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736B1 - 돌망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돌망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736B1
KR100913736B1 KR1020090043114A KR20090043114A KR100913736B1 KR 100913736 B1 KR100913736 B1 KR 100913736B1 KR 1020090043114 A KR1020090043114 A KR 1020090043114A KR 20090043114 A KR20090043114 A KR 20090043114A KR 100913736 B1 KR100913736 B1 KR 100913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wire
gabion
boundary network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헌
Original Assignee
동서철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철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서철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8Baskets or like containers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망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형의 철선을 규칙적이게 연속된 파 형상의 구부려 파형 철선을 가공하는 파형 철선 가공 단계; 상기 파형 철선을 인접된 것끼리 격자 형상으로 엮어 미리 결정된 면적의 철망으로 가공하는 철망 가공 단계; 상기 철망의 노출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구부려 마감 처리하는 마감 처리 단계; 마감 처리된 상기 철망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상기 철망에 다수의 가로봉을 끼워 조립하는 가로봉 조립 단계; 상기 가로봉의 조립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세로봉을 상기 철망에 끼워 조립하는 세로봉 조립 단계; 상기 철망과 별도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 경계망과 적어도 하나의 끝단 경계망을 와이어(wire)를 이용하여 상기 철망에 조립하는 경계망 조립 단계; 및 상기 철망의 일측 영역을 나머지 영역인 바닥면에 대해 세워 측면을 형성하고, 기 조립된 상기 중앙 경계망과 상기 끝단 경계망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세운 후, 상기 측면과 상기 중앙 경계망과 상기 끝단 경계망을 상호간 고정시켜 돌망태를 조립하는 돌망태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돌망태의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여 물류비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방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효율 및 수율 향상을 통해 전반적으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돌망태, 망태, 제조, 제조방법

Description

돌망태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attress type gabion}
본 발명은, 돌망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돌망태의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여 물류비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방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효율 및 수율 향상을 통해 전반적으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망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돌망태는 가로/세로로 결합하여 대략 1 미터(m) 간격마다 칸막이를 설치하고, 채움 돌을 채운 후 두루마리 형태로 된 덮개를 덮은 다음 돌망태의 테두리 철선과 두루마리 형태의 덮개를 스파이럴로 연결시켜 사용한다.
이러한 돌망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돌망태는, 조립된 상태가 직육면체로 된 몸체(110)와, 몸체(110)를 덮어 몸체(110)와 결합되는 덮개(1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돌망태를 하천의 제방이나 콘크리트 옹벽, 석축, 호안 블록 등의 구조물에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돌망을 서로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돌망태는, 그 무게가 무겁고, 많은 철선을 필요로 하 기 때문에 제조에도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결합하는 경우 결합되는 면이 이중으로 겹치게 되어 불필요한 물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돌망태는 그 망목이 일정하기 때문에 망목을 성글게 하는 경우 채움 돌이 유수(流水)에 휩쓸려 유실되어 제방이 무너질 염려가 있었으며, 망목이 조밀한 경우에는 채움 돌의 유실은 방지할 수 있지만, 돌망태에 많은 철선이 소요되므로 제품의 단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시공 현장으로의 운송비의 증가 및 물자낭비라는 문제를 유발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돌망태에서는, 체계적이지 못한 방법으로, 또한 단순 수작업에 의존하여 돌망태를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효율 및 수율이 감소되어 전반적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에, 본 출원인은, 돌망태의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여 물류비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방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효율 및 수율 향상을 통해 전반적으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망태 제조방법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돌망태의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여 물류비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방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효율 및 수 율 향상을 통해 전반적으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망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직선형의 철선을 규칙적이게 연속된 파 형상의 구부려 파형 철선을 가공하는 파형 철선 가공 단계; 상기 파형 철선을 인접된 것끼리 격자 형상으로 엮어 미리 결정된 면적의 철망으로 가공하는 철망 가공 단계; 상기 철망의 노출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구부려 마감 처리하는 마감 처리 단계; 마감 처리된 상기 철망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상기 철망에 다수의 가로봉을 끼워 조립하는 가로봉 조립 단계; 상기 가로봉의 조립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세로봉을 상기 철망에 끼워 조립하는 세로봉 조립 단계; 상기 철망과 별도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 경계망과 적어도 하나의 끝단 경계망을 와이어(wire)를 이용하여 상기 철망에 조립하는 경계망 조립 단계; 및 상기 철망의 일측 영역을 나머지 영역인 바닥면에 대해 세워 측면을 형성하고, 기 조립된 상기 중앙 경계망과 상기 끝단 경계망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세운 후, 상기 측면과 상기 중앙 경계망과 상기 끝단 경계망을 상호간 고정시켜 돌망태를 조립하는 돌망태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봉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측면이 접혀지는 경계선 형성을 위하여 상호 분할되고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봉과 제2 봉으로 나뉘어 상기 철망에 각각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중앙 경계망과 상기 끝단 경계망은 하나이며, 상기 돌망태 조립 단계 시 상기 돌망태는 측면 두 곳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중앙 경계망은 상기 철망 및 상기 끝단 경계망과 상이한 재질 및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망태의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여 물류비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방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효율 및 수율 향상을 통해 전반적으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제조방법의 플로차트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돌망태의 사용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제조방법은, 파형 철선 가공 단계(S11), 철망 가공 단계(S12), 마감 처리 단계(S13), 가로봉 조립 단계(S14), 세로봉 조립 단계(S15), 경계망 조립 단계(S16) 및 돌망태 조립 단계(S17)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망태 제조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형 철선 가공 단계(S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의 철선(미도 시)을 규칙적이게 연속된 파 형상의 구부려 파형 철선(10)을 가공하는 단계이다.
파형 철선(10)의 재료는 일반 아연도금철선일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고장력강인 고장력 아연철선을 사용하고 있다. 즉 2.6 ~3 ㎜의 직경을 갖는 고장력 아연철선을 일정한 단위 길이로 절단하면서 파 형상(또는 스크루, 꽈배기 형상)으로 구부려(꼬고, 비틀고), 파 형상의 파형 철선(10)을 가공하고 있다.
이처럼 고장력 아연철선을 사용하게 되면, 일반 아연도금철선에 비해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운반성 및 취급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그 제조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우수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끊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철망 가공 단계(S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철선 가공 단계(S11)에 만들어진 다수의 파형 철선(10)을 인접된 것끼리 격자 형상으로 엮어 미리 결정된 면적의 철망(20)으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철망(20)의 면적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대략 가로/세로의 길이가 대략 2 m 정도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망목은 대략 7.5㎝로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망목이 작아지면 사이즈가 작은 돌을 담기에 용이할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인장강도는 일반 아연도금철선보다 높은 1800 N/㎟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만약에 망목을 기존의 돌망태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조 비용, 다시 말해 생산 원가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우수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끊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감 처리 단계(S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20)의 노출 단부를 고리 형상(30)으로 구부려 마감 처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고리 형상(30)이란 완전한 링(ring)의 형상이어도 좋고 아니면 돼지 꼬리와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고리 형상(30)을 형성하게 되면, 뾰족한 철망(20)의 노출 단부로 인해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면서도, 후술할 가로봉(40) 또는 세로봉(50)의 조립 시 이곳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이를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로봉 조립 단계(S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단부가 고리 형상(30)으로 마감 처리된 철망(21)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철(21)망에 다수의 가로봉(40)을 끼워 조립하는 단계이다.
가로봉(40)은 철망(21)의 면적에 따라 양측 단부의 2개로부터 그 이상의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좀 더 많은 수의 가로봉(40)이 사용되면 강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를 미리 살펴보면, 노출 단부가 고리 형상(30)으로 마감 처리된 철망(21)은, 추후에 바닥면(21a)에 대해 측면(21b)이 접혀진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바닥면(21a)에 대한 측면(21b)의 절곡 형성이 용이해지도록 가로봉(40)은 하나의 일체형이 아닌 분할된 것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 가로봉(40)은 바닥면(21a)에 대하여 측면(21b)이 접혀지는 경계선(미도시, 도 8 및 도 9 참조) 형성을 위하여 상호 분할되고 길이가 서로 다른 제 1 봉과 제2 봉(40a,40b)으로 나뉘어 철망(21)에 각각 조립된다. 바닥면(21a)이 측면(21b)에 비해 넓기 때문에 제1 봉(40a)이 제2 봉(40b)에 비해 긴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즉 바닥면(21a)이 형성될 철망(미도시)과 측면(21b)이 형성될 철망을 각기 별도로 제작한 후, 이들을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세로봉 조립 단계(S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봉(40)의 조립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세로봉(50)을 철망(21)에 끼워 조립하는 단계이다.
세로봉(50)의 개수 역시 철망(21)의 면적에 비례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참고로, 가로봉(40) 및 세로봉(50)은 직선형 철선 와이어(wire)일 수 있는데, 가로봉(40) 및 세로봉(50)의 조립 시 가로봉(40) 및 세로봉(50)은 별도의 와이어(wire)나 클립(clip)에 의해 철망(21)에 고정될 수 있고, 도 6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봉(40) 및 세로봉(50)의 끝단을 구부려 인접된 곳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와이어나 클립을 사용하여 곳곳을 고정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도면의 편의를 위해 와이어나 클립의 구조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경계망 조립 단계(S1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봉(40) 및 세로봉(50)이 조립된 철망(21)에 중앙 경계망(61)과 끝단 경계망(62)을 조립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 경계망(61)과 끝단 경계망(62)은 하나씩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최종 조립 상태인 도 9를 참조하면 돌망태(70)는 측면 두 곳이 개방되는 형태가 된다. 하지만, 끝단 경계망(62)을 서로 다른 위치에 두 개 사용하면 돌망태(미도시)는 측면 한 곳만이 개방되는 형태가 될 것이다.
중앙 경계망(61)은 철망(21)에서 대략 1 미터(m)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중앙 경계망(61)은 철망(21) 및 끝단 경계망(62)과 상이한 재질 및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앙 경계망(61)은 돌망태(70)의 안쪽에 들어가는 부분이기 때문에 굳이 비싼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또한 망목 역시 촘촘하게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므로 중앙 경계망(61) 역시 철망(21) 및 끝단 경계망(62)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중앙 경계망(61)과 끝단 경계망(62)은 철망(21)과는 별도의 장소에서 별도로 제작된 후에 철망(21)에 조립되는데, 중앙 경계망(61)과 끝단 경계망(62) 중에서 어떠한 것이 먼저 철망(21)에 조립되더라도 무방하다.
돌망태 조립 단계(S1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21)의 일측 영역을 나머지 영역인 바닥면(21a)에 대해 세워 측면(21b)을 형성하고, 기 조립된 중앙 경계망(61)과 끝단 경계망(62)을 바닥면(21a)에 대해 세운 후, 측면(21b)과 중앙 경계망(61)과 끝단 경계망(62)을 상호간 와이어나 클립으로 고정시켜 돌망태(7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방법대로 돌망태(70)를 조립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상면을 제외한 측면 두 곳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러면, 이러한 돌망태(70)를 하천의 제방이나 콘크리트 옹벽, 석축, 호안 블록 등의 구조물에 이용하면 되는데, 돌망태(70)의 사이즈(size)가 작다면 도 10과 같이 돌망태(70)들을 측방향으로 연결시켜(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돌망태(70)들을 연결시킬 때 역시 와이어나 클립이 사용될 수 있다.
돌망태(70)들을 결합시킨 후에는, 두루마리 형태로 된 덮개(80)를 덮은 다음에 돌망태(70)들의 테두리 철선과 덮개(80)를 스파이럴로 연결시켜 사용하면 된다.
참고로, 돌망태(70)들을 연결은 도 10의 형태가 일반적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도 11의 형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망태(70)의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여 물류비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공장에서 철망(21), 가로봉(40), 세로봉(50), 덮개(80) 등을 만들어 이들을 펼친 상태로 현장으로 공급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시의 부피를 줄여 물류비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 면적에 따라 얼마든지 돌망태(70)들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엇보다도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방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효율 및 수율 향상을 통해 전반적으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효과는 기존 기술의 돌망태 제조방법을 통해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돌망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제조방법의 플로차트,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돌망태의 사용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형 철선 20,21 : 철망
21a : 바닥면 21b : 측면
30 : 고리 형상 40 : 가로봉
50 : 세로봉 61 : 중앙 경계망
62 : 끝단 경계망 70 : 돌망태
80 : 덮개

Claims (4)

  1. 직선형의 철선을 규칙적이게 연속된 파 형상의 구부려 파형 철선을 가공하는 파형 철선 가공 단계;
    상기 파형 철선을 인접된 것끼리 격자 형상으로 엮어 미리 결정된 면적의 철망으로 가공하는 철망 가공 단계;
    상기 철망의 노출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구부려 마감 처리하는 마감 처리 단계;
    마감 처리된 상기 철망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상기 철망에 다수의 가로봉을 끼워 조립하되, 상기 가로봉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측면이 접혀지는 경계선 형성을 위하여 상호 분할되고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봉과 제2 봉으로 나뉘어 상기 철망에 각각 조립되는 가로봉 조립 단계;
    상기 가로봉의 조립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세로봉을 상기 철망에 끼워 조립하는 세로봉 조립 단계;
    상기 철망과 별도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 경계망과 적어도 하나의 끝단 경계망을 와이어(wire)를 이용하여 상기 철망에 조립하는 경계망 조립 단계; 및
    상기 철망의 일측 영역을 나머지 영역인 바닥면에 대해 세워 측면을 형성하고, 기 조립된 상기 중앙 경계망과 상기 끝단 경계망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세운 후, 상기 측면과 상기 중앙 경계망과 상기 끝단 경계망을 상호간 고정시켜 돌망태를 조립하는 돌망태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경계망과 상기 끝단 경계망은 각각 하나이며, 상기 돌망태 조립 단계 시 상기 돌망태는 측면 두 곳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경계망은 상기 철망 및 상기 끝단 경계망과 상이한 재질 및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처리 단계에서 고리 형상은 완전한 링(ring) 또는 돼지 꼬리의 형상으로서, 상기 가로봉 또는 세로봉 조립 시에 이곳에 끼워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제조방법.
KR1020090043114A 2009-05-18 2009-05-18 돌망태 제조방법 KR100913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114A KR100913736B1 (ko) 2009-05-18 2009-05-18 돌망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114A KR100913736B1 (ko) 2009-05-18 2009-05-18 돌망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736B1 true KR100913736B1 (ko) 2009-08-24

Family

ID=4121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114A KR100913736B1 (ko) 2009-05-18 2009-05-18 돌망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7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182A (ja) 2002-07-25 2004-02-26 Japan Fine Steel Co Ltd ふとん籠セットおよびこのふとん籠セットを用いたふとん籠
KR100614927B1 (ko) 2004-11-17 2006-08-25 길인환 제방 축조용 돌망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182A (ja) 2002-07-25 2004-02-26 Japan Fine Steel Co Ltd ふとん籠セットおよびこのふとん籠セットを用いたふとん籠
KR100614927B1 (ko) 2004-11-17 2006-08-25 길인환 제방 축조용 돌망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0817U (ja) 型枠取り外し不要の建築構造
JP6633362B2 (ja) 鉄骨コンクリート架構の補強構造
DE202007016495U1 (de) Wand mit Tafeln und Pfosten
JP2007056572A (ja) 防護柵
KR100913736B1 (ko) 돌망태 제조방법
JP4368327B2 (ja) 籠体、籠体の結合構造及び版状部材の配筋方法
TW201420848A (zh) 鋼筋混凝土牆版之鋼筋結構及其工法
KR20110000311A (ko) 개비온 블록의 단위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개비온 블록 및 매트리스 개비온의 제조방법
CN102418400A (zh) 一种先张法预应力钢筋砼预制梁
JP6721185B2 (ja) 布団篭の本体パネル、布団篭、および土木構造物
KR101366486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6037507A (ja) 石詰籠および仕切パネル
RU182161U1 (ru)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й каркас поперечного армирования дл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KR100647559B1 (ko) 현장조립형 친환경재료 벽체구축방법
RU2530074C1 (ru) Арматурный каркас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U2002109537A (ru) Стеновая армир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ее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16118047A (ja) 床スラブ用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床スラブ
EP2065542A1 (en) Assemblable elements for realising metal fences
KR101052731B1 (ko)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RU40343U1 (ru) Стен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JP3213023U (ja) 地中梁用配筋構造
RU2237139C1 (ru) Несъемная опалубка
JP4474920B2 (ja) 人工地盤用壁体及びそれを用いた緑化設備
JP3850801B2 (ja) 螺旋網の立体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66298A (ko) 수직 기둥구조체를 이용한 개비온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