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188B1 -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188B1
KR102047188B1 KR1020180053151A KR20180053151A KR102047188B1 KR 102047188 B1 KR102047188 B1 KR 102047188B1 KR 1020180053151 A KR1020180053151 A KR 1020180053151A KR 20180053151 A KR20180053151 A KR 20180053151A KR 102047188 B1 KR102047188 B1 KR 10204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oil
inlet pipe
coupling plat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152A (ko
Inventor
김종민
성완모
김용렬
김주한
Original Assignee
김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민 filed Critical 김종민
Priority to KR102018005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1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1/00Moistening, sizing, oiling, waxing, colouring or drying filamentary material as additional measures during package formation
    • B65H71/007Oiling, waxing by applying liquid during sp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2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원사가 투입되는 원사투입부(10)와, 투입된 원사가 일정장력을 갖도록 공급하는 장력조절부(20)와, 장력이 조절된 원사를 배출하는 원사배출부(30)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원사공급장치의 원사배출부(30) 부위에 구비되며, 오일이 수용되는 직육면체형태의 함체로 되고, 일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유입되는 원사유입파이프(41)와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배출되는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각각의 오일 수용통(40);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일측면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타측면에 수직되는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 1,2 베어링(52a,52b)과, 양단부가 상기 제 1 베어링(52a)과 제 2 베어링(52b)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51b)과, 상기 회전축(51b)에 결합고정되며 외주연에 치차(53a)가 형성된 오일분산용 기어(53)와, 상기 치차(53a)의 중앙부위에 원주방향으로 "V"자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원사가 상부에 거치되어 안내되도록 하며, 거치되는 원사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51b)이 회전되도록 하는 요홈(54)로 이루어지는 오일분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Yarn Supply Apparatus for Improving Tension}
본 발명은 섬유기계에 장력이 개선된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사공급장치는 섬유기계에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원사는 원사공급보빈 거치대에 거치된 원사공급보빈으로부터 원사가 섬유기계에 공급되게 되는데 장력이 적은 원사의 경우에는 장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원사에 오일을 뿌리거나 적시도록 하여 오일이 함유된 원사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일이 함유된 원사는 장력이 개선되게 된다.
종래에는 가는 원사나 장력이 적은 원사의 장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원사공급보빈에 오일을 뿌거나 원사공급보빈을 오일에 담가 원사에 오일을 함유되도록 하여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오일이 함유된 원사는 원사공급보빈으로부터 풀려 일정량의 실을 감아서 실을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해 주는 원사공급장치를 통해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된 원사는 섬유기계에 공급되어 직조되게 된다. 이때, 오일이 함유된 원사는 상기 원사공급장치를 통과하면서 함유된 오일이 증발하거나 소실되어 원사의 오일 함유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져 장력이 적은 원사가 절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면 직조기계에 의한 직조시 원사가 절사되게 되며, 원사 절사시에 직조를 중단하고 절사된 원사를 다시 연결하여야 재가동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0-1621438호(발명의 명칭: 원사공급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원사공급장치는, 각각의 원사공급보빈으로부터 공급된 원사가 투입되는 원사투입부(10)와, 상기 원사투입부(10)로부터 투입된 원사가 일정장력을 갖도록 공급하는 장력조절부(20)와, 상기 장력조절부(2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원사를 배출하는 원사배출부(30)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원사공급장치의 원사배출부(30)에 구비되며, 오일이 수용되며 함체로 된 각각의 오일 수용부(40); 각각의 상기 오일 수용부(4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력조절부(2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원사를 상기 오일 수용부(40)에 수용된 오일로 안내하는 각각의 제 1 가이드 롤러(50); 각각의 상기 오일 수용부(40)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50)에 의해 오일로 안내된 원사를 상기 오일 수용부(40) 외부로 배출하여 직조기계로 안내하는 각각의 제 2 가이드 롤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제 1 가이드 롤러(50)에 의해 오일 수용부(40)에 수용된 오일로 안내하게 되나, 제 1 가이드 롤러(50)에 의해 안내된다고 하더라도 원사에 오일이 고르게 묻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사의 공급속도가 작으면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으나, 직조시에는 원사의 공급속도가 상당히 커서 원사에 오일이 함유되는 시간이 작게 되어 오일이 원사에 제대로 묻혀지지 않게 되어 결국 절사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오일이 수용되며 함체로 된 각각의 오일 수용부(40)가 각각의 원사공급장치의 원사배출부(30)에 구비되나, 원사배출부(30) 부위의 크기가 작아 원사배출부(30)의 크기에 맞게 제작하게 되면 오일 수용부(40)의 크기가 작게 되어야 한다. 하지만, 공급되는 실의 속도가 크므로 오일 수용부(40)의 크기가 작게 되면 오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실에 오일을 함유되도록 하여야 하나 오일의 지속적인 공급이 어려워 실에 오일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사공급장치의 후단에서 실을 배출하는 부위에 오일을 실에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오일함유부에서 실의 공급속도가 크더라도 실에 오일을 고르게 함유되도록 하는 원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각각의 원사공급보빈으로부터 공급된 원사가 투입되는 원사투입부(10)와, 상기 원사투입부(10)로부터 투입된 원사가 일정장력을 갖도록 공급하는 장력조절부(20)와, 상기 장력조절부(2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원사를 배출하는 원사배출부(30)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원사공급장치의 원사배출부(30) 부위에 구비되며, 오일이 수용되는 직육면체형태의 함체로 되고, 일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유입되는 원사유입파이프(41)와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배출되는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각각의 오일 수용통(40);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일측면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타측면에 수직되는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축(51a)과, 상기 고정축(51a)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52)에 의해 고정되며 외주연에 치차(53a)가 형성된 오일분산용 기어(53)와, 상기 치차(53a)의 중앙부위에 원주방향으로 "V"자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원사가 상부에 거치되어 안내되도록 하며, 거치되는 원사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되도록 하는 요홈(54)로 이루어지는 오일분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사배출부(30)의 상부에 고정되며 원사배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오일 수용통(40)이 하부에 고정되는 연장브라켓(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는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과,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더 구비되며, 상기 오일 수용통(40)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의 승강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유입파이프 승강용 장공(45a)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의 승강시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배출파이프 승강용 장공(46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결합되는 부위의 상기 오일 수용통(40)에는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치차(53a)를 향하고 상기 오일 수용통(40)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를 회전시키는 압축공기 유입부(4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각각의 원사공급보빈으로부터 공급된 원사가 투입되는 원사투입부(10)와, 상기 원사투입부(10)로부터 투입된 원사가 일정장력을 갖도록 공급하는 장력조절부(20)와, 상기 장력조절부(2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원사를 배출하는 원사배출부(30)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원사공급장치의 원사배출부(30) 부위에 구비되며, 오일이 수용되는 직육면체형태의 함체로 되고, 일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유입되는 원사유입파이프(41)와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배출되는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각각의 오일 수용통(40);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일측면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타측면에 수직되는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 1,2 베어링(52a,52b)과, 양단부가 상기 제 1 베어링(52a)과 제 2 베어링(52b)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51b)과, 상기 회전축(51b)의 일측에 결합고정되며 외주연에 치차(53a)가 형성된 오일분산용 기어(53)와, 상기 치차(53a)의 중앙부위에 원주방향으로 "V"자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원사가 상부에 거치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요홈(54)로 이루어지는 오일분산부(50); 상기 회전축(51b)의 타측에 결합고정되는 종동기어(71)와, 상기 종동기어(71)와 맞물리며 상기 종동기어(7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축(51b)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72)와, 상기 구동기어(72)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기어(72)를 회전시키는 기어드 모터(73)로 이루어지는 오일분산부 회전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사배출부(30)의 상부에 고정되며 원사배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오일 수용통(40)이 하부에 고정되는 연장브라켓(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는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과,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더 구비되며, 상기 오일 수용통(40)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의 승강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유입파이프 승강용 장공(45a)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의 승강시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배출파이프 승강용 장공(46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원사공급장치의 후단에서 실을 배출하는 부위에 오일을 실에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오일분산부에서 실의 공급속도가 크더라도 오일분산용 기어의 회전에 의해 오일을 유동시켜 실에 오일을 고르게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원사에 함유된 오일이 증발하거나 소실되지 않고 오일이 고르게 함유된 상태로 직조기계로 공급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장력이 개선된 상태로 직조되게 되어 원사가 절사되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의 오일 수용통 및 오일분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의 오일 수용통 및 오일분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원사투입부(10)와, 장력조절부(20)와, 원사배출부(30)로 이루어지며, 원사공급장치의 원사배출부(30)에는 오일 수용통(40)이 구비되며, 오일 수용통(40)에는 오일분산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원사투입부(10)는 각각의 원사공급보빈으로부터 공급된 원사(1)가 투입된다. 투입된 원사는 장력조절부(2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다.
상기 장력조절부(20)는 상기 원사투입부(10)로부터 투입된 원사가 일정장력을 갖도록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장력이 조절된 원사는 원사배출부(30)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원사배출부(30)는 상기 장력조절부(2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원사를 배출하여 직조기계(미도시됨)로 공급하게 된다.
각각의 원사공급장치의 원사배출부(30) 부위에는 오일 수용통(40)이 구비된다.
상기 오일 수용통(40)은, 오일이 수용되는 직육면체형태의 함체로 되고, 일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유입되는 원사유입파이프(41)와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배출되는 원사배출파이프(4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오일 수용통(40)에는 오일분산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오일분산부(50)는, 고정축(51a)과, 오일분산용 기어(53)와, 요홈(5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51a)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일측면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타측면에 수직되는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는, 상기 고정축(51a)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52)에 의해 고정되며 외주연에 치차(53a)가 형성된다.
상기 요홈(54)는, 상기 치차(53a)의 중앙부위에 원주방향으로 "V"자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원사가 상부에 거치되어 안내되도록 하며, 거치되는 원사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축(51a)은,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양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별도의 고정축 고정판(43)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 고정판(43)은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상부커버(44)에 고정된다.
상기 요홈(54)에 거치된 원사는 원사가 원사투입부(10)를 통해 장력조절부(20)를 거쳐 장력이 조절된 원사가 당겨지면서 원사배출부(30)로 배출될 때, 원사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되며,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되게 되면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에 형성된 치차(53a)에 의해 오일이 오일 수용통(40) 내부에서 요동되게 되고 요동된 오일은 원사에 고르게 함유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 수용통(40) 및 오일분산부(50)를 구비함으로써 오일분산용 기어(53)의 회전에 의한 치차(53a)에 의해 오일이 요동되어 오일이 원사에 고르게 함유되도록 하며, 오일이 함유된 원사를 바로 직조기계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원사에 함유된 오일이 증발하거나 소실되지 않고 오일이 함유된 상태로 직조기계로 공급되게 되므로, 장력이 개선된 상태로 직조되게 되어 원사가 절사되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원사가 절사됨에 따른 정지시간을 줄이고 가동시간을 늘릴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원사배출파이프(42)의 설치높이는 상기 고정축(51a)보다 높게 설치되며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요홈(54) 하단보다 낮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일의 수위는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원사배출파이프(42)보다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원사의 공급속도가 크더라도 오일분산용 기어의 회전에 의한 치차에 의해 오일을 유동시켜 원사에 오일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원사에 오일을 고르게 함유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사배출부(30)의 상부에 고정되며 원사배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오일 수용통(40)이 하부에 고정되는 연장브라켓(60)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브라켓(60)을 구비함으로써 오일 수용통(40)의 크기를 크게 하여 원사공급장치에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급되는 실의 속도가 큰 직조에 이용하더라도 오일 수용통(40)으로의 잦은 오일 공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는 승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비하게 되면, 원사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를 통과하여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치차(53a)에 구비된 요홈(54)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하고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원사를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를 통과되도록 한 다음,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요홈(54) 상부로 거치되도록 하고, 다시 원사의 단부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를 통과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로의 원사 통과시 및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로의 원사 통과시 단부에 걸고리가 형성된 바늘을 이용하여 원사를 통과되도록 하는데,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의 설치높이가 고정축(51a)의 높이보다 높고 보다 높고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요홈(54) 하단보다 낮게 설치되고,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 사이에 오일분산용 기어(53)가 배치되므로, 원사를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 한번에 통과시켜 원사를 오일 수용통(40) 설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원사를 오일 수용통(40)의 상부커버(44)을 개봉한 상태에서, 먼저, 바늘을 이용하여 원사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를 통과되도록 한 다음, 바늘과 원사를 분리시키고,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를 통과한 원사를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치차(53a)에 형성된 요홈(54)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한 다음, 원사의 단부부위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 쪽으로 원사를 위치시키고 바늘을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 바깥쪽에서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로 삽입하여 원사를 바늘의 단부에 형성된 갈고리에 걸어 바늘을 오일 수용통(40)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원사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원사를 설치하게 되므로, 원사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는 승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를 상승시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보다 높도록 하고, 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를 동시에 통과되도록 하여 원사를 설치한 다음,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를 하강시켜 원사가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치차(53a)에 형성된 요홈(54)에 거치되도록 하게 되면 원사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때,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승강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과,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더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오일 수용통(40)은,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와,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와, 원사유입파이프 승강용 장공(45a)과, 원사배출파이프 승강용 장공(46a)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은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수직되게 결합된다.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은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수직되게 결합된다.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는,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는,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승강용 장공(45a)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의 승강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승강용 장공(46a)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의 승강시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오일분산부(50)의 오일분산용 기어(53)는 직조기계에 의해 직조될 때 원사가 당겨지게 되면 요홈(54)에 거치되는 원사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이때, 오일의 점도가 높거나 초기 구동시에는 요홈(54)과 원사와의 마찰력이 크게 되어 상기 오일분산부(50)의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오일의 점도가 높거나 초기 구동시에 상기 오일분산부(50)의 오일분산용 기어(53)의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오일 수용통(40)에 압축공기 유입부(47)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압축공기 유입부(47)는,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결합되는 부위의 상기 오일 수용통(40)에 구비되며,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치차(53a)를 향하고 상기 오일 수용통(40)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치차(53a)에 불도록 하여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오일 수용통(40)에 수용된 오일은 원사가 함유되어 소모되므로, 오일을 보충하도록 하기 위한 오일보충부와, 오일 수용통(40)에 수용된 오일이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오일을 보충하도록 하기 위하여, 오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0-1621438호(발명의 명칭: 원사공급장치)에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의 오일 수용통(40)과 오일분산부(50)는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오일분산부 회전부(7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와 다른 부분을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오일분산부(50)는 제 1,2 베어링(52a,52b)과, 회전축(51b)과, 오일분산용 기어(53)와, 요홈(54)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의 오일분산부(50)는 고정축(51a)이 오일 수용통(40)에 고정되도록 하여 베어링(52)에 의해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되도록 하고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의 오일분산부(50)는 회전축(51b)이 구비되고, 회전축(51b)에 오일분산용 기어(53)가 고정되며, 회전축(51b)이 오일 수용통(40)에 제 1,2 베어링(52a,52b)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 1,2 베어링(52a,52b)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일측면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타측면에 수직되는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51b)은 양단부가 상기 제 1 베어링(52a)과 제 2 베어링(52b)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된다.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는 상기 회전축(51b)의 일측에 결합고정되며 외주연에 치차(53a)가 형성된다.
상기 요홈(54)은 전술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와 형상은 동일하며, 원사가 상부에 거치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만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에서 원사는 요홈(54)과의 마찰력에 의해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되도록 하고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에서는 오일분산용 기어(53)를 회전시키기 위한 오일분산부 회전부(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오일분산부 회전부(70)는, 종동기어(71)와, 구동기어(72)와, 기어드 모터(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동기어(71)는 상기 회전축(51b)의 타측에 결합고정된다. 이때, 오일분산용 기어(53)는 회전축(51b)의 일측에 결합고정되며 외주연에 치차(53a)가 형성된다. 상기 종동기어(71)는 오일 수용통(40)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구동기어(72)는, 상기 종동기어(71)와 맞물리며 상기 종동기어(7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축(51b)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기어(72)는 상부커버(4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가 오일 수용통(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기어드 모터(73)는, 상기 구동기어(72)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기어(7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어드 모터(73)는 오일 수용통(40)의 상부커버(44)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기어드 모터(73)에 구비된 기어는 상기 구동기어(72)와 맞물려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72)를 회전시킨다.
전술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원사와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치차(53a)에 형성된 요홈(54)과의 마찰력에 의해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되도록 하나,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상기 오일분산부 회전부(70)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연장브라켓(60)과,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승강이 가능한 구조는 전술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와 동일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는, 오일분산부 회전부(70)에 의해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되게 되므로, 전술한 전술한 본 발명의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와 같은 압축공기 유입부(47)가 구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원사투입부 20 : 장력조절부
30 : 원사배출부 40 : 오일 수용통
41 : 원사유입파이프 41a :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42 : 원사배출파이프 42a :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43 : 고정축 고정판 44 : 상부커버
45 :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
45 : 원사유입파이프 승강용 장공
46 :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
46a : 원사배출파이프 승강용 장공
47 : 압축공기 유입부 50 : 오일분산부
51a : 고정축 51b : 회전축
52 : 베어링 52a : 제 1 베어링
52b : 제 2 베어링 53 : 오일분산용 기어
53a : 치차 54 : 요홈
60 : 연장브라켓 70 : 오일분산부 회전부
71 : 종동기어 72 : 구동기어
73 : 기어드 모터

Claims (9)

  1. 각각의 원사공급보빈으로부터 공급된 원사가 투입되는 원사투입부(10)와, 상기 원사투입부(10)로부터 투입된 원사가 일정장력을 갖도록 공급하는 장력조절부(20)와, 상기 장력조절부(2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원사를 배출하는 원사배출부(30)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원사공급장치의 원사배출부(30) 부위에 구비되며, 오일이 수용되는 직육면체형태의 함체로 되고, 일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유입되는 원사유입파이프(41)와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배출되는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각각의 오일 수용통(40);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일측면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타측면에 수직되는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축(51a)과, 상기 고정축(51a)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52)에 의해 고정되며 외주연에 치차(53a)가 형성된 오일분산용 기어(53)와, 상기 치차(53a)의 중앙부위에 원주방향으로 "V"자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원사가 상부에 거치되어 안내되도록 하며, 거치되는 원사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가 회전되도록 하는 요홈(54)로 이루어지는 오일분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사배출부(30)의 상부에 고정되며 원사배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오일 수용통(40)이 하부에 고정되는 연장브라켓(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는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과,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더 구비되며,
    상기 오일 수용통(40)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의 승강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유입파이프 승강용 장공(45a)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의 승강시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배출파이프 승강용 장공(46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결합되는 부위의 상기 오일 수용통(40)에는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의 치차(53a)를 향하고 상기 오일 수용통(40)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오일분산용 기어(53)를 회전시키는 압축공기 유입부(4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6. 각각의 원사공급보빈으로부터 공급된 원사가 투입되는 원사투입부(10)와, 상기 원사투입부(10)로부터 투입된 원사가 일정장력을 갖도록 공급하는 장력조절부(20)와, 상기 장력조절부(2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원사를 배출하는 원사배출부(30)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원사공급장치의 원사배출부(30) 부위에 구비되며, 오일이 수용되는 직육면체형태의 함체로 되고, 일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유입되는 원사유입파이프(41)와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며 원사가 통과되어 배출되는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각각의 오일 수용통(40);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일측면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구비된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타측면에 수직되는 상기 오일 수용통(4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 1,2 베어링(52a,52b)과,
    양단부가 상기 제 1 베어링(52a)과 제 2 베어링(52b)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51b)과,
    상기 회전축(51b)의 일측에 결합고정되며 외주연에 치차(53a)가 형성된 오일분산용 기어(53)와,
    상기 치차(53a)의 중앙부위에 원주방향으로 "V"자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원사가 상부에 거치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요홈(54)로 이루어지는 오일분산부(50);
    상기 회전축(51b)의 타측에 결합고정되는 종동기어(71)와,
    상기 종동기어(71)와 맞물리며 상기 종동기어(7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축(51b)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72)와,
    상기 구동기어(72)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기어(72)를 회전시키는 기어드 모터(73)로 이루어지는 오일분산부 회전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사배출부(30)의 상부에 고정되며 원사배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오일 수용통(40)이 하부에 고정되는 연장브라켓(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는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과, 중앙부위에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더 구비되며,
    상기 오일 수용통(40)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와,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와,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5)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유입파이프 결합판(41a)의 승강시 상기 원사유입파이프(41)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유입파이프 승강용 장공(45a)과,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 승강 가이드(46)의 중앙부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가 삽입되어 상기 원사배출파이프 결합판(42a)의 승강시 상기 원사배출파이프(42)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사배출파이프 승강용 장공(46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KR1020180053151A 2018-05-09 2018-05-09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KR10204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151A KR102047188B1 (ko) 2018-05-09 2018-05-09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151A KR102047188B1 (ko) 2018-05-09 2018-05-09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52A KR20190129152A (ko) 2019-11-20
KR102047188B1 true KR102047188B1 (ko) 2019-11-21

Family

ID=6869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151A KR102047188B1 (ko) 2018-05-09 2018-05-09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4853B (zh) * 2020-04-30 2021-07-23 浙江佳人新材料有限公司 一种再生多丽竹节丝生产工艺
CN112158676B (zh) * 2020-09-04 2022-10-14 平原恒丰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加大纱线柔润性和强度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283A (ja) * 2001-02-23 2002-09-03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編糸の含浸方法、編糸の含浸装置および編糸
KR100725189B1 (ko) * 2006-03-20 2007-06-04 주식회사 메이드 탄소섬유사 제조공정
JP2012006699A (ja) * 2010-06-23 2012-01-12 Nisca Corp 接着剤塗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製本装置
KR101621438B1 (ko) * 2015-09-09 2016-05-16 김종민 원사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283A (ja) * 2001-02-23 2002-09-03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編糸の含浸方法、編糸の含浸装置および編糸
KR100725189B1 (ko) * 2006-03-20 2007-06-04 주식회사 메이드 탄소섬유사 제조공정
JP2012006699A (ja) * 2010-06-23 2012-01-12 Nisca Corp 接着剤塗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製本装置
KR101621438B1 (ko) * 2015-09-09 2016-05-16 김종민 원사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52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188B1 (ko) 장력개선을 위한 원사공급장치
CN101343003A (zh) 纱线卷绕装置和纤维机械
CN107954259B (zh) 纱线卷绕装置
JP4975470B2 (ja) 中空糸膜編立装置
EP2573019B1 (en) Spinning unit with a yarn pooling device, and spinning machine
CN103014937B (zh) 纺纱单元、纺纱机及纱线处理模块
EP2573225B1 (en) Spinning unit and spinning machine
EP3103750A1 (en) Yarn winding machine and spinning machine
CN108891899A (zh) 一种纱棒方向调整装置
US3968939A (en) Traverse cam lubrication
JP2000303277A (ja) 糸条巻取機のオイリング装置
CN210104162U (zh) 一种防缠绕赛络纺导线设备
JP2016210618A (ja) テークアップ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繊維機械の作業ユニット
CN215557930U (zh) 一种倒线机的线头绕卷装置
CN204849307U (zh) 缝纫机用油箱和缝纫机
CN105793479A (zh) 纤维排出装置以及纺织机
CN219193415U (zh) 粗纱头自动处理装置
JP2006298601A (ja) 口出し装置
CN219731336U (zh) 一种面料加工用上浆装置
JP2018027841A (ja) 残糸除去装置及び繊維機械
CN210340674U (zh) 一种玻璃纤维拉丝炉自动控制加料机
JP2019206779A (ja) 空気紡績機
CN215251662U (zh) 一种经线上浆装置
CN111578115A (zh) 一种包覆丝机的绕线针润滑方法
CN219099537U (zh) 一种清洁环保筒子色纱上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