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563B1 - 롤 스탠드 - Google Patents

롤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563B1
KR101591563B1 KR1020127022854A KR20127022854A KR101591563B1 KR 101591563 B1 KR101591563 B1 KR 101591563B1 KR 1020127022854 A KR1020127022854 A KR 1020127022854A KR 20127022854 A KR20127022854 A KR 20127022854A KR 101591563 B1 KR101591563 B1 KR 101591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tand
rollers
side bearing
roller
bea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899A (ko
Inventor
베르나드 로시노
이브 길로
프란시스 샤르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30028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21B13/145Lateral support devices for rolls acting mai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9/00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e.g. backing rolls ; Roll bending devices, e.g. hydraulic actuators acting on roll shaft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Metal Roll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 대상 스트립을 파지할 수 있는 두 개의 가공 롤러(1), 두 개의 중간 롤러(2), 두 개의 베어링 롤러(3), 상기 가공 롤러(1) 중 하나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을 포함하는 롤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롤 스탠드는 상기 중간 롤러(2)를 캠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캠버 블록(9)이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수직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 스탠드{ROLL STAND}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및 제15항의 서문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압연 설비 설치용 롤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대개 적어도 하나의 롤 스탠드를 포함하는 압연 설비를 사용하는 금속 스트립 압연 분야, 특히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특수강을 대상으로 하는 압연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압연 설비의 롤 스탠드 및 그 작동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탠드는 임의의 유형의 금속의 압연, 특히 스테인레스강의 압연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 롤 스탠드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두 개의 가공 롤러를 구비하되, 이들 각각은 금속 스트립의 이동면에 평행하고 상기 가공 롤러 사이를 지나는 스트립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단일 파지면 내에 위치하는 종방향 회전축을 가진다. 압연 중에, 가공 롤러는 상기 단일 파지면 내에(또는 상기 파지면 가까이에) 위치한 종방향 축을 가지고, 그 사이에 압하력(rolling pressure) 또는 하중이 인가되는 한 쌍의 베어링 롤러에 의해 서로 가압된다. 수직으로 적층되는 네 개의 롤러, 즉 보다 큰 직경의 두 개의 베어링 롤러에 의해 서로 가압되는 작은 직경의 두 개의 가공 롤러로 형성되는 롤 스탠드를 포함하는 이런 압연 설비는 "4단(quarto)"으로 불린다. 이하 중간 롤러로 지칭되는 다른 지지 롤러가 압연 대상 스트립의 같은 쪽 면에 배치되는 가공 롤러 및 베어링 롤러로 이루어진 각각의 쌍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롤 스탠드는 층층이 수직으로 적층되는 여섯 개의 롤러, 즉 압연 대상 스트립을 파지하는 한 쌍의 가공 롤러, 해당 가공 롤러 양측에 배치되는 중간 롤러로 구성되는 제1 롤러 쌍, 해당 중간 롤러 양측에 배치되는 베어링 롤러로 구성되는 제2 롤러 쌍으로 구성된다. 이런 롤러의 배열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설비 또는 압연기는 보통 "6단(sexto 또는 6-high)"으로 지칭된다. 마지막으로, 6단식 압연기의 롤 스탠드는 가공 롤러용 측면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파지면의 각 측면에서 각각의 가공 롤러는 예컨대 측면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측면 베어링 유닛과 접촉하고, 측면 지지 롤러 자체는 나란히 장착되는 2열의 측면 베어링 가이드 휠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된다.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을 포함하는 6단 압연기는 일반적으로 측방 지지형 6단식 압연기로 지칭된다. 모든 경우에, 롤러는 인가되는 하중과 롤러의 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통 직선으로 된 프로필을 가지는 모선을 따라 배향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지지선을 따라 서로 얹혀 있거나 놓여 있다.
측방 지지형 6단식 롤 스탠드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미국특허 제4,270,377호와 미국특허 제4,531,394호의 요지이다. 다양한 롤러 및 휠의 이러한 특정 배열이 타당한 이유는 압연 대상 금속의 소성 유동에 대한 저항력에 맞추어 가공 롤러의 직경을 적합화하는 데 있다. 실제로, 큰 직경의 가공 롤러는 4단식 스탠드에 적합한 것과 마찬가지로, 작은 직경의 롤러에 비해 스트립이 접촉되는 원호가 커지고 이에 따라 압하력(rolling force)이 보다 커짐으로 해서 두께의 감소를 초래한다. 소성 유동에 대해 중간 정도의 저항력을 가지는 강재의 경우에는, 4단식 압연기가 바람직한데 그것의 큰 가공 롤러는 압연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덜 빠른 속도로 마모된다. 그러나 스테인레스강 또는 높은 항복점을 갖는 다른 강재와 같은 특정 강재의 경우에는 적정한 압하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직경이 작은 가공 롤러를 선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런 이유로 직경이 작은 가공 롤러를 포함하는 6단식 압연기가 사용되며, 압연 대상 금속의 경도에 따라서는 직경이 아주 작은 가공 롤러가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는 압연 중에 굴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실제로 이들 가공 롤러의 직경은 보다 큰 직경의 롤러에 흔히 사용되는 것처럼 예컨대 모터 감속 구동 조립체에서 유래하는 압연 토크를 롤러의 일측 단부에 전달하는 중간 샤프트를 사용하여 롤러를 직접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가공 롤러의 직경이 작을 경우, 토크는 모터 감속 구동 조립체에 의해 구동되는 중간 롤러 상에서의 마찰에 의해 전달된다. 이 마찰에 의한 전달은 전달되는 토크에 비례하는 접선 하중(tangential load)을 가공 롤러와 중간 롤러 사이에 발생시킨다. 롤러의 직경이 아주 작을 경우, 이 접선 하중은 압연된 스트립의 평탄도 결함을 초래하는 가공 롤러의 세로 굴곡을 일으킨다.
이 유해한 굴곡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가공 롤러는 미국특허 제4,270,377호와 미국특허 제4,531,394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2열의 가이드 휠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 지지 롤러에 의해 적어도 스트립이 가공 롤러의 닙(nip)에 진입하는 측면에서 지지되며, 측면 지지 롤러와 가이드 휠은 다양한 신규 또는 중고 롤러의 직경에 적합화되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지 아암에 고정된다. 대체로 각각의 가공 롤러는 상기 2열의 가이드 휠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것으로 파지면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 롤러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된다.
미국특허 제4,270,377호는 예컨대 각각 한편으로는 베어링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 롤러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2열의 지지 휠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되는 두 개의 가공 롤러를 포함하는 롤 스탠드를 설명한다. 상기 특허에 의해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가공 롤러는 초크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두 개의 축방향 추력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지된다. 또한 각각의 측면 지지 롤러와 2열의 휠은 베어링 롤러의 초크 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된 지지 아암에 의해 지탱되며, 가공 롤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닛을 가진다. 중간 롤러의 초크는 또한 상기 가공 롤러의 캠버링(cambering)을 위한 잭을 구비한다. 또한 이는 각각의 중간 롤러의 두 개의 초크 중 하나에 장착되는 축방향 이동 유닛의 작동 하에서 중간 롤러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내측 링이 없고 원통형 롤러가 있는 특수 베어링을 구비한다. 상기 축방향 이동은 그의 종방향 회전축을 따른 상기 중간 롤러의 이동에 대응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캠버링과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은 압연된 금속 스트립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가공 롤러의 직경이 아주 작을 경우, 중간 롤러의 직경은 크게 감소될 필요가 있다. 미국특허 제4,270,377호는 예컨대 직경이 2.25인치(5.715cm)인 가공 롤러에 대해서 직경이 6인치(15.24cm)인 중간 롤러를 예로 들고 있다. 이에 따라 중간 롤러의 초크는 감소된 치수를 가지며, 이는 작업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중간 롤러의 스핀들에 대한 활주를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의 선택을 복잡하게 만든다.
미국특허 제4,270,377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롤 스탠드의 개량은 미국특허 제4,531,394호와 유럽특허 0 937 517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는 각각의 측면 지지 롤러와 2열의 휠이 중간 롤러의 초크에 관절식으로 연결된 지지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롤 스탠드를 설명한다. 유럽특허 0 937 517호는 또한 그 초크와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가 2열의 휠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중간 롤러를 포함하는 카세트를 개시한다. 이 경우에는, 유압식 잭을 사용하는 축방향 이동 시스템이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중간 롤러는 그 스핀들이 축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두 개의 초크에 내측 링이 장착되지 않는, 두 개의 원통형 롤러 베어링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제3 초크는 중간 롤러의 단부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축방향 하중의 흡수 및 축방향 이동의 중간 롤러로의 전달을 동시에 제공하는 베어링 조립체를 포함한다.
위에 설명된 유형의 설비 및 이에 바탕을 둔 것으로 WO 2004/052568에 설명된 것처럼 카트리지 내에서 중간 롤러와 측면 지지 롤러를 조립하는 변형예는 얼마간의 단점, 특히 측면 지지 롤러 및 2열의 휠을 중간 롤러 또는 지지 롤러의 초크와 일체화하는 것과 결부된 단점을 나타낸다. 이는 특히 중간 롤러를 롤 스탠드에서 추출하는 작업을 복잡하게 만들고 활동면의 연마를 통한 수리 작업을 복잡하게 만든다.
실제로 널리 알려진 입증된 방법에 따르면, 중간 롤러는 초크가 장착된 상태에서 연마될 수 있으며, 이는 불필요한 해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중간 롤러가 측면 베어링 유닛과 일체화된 경우에는(즉, 예컨대 측면 지지 롤러와 베어링 휠을 포함하는 각각의 측면 베어링 유닛이 중간 롤러 또는 상기 중간 롤러의 지지부, 예컨대 상기 중간 롤러의 초크와 일체화된 경우에는), 초크가 장착된 상태로 중간 롤러를 연마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각각의 연마를 위해서는 중간 롤러와 측면 베어링 유닛으로 형성되는 부품 조립체를 해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 상기 부품에 대한 일체의 조작은 특히 이들 부품을 뒤집는 작업을 수반할 경우, 롤러 지지부와 측면 베어링 휠의 불시의 위태로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특수 공구를 필요로 한다.
마지막으로, 조립체를 롤 스탠드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조립체의 워크샵 유지 보수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어떤 시간 손실도 없이 상기 조립체의 교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중간 롤러가 있는 완전한 조립체를 최대한 많이 비축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비축 대상 가용 예비 부품, 특히 각기 다른 조립체와 관련한 비용을 증가시키고, 특히 상기 조립체의 모든 구성 부품을 해체해야할 필요로 인해 상기 장착 단계와 유지 보수 단계 사이의 교대 시간을 증가시킨다.
또 다른 단점은 상술한 롤 스탠드의 작동 모드에서 비롯된다. 실제로 WO 2004/052568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제1 작동 모드에 따르면,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은 초크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상기 가공 롤러의 축방향 추력 베어링을 손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측면 베어링 유닛의 마찰에 의해 상기 가공 롤러의 표면을 열화시킬 수 있는 축방향 추력을 야기하는, 가공 롤러에 대한 측면 베어링 유닛의 상대적 운동을 일으킨다. 또한 종래 기술, 특히 미국특허 제4,270,377호에 설명된 롤 스탠드의 제2 작동 모드에 따르면,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은 초크 및 베어링에 대한 스핀들의 축방향 활주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후자의 작동 모드는 중간 롤러의 초크가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유지하고, 측면 베어링 유닛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하여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시 가공 롤러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제2 작동 모드는 많은 단점을 드러낸다.
특히 중간 롤러의 스핀들 상에서 직접 회전하는 원통형 롤러를 특징으로 하는, 내측 링이 없는 베어링의 선택은 획득하기 어려운 초경질 스핀들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스핀들은 원통형 롤러의 압력에 의한 마모 또는 박리(flaking)로 인해 사용 중에 높은 파손 위험성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중간 롤러의 내용년수가 단축된다. 나아가 이런 베어링의 양호한 밀봉을 보장하기가 매우 어렵고 이는 에멀젼과 같은 다른 유체가 압연 용도로 보다 적합함에도, 윤활 및 베어링의 부식 방지 기능을 겸한 광유(mineral oil)와 같은 압연유를 사용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간 롤러는 또한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 거리만큼 신장되어야 하고, 이는 중간 롤러 비축품의 조달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런 스탠드는 때로 제3 초크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축방향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베어링 세트를 구비하는 제3 초크는 추가적인 초크와 베어링뿐만 아니라 훨씬 기다란 롤러를 갖출 필요성으로 인해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특히 측면 지지 롤러 및 2열의 휠을, 중간 롤러 또는 베어링 롤러의 초크와 일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롤 스탠드의 지주(post)와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롤 스탠드 구성이 제시되었다. 이런 구성은 특히 본 출원인의 특허 WO 01/21334 또는 WO 2004/041456에 설명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중간 롤러는 롤 스탠드로부터 손쉽게 추출될 수 있으며, 그 유지 보수가 전통적인 방식으로, 즉 특수 공구의 사용 및 중간 롤러의 초크를 해체하는 과정 없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 또한 롤 스탠드의 운동과 관련하여 단점을 드러낸다.
첫 번째 단점은 롤 스탠드의 개방 및 연이은 가공 롤러의 수직 이동 중에 나타나는 측면 베어링 유닛의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와 가공 롤러 간의 간섭이다. 실제로 가공 롤러와 측면 지지 롤러의 일반적인 배열은 가공 위치에서 상측 측면 지지 롤러의 회전축이 상측 가공 롤러의 회전축보다 위에 위치하고,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 간의 거리가 가공 롤러와 접촉시 가공 롤러의 상향 이동, 즉 상측 베어링 롤러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측"이라는 표현은 압연 대상 스트립의 이동면 위에 배치되는 롤러 또는 롤 스탠드의 장치를 나타내고, 이에 반해 "하측"은 압연 대상 스트립의 이동면 아래 배치되는 롤러 또는 롤 스탠드 요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측 가공 롤러의 임의의 상향 수직 이동이 두 개의 상측 측면 지지 롤러의 존재로 인해 방해를 받음으로 해서 상측 가공 롤러의 수직 이동을 동반하지 못한다. 아니면 반대로 측면 지지 롤러가 지나치게 이격되어 있어서 가공 롤러에 대한 측방 안정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가공 롤러 닙의 스트립의 이동면 아래 배치되는 가공 롤러 및 하측 측면 지지 롤러의 경우에는 상황이 반대가 된다.
따라서, 가공 롤러의 임의의 수직 이동에 앞서,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가 가공 롤러의 수직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어김없이 가공 롤러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가공 롤러의 측방 안정성을 여전히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분리는 조작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신뢰도가 떨어지며, 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자동 기능을 수행하는 압연 설비 제어 시스템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 또한 확실한 것은 아니다.
두 번째 단점은 스탠드의 폐쇄 및 연이은 가공 롤러의 수직 이동 중에 나타나는 측면 베어링 유닛의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와 가공 롤러 간의 간섭이다. 가공 롤러와 측면 지지 롤러 간의 간섭은 예컨대 조작자에 의한 롤 스탠드의 유지 보수시의 측면 지지 롤러의 열악한 위치설정(측면 지지 롤러의 위치가 가공 롤러의 위치에 대해 지나치게 가까운 경우), 또는 교체된 가공 롤러보다 직경이 큰 신규 가공 롤러의 설치시, 또는 심지어 롤 스텐드의 오작동이나 롤러의 위치설정 에러 발생시의 측면 지지 롤러의 열악한 위치설정에서 비롯된다. 이 모든 경우에, 롤 스탠드의 폐쇄 중에 가공 롤러와 측면 지지 롤러 간의 간섭이 일어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점은 제어 시스템의 오작동시 중간 롤러와 측면 지지 롤러 간에 일어날 수 있는 간섭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롤 스탠드 및 롤 스탠드의 작동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축방향으로 즉, 그 종방향 회전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캠버 블록에 의해 인가되는 캠버링 하중을 감당할 수 있으며,
-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 작동 중에 가공 롤러와 측면 베어링 유닛 간의 상대적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따라서 가공 롤러의 축방향 추력 베어링에 가해지는 축방향 하중과 상기 롤러의 표면 열화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 대기 위치의 롤 스탠드를 개방하는 단계와 작업 위치의 롤 스탠드를 폐쇄하는 단계 중에 일어나는 가공 롤러와 측면 베어링 롤러의 수직 이동과 연계되는 간섭으로, 가공 롤러, 측면 베어링 유닛 및 중간 롤러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롤러를 포함하는 측방 지지형 6단식 롤 스탠드를 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롤 스탠드 및 롤 스탠드의 작동 방법이 청구항 제1항 및 제15항의 내용에 의해 제시된다. 또한 하위 청구항 세트는 본 발명의 이점을 드러낸다.
압연 대상 스트립용 롤 스탠드를 근간으로 하되, 상기 압연 대상 스트립을 파지할 수 있는 두 개의 가공 롤러, 보다 자세하게는 압연 대상 스트립의 이동면 위에 배치되는 상측 가공 롤러와 압연 대상 스트립의 상기 이동면 아래 배치되는 하측 가공 롤러로서 압연 대상 스트립의 이동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파지면에 그 종방향 회전축을 가지는 상측 및 하측 가공 롤러와, 두 개의 중간 롤러, 자세하게는 상측 가공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상측 중간 롤러 및 하측 가공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하측 중간 롤러와, 두 개의 베어링 롤러, 자세하게는 상측 중간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상측 베어링 롤러 및 하측 중간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하측 베어링 롤러로서 중간 롤러를 통해 가공 롤러에 파지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측 및 하측 베어링 롤러를 포함하고, 즉 6단 롤 스탠드 구성에 따라 수직으로 적층되는 여섯 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 롤러 중 하나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베어링 유닛, 특히 상기 파지면의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측 가공 롤러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상측 측면 베어링 유닛 및 상기 파지면의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하측 가공 롤러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 하측 측면 베어링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롤 스탠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상기 중간 롤러를 캠버링하기 위한 것으로, 롤 스탠드의 지주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캠버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연 대상 스트립용 롤 스탠드의 작동 방법을 근간으로 하되, 상기 롤 스탠드는 상기 압연 대상 스트립을 파지할 수 있는 두 개의 가공 롤러, 두 개의 중간 롤러 및 두 개의 베어링 롤러, 즉 6단 롤 스탠드 구성에 따라 수직으로 적층되는 여섯 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 롤러 중 하나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베어링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의 작동 방법은,
- 첫째,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상기 가공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 동안, 상기 가공 롤러에 대해 측면 베어링 유닛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것,
- 둘째, 중간 롤러의 수직 이동 동안,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가공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중간 롤러에 대해 측면 베어링 유닛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것,
- 셋째, 상기 중간 롤러의 해체 동안, 롤 스탠드에 대해 측면 베어링 유닛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제공하는, 측면 베어링 유닛의 조절 가능한 위치설정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롤 스탠드는 베어링 롤러 및 중간 롤러의 수직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주를 포함하는데, 상기 두 개의 지주는 중간 롤러 및/또는 측면 베어링 유닛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단지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즉, 스트립의 이동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에서 베어링 롤러와 중간 롤러를 가이드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의 상기 챔버 블록은 특히 상기 챔버 블록과 일체이고 상기 베어링 유닛을 지지하고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롤 스탠드의 각각의 캠버 블록은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가이드하고 더불어 그것에 대한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상기 가이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어서, 예컨대 하나의 측면 베어링 장치를 지지하는 캠버 블록은 상기 가이드 장치를 각각 포함하고, 가이드 장치는 예컨대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의 지지 아암을 가이드하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장치는 특히 상기 가이드 장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선회(pivot) 또는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의 상기 가이드 장치에 의해 사전 지정된 경로를 따르는 활주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은 상기 캠버 블록과 일체화된 상기 가이드 장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거나 가이드 장치에 의해 지정된 경로를 따라 활주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의 각각의 캠버 블록은 중간 롤러의 적어도 하나의 초크를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캠버 블록은 상기 초크의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상기 초크의 활주에 의한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롤 스탠드는 특히 유리하게는 상기 캠버 블록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특징으로 한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의 각각의 캠버 블록은 특히 상기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수한 구성에 따르면, 서로 분리된 여덟 개의 캠버 블록, 예컨대 유압식 캠버 블록이 상측 및 하측 중간 롤러의 초크를 지지할 수 있되, 자세하게는 네 개의 상측 캠버 블록이 상측 중간 롤러의 초크를 지지할 수 있고 네 개의 하측 캠버 블록은 하측 중간 롤러의 초크를 지지할 수 있다. 네 개의 상측 캠버 블록 중에서 중간 롤러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캠버 블록은 상기 중간 롤러의 초크에 대한 지지부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중간 롤러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나머지 두 개의 캠버 블록은 상기 파지면의 각 측면에서 상기 중간 롤러의 다른 초크에 대한 지지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 개의 하측 캠버 블록은 두 개의 캠버 블록으로 쌍을 이루어 하측 중간 롤러의 초크에 대한 지지부 역할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여덟 개의 캠버 블록은 유리하게는 네 개씩 그룹을 지어 동기화된 방식으로 롤 스탠드의 지주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동기화된 네 개의 상측 블록으로 구성된 제1 그룹과 동기화된 네 개의 하측 블록으로 구성된 제2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 특히 상측 캠버 블록과 하측 캠버 블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기계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기화된 방식으로 각각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유리하게는 상측 캠버 블록을 하측 캠버 블록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되, 상기 하측 및 하측 캠버 블록은 가공 롤러의 일측 단부에 가깝게 스트립의 이동면의 각 측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중간 롤러의 각각의 초크는 각각의 캠버 블록에 배치되는 초크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경미한 동작으로 축방향으로 활주하도록 의도된 두 개의 돌출부를 특별히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초크가 파지면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캠버 블록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예컨대 초크의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초크가 캠버 블록의 상기 초크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중간 롤러의 종방향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활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특히, 축방향 이동 유닛은 상기 중간 롤러의 초크를 캠버 블록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롤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롤 스탠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부분, 특히 캠버 블록과, 상기 롤 스탠드에 대해 축방향 이동이 자유로운 부분, 특히 상기 중간 롤러 각각의 초크를 포함하는 중간 롤러 안착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측 및 하측 가공 롤러 각각은 위치 조절이 가능하지만 롤 스탠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측면 베어링 유닛에 의해 파지면의 각 측면에서 지지/유지될 수 있다(용어 "축방향"은 가공 롤러 또는 중간 롤러의 종방향 회전축에 의해 한정되는 축의 방향을 가리킨다).
유리하게는, 상술한 구조적 배열은 측면 베어링 유닛의 가이드 장치가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 중에,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중간 롤러를 지지하는 초크의 축방향 이동 중에 가공 롤러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실제로 각각의 가공 롤러는 초크를 포함하지 않으며, 압연 대상 스트립의 압연시 롤 스탠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일정하거나 고정된 위치에 상기 가공 롤러를 홀딩할 수 있는 축방향 추력 베어링에 의해 그 각각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차단된다. 그 지지 대상인 측면 베어링 유닛의 가이드 장치와 일체화되는 캠버 블록은 이 동일한 스탠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작동 동작, 특히 가공 롤러의 단부와 축방향 추력 베어링 간의 동작을 감안할 때, 측면 베어링 유닛은 압연 중에 가공 롤러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런 축방향 고정은 각각의 측면 베어링 유닛이 특히 활주식 가이드 장치 내에서의 활주식 또는 롤링식 가이드 장치의 중심 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선회에 의해 가공 롤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즉, 측면 베어링 유닛은 압연 대상 스트립의 이동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중간 롤러 또는 가공 롤러의 종방향 회전축에 의해 한정되는 축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캠버 블록의 수직 이동 중에 측면 베어링 유닛과 중간 롤러의 초크가 이들을 지지하는 상기 캠버 블록과 동시에 이동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해당 구조적 배열은 측면 베어링 유닛의 가이드 장치가 중간 롤러의 수직 이동 중에 중간 롤러에 대해 고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각각의 측면 베어링이 지지 대상인 가공 롤러의 수직 이동을 따라가는 동시에 해당 가공 롤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마지막으로, 해당 구조적 배열은 각각의 측면 베어링 유닛의 가이드 장치가 중간 롤러를 상기 롤 스탠드에서 제거하는 과정 중에 유리하게는 롤 스탠드에 고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허용한다. 실제로 캠버 블록과 일체화된 상기 가이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각각의 측면 베어링 유닛은 해당 캠버 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 롤러를 롤 스탠트로부터 추출하는 과정 중에 롤 스탠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롤러의 추출시 측면 베어링 유닛의 해체가 불필요하며,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의 구조적 배열은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이 가공 롤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과는 무관하게 중간 롤러의 추출 중에 롤 스탠드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 또는 상기 베어링 유닛들을 이동 및 배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측면 베어링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수단은 특히 롤 스탠드의 지주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일체화되는 가이드 장치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추력 유닛, 예컨대 롤 스탠드의 하나 이상의 지주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일체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장치에 의해 지지되고, 측면 베어링 유닛을 그것이 지지할 수 있는 가공 롤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계식 또는 유압식 이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동 액츄에이터는 상기 베어링 유닛의 단부를 동기 이동시킬 수 있는데, 상기 단부는 특히 상기 가공 롤러 중 하나를 지지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상기 이동 액츄에이터는 측면 베어링 유닛을 직접적으로 또는 추력 하중 분산 빔을 통해 가동시키는 것으로, 예컨대 나사 및 너트 장치 또는 휠 및 웜 나사 장치 또는 쐐기 장치이다. 대체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나사 장치에 의해 동기 방식으로 가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추력 유닛이 상기 베어링 유닛 중 하나의 단부에 그 위치설정을 목적으로 동기식으로 작용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구성에 따라, 쐐기 장치에 의해 동기 방식으로 가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추력 유닛이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 중 하나의 단부에 그 위치설정을 목적으로 각각 동기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쪽 경우 모두에, 추력 하중 분산 빔이 추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측면 베어링 유닛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추력 하중 분산 빔은 측면 베어링 유닛의 지지 아암과 추력 유닛 또는 유닛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예컨대 상기 중간 롤러의 기계식 또는 유압식 이동 액츄에이터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롤러를 위한 이동 유닛을 포함한다. 특히, 중간 롤러를 위한 이동 액츄에이터 각각은 롤 스탠드의 하나 이상의 지주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일체화되는 중간 롤러의 가이드 장치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고 상기 중간 롤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중간 롤러의 각각의 가이드 장치는 중간 롤러의 상기 초크를 지지하는 캠버 블록의 수직 이동에 적합한 중간 롤러의 초크의 수직 이동을 허용한다.
유리하게는, 중간 롤러의 스핀들이 그 베어링에 대해 축방향 이동함으로써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을 제공하고 극히 견고한 재료로 제조된 표면으로 이루어진 스핀들의 필요성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와 달리, 본 발명은 유압식 캠버 블록에 배치되는 초크 가이드 하우징 내의 활주에 의해 중간 롤러의 초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베어링에 대한 스핀들의 임의의 상대 운동을 방지하고 반대로 스핀들이 베어링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높은 부하 용량을 갖는 표준 베어링, 예컨대 TQO 구성으로 장착되는 4열의 휠을 갖춘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베어링에 대한 스핀들의 고정은 본래 밀봉형이거나 밀봉 방식으로 초크에 조립/장착되는 등의 다양한 밀봉 베어링 중에서 베어링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각각의 상기 중간 롤러가 그 각각의 단부에 높은 반경 방향 부하 용량 및 축방향 부하 용량을 갖는 베어링을 갖출 수 있는 스핀들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중간 롤러의 각각의 초크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이 측면 지지 롤러와 베어링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히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은 특히 상기 측면 지지 롤러와 휠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을 포함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지지 아암은 중간 롤러의 초크에 장착되는 해체 휠 또는 러너가 롤링할 수 있는 해체 레일 또는 레일 지지부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측면 베어링 유닛은 중간 롤러 해체에 사용될 수 있는 해체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파지면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가공 롤러를 지지하는 측면 베어링 유닛은 특히 상기 중간 롤러의 초크에 끼워지는 러너 또는 휠을 상기 레일에서 활주시키거나 롤링시킴으로써 상기 가공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중간 롤러의 해체, 즉 스탠드로부터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해체 레일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특히 스트립 및/또는 가공 롤러 또는 압연에 사용되는 다른 롤러에 대한 윤활 작용을 할 수 있는 유체를 부스에 공급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베어링 유닛 지지 아암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분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측면 베어링 유닛이 중간 롤러의 초크가 아닌 캠버 블록과 일체화되고 또한 상기 중간 롤러의 추출/해체 및 재조립시 롤 스탠드에 남아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EP 0 937 517에서처럼 롤러와 측면 베어링 유닛의 휠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파이프 구조에 사용되는 자동 커플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분배 장치는 측면 베어링 유닛의 지지 아암에 장착될 수 있고, 롤 스탠드의 지주에 고정되어 가공 롤러에 대한 측면 베어링 유닛의 반경 방향 교정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급점에 연결될 수 있는 가요성 파이프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심(shim)이 잭에 의해 상기 추력 유닛 중 하나와 측면 베어링 유닛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되, 상기 심은 회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두 개의 심이 추력 유닛과 측면 베어링 유닛 사이에 동기 방식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심은 유리하게는 상기 심을 회수함으로써 중간 롤러의 신속한 해체를 가능하게 하되, 상기 회수는 측면 베어링 유닛을 이들이 지지할 수 있는 가공 롤러로부터 신속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의 특별한 구성에 따르면, 롤 스탠드는 상측 및 하측 중간 롤러의 초크를 지지하는 여덟 개의 분리형 유압식 캠버 블록, 자세하게는 상측 중간 롤러의 두 개의 초크를 지지하는 네 개의 상측 캠버 블록과 하측 중간 롤러의 두 개의 초크를 지지하는 네 개의 하측 캠버 블록으로서, 각각의 상측 및 하측 캠버 블록 쌍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캠버 블록들이 네 개씩 그룹을 이루어, 즉 네 개의 동기식 상측 블록으로 구성된 제1 그룹과 네 개의 동기식 하측 블록으로 구성된 제2 그룹별로 롤 스탠드의 지주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와 협력할 수 있고, 초크의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돌출부 중 하나가 축방향으로 활주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초크 가이드 하우징을 또한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초크가 여덟 개의 유압식 캠버 블록 각각에 배치되는 초크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경미한 동작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여덟 개의 캠버 블록과; 각각의 상측 및 하측 가공 롤러의 각각의 측면 베어링 유닛을 위한 두 개의 가이드 장치, 자세하게는 제1 캠버 블록과 일체화되는 제1 가이드 장치 및 제2 캠버 블록과 일체화되는 제2 가이드 장치로서 제1 및 제2 캠버 블록은 동일한 측면 베어링 유닛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두 개의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례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제시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측방 지지형 6단 롤 스탠드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간 롤러의 축방향 고정식 초크와 일체화되는 측면 베어링 유닛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식 초크와 일체화되는 측면 베어링 유닛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롤 스탠드의 지주와 일체화되는 측면 베어링 유닛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베어링 유닛의 이동 수단의 제1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베어링 유닛의 이동 수단의 제2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측면 베어링 유닛을 본 발명에 따른 중간 롤러 해체 레일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측방 지지형 6단 롤 스탠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통적으로, 6단식 롤 스탠드는 직경이 작은 두 개의 가공 롤러(1u, 1d), 자세하게는 압연 대상 스트립의 이동면(D) 위에 배치되는 상측 가공 롤러(1u) 및 압연 대상 스트립의 상기 이동면(D) 아래 배치되는 하측 가공 롤러(1d)를 포함한다. 상기 압연 대상 스트립은 한 쌍의 중간 롤러(2u, 2d)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고 특히 마찰에 의해 구동되는 두 개의 가공 롤러(1u, 1d) 사이를 이동하는데, 해당 중간 롤러 자체는 상기 중간 롤러 쌍(2u, 2d)에 얹혀 있는 한 쌍의 베어링 롤러(3u, 3d)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된다. 가공 롤러(1u, 1d)는 스트립의 이동면에 대체로 수직하고 보통 파지면(P)으로 지칭되는 면에 위치하는 종방향 회전축을 가진다. 측방 지지의 경우, 각각의 가공 롤러는 한편으로는 두 개의 수직 베어링 롤러(3u, 3d), 자세하게는 상측 베어링 롤러(3u) 및 하측 베어링 롤러(3d)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중간 롤러(2u, 2d), 자세하게는 상측 중간 롤러(2u)와 하측 중간 롤러(2d)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가공 롤러(1u, 1d)는 나란히 장착되는 2열의 베어링 휠(5)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 지지 롤러(4u, 4d)를 각각 포함하는 측면 베어링 유닛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가공 롤러의 각 측면에 대칭되게 배열되는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는 상기 가공 롤러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베어링 휠(5)의 각 열은 두 열에 공통인 지지 아암 상의 공통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휠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6단 롤 스탠드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은 중간 롤러(2)의 초크(21)와 일체화된다. 상기 초크(21)는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중간 롤러(2), 특히 도 2에 묘사된 바와 같은 상측 중간 롤러는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지만 이들 동일한 지주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기 초크(21) 중 하나에 의해 그 각각의 단부에서 지지된다. 초크 내에서의 중간 롤러(2)의 회전식 가이드는 특히 외측 링(221)과 원통형 롤러(222)를 포함하는 베어링(22)에 의해 제공된다. 중간 롤러(2)의 축방향 이동시, 상기 중간 롤러의 스핀들(23)은 원통형 롤러(222) 상에서 축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여기에는 그 중 하나만 도시되었지만, 두 개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이 이들이 접촉하는 가공 롤러(1)를 측방으로 지지하기 위해, 가공 롤러(1)의 종방향 회전축을 특히 포함할 수 있는 파지면(P)의 각 측면에 배치된다. 각각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은 측면 지지 롤러(4)와 지지 휠(5)을 둘 다 지탱할 수 있는 지지 아암(71)을 포함한다. 따라서 여기에는 그 중 하나만 도시되었지만,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4)가 파지면(P)의 각 측면에 배치된다. 각각의 측면 지지 롤러(4) 쌍은 상기 가공 롤러(1) 중 하나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지지 롤러 자체는 2열의 휠(5)에 의해 지지된다. 측면 베어링 유닛(7)은 또한 초크(21)와 일체화되는 가이드 장치(72)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도 있다.
도 2에 묘사된 롤 스탠드의 구조적 배열은 특정 공구를 사용하여 가이드 장치(72)를 중심으로 한 측면 베어링 유닛(7)의 선회를 막지 않고서는 중간 롤러(2)의 추출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배열은 또한 초크(21) 및 이들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을 해체하지 않고서는 두 개의 롤링 런(rolling run) 사이에 위치한 중간 롤러(2)의 활동면을 연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초크(21)가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측면 베어링 유닛(7) 역시 롤 스탠드의 상기 지주(6)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따라서 가공 롤러(1)에 대해서도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중간 롤러(2)의 축방향 이동이 초크(21)와 베어링(22)에 대한 스핀들(23)의 축방향 활주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중간 롤러(2)의 스핀들(23)은 중간 롤러(2)의 축방향 이동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신장되어야 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6단 롤 스탠드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은 중간 롤러(2)의 초크(21)와 일체화된다. 도 2에 묘사된 롤 스탠드와는 달리, 상기 초크(21)는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축방향 이동이 자유롭다. 실제로 상기 초크(21)는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축방향 및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음에도, 지지 대상인 중간 롤러(2)와 측면 베어링 유닛(7)을 여전히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중간 롤러(2), 특히 도 3에 묘사된 바와 같은 상측 중간 롤러는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축방향 이동이 자유롭고 해당 지주(6)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초크(21)에 의해 그 각각의 단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외측 링(221), 내측 링(224) 및 휠(222)로 구성되는 베어링(22)은 중간 롤러(2)를 초크 내에서 회전식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중간 롤러(2)의 축방향 이동시 상기 중간 롤러의 초크(21)는 상기 중간 롤러와 동기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 상기 중간 롤러의 스핀들(23)은 베어링(22)에 대해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가공 롤러(1)는 그 중 하나만 도시된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4)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된다. 각각의 측면 지지 롤러는 2열의 휠(5)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측면 베어링 유닛(7)은 측면 지지 롤러(4)와 휠(5)을 둘 다 지탱할 수 있는 지지 아암(71)을 포함한다. 또한 측면 베어링 유닛(7)은 초크(21)와 일체화된 가이드 장치(72)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고 그 축방향 이동시 초크(21)를 동반할 수 있다.
도 3에 묘사된 구조적 배열에 따르면, 초크(21)는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축방향 이동이 자유롭고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을 동기식으로 동반한다. 그 결과, 측면 베어링 유닛(7)은 압연 중에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추력 베어링(미도시) 사이에 축방향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가공 롤러(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롤 스탠드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은 롤 스탠드의 지주(6)와 일체화된다. 롤 스탠드는, 한편으로는 두 개의 중간 롤러(2)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나란히 장착되는 2열의 베어링 휠(5)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4)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되는 두 개의 가공 롤러(1)를 구비한다. 특히, 각각의 상기 중간 롤러(2)는 수직 베어링 롤러(3)에 의해 지지된다. 기계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미도시)의 작용 하에, 측면 지지 롤러(4)와 휠(5)을 둘 다 지탱할 수 있는 지지 아암(71)은 롤 스탠드의 지주(6)와 일체화된 가이드 장치(72) 내에서 활주할 수 있다. 가공 롤러(1)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우, 예컨대 상측 가공 롤러가 상측 베어링 롤러의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경우, 두 개의 측면 지지 롤러(4) 중 적어도 하나와 가공 롤러(1) 간에 간섭(8)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상기 가공 롤러(1)의 수직 이동시, 가공 롤러(1)는 예컨대 측면 지지 롤러와 접촉함으로써 측면 지지 롤러(4)를 간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롤 스탠드는, 압연 대상 스트립을 파지할 수 있는 두 개의 가공 롤러(1), 보다 자세하게는 압연 대상 스트립의 이동면(D) 위에 배치되는 상측 가공 롤러와 압연 대상 스트립의 상기 이동면(D) 아래에 배치되는 하측 가공 롤러로서 압연 대상 스트립의 이동면(D)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파지면(P)에 그 종방향 회전축을 가지는 상측 및 하측 가공 롤러(1)와, 두 개의 중간 롤러(2), 자세하게는 상측 가공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상측 중간 롤러 및 하측 가공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하측 중간 롤러와, 두 개의 베어링 롤러(3), 자세하게는 상측 중간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상측 베어링 롤러 및 하측 중간 롤러와 접촉할 수 있는 하측 베어링 롤러로서 중간 롤러를 통해 가공 롤러(1)에 파지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측 및 하측 베어링 롤러를 포함하거나, 또는 달리 말하자면 롤 스탠드는 6단 롤 스탠드 구성에 따라 수직으로 적층되는 여섯 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 롤러(1) 중 하나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베어링 유닛(7), 특히 상기 파지면의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측 가공 롤러(1)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상측 측면 베어링 유닛 및 상기 파지면의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하측 가공 롤러(1)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 하측 측면 베어링 유닛을 또한 포함하되,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상기 중간 롤러(2)를 캠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캠버 블록(9)으로서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을 지지할 수 있는 캠버 블록(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캠버 블록(9)은 유리하게는 중간 롤러(2)의 적어도 하나의 초크(21)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중간 롤러(2) 중 적어도 하나를 캠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특히, 롤 스탠드의 지주(7)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에 대한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중간 롤러(2)의 적어도 하나의 초크(21)에 대해서는,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한 상기 초크(21)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따라서 그것이 지지하는 중간 롤러(2)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캠버 블록(9)을 포함한다.
도 5에 묘사된 구조적 배열은 측면 베어링 유닛(7)이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 동안 가공 롤러에 대해 축방향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간 롤러의 수직 이동 동안 중간 롤러에 대해 축방향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지로부터의 중간 롤러의 제거 동안 롤 스탠드에 대해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모든 경우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적 배열은 측면 베어링 유닛이 가공 롤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각각의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은 측면 지지 롤러(4)와 베어링 휠(5)을 지탱할 수 있는 지지 아암(71)을 포함한다. 특히, 측면 베어링 유닛은 상기 측면 지지 롤러(4)에 의해 상기 가공 롤러(1)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지지 롤러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측방 위치 또는 지정된 위치에 가공 롤러(1)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가공 롤러와 측방으로 접촉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가공 롤러(1) 중 하나의 각 측면은 그 모선 중 하나에 놓임으로써 상기 측면 지지 롤러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파지면(P)의 각 측면 상에 배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측면 롤러(4)는 또한 나란히 장착되는 2열의 상기 베어링 휠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된다.
특히, 중간 롤러(2)는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축방향 이동이 자유로운 상기 초크(21)에 의해 그 각각의 단부에서 지지될 수 있는데, 상기 초크의 이동성은 예컨대 이 목적을 위해 마련되는 캠버 블록(9)의 일부 상에서 상기 초크(21)의 일부가 활주하는 데에 기인하는 것이다.
특히, 각각의 측면 베어링 유닛은 가이드 장치(72),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캠버 블록(9) 중 하나와 일체화된 가이드 장치(7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거나, 상기 가이드 유닛(72)에 의해 한정되는 방향 또는 경로를 따라 활주할 수 있다. 특히, 예컨대 추력 유닛(73)을 포함하는 측면 베어링 유닛 이동 수단은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을 상기 가이드 장치(72), 특히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의 지지 아암(71)은 특히 압연 중에 가공 롤러(1)에 의해 흡수되는 반경 방향 하중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기 추력 유닛(73)의 작용 하에서 상기 가이드 장치(72)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지지 아암(71)이 굴곡될 위험성을 제한하여 이런 반경 방향 하중이 적절히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 관성 하중 분산 빔(731)이 추력 유닛(73)과 상기 지지 아암(71) 사이에 삽입되어 추력 유닛(73)의 반작용력을 지지 아암(7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산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이런 하중 분산 빔(731)의 설치예를 도시한다.
상기 이동 수단의 각각의 추력 유닛(73)은 측면 베어링 유닛의 종방향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추력 유닛(73)을 특히 동기 방식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식 또는 쐐기식 액츄에이터(74)에 의해 가동될 수 있는데, 상기 종방향 단부는 스트립의 폭에 따른 측면 베어링 유닛(7)의 두 단부 각각을 특히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캠버 블록(9)과 일체화된 상기 가이드 장치(7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측면 측면 베어링 유닛을 선회시키기 위해, 잭(75)은 특히 상기 캠버 블록의 가이드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 베어링 유닛(7)의 관절 지점(76)과 캠버 블록(9) 사이에 힘을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선회는 추력 유닛이 회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의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측면 베어링 유닛(7)의 지지 아암(71)은 상기 관절 지점(76)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잭(75)은 예컨대 상기 캠버 블록 중 하나와 일체화되어 상기 관절 지점(76)을 포함하는 상기 지지 아암(71)을 가이드 장치(72)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킬 수 있는 유압식 잭이다.
또한, 각각의 캠버 블록(9)은 특히 상측 캠버 블록과 하측 캠버 블록을 포함하는 캠버 블록 쌍의 캠버 블록(9) 사이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92)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상측 및 하측 캠버 블록은 가공 롤러(1)의 동일한 단부에 근접하게 압연 대상 스트립 이동면의 각 측면 상에 배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는 특히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한 상기 캠버 블록(9)의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유압식 액츄에이터(92)를 포함한다. 특히, 네 개의 유압식 액츄에이터(92)가 네 개의 상측 캠버 블록으로 이루어진 제1 그룹과 네 개의 하측 캠버 블록으로 이루어진 제2 그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데, 각각의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측 캠버 블록과 하측 캠버 블록을 포함하는 캠버 블록 쌍(9)의 캠버 블록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유압식 액츄에이터(92)는 네 개의 캠버 블록(9)으로 이루어진 그룹, 특히 유압식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기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네 개의 상측 캠버 블록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1 그룹 및 유압식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기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네 개의 하측 캠버 블록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2 그룹을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동기 방식으로 수직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캠버 블록 쌍의 캠버 블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캠버 블록(9)은 롤 스탠드의 지주(6)와 일체화되는 캠버 블록(91)의 지지부 상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특히 두 개의 추력 유닛(73)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베어링 유닛 이동 수단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특히, 측면 베어링 유닛의 지지 아암(71)은 두 개의 추력 유닛(73)에 의해 밀어질 수 있다. 이들 추력 유닛은 롤 스탠드의 지주(6) 및/또는 상기 지주에 일체화된 캠버 블록 지지부 상에서 가이드될 수 있고 동기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추력 유닛은, 회전식으로 고정되어 휠과 웜 나사 장치 또는 베벨 기어 유닛(742)의 작동 하에서 상기 추력 유닛(73)을 가역(reversible) 방식으로 축방향 이동시킬 수 있는 나사(741)에 의해 각각 가동될 수 있다. 베벨 기어 유닛(742)은 특히 모터 구동 장치(743)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 잭(745)에 의해 회수 및 가동될 수 있는 심(744)은 특히 측면 베어링 유닛의 지지 아암(71)의 신속한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상기 심은 특히 상기 추력 유닛과 상기 지지 아암(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특히 고 관성 하중 분산 빔(731)이 추력 하중을 상기 지지 아암(7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산시키기 위해 추력 유닛(73)과 지지 아암(7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특히 추력에 의해 측면 베어링 지지 아암(71)을 이동시킬 수 있는 두 개의 추력 유닛(73)을 특히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베어링 유닛 이동 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각의 상기 추력 유닛(73)은 특히 지주(6) 및/또는 캠버 블록 지지부 상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들 추력 유닛은 특히 2개의 쐐기 박스(746)에 의해 동기 방식으로 가동될 수 있다. 특히, 잭(748)에 의해 가동될 수 있는 쐐기 경사부(747, wedge ramp)의 작동 하에서 상기 추력 유닛(73)은 특히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쐐기의 경사면에 평행한 요홈에 결합될 수 있는 핀(749)이 특히 추력 유닛(73)의 역방향 복귀를 허용하여 상기 추력 유닛의 복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구조적 배열과 마찬가지로, 잭(745)에 의해 회수 및 가동될 수 있는 심(744)이 측면 베어링 유닛의 지지 아암(71)의 신속한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심은 상기 잭(745)에 의해 상기 추력 유닛과 상기 지지 아암(71)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특히 고 관성 하중 분산 빔(731)이 추력 하중을 상기 지지 아암(7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산시키기 위해 추력 유닛(73)과 지지 아암(7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은 측면 베어링 유닛(7)을 본 발명에 따른 중간 롤러(2)의 해체용 레일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측(9u) 및 하측(9d) 캠버 블록은 롤 스탠드의 지주(6)와 일체화된 캠버 블록 지지부(91) 상에서 이동되어 해체 위치에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상측 중간 롤러(2u) 및 하측 중간 롤러(2d)를 각각 수반하는 상측(21u) 및 하측(21d) 초크의 자유로운 통행을 허용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의 각각의 지지 아암(71)은 그것을 지지하는 가이드 장치(7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측면 베어링 유닛의 각각의 상측 지지 아암(71u)은 특히 상측 초크(21u)의 윙(211u)에 장착될 수 있는 캐스터(castor) 또는 활주 러너(runner)(미도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활주면 또는 롤링면(711u)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해체 위치에서, 상기 러너 또는 상기 캐스터의 상기 표면(711u) 상에서의 활주 또는 롤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상측 초크(21u)에 의해 운반되는 상측 중간 롤러(2u)를 롤 스탠드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은, 상기 초크가 측면 베어링 유닛의 상측 지지 아암(71u) 상에서 해체 트롤리(미도시)까지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하측 측면 베어링 유닛의 각각의 지지 아암(71d)은 하측 초크(21d)가 상기 하측 초크(21d)의 표면(211d)에 장착되는 활주 러너 또는 캐스터(미도시)에 의해 활주 또는 롤링됨으로써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활주면 또는 롤링면(711d)을 포함하되, 상기 활주 러너 또는 캐스터는 활주면 또는 롤링면(711d)과 상호 작용하여 하측 중간 롤러(2d)와 하측 초크(21d)를 롤 스탠드에서 해체 트롤리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탠드 및 롤 스탠드의 작동 방법은 기존의 작동 방법에 비해 다음과 같은 여러 이점을 가진다.
-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 동안, 측면 베어링 유닛이 가공 롤러에 대해 축방향 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이는 기공 롤러의 축방향 추력 베어링 상에서 상기 중간 롤러가 이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과, 가공 롤러와 접촉하는 측면 지지 롤러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을 현저히 저감한다.
- 중간 롤러의 수직 이동 동안, 측면 베어링 유닛이 중간 롤러에 대해 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이는 롤 스탠드의 개폐 과정 중의 가공 롤러와 측방 지지부 간의 간섭에 의한 설비의 열화 위험을 방지한다.
- 상기 케이지로부터 중간 롤러의 제거 동안, 측면 베어링 유닛이 롤 스탠드에 대해 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이는 종래의 6단 스탠드 또는 4단 스탠드에서처럼 초크 해체를 위한 특정 공구나 임의의 필수품을 사용하지 않고 중간 롤러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 윤활 순환로가 불필요한 밀봉 베어링을 사용함으로 인해, 이들 롤러의 제거 및 재조립 동안, 진부화된 중간 롤러 베어링용 윤활 순환로 대신에 신속하거나 자동화된 연결 장치를 사용한다.
- 중간 롤러용으로 높은 부하 용량을 갖는 표준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내측 링이 없는 특수 베어링보다 값이 싸고 훨씬 견고하다.
- 중간 롤러용으로 밀봉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어링 윤활의 필요성과 상관없이 압연 유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베어링에 대한 중간 롤러의 스핀들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핀들 구조 및 표면 재료와 관련된 제약으로부터 자유롭다. 실제로 이는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을 위해 종래 사용되었던 매우 길고 특별히 경화된 중간 롤러 스핀들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만든다.
- 스핀들에 대한 베어링의 활주 없이도, 하중을 받는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 중간 롤러의 제거 및 재조립 동안 지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지 아암이 롤 스탠드에 고정 상태로 유지됨으로 인해, 진부화된 지지용 측면 지지 롤러 및 휠을 위한 윤활 순환로 대신에 신속하거나 자동화된 연결 장치를 사용한다.
- 윤활유 분사 부스가 측면 베어링 유닛에 고정되는 경우, 중간 롤러의 제거 및 재조립 동안, 진부화된 압연 스트립 및 압연 롤러용 윤활 및 냉각 순환로 대신에 신속하거나 자동화된 연결 장치를 사용한다.
- 측면 베어링 유닛이 가공 롤러의 축방향 추력 베어링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면서도 이들 측면 베어링 유닛이 상기 가공 롤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 측면 베어링 유닛과 중간 롤러가 동기 방식으로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측면 베어링 유닛이 중간 롤러의 초크에 대해 일체화되면서도 측면 베어링 유닛이 가공 롤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 측면 베어링 유닛이 롤 스탠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면서도 측면 베어링 유닛이 가공 롤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유지하고 또한 중간 롤러의 지지 장치와 동기식으로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 롤러, 특히 상측과 하측의 중간 롤러 및 가공 롤러 조립체의 교체 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압연 대상 스트립을 파지할 수 있는 두 개의 가공 롤러(1), 두 개의 중간 롤러(2), 두 개의 베어링 롤러(3), 상기 가공 롤러(1) 중 하나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을 포함하는 롤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중간 롤러(2)를 캠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캠버 블록(9)이 롤 스탠드의 지주(6)에 대해 수직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버 블록(9)은 상기 캠버 블록(9)과 일체화되고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을 지지 및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장치(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버 블록(9)은 중간 롤러(2)의 적어도 하나의 초크(21)를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간 롤러의 축방향 이동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은 상기 캠버 블록(9)과 일체화된 상기 가이드 장치(72)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92)가 상기 캠버 블록(9)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측 중간 롤러의 초크(21)에 대한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네 개의 캠버 블록(9)으로 구성된 제1 그룹과, 하측 중간 롤러의 초크(21)에 대한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네 개의 캠버 블록(9)으로 구성된 제2 그룹이 액츄에이터(92)에 의해 롤 스탠드의 지주에 대해 각각 동기 방식으로 수직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7. 제3항에 있어서, 축방향 이동 유닛이 상기 중간 롤러의 초크(21)를 캠버 블록(9)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롤러(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의 이동 수단이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을 이동시키고 위치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추력 유닛(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10. 제9항에 있어서, 나사 장치(74)에 의해 동기 방식으로 가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추력 유닛(73)은 그 위치설정을 목적으로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 중 하나의 일측 단부에 각각 동기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11. 제9항에 있어서, 쐐기 장치에 의해 동기 방식으로 가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추력 유닛(73)은 그 위치설정을 목적으로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 중 하나의 일측 단부에 각각 동기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심이 잭에 의해 베어링 유닛(7)의 상기 단부와 상기 추력 유닛(73) 중 하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13. 제10항에 있어서, 고-관성 추력 하중 분산 빔(731)이 추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측면 베어링 유닛(7)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베어링 유닛은 중간 롤러 해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해체 레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
  15. 압연 대상 스트립을 파지할 수 있는 두 개의 가공 롤러(1), 두 개의 중간 롤러(2), 두 개의 베어링 롤러(3), 상기 가공 롤러(1) 중 하나를 측방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베어링 유닛(7)을 포함하는, 롤 스탠드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측면 베어링 유닛(7)에 대한 조절 가능하게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조절 가능하게 위치 설정하는 단계는,
    첫째, 상기 가공 롤러(1)와 접촉할 수 있는 중간 롤러(2)의 축방향 이동 동안,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가공 롤러(1)에 대해 측면 베어링 유닛(7)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둘째, 상기 측면 베어링 유닛(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가공 롤러(1)와 접촉할 수 있는 중간 롤러의 수직 이동 동안, 중간 롤러(2)에 대해 측면 베어링 유닛(7)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셋째, 상기 중간 롤러(2)의 해체 동안, 롤 스탠드에 대해 측면 베어링 유닛(7)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탠드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27022854A 2010-03-03 2010-04-01 롤 스탠드 KR101591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290105 2010-03-03
EP10290105.5 2010-03-03
PCT/EP2010/054449 WO2011107165A1 (fr) 2010-03-03 2010-04-01 Cage de lamin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899A KR20130028899A (ko) 2013-03-20
KR101591563B1 true KR101591563B1 (ko) 2016-02-03

Family

ID=4383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854A KR101591563B1 (ko) 2010-03-03 2010-04-01 롤 스탠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1231B2 (ko)
EP (1) EP2542360B1 (ko)
KR (1) KR101591563B1 (ko)
CN (1) CN102781599B (ko)
BR (1) BR112012021676B1 (ko)
WO (1) WO2011107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7832A1 (fr) * 2013-03-13 2014-09-17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Dispositif de mise en rotation de cylindres de travail d'un laminoir et méthode de changement des dits cylindres
FR3008633B1 (fr) 2013-07-22 2015-08-07 Fives Dms Laminoir equipe d'au moins une buse de refroidissement
FR3010332B1 (fr) * 2013-09-12 2015-10-02 Fives Dms Cassette pour laminoir et laminoir equipe d'une telle cassette
CN104998914A (zh) * 2015-07-24 2015-10-28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适用于腐蚀环境的压辊装置
EP3381576A1 (fr) 2017-03-31 2018-10-03 Primetals Technologies France SAS Cage de laminoir équipée d'un dispositif de contrôle de stabilité de laminage et méthode associée
FR3078494B1 (fr) * 2018-03-05 2021-12-17 Fives Dms Procede de laminage avec etape de reajustement de l'inter-espace entre le cylindre d'appui lateral et le cylindre de soutien
CN111054752A (zh) * 2019-12-24 2020-04-24 西安艾蒙希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环形带材轧机
CN113414152B (zh) * 2021-06-28 2024-04-30 欣旺达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除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27712C3 (de) 1966-06-16 1979-09-27 Schloemann-Siemag Ag, 4000 Duesseldorf Vielwalzen-Walzgerüst
US4197731A (en) * 1978-05-19 1980-04-15 T. Sendzimir, Incorporated Rolling mill capable of increased torque transmission
US4270377A (en) 1978-05-19 1981-06-02 T. Sendzimir, Inc. Eighteen high rolling mill
US4531394A (en) 1982-03-26 1985-07-30 T. Sendzimir, Inc. Six-high rolling mills
US4462236A (en) 1982-03-26 1984-07-31 T. Sendzimir, Inc. Fourteen-high rolling mill
US4539834A (en) * 1983-02-24 1985-09-10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Rolling mill
DE3325493C2 (de) 1983-07-14 1994-08-04 Sendzimir Inc T Vierzehnwalzen-Walzwerk
JPH0741290B2 (ja) 1986-08-08 1995-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段圧延機
DE3925408C1 (ko) * 1989-08-01 1990-04-12 Sundwiger Eisenhuette Maschinenfabrik Grah & Co, 5870 Hemer, De
US6041636A (en) 1998-02-20 2000-03-28 T. Sendzimir, Inc. Side supported 6-high rolling mill
DE19944612C1 (de) 1999-09-17 2000-11-23 Sundwig Gmbh Walzgerüst
FR2846579B1 (fr) 2002-11-05 2006-05-05 Vai Clecim Procede pour elargir la gamme de production d'une installation de laminage de produits metalliques et install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DE10257971A1 (de) 2002-12-12 2004-06-24 Sms Demag Ag Mehrwalzengerüst zum Walzen eines Metallbandes
CN2605083Y (zh) * 2002-12-19 2004-03-03 一重集团大连设计研究院 闭口式机架平立转换轧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91231B2 (en) 2015-03-31
WO2011107165A1 (fr) 2011-09-09
BR112012021676B1 (pt) 2020-11-03
US20120324973A1 (en) 2012-12-27
BR112012021676A2 (pt) 2017-11-07
CN102781599A (zh) 2012-11-14
EP2542360B1 (fr) 2015-03-04
EP2542360A1 (fr) 2013-01-09
CN102781599B (zh) 2015-04-22
KR20130028899A (ko)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563B1 (ko) 롤 스탠드
US9162270B2 (en) Method for modif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of a leveling machine, level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JP4988763B2 (ja) ロールの交換/搬送をするための装置
US5331835A (en) Rolling stand, having three or more driven and adjustable rollers
US8210013B2 (en) Method of managing cylinders in a rolling facility and installation for implementing same
US3147648A (en) Strip mill with roll cartridge
CN102189106A (zh) 具有三个可调辊机架的轧机
CN102036762A (zh) 纵向地轧制杆状体的相关的轧机和轧机机架
CN101119818A (zh) 铁路车辆轮对加工设备-不落轮镟床
JP3060691B2 (ja) 圧延機及び熱間圧延設備及び圧延方法及び圧延機の改造方法
RU2487773C2 (ru) Многоклетьевой прокатный стан раскатного типа для продольной прокатки заготовок стержневой формы, содержащий четырехвалковые клети,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клетей
CN112547849A (zh) 一种操作侧机架移动式高刚度小型钢成排矫直机
US4614103A (en) Rolling mill
US4580429A (en) Rolling mill roll stand with hydraulic roll position control
RU2678625C1 (ru) Клеть стана поперечной прокатки для бесшовных труб, оснащенная сменным поперечным направля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TW201515730A (zh) 軋機的機盒,以及具有該機盒的軋機
EP1320423B1 (en) Device to absorb the axial loads generated on the rolls in a rolling stand
EP0509136B1 (en) Rolling roller and rolling mill
RU2486020C1 (ru) Реверсивная клеть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с вводной и выводной направляющими
RU2345850C2 (ru) Непрерывный стан продольной прокатки
US4393680A (en) Method for rolling rails
JP3097685B2 (ja) 圧延機及び熱間圧延設備及び圧延方法及び圧延機の改造方法
CN100453196C (zh) 下辊中心距水平可调的三辊卷板机
CN1318157C (zh) 下辊中心距水平可调的三辊卷板机
CN114829030B (zh) 用于改变轧机机架中的轧辊配置的方法以及轧辊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