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586B1 - 벽지 풀바름기 - Google Patents

벽지 풀바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586B1
KR100915586B1 KR1020070098789A KR20070098789A KR100915586B1 KR 100915586 B1 KR100915586 B1 KR 100915586B1 KR 1020070098789 A KR1020070098789 A KR 1020070098789A KR 20070098789 A KR20070098789 A KR 20070098789A KR 100915586 B1 KR100915586 B1 KR 100915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ol
roller
pull
wallpap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649A (ko
Inventor
조용업
Original Assignee
유진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5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4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6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the paper to the surface to be covered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 풀바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본체와 커버체의 내부 공간에, 벽지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벽지를 이송하는 송출롤러와, 이송되는 벽지의 길이를 검척하는 검척롤러와, 이송되는 동안 벽지의 소정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하이텐션롤러와, 내부에 풀을 저장하는 풀통과, 상기 풀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풀을 이송시키는 풀올림롤러와, 상기 풀올림롤러로 올린 풀을 일정하게 걸러주는 닥터롤러와, 이송된 벽지에 풀칠하는 풀바름롤러와, 상기 풀바름롤러와 벽지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벽지를 누르는 압공롤러, 및 벽지를 외부로 송출하는 배출롤러를 포함하는 벽지 풀바름기에 있어서, 상기 풀올림롤러는, 풀이 퍼 올려지는 상기 풀통의 일측이 타측보다 큰 부피를 갖도록 상기 풀통의 타측에 편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풀바름롤러에 비스듬히 접촉하고, 상기 벽지 풀바름기는, 상기 풀통의 프레임본체에 대한 장착 및 해체시에 상기 풀올림롤러와 풀바름롤러 간의 간섭이 피해지도록 상기 풀통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풀통 및 프레임본체에 설치되는 이동궤적가이드를 포함한다.
풀, 벽지, 풀올림롤러, 풀바름롤러, 풀통, 가이드

Description

벽지 풀바름기{Automatic pasting machine}
본 발명은 벽지 풀바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풀통에 담겨진 풀을 퍼 올려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벽지에 상기 풀을 칠하는 벽지 풀바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종래의 벽지 풀바름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벽지 풀바름기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벽지 풀바름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벽지 풀바름기는, 프레임본체(1)측으로 송출롤러(2), 닥터롤러(3), 풀바름롤러(4), 풀올림롤러(5), 풀통(6), 배출롤러(7) 및 풀절단기(미도시)를 구비하고, 또 커버체(12)측에는 검척롤러(13), 하이텐션롤러(14) 및 압공롤러(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롤러 등의 구성에 의해 벽지원단로울(16)로부터 인출된 벽지(17)는 송출롤러(2)에 의해서 풀바름롤러(4)로 반송된다. 반송된 벽지(17)에는 하이텐션롤러(14)에 의해 소요되는 장력을 부여하면서 풀통(6)으로부터 풀올림롤러(5)에 의해 공급된 풀이, 풀바름롤러(4)에 의해 풀칠된다. 계속해서, 풀칠된 벽지(17)는 압공 롤러(15), 배출롤러(7) 및 풀절단기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된다.
이때 풀올림롤러(5)는, 풀통(6)이 프레임본체(1)에 장착되었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바름롤러(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풀통(6)에 설치된다. 이는 수평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풀올림롤러(5)와 풀바름롤러(4)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풀통(6)을 프레임본체(1)로부터 해체할 때 상기 풀올림롤러(5)와 풀바름롤러(4)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풀통(6)의 일측 하단에는 지지레그(6a)가 부착된다. 상기 지지레그(6a)는 상기 풀통(6)이 장착된 때 상기 풀통(6)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레그(6a)는, 상기 풀통(6)이 장착방향 또는 해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스토퍼(8,9)에 의해 전후 이동을 제한받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본체(1)에는 가이드부(10)가 설치되어 상기 풀통(6)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풀통(6)의 장착 및 해체시에는 상기 풀통(6)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풀올림롤러로부터 풀바름롤러로의 풀 공급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풀공급파이프(11)로 풀통(6)에 풀이 공급되면 풀올림롤러(5)에 의해 점성이 있는 풀의 이동이 방해를 받으므로,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풀 형상을 갖게 된다. 이 후, 벽지 풀바름기를 작동시키면,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상기 풀올림롤러(5)가 회전하여, 풀을 풀바름롤러(4)로 공급하고, 이때 풀 형상은 도 3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풀통에 풀을 공급해야 하는 경우 사람이 직접 풀의 양 을 확인한 다음 풀을 풀통에 넣었다. 이후, 센서를 이용하여 풀의 양을 감지하고 풀의 양이 적을 경우 자동으로 풀을 공급해 주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센서를 이용한 풀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한다.
풀탱크(12)에 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26)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26)는 긴봉(22)과 짧은봉(24)을 가진다. 또한, 상기 풀통에는 풀공급펌프(미도시)가 연결되고, 제어장치(미도시)는 상기 센서(26)에서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풀공급펌프를 작동하여 풀을 공급한다.
상기 긴봉(22)은 풀의 최저점을 감지하고 상기 짧은봉(24)은 풀의 최고점을 감지한다. 즉, 풀통의 풀이 상기 긴봉(22)보다 아래로 내려가면 상기 풀공급펌프가 작동하여 풀을 풀통으로 공급하고, 풀이 상기 짧은봉(24)보다 높이 올라가면 상기 풀공급펌프가 작동을 멈춰 풀공급이 정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풀올림롤러(5)로 풀을 퍼 올리는 풀통(6)의 일측에서는, 벽지 풀바름기가 작동되면서 풀올림롤러(5)의 회전에 의해 풀이 집중되어 풀의 수위가, 도 3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풀의 유효용량을 넘는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많은 경우, 풀통(6)에 담겨진 풀은 풀올림롤러(5)의 회전에 의해 풀통(6)으로부터 넘치게 된다.
그런데 풀통(6)을 프레임본체(1)에 장착 및 해체할 때 풀올림롤러(5)와 풀바름롤러(4)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풀올림롤러(5)는 풀바름롤러(4)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즉, 풀올림롤러(5)는 풀바름롤러(4)와의 이러한 위치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 풀통(6)의 폭방향 중앙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풀통(6)에서 풀이 넘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풀을 퍼 올리는 풀통(6)의 일측의 부피가 보다 많이 확보되어 풀을 보다 많이 저장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풀올림롤러(5)와 풀바름롤러(4)의 위치관계로 인해 풀올림롤러(5)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었다.
물론, 상기 위치관계를 그대로 유지하며 풀올림롤러(5)와 풀바름롤러(4)를 이동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벽지 풀바름기 전체의 구성이 변경되어야 하므로, 기존의 벽지 풀바름기에는 이러한 발상을 적용할 수 없다는 등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벽지 풀바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풀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의 봉이 항상 풀에 잠겨 있거나 풀과 자주 접촉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거나 센서를 청소하지 않으면 풀이 말라 센서가 절연 상태가 되어 젖은 풀이 접촉하여도 전기가 흐르지 않아 센서작동이 되지 않는다.
또한, 롤러와 벽지 사이의 마찰로 인한 정전기와 기계 구동시의 노이즈가 상기 센서를 통하여 각종 전자부품이 파손되거나 정전기에 의한 기기의 이상 작동을 유발하는 위험이 있다.
그리고, 풀이 쉽게 굳어 버리므로 수시로 센서에 붙은 풀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하거나 작업 후에 센서를 떼어내어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센서 및 센서와 제어장치를 연결하는 선을 탈부착할 때 센서의 단선과 쇼트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풀올림롤러와 풀바름롤러의 위치관계를 조정함으로써 풀을 퍼 올리는 측의 풀통 부피를 보다 크게 확보하는 벽지 풀바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본체에 대한 풀통의 장착 및 해체가 용이한 벽지 풀바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지 풀바름기 전체 구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풀을 퍼 올리는 측의 풀통 부피를 용이하게 확장하기 위한 벽지 풀바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풀을 자동공급할 수 있는 벽지 풀바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본체와 커버체의 내부 공간에, 벽지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벽지를 이송하는 송출롤러와, 이송되는 벽지의 길이를 검척하는 검척롤러와, 이송되는 동안 벽지의 소정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하이텐션롤러와, 내부에 풀을 저장하는 풀통과, 상기 풀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풀을 이송시키는 풀올림롤러와, 상기 풀올림롤러로 올린 풀을 일정하게 걸러주는 닥터롤러와, 이송된 벽지에 풀칠하는 풀바름롤러와, 상기 풀바름롤러와 벽지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벽지를 누르는 압공롤러, 및 벽지를 외부로 송출하는 배출롤러를 포함하는 벽지 풀바름기에 있어서, 상기 풀올림롤러는, 풀이 퍼 올려지는 상기 풀통의 일측이 타측보다 큰 부피를 갖도록 상기 풀통의 타측에 편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풀바름롤러에 비스듬히 접촉하고, 상기 벽지 풀바름기는, 상기 풀통의 프레임본체에 대한 장착 및 해체시에 상기 풀올림롤러와 풀바름롤러 간의 간섭이 피해지도록 상기 풀통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풀통 및 프레임본체에 설치되는 이동궤적가이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궤적가이드는, 상기 풀통의 폭방향 측벽의 외면에 상기 풀통의 타측 상단으로부터 중앙부 하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라인부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본체에 대한 상기 풀통의 장착 및 해체시에 상기 가이드라인부를 상기 가이드라인부의 경사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라 인부에 접촉하는 제1풀통가이드, 및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본체에 대한 상기 풀통의 장착 및 해체시 상기 프레임본체에 대한 상기 풀통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풀통의 바닥벽에 접촉하는 제2풀통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풀통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풀통의 타측에 대향하는 상기 풀통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풀통의 바닥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본체에는, 상기 지지레그가 상기 프레임본체에 안착된 때 상기 풀통의 장착 및 해체방향으로 상기 풀통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풀통의 장착방향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지지레그의 전단에 대면하는 제1단차부와, 상기 풀통의 해체방향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지지레그의 후단에 대면하는 제2단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차부는 상기 제2풀통가이드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지를 이송하며 풀을 바르는 본체, 상기 본체에 풀을 공급하는 풀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본체에서 이송된 벽지길이를 검출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송된 벽지길이를 미리 설정된 벽지길이와 비교하여 풀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벽지 풀바름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벽지를 이송하는 벽지이송장치, 이송된 상기 벽지의 길이를 검출하는 검척롤러, 풀을 저장하는 풀통, 이송된 상기 벽지에 풀을 바르는 풀바름장치, 상기 풀통의 풀을 상기 풀바름롤러으로 이송하는 풀올림롤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척롤러에 의해 검출된 벽지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에 도달하면 상기 풀공급장치를 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지 풀바름기는 상기 풀바름롤러에 의해 발라지는 풀의 양을 조절하는 풀량조절롤러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풀공급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가지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되면 풀공급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벽지 풀바름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풀올림롤러와 풀바름롤러의 위치관계를 조정하여 풀을 퍼 올리는 측의 풀통 부피를 보다 크게 확보함으로써, 풀을 풀통에 보다 많이 담을 수 있고 작업중에 풀이 상기 풀통으로부터 넘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본체에 대한 풀통의 장착 및 해체에 슬라이드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풀통의 장착 및 해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벽지 풀바름기 전체 구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풀을 퍼 올리는 측의 풀통 부피가 용이하게 확장되게 함으로써, 기존 벽지 풀바름기에도 적은 비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지 풀바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센서의 탈부착, 청소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리고, 작업 중 풀두께 및 풀의 점도를 달리하는 경우, 풀통 내의 센서조정없이 간단하게 제어장치에서 설정치를 바꾸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및 노이즈의 전달매체인 센서가 없으므로 전자부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벽지 풀바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벽지 풀바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풀통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 풀바름기는, 프레임본체(20)측으로 송출롤러(21), 닥터롤러(23), 풀바름롤러(25), 풀올림롤러(31), 풀통(30), 배출롤러(27) 및 풀절단기(미도시)를 구비하고, 또 커버체(40)측에는 검척롤러(41), 하이텐션롤러(43) 및 압공롤러(4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롤러 등의 구성에 의해 벽지원단로울(도 1의 '16' 참조)로부터 인출된 벽지(50)는 송출롤러(21)에 의해서 풀바름롤러(25)로 반송된다. 반송된 벽지(50)에는 하이텐션롤러(43)에 의해 소요되는 장력을 부여하면서 풀통(30)으로부터 풀올림롤러(31)에 의해 공급된 풀이, 풀올림롤러(31)에 의해 풀칠된다. 계속해서, 풀칠된 벽지(50)는 압공롤러(45), 배출롤러(27) 및 풀절단기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된다.
상기 풀통(30)의 길이방향 단면은 긴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폭방향 단 면은 중앙 하부가 약간 아래로 쳐진 오각형 형상을 띠고 있다. 이러한 풀통(30)의 내부에는 벽지(50)에 칠해지기 위한 풀이 담겨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풀은 풀공급파이프(도 3의 '11' 참조)를 통해 자동으로 상기 풀통(30)에 공급되나, 수동으로 상기 풀통(30)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풀통(30)의 내부에는 풀통(30)에 담겨진 풀을 상기 풀바름롤러(25)로 공급하는 풀올림롤러(31)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풀올림롤러(31)는 풀바름롤러(25)와 접촉하여 상기 풀바름롤러(2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풀바름롤러(2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올림롤러(31)가 상승하는 구간에서 풀이 상기 풀바름롤러(25)에 공급된다. 따라서 점성이 있는 풀은 도 5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풀공급시의 상태에서 풀올림롤러(31)가 회전함에 따라 도 5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풀통(30)의 일측에 몰려 부풀어 오른다. 즉, 풀의 수위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풀올림롤러(31)의 작동시에 상기 풀통(30)의 일측으로 몰리는 풀의 자정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풀올림롤러(31)가 상기 풀통(30)의 타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되어 풀바름롤러(25)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접촉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풀올림롤러(31)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풀통(30)의 일측의 부피는 타측의 부피보다 커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풀올림롤러(31)가 풀바름롤러(25)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접촉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올림롤러(31)와 풀바름롤러(25)는 수평 방향으로 겹치는 부분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상기 풀통(30)을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장착 및 해체하려고 하면, 풀바름롤러(25)는 풀올림롤러(31)의 이동에 간섭을 일으켜 풀통(30)의 장착 및 해체가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풀통(30)의 프레임본체(20)에 대한 장착 및 해체시에 상기 풀올림롤러(31)와 풀바름롤러(25) 간의 간섭이 피해지도록 상기 풀통(30)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하는 이동궤적가이드(60)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궤적가이드(60)는 상기 풀통(30) 및 프레임본체(20)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라인부(61), 제1 및 제2풀통가이드(63,6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풀통(30)에는 가이드라인부(61)가 형성되고, 프레임본체(20)에는 제1풀통가이드(63) 및 제2풀통가이드(65)가 설치되어 풀바름롤러(25)와 풀올림롤러(31) 간의 간섭을 피하도록 설계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풀통(30)의 폭방향 측벽(30a)의 외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라인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부(61)는, 도 5의 좌측편을 풀통(30)의 일측이라 하고, 우측편을 풀통(30)의 타측이라 할 때,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풀통(30)의 타측으로부터 아래로 경사져서 상기 풀통(30)의 중앙부 하단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경사가 종료되면 상기 가이드라인부(61)는 도 5 및 도 6에서 수직으로 상승한 후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가이드라인부(61)의 경사진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 가이드라인부(61)의 실질적인 역할은 상기 경 사진 부분에서 행해지므로, 그 외 다른 부분은 도 5 및 도 6의 도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가이드라인부(61)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1풀통가이드(63)에 의해 지지 및 가이드된다. 즉, 상기 풀통(30)이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착탈될 때에는 상기 가이드라인부(61)는 상기 제1풀통가이드(63)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풀통(30)이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완전히 진입한 때에는 상기 제1풀통가이드(63)에 의해 상기 풀통(30)이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라인부(61)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풀통가이드(63)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풀통(30)이 프레임본체(20)에 장착된 상태와 상기 풀통(30)의 타측이 일측보다 낮아지는 경사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 상기 풀통(30)이 경사상태가 되면(도 8 참조), 풀올림롤러(31)는 풀바름롤러(25)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풀올림롤러(31)와 풀바름롤러(25)는 수평방향에서 봤을 때 서로 겹쳐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겹쳐지지 않는 상태로 상기 풀통(30)이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라인부(61)의 경사진 부분에는 곡선부(6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부(61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를 향해 오목한 곡선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곡선부(61a)에 의해 상기 풀통(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라인부(61)와 제1풀통가이드(63)가 접촉한 지점에서의 상기 가이드라인부(61)의 경사각이 커지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라인부(61)는 상기 제1풀통가이드(63)에 대해 용이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즉, 프레임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력에 의한 상기 풀통(30) 의 초기 이동이 보다 쉽게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라인부(61)가 형성된 풀통(30)의 타측에 대해 상기 풀통(30)의 일측에는 지지레그(3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33)는 상기 풀통(30)의 바닥벽(30b)으로부터 돌출되고,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레그(33)는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안착된 때 이하에서 설명될 스토퍼(7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부(61)가 제1풀통가이드(63)에 가이드되어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상기 풀통(30)이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풀통가이드(63,65)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통(30)의 측벽(30a)에 마주하는 상기 프레임본체(20)의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풀통(30)을 지지 및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제1풀통가이드(63)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라인부(61)를 가이드하고, 상기 풀통(30)이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완전히 진입한 때 상기 가이드라인부(61)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풀통(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2풀통가이드(65)는, 상기 풀통(30)의 장착 및 해체시에 상기 풀통(30)의 바닥벽(30b)에 접촉하여 상기 풀통(30)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풀통가이드(65)는 상기 풀통(30)의 바닥벽(30b)을 지지 및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풀통(3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풀통가이드(63)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풀통가이드(63)는 상기 가이드라인부(61)와의 마찰을 줄이면서도 상기 풀통(30)을 지지하는데 유리한 형태로 제작되고,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형태는 그 일례이다.
스토퍼(70)는 상기 지지레그(33)가 프레임본체(20)에 안착된 때 상기 풀통(30)의 장착 및 해체방향으로 상기 풀통(30)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70)는 제1단차부(71) 및 제2단차부(73)로 구성된다.
먼저 제1단차부(71)는, 상기 풀통(30)의 전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지지레그(33)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단차부(71)는 상기 풀통(30)의 장착시에 작업자가 상기 풀통(30)을 상기 프레임본체(20)에 밀어 넣을 때 상기 풀통(30)의 적정 장착위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제1단차부(71)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제작하여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2풀통가이드(65)의 일부가 그 역할을 하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2단차부(73)는, 상기 풀통(30)이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라인부(61)가 상기 제1풀통가이드(6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풀통(30)이 후진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레그(33)의 후방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단차부(73)와 지지레그(33)가 접촉하는 부분은, 풀칠작업시 벽지 풀바름기의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지지레그(33)가 상기 제2단차부(73)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 풀바름기의 작용을,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풀통이 프레임본체에 장착 및 해체되는 과정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풀통을 프레임본체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풀통(30)을 프레임본체(20)에 삽입하면, 먼저 풀통(30)의 바닥벽(30b)이 제2풀통가이드(65)에 접촉되며 가이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풀통(30)을 계속 진입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통(30)의 측벽(30a)에 형성된 가이드라인부(61)가 제1풀통가이드(63)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까지 상기 풀통(30)은 진입방향 선단이 아래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풀통(30)의 선단측으로 편향 배치되어 있는 풀올림롤러(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바름롤러(25)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풀바름롤러(25)와 수평방향에서 봤을 때 서로 겹쳐지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라인부(61)가 상기 제1풀통가이드(63)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풀통(30)을 밀게 되면, 상기 가이드라인부(61)는, 상기 제1풀통가이드(63)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풀통(30)의 기울어진 상태가 점차 수평상태로 된다. 즉, 풀통(30)의 진행방향 선단이 상승함으로써 초기 진입시에 상기 선단이 기울어진 상태가 해소되는 것이다(도 5 참조). 이러한 풀통(30)의 이동궤적에 따라 상기 풀올림롤러(31도 동시에 비스듬한 방향(도 8의 실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풀통(30)의 상승에 따라 풀통(30)의 바닥벽(30b)도 당연히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바닥벽(30b)과 제2풀통가이드(65)는 서로 이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진행이 계속되면 풀통(30)의 지지레그(33)가 제1단차부(71)에 걸려서 상기 풀통(30)이 더 이상 진입할 수 없게 되는데, 이때가 상기 풀통(30)이 프레임본체(20)에 진입을 완료한 상태가 된다. 진입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통(30)의 일측은 지지레그(33)가 프레임본체(20)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레 그(33)의 전후단으로 대면하는 제1 및 제2단차부(71,73)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그리고 풀통(30)의 타측은 제1풀통가이드(63)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풀통(30)은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풀올림롤러(31)가 풀바름롤러(25)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풀바름롤러(25)의 회전에 따라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풀통(30)에 저장된 풀을 풀바름롤러(25)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풀올림롤러(31)는 풀이 퍼 올려지는 상기 풀통(30)의 일측이 타측보다 큰 부피를 갖도록 상기 풀통(30)의 타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풀통(30)의 일측에는 보다 많은 풀이 저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올림롤러(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풀통(30)의 일측에 저장된 풀의 수위가 도 5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승하더라도, 풀의 수위가 도 5에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풀의 유효용량 범위 내에 속하게 되므로, 풀이 풀통(30) 밖으로 넘치는 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풀통을 프레임본체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풀통(30)을 프레임본체(20)로부터 해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풀통(30)의 지지레그(33) 하단이 제2단차부(73)보다 높아지도록 상기 풀통(30)의 일측 바닥벽(30b)을 외부에서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지지레그(33)와 제2단차부(73)가 마주하는 부분의 면적은 풀통(30)의 장착상태에서 상기 풀통(30)이 해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정도면 충분하므로, 상기 마주하는 부분의 높이는 대략 1~2㎜ 정도로 낮다. 따라서 상기 풀통(30)의 바닥벽(30b)을 조금만 들어 올리더라도 상기 지지레그(33)가 제2단차부(7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레그(33)가 제2단차부(73)로부터 이탈되는 순간이 되면 상기 풀통(30)이 해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힘은 없어지게 되고, 상기 풀통(30)은 제1풀통가이드(63)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풀통(30), 또는 상기 풀통(30)과 그 내부에 저장된 풀의 무게에 의해 상기 풀통(30)은 중력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풀통(30)은 수직으로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풀통(30)의 가이드라인부(61)가 상기 제1풀통가이드(63)에 가이드되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이러한 하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통(30)의 바닥벽(30b)이 상기 제2풀통가이드(65)에 안착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렇게 되면 풀올림롤러(31)도 상기 풀통(30)과 같이 비스듬한 방향(도 8의 점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 풀바름롤러(25)의 수평방향으로 봤을 때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없게 된다.
더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라인부(61)에 위로 오목한 곡선부(61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곡선부(61a)의 형상을 따라 상기 풀통(30)이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라인부(61)가 오로지 직선으로 이루어졌을 때보다 상기 제1풀통가이드(63)에 대한 상기 가이드라인부(61)의 이동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제2풀통가이드(65)에 안착된 상태의 풀통(30)은, 상기 제1풀통가이드(63)를 따라 비스듬히 하강하면서 해체방향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상기 풀통(30)의 일측은 이미 프레임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노출된 풀통(30)을 적절히 파지하여 상기 풀통(30)을 끌어내면 상기 풀통(30)은 상기 제2풀통가이드(65)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20) 외부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해체된다. 이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풀올림롤러(31)와 풀바름롤러(25)는 이미 수평방향으로 겹치는 부분이 없도록 이동된 상태이므로, 상기 풀통(30)을 끌어낼 때 상기 풀올림롤러(31)와 풀바름롤러(25)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풀통(30)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풀통(3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풀통(30)에 남아있는 풀의 양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상기 풀통(30)을 프레임본체(20)로부터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도 상기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풀통(30)에 풀을 공급할 수 있다.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풀통(30)을 프레임본체(20)에 장착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지 풀바름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 풀바름기는 본체(200), 제어장치(300), 풀공급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벽지를 공급받아 상기 벽지에 풀을 바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풀공급장치(400)는 상기 본체(200)에 풀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300)는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풀공급장치(400)의 작동을 온·오프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본체(200)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풀공급장치(400)는 한쪽은 상기 제어장치(300)에 전원코드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본체(200)에 노즐을 통하여 연결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본체(200)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상기 본체(200)의 측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본체(200)는 송출롤러(110), 검척롤러(120), 풀바름롤러(130), 풀량조절롤러(150), 풀바름롤러(130)에 접촉면적을 넓게하기위한 하이텐션롤러(170), 압공롤러(160), 풀을 풀바름롤러(130)에 올려주는 풀올림롤러(140) 상기 송출롤러는 벽지가 본체(200) 내로 들어오는 곳에 구비되고 및 벽지가 본체(200) 밖으로 나가는 곳에 구비되는 배출롤러(180)를 포함한다. 상기 송출롤러(110) 및 배출롤러(180)는 벽지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벽지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벽지이송장치은 송출롤러(110) 및 배출롤러(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반드시 두 개의 롤러로 구성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두 개 중 한개의 롤러만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벽지이송장치은 반드시 롤러의 형태로 구비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벽지가 배출되는 곳에서 상기 벽지를 잡아당기는 기구를 설치해도 되며, 다른 장치로부터 겸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검척롤러(120)는 이송된 벽지의 길이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형태로 구비되어 그 회전을 포토센서에 의해 검지하여 회전수, 회전속도에 의해 이송된 벽지의 길이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송출롤러(110)와 함께 벽지를 이송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검척롤러(120)에 의해 검출된 정보는 후술할 제어장치(300)로 보내져 풀공급장치(400)를 구동하는 기본정보로 활용된다.
상기 풀바름롤러(130)은 롤러형태로 구비되어 외주에 풀이 발라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벽지에 풀을 발라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풀바름롤러(130)은 풀을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외주에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통(190)은 풀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풀공급장치(400)로부터 풀을 공급받는다.
상기 풀올림롤러(140)은 상기 풀통(190)에 구비되어 풀을 상기 풀바름롤러(13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풀올림롤러(140)은 상기 풀바름롤러(130)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풀올림롤러(140)은 1개의 롤러를 사용하였지만, 능률적인 풀이송을 위하여 2개 또는 3개의 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텐션장치는 벽지가 이송되는 동안 벽지를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어 장력을 유지하게 하고, 풀바름롤러(130)와 벽지의 접촉면을 넓게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텐션장치은 하이텐션롤러(170) 및 압공롤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풀량조절롤러(150)은 상기 풀바름롤러(130)에 의해 벽지에 발라지는 풀의 두께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풀량조절롤러(150)은 롤러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풀바름롤러(130)의 외주부와의 간격이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풀량조절롤러(150)은 편심되게 회전되어 풀두께조절버튼(미도시)를 회전시키면 상기 풀량조절롤러(150)과 상기 풀바름롤러(130)의 사이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본체구동장치는 벽지를 이송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구동장치는 모터로 구비되며, 제어장치(300)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3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300)는 조작판넬(310), 결합부(320), 손잡이(330), 마이컴(미도시), 타이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작판넬(310)은 사용자가 본체(200) 및 풀공급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입력하는 역할 및 작동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판넬(310)은 표시부(312) 및 입력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300)에는 마이컴이 구비되어 검척롤러(120)에서 검출한 벽지이송길이 및 사용자가 입력부(314)를 통하여 입력한 값을 표시부(312)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값과 검출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본체(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및 풀공급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결합부(320)를 통해 상기 본체(200)에 연결된다.
상기 풀공급장치(400)는 상기 제어장치(300)의 제어명령에 따라 풀을 상기 본체(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풀공급장치(400)에는 펌프가 구비되어 펌프의 압력으로 풀을 상기 풀통(190)으로 공급한다. 상기 풀통(190)내에는 노즐(미도시)이 구비되어 노즐을 통해 풀이 풀통으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본발명에 따른 벽지 풀바름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본체(200)에 구비되는 풀두께조절버튼(미도시)을 회전시켜 벽지에 발라지는 풀의 두께를 조절한다. 또한, 풀공급장치(400)가 가동되기 시작하는 벽지 이송길이를 입력부(314)를 통하여 입력한다. 그리고, 풀공급장치(400)의 가동시간도 입력부(314)를 통하여 입력한다.
예를 들어, 풀통의 최대용량이 5kg인 벽지 풀바름기를 사용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폭 106cm의 벽지에 사용자가 풀두께조절버튼을 조절하여 미터당 120g의 풀을 사용하도록 하고 유효최소풀량 2kg을 제외한 3kg으로 작업량을 설정하면, 최대 3000/120=25m의 벽지를 풀바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풀공급장치(400)가 가동되기 시작하는 벽지 이송길이를 25m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풀공급장치(400)의 풀공급량이 분당 10리터라고 가정하면, 30초 동안 상기 풀공급장치(400)를 가동하면 5리터의 풀이 풀통(190)에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입력부(314)를 통하여 풀공급장치(400)의 가동시간을 30초로 설정한다.
이 때, 풀공급장치(400)의 성능과 풀의 점도에 따라 동일한 양을 공급하기 위한 풀공급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벽지 풀바름기는 사용할 풀을 실제로 테스트하여 목표량을 공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억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유효 풀량 3kg을 채우는 시간을 펌프에 따라 맞추어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 전에 최소 공급량 2kg을 채운 후 풀공급 시간 카운터 기능을 이용하여 풀량이 유효 최소 풀량 2kg에서 자동공급장치를 작동하여 최대 풀량 5kg에 멈추어 최대 풀량에 도달하는 동안 카운터한 시간을 제어장치에 기억하게 하고, 나중에 이 시간을 풀공급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을 마친 후, 상기 본체(200)를 구동시키면, 상기 검척롤러 표시부(312)에 상기 설정사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마이컴은 설정된 길이와 검척롤러(120)로부터 검출된 길이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길이가 설정된 길이에 도달하면 본체(200)의 작동을 멈추고 풀공급장치(400)를 작동시켜 풀통(190)에 풀을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검출된 길이가 설정된 길이에 가까이 왔을 경우 본체(200)의 구동속도를 점점 느리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풀공급장치(400)가 가동되기 시작하면 타이머가 작동하여 풀공급시간을 측정하고, 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기 풀공급장치(400)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풀공급시간을 다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벽지 풀바름기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벽지 풀바름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벽지 풀바름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벽지 풀바름기의 풀통에 부착된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벽지 풀바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풀통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풀통을 프레임본체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 풀바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 풀바름기에서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 풀바름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프레임본체 30 : 풀통
40 : 커버체 50 : 벽지
60 : 이동궤적가이드 61 : 가이드라인부
63 : 제1풀통가이드 65 : 제2풀통가이드
70 : 스토퍼 71 : 제1단차부
73 : 제2단차부

Claims (9)

  1.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벽지에 풀칠하는 풀바름롤러;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풀바름롤러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이송되는 벽지의 길이를 검척하는 검척롤러;
    프레임본체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풀바름롤러의 하부에 위치하는 풀통;
    상기 풀통의 내부에서, 풀이 퍼 올려지는 상기 풀통의 일측이 타측보다 큰 부피를 갖도록 상기 풀통의 타측에 편향되게 배치되어 풀을 이송시키는 풀올림롤러;
    상기 풀통의 프레임본체에 대한 장착 및 해체시에 상기 풀올림롤러와 풀바름롤러 간의 간섭이 피해지도록 상기 풀통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풀통 또는 프레임본체에 설치되는 이동궤적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궤적가이드는,
    상기 풀통의 폭방향 측벽의 외면에 상기 풀통의 타측 상단으로부터 중앙부 하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라인부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본체에 대한 상기 풀통의 장착 및 해체시에 상기 가이드라인부를 상기 가이드라인부의 경사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라인부에 접촉하는 제1풀통가이드, 및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본체에 대한 상기 풀통의 장착 및 해체시 상기 프레임본체에 대한 상기 풀통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풀통의 바닥벽에 접촉하는 제2풀통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바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통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풀통의 타측에 대향하는 상기 풀통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풀통의 바닥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본체에는, 상기 지지레그가 상기 프레임본체에 안착된 때 상기 풀통의 장착 및 해체방향으로 상기 풀통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바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풀통의 장착방향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지지레그의 전단에 대면하는 제1단차부와, 상기 풀통의 해체방향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지지레그의 후단에 대면하는 제2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바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차부는 상기 제2풀통가이드의 일부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벽지 풀바름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098789A 2007-10-01 2007-10-01 벽지 풀바름기 KR100915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789A KR100915586B1 (ko) 2007-10-01 2007-10-01 벽지 풀바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789A KR100915586B1 (ko) 2007-10-01 2007-10-01 벽지 풀바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649A KR20090033649A (ko) 2009-04-06
KR100915586B1 true KR100915586B1 (ko) 2009-09-07

Family

ID=4075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789A KR100915586B1 (ko) 2007-10-01 2007-10-01 벽지 풀바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9925A (zh) * 2017-01-16 2017-06-06 玉田元创包装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侧定位系统的裱纸机
CN107804029B (zh) * 2017-10-26 2023-09-01 东莞市瑞丰源工艺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包装盒涂胶包料生产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399U (ja) * 1993-05-11 1994-11-29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壁紙糊付機
JP2005081623A (ja) 2003-09-05 2005-03-31 Yayoi Chemical Industry Co Ltd 壁紙糊付機
JP2006001026A (ja) 2004-06-15 2006-01-05 Yayoi Chemical Industry Co Ltd 自動壁紙糊付機
KR100607910B1 (ko) 2005-02-14 2006-08-03 유진엠씨 주식회사 벽지 풀바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399U (ja) * 1993-05-11 1994-11-29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壁紙糊付機
JP2005081623A (ja) 2003-09-05 2005-03-31 Yayoi Chemical Industry Co Ltd 壁紙糊付機
JP2006001026A (ja) 2004-06-15 2006-01-05 Yayoi Chemical Industry Co Ltd 自動壁紙糊付機
KR100607910B1 (ko) 2005-02-14 2006-08-03 유진엠씨 주식회사 벽지 풀바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649A (ko) 200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19452B (zh) 一种瓷砖美缝用上料刮除一体化设备
CN108080580A (zh) 一种砂型铸造系统
KR100915586B1 (ko) 벽지 풀바름기
KR101957229B1 (ko) 용기 에어 세척장치
EP1634653A3 (en) Sizing machine
CN109853911B (zh) 瓷砖涂灰机构及瓷砖涂灰方法
CN112252750B (zh) 一种料斗、铺浆终端及铺浆设备
CN219664090U (zh) 一种板材底板涂油设备
JP5382579B2 (ja) 壁紙糊付機
CN112227680A (zh) 一种铺浆机构及铺浆设备
KR102047188B1 (ko)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CN215542252U (zh) 一种涂胶装置及涂布设备
JP2006150338A (ja) 糊液供給ポンプ付き壁紙糊付機
CN112282323A (zh) 一种铺浆机构及铺浆设备
CN207914031U (zh) 一种板材涂胶装置
CN220697318U (zh) 一种板材单面涂胶机
CN205554769U (zh) 一种卧式平铺上袋系统
CN217379679U (zh) 一种室内装修用的墙面粉刷装置
CN210481734U (zh) 一种应用于输送带的自动上浆机构
CN217126908U (zh) 一种清洁剂用储存瓶的倾斜装置
CN220160702U (zh) 一种板材通过式清洗线
JP2001276699A (ja) 自動壁紙糊付機
CN115575310B (zh) 墙面裂缝延伸预测辅助装置
JP4409969B2 (ja) 塗工装置
CN218809018U (zh) 一种静电撒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