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927B1 - 제방 축조용 돌망태 - Google Patents

제방 축조용 돌망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927B1
KR100614927B1 KR1020040094245A KR20040094245A KR100614927B1 KR 100614927 B1 KR100614927 B1 KR 100614927B1 KR 1020040094245 A KR1020040094245 A KR 1020040094245A KR 20040094245 A KR20040094245 A KR 20040094245A KR 100614927 B1 KR100614927 B1 KR 100614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upled
outer frame
corners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799A (ko
Inventor
길인환
Original Assignee
길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인환 filed Critical 길인환
Priority to KR102004009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9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측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어주는 덮개로 구성되어 내부에 돌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채워서 둑 또는 제방 축조용으로 사용되는 돌망태에 있어서, 원하는 높이로 양측을 상향으로 접었을 때 측판의 형성이 가능하며 부피가 최소화 되도록 겹겹이 절첩 가능한 능형 망목이 형성되도록 와이어를 교차로 엮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후 끝단에는 전, 후판의 외곽 프레임과 체결되는 꼬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양측 끝단의 각 망목 모서리 및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부위의 각 망목 모서리에 원하는 높이의 측판이 형성될 수 있도록 끼움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전후로 결합되며 다수의 능형 망목이 형성되도록 와이어를 교차로 엮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곽 둘레에 결합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결합된 프레임의 끝단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외곽 프레임의 네 귀퉁이에 형성되는 홀더로 구성되는 전, 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본체 내부에는 제방의 길이에 따라 중간 칸막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전, 후판 또는 본체와 덮개의 결합부위에는 나선형 와이어가 끼움결합되어 각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돌망태, 제방, 축조, 토사, 유출

Description

제방 축조용 돌망태{Rock net for making the bank}
도 1은 종래의 돌망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절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와이어의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돌망태 20:덮개 30:본체
31:측판 32:꼬임부 33:밑판
40:프레임 50:전판 51:후판
52:홀더 53:외곽프레임 60:망목
70:나선형 와이어 80:중간 칸막이
본 발명은 제방 축조용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가 최소한으로 줄어져 운반이 간편하고, 현장의 여건에 따라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현장에 바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방 축조용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망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의 전, 후판(50,51) 및 측판(31)으로 구성되며 상면이 개구된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주는 덮개(20)로 구성되며, 상기 전, 후판 및 측판을 구성하는 철망은 소정의 굵기를 갖는 와이어를 육각 또는 마름모의 망목(網目)이 형성되도록 교차시켜 제작되며, 돌망태는 주로 내부에 돌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채워서 둑 또는 제방 축조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돌망태는 운반시 전후 및 측판, 저면판이 모두 결합된 결합상태의 본체로 운반되기 때문에 돌망태의 부피가 매우 커져 차량에 여러 번 나누어 운반해야 되므로 운송비가 많이 들며 많은 양의 돌망태를 한꺼번에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부피가 너무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설치장소로 운반하기가 번거로워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가 최소한으로 줄어져 운반이 간편하고 현장에 바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방 축조용 돌망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측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어주는 덮개로 구성되어 내부에 돌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채워서 둑 또는 제방 축조용으로 사용되는 돌망태에 있어서, 원하는 높이로 양측을 상향으로 접었을 때 측판의 형성이 가능하며 부피가 최소화 되도록 겹겹이 절첩 가능한 능형 망목이 형성되도록 와이어를 교차로 엮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후 끝단에는 전, 후판의 외곽 프레임과 체결되는 꼬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양측 끝단의 각 망목 모서리 및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부위의 각 망목 모서리에 원하는 높이의 측판이 형성될 수 있도록 끼움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전후로 결합되며 다수의 능형 망목이 형성되도록 와이어를 교차로 엮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곽 둘레에 결합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결합된 프레임의 끝단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외곽 프레임의 네 귀퉁이에 형성되는 홀더로 구성되는 전, 후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제방의 길이에 따라 중간 칸막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전, 후판 또는 본체와 덮개의 결합부위에는 나선형 와이어가 끼움결합되어 각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절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와이어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망태(10)는 돌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이 수납되며 전후에 꼬임부(32)가 형성되고 수 개의 프레임(40)이 끼움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전후로 결합되는 전, 후판(50,51)과, 상기 본체(30)의 상부측을 덮어주는 덮개(2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는 양측의 일정부위를 접어서 세웠을 때 측판(31) 및 밑판(33)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면이 다수의 능형(菱形) 망목(60)이 형성되도록 와이어를 교차되게 엮어서 형성되며 전후 끝단부에는 꼬임부(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30) 전면이 다수의 능형(菱形) 망목(60)으로 형성될 경우 망목(60)이 고리와 같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망목(60)과 망목(60) 사이를 겹겹이 절첩하여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꼬임부(32)는 본체(30)의 전후로 형성되며 와이어의 끝단 부위를 여러 번 비틀어 꼬아서 형성되어지는 부위로서, 이 꼬임부(32)는 전, 후판(50,51)과의 조립시 외곽 프레임(53)에 견고히 체결되어 전, 후판(50,51)과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40)은 일반적인 굵은 철선으로서, 프레임(40)의 끼움 부위는 본체(30) 양측의 일정부위를 접었을 때 측판(31)의 형태를 갖출 수 있도록 본체(30)의 양측 끝단과 본체(30)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부위에 끼움결합 된다.
즉, 본체(30)에 결합되는 프레임(40)은 총 4개로, 2개는 본체(30)의 양측 끝단부 각 망목(60)의 모서리를 통과하도록 끼움결합되며, 나머지 2개는 본체(30)의 양측 끝단부로부터 원하는 높이 즉, 측판(31)을 형성하기 위해 접혀지는 부위의 각 망목(60) 모서리를 통과하도록 끼움결합 된다.
이때, 본체(30)에 끼움되는 프레임(40)의 길이는 프레임(40)의 양측 끝단이 전, 후판(50,51)의 네 귀퉁이에 형성된 홀더(52)와 체결이 용이하도록 본체(30)의 길이 보다는 조금 길게 형성하여 본체(30)와의 결합시 본체(30)의 전후 끝단으로부터 프레임(40)의 끝단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 후판(50,51)은 본체(30)와 같이 전면이 다수의 능형(菱形) 망목 (60)이 형성되도록 와이어를 교차되게 엮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곽에는 외곽 프레임(53)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53) 네 귀퉁이에는 홀더(52)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52)는 돌망태(10)의 조립시 본체(30)에 결합된 모서리 프레임(40)의 각 끝단부와 끼움결합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고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 및 덮개(20)는 프레임(40)이 끼움된 상태로 망목(60)을 겹겹이 접어서 별도의 와이어로 고정한 후 운반하면 부피가 최소한으로 줄어들어 운반이 편리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망태(10)의 전체적인 조립이 완료되면 각 결합부위에는 나선형 와이어(70)를 끼움결합하여 각 결합부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본체(30)와 전, 후판(50,51)의 결합부위 뿐만 아니라 본체(30)와 덮개(20)가 결합되는 각 연결부위에도 나선형 와이어(70)를 끼움결합하면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로서, 제방의 길이에 따 라 본체(30) 내부에 중간 칸막이(80)를 결합하여 구획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많은 양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운반이 매우 간편한 돌망태(10)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돌망태(10)는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으로 조립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망태(1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본체(30)의 양측 끝단과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부위에 프레임(40)을 끼움결합한 다음 본체(30)에 결합된 프레임(40)을 중심으로 상향 절첩하면 측판(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측판(31)을 절첩하여 기립(起立)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후로 전, 후판(50,51)을 결합한다.
즉, 상기 측판(31)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프레임(40)의 끝단은 전, 후판50,51)의 상측 귀퉁이에 형성된 홀더(52)에 끼움결합 한 다음 감아서 체결하고, 측판(31) 하측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프레임(40)의 끝단은 전, 후판(50,51)의 하측 귀퉁이에 형성된 홀더(52)에 끼움결합하여 감아서 체결하면 본체(30)와 전, 후판50,51)의 기본적인 결합을 완성된다.
그런 다음 각 연결부위의 체결력을 보강하기 위해 본체(3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꼬임부(32)를 전, 후판(50,51)의 외곽 프레임(53)에 견고히 감아 전, 후판50)과 본체(30)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돌망태(10)의 운반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망태(10)는 본체(30) 및 덮개(20)의 전면이 고리형태로 연결된 망목(60)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망목(60)과 망목(60)을 겹겹이 접어주면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돌망태(10)는 출화(出貨)시 본체(30) 및 덮개(20)의 망목(60)과 망목(60) 사이를 겹겹이 절첩한 다음 별도의 와이어로 한번 묶어 부피를 최소화 한 상태로 운송차량에 적재되어 출화되기 때문에 종래 돌망태와 같이 적재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대량의 돌망태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돌망태(10)의 부피가 작아 작업자가 돌망태(10)를 손쉽게 운반하여 돌망태의 설치장소에서 곧바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 본체(30)와 전, 후판(50,51) 및 본체(30)와 덮개(20)의 결합부위에 나선형 와이어(70)를 끼움결합하여 마감처리하면 본체(30)와 전, 후판(50,51)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망태(10) 내부에 돌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채워서 둑 또는 제방을 축조하면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제방의 길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돌망태(10) 내부에 중간 칸막이(80)를 결합하여 수 개의 구획칸을 형성함으로써, 현장의 필요에 따라 돌망태(10) 내부에 많은 양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돌망태의 본체 및 덮개를 겹겹이 절첩하여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대량으로 돌망태를 운송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대량의 돌망태를 운송차량에 적재할 수 있으므로 돌망태를 운송하는 운송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피가 적고 조립이 매우 간편함으로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상부측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어주는 덮개로 구성되어 내부에 돌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채워서 둑 또는 제방 축조용으로 사용되는 돌망태에 있어서,
    원하는 높이로 양측을 상향으로 접었을 때 측판의 형성이 가능하며 부피가 최소화 되도록 겹겹이 절첩 가능한 능형 망목이 형성되도록 와이어를 교차로 엮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후 끝단에는 전, 후판의 외곽 프레임과 체결되는 꼬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양측 끝단의 각 망목 모서리 및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부위의 각 망목 모서리에 원하는 높이의 측판이 형성될 수 있도록 끼움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전후로 결합되며 다수의 능형 망목이 형성되도록 와이어를 교차로 엮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곽 둘레에 결합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결합된 프레임의 끝단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외곽 프레임의 네 귀퉁이에 형성되는 홀더로 구성되는 전, 후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 축조용 돌망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제방의 길이에 따라 중간 칸막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전, 후판 또는 본체와 덮개의 결합부위에는 나선형 와이어가 끼움결합되어 각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 축조용 돌망태.
KR1020040094245A 2004-11-17 2004-11-17 제방 축조용 돌망태 KR100614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45A KR100614927B1 (ko) 2004-11-17 2004-11-17 제방 축조용 돌망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45A KR100614927B1 (ko) 2004-11-17 2004-11-17 제방 축조용 돌망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553U Division KR200375626Y1 (ko) 2004-11-17 2004-11-17 제방 축조용 돌망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799A KR20060053799A (ko) 2006-05-22
KR100614927B1 true KR100614927B1 (ko) 2006-08-25

Family

ID=3715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245A KR100614927B1 (ko) 2004-11-17 2004-11-17 제방 축조용 돌망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9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355B1 (ko) 2007-02-26 2007-05-22 (주)대호철망한국산재장애인복지진흥회 옹벽용 개비온
KR100913736B1 (ko) 2009-05-18 2009-08-24 동서철강 주식회사 돌망태 제조방법
KR20190025153A (ko) * 2017-08-30 2019-03-11 한남수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3272B2 (ja) * 2017-04-03 2020-02-12 小岩金網株式会社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並びに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355B1 (ko) 2007-02-26 2007-05-22 (주)대호철망한국산재장애인복지진흥회 옹벽용 개비온
KR100913736B1 (ko) 2009-05-18 2009-08-24 동서철강 주식회사 돌망태 제조방법
KR20190025153A (ko) * 2017-08-30 2019-03-11 한남수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KR102078704B1 (ko) * 2017-08-30 2020-02-18 한남수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799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155B1 (ko) 사각형 돌망태
CA2281475A1 (en) An element for forming ground covering, restraining and reinforcing structures, particularly for forming retaining walls
KR100614927B1 (ko) 제방 축조용 돌망태
KR100763476B1 (ko) 보강 개비온
JP2002302955A (ja) 石詰籠
KR200375626Y1 (ko) 제방 축조용 돌망태
KR20180009069A (ko)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KR200422860Y1 (ko) 옹벽용 개비온
KR102067784B1 (ko) 격막식 기초 보강 백
JP3104016B2 (ja) かごマットユニット及びかごマットの構築方法
KR100719355B1 (ko) 옹벽용 개비온
JPH11131441A (ja) フトン籠組立構造体及び該構造体に用いるフトン籠ユニット
JP4652552B2 (ja) 布団篭
JP2019027215A (ja) 布団篭の本体パネル、布団篭、および土木構造物
JP2831993B1 (ja) 石詰篭製構造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3138542A (ja) フトン籠構造および土留め擁壁およびフトン籠構造の組立方法
JP2001207428A (ja) 角形石詰篭
JP2002061147A (ja) フトンかご
KR100853435B1 (ko) 일체 보강형 개비온
KR101988417B1 (ko) 돌망태 블록
JP4184553B2 (ja) 盛土補強用接続部材、それを用いた盛土補強構造及び盛土補強工法
KR200432317Y1 (ko) 전면보강 개비온
JP3668872B2 (ja) 鉄線製メッシュカゴ
KR200417466Y1 (ko) 측면보강 매트리스형 돌망태
JP2003155722A (ja) フトン篭およびそ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