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121A -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121A
KR20180118121A KR1020187024109A KR20187024109A KR20180118121A KR 20180118121 A KR20180118121 A KR 20180118121A KR 1020187024109 A KR1020187024109 A KR 1020187024109A KR 20187024109 A KR20187024109 A KR 20187024109A KR 20180118121 A KR20180118121 A KR 20180118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partition
compartment
cage
part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수아 다보스
Original Assignee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filed Critical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11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5Gabion-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바닥부(11), 2개의 정면 벽(12, 13), 및 2개의 측벽(14, 15)으로 만들어지는 기본적으로 상자 형상의 케이지(10)를 포함하는 개비온(1)에 관한 것이다. 바닥부, 정면 벽 및 측벽은 모두 서로 고정된 그물망(11.1, 12.1, 13.1, 14.1, 15.1)으로 각각 형성되며; - 2개의 구획 파티션(20, 30)이 케이지의 내부 내에서 측벽들을 다른 측벽에 연결하여서, 케이지의 내부 용적(V10)은, - 이러한 정면 구획 내에서 보유되는 방식으로, 바닥부, 정면 벽 및 측벽의 각각의 그물망을 통과할 수도 없고 구획 파티션을 통과하지 못하는 골재로 만들어진 충전제 재료(70)로 각각 채워지는 2개의 정면 구획(C1 및 C2), 및 - 구획 파티션들에 의해 한정되고 알갱이형 방음재(2)를 수용할 수 있는 중간 구획(C3)으로 분할되고, -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파티션(50, 60)은, 각각의 정면 구획 및 중간 구획을 통해 연장되는 케이지 내에서 정면 벽(12, 13)을 고정식으로 연결하고, 바닥부(11)의 반대편에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51 및 61)를 구비하며, 중간 구획에서 시작되는 부분에 대하여, 방음재가 중간 구획 내의 파티션의 양쪽 측부에서 자유롭게 확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방음재 알갱이(2)가 리프팅 파티션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개비온(gabion) 및 상기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 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개비온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비온은 몇몇 시편(specimen)의 적층 및/또는 병치를 통해, 특히 토목 공사(civil engineering), 공공 작업의 분야, 및 개인을 위한 건축 분야에서 작업을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별 건축 구성 요소이다. 가장 보편적인 "기본" 형태에서, 개비온은 상자 형상의 케이지로 이루어지며, 케이지의 바닥부, 4개의 측벽, 및 적절하면 뚜껑은 전형적으로 클립, 강재 와이어 타이 및/또는 용접을 사용하여 서로 각각 고정되는 평평한 와이어 그물망 부분으로 만들어진다. 케이지는 그런 다음 쇄석(crushed stone), 또는 특히 유사한 알갱이 재료(granular material)로 채워지며, 그 골재(aggregate)는 그물망에 있는 구멍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케이지 내에 보유된다. 적층 및/또는 병치된 개비온 케이지는 클립 또는 와이어 타이를 사용하여 서로 묶인다.
본 발명은 특히 도로 또는 철도 선로를 따라서 또는 산업용 또는 사적 환경에서 음향 장벽(acoustic screen)으로 지칭되는 소음 차단 벽(noise barrier wall)의 실행 시에 개비온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DE 20 2006 003 050 U1은, 모래가 쇄석 또는 유사한 골재 재료보다 양호한 방음(acoustic insulation)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비온의 음향 흡수 성능을 증가시키는 모래의 층을 개비온 케이지에 배치하도록 개비온 케이지의 내부 용적을 구획할 것을 제안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 케이지의 한쪽 측벽을 케이지의 반대편 2개의 측벽에 연결하는 2개의 구획 파티션(compartmenting partition)이 케이지 내에 준비되어서, 중앙 구획은 이러한 2개의 구획 파티션 사이에 형성된다. 용적의 나머지는 중앙 구획의 양쪽 측부에서 2개의 단부 구획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단부 구획은 쇄석 또는 유사한 충전제 재료(filler material)로 채워지는 반면에, 중앙 구획은 모래가 채워진 자루를 수용한다. DE 20 2006 003 050 U1은 개비온이 조립되는 방식이나 또는 그 조립 장소로부터 최종 사용 장소까지 취급되는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으며; 모래 자루가 수십 킬로그램의 중량인 봉입된 포켓에 일치한다는 사실 때문에, 사전 조립된 케이지의 중앙 구획에서의 그 위치 선정이 자루를 찢을 위험이 있는 극히 섬세한 작업인 것을 상상할 수 있거나; 또는 그 밖에 케이지가 현장에서 사전 위치된 자루의 "주위"에 조립되고, 그런 다음 모래 자루가 케이지 내의 적소에 있을 때 단부 구획의 채움이 행해져서, 자루가 단부 구획에 배치된 충전제 재료에 의해 찢어질 수 있는 위험이 항상 있다. 모든 경우에, 케이지가 모래 자루와 쇄석과 같은 충전제 재료를 수용하면, 특히 그 최종 위치에서 개비온을 설치하고 다른 개비온 위에 적층 및/또는 다른 개비온와 병치될 때, 그 취급이 똑같이 어렵다. 이러한 것은 특히 소음 차단 벽을 건축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취급 동안 자루를 찢어서 모래 전체 또는 일부를 상실하는 위험을 다시 한번 특징으로 한다. 또한, 2개의 적층 및/또는 병치된 개비온 사이의 이음부(joint)에서, 방음은 형성되는 잔류 갭에 의해 손상된다. 이러한 갭은 단지 국부적이면 각각의 개비온 모래 자루 사이에 존재하는 경향이 있다. 자루가 그 가장자리 주위에서의 부풀어 오름에도 불구하고, 그 부풀어 오름의 존재는 개비온 취급 동안 이러한 부풀어 오름의 위치에서 자루를 찢을 위험을 더욱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FR 2 902 808 A1은 각각 쇄석으로 완전히 채워지는 "기본적인" 적층된 개비온들을 2개의 열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소음 차단 벽을 만드는 한편, 방음재(acoustic insulating material)로 만들어진 코어가 배치되는 공간을 이러한 2개의 열 사이에 생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실제로, 방음재는 적층된 개비온의 2개의 열 사이에 직접 부어진 콘크리트이다. 이러한 해결 방안의 장점은 방음벽(noise barrier)을 따라서 모두 전체 높이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방음 코어를 얻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안은 특히 개비온 수가 2배이고 실행하는데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까다롭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방음 성능이 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경제적이며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는 개비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규정된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10항에 규정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수반한다.
본 발명 덕분에, 매우 양호한 음향 특성을 제공하는 소음 차단 벽이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건축될 수 있다. 사실, 정면 구획(frontal compartment)들이 "무거운" 골재 충전제 재료로 미리 채워진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은 그 파티션(들) 상의 손잡이(grab handle)(들)를 사용하는 신속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 올려져 취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리프팅 파티션(들)은 그 채움의 용이함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정면 구획을 채우는 동안, 및 수송 취급 및 개비온 위치 선정 동안 케이지의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한다. 아울러, 이러한 리프팅 파티션(들)은 개비온이 전형적으로 소음 차단 벽 내에 있는 그 최종 위치에 위치되면 방음 골재 재료가 개비온의 중간 파티션을 통과하여 개비온에 있는 중간 파티션 내로 직접 부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음재는 리프팅 파티션(들)을 통하는 것을 포함하는, 중간 파티션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서 중력에 의해 확장되고, 유익하게 중간 구획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바닥 그물망의 부분에 대하여 바닥 그물망, 및 중간 구획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이러한 측벽의 부분에 대하여 측벽 상의 각각의 그물망을 코팅한다. 개비온이 본 발명에 순응하는 다른 개비온들과 적층 및/또는 병치될 때, 특히 소음 차단 벽을 형성할 때, 그러므로 방음재는 개비온의 각각의 중간 구획을 따라서 연속적인 이음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방음이 개별적으로 취해진 각각의 개비온 내에서, 그리고 적층 및/또는 병치된 개비온 사이에서 연속적인 방식으로 달성되는 것이다. 벽의 개선된 안정성은 또한 개비온 사이의 연속적인 이음부의 사실 때문에 유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의 또 다른 유익한 특징은 종속항 제2항 내지 제9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11항에 규정된 소음 차단 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소음 차단 벽의 추가의 유익한 특징은 청구항 제12항 내지 제14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15항에 규정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개비온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을 읽는 것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그 충전제 재료가 시인성의 이유로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에 부합하는 개비온의 사시도;
도 2는 개비온 구성 요소의 2개의 그룹의 분해도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3은 자체적으로 도시된, 도 1에서의 개비온의 구성 요소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것을 포함하는 개비온 구성 요소의 그룹의 사시도;
도 5는 개비온이 도 1에서의 화살표(V)에 따라 보았을 때 충전제 재료가 개략적이고 투명한 방식으로 그려져 표현되는, 도 1의 개비온의 실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선 Ⅵ-Ⅵ을 따른 개략 단면도; 및
도 7 및 도 8은 도 1에서의 개비온의 몇몇 예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2개의 다른 단계를 예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6은 개비온(1)을 도시한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비온(1)은 내측 및 외측 모두 전체적으로 상자 형상을 갖는 케이지(10)를 포함한다. 편의를 위해, 설명의 나머지는, 케이지(10)의 상자 형상이 개비온(1)의 사용시에서와 같이, 즉 그 상자 형상의 바닥부가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자 형상의 나머지와 비교하여 아래로 향하는 반면에, 상자 형상의 4개의 측면이 베이스로부터 수직으로 위를 향해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향되는 것을 고려한다.
도 2, 도 5 및 도 6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10)는 그 베이스에 있는 수평 바닥부(11)를 포함한다. 바닥부(11)는 평탄 그물망(11.1)으로 형성되면 전형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제한이 아니라 예시로서, 그물망(11.1)은 금속 와이어의 매트로 이루어지고, 그 중 일부는 서로 평행한 반면에, 다른 부분은 이전의 와이어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다양한 와이어는, 그 맞물림(meshing), 즉 개구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섹션을 가지는 개방 그리드 패턴을 형성하도록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시작된다. 실제로,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된 방식으로, 위에서 언급된 금속 와이어들은 그물망(11.1)을 얻도록 서로 꼬여지고 및/또는 납땜된다. 그물망(11.1)의 실행의 다른 형태는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예로서, 그물망(11.1)을 위한 재료는 표면 아연 도금 강(surface galvanised steel)이며,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개비온(1)의 실행을 위한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제공한다면 다른 금속 재료 또는 복합재도 고려될 수 있다. 적절하게, 이러한 그물망은 몇몇 재료, 특히 그물망에 구조적 저항을 주기 위해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진 코어를 위한 하나의 재료, 및 코어 재료를 보호하도록 예를 들어 중합체로 만들어진 커버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지(10)는 서로 대향하는, 그 측면들 중 2개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수직 정면 벽(12 및 13)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면 벽(12, 13)은 바닥부(11)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정면 벽(12, 13)의 각각은 평탄 그물망(12.1 및 13.1)으로 형성되며, 평탄 그물망의 실행의 형태는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바닥부(11)의 그물망(11.1)의 실행의 형태와 기능적으로 그리고 심지어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실행 형태에 관계없이, 그물망(12.1 및 13.1)은 클립, 와이어 타이 등을 사용하지만 이러한 것에 제한됨이 없이 전형적으로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바닥부(11)의 그물망(11.1)에 고정된다.
도 1, 도 2 및 도 5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지(10)는 정면 벽(12, 13)에 의해 점유되는 것 이외에 케이지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된 2개의 수직 측벽(14 및 15)을 포함한다. 측벽(14 및 15)은 바닥부(11)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측벽(14 및 15)은 바닥부(11)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측벽(14 및 15)의 각각은 평탄 그물망(14.1 및 15.1)으로 형성되며, 평탄 그물망의 실행의 형태는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그물망(11.1, 12.1 및 13.1)의 실행의 형태와 기능적으로, 심지어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그물망(14.1 및 15.1)은 그물망(11.1, 12.1 및 13.1)을 고정하기 위하여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바닥부(11)에서의 그물망(11.1)과 정면 벽(12 및 13)의 그물망(12.1 및 13.1) 모두에 고정된다.
케이지(10)의 상자 형상이 주어지면, 정면 벽(12 및 13)은 측벽(14 및 15)과 동일한 수직 치수를 제공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고려되는 실행 예에서, 정면 벽(12 및 13)은 측벽(14 및 15)의 수평 치수보다 큰, 예를 들어 벽(14, 15)의 수평 치수의 대략 2배인 수평 치수를 제공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치수 측면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비제한적인 치수 예로서, 벽(12 내지 15)의 수직 치수는 0.5m 내지 2.5m이고, 벽(12 내지 15)의 수평 치수는 0.5m 내지 5m이다.
케이지(10)는 정면 벽(12, 13) 및 측벽(14 및 15)과 함께 바닥부(11)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용적(V10)을 제공한다.
개비온(1)은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면 부호 20 및 30을 각각 갖는 2개의 구획 파티션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구획 파티션(20 및 30)은 케이지(10) 내에서, 즉 케이지의 내부 용적(V10)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시작되어 수직으로 및 정면 벽(12 및 13)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구획 파티션(20)이 정면 벽(12)에 근접한 반면에, 파티션(30)은 정면 벽(13)에 근접한다. 실제로, 추후에 기술되는 이유 때문에, 구획 파티션(20 및 30)들의 각각은, 그 하부 가장자리가 반드시 바닥부(11) 및 정면 벽(12 및 13) 및 측벽(14 및 15)의 상부 가장자리의 레벨과의 이음부를 형성함이 없이, 그 상부 가장자리가 반드시 정면 벽 및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를 건드림이 없이 케이지(10)의 바닥부(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구획 파티션(20, 30)의 보다 정확한 특징은 나중에 주어질 것이다.
그 실행 형태에 관계없이, 각각의 구획 파티션(20, 30)은 케이지(10)에서 측벽(14)으로부터 측벽(15)까지 연장되어, 이러한 측벽(14 및 15)의 각각을 견고하게 묶는다. 그러므로, 케이지(10)의 내부 용적(V10)은 2개의 정면 구획(C1 및 C2)과 중간 구획(C3)의 3개의 개별 구획으로 분할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구획(C3)은 구획 파티션(20, 30)에 의해 한정되는 케이지(10)의 내부 용적(V10)의 부분에 대응한다. 중간 구획(C3)은 케이지(10)의 내부 용적(V10)의 50% 또는 40% 이하, 30% 이하, 또는 20% 이하, 또는 10% 이하에 대응한다. 제한이 아니라 치수 예로서, 중간 구획은 수평 치수, 즉 예를 들어 10cm 내지 50cm일 수 있는 구획 파티션(20 및 30)들 사이의 거리를 제공한다. 정면 구획(C1 및 C2)은 내부 용적(V10)의 나머지에 대응하고, 정면 구획(C1)은 구획 파티션(20) 및 정면 벽(12)에 의해 한정되는 반면에, 정면 구획(C2)은 구획 파티션(30) 및 정면 벽(13)에 의해 한정된다. 아래쪽으로, 정면 구획(C1 및 C2) 및 중간 구획(C3)은 케이지(10)의 바닥부(11), 보다 정확하게 바닥부(11)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측 방향으로, 정면 구획(C1 및 C2) 및 중간 구획(C3)은 한쪽 측면에서 측벽(14)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측벽(14)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분에 의해, 반대쪽 측면에서 측벽(15)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측벽(15)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개비온(1)은 수직 격판 파티션(vertical diaphragm partition)(40)을 또한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5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격판 파티션(40)은 측벽(14 및 15)에 평행하게 케이지(10)의 내부 용적(V10)에 설치되고, 각각의 이러한 정면 벽들 사이에서 고정 연결을 만드는 것에 의해 정면 벽(12 및 13)으로부터 연장된다. 도면에서 고려되는 실행 예에서, 격판 파티션(40)은 측벽(14 및 15) 사이의 중간에 위치된다. 도 5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격판 파티션(40)은 그런 다음 정면 구획(C1), 중간 구획(C3), 및 정면 구획(C2)을 통해 연장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격판 파티션(40)의 양쪽 측부에, 더욱 정확하게 수반된 구획에 배치된 격판 파티션의 양쪽 측부에 위치되는 2개의 서브 구획(sub-compartment)으로 이러한 구획들의 각각을 세분한다. 격판 파티션(40)은 그 하부 가장자리가 반드시 바닥부(11)와의 이음부를 형성함이 없이 케이지(10)의 바닥부(11)와, 그 상부 가장자리가 반드시 이러한 정면 벽 및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를 접촉함이 없이 정면 벽(12 및 13) 및 측벽(14 및 15)의 상부 가장자리의 레벨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면에서 고려된 예에서, 격판 파티션(40)은 평면 그물망(40.1)을 포함하며, 평탄 그물망의 실행의 형태는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그물망(11.1, 12.1, 13.1, 14.1 및 15.1)의 실행의 형태와 기능적으로 그리고 심지어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격판 파티션(40)의 그물망(40.1)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클립 또는 와이어 타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적절하게 바닥부(11)의 그물망(11.1) 이외에 정면 벽(12 및 13) 상의 그물망(12.1 및 13.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추가로, 개비온(1)은 2개의 수직 리프팅 파티션(50 및 6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5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팅 파티션(50 및 60)들의 각각은 케이지(10)의 내부 용적(V10) 내에서 측벽(14 및 15)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정면 벽(12)으로부터 정면 벽(13)으로 연장되고, 그러므로 이러한 정면 벽들을 서로 견고하게 묶는다. 도면에서 고려된 예에서, 리프팅 파티션(50 및 60)은 격판 파티션(40)의 양쪽 측부에 배치된다. 리프팅 파티션(50)은 격판 파티션(40)과 측벽(14)의 중간에 위치되는 반면에, 리프팅 파티션(60)은 격판 파티션(40)과 측벽(15)의 중간에 위치된다.
리프팅 파티션(50, 60)의 각각은 케이지(10)의 바닥부(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리프팅 파티션의 하부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 바닥부(11)에 반드시 인접하는 것이 아니라 정면 벽(12, 13) 및 측벽(14 및 15)의 상부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리프팅 파티션(50 및 60)의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는 정면 벽 및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와 인접하거나 이로부터 약간 역행하는 2개의 손잡이(51 및 61)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고려되는 실행 예에서, 손잡이(51 및 61)는 도 3에서 그 자체에 도시된 리프팅 파티션(50) 상의 2개의 손잡이(51)에 대해 명확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리프팅 파티션(50, 60)의 상부 가장자리 전역에 고르게 확장된다. 도면에서, 손잡이(51 및 61)는 실제적으로 순전히 가시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보다 더 멀리 당겨진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팅 파티션(50, 60)의 각각은 그런 다음 정면 구획(C1), 중간 구획(C3), 및 정면 구획(C2)을 가로질러 정면 벽(12)으로부터 정면 벽(13)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면 구획(C1) 내로 설정된 리프팅 파티션(50)의 부분 및 리프팅 파티션(60)의 부분은 각각 격막 파티션(40)의 양쪽 측부에 의해 한정되는 정면 구획(C1)의 2개의 서브 구획을 세분한다. 동일한 것이 정면 구획(C2) 내로 설정된 리프팅 파티션(50, 60)의 각각의 부분에 적용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중간 구획(C3) 내로 설정된 리프팅 파티션(50)의 부분 및 리프팅 파티션(60)의 부분은 격판 파티션(40)에 의해 양쪽 측부에서 한정된 중간 구획(C3)의 2개의 서브 구획을 세분한다.
도면에서 고려되는 실행 예에서, 리프팅 파티션(50, 60)의 각각은 평탄 그물망(50.1 및 60.1)으로 형성되며, 평탄 그물망의 실행 형태는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그물망(11.1, 12.1, 13.1, 14.1, 15.1 및 40.1)의 실시의 형태와 기능적으로 그리고 심지어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프팅 파티션(50)에 대해 도 3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파티션을 위한 그물망(50.1)은 금속 와이어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그 일부는 서로 평행한 반면에, 다른 부분들은 서로 평행하고, 그물망(50.1)에서의 다양한 와이어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섹션을 갖는 개방된 그물망 그리드를 공동으로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전의 와이어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다. 도 3으로부터 또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팅 파티션(50) 내의 그 그물망(50.1)은 2개의 와이어(50.2)에 의해 완성되며, 이러한 와이어는 아래쪽을 향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둥근 베이스는 리프팅 파티션(50)의 상부 가장자리로 설정되어, 2개의 손잡이(51)를 각각 형성한다. 이러한 와이어(50.2)들의 각각은 전형적으로 인터로킹 및/또는 용접을 사용하여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그물망(50.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리프팅 파티션(60) 상의 그물망(60.1)은 리프팅 파티션(50) 상의 그물망(50.1)에 대해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 유사한 구조를 제공한다. 두 경우 모두, 손잡이(51 및 61)는 각각 그 대응하는 리프팅 파티션(50 및 60)으로부터 그물망(50.1 및 60.1) 내로 견고하게 붙박히는 한편, 이러한 리프팅 파티션을 위한 호이스팅 및 당김 지점을 형성하며, 손잡이는 이러한 리프팅 파티션의 상부 가장자리에 붙박히고, 케이지(10)의 상부 기하학적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서 사실상 위치되며; 특히 손잡이는 그 기하학적 평면 위로 현저하게 드러내지 않는다.
정면 벽(12, 13)에 각각 접하는 그 가장자리의 레벨에서, 리프팅 파티션(50,60)의 각각의 그물망(50.1 및 60.1)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정면 벽(12, 13)의 그물망(12.1 및 13.1)에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 각각의 그물망(50.1 및 60.1)의 하부 가장자리는 베이스(11)의 그물망(11.1)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리프팅 파티션(50, 60)과 2개의 구획 파티션(20, 30)의 교차를 실행하기 위해, 도면에서 실행되고 도 4에서 리프팅 파티션(50)에 대해 명확하게 알 수 있는 해결 방안은 각각 2개의 평탄 그물망(20.1 및 20.2, 및 30.1 및 30.2)을 포함하는 각각의 이러한 구획 파티션(20 및 30)으로 이루어진다. 파티션(20)에 있는 그물망(20.1 및 20.2)은 리프팅 파티션(50)의 양쪽 측부에서 리프팅 파티션의 그물망(50.1)에 고정되고, 구획 파티션(30)의 그물망(30.1 및 30.2)은 리프팅 파티션(50)의 양쪽 측부에서 리프팅 파티션의 그물망(50.1)에 고정된다. 위에서 언급된 그물망들 사이의 고정은 이전에 언급된 것과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구획 파티션(20 및 30)은 각각 도 1 및 도 5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팅 파티션(60)의 양쪽 측부에서 리프팅 파티션의 그물망(60.1)에 각각 고정된 2개의 평탄 그물망(20.3 및 20.4, 및 30.3 및 30.4)을 또한 포함한다. 측벽(14)에 접하는 그 가장자리에 관하여, 파티션(20)의 그물망(20.1)과 파티션(30)의 그물망(30.1)은 측벽(14) 상의 그물망(14.1)에 고정된다. 측벽(15)에 접하는 이러한 그물망의 가장자리에 관하여 측벽(15)과 함께 그물망(20.4 및 30.4)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물망(20.2 및 30.2)과 관련하여, 리프팅 파티션(50)에 대향하는 그 가장자리는 격판 파티션(40)에 고정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리프팅 파티션(60)에 대향하는 그물망(20.3 및 30.3)의 가장자리는 격판 파티션(40)에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 구획 파티션(20)의 그물망(20.1, 20.2, 20.3 및 20.4)의 하부 가장자리 및 구획 파티션(30)의 그물망(30.1, 30.2, 30.3 및 30.4)의 하부 가장자리는 바닥부(11)에 있는 그물망(11.1)에 고정된다. 실제로, 그물망(20.1, 20.2, 20.3, 20.4, 30.1, 30.2, 30.3 및 30.4)의 실행의 형태는 그물망(11.1, 12.1, 13.1, 14.1, 15.1, 40.1, 50.1 및 60.1)의 실행의 형태와 기능적으로 그리고 심지어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개비온(1)은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구획(C1 및 C2)을 채우는 골재 충전제 재료(70)를 포함하며, 이러한 도 5 및 도 6에서, 충전제 재료(70)가 부분적으로 투명한 방식으로 표현되어서, 개비온(1)의 나머지가 그 충전제 재료를 통해 보일 수 있는 반면에, 도 1 및 도 2에서, 충전제 재료(70)는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충전제 재료(70)는, 그 충전제 재료(70)에 있는 골재가 바닥부(11), 정면 벽(12 및 13), 측벽(14 및 15), 및 구획 파티션(20 및 30)을 통과할 수 없는 골재 알갱이 크기를 제공한다는 사실에 의해 정면 구획(C1 및 C2) 내에서 보유된다. 실제로, 충전제 재료(70)의 골재 알갱이 크기(granule size)는 골재 알갱이의 어느 것도 그물망(11.1, 12.1, 13.1, 14.1, 15.1, 20.1, 20.2, 20.3, 20.4, 30.1, 30.2, 30.3 및 30.4) 중 임의의 것도 통과할 수 없는 정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제 재료(70)는 표현의 가장 넓은 의미에서, 즉 자연적인 파쇄 상태의 돌, 자갈 및 암석, 및 사람에 의해 파쇄된 돌멩이 블록의 모두를 포함하는 쇄석이다. 따라서, 충전제 재료를 위한 대한 골재 크기가 정면 구획(C1 및 C2) 내에 보유되는 한편, 개비온(1)에 나머지보다 몇 배 큰 값인 상당한 질량을 개비온(1)에 부여해주면, 다른 형태의 실행이 충전제 재료(70)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충전제 재료(70)는 이러한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 건물 현장 잔해물,
- 클링커(clinker),
- 파쇄 유리,
- 목재, 플라스틱 재료, 복합 재료, 대리석, 백악(chalk), 석회석, 백운석 또는 바륨 조각,
- 산의 작용에 의해 원위치에서(in situ) 형성된 및/또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파생된 이산화탄소 및 1종 이상의 산과의 표면 반응을 거친 천연 탄산칼슘 또는 탄산칼슘 침전물, 및
- 위의 조합. 천연 탄산칼슘은 바람직하게 대리석, 백악, 백운석, 석회석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칼슘 미네랄 염을 함유하는 탄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된다. 천연 탄산칼슘은 또한 탄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등과 같은 천연 발생물(natural origin)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탄산칼슘 침전물(calcium carbonate precipitate)은 일반적으로 수성 매체에서 이산화탄소와 수산화칼슘의 반응 후에 침전에 의해, 물에서 칼슘과 탄산염 이온의 공급원 사이의 침전에 의해, 또는 용액으로부터 예를 들어 CaCl2 및 Na2CO3와 같은 칼슘 및 탄산염 이온 사이의 침전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 물질이다. 탄산칼슘 침전물이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부산물인 방법과 같이, 탄산칼슘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옵션이 공지되어 있다. 탄산칼슘 침전물은 방해석(calcite), 아라고나이트(aragonite) 및 바테라이트(vaterite)의 3개의 주요 결정 형태, 및 이러한 결정 형태의 각각에 대해 몇몇 상이한 다형체의 형태(polymorphous form)로 존재한다. 얻어진 탄산칼슘 침전물의 현탁액은 탈수되고 기계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천연 탄산칼슘 또는 침전물은 이산화탄소 및 산으로 처리되기 전에 파쇄될 수 있다.
표면 반응에 의한 천연 탄산칼슘의 제조에 관한 다른 세부 사항은 독자가 참고할 수 있는 WO 00/39222 A1, WO 2004/083316 A1, WO 2005/121257 A2, WO 2009/074492 A1, EP 2 264 108 A1, EP 2 264 109 A1 및 US 2004/0020410 A1에 기재되어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WO 2009/074492 A1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표면 반응을 갖는 탄산칼슘 침전물은, 표면 반응을 갖는 탄산칼슘 침전물의 현탁액을 형성하도록, 물에서 불용성인 칼슘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수성 환경에서 용해된 H3O+ 이온 및 음이온과 탄산칼슘 침전물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면 반응을 갖는 탄산칼슘 침전물은 탄산칼슘의 침전물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표면 상에 형성된 음이온에 의해 불용성인,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질인 염을 포함한다.
변형 예로서, 산과 이산화탄소와의 천연 탄산칼슘 또는 침전물의 반응이 이미 시작되었으면, 규산염 및/또는 실리카 및/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알칼리 토류 알루민산염 및/또는 산화마그네슘 성분은 물에 있는 천연 탄산칼슘 또는 침전물의 현탁액에 첨가될 수 있다. 표면 반응 후에 천연 탄산칼슘 또는 침전물의 이러한 제조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WO 2004/083316 A1에 기술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된 물에서의 현탁액은 건조될 수 있고, 그러므로 표면 반응을 거친 천연 탄산칼슘 또는 침전물은 고체 형태(즉, 건조, 또는 유체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 잔류 수분을 함유하는), 또는 알갱이 또는 분말과 같은 알갱이 형태로 있다.
개비온(1)은 방음벽을 건축할 목적으로 몇몇 개비온(1)의 사용 예의 맥락에서 다음에 시작되는 다른 특징을 제공한다. 그 사용은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에서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단계 전에, 구획 파티션(20 및 30)들, 격판 파티션(40) 및 리프팅 파티션(50 및 70) 외에, 케이지(10)의 바닥부(11), 정면 벽(12 및 13) 및 측벽(14 및 15)은 예를 들어 스테이플링 공구를 사용하여 적소에 놓인 금속 클립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조립되고 고정된다. 실제로, 예를 들어 쇄석 골재를 추출하고 제조하기 위한 채석장에서 충전제 재료(70)의 비축물에 바로 인접하여 이러한 조립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 유익하다.
그런 다음, 항상 도 7에 도시된 단계 전에, 개비온(1)의 정면 구획(C1 및 C2)은 예를 들어 그 골재를 적재하기 위한 설비를 사용하여 중간 구획(C3)의 내부 내로 골재 재료가 들어가는 것을 주의하면서 충전제 재료(70)로 채워진다. 골재 충전제 재료(70)로 정면 구획(C1 및 C2)를 채우는 것이, 구획(C1 및 C2) 내에서 그 재료(70)에서의 골재의 진동 압밀(vibro-compaction)을 만드는 방식으로 개비온(1)에 바람직하게 다중 방향으로 인가된 진동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유익하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격판 파티션(40)과 리프팅 파티션(50, 60)은 정면 벽(12 및 13) 사이에,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바닥부(11)에서의 하중의 전달 및 공유에 의해 케이지(10) 및 구획 파티션(20 및 30)의 기계적 저항력을 보강하는 것에 의해 정면 구획(C1 및 C2)의 채움 동안 개비온(1)의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제로, 충전제 재료(70)는 격판 파티션(40)의 양쪽 측부 및 리프팅 파티션(50, 60) 각각의 양쪽 측부 모두에서 공유되는 정면 구획(C1 및 C2) 내로 도입되며: 다른 면에서, 격판 파티션(40) 및 리프팅 파티션(50, 60)의 존재는 충전제 재료(70)에 의한 정면 구획(C1 및 C2)의 용이한 채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전히 도 7에 도시된 단계 전에, 개비온(1)은 정면 구획(C1 및 C2)이 충전제 재료(70)로 채워진 그 초기 위치로부터, 개비온이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그 최종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 리프팅 아암이 4개의 손잡이(51 및 61)에 연결되는 이동 크레인 또는 유사물과 같은 리프팅 기어를 초기에 사용할 수 있다. 그 리프팅 기어의 아암을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개비온(1)은 손잡이(51, 61)를 당기는 것에 의해, 그 초기 위치로부터 트럭 또는 유사한 운반 차량의 적재물 플랫폼 상으로 들어 올려진다. 트럭 또는 유사한 운반 차량은 그런 다음 소음 차단 벽이 건축되는 현장으로 개비온(1)을 운송할 것이며, 상기 현장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현장에서, 리프팅 기어의 제2 물품은 방음벽 내의 그 최종 위치가 건축될 때까지 운송 차량의 플랫폼으로부터 개비온(1)을 들어 올리도록 사용되며: 도 7에서, 리프팅 설비의 제2 물품의 리프팅 아암은 도면 부호 100을 가지며, 4개의 체인(101)을 사용하여 개비온(1) 상의 4개의 손잡이(51 및 61)에 연결된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아암(100) 및 체인(101)은 개비온(1)이 방음벽 내의 그 최종 위치로 들어 올려질 수 있게 하는 설비의 단지 예일뿐이다.
실제로, 정면 구획(C1 및 C2)이 충전제 재료(70)로 채워지는 위치와 방음벽의 건축 현장이 수 킬로미터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기술적인 이유 때문에 고정 리프팅 키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것보다 큰 거리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은 개비온(1)을 상기 위치와 위에서 언급된 작업 현장 사이에서 운송하도록 차량의 사용을 요구한다.
위에서 언급된 초기 위치와 소음 차단 벽 내의 그 최종 위치로부터 개비온(1)을 들어 올리는 다양한 작업 동안, 리프팅 파티션(50, 60)은 개비온(1)을 들어 올리는, 보다 일반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부터의 기계적 하중이 정면 벽(12 및 13) 사이, 필요에 따라 케이지(10)의 바닥부(11)에서 전달되고 공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리프팅 파티션(50, 60)는 개비온(1)을 취급할 때 케이지의 구조 안정성에 기여하는 한편, 이러한 작업 동안, 정면 구획(C1 및 C2)에서의 충전제 재료(70)의 존재 때문에, 케이지(10)가 상당한 하중을 받는다는 것이 강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개비온(1)의 들어 올림을 가능하게 함이 없이, 격판 파티션(40)은 케이지(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비온(1)은 건축 과정에서 방음벽 내에 있는 개비온(1)과 유사하게, 다른 개비온과 합쳐진다. 이러한 것들은 그 각각의 최종 위치에서 방음벽 내에서 개비온에 앞서 설치되었다. 특히, 개비온(1)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그 최종 위치에 이미 설치된 다른 개비온들과 관련하여 배치된다:
- 한편으로, 개비온(1)은,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의 적어도 일부가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의 적어도 일부 위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다른 개비온(1')의 상부에 포개지며,
- 다른 한편으로, 개비온(1)은,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이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에 수평으로 이웃하여 놓이는 방식으로 개비온(1")의 측벽(15")에 그 측벽(14)을 접하는 것에 의해 다른 개비온(1")에 병치된다.
실제로, 개비온(1, 1' 및 1")의 수평 및 수직 정렬은 이러한 개비온들 중 각각의 중간 구획(C3, C3', 및 C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면, 엄격하게 정밀할 필요가 없다. 동일한 방식으로,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적층된 개비온(1 및 1')의 케이지(10 및 10')는, 개비온(1")의 측벽(15")이 개비온(1')의 이러한 측벽 중 하나 위에 수직으로 있지 않고 개비온(1')의 이러한 측벽들 사이에 있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옮겨질 수 있다.
개비온(1 및 1')을 적층하는 것이, 개비온(1')을 위한 손잡이가 그 개비온(1')의 케이지(10')의 상부 기하학적 평면을 지나서 튀어 나오지 않고, 그러므로 이러한 손잡이가 개비온(1)의 케이지(10)의 바닥부(11)와 간섭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선호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개비온(1)이 소음 차단 벽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되었으면, 이러한 것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방음재(2)는 그런 다음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 내로 부어지고, 이를 통해 방음재(2)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확장된다. 충전제 재료(70)와 동일한 방식으로, 방음재(2)는 알갱이형 골재이다. 그러나, 방음재(2)는 방음재(2)가 재료(70)보다 우수한 방음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통해 충전제 재료(70)와 구별될 수 있다. 방음재(2)에 대한 방음 성능은 충전제 재료(70)와 비교하여 재료의 특정 내재적 특징, 특히 그 밀도 및 알갱이 크기와 관계가 있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방음재(2)는 등급화된 골재 혼합물, 즉 0/14㎜ 내지 0/63㎜의 알갱이 크기를 가지는 모래와 자갈의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방음재(2)의 또 다른 예는 콘크리트이며, 콘크리트는 새로이 혼합될 때 중간 구획(C3) 내로 부어지고, 그런 다음 그 구획(C3) 내에서 굳어지고 경화된다. 이러한 것은 다음과 같은 방음재(2)에 대해 다른 예가 고려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파쇄된 현장 잔해물,
- 파쇄된 광산 슬래그,
- 대리석, 백악, 석회석, 백운석 또는 바륨 조각,
- 산(들)의 작용에 의해 원위치에서 형성 및/또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파생되는 이산화탄소 및 1종 이상의 산과의 표면 반응을 거친 천연 탄산칼슘 또는 탄산칼슘 침전물의 알갱이, 및
- 이들의 혼합물.
보다 일반적으로, 방음재(2)가 충전제 재료(70)의 알갱이 크기보다 작은 알갱이 크기를 포함하고, 이러한 방음재(2)의 알갱이 크기가 필요에 따라 이 방음재(2)와 관련된 결합제, 특히 수압 결합제(hydraulic binding agent)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리프팅 파티션(50, 60), 보다 정확하게 개비온(1)의 구획(C3)에서 펼쳐진 이러한 파티션의 부분 및 방음재(2)는, 방음재(2)를 중간 구획(C3) 내로 부을 때, 이러한 방음재(2)의 알갱이가 리프팅 파티션(50, 60)의 양쪽 측부를 교차하여, 중간 구획(C3) 내의 리프팅 파티션(50 및 60)의 각각의 양쪽 측부에서 자유롭게 확장되는 방식으로 시작된다. 실제로, 리프팅 파티션(50 및 60)의 각각의 격자(50.1, 60.1)의 그물망이 방음재의 골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이러한 것은 격판 파티션(40)의 격자(latticework)(401)에 있는 그물망에 대해 유익하다. 따라서, 개비온(1) 내에서, 중간 구획(C3)이 채워질 때까지, 방음재(2)는 중간 구획(C3) 내로 부어지고, 리프팅 파티션(50 및 60) 및 격판 파티션(40)을 통해 전체 중간 구획 내료 용이하게 확장된다. 방음재(2)는 구획(C3)을 채우고, 구획 파티션(20 및 30) 사이에 방음을 형성하고, 따라서 정면 벽(12 및 13) 사이의 개비온(1)에 방음을 제공한다. 정면 구획(C1 및 C2)에서의 충전제 재료(70)가 이러한 방음에 기여하지만, 중간 구획(C3)에서의 방음재(2)에 의해 기여하는 것보다 상당히 적다.
또한, 개비온(1)의 바닥부(11)의 격자(11.1)에서의 그물망이 방음재(2)를 통과하게 되면,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 내로 방음재(2)를 붓는 것은 이러한 개비온의 케이지(10)의 바닥부(11)를 통한, 보다 정확하게 구획(C3)을 한정하는 이러한 바닥부(11)의 부분을 통한 이러한 방음재(2)의 누출로 이어지며, 방음재(2)가 그런 다음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에서 방음재와 합쳐질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비온(1)이 개비온(1') 위에 설치되기 전에 방음재(2)로 중간 구획(C3')이 채워지지 않았으면, 방음재(2)는 이러한 중간 구획을 또한 채울 것이다. 당연히, 변형예로서, 이러한 개비온(1')의 설치와 개비온(1)의 설치 사이에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의 채움이 실행될 수 있었다. 어떠한 경우에도, 즉, 동시에 채워지는 개비온들의 중간 구획(C3, C3')을 적층된 개비온(1 및 1')이 가지는 경우에, 그리고 개비온(1)이 다른 개비온의 상부에 설치되기 전에 개비온(1')의 구획(C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경우에, 방음재(2)의 알갱이가 개비온(1)의 바닥부(11)의 그물망(11.1)을 자유롭게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의해, 방음재(2)는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과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 사이의 이음부를 이음매 없이 형성하며, 보다 정확하게 구획(C3)의 바닥과 구획(C3')의 상부를 이음매가 없는 방식으로 합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방음재(2)의 알갱이가 이러한 측벽(14 및 15)을 통해 자유롭게 통과하는 것을 측벽(14 및 15)의 격자(14.1 및 15.1)의 그물망이 허용하는 것에 의해, 중간 구획(C3) 내로 방음재(2)를 부을 때에 및/또는 방음재(2)가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 내로 부어지는 동안, 방음재(2)는 개비온(1)의 측벽(14) 및 개비온(1")의 측벽(15")을 통해 연속적으로 교차하는 것에 의해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과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을 이음매 없이 합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설명을 고려하면, 중간 구획(C3)을 방음재(2)로 채우는 것에 의해, 이러한 방음재(2)가 중간 구획(C3)과 인접한 중간 구획(C3' 및 C3") 사이에 연속적인 방음을 형성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소음 차단 벽을 형성하는 다양한 개비온의 적층된 이음부들 및/또는 접합 이음부에 대한 방음을 제공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02)는, 이 주입구(102)의 바닥으로의 출구가 중간 구획(C3)의 상부에 있는 출구로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서, 중간 구획(C3)의 상부 내로 그 주입(pouring)을 보내도록, 채널로 방음재(2)를 부을 때 개비온(1) 위에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서 실행되는 선택적인 유익한 구성에 따르면, 개비온(1)의 측벽(15)은 측벽(15)의 일부에서 외부로부터 차단되고, 그러므로 중간 구획(C3)의 윤곽을 나타낸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구획(C3)에 대한 측부 차단 요소(103)가 측벽(15)의 외부면에 추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획(C3) 내로 부어진 방음재(2)는 그 외부에 부어지지 않고 측벽(15)를 통해 중간 구획(C3) 내에서 보유된다. 물론, 측부 차단 요소(103)를 실행하는 것은, 측부 차단 요소가 적용되는 개비온의 측벽이, 건축될 소음 차단 벽에서의 자유 극단(free extremity)을 구비한 섹션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때에만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로, 측부 차단 요소(103)에 대한 실행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실행의 형태는 방음재(2)의 성질에 따라서 또한 맞추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음재(2)가 모래 및 조약돌로 만들어질 때, 다음과 같은 것이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포장 재료(packing material), 이전의 기술 하에서 만들어진 방수포(tarpaulin) 또는 개비온, 즉 그 전체 내부 케이지 용적이 충전제 재료(70)와 유사한 재료로 채워지는 개비온. 방음재(2)가 콘크리트인 경우에, 측부 차단 요소(103)는 예를 들어 널판지(plank), 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틀(formwork)의 부분일 수 있다.
측부 차단 요소(103)에 관하여 전술한 것들과 유사한 고려 사항에 따라서, 설치 시에, 건축되는 소음 차단 벽의 베이스에서, 제1 개비온 또는 개비온(1')과 같은 병치된 개비온의 제1 열로부터, 소음 차단 벽 내의 최하측 개비온(들)의 중간 구획을 한정하는 바닥의 부분에서, 바닥부(11)의 외부면을 차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로, 방음재(2)가 이러한 개비온들의 중간 구획 내로 부어지면, 소음 차단 벽의 제1 개비온을 설치하기 전에 만들어지거나 또는 굴착된 슬라브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기초부(104)는, 이러한 방음재(2)가 소음 차단 벽 아래에서 제품의 누출 또는 흩어짐의 어떠한 위험도 없이, 수반되는 중간 구획 내에서 보유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티션(20 및 30)에 관하여, 방음재(2)가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로부터 구획 파티션(20 및 30)을 통해 확장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정면 구획(C1 및 C2)에서 존재하는 충전제 재료(70)는 구획 파티션(20 및 30)의 인접한 부근 너머로의 방음재(2)의 누출의 가능성을 제한한다. 선택을 통하여, 이러한 그물망의 각각의 전체 면을 덮고 중간 구획(C3)을 토목 섬유(geotextile)의 시트 또는 지오신세틱 장벽(geo-synthetic barrier)과 합치는 것에 의해, 방음재(2)가 중간 구획(C3)으로부터 구획 파티션(20 및 30)의 그물망(20.1, 20.2, 20.3, 20.4, 30.1, 30.2, 30.3 및 30.4)을 교차하는 것을 막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단계의 말기에, 즉 소음 차단 벽의 부분을 형성하는 개비온의 각각의 중간 구획, 특히 개비온(1)의 중간 구획(C3)을 채운 후에, 방음재(2)는 유익하게 다져질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 침지형 진동기(immersion vibrator) 또는 래머(rammer)가 최상측 개비온의 중간 구획의 상부 개구를 통해 방음재(2)에 적용된다. 필요하면, 그 다짐의 말기에, 추가적인 방음재(2)가 중간 구획(C3)들 내로 부어진다.
마지막으로, 선택적으로, 소음 차단 벽에서의 최상부 개비온의 중간 구획의 상부 개구는 소음 차단 벽의 상부에 추가된 적절한 수단에 의해 풍우밀(weather-tight)로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설명된 실행의 방법의 말기에 얻어진 소음 차단 벽은 특히 리프팅 파티션(50 및 60)으로 인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행되는 한편, 방음재(2)를 사용한 방음으로 인하여 그 벽의 방음에 관하여; 그리고 벽의 구조적 안정성에 관하여, 개비온에서의 케이지의 변형의 부재 및 이러한 케이지 사이의 방음재에 의한 연속적인 합침으로 인하여 특히 높은 성능을 유지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건축된 소음 차단 벽은 토목 공사, 공공 사업, 산업 시설 또는 개인 건축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개비온(1)에 대해 묘사되지 않은 실행 변형예에 따르면, 개비온의 중간 구획(C3)은, 알갱이 형상의 방음재(2)에 추가하여, 상부에서 개방된 몇몇 벌집으로 구획(C3)을 세분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획 내에서 수직으로 놓여진 반강성 시트 또는 플레이트 또는 패널을 수용할 수 있다. 특히 건축된 소음 차단 벽의 성능과 비용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음재로 이러한 벌집을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
위의 내용을 잠재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측면에 따르면, 개비온(1)은 방화벽을 건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벽의 내화성 능력은 개비온(1)에서의 중간 구획(C3)에 있는 채움재의 성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방음재(2)는 내화성 형태로 선택되거나 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처리될 수 있어서, 그러므로 얻어진 벽은 방음벽겸 방화벽이다. 방음벽겸 방화벽인 벽을 얻거나 또는 방화벽을 얻도록 방음벽을 대체하는 방음재(2)에 대한 추가재로서, 내화 재료 또는 불연성 재료가 또한 중간 구획(C3)에 배치될 수 있다.
테스트 샘플:
소음 차단 벽은 서로 동일한 몇몇 개비온(1)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 세워졌다. 사용된 그물망(11.1, 12.1, 13.1, 14.1, 15.1, 20.1, 20.2, 20.3, 20.4, 30.1, 30.2, 30.3, 30.4, 40.1, 50.1 및 60.1)은 동일하였으며, 5cm x 10cm의 직사각형 그리드를 구비한다. 그물망(11.1, 12.1 및 13.1)은 200cm x 100cm로 측정된 한편, 그물망(14.1 및 15.1)은 100cm x 100cm로 측정되어서, 케이지(10)의 내부 용적(V10)이 2㎥가 되었다.
그물망(50.1 및 60.1)은 90cm의 높이와 함께 100cm로 수평으로 측정되었으며, 손잡이(51 및 61)는 그물망(50.1 및 60.1)의 상부 가장자리를 향해 10cm 더 연장된다.
각각의 그물망(20.1, 20.2, 20.3, 20.4, 30.1, 30.2, 30.3 및 30.4)은 수평으로 50cm 및 수직으로 100cm로 측정되었다. 구획 파티션(20 및 30)은 그 사이에 20cm의 갭이 놓여졌다.
그물망(40.1)은 100cm x 100cm로 측정되었다.
충전제 재료(70)는 80/130㎜의 알갱이 크기를 가지는 쇄석이었다.
방음재(2)는 0/30㎜의 알갱이 크기를 갖는 모래-조약돌 골재였다.
소음 차단 벽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 3개의 열로 시작되는 12개의 개비온으로 건축되었으며, 각각의 열은 4개의 병치된 개비온으로 만들어진다.
프랑스 국가 표준 NF EN 1793-6에 따라서 실행된 소음 차단 벽의 테스트는 D4 등급의 상태, 즉 위에서 언급한 표준에서 정의된 최고 등급이 되는 우수한 방음임을 확인했다. 이러한 것은 약 40 데시벨의 공중 차음량(aerial noise insulation value)(DLSI, G)에 해당한다.
구획 파티션(20 및 30)에서 토목 섬유의 시트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더라도 유사한 방음 성능이 관찰되었다.
또한, 위에서 고려되고 개비온(1)의 몇몇 표본을 수반하는 소음 차단 벽에서, 그리고 개비온(1)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개비온(1)의 다양한 배치 및 변형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 몇몇 예가 있다:
- 바닥부(11), 정면 벽(12 및 13) 및 측벽(14 및 15)에 더하여, 개비온(1)의 케이지(10)는 선택으로서, 케이지(10)의 상부에서 내부 용적(v10)을 봉입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뚜껑은 하나 이상의 그물망을 포함할 것이며, 필요하면 중간 구획(c3)에 추가하여 적어도 정면 구획(C1 및 C2)을 덮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뚜껑은 특히 개비온(1)을 움직일 때, 정면 구획(C1 및 C2) 내에서 충전제 재료(70)의 보유를 확보하는 한편, 중간 구획(C3)을 그 방음재(2)로 채울 때 방음재(2)가 뚜껑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 특히, 개비온(1)의 케이지(10)의 치수에 따라서, 격판 파티션(40)은 생략될 수 있거나, 또는 반대로 몇몇 격판 파티션이 제공될 수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단일 리프팅 파티션 또는 반대로 2개보다 많은 리프팅 파티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정신으로, 각각의 리프팅 파티션에 대하여, 하나의 단일 손잡이 또는 2 개보다 많은 손잡이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격판 및 리프팅에 관련된 배열은 개비온(1)의 크기에 맞추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 중간 구획(C3)은 정면 벽(12 및 13) 사이의 중앙 위치를 점유하는 대신에, 정면 벽 중 하나에 더욱 근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Claims (15)

  1. 개비온(gabion)(1)으로서,
    - 기본적으로 상자 형상의 케이지(10)로서, 상기 케이지는, 상기 케이지의 베이스에 위치된 바닥부(11), 상기 케이지의 2개의 대향하는 측벽에 위치되는 2개의 정면 벽(12, 13), 및 상기 케이지의 2개의 다른 측벽에 위치되는 2개의 측벽(14, 15)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 정면 벽 및 측벽은 서로 고정된 그물망(11.1, 12.1, 13.1, 14.1, 15.1)으로 각각 형성되는, 상기 케이지(10), 및
    -2개의 구획 파티션(20, 30)으로서, 각각의 케이지의 내부 용적(v10)이,
    - 상기 정면 벽 중 하나(12) 및 상기 정면 벽에 가장 근접한 2개의 구획 파티션 중 하나(20)에 의해 각각 한정되고, 다른 정면 벽(13)과 다른 구획 파티션(30) 사이에 있는 2개의 정면 구획(C1 및 C2)으로서, 이러한 정면 구획 내에서 보유되는 방식으로, 상기 바닥부, 상기 정면 벽 및 상기 측벽의 그물망의 구멍을 통과하기에는 너무 크고 상기 구획 파티션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골재로 만들어진 충전제 재료(70)로 각각 채워지는, 상기 2개의 정면 구획(C1 및 C2), 및
    - 상기 구획 파티션들 사이에서 한정되고 알갱이형 방음재(2)를 수용할 수 있는 중간 구획(C3)으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서 상기 측벽을 서로 고정식으로 각각 연결하는, 상기 2개의 구획 파티션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파티션(50, 6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파티션은,
    - 상기 각각의 정면 구획(C1 및 C2) 및 중간 구획(C3)을 통해 연장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지 내에서 상기 정면 벽(12, 13)을 고정식으로 연결하고,
    - 상기 바닥부(11)의 반대편에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51 및 61)가 있으며,
    - 상기 중간 구획에 펼쳐진 부분애 대하여, 상기 방음재가 상기 중간 구획(C3) 내에서, 상기 리프팅 파티션(50, 60)의 양쪽 측부에서 자유롭게 확장될 수 있기 위하여 방음재 알갱이(2)가 상기 중간 구획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 재료(70)는,
    - 쇄석,
    - 건물 현장 잔해물,
    - 클링커(clinker),
    - 파쇄 유리,
    - 목재, 플라스틱 재료, 복합 재료, 대리석, 백악, 석회석, 백운석 또는 바륨 조각,
    - 산의 작용에 의해 원위치에서 형성된 및/또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파생된 이산화탄소 및 1종 이상의 산과의 표면 반응을 거친 천연 탄산칼슘 또는 탄산칼슘 침전물, 및
    -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파티션(50, 60)은 평탄 그물망(50.1 및 60.1)을 포함하며,
    - 상기 손잡이(들)(51, 61)가 상기 평탄 그물망에 고정되며,
    - 상기 평탄 그물망은 각각 상기 바닥부(11) 및 상기 정면 벽(12, 13)의 그물망(11.1, 12.1, 13.1)에 고정되고, 상기 정면 구획(C1 및 C2)과 상기 중간 구획(C3)을 통해 연장되며,
    - 상기 방음재(2)의 알갱이가 상기 리프팅 파티션(50, 60)의 양쪽 측부에서 확장되도록 상기 평탄 그물망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획 파티션(20, 30)은, 각각의 리프팅 파티션(50, 60)의 상기 그물망(50.1 및 60.1)에 고정되고 상기 리프팅 파티션의 양쪽 측부에서 각각 펼쳐지는 적어도 2개의 평탄 그물망(20.1, 20.2, 20.3, 20.4, 30.1, 30.2, 30.3, 3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획 파티션(20, 30)의 각각의 그물망(20.1, 20.2, 20.3, 20.4, 30.1, 30.2, 30.3, 30.4)은 상기 바닥부(11)의 그물망(11.1)에 고정되며, 상기 측벽(14, 15)에 각각 접하는 각각의 구획 파티션에서의 2개의 그물망(20.1, 20.4, 30.1, 30.4)의 각각은 대응하는 측벽의 그물망(14.1 및 15.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획 파티션(20, 30)은 구획 파티션에서의 상기 그물망(20.1, 20.2, 20.3, 20.4, 30.1, 30.2, 30.3, 30.4)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중간 구획을 향해 돌려진 상기 그물망의 전체 면을 덮고 방음재가 그 중간 구획(C3)으로부터 상기 그물망을 교차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토목 섬유 또는 지오신세틱 재료(geo-synthetic material)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벽 사이에 공유되는 적어도 2개의 손잡이(51, 61)는 각각의 리프팅 파티션(50, 60)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사이에 공유되는 적어도 2개의 리프팅 파티션(50, 6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은 격판 파티션(40)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격판 파티션은,
    - 각각의 정면 구획(C1 및 C2) 및 상기 중간 구획(C3)을 통해 연장되는 상기 정면 벽(12, 13)을 상기 케이지 내에서 서로 고정식으로 연결하고,
    - 상기 중간 구획 내에서 펼쳐진 부분에 대하여, 상기 방음재가 상기 중간 구획(C3) 내의 상기 격판 파티션(40)의 양쪽 측부에서 자유롭게 확장되도록, 상기 방음재 알갱이(2)가 상기 격판 파티션을 통과하는데 적합하며,
    - 양쪽 측부에서, 적어도 2개의 리프팅 파티션(50, 60)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의 개비온(1, 1', 1")에 대하여,
    - 과정 동안, 상기 개비온이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되며, 상기 개비온의 정면 구획(C1 및 C2)이 충전제 재료(70)로 채워지며, 최종 위치로의 이동 단계 전에, 상기 개비온이 홈(home)에서 명확히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51, 61)를 연결하여 끌고 가는 것에 의해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한번 들어 올려지는, 이동 단계; 및
    - 상기 이동 단계 후에 실행되며, 그 동안, 알갱이형 방음재(2)가 최종 위치에 있는 상기 개비온의 중간 구획(C3, C3', C3") 내로 부어지며, 상기 중간 구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울 때까지 리프팅 파티션(들)(50, 60)을 통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중간 구획을 통해 확산되는, 채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소음 차단 벽으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개비온(1, 1', 1") 뿐만 아니라 각각의 개비온의 중간 구획(C3, C3', C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알갱이형 방음재(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 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는,
    - 모래 및 자갈 혼합물,
    - 콘크리트,
    - 파쇄된 건축 현장 잔해물,
    - 파쇄된 광산 작업 폐기물,
    - 파쇄된 대리석, 백악, 석회석, 백운석 또는 바륨 조각,
    - 산(들)의 작용에 의해 원위치에서 그리고/또는 외부 공급원으로 형성된 이산화탄소 및 1종 이상의 산과의 표면 반응을 거친 천연 탄산칼슘 또는 탄산칼슘 침전물의 알갱이, 및
    -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 벽.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 적어도 2개의 개비온의 각각의 부분에 대하여, 개비온들의 각각의 중간 구획(c3, c3')이 서로의 위에서 수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펼쳐진 방식으로, 그리고 각각의 개비온의 바닥부(11)에 있는 그물망(11.1)이 방음재 알갱이를 통과시켜서, 이러한 방음재가 중간 구획 사이에 준비된 상기 바닥부를 통해 상기 개비온의 각각의 중간 구획을 연속적으로 합칠 수 있도록, 서로의 상부에서 적층되는 적어도 2개의 개비온(1, 1'), 및/또는
    - 적어도 2개의 개비온의 각각의 부분에 대하여, 상기 개비온에 있는 각각의 중간 구획(C3, C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의 바로 맞은 편에서 수평으로 펼쳐지는 방식으로, 그리고 각각의 개비온의 측벽(14, 15)의 그물망(14.1 및 15.1)이 방음재의 알갱이(2)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서, 방음재가 상기 측벽과 이러한 중간 구획을 통해 상기 개비온의 각각의 중간 구획을 연속적으로 합치도록, 상기 개비온 중 하나의 개비온의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14)을 다른 개비온의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15")에 접하게 하는 것에 의해 서로 병치되는 적어도 2개의 개비온(1, 1")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 벽.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차단 벽은 상기 방음재가 상기 중간 구획으로부터 측벽을 교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비온의 2개의 측벽 중 측벽(15)의 외부면에 적용되는, 개비온(들)(1)의 중간 구획(C3)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부 차단 요소(103)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 벽.
  15. 토목 공사 작업, 공공 작업, 및 개인 설비에 소음 차단 벽 및/또는 방화벽을 건축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개비온의 용도.
KR1020187024109A 2016-03-04 2017-03-03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KR20180118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305251.7A EP3214224B1 (fr) 2016-03-04 2016-03-04 Gabion, mur anti-bruit comprenant un tel gabion, et procédé de mise en oeuvre d'un tel gabion
EP16305251.7 2016-03-04
PCT/EP2017/054992 WO2017149113A1 (en) 2016-03-04 2017-03-03 Gabion, noise barrier wall comprising such a gabion, and process for executing such a gab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121A true KR20180118121A (ko) 2018-10-30

Family

ID=5552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109A KR20180118121A (ko) 2016-03-04 2017-03-03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563371B2 (ko)
EP (1) EP3214224B1 (ko)
JP (1) JP6971248B2 (ko)
KR (1) KR20180118121A (ko)
CN (1) CN108699787B (ko)
BR (1) BR112018067459A2 (ko)
CA (1) CA3015727A1 (ko)
ES (1) ES2683552T3 (ko)
RU (1) RU2728297C2 (ko)
TR (1) TR201810470T4 (ko)
WO (1) WO20171491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17B1 (ko) * 2018-12-31 2019-06-12 게비온블럭(주) 돌망태 블록
KR102483070B1 (ko) 2022-07-01 2022-12-29 김도언 디스플레이 개비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7428A1 (en) 2018-03-05 2019-09-11 Omya International AG Noise and/or sound reducing multilayer unit
USD984243S1 (en) * 2019-05-23 2023-04-25 Dan Warren Brazed rebar gabion façade
DE202019004411U1 (de) * 2019-10-25 2019-11-21 Wolfgang Deutschle Gabionenkorb für Dreikammer-Gabione
EP3819436B1 (de) * 2019-10-25 2022-02-09 Wolfgang Deutschle Gabionenkorb für dreikammer-gabione
JP6719792B1 (ja) * 2019-11-06 2020-07-08 クラフトワーク株式会社 農業用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DE102021104377A1 (de) 2021-02-24 2022-08-25 Wolfgang Schmauser Lärmschutzgabione
DE202021100918U1 (de) 2021-02-24 2022-02-25 Wolfgang Schmauser Lärmschutzgabione
KR102521912B1 (ko) * 2022-10-26 2023-04-13 이대영 보강 와이어가 구비된 수중 개비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3640A (en) * 1981-09-09 1984-11-20 Berger Robert C Erosion control device
DE69023493T2 (de) * 1989-04-07 1996-04-18 Hesco Bastion Ltd Baublöcke und stützblöcke.
FR2787802B1 (fr) 1998-12-24 2001-02-02 Pluss Stauffer Ag Nouvelle charge ou pigment ou mineral traite pour papier, notamment pigment contenant du caco3 naturel, son procede de fabrication,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leurs applications
FR2852600B1 (fr) 2003-03-18 2005-06-10 Nouveau pigment mineral contenant du carbonate de calcium, suspension aqueuse le contenant et ses usages
FR2860529B1 (fr) * 2003-10-03 2006-12-15 France Gabion Ouvrage de genie civil, element individuel de construction et procede de renforcement d'un tel ouvrage
FR2871474B1 (fr) 2004-06-11 2006-09-15 Omya Development Ag Nouveau pigment mineral sec contenant du carbonate de calcium, suspension aqueuse le contenant et ses usages
DE202006003050U1 (de) 2006-02-21 2006-04-27 Rothfuss, Thomas Drahtkorb
EP1847647A1 (en) * 2006-04-18 2007-10-24 Tauw B.V. Air purifying panel
GB0610054D0 (en) * 2006-05-19 2006-06-28 Hesco Bastion Ltd Gabions
FR2902808B1 (fr) 2006-06-26 2010-05-21 Entpr Travaux Publics Setp Soc Mur antibruit et procede de construction d'un tel mur
EP1925745A1 (de) * 2006-11-24 2008-05-28 Konrad Lehrhuber Wand aus einen Füllraum begrenzenden Tafeln und Pfosten
ATE480597T1 (de) 2007-12-12 2010-09-15 Omya Developmen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berflächenreaktives fällungskalziumkarbonat
CN201310092Y (zh) * 2008-10-16 2009-09-16 Betafence金属制品(天津)有限公司 石笼网
CN101818590B (zh) * 2009-02-27 2012-11-07 阳正云 一种柔性构建物的建造方法
FR2943080B1 (fr) * 2009-03-13 2016-09-30 Inoxys S A Elements du type gabions pour la realisation de constructions tels que des murs, des merlons ou similaires
RS52297B (en) 2009-06-15 2012-12-31 Omya Development Ag PROCEDURE FOR OBTAINING SURFACE CARBONATE CALCIUM BY THE APPLICATION OF LOW ACID
SI2264109T1 (sl) 2009-06-15 2012-07-31 Omya Development Ag Postopek za pripravo površinsko reakcijsko obdelanega kalcijevega karbonata in njegova uporaba
CN101748823B (zh) * 2010-01-01 2012-09-26 张宇顺 生态绿化墙及其施工方法
FR3008113B1 (fr) * 2013-07-05 2015-07-24 Fimurex Gab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17B1 (ko) * 2018-12-31 2019-06-12 게비온블럭(주) 돌망태 블록
KR102483070B1 (ko) 2022-07-01 2022-12-29 김도언 디스플레이 개비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810470T4 (tr) 2018-08-27
BR112018067459A2 (pt) 2019-01-02
RU2018126997A (ru) 2020-04-06
ES2683552T3 (es) 2018-09-26
CN108699787A (zh) 2018-10-23
EP3214224A1 (fr) 2017-09-06
CA3015727A1 (en) 2017-09-08
EP3214224B1 (fr) 2018-05-09
US10563371B2 (en) 2020-02-18
US20190032298A1 (en) 2019-01-31
JP2019507261A (ja) 2019-03-14
JP6971248B2 (ja) 2021-11-24
RU2018126997A3 (ko) 2020-06-19
RU2728297C2 (ru) 2020-07-29
CN108699787B (zh) 2021-01-29
WO2017149113A1 (en)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8121A (ko)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US7670082B2 (en) Contaminant-reactive gab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US8262318B2 (en) Contaminant-reactive gabion cage or grid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CN102482861A (zh) 诸如墙体、围堤或同类构筑物施工用石笼类元件
CA2513135C (en) Construction for buildings protected against radiation
KR20180022214A (ko) 경량기포 혼합토와 드레인 벨트를 이용한 도로 구조물 시공 방법
WO2018014069A1 (en) Sealing system for dam walls
EP2163320B1 (en) Contaminant-reactive gabion/geocomposit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RU8016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рожной одежды
JP5728206B2 (ja) 仕切護岸の構築工法
CN211008542U (zh) 孔洞封堵结构
Zornberg et al. Tire bales in highway applications: feasibility and properties evaluation
SK50292011U1 (sk) Panel s bunkovou štruktúrou
JP2001323432A (ja) 護岸の遮水構造
CA2639563C (en) Contaminant-reactive gabion/geocomposit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JP4761386B2 (ja) 遮水壁の構築法
JPH0649853A (ja) 擁壁の築造工法
SU1296685A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 стены в грунте
Retterer Gravity and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using whole scrap tires
Hawkins et al. Remediation of senior citizens’ dwellings affected by pyrite-induced heave
JP410249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運搬方法
RU2227198C2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в скользящей опалубке
JP5442154B1 (ja) 自立型擁壁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区画形成方法
PL201476B1 (pl) Sposób likwidacji wysypisk i składowania odpadów komunalnych i/lub przemysłowych w tym chemicznie aktywnych, toksycznych i zawierających azbest, w silosach betonowych
UA31819U (uk) Спосіб безпечного збереження твердих побутових відходів на існуючих полігон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