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021B1 - 유기-무기 막 - Google Patents

유기-무기 막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021B1
KR100915021B1 KR1020027014746A KR20027014746A KR100915021B1 KR 100915021 B1 KR100915021 B1 KR 100915021B1 KR 1020027014746 A KR1020027014746 A KR 1020027014746A KR 20027014746 A KR20027014746 A KR 20027014746A KR 100915021 B1 KR100915021 B1 KR 10091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composite membrane
metal
polyme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233A (ko
Inventor
조헨 케레스
토마스 헤링
Original Assignee
우니베르지테트 슈트트가르트
토마스 헤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니베르지테트 슈트트가르트, 토마스 헤링 filed Critical 우니베르지테트 슈트트가르트
Publication of KR2003001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01D67/00931Chemical modification by introduction of specific groups after membrane formation, e.g. by gr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39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48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sol-gel tran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01D71/522Aromatic polyethers
    • B01D71/5222Poly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or polyaryletherke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2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introduc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75Heterogeneous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and oxygen, e.g. polyethers,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s [S-PEEK], sulfonated polysaccharides, sulfonated celluloses or sulfonated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carbon, oxygen and other atoms, e.g. sulfonated 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4Mixtures of polymers, of which at least one is ionically 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7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by chemical reactions, e.g. insitu polymerisation or insitu crosslin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7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by chemical reactions, e.g. insitu polymerisation or insitu crosslinking
    • H01M8/1074Sol-g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6Electr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J235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08J2357/08Homopolymers or copoly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containing halogen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고분자 혼합물 및 하이브리드 고분자 혼합물 막에 관한 것으로, SO2X, POX2 또는 COX기(X=F, Cl, Br, I)를 함유하는 1개의 고분자 산할로겐화물; 막 형성 공정 동안 및/또는 이어서 수성의 산성, 알칼리성 또는 중성 전해질에서 막을 처리하여, 원소 및/또는 유기 금속 화합물의 졸-겔 반응 및/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진 1개의 원소 산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 또는 원소 수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혼합물 또는 고분자 혼합물 막에 함유된 고분자 산할로겐화물의 수용성, 알칼리성 또는 산성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진 SO3H, PO3H2 및/또는 COOH기를 가지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하이브리드 혼합물 및 하이브리드 혼합물 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브리드 혼합물 및 하이브리드 혼합물 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무기 막{Organic-inorganic membranes}
본 발명은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고분자 혼합물 및 하이브리드 고분자 혼합물 막에 관한 것이며,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SO2X, -POX2 또는 -COX기(X=F, Cl, Br, I)를 함유하는 고분자 산할로겐화물,
·막 형성 공정 동안 및/또는 이어서 수성의 산성, 알칼리성 또는 중성 전해질에서 막을 처리하여, 원소 유기 및/또는 금속 유기 화합물의 졸-겔 반응 및/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진 원소 산화물 또는 원소 수산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혼합물 또는 고분자 혼합물 막에 함유된 고분자 산할로겐화물의 수용성, 알칼리성 또는 산성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진 SO3H, PO3H2 및/또는 COOH기를 가지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하이브리드 혼합물 및 하이브리드 혼합물 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브리드 혼합물 및 하이브리드 혼합물 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 염화물/무기 하이브리드 복합체에 관한 최신 기술은 이하 항목에 개시된다:
내피온(nafion) 불화설포닐 전구체 막은 퍼플루오로히드로펜안트렌(perfluorohydrophenanthrene) 중에 예비 습윤되며,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중에 침지된다. 이후, 과잉 실란은 EtOH로 세정된다. 하이브리드가 형성되며, 그 중에서 실란의 가수분해 및 SO2F기와의 실란 반응에 의해, 폴리머와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된 SiO2 네트워크가 막 매트릭스 중에 형성된다(Chemical modification of a nafion sulfonyl fluoride precursor via in situ sol-gel reactions, A. J. Greso, R. B. Moore, K. M. Cable, W. L. Jarrett, K. A. Mauritz, Polymer 38, 1345-1356(1997)).
상술의 시스템의 문제점은 졸-겔 반응이 예비 형성된 막 중에서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가수분해에 의해 형성된 무기 고분자 형상, 고분자 복합체의 용량이 의도대로 설정될 수 없다.
또한, 무기 폴리머 및 금속의 각각의 원소 산화물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이하 문헌에서 설명된다:
(e) 티탄 알콕사이드의 수증기 가수분해에 의해 이루어진 산화티타늄 및 폴리-n-부틸메타크릴레이트의 복합체는 용매 증발 후 폴리머 매트릭스 중의 폴리-n-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용액의 알코올 용액에 첨가되었다(Novel Poly(n-Butyl Methacrylate)/Titanium Oxide Alloys Produced by the Sol-Gel process for Titanium Alkoxides, K. A. Mauritz, C. K. Jones, J. Appl. Polym. Sci. 40, 1401-1420(1990)).
(f) 0.15M HCl 용액의 첨가에 의해 NMP 중의 폴리에테르이미드(Ultern) 용액 중에서 TEOS의 가수분해에 의해 이루어진 나노 분산된 산화실리콘 및 폴리에테르이미드의 복합체 막이다. 가수분해 후, 밀도 또는 상 반대의 막이 이 폴리머 용액으로부터 이루어진다.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S)(Membranes of poly(ether imide) and nanodispersed silica, S. P. Nunes, K. V. Peinemann, K, Ohlrogge, A. Alpers, M. Keller, A. T. N. Pires, J. Memb. Sci. 157(1999)219-226)의 과잉 첨가에 의해 무기와 유기상의 상용성이 얻어졌다.
(발명의 간단한 설명)본 발명은 하기 (A) 및 (B)를 포함하는 복합체 막을 제공한다: (A) SO2X, POX2, COX 또는 BX2기(X=F, Cl, Br, 또는 I)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산 할로겐화물, 및 (B) Ti, Zr, Sn, Si, B, 또는 Al의 금속/원소 알콕사이드/에스테르,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금속/원소 알콕사이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및 Ti, Zr, Sn, Si, B, 또는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 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기 또는 원소 유기 화합물.이때, 상기 복합체 막은 쌍극자 비양성자성 또는 에테르 용매 중에 상기 성분(A) 및 성분(B)를 용해시키고, 이어서 박막으로 형성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체 막은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산 할로겐화물은 상기 고분자가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페닐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디페닐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의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아릴 주쇄 폴리머이거나 또는 이들 성분들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코폴리머이다.이때, 상기 복합체 막은, 막 형성 도중 또는 후에 가수분해 또는 졸/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염, 원소 또는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체 막은, 막 고분자의 SO2X, POX2, COX 또는 BX2기(X=F, Cl, Br, 또는 I)는 막 형성 후에 발생하는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SO3Y, PO3Y2, COOY 또는 B(OY)2기(Y=H, 1가 또는 2가의 금속 양이온, 암모늄 이온, 이미다졸륨(imidazolium) 이온, 피라졸륨(pyrazolium) 이온, 또는 피리디늄(pyridinium) 이온)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서 얻어진 막은, 막을 인산으로 후처리하는 경우, 이에 의해 얻어지는 원소 포스페이트, 원소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원소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또한 본원의 상기 복합체 막은 부가적으로 공유 결합으로 가교될 수 있다.본원은 또한 상기 복합체 막을 제조하기 위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상기 기술된 성분(A) 및 성분(B)를 용매 내에서 혼합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N-메틸피롤리딘온(NMP),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술포란(sulfolane),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글림, 디글림, 또는 트리글림으로부터 선택되는 쌍극자 비양성자성 용매 또는 에테르 용매가 사용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지지체 상에 박막으로 주조되고, 용매는 25∼150℃ 온도, 상압 또는 진공하에서 증발되며, 형성된 박막은 후처리되며, 상기 후처리는 하기 단계들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1) 상기 형성된 막을 50∼100℃의 물에 놓는 단계,(2) 상기 형성된 막을 50∼100℃의 1∼100% 미네랄산에 놓는 단계, 및(3) 상기 형성된 막을 1∼50% 염기성 수용액 또는 무수 액체 아민 또는 다른 아민 혼합물에 놓는 단계,이때, 상기 후처리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상기 지지체로는 바람직하게는 유리판, 금속판, 박막지(tissue), 직물, 부직포, 플리스(fleece), 또는 다공질 (고분자)막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미네랄산으로는 할로겐화수소산 (hydrohalic acid), 황산, 또는 인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염기성 수용액은 암모니아 용액, 아민 용액, 수산화나트륨 용액, 수산화칼륨 용액, 탄산나트륨 용액, 수산화칼슘 용액, 또는 수산화바륨 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복합체 막은, 전기 화학적 방법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용도, 광 화학적 방법으로 에너지 또는 물질을 생산하는 용도, 0∼180℃ 온도에서 막 연료 전지(H2 또는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의 구성 성분으로서의 용도, 전기 화학 전지에의 용도, 2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용도, 전해 전지에 사용되는 용도, 또는 막 분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막 분리 공정은 가스 분리(gas separation), 투과증발(pervaporation), 투과추출(perstraction), 역삼투(reverse osmosis), 전기투석(electrodialysis) 또는 확산투석(diffusion dialysis)을 들 수 있다.이하 본원의 발명이 상세히 기술된다.(발명의 상세한 설명)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막 특성을 향상시키는 무기 원소/금속 산화물/수산화물 상을 부가적으로 함유하는 고분자 산할로겐화물의 복합체 막 및 복합체를 제공한다:
· 기계적 안정성,
· 열적 안정성,
· >100℃ 온도 범위에서 막 연료 전지의 적용에 특히 중요한 >100℃ 온도일지라도 향상된 포수(water holding) 능력.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원소/금속 산화물/수산화물의 유기 전구체는 고분자 용액 내로 넣어진다(알콕사이드/에스테르,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
산성, 알칼리성 및/또는 중성의 수성 환경에서 가수분해에 의한 막 형성 후에 아이오노머(ionomer)에 무기상의 형성이 발생하며, 동시에 임의적으로 또는 다른 단계에서 고분자 산할로겐화물기가 산성기로 가수분해될 수도 있다.
놀랍게도 발견된 바와 같이, 1-프로판올, Zr(OCH2CH2CH3)4 중의 70중량%의 지르코늄(Ⅳ) 프로필레이트가 테트라히드로퓨란 중의 PSU 설포클로라이드 용액 중에 넣어지면, 지르코늄(Ⅳ) 프로필레이트는 고분자 용액에서 가수분해하지 않거나, 빈약 가용성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고, 용매의 증발시에 막 매트릭스로 짜넣어진다. 프로판올 중의 지르코늄(Ⅳ) 프로필레이트 용액이 N-메틸피롤리딘온 등의 쌍극자 비양성자성(dipolar aprotic) 용매 중의 PSU 설포클로라이드(또는 PSU 술폰산 또는 PSU 술폰산염) 용액과 혼합하면, 지르코늄(Ⅳ) 프로필레이트는 즉시 가수분해 또는 침전한다.
놀랍게도 발견된 바와 같이, 유기 지르코늄 화합물은 수용성 알칼리 용액(aqueous lye) 및/또는 물 및/또는 산 중에서 막의 연속적인 후처리에 의해, 막 매트릭스 중에 나노 산포된 이산화지르코늄 또는 지르코늄 산화 수산화물(zirconium oxide hydroxide)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무기 지르코늄 화합물은 막 매트릭스 중에서 EDX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Ti(acac)2(OiPr)2 등의 다른 유기 금속 화합물은 고분자 용액에서 가수분해 없이 에테르 용매 중의 PSU 설포클로라이드 용액과 혼합되며, 용매 증발시에 막 매트릭스로 짜넣어질 수 있다.
막 형성 공정 동안 및/또는 수성의 산성, 알칼리성 또는 중성 전해질 중의 막 후처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다음의 복합체가 만들어질 수 있다.
· -SO2X, -POX2, 또는 -COX기(X = F, Cl, Br, 또는 I)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아릴 주쇄 폴리머 백본(backbone)을 함유하는, 적어도 1개의 고분자 산할로겐화물을 가지는 복합체 및,
· 이하의 원소 유기 및/또는 금속 유기 화합물 종류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진 적어도 1개의 염, 원소 산화물 또는 원소 수산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을 가지는 복합체:
- Ti, Zr, Sn, Si, B, Al의 금속/원소 알콕사이드/에스테르,
-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예를 들면 Ti(acac)4, Zr(acac)4,
- 금속/원소 알콕사이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예를 들면 Ti(acac)2(OiPr)2 등,
- Ti, Zr, Sn, Si, B,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
동일 후처리 단계 또는 다른 수성의 산성, 알칼리성 또는 중성 후처리 단계에 의해, 부가적인 나노 분산된 분포 무기상을 가지는 아이오노머(혼합물) 막을 얻기 위해, 산할로겐화물기는 대응 산성기로 임의적으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제조하기 위해, 이하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N-메틸피롤리딘온(NMP),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또는 설포란(sulfolane)과 같은 쌍극자 비양성자성 용매 또는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글림(glyme), 디글림, 트리글림과 같은 에테르 용매.
막 매트릭스에 나노 분산된 분포 무기상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도입되면, 산활로겐화물 폴리머(혼합물) 또는 양성자(proton) 도전 아이오노머(혼합물) 및 아이오노머(혼합물) 막의 특성 프로필이 강하게 변화된다. 양성자 전도성이 증가하나, 팽윤은 보통과 같은 이와 상응한 증가가 일어나지 않는다.
나노 분산된 분포 성분의 함량과 성질에 따라, 막의 선택투과성(permselectivity)은 비이온성 투과 분자에 대해 또한 변화된다(예를 들면, 가스).
인산 중에서 가수분해가 이루어지거나, 가수분해 후에 인산으로 막의 추가적인 후처리가 이루어지면, 금속 또는 원소 포스페이트 또는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또는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가 발생되고, 이것은 양성자 전도성에 기여한다.
(실시예 1)
· 아이오노머 혼합물 막 TH785 제작
반복 단위당 약 1개의 설포클로라이드기를 가지는 PSU 설포클로라이드 0.5g이 THF 3g 중에 용해된다. 이후, 1-프로판올 중의 70중량% 지르코늄(Ⅳ) 프로필레이트의 용액 0.5307g이 첨가된다. 이 용액은 탈기된 후, 페트리 접시(Petri dish)에 주조된다. 이 용매는 상온에서 밤새 증발된다. 이후, 형성된 막은 이하와 같이 후처리된다:
(1) 80℃에서 24시간 10%의 NaOH 중,
(2) 80℃에서 24시간 10%의 황산 중,
(3) 85℃에서 16시간 물 중.
얻어진 특징:
IEC[meq SO3H/g] : 0.77
팽윤[%] : 30.9
Rsp H+(0.5N HCl)[Ω㎝] : 28.9
(실시예 2)
· 아이오노머 혼합물 막 TH782 제작
반복 단위당 약 1개의 설포클로라이드기를 가지는 PSU 설포클로라이드 0.5g이 THF 2.5g 중에 용해된다. 이후, 2-프로판올 중의 75중량% 티타늄(Ⅳ) 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토디이소프로필레이트(titanium(Ⅳ) bis(acetylacetonato) diisopropylate)의 용액 0.8817g이 첨가된다. 상기 용액은 탈기된 후, 페트리 접시에 주조된다. 이 용매는 상온에서 밤새 증발된다. 이후, 형성된 막은 이하와 같이 후처리된다:
(1) 80℃에서 24시간 10%의 NaOH 중,
(2) 80℃에서 24시간 10%의 황산 중,
(3) 85℃에서 16시간 물 중.
얻어진 특징:
IEC[meq SO3H/g] : 0.81
팽윤[%] : 39.4
Rsp H+(0.5N HCl)[Ω㎝] : 12
본 발명에 따른 이 새로운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아이오노머(혼합물) 막 및 이들 제조 방법은 본인이 아는 한 본인과 타인의 어느 문헌에도 설명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새로운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막은 뛰어난 특성 프로필을 나타낸다:
· 뛰어난 양성자 전도성,
· 뛰어난 열적 안정성,
· 뛰어난 기계적 안정성,
· 제한된 팽윤.
막 매트리스 중의 무기 산화물/수산화물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소의 막은, 특히 T>80℃에서, 향상된 포수 능력을 나타낸다. 이것은 막 중의 무기 성분의 나노 분산이 숨은 이유로 추정된다. 산화물 분말의 아이오노머 막 중에 혼합에 의해서는, 기존의 몇 발표(Comparison of Ethanol and Methanol Oxidation in a Liquid-Feed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t High Temperature, A. S. Arico, P. Creti, P. L. Antonucci, V. Antonncci, Electrochem. Sol. St. Lett. 182, 66-68(1998))에 제안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같은 막 매트리스 중의 무기 성분의 이러한 미세 분포에 도달될 수 없으며, 원소 유기/금속 유기 화합물은 단지 막 매트릭스 중에서 산화물 또는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로 가수분해된다. 구체적인 조성물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막은 더욱 이점을 나타낸다:
· 감소된 메탄올 투과성,
· 특히 T>80℃에서, 양성자(proton) 전도성에 대한 기여,
· 전하 및 비전하 입자 양쪽의 변화된 선택투과도,
· 막이 광화학적으로 활성임(특히 나노 분산된 이산화티타늄을 가지는 막),
· 특수 조성물(이산화티타늄 함유)이 광루미네슨스(photoluminescence)를 나타냄.

Claims (22)

  1. (A) SO2X, POX2, COX 또는 BX2기(X=F, Cl, Br, 또는 I)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산 할로겐화물, 및
    (B) Ti, Zr, Sn, Si, B, 또는 Al의 금속/원소 알콕사이드/에스테르,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금속/원소 알콕사이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및
    Ti, Zr, Sn, Si, B, 또는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
    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기 또는 원소 유기 화합물,
    을 포함하는 복합체 막으로서,
    상기 복합체 막은 쌍극자 비양성자성 또는 에테르 용매 중에 상기 성분(A) 및 성분(B)를 용해시키고, 이어서 박막으로 형성하고, 상기 용매를 증발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산 할로겐화물은 상기 고분자가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페닐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디페닐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의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아릴 주쇄 폴리머이거나, 또는 이들 성분들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막.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막 형성 도중 또는 후에, 가수분해 또는 졸/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염, 원소 또는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막.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막 고분자의 SO2X, POX2, COX 또는 BX2기(X=F, Cl, Br, 또는 I)는 막 형성 후에 발생하는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SO3Y, PO3Y2, COOY 또는 B(OY)2기(Y=H, 1가 또는 2가의 금속 양이온, 암모늄 이온, 이미다졸륨(imidazolium) 이온, 피라졸륨(pyrazolium) 이온, 또는 피리디늄(pyridinium) 이온)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막.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라 얻어진 막을 인산으로 후처리하여 얻어지는 원소 포스페이트, 원소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원소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막.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 막이 부가적으로 공유 결합으로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막.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복합체 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성분(A) 및 성분(B)를 용매 내에서 혼합함으로써, 상기 복합체 막의 제조에 사용되기 위한 고분자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N-메틸피롤리딘온(NMP),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술포란(sulfolane),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글림, 디글림, 또는 트리글림으로부터 선택되는 쌍극자 비양성자성 용매 또는 에테르 용매인 것인 방법.
  9. 쌍극자 비양성자성 또는 에테르 용매 중의, 성분 (A) 및 성분 (B)의 용액으로서,
    이때, 상기 성분 (A)는 SO2X, POX2, COX 또는 BX2기(X=F, Cl, Br, 또는 I)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산 할로겐화물이고,
    상기 성분 (B)는:
    Ti, Zr, Sn, Si, B, 또는 Al의 금속/원소 알콕사이드/에스테르,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금속/원소 알콕사이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및
    Ti, Zr, Sn, Si, B, 또는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
    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기 또는 원소 유기 화합물이고,
    상기 용액은 복합체 막의 제조용인 것인 용액.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청구항 7의 상기 고분자 용액은 지지체 상에 박막으로 주조되고, 용매는 25∼150℃ 온도, 상압 또는 진공하에서 증발되며, 형성된 박막은 후처리되며, 상기 후처리는 하기 단계들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1) 상기 형성된 막을 50∼100℃의 물에 놓는 단계,
    (2) 상기 형성된 막을 50∼100℃의 1∼100% 미네랄산에 놓는 단계, 및
    (3) 상기 형성된 막을 1∼50% 염기성 수용액 또는 무수 액체 아민 또는 다른 아민 혼합물에 놓는 단계,
    상기 후처리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유리판, 금속판, 박막지(tissue), 직물, 부직포, 플리스(fleece), 또는 다공질 (고분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산은 할로겐화수소산 (hydrohalic acid), 황산, 또는 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수용액은 암모니아 용액, 아민 용액, 수산화나트륨 용액, 수산화칼륨 용액, 탄산나트륨 용액, 수산화칼슘 용액, 또는 수산화바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청구항 10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복합체 막.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기 화학적 방법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복합체 막.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광 화학적 방법으로 에너지 또는 물질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복합체 막.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0∼180℃ 온도에서 막 연료 전지(H2 또는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인 복합체 막.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기 화학 전지에 사용되는 것인 복합체 막.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2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것인 복합체 막.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해 전지에 사용되는 것인 복합체 막.
  2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막 분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인 복합체 막.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막 분리 공정은 가스 분리(gas separation), 투과증발(pervaporation), 투과추출(perstraction), 역삼투(reverse osmosis), 전기투석(electrodialysis) 또는 확산투석(diffusion dialysis)인 것인 복합체 막.
KR1020027014746A 2000-05-02 2001-05-02 유기-무기 막 KR100915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1104A DE10021104A1 (de) 2000-05-02 2000-05-02 Organisch-anorganische Membranen
DE10021104.6 2000-05-02
PCT/EP2001/004907 WO2001083092A1 (de) 2000-05-02 2001-05-02 Organisch-anorganische membra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233A KR20030015233A (ko) 2003-02-20
KR100915021B1 true KR100915021B1 (ko) 2009-09-02

Family

ID=764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746A KR100915021B1 (ko) 2000-05-02 2001-05-02 유기-무기 막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40101760A1 (ko)
EP (2) EP2047899A1 (ko)
JP (1) JP5037773B2 (ko)
KR (1) KR100915021B1 (ko)
CN (1) CN1427739B (ko)
AT (1) ATE372165T1 (ko)
AU (1) AU2001256331A1 (ko)
BR (1) BRPI0110562B1 (ko)
CA (1) CA2407509C (ko)
DE (2) DE10021104A1 (ko)
WO (1) WO2001083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1822B2 (ja) * 2001-02-07 2012-04-0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イオン交換樹脂膜の製造方法
DE112004000920B8 (de) 2003-05-28 2019-05-29 Toyota Technical Center Usa, Inc. Protonenleitende Membran enthaltend ein Copolymerisationsprodukt aus mindestens einem ersten Silan und einem zweiten Silan und deren Verwendung, sowie Silanverbind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183370B2 (en) 2003-09-11 2007-02-27 Toyota Technical Center Usa, Inc Phosphonic-acid grafted hybrid inorganic-organic proton electrolyte membranes (PEMs)
US7071271B2 (en) 2003-10-30 2006-07-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que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functionalized fluoromonomers
US7259208B2 (en) 2003-11-13 2007-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inforc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7074841B2 (en) 2003-11-13 2006-07-11 Yandrasits Michael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crosslinked by nitrile trimerization
US7265162B2 (en) 2003-11-13 2007-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romine, chlorine or iodine functional polymer electrolytes crosslinked by e-beam
US7179847B2 (en) 2003-11-13 2007-02-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 electrolytes crosslinked by e-beam
US7060756B2 (en) 2003-11-24 2006-06-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 electrolyte with aromatic sulfone crosslinking
US7112614B2 (en) 2003-12-08 2006-09-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rosslinked polymer
US7060738B2 (en) 2003-12-11 2006-06-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 electrolytes crosslinked by ultraviolet radiation
US7173067B2 (en) 2003-12-17 2007-0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crosslinked by direct fluorination
US7576165B2 (en) 2004-01-27 2009-08-18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Heterocycle grafted monomers and related polymers and hybrid inorganic-organic polymer membranes
JP4351557B2 (ja) * 2004-03-03 2009-10-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プロトン伝導体
US7811693B2 (en) * 2004-05-13 2010-10-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facturing North America, Inc. Proton exchange membranes (PEM) based on hybrid inorganic-organic copolymers with grafted phosphoric acid groups and implanted metal cations
WO2007139147A1 (ja) * 2006-05-31 2007-12-06 University Of Yamanashi イオン伝導性高分子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このイオン伝導性高分子組成物を含む膜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
US8048487B2 (en) * 2006-11-15 2011-11-01 Aculon, Inc. Organometallic films, methods for applying organometallic films to substrates and substrates coated with such films
WO2008072378A1 (ja) * 2006-12-13 2008-06-19 Fujifilm Corporation 合成高分子表面の生体高分子によるコーティング方法
KR100954861B1 (ko) * 2007-12-12 2010-04-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용 유기-무기 복합체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의수소이온전도도 향상을 위한 제조 방법
WO2010113656A1 (ja) * 2009-03-31 2010-10-07 東レ株式会社 複合半透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122560A1 (ja) * 2010-03-30 2011-10-06 東レ株式会社 複合半透膜
CN102210985B (zh) * 2010-04-06 2013-05-01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有机-无机杂化荷正电分离膜
US8829060B2 (en) 2011-03-01 2014-09-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ulfonated poly(aryl ether) membrane including blend with phenol compound
US8752714B2 (en) 2011-03-01 2014-06-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ulfonated poly (aryl ether) membrane including blend with phenyl amine compound
WO2013142141A1 (en) * 2012-03-22 2013-09-26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olyethersulfone filtration membrane
KR101936924B1 (ko) 2012-12-06 201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US9724651B2 (en) 2015-07-14 2017-08-08 Lg Nanoh2O, Inc. Chemical additives for water flux enhancement
CN108246111B (zh) * 2018-01-22 2020-11-20 江苏理工学院 一种沸石咪唑酯骨架/聚偏氟乙烯杂化膜的制备方法
WO2021111453A1 (en) * 2019-12-05 2021-06-10 B.G. Negev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Ltd., At Ben-Gurion University Cation-exchange membrane with improved monovalent selectivity, manufacturing and uses thereof in electrodialysis
US11830977B2 (en) 2021-02-25 2023-1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reduce interfacial resistance of hybrid solid-state electrolytes for secondary energy storage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099A (en) * 1986-03-10 1989-09-12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Membra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0398A (en) * 1946-03-15 1953-03-03 Du Pont Process of bonding a layer of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to fabric
US2416060A (en) * 1946-07-06 1947-02-18 Du Pont Curing substituted monoolefin hydrocarbon polymers with polyvalent metal salts
US2752316A (en) * 1954-09-02 1956-06-26 Standard Oil Co Asphalt compositions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US2978401A (en) * 1956-04-16 1961-04-04 Hooker Chemical Corp Elastomeric permselective membranes
US2914496A (en) * 1957-12-04 1959-11-24 Du Pont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composition
US2963382A (en) * 1957-12-23 1960-12-06 Switzer Brothers Inc Elastic compositions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4508852A (en) * 1983-09-22 1985-04-02 Albany International Corp. Compositions and method of preparation by chlorosulfonation of difficultly sulfonatable poly(ether sulfone)
US4775567A (en) * 1986-10-24 1988-10-04 Hyload Corporation Waterproofing laminate
CN1031785C (zh) * 1988-12-24 1996-05-15 西北大学 聚砜-钛微孔体复合超滤膜的制备方法
USH982H (en) * 1989-12-20 1991-11-05 Method for preparing polymeric membranes in-situ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is process
DE4219218A1 (de) * 1992-06-12 1994-01-13 Gambro Dialysatoren Membra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5389433A (en) * 1993-04-01 1995-02-14 W. R. Grace & Co.-Conn. Battery separator
US5389463A (en) * 1993-04-01 1995-02-14 W. R. Grace & Co.-Conn. Battery separator
US6090895A (en) * 1998-05-22 2000-07-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rosslinked ion conductive membranes
JP4457462B2 (ja) * 2000-04-19 2010-04-28 株式会社カネカ プロトン伝導膜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燃料電池
DE10021106A1 (de) * 2000-05-02 2001-11-08 Univ Stuttgart Polymere Membran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099A (en) * 1986-03-10 1989-09-12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Memb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87732B2 (en) 2008-06-17
ATE372165T1 (de) 2007-09-15
US20040101760A1 (en) 2004-05-27
US20060096913A1 (en) 2006-05-11
BRPI0110562B1 (pt) 2015-09-01
EP1278590A1 (de) 2003-01-29
WO2001083092A1 (de) 2001-11-08
CA2407509A1 (en) 2001-11-08
CA2407509C (en) 2012-02-21
JP5037773B2 (ja) 2012-10-03
CN1427739A (zh) 2003-07-02
JP2004501229A (ja) 2004-01-15
EP2047899A1 (de) 2009-04-15
DE10021104A1 (de) 2001-11-08
KR20030015233A (ko) 2003-02-20
EP1278590B1 (de) 2007-09-05
CN1427739B (zh) 2010-05-26
DE50112963D1 (de) 2007-10-18
AU2001256331A1 (en) 2001-11-12
BR0110562A (pt) 200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021B1 (ko) 유기-무기 막
KR100845295B1 (ko) 폴리머 막
CA2479314C (en) An innovativ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roton conducting nanopolymeric membranes for use in fuel cells or in catalytic membrane reactors
JP2004501229A5 (ko)
JP2004515896A (ja) ヒドロキシシリル酸を基礎とするカチオン伝導性/プロトン伝導性セラミック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膜の使用
JP2003532756A5 (ko)
US20060182942A1 (en) Conductive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comprising a mesoporous phase, membrane, electrode and fuel cell
CN112996847A (zh) 具有阳离子或阴离子传导能力的电解质膜的制造
KR20120007153A (ko) 유무기 복합 이온교환막의 제조
Colicchio Silica-based nanocomposite membranes via the sol gel process of polyethoxysiloxane within a sulfonated poly (ether-ether-ketone) matrix: morphology and proton mobility
Tang et al. High-Temperature Inorganic Proton Conductor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