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731B1 -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731B1
KR101052731B1 KR1020100098936A KR20100098936A KR101052731B1 KR 101052731 B1 KR101052731 B1 KR 101052731B1 KR 1020100098936 A KR1020100098936 A KR 1020100098936A KR 20100098936 A KR20100098936 A KR 20100098936A KR 101052731 B1 KR101052731 B1 KR 101052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pair
strut
support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일
Original Assignee
안창일
(주)서현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일, (주)서현컨스텍 filed Critical 안창일
Priority to KR102010009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96Shear brac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벽체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의 단면효율성을 증진시켜 보다 경제적으로 벽체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구조물용 지주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관형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 한쌍의 지주부재; 및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부재를 구속하도록 설치된 브레이싱;을 포함하여, 부재단면적을 작용하는 하중에 가장 적합하게 변경시킴에 있어서, 효율적인 제작방법, 시공방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기둥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COLUMN STRUCTURE USING PAIR-COLUMN MEMBER AND BRACIING AND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초구조물 상면에 H형강과 같은 지주부재를 다수 이격시켜 설치한 후,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패널부재를 설치하여 시공되는 벽체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의 단면효율성을 증진시켜 보다 경제적으로 벽체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사용되는 방음벽의 설치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방음벽은 이러한 방음벽은 초기에는 소음을 차단 및 흡음하기 위해 지중에 기초구조물(10)을 형성하고, 기초구조물(10)에 H형강 또는 I형강 등을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배치하여 기둥(20)을 형성한 후 상호 인접된 두 기둥 사이를 차단하도록 방음 및/또는 흡음벽체(30)를 부착하여 형성된다.
벽체(30)로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세라믹 글래스, 알루미늄 판 및 콘크리트 블록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기둥(20)은 강재로 제작되고, 기초구조물(1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므로 통상 기둥(20)의 저면에는 받침부재(21)를 부착시키고, 상기받침부재(22)를 기초구조물(10) 상면에 앵커(25)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방음벽의 설치 높이는 소음 문제 때문에 민원이 자주 발생하여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25m이상되는 방음벽이 설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둥(20)의 높이도 증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기둥(20)에 사용되는 H형강인 기둥(20)도 당연히 길이를 연장시킬 수 밖에 없게 된다.
도 1b는 이러한 H형강인 기둥(20, 하부 고정조건)에 있어 작용하는 휨모멘트(M)도를 도시한 것인데, 기둥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포물선 형태로 휨모멘트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H형강인 기둥(20)은 하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가 상대적으로 상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보다 훨씬 크게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H형강인 기둥(20)에 있어 하부의 단면적 즉 H형강의 단면적은 상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종래 가로등과 같은 강재 기둥(21)의 경우에는 하부의 지름보다 상부의 지름이 작도록 형성시키는 기둥도 사용된 바 있다.
이러한 기둥의 단면형태 변화는 결국 휨모멘트와 같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부위의 단면적을 크게 형성시키고 하중이 작게 작용하는 부위의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시키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결국 기둥(20)에 있어 가장 최적의 단면적을 가지도록 제작하려면 결국 작용하는 도 1b와 같이 기둥(22)은 휨모멘트와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기둥의 단면형태에 변화를 준다고 할지라도 실제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에 가장 적합한 단면적을 가진 기둥을 제작하는 것은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는 결국 기둥 단면적을 변화시켜 가면서 제작하는 비용이 오히려 부담스럽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점은 결국 기둥(20)의 전체 높이에는 전혀 변화가 없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기둥(20)의 높이(H)에는 전혀 변화를 주지 못한 상태에서 기둥의 단면형태를 변화시키는 정도에 머무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통상 방음벽과 같은 벽체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기둥은 전체 높이에 걸쳐 도 1a와 같이 형성 높이에 따른 단면변화조차 없는 H형강을 그대로 이용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불필요한 추가 단면형상 변화를 꾀하는 것 보다는 최대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단면적을 기준으로 규격제품을 그대로 사용하는 하는 것이 설계 및 제작에 있어 편의성을 주기 때문이었다.
이에 종래 기둥(20)은 결국 작용하는 최대 휨모멘트에 대응하는 단면적을 전체 높이에 걸쳐 변화를 주지 않고 제작된 H형강을 이용함으로써 매우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기둥이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방음벽과 같은 벽체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기둥구조물에 있어서, 작용하는 하중에 가장 적합한 단면형태를 가지면서도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도 용이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기둥구조물을 H형강과 같이 1개의 부재로 형성시키지 않고, 서로 이격된 예컨대 원형강관을 배치하되, 이러한 원형강관은 하부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가 상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보다 크므로 원형강관의 직경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링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작용하중에 대한 단면적의 효율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원형강관 사이는 브레이싱에 의하여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하여 한쌍의 원형강관이 브레이싱을 직교하는 중립축을 기준으로 작용하중에 대한 휨 강성이 획기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초구조물 상면에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관형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 한쌍의 지주부재; 및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부재를 구속하도록 설치된 브레이싱;을 포함하는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주부재 전면에는 복부와 플랜지로 구성된 T형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패널부재가 설치되도록함과 더불어 상기 한쌍의 지주부재 저면에 받침부재가 더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가 기초구조물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주부재는 원형 또는 사각단면의 관형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이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초구조물을 연장 설치하고,
기초구조물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관형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 한쌍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부재를 구속하도록 설치된 브레이싱; 및 상기 한쌍의 지주부재 저면에 설치된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물용 지주를 상기 기초구조물 상면에 다수를 길이방향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되 상기 구조물용 지주의 받침부재를 기초구조물 상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시켜 고정된 지주부재들 전면과 브레이싱 사이에 패널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에 의한 벽체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물용 지주는 받침부재를 제외한 한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으로 제작하되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미리 제작하고,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절단된 지주부재 저면에 받침부재를 설치한 것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에 의한 벽체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결국 부재단면적을 작용하는 하중에 가장 적합하게 변경시킴에 있어서, 효율적인 제작방법, 시공방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기둥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둥구조물을 이용하여 기둥구조물에 패널부재와 같은 벽체를 설치하여 보다 합리적인 벽체구조물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 방음벽의 시공정면도,
도 1b는 종래 기둥에 대한 작용하중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의 한쌍의 지주부재의 결합도,
도 2b는 본 발명의 지주부재 제작도,
도 2c는 본 발명의 구조물용 지주의 조립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구조물용 지주의 제작예시도,
도 2e는 본 발명의 구조물용 지주의 완성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구조물용 지주의 실시예 사시도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구조물용 지주의 시공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100)>
먼저 상기 구조물용 지주(100)는 서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 한쌍의 지주부재(110); 및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부재를 구속하도록 설치된 브레이싱(120);을 포함한다.
먼저, 도 2a와 같이 상기 지주부재(110)는 서로 이격되어 한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병렬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지주부재(110) 각각은 예컨대 하부로부터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형태로 제작되는데 이를 본 발명에서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관형부재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관형부재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형단면을 가진 부재가 될 수도 있겠지만 그이외 사각, 육각단면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상가 관형부재에 있어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제작하기 위한 방법은 강판을 도 2b와 같이 상면의 수평길이(d1)가 하면의 수평길이(d2)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태의 강판(B)을 먼저 제작하고, 상기 강판의 양 측면(s1,s2)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부로부터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형태의 관형부재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면된다.
물론 다각형 관형부재의 경우에는 상기 사다리꼴 형태의 강판을 제작함에 있어 둥굴게 말아지는 형태로 형성하지 않고 각지게 말아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면 된다.
이로서 상기 관형부재는 높이(H)에 따라 다양한 높이(길이)를 가진 관형부재를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형부재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도를 도 2a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작용하는 휨모멘트(M)에 가장 근접한 단면적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형부재(110)는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서로 위치가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구속시켜 줄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한쌍의 관형부재(110)를 서로 구속시켜 구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앵글과 같은 연결부재를 예컨대 수평부재와 경사부재를 번갈아 가면서 한쌍의 관형부재를 서로 연결시켜 주게 된다.
이에 도 2a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관형부재(110)는 브레이싱(1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관형부재(110) 사이에 수평으로 중립축(C)이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중립축으로부터 관형부재(110)까지의 거리(d3)는 한쌍의 지주부재에 있어 휨 강성에 영향이 매우 커지므로 본 발명에 의한 한쌍의 지주부재는 그 휨 강성을 브레이싱(120)의 설치길이 즉 관현부재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브레이싱(120)은 관형부재 사이에 전체에 걸쳐 설치할 필요없이 다수를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면 되고, 그 설치길에 의한 관형부재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휨 강성 조정이 매우 용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관형부재(110)의 경우 한쌍의 관형부재(110)가 브레이싱(120)에 의하여 작용하는 하중에 일체화되어 작용하기 때문에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휨강성이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브레이싱(120)에 의하여 중립축을 기준으로 관형부재(110)의 팔길이(d3)에 의한 휨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a와 같이 필요한 높이(H)를 가진 H형강인 종래 기둥(20)에 사용되는 강재량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 한쌍의 관형부재(110)를 사용하더라도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가장 적합한 단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 강재량의 증가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더러,
동일한 강재량을 기준으로 종래 기둥(20)과 본 발명의 관형부재(110)를 제작하면 작용하중에 대한 휨 강성은 본 발명이 훨씬 크기 때문에 낙석방지책과 같은 벽체구조물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효과가 매우 부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지주부재(110) 저면에는 도 2c와 같이 기초구조물(200)에 앵커와 같은 고정수단(140)에 의하여 한쌍의 지주부재가 자립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판재 형태의 받침부재(130)가 더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130)는 각 강관부재(110) 저면에 강관부재 저면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시키거나 한쌍의 강관부재 저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1개의 받침부재로 설치할 수 도 있다.
또한 도 2d에 의하면, 일정한 높이(H)를 가진 한쌍의 지주부재가 제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예컨대 25M의 길이(또는 높이)를 가진 한쌍의 지주부재를 제작한 상태에서, 만약 15M 길이를 가진 한쌍의 지주부재가 필요하다면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15M 길이를가진 한쌍의 지주부재로 절단하고 나머지 10M에 해당하는 한쌍의 지주부재는 필요한 곳에 별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한쌍의 지주부재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미리 제작한 상태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제작 및 생산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절단된 각 한쌍의 지주부재들의 상면은 예컨대 캡으로 마감하고, 저면은 본 발명의 받침부재를 설치하면 된다.
이에 브레이싱(120)은 절단위치를 고려하여 절단부위에 배치되지 않도록 미리 그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레이싱(120)의 배치는 브레이싱을 반드시 연속되도록 설치하지 않아도 관형부재의 이격에 따른 구속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e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지주부재(110) 전면에 패널부재(15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방음벽용 지주부재라면 이러한 패널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세라믹 글래스, 알루미늄 판 및 콘크리트 블록 등의 재질 및 형태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관형부재 전면은 굴곡된 부위이므로 패널부재를 직접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16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부재는 예컨대 복부(161)와 플랜지(162)로 구성된 T형 연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복부(161)의 배면을 관형부재의 전면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시키고, 플랜지(162) 전면이 관형부재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고, 인접한 다른 지주부재의 T형 연결구의 플랜지 전면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50)를 배치하고,
상기 패널부재의 단부를 앵커볼트(17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결국 한쌍의 관형부재가 횡방향으로 다수 이격 설치된 상태에서 인접한 관형부재에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패널부재를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용 지주(100)의 변형예를 살펴볼 수 있다.
먼저 도 3a에 의하면, 한쌍의 지주부재(110)에 있어 패널부재(150)이 설치되는 전면에 위치할 지주부재(110a)는 필요한 전체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고, 후면에 위치할 지주부재(110b)는 상기 전면에 위치한 지주부재(110a)보다 높이가 작도록 형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원하는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지주부재(110)의 형성 높이에 차이를 두어 단면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킨 예라 할 수 있다.
도 3b에 의하면 한쌍의 지주부재(110)에 있어 단면형태가 서로 다른 관형부재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지주부재는 미관을 위하여 다양한 단면형태를 가진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본 발명의 지주부재(11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관형부재로 제작하는 경우 기본적인 기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c에 의하면, 한쌍의 지주부재(110)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패널부재(150)가 전면부에 설치되고, 후면부에 있어 지주부재(110b)가 서로 연결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연결방법을 채택하면 한쌍의 지주부재(110)를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서로 구속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인 벽체구조물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100)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먼저 도 4a와 같이 벽체구조물(A)을 자립시키기 위하여 기초구조물(200)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기초구조물(200)은 거푸집 내부에 철근조립체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의 단면으로 형성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초구조물(200)은 벽체구조물이 연장되는 방향(길이방향이라 한다.)으로 연속하여 형성시키면 된다.
이러한 기초구조물(200) 상면에 도 4b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용 지주(1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물용 지주(100)은 기초구조물(200) 상면에 고정될 수 있는 받침부재(130)와 상기 받침부재(130) 상면에 브레이싱(120)으로 서로 연결된 한쌍의 지주부재(110)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구조물용 지주(100)를 기초구조물(20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를 이격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주부재(110) 전면에는 패널부재(150)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재(160)를 미리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4c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60)에 패널부재(150)를 앵커볼트(170)에 의하여 장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최종 벽체구조물(A)가 도 4d와 같이 간단하게 완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구조물용 지주
110: 지주부재
110a,110b: 전면부 지주부재, 후면부 지주부재
120: 브레이싱
130: 받침부재
140: 고정부재
150: 패널부재
160: 연결부재
170: 앵커볼트

Claims (5)

  1. 기초구조물 상면에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관형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 한쌍의 지주부재(110);
    상기 지주부재(110)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부재를 구속하도록 설치된 브레이싱(120); 및
    상기 지주부재(110)의 전면에 복부(161)와 플랜지(162)로 구성된 T형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60)를 이용하여 설치된 패널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주부재 저면에 받침부재(130)가 더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가 기초구조물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는 원형 또는 사각단면의 관형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이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4. 기초구조물(200)을 연장 설치하고,
    기초구조물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관형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 한쌍의 지주부재(110);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부재를 구속하도록 설치된 브레이싱(120); 및 상기 한쌍의 지주부재 저면에 설치된 받침부재(130);를 포함하는 구조물용 지주(100)를 상기 기초구조물(200) 상면에 다수를 길이방향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되 상기 구조물용 지주의 받침부재를 기초구조물 상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시켜 고정된 지주부재(110)들 전면 사이에 패널부재(15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용 지주는 받침부재를 제외한 한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으로 제작하되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미리 제작하고,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절단된 지주부재 저면에 받침부재를 설치한 것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지주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에 의한 벽체시공방법.
  5. 삭제
KR1020100098936A 2010-10-11 2010-10-11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1052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936A KR101052731B1 (ko) 2010-10-11 2010-10-11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936A KR101052731B1 (ko) 2010-10-11 2010-10-11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731B1 true KR101052731B1 (ko) 2011-08-01

Family

ID=4493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936A KR101052731B1 (ko) 2010-10-11 2010-10-11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209B1 (ko) * 2020-06-02 2020-07-31 (주)성원엠엔디 금속기둥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021A (ko) * 2007-09-11 2009-03-16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방음벽용 지주의 연결 구조
KR20090100867A (ko) * 2008-03-21 2009-09-24 이창원 도로의 지하차도 시공을 위한 유닛강관 굴착장치및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021A (ko) * 2007-09-11 2009-03-16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방음벽용 지주의 연결 구조
KR20090100867A (ko) * 2008-03-21 2009-09-24 이창원 도로의 지하차도 시공을 위한 유닛강관 굴착장치및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209B1 (ko) * 2020-06-02 2020-07-31 (주)성원엠엔디 금속기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9180A (zh) 桁架组合梁与上下层连接的轻钢结构及其施工方法
CN102704595B (zh) 钢管混凝土柱间嵌“型钢柱-钢梁-钢撑”剪力墙及作法
CN201785865U (zh) 一种后张法体外预应力钢梁和先张法预应力叠合梁结合的房屋结构体系
KR100875697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CN202248251U (zh) 桁架组合梁与上下层连接的轻钢结构
KR101327388B1 (ko) 휨 모멘트 및 정 모멘트 저항력 확대구조를 갖는 상하 2분할 조립식 피씨 구조물용 피씨 월
KR101191502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20200107209A (ko) 강판 보강 전단벽
KR101962788B1 (ko) 강거더와 강합성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가설교량
KR101052731B1 (ko) 한 쌍의 지주부재와 브레이싱을 이용한 구조물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CN201786045U (zh) 钢梁与先张法预应力叠合梁相结合的房屋结构体系
CN112853935A (zh) 一种塔肢间设置空间斜撑的桥塔及施工方法
JP5946779B2 (ja) 布基礎
CN105604245A (zh) 一种型钢混凝土+形截面柱制作方法
CN2387178Y (zh) 一种新型钢管混凝土柱
CN213653171U (zh) 一种新型装饰中承式拱架结构
KR101421652B1 (ko) 케이슨의 슬릿용 시스템폼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시공방법
RU2385994C1 (ru) Фундамент
KR100837831B1 (ko)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CN215051999U (zh) 一种塔肢间设置空间斜撑的桥塔
KR20120066298A (ko) 수직 기둥구조체를 이용한 개비온 방음벽
JP2004244909A (ja) 金網固定金具
CN103225291A (zh) 一种大坝消力池预制廊道顶拱钢模板
CN211396523U (zh) 一种装配式支撑施工平台
KR101285189B1 (ko) Pc 라멘조를 위한 외부 건식벽체 유닛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7