(220)을 대차(42)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고, 회동대(120)에 실은 다음, 상기 핀(90)으로 부터 고정판(94)을 해체 분리시키고, 기어드 모터(72)를 작동시켜 하부 플랜지(210)를 회동대(120)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동실린더(110)를 동작시켜서 숫돌(220)을 받침대(100)위에 얹히고, 다시 기어드 모터(72)를 동작시켜 받침대(100)의 중앙으로 새로운 숫돌(220)과 하부 플랜지(210)를 이동시킨 다음, 호이스트(136)를 이용하여 플랜지 거치대(130)에서 상부 플랜지(205)를 들어 올려 신규 숫돌(220)의 중심에 놓고 에어임팩트(미도시)를 이용하여 볼트(226)를 체결하여 상,하부 플랜지(205)(210)와 숫돌(220)을 조립을 완료하고, 호이스트(136)를 이용하여 이를 받침대(100)로 부터 들어 올린 다음 재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이 무거운 숫돌(220)과 플랜지(205)(210)의 분해및 교체작업을 동력을 이용하여 실시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정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5)

  1. 연삭기(GRINDER)에서 사용한 후 마모된 숫돌(220)의 폐기에 따라 플랜지(205)(210)를 분해하고, 신규 숫돌에 플랜지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5) 상에서 모터(1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고, 그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숫돌(220)을 거치하기 위한 숫돌 지지판(32)들이 마련된 숫돌 거치판(30);
    상기 숫돌 거치판(30)으로 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36a)(36b)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 레일(36a)(36b) 상에서 모터(50)의 작동으로 전,후이동가능하며, 그 상부면에는 숫돌(220)이 실리는 숫돌 지지판(46)이 마련되어 상기 숫돌 거치판(30)으로 부터 숫돌(220)을 일정거리에 위치이동시키는 대차(42);
    상기 대차(42)의 타측에 배치되는 받침판(100)을 갖추고, 상기 받침판(100)의 하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숫돌(220)의 중앙으로 삽입되는 핀(90)을 구비하며, 상기 핀(90)을 구동시키는 기어드 모터(80)와 웜감속기(84)를 갖추고, 상기 기어드 모터(80)와 웜감속기(84)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드 모터(72)를 구비한 숫돌 고정부(60);
    상기 숫돌 고정부(60)의 일측에 배치되어 숫돌(220)로 부터 플랜지(205)(210)들을 동력으로 들어 올리는 호이스트(136);및
    상기 호이스트(136)의 일측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플랜지(205)(210)들이 거치되는 다수개의 칸(132)들이 배치된 플랜지 거치대(130);를 포함하여 숫돌(220)로 부터 플랜지(205)(210)들을 동력의 작용력으로 분해및 조립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돌 거치판(30)은 링기어(20)의 외륜(24)이 베이스 플레이트(5)에 볼트(26)로 고정되고, 그 하면은 링기어(20)의 내륜(22) 상부에 고정되며, 링기어(20)는 내륜(22)의 외주면에 링형 돌기(22a)가 형성되고, 내륜(22)의 내주면에는 치차(22b)가 형성되며, 상기 외륜(24)의 내부면에는 상기 돌기(22a)가 끼워져서 활주이동가능한 홈(24a)이 형성되어 윤활처리됨으로서 링기어(20)의 외륜(24)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12)의 작동으로 내륜(22)은 회전하여 숫돌거치판(30)이 회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42)는 그 상면에 양측으로 숫돌 지지판(46)들이 돌출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다수개의 라이너(48)가 부착되어 복수의 가이드 레일(36a)(36b)을 타고 움직이며, 대차(42)의 일측에 수직하향으로 배치된 모터(50)가 갖춰지고, 상기 모터(50)의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44)가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36a)(36b)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 가이드 레일(36a)을 따라 고정된 래크(40)에 치차결합됨으로서, 상기 대차(42)는 모터(50)의 피니언 기어(44)가 회전운동을 받아 래크(40)를 따라서 전,후진 직선운동을 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돌 고정부(60)는 기어드모터(7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스크류 축(68)을 갖추고, 상기 스크류 축(68)은 중간에 이동 너트(76)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동 너트(76)는 그 상부면에 브라켓트(78)가 형성되어 또 다른 기어드 모터(80)의 하면에 나사로 고정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72)의 작동으로 스크류 축(68)이 정,역회전하면 이동 너트(76)가 스크류 축(68)을 따라서 전,후진 하면서 기어드 모터(80)와 웜감속기(84)의 전,후진을 동시에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90)의 상단에는 중앙에 상하로 나사구멍(92)이 형성되고, 상기 핀(90)의 상부측으로는 중앙에 구멍(94a)이 형성된 고정판(94)이 배치되며, 상기 구멍(94a)을 관통하도록 볼트(96)가 배치되어 상기 고정판(94)을 핀(90)의 상단에 나사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KR1020020063482A 2002-10-17 2002-10-17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KR100916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482A KR100916042B1 (ko) 2002-10-17 2002-10-17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482A KR100916042B1 (ko) 2002-10-17 2002-10-17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851A KR20040034851A (ko) 2004-04-29
KR100916042B1 true KR100916042B1 (ko) 2009-09-08

Family

ID=3733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482A KR100916042B1 (ko) 2002-10-17 2002-10-17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104B1 (ko) 2014-12-23 2016-01-12 주식회사 포스코 심 용접 장비의 전극 휠 가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7826B (zh) * 2018-01-16 2024-01-02 莱歇研磨机械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磨机传动装置
CN111216041A (zh) * 2020-03-11 2020-06-02 沈阳东博热工科技有限公司 一种修磨砂轮快换自动化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614U (ko) * 1994-11-26 1996-06-17 연삭기의 숫돌 교환장치
JPH09309067A (ja) * 1996-05-27 1997-12-02 Daido Steel Co Ltd 大型砥石交換装置
KR19980011888U (ko) * 1996-08-23 1998-05-25 김재복 공작기계의 연삭숫돌 교환장치
KR20010060709A (ko) * 1999-12-27 2001-07-07 이구택 롤 연삭기의 연삭숫돌 분해 및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614U (ko) * 1994-11-26 1996-06-17 연삭기의 숫돌 교환장치
JPH09309067A (ja) * 1996-05-27 1997-12-02 Daido Steel Co Ltd 大型砥石交換装置
KR19980011888U (ko) * 1996-08-23 1998-05-25 김재복 공작기계의 연삭숫돌 교환장치
KR20010060709A (ko) * 1999-12-27 2001-07-07 이구택 롤 연삭기의 연삭숫돌 분해 및 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104B1 (ko) 2014-12-23 2016-01-12 주식회사 포스코 심 용접 장비의 전극 휠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851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563B1 (ko) 롤 스탠드
CN101564808B (zh) 多辊轧机背衬辊整体无间隙修复方法及其修复装置
CN210589028U (zh) 发动机拆装台架
KR100916042B1 (ko)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JPH11123417A (ja) チョックレス圧延機のロール組替方法及び装置
KR101185775B1 (ko) 롤 베어링블록 및 베어링유니트 탈.장착 장치
CN218798183U (zh) 一种轧辊拆装平台
CN113290463B (zh) 一种铲斗输送打磨装置
CA1072781A (en) Rolling mill stand
KR100423429B1 (ko) 소둔로 롤 교체장치
KR100530052B1 (ko) 조정너트와 링 캐리어의 분해조립장치
KR100422786B1 (ko) 선재 사상압연기용 감속기 수리작업대
CN216474296U (zh) 一种钢轨打磨装置
CN217530387U (zh) 一种电梯导轨维护除锈装置
KR20130023883A (ko) 압연기의 스핀들 분리용 장치
KR100825329B1 (ko) 백업롤용 오토클램프 자동 장탈착장치
CN213081029U (zh) 一种柱式荒磨机
KR20040019418A (ko) 고로 드라이브 유니트의 교환 및 그라인딩장치
KR100507576B1 (ko) 롤 조립용 유압너트의 롤저널부 분해조립 및 그 연마장치
CN214108680U (zh) 矿用耐磨钢球锻造装置
CN218079643U (zh) 一种轧机辊系换辊小车
CN112792700B (zh) 一种抗侧滚扭杆杆端修复工装
CN215389595U (zh) 一种环辊磨磨辊张紧连杆耐磨结构
CN113445375A (zh) 一种钢轨打磨装置
CN117226622A (zh) 一种工作辊带箱磨削全自动翻转及支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