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417B1 - 돌망태 블록 - Google Patents

돌망태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417B1
KR101988417B1 KR1020180173659A KR20180173659A KR101988417B1 KR 101988417 B1 KR101988417 B1 KR 101988417B1 KR 1020180173659 A KR1020180173659 A KR 1020180173659A KR 20180173659 A KR20180173659 A KR 20180173659A KR 101988417 B1 KR101988417 B1 KR 10198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wire
block
ston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게비온블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비온블럭(주) filed Critical 게비온블럭(주)
Priority to KR102018017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석재; 석재가 충전되고 철망이 통체 형상을 제공하는 블록체; 블록체의 중공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중공을 복수개의 충전공간으로 구분 구획하도록 격벽 기능을 제공하고 각 충전공간에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여 블록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획체; 및 일단부가 구획체에 고정되거나 구획체와 블록체에 동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블록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돌망태 블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돌망태 블록{Gabion block}
본 발명은 돌망태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망으로 된 블록체 내부에 석재가 충전되는 돌망태 블록에 있어서 통체 형상의 블록체 내부가 구획체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분 구획되어 어느 한 공간의 철망이 파손되어 해당 공간의 석재들이 유실되더라도 다른 공간들에 충전된 석재가 파손 공간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록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돌망태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망태 블록 즉, 돌망태는, 철망으로 하나의 박스를 만들고 그 안에 돌덩이 등의 석재를 충전하는 구조체로서, 옹벽쌓기, 사면보호시설, 하천보호시설 및 세굴방지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산악지역이 많은 우리나라는 산을 깎고 도로를 내는 경우가 많아 산사태와 도로 유실의 위험이 높다. 또한, 하천이나 해안에서도 토압이나 수압에 의한 붕괴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 20-0236327호 등에, 돌망태 블록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돌망태 블록은, 시공 설치 후 전면부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강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박스 형상의 블록체 전면부를 보강하여 안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는 돌망태 블록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위 돌망태 블록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통상적인 블록 쌓기에 비하여 규준선에 따라 상하 적층시 정확한 위치에 시공이 어려우며, 돌망태 블록의 시공을 완료한다고 하더라도 배면에서 작용하는 수압이나 토압 등의 하중에 의하여 돌망태 블록의 형상 또는 위치가 변형되어 붕괴가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박스 형상을 가지는 블록체의 내부에 석재가 충전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블록체의 일부분이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경우 충전된 석재 대부분이 블록체 외부로 유실되어 돌망태 블록이 박스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찌그러져 다수개의 돌망태 블록들이 적층되어 완성되는 구조물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체 형상의 블록체 내부가 구획체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분 구획되어 어느 한 공간의 철망이 파손되어 해당 공간의 석재가 유실되더라도 다른 공간들에 충전된 석재가 파손 공간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록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돌망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망태 블록을 이동시키거나 적층하는 과정에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와이어로프를 배치한 돌망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재; 석재가 충전되고 철망이 통체 형상을 제공하는 블록체; 블록체의 중공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중공을 복수개의 충전공간으로 구분 구획하도록 격벽 기능을 제공하고 각 충전공간에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여 블록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획체; 및 일단부가 구획체에 고정되거나 구획체와 블록체에 동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블록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돌망태 블록이 제공된다.
여기서, 블록체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철망이 복수개의 면을 가지면서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절곡 제조된 후, 철망의 시작단과 끝단이 소정 면적 중첩된 후 상호간 결속편을 통해 결속되는 것을 통해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획체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 'T', 마름모 및 원형의 단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면서 절곡되거나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로프는, 일단부가 구획체에 고정되거나 구획체와 블록체에 동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블록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체 형상의 블록체 내부가 구획체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분 구획되어 어느 한 공간의 철망이 파손되어 해당 공간의 석재가 유실되더라도 다른 공간들에 충전된 석재가 파손 공간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록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와 구획체에 결합되는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돌망태 블록을 이동시키거나 적층하는 과정에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돌망태 블록에 있어서 블록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돌망태 블록에 있어서 구획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돌망태 블록에 있어서 블록체, 구획체 및 와이어로프를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도 1의 돌망태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7은 도 1의 돌망태 블록들이 구조물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블록은, 석재, 다수개의 철선이 격자 구조로 연결된 철망이 통체 형상을 제공하는 블록체(110), 블록체(110)의 중공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중공을 복수개의 충전공간으로 구분 구획하며 각 충전공간에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여 블록체(110)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획체(120) 및 일단부가 구획체(120)에 고정되거나 구획체(120)와 블록체(110)에 동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블록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를 형성하여 충전공간에 석재가 충전된 블록체(11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30) 등을 포함한다.
블록체(110)는, 돌덩이 등과 같은 석재가 충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로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사각통, 삼각통 또는 원통 등의 형상으로 절곡된 후 개방부에 해당 형상의 철망이 고정되는 것을 통해 폐쇄된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블록체(110)는, 일예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사각통으로 절곡되는 경우, 먼저, 철망의 길이방향으로 플랜지(111)가 소정 면적으로 절곡되고, 이어서 플랜지(111)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제1면(112)이 절곡되며, 이어서 제1면(112) 넓거나 같거나 좁은 면적 중 어느 한 면적으로 제2면(113)이 절곡되고, 이어서, 제1면(112)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제3면(114)이 절곡되며, 이어서, 제2면(113)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제4면(115)이 절곡된 후, 제4면(115)의 끝단이 제1면(112)의 시작단에 위치시 플랜지(111)가 제1면(112)의 시작단과 제4면(115)의 끝단을 커버한 상태에서, 플랜지(111), 제1면(112) 및 제4면(115)의 하나 이상의 철선들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는 것을 통해 양단부가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조립된 후, 양단부 개구 부분에 해당 면적을 가지는 철망이 위치되고 철망의 가장자리 부분과 제1면(112) 내지 제4면(115)의 가장자리 부분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어 측면(116,117)이 구성되는 공정을 통해 조립 및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110)는, 일예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삼각통으로 절곡되는 경우에는, 먼저, 철망의 길이방향으로 플랜지가 절곡된 상태에서 이어서, 동일한 면적으로 제1면 내지 제3면이 절곡된 후, 제3면의 끝단이 제1면의 시작단에 위치시 플랜지가 제1면의 시작단과 제3면의 끝단을 커버한 상태에서, 플랜지, 제1면 및 제3면의 하나 이상의 철선들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는 것을 통해 양단부가 개구된 삼각통 형상으로 조립된 후, 양단부 개구 부분에 해당 면적을 가지는 철망이 위치되고 철망의 가장자리 부분과 제1면 내지 제3면의 가장자리 부분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어 측면이 구성되는 공정을 통해 조립 및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110)는, 일예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원통으로 만곡되는 경우에는, 먼저, 철망의 시작단이 철망의 끝단에 소정 면적 중첩되어 원통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중첩 부분의 하나 이상의 철선들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는 것을 통해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조립된 후, 양단부 개구 부분에 해당 면적을 가지는 철망이 위치되고 철망의 가장자리 부분과 원통의 개구 부분 가장자리 부분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어 측면이 구성되는 고정을 통해 조립 및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망은 아연도금 철선 또는 PVC 코팅을 한 철선을 절곡하거나 꼬아서 그물 구조를 이루도록 만든 면상의 구조물이다.
즉, 블록체(110)에 의하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복수개의 철망들이 가장자리 부분이 결속되는 것을 통해 통체 구조로 조립 및 제조되는 것이 아니고,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철망이 복수개의 면을 가지면서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절곡 제조된 후 이때, 철망의 시작단과 끝단이 소정 면적 중첩된 후 상호간 결속편을 통해 결속됨으로써, 결속 부분을 최소화하여 파손 또는 파단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통체 구조의 조립 및 제조 과정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획체(120)는, 블록체(110)의 중공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중공이 복수개로 구분 구획되도록 하는 삽입 구조체로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 'T', 마름모 및 원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절곡되거나 조립된 후 블록체(110)의 중공에 설치 구성되어 블록체(110)에 복수개의 충전공간이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구획체(120)는, 일예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 형상으로 절곡 또는 조립되는 경우, 먼저, 한 쌍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의 중앙 부위가 각각 'ㄱ' 형상으로 절곡된 후, 각 모서리 부분이 상호간 대면되어 '+'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모서리 부분이 결속편에 의해 결속 고정되는 것을 통해 조립 및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구획체(120)는, 일예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마름모 형상으로 절곡 또는 조립되는 경우, 블록체(110)가 사각통 구조로 조립되는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조립 및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구획체(120)는, 일예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T' 형상으로 절곡 또는 조립되는 경우, 먼저, 하나의 철망 중앙 부위에 다른 하나의 철망 가장자리 부분이 'T' 형상으로 대면된 상태에서, 대면 부분이 결속편에 의해 결속 고정되는 것을 통해 조립 및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구획체(120)는, 일예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원통 또는 원형으로 완곡 또는 조립되는 경우, 먼저, 철망의 일단에 타단이 대면된 상태에서, 대면 부분이 결속편에 의해 결속 고정되는 것을 통해 조립 및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망은 아연도금 철선 또는 PVC 코팅을 한 철선을 절곡하거나 꼬아서 그물 구조를 이루도록 만든 면상의 구조물이다.
즉, 구획체(120)에 의하면, 일예로, 블록체(110)가 사각형이나 원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 마름모 및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블록체(110)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T' 형상 및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블록체(110)에 복수개의 충전공간이 구분 구획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블록체(110)와 구획체(120)는, 구획체(120)의 모서리 부분이 블록체(110)의 모서리 부분이나 접촉 부분에 공지의 결속편을 통해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하여, 구획체(120)가 블록체(110)의 내부에서 보강구조물의 기능을 제공하여 블록체(110)에 석재 충전 작업시 블록체(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체(120)에 의하면, 블록체(110)의 중공에 간단히 삽입되는 것을 통해 상기 중공이 복수개로 구분 구획되어 복수개의 충전공간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복수개의 충전공간 중 어느 하나가 철망이 파단되어 공실(空室)이 되더라도 파단된 충전공간의 석재만이 블록체(110)의 외부로 유실되도록 하고 파단되지 않은 충전공간들의 석재가 파단된 충전공간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획체(120)에 의해 블록체(110)의 중공이 복수개로 구분 구획되고 각 충전공간에 균일하게 석재가 충전됨으로써, 블록체(110)의 운반시 중심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구획체(120)는, 블록체(110)의 중공에 삽입시 블록체(110)와 대면 또는 접촉되는 부분이 결속편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통하여, 복수개의 충전공간 중 어느 하나가 철망이 파단되어 공실이 되더라도 블록체(110)의 형상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조물의 붕괴를 지연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획체(120)는, 철망으로 구성되는 대신에, 다수개의 철사들이 블록체(110)의 내부에 '+', 'T', 마름모 및 원형의 단면 구조로 조밀하게 관통 결합되면서 블록체(110)의 중공을 복수개의 충전공간으로 구분 구획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철사들의 단부는 블록체(110)에 대면되는 경우 결속편이나 직접 블록체(110)에 고정되어 후술된 와이어로프(130)를 이용한 리프팅시 블록체(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획체(120)는, 철망으로 구성시, 철망의 통공이 블록체(110) 철망의 통공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블록체(110)에 석재의 충전시 석재가 복수개의 충전공간에 고르게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와이어로프(130)는, 일단부가 구획체(120)에 고정되거나 구획체(120)와 블록체(110)에 동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블록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를 형성하여 충전공간에 석재가 충전된 블록체(11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U'자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가 블록체(110)의 일면 중 하나 이상의 철선을 감싸는 상태에서 와이어의 양단이 중공으로 인입된 후 블록체(11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구획체(120)의 절곡 부분이나 일면 중 하나 이상의 철선을 감싸도록 위치된 후 양단이 결속편을 통해 결속되는 것을 통해 설치된다.
즉, 와이어로프(130)는, 실질적으로 폐루프 형태로 설치되며 루프 내에 구획체(120)의 절곡 부분이나 일면 중 하나 이상의 철선과 블록체(110)의 일면 중 하나 이상의 철선이 위치될 수 있고, 이때, 양단 부분은 블록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고리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와이어로프(130)의 노출 부분은, 일예로, 블록체(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2 이상의 철선을 동시에 감싸는 것을 통하여 운반 작업시 균형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와이어로프(130)에 의하면, 복수개 구성시 석재가 충전된 블록체(110)를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안정적인 균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블록체(110)의 상면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블록체(110)의 내부 골격을 보강시키는 구획체(12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운반 작업시 블록체(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블록의 제조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록체(110)가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조립된다.
여기서, 블록체(110)는, 일예로, 사각통 구조를 가지는 경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의 길이방향으로 플랜지(111)가 소정 면적으로 절곡되고, 이어서 플랜지(111)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제1면(112)이 절곡되며, 이어서 제1면(112) 넓거나 같거나 좁은 면적 중 어느 한 면적으로 제2면(113)이 절곡되고, 이어서, 제1면(112)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제3면(114)이 절곡되며, 이어서, 제2면(113)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제4면(115)이 절곡된 후, 제4면(115)의 끝단이 제1면(112)의 시작단에 위치시 플랜지(111)가 제1면(112)의 시작단과 제4면(115)의 끝단을 커버한 상태에서, 플랜지(111), 제1면(112) 및 제4면(115)의 하나 이상의 철선들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는 것을 통해 양단부가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조립된다.
이후, 블록체(110)의 양단부 개구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 해당 면적을 가지는 철망이 위치된 후 철망의 가장자리 부분과 제1면(112) 내지 제4면(115)의 가장자리 부분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어 제1측면(116)이 구성된다.
한편, 구획체(120)가 소정의 형상으로 조립된다.
여기서, 구획체(120)는, 일예로, '+' 구조를 가지는 경우, 한 쌍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의 중앙 부위가 각각 'ㄱ' 형상으로 절곡된 후 각 모서리 부분이 상호간 대면되어 '+'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모서리 부분이 결속편에 의해 결속 고정되는 것을 통해 조립된다.
이후, 블록체(110)의 양단부 개구 부분 중 제1측면(116)의 대향 부분을 통해 구획체(120)가 블록체(110)의 중공에 설치 구성되어 '田' 또는 '
Figure 112018132309315-pat00001
'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후, 구획체(120)가 블록체(110)의 내부에서 보강구조물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블록체(110)와 구획체(120)의 모서리 부분이나 접촉 부분이 결속편에 의해 상호간 결속 고정된다.
이후, 와이어로프(130)가 구획체(120)에 고정되거나 구획체(120)와 블록체(110)에 동시에 고정된다.
여기서, 와이어로프(130)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가 블록체(110)의 일면 중 하나 이상의 철선을 감싸는 상태에서 와이어의 양단이 중공으로 인입된 후 블록체(11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구획체(120)의 절곡 부분 하나 이상의 철선을 감싸도록 위치된 후, 양단이 결속편을 통해 결속되는 것을 통해 설치된다.
이후, 블록체(110)의 양단부 개구 부분 중 제1측면(116)의 대향 부분을 통해 블록체(110)의 중공에 석재가 충전된다.
여기서, 석재는 블록체(110)의 중공이 구획체(120)에 의해 복수개의 충전공간으로 구분 구획되고 또한, 구획체(120)의 보강 기능에 의해 블록체(110)가 통체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각 충전공간에 균일하게 충전될 수 있다.
이후, 블록체(110)의 양단부 개구 부분 중 제1측면(116)의 대향 부분에 해당 면적을 가지는 철망이 위치된 후 철망의 가장자리 부분과 제1면(112) 내지 제4면(115)의 가장자리 부분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어 제2측면(117)이 구성된다.
이후, 블록체(110)의 내부에 석재가 충전된 상태에서 블록체(110)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로프(130)의 고리에 운반장비의 걸림부가 걸리도록 하는 것을 통해 돌망태 블록 전체를 쉽게 운반할 수 있고, 다수층으로 적층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로프(130)의 고리는 운반 작업 후 블록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통해 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블록체(110) 내부가 구획체(120)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분 구획됨으로써, 어느 한 공간의 철망이 파손되어 해당 공간의 석재가 유실되더라도 다른 공간들에 충전된 석재가 파손 공간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록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110)와 구획체(120)에 구성되는 와이어로프(130)를 통해 돌망태 블록을 이동시키거나 적층하는 과정에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석재;
    석재가 충전되고 철망이 통체 형상을 제공하는 블록체(110);
    블록체(110)의 중공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중공을 복수개의 충전공간으로 구분 구획하도록 격벽 기능을 제공하고 각 충전공간에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여 블록체(110)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획체(120); 및
    일단부가 구획체(120)에 고정되거나 구획체(120)와 블록체(110)에 동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블록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30)를 포함하고,
    블록체(11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철망이 복수개의 면을 가지면서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절곡 제조된 후, 철망의 시작단과 끝단이 소정 면적 중첩된 후 상호간 결속편을 통해 결속되는 것을 통해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조립되며,
    와이어로프(130)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가 블록체(110)의 일면 중 하나 이상의 철선을 감싸는 상태에서 와이어의 양단이 중공으로 인입되어 블록체(11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구획체(120)의 절곡 부분 철선을 감싸거나 구획체(120)의 절곡 부분의 철선과 블록체(110)의 철선을 동시에 감싸도록 위치된 후 양단이 결속편을 통해 결속 고정되고 상기 결속된 양단에 대응되는 중간부가 블록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구획체(12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 'T', 마름모 및 원형의 단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면서 절곡되거나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블록.
  4. 삭제
KR1020180173659A 2018-12-31 2018-12-31 돌망태 블록 KR10198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59A KR101988417B1 (ko) 2018-12-31 2018-12-31 돌망태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59A KR101988417B1 (ko) 2018-12-31 2018-12-31 돌망태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417B1 true KR101988417B1 (ko) 2019-06-12

Family

ID=6684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59A KR101988417B1 (ko) 2018-12-31 2018-12-31 돌망태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4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734A (ja) * 2000-09-12 2002-03-27 Setouchi Wire Netting Industry Co Ltd 角形蛇篭
KR101433000B1 (ko) * 2013-03-26 2014-08-27 김태희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KR20180118121A (ko) * 2016-03-04 2018-10-30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734A (ja) * 2000-09-12 2002-03-27 Setouchi Wire Netting Industry Co Ltd 角形蛇篭
KR101433000B1 (ko) * 2013-03-26 2014-08-27 김태희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KR20180118121A (ko) * 2016-03-04 2018-10-30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69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geogrid earthen retaining walls
US9267259B2 (en) Soil reinforcing element for a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tructure
KR100763476B1 (ko) 보강 개비온
KR101988417B1 (ko) 돌망태 블록
JP6203671B2 (ja) 法面補強体、並びに法面構造及び法面構造工法
KR20180009069A (ko)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JP5826338B1 (ja) 蛇篭用連結装置
KR200422860Y1 (ko) 옹벽용 개비온
US4126001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soil structure
JP2000080646A (ja) インターロッキング式場所打ち杭
WO2014009892A1 (en) Stackable, interlockable building elements and a system including such elements
KR100719355B1 (ko) 옹벽용 개비온
KR101884115B1 (ko) 돌망태
KR20110000311A (ko) 개비온 블록의 단위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개비온 블록 및 매트리스 개비온의 제조방법
JP6663299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JP4328230B2 (ja) 組積造の耐震性向上施工法
JP6129241B2 (ja) 石詰篭及びその施設方法
JP6823880B2 (ja) Pc大型容器
JP3668872B2 (ja) 鉄線製メッシュカゴ
JP7075602B2 (ja) 土木構造物及び土木構造物の構築方法
JP2019027215A (ja) 布団篭の本体パネル、布団篭、および土木構造物
KR200185647Y1 (ko) 친환경돌망태
KR200422861Y1 (ko) 매트리스 개비온
JPH07119165A (ja) 自立式セル構築物
KR100583419B1 (ko) 매트리스형 게비온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